KR0120197Y1 -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97Y1
KR0120197Y1 KR2019950015561U KR19950015561U KR0120197Y1 KR 0120197 Y1 KR0120197 Y1 KR 0120197Y1 KR 2019950015561 U KR2019950015561 U KR 2019950015561U KR 19950015561 U KR19950015561 U KR 19950015561U KR 0120197 Y1 KR0120197 Y1 KR 0120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hinge
assembly
hing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80U (ko
Inventor
손재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5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97Y1/ko
Publication of KR970002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97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작시 일단 분해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는 도어를 간편하게 제 1위치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힌지핀을 이용하는 종래구조는 간격과 단차를 조정할 때에 도어힌지를 변형시키면서 도어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한 쌍의 도어힌지(10)(20)의 도어측 조립공(11a)(21b)에 열경화성으로 굳는 와셔(32)가 부착되는 조절볼트(30)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라인에서 도어의 조립위치를 한번만 설정하면 도어를 다시 떼어내더라도 다시 조립위치를 설정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도어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제 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 도어힌지의 정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볼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도어힌지11a,11b : 조립공
20 : 하부 도어힌지21a,21b : 조립공
30 : 조절볼트31 : 접착제
32 : 와셔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작시 수회 착탈되는 도어를 간편하게 제위치에 조립할 수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셔가 부착된 볼트를 도어힌지의 간격조절에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일단 차체에 부착된 도어를 필요에 따라 탈거한 후 다시 부착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차체라인(Line)에서 차체와 도어와의 간격과 단차를 조정한 다음 조립된 도어를 도장라인에서 도장한 후 조립라인에서 도어를 다시 탈거하여 별도의 보조라인(sub line)에서 도어의 각 부속부품을 장착하고, 다시 최종라인(finaHine)에서 도어를 재차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를 자동차의 제작공정에 따라 반복적으로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서는 도어 결합부를 조립이 편리한 구조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힌지핀을 이용하여 도어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간격과 단차를 조정할 때에 도어힌지를 변형시키면서 이루게 되므로 도어를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조립라인에서 탈거한 도어를 최종라인에서 다시 간격과 단차를 조정하지 않고서도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측과 도어측에 상하로 각각 한 쌍씩의 조립공이 마련되는 상부도어힌지와 하부도어힌지를 통해 차체와 도어가 조립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부도어힌지의 도어측 상부 조립공과 하부도어힌지의 도어측 하부 조립공에 접착제를 통해 열경화작용으로 굳는 와셔가 외주에 부착된 조절볼트를 체결하고, 나머지 각 조립공에는 일반 체결볼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 1도와 같이 차체측과 도어측에 상하로 각각 한쌍씩의 조립공(11a)(11b)(21a)(21b)이 마련되는 상부도어힌지(10)와 하부도어힌지(20)를 통해 차체와 도어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도어힌지(10)의 도어측 상부 조립공(11a)과 하부도어힌지(20)의 도어측 하부 조립공(21b)에는 제 2도와 같이 접착제(31)를 통해 열경화작용으로 굳는 와셔(32)가 와주에 부착된 조절볼트(30)를 체결하고, 나머지 각 조립공(11b)(21a)에는 일반 체결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부도어힌지(10)의 도어측 상,하부 조립공(11a)(11b)에 결합되는 너트(미도시)간의 치수A”와 상,하부 도어힌지(10)(20)의 도어측 상,하부 조립공(11a)(21b)간의 거리 B”는 각 조립공(11a)(11b)(21a)(21b)의 크기와 각 체결볼트 및 조절볼트(30)의 치수 차이로 공차홀수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립라인에서 차체에 부착된 도어가 도장라인을 거치면서 열경화작용으로 각 조절볼트(30)의 와셔(32)가 각 도어힌지(10)(20)에 부착되므로 조립라인에서 도어측의 각 볼트를 탈거하여 별도를 보조라인에서 도어의 각 부속부품을 장착한 다음 최종라인에서 다시 도어를 조립하고자 할 때 각 조절볼트(30)의 와셔(32)가 각 도어힌지(10)(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또 다시 간격이나 단차를 조절할 필요없이 각 볼트를 그대로 조이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라인에서 도어의 조립위치를 한번만 설정하면 도어를 다시 떼어내더라도 다시 조립위치를 설정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도어를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조립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어 자동차의 생산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조립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자동차의 원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차체측과 도어측에 상하로 각각 한쌍씩의 조립공(11a)(11b)(21a)(21b)이 마련되는 상부도어힌지(10)와 하부도어힌지(20)를 통해 차체와 도어가 조립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부도어힌지(10)의 도어측 상부 조립공(11a)과 하부도어힌지(20)의 도어측 하부조립공(21b)에 접착제(31)를 통해 열경화작용으로 굳는 와셔(32)가 외주에 부착된 조절볼트(30)를 체결하고, 나머지 각 조립공(11b)(21a)에는 일반 체결볼트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KR2019950015561U 1995-06-29 1995-06-29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KR0120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561U KR0120197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561U KR0120197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80U KR970002080U (ko) 1997-01-24
KR0120197Y1 true KR0120197Y1 (ko) 1998-07-01

Family

ID=6087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561U KR0120197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80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197Y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간격조절구조
CN215398408U (zh) 一种昼间灯安装结构及车辆
KR960001123Y1 (ko) 자동차의 트렁크트림 장착구조
KR100535625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구조
JPH0717540Y2 (ja) ドアの取付構造
JPS58110322A (ja) 自動車ドアの位置決め取付方法
KR100857067B1 (ko) 아웃사이드미러 가장착 구조
KR0181605B1 (ko) 자동차의 도아조립방법
KR20040014700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록 실린더 고정구조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KR0118739Y1 (ko) 차량의 도어인 핸들 취부구조
KR0111928Y1 (ko) 박스형 자동차의 후드힌지 브라켓구조
KR100343571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고정구조
KR100527745B1 (ko) 차량의 도어 힌지 결합구조
KR19980036082U (ko) 일체형으로 취부되는 자동차용 램프구조
KR0158360B1 (ko) 자동차 도어의 장착구조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KR200148145Y1 (ko) 승합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조립구조
CN115781566A (zh) 一种发动机盖铰链安装用智能定位夹具
KR0118624Y1 (ko)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안전핀 설치구조
KR20200005210A (ko) 패스너 조립체
KR19980058530U (ko) 해치백 차량용 리어 가니쉬 취부구조
JP2570533Y2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の取付構造
KR19980038034U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