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665Y1 - 자전거용 휀다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휀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665Y1
KR0116665Y1 KR2019950004826U KR19950004826U KR0116665Y1 KR 0116665 Y1 KR0116665 Y1 KR 0116665Y1 KR 2019950004826 U KR2019950004826 U KR 2019950004826U KR 19950004826 U KR19950004826 U KR 19950004826U KR 0116665 Y1 KR0116665 Y1 KR 0116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wk
piece
bicycle
hawks
mud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342U (ko
Inventor
수원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민 filed Critical 박수민
Publication of KR950027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목적]
자전거용 휀다에 있어서, 차륜의 외경이 다른 자전거에 대해서 범용성을 갖게 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제조면에서의 용이성, 저렴성, 관리용이성 등을 도모한다. 또한 자전거에의 취부가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차륜(2)을 보지하는 좌,우 한쌍의 호크(6)의 간격이 폭이 좁은것(6A)에 대해서 끼워질 수 있는 폭이 좁은 흙받이편부(7)와, 호크(6)의 간격이 넓은 것(6B)에 대해서도 이것과 당접하는 것으로 끼워지지 않도록한 후방측 흙받이편부(8)을 구비시킴으로써, 이것들 양 편부(7)(8)사이에, 호크(6)의 후면에 당접하는 단차현상의 위치결정돌출부(10)를 형성시켰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휀다
본 고안은 자전거용 휀다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의 전륜이나 후륜의 상방외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원호상의 휀다(fender)(흙제거용 커버)는 잘 알려진 것이다.
이런 종류의 휀다는 차륜의 외경이 다른 자전거별로, 그 원호상에서 곡률반경이나, 폭치수 등이 다른 것을 여러 종류 제작하였었다.
휀다의 종류가 여러 종류가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제조시에 로트(lot) 교환 등의 작업이 번잡하고 귀찮으며, 생산능률의 저하나 제조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여러종류의 휀다를 재고, 유통시킬때의 재교 관리도 귀찮고 번잡하였다.
한편,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의 휀다를 차륜의 외형이 다른 자전거에 취부하면, 그 고정이 불안정하고, 취부구조가 복잡하게 취부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외경이 다른 차륜에 대해서 공통 사용화, 즉 휀다로서의 범용성을 갖게 함으로써, 생산능률을 높이고, 제조코스트를 저렴화시키고, 또한 제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취부용이로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휀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고안은 차륜을 보지하는 호크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전방측 흙받이편부와 호크의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후방측 흙받이편부를 갖는 자전거용 휀터에 있어서, 전반측 흙받이편부와 후방측 흙받이편부의 상호간부분에는, 그 상부에 자전거프레임 또는 호크에 대한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폭 방향으로는 돌출하여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하는 위치결정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측 흙받이편부 또는 후방측 흙받이편부중 어느 하나를 두 가닥의 호크 사이에 끼워지는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두가닥의 호크사이에 끼워지지 않는 폭이 넓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방측 흙받이편부와 후방측 흙받이편부의 상호간에 폭 방향의 단차부를 형성시켜, 그 단차부를 위치결정 돌출부로 하여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결정돌출부를 단차부로 하여 구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위치결정돌출부보다 폭이 넓은 쪽에 위치하는 흙받이편부의 상부에 전기 고정부가 배치되고, 그 고정부에는 자전거프레임 또는 호크에 구비된 휀다걸이부를 향해서 돌출하는 연결편이 설치되고, 그 연결편이 위치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킨때에도 휀다 걸이부의 기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형성되도록 위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 결정돌출부를 단차부로하여 구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위치결졍돌출부보다 폭이 좁은 쪽에 위치하는 흙받이편부의 상부에 전기 고정부가 배치되고, 그 고정부가 위치 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킨때에 호크상호간 또는 호크를 빠져나간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휀다(전륜용)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휀다를 전륜 및 후륜에 대해서 실시한 어린이용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전방측 휀다의 사시도.
