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215Y1 -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15Y1
KR0119215Y1 KR2019950036779U KR19950036779U KR0119215Y1 KR 0119215 Y1 KR0119215 Y1 KR 0119215Y1 KR 2019950036779 U KR2019950036779 U KR 2019950036779U KR 19950036779 U KR19950036779 U KR 19950036779U KR 0119215 Y1 KR0119215 Y1 KR 0119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racket
vehicle
vehicle body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504U (ko
Inventor
양종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15Y1/ko
Publication of KR970024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쪽 끝부위가 엔진의 측면에 체결되면서 다른쪽 끝부위는 차체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3)과 댐핑고무(4)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엔진을 차체에 장착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5)이 2개의 제1,2브라켓(5a,5b)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브라켓(5a)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반면에, 제2브라켓(5b)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라디에이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엔진을 차체에 안정되게 연결시켜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A structure for mounting an engine of an automobile)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이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장착브라켓의 사시도,
제 3 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이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 4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장착브라켓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장착브라켓
2 : 연결브라켓 3 : 댐핑고무
5 : 장착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차체에 연결시켜 지지하는 엔진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을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보다 안정되게 연결시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타의 크기가 증대되어도 라디에이타와 간섭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피스톤과 컨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 위치의 주기적 변화와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 부분의 관성력, 컨넥팅로드가 크랭크 축의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한 관성력 및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에 구조적으로 항상 진동을 받고 있다.
상기한 진동발생 원인들은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엔진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게 되고, 특히 실린더수가 적은 엔진은 실린더수가 많은 것 보다, 또 지속회전시에는 고속시보다 진동이 커지게 된다.
한편 엔진은 섀시 프레임이나 차체에 지지하는 방법은 전방지지부가 타이밍 기어 케이스, 또는 엔진 블럭 전단 하부의 양쪽에 후방지지부는 클러치 하우징, 또는 변속기 케이스의 양쪽에 4점으로 지지하는 4점 지지방식과 전방지지부가 타이밍 기어 케이스, 또는 엔진 블럭 전단 하부에 후방지지부는 변속기 케이스의 후부의 1점에 지지되는 3점지지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또 최근에는 전방지지부를 엔진의 중심과 후방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중심부근에 정하는 토크 롤 축지지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자동차의 엔진을 차체에 연결시켜 지지하는 종래의 엔진장착구조는 엔진을 장착브라켓과 댐핑고무를 매개로 차체에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즉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엔진(1)의 한쪽 측면에 장착브라켓(2)의 일단이 체결되고, 장착브라켓(2)의 타단은 차체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3)과 댐핑고무(4)를 개재하여 체결되게 되어, 엔진(1)이 장착브라켓(2)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댐핑고무(4) 및 연결브라켓(3)으로 차체에 안정되게 연결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댐핑고무(4)가 엔진의 진동 등을 적절히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3)은 제 4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ㄴ자형상으로서 양쪽 끝부위가 절곡된 제1브라켓(2a)과, 이 제1브라켓(2a)의 한쪽 절곡부위에 보울트 체결되면서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제2브라켓(2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장착브라켓으로 엔진을 장착하는 종래의 장착구조에서는 라디에이타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면, 라디에이타와 간섭되어 엔진을 차체에 장착하기가 어렵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단순히 길이만을 길게 해서 장착할 수도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디에이타의 사이즈가 증대되어도 라디에이타와 간섭되지 않고 엔진을 차체에 안정되게 연결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쪽 끝부위가 엔진의 측면에 체결되면서 다른쪽 끝부위는 차체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과 댐핑고무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엔진을 차체에 장착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이 2개의 제1,2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반면에 제2브라켓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라디에이타와 간섭되지 않고 엔진을 차체에 안정되게 연결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이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장착브라켓의 사시도인 바, 즉 엔진장착브라켓(5)이 2개의 제1,2브라켓(5a,5b)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브라켓(5a)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반면에 제2브라켓(5b)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장착브라켓으로 엔진을 차체에 연결시켜 지지하는 구조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장착브라켓(5a,5b)의 양쪽 절곡부위가 엔진(1)에 보울트로 체결됨과 더불어 다른쪽 절곡부위는 차체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3)과 댐핑고무(4)를 개재하여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라디에이타의 사이즈가 증대되어도 라디에이타와 간섭되지 않고 엔진을 차체에 장착브라켓(5)을 매개로 보다 안정되게 연결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의하면, 라디에이타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도 라디에이타와 간섭되지 않고 엔진을 차체에 보다 안정되게 연결시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쪽 끝부위가 엔진의 측면에 체결되면서 다른쪽 끝부위는 차체에 체결되는 연결브라켓(3)과 댐핑고무(4)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엔진을 차체에 장착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5)이 2개의 제1,2브라켓(5a,5b)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브라켓(5a)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반면에 제1브라켓(5b)은 중앙부위가 폭이 좁은 평판형상이고 양쪽 끝부위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KR2019950036779U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KR0119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779U KR011921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779U KR011921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504U KR970024504U (ko) 1997-06-20
KR0119215Y1 true KR0119215Y1 (ko) 1998-06-15

Family

ID=1943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779U KR0119215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504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5915A1 (en) Exhaust muffler bracket apparatus
KR100489101B1 (ko) 차량의 변속기 마운트장치
JP3393864B2 (ja) 内燃機関のトルクを支持するためのトルク支持装置
KR0119215Y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KR19980054113U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구조
KR100274833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9980054112U (ko) 자동차의 엔진 장착구조
JP3228047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KR100394619B1 (ko) 차량의 파워 플랜트 마운팅 장치
JPH0249057Y2 (ko)
JP2596062Y2 (ja) 自動車のパワユニット支持構造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JP2514579Y2 (ja) エンジンの支持装置
JPH0313052Y2 (ko)
JP200231652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80060511U (ko) 자동차엔진용 파워트레인의 롤억제를 위한 마운트구조
JPH0213695Y2 (ko)
JPS6143217B2 (ko)
KR0169638B1 (ko) 조향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
JP2599189Y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装置のマウント構造
KR200147371Y1 (ko) 리저버일체형댐퍼
KR19980074856A (ko) 자동차용 엔진의 마운팅 구조
KR100198134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9980061686U (ko) 차량의 엔진 마운팅 브라켓 구조
JPH04288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