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749Y1 -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 Google Patents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749Y1
KR0115749Y1 KR2019940007475U KR19940007475U KR0115749Y1 KR 0115749 Y1 KR0115749 Y1 KR 0115749Y1 KR 2019940007475 U KR2019940007475 U KR 2019940007475U KR 19940007475 U KR19940007475 U KR 19940007475U KR 0115749 Y1 KR0115749 Y1 KR 0115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eiling plate
fastening
fixing bracke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591U (ko
Inventor
김돈구
Original Assignee
김돈구
주식회사 한양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돈구, 주식회사 한양건재 filed Critical 김돈구
Priority to KR2019940007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749Y1/ko
Publication of KR95003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판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사용하는 천정판지지용 모울드를 제공함에 있다. 천정판지지수단을 벽면에 직접 고착되는 격자상의 고정브래킷과, 