제5도는 전방측 휀다의 취부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
제6도는 후방측 휀다의 취부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전거 2 : 전륜
3 : 후륜 4 : 전방측휀다
5 : 후방측휀다 6 : 프론트 호크(front hawk)
7 : 전방측 흙받이편부 8 : 후방측 흙받이편부
10 : 위치결정돌출부 11 : 고정부(전방측 휀다용)
14 : 연결편 21 : 브레이크장치의 취부볼트(휀다걸이구)
본 고안에 따른 휀다는, 위치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킨 상태로 하면서, 고정부를 자전거 프레임 또는 호크에 대해서 취부하는 것만으로, 흔들림 없는 상태에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흙받이편부 중 어느 하나를 작은 지름의 차륜(호크간격이 좁다)을 갖는 자전거에 대응한 폭이 좁은 것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큰 지름의 차륜(호크간격이 넓다)를 갖는 자전거에 대응한 폭이 넓은 것으로 하는 것으로서, 양자간에 단자형상의 위치결정돌출부를 형성시키면, 어떠한 크기의 자전거에 대해서도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대해서 당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차부 형상의 위치결정돌기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켜도 자전거프레임 또는 호크에 설치되는 휀다걸이구의 기부에 대하여 연결편을 휀다걸이구의 기부에 대하여 연결편이 당접되지 않도록(약간의 극간이 형성된다)해 놓으면 그 연결편을 휀다 걸이구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당해 연결편에 위치결정돌기의 호크에의 당접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보지력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를 자전거에 대하여 직접적으로(연결편을 이용하지 않고) 취부 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어린이용 자전거(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전륜(2) 및 후륜(3)에 대하여 본 고안의 휀다(4)(5)를 실시 하고 있다. 제3도는 그 중 전방측의 휀다(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4도는 후방측의 휀다(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후의 휀다(4)(5)는 그들 세부구조나 크기 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구성은 대략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전방측의 휀다(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휀다(4)는 전륜(2)을 보지하는 2가닥 형상의 프론트호크(6)에 대한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프론트호크(6)의 전방측(제1도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된 후방측 흙받이편부(7)와 프론트호크(6)의 후방측(제1도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된 후방측 흙받이편부(8)을 갖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흙받이편부(7)(8)은 모두 정면 단면 형상이 역U형(제3도 참조)을 하고 있고, 전체적인 측면형상은 전륜(2)의 외주부에 따른 원호형상(제5도 참조)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전방측 흙받이편부(7)는 폭이 좁고, 후방측 흙받이편부(8)는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양자간에는 폭방향의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단차부는, 프론트호크(6)의 후면(제 1 도 좌측)에 당접하기 위한 위치결정돌출부(10)로 되어 있다.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결정돌출부(10)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장방형보스형상을 한 고정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11)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12)과 슬릿트형상의 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11)에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측으로부터 L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연결편(14)이 그 기립부(14a)를 슬릿트형상의 개구(13)로 삽통시키는 상태로 끼워들어가서, 통공(12)을 이용하여 리벳 또는 나사조임에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연결편(14)의 기립부(14a)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공(15)은, 프론트호크(6)의 전면측상부에 취부되는 브레이크장치(20)(제 2 도 참조) 등의 취부볼트(21)에 결합공(15)을 끼워서 너트(22)를 나합시키는 것으로, 프론트호크(6)에 대한 휀다(4)의 취부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때의 취부볼트(21) 및 너트(22)가 휀다걸이구로서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1)의 슬릿트형상개구(13)는, 위치결정돌출부(10)가 면방향위치보다 G크기(약 1㎜)정도 후방근처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휀다(4)를, 그 위치결정돌출부(10)가 프론트호크(6)의 후면에 당접하는 상태에서 소정높이로 보지시킨 경우 연결편(14)의 기립부(14a)와 휀다걸이구(21)의 기부(제5도에서는 프론트호크(6)의 후면과 동일면으로 했다.)의 사이에는 G크기만큼의 극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휀다걸이구(21)에 너트(22)를 강하게 조여 넣음으로써, 연결편(14)(기립부(14a))에 대해서, 위치결정돌기(10)에 의한 프론트호크(6)에의 당접을 높이도록 탄성보지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휀다(4)를 프론트호크(6)에 대해서 강하게 취부시킬 수 있다.
전방측 흙받이편부(7)의 폭크기는, 프론트호크(6)의 상호간에 끼워지는 폭으로되어 있으나, 프론트호크(6)의 내부치수는 전륜(2)의 외경이 다른것마다, 즉 자전거(1)로서의 크기나 다른것마다 크기가 다르게 되어 있다(제1도에 있어서 6A는 최소폭의 프론트호크(6)를, 6B는 최대폭의 프론트호크(6)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방측 흙받이편부(7)는, 취부대상으로 하는 것 중에서 최소로 되는 크기(예를 들면 12인치형)의 자전거(1)를 기준으로 하여, 당해 자전거(1)가 갖는 프론트호크(6)(6A)의 내부크기에 끼워지는 크기로 되어 있다.
구체적인 수치를 들면, 프론트호크(6)상호간에 있어서 휀다(4)를 보지하는 높이 영역(제5도의 h)중 최하부는, 최소(6A)내부치수가 53㎜이므로, 휀다(4)에 있어서의 전방측 흙받이편부(7)의 하단부 최대폭W1을 55㎜로 하였다. 또한 휀다(4)에서 그 하단부에서 폭방향을 좁히는 방향으로 다소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그 하단부 최대폭이 프론트호크(6)의 최소폭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도 끼움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프론트호크(6)의 상호간이 넓을 경우, 즉 전륜(2)의 폭이 넓은 것이 적용한 경우에도 충족한 흙받이 기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폭치수는, 프론트호크(6)의 상호간에는 끼워지지 않는 폭, 즉 취부대상으로 하는 것 중에서 최대로 되는 크기(예를 들면 26인치형)의 자전거(1)가 갖는 프론트호크(6)(6B)의 내부치수보다 크게하는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인 치수를 들면, 프론트호크(6)상호간에 있어서 휀다(4)를 보지하는 높이영역(제5도의 h)중의 최하부는, 최대(6B)치수가 61㎜이므로, 휀다(4)에서의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하단부 최대폭 W2을 88㎜로 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의 휀다(5)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의 휀다(4)와 구성상 가장 다른 것은 고정부(30)가 전방측 흙받이편부(7)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고정부(3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호크(rear hawk) (32)에는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호간을 걸치도록하여 볼트받이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34는 용착된 너트부이다. 이와 같은 볼트받이부재(33)에 대하여, 휀다(5)를, 그 위치결정돌출부(10)가 리어호크(32)의 후면에 당접하는 상태로 소정높이로 보지시키면, 상기 통공(31)이 너트부(34)와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휀다(5)의 하측으로부터 너트부(34)에 볼트부(35)를 나합하는 것으로, 휀다(5)를 취부할 수 있다.
이 후방측의 휀다(5)에 있어서도, 리어호크(32)의 경사에 의해 휀다(5)자체가 앞으로 경사한 자세로 보지되어 있으므로, 그 자중이 위치결정돌출부(10)를 리어호크(32)에 당접시키는 작용을 백업(back up)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볼트받이부재(33)에는 너트부(34)가 리어호크(32)보다 전방측으로 돌출한 구조의 것이나, 볼트받이부재(33)자체가 자전거프레임(37)(제 2 도 참조)에 설치된 것과 같은 것도 있고, 이들에 따라서 고정부(30)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도록 한다.
이 휀다(5)에 관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들면, 리어호크(32)상호간에 있어서 휀다(5)를 보지하는 높이영역(제5도의 h참조)중의 최하부는, 최소 내부치수가 71㎜이므로, 휀다(5)에서의 전방측 흙받이편부(7)의 하단부 최대폭(제 1 도의 W1참조)을 68㎜로 했다. 또한, 최대 내부치수가 86㎜이므로, 휀다(5)에서의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하단부 최대폭(제 1 도의 W2참조)를 115㎜로 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휀다(4)(5)의 형성재료는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고, 수지재료라도 금속재라도 좋다.
각 휀다(4)(5)는, 전방측 흙받이편부(7)를 폭이 크게하고, 후방측 흙받이편부(8)를 폭이 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방측 흙받이편부(7)와 후방측 흙받이편부(8)를 좁은 호크간격에 맞춰 동일한 폭으로 해 놓고, 그들의 측부에 돌기형상의 위치결정 돌출부(1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방측의 휀다(4)를 제6도에 도시한 구조(고정부 30참조)에서 취부하는 것이나, 후방측의 휀다(5)를 제 5 도에 도시하는 구조(고정부 11참조)로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어린이용 자전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에 어떠한 형태의 자전거에도 실시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술의 구성을 구비한 것이므로 위치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킨 상태로 하면서, 고정부를 자전거프레임 또는 호크에 대하여 취부하는 것만으로, 흔들림 없는 상태에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륜의 외경에 따라서 치수나 구조 등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취부기구(차륜의 회전중심과 휀다를 연결하는 금속선재등)은 불필요하다.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흙받이편부중 어느 하나를, 작은 지름의 차륜(호크간격이 좁다)를 갖는 자전거에 대응한 폭이 좁은 것으로 하고, 다른 것을 큰지름의 차륜(호크간격이 넓다)을 갖는 자전거에 대응한 폭이 넓은 것으로 함으로써, 양자간에 단차형상의 위치결정돌출부를 형성시키면 모든 크기의 자전거에 대해서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를 호크의 후면 또는 전면에 대하여 당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것에 의해서, 휀다로서 차륜의 외경이 다른 자전거에도 공통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전후의 휀다에서 공통화를 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 생산능률이 향상되고 제조코스트를 저렴화시키며, 또한 제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결편에 탄성보지력을 적용시킨 상태에서, 휀다를 자전거(휀다걸이부)에 취부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휀다의 취부상태를 확실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주행진동 등에 의해서 취부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나사의 이완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휀다를 그 고정부에서 직접적으로 자전거(호크의 설치한 나사받이부재등)에 취부하도록하면 확실하고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륜(2,3)을 보지하는 호크(6,32)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전방측 흙받이편부(7)와, 호크(6, 32)의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후방측 흙받이편부(8)를 갖는 자전거용 휀다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흙받이편부(7)와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사이의 부분에 그 상부에 호크(6,32)에 대한 고정부(1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방측 흙받이편부(7) 또는 후방측 흙받이편부(8) 중 어느 하나를 두 가닥의 호크(6,32) 사이에 끼워지는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두 가닥의 호크(6,32)사이에 끼워지지 않는 폭이 넓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 전방측 흙받이편부(7)와 후방측 흙받이편부(8)의 상호간에 폭방향의 단차부를 형성시켜 이 단차부를 호크(6,32)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하는 위치결정돌출부(1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휀다.
  2. 제1항에 있어서, 단차형상의 위치결정돌출부(10)보다 폭이 넓은 쪽의 흙받이편부(8)의 상부에 고정부(11)가 배치되고, 이 고정부(11)에는 자전거프레임(37) 또는 호크의(6)에 구비된 휀다걸이구(21)를 향하여 돌출한 연결편(14)이 설치되고, 이 연결편(14)이, 위치결정돌출부(10)를 호크(6)의 후면 또는 전면으로 당접시킨때에도 휀다걸이구(21)의 기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형성되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휀다.
  3. 제1항에 있어서, 단차형상의 위치결정돌출부(10)보다 폭이 좁은 쪽의 흙받이편부(7)의 상부에 전기 고정부(30)가 배치되고, 이 고정부(30)가 위치 결정돌출부(10)를 호크(32)의 후면 또는 전면에 당접시킨 때에 호크(32)상호간 또는 호크(32)를 빠져나간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휀다.
KR2019950004826U 1994-03-25 1995-03-18 자전거용 휀다 KR011666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4002778U JP3002993U (ja) 1994-03-25 1994-03-25 自転車用フェンダ
JP94-2778 199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42U KR950027342U (ko) 1995-10-18
KR0116665Y1 true KR0116665Y1 (ko) 1998-04-24

Family

ID=431389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826U KR0116665Y1 (ko) 1994-03-25 1995-03-18 자전거용 휀다
KR2019950005029U KR0116666Y1 (ko) 1994-03-25 1995-03-21 자전거용 휀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029U KR0116666Y1 (ko) 1994-03-25 1995-03-21 자전거용 휀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02993U (ko)
KR (2) KR01166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341U (ko) 1995-10-18
KR0116666Y1 (ko) 1998-04-24
JP3002993U (ja) 1994-10-11
KR950027342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1179A (en) Bar steps for a small-sized vehicle
KR0116665Y1 (ko) 자전거용 휀다
KR0165910B1 (ko) 스쿠터형 차량의 프레임카바 구조
JP2717061B2 (ja) 自転車用フェンダ
JPH0529991Y2 (ko)
JPH069918Y2 (ja) 車両のモール取付け構造
JP2725412B2 (ja) フロントバンパの取付構造
JP3018124U (ja) 自転車用泥除け装置
JPH0732356Y2 (ja) フロントバランス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9668U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
KR100570396B1 (ko)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JPH05193549A (ja) オートバイのチエンガイド
JPS604855Y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ハンドルカバ−の取付構造
US2277666A (en) Splash guard
JP4126425B2 (ja) 自転車錠の取付け金具
KR011705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마운팅 구조
JPH0748921Y2 (ja) ワイヤー錠用取付具
JPH07102830B2 (ja) スクーター型車両
JPS5835593Y2 (ja) 二輪車のゼツケンプレ−ト取付装置
JPS5934736Y2 (ja) 取付用ボルトの固定構造
JP2717070B2 (ja) 自転車用前輪泥除け装置
JP3018126U (ja) 自転車用泥除け装置
JPH0127998Y2 (ko)
KR0118984Y1 (ko) 자동차의 펜더결합구조
KR100216703B1 (ko) 범퍼의 사이드부 취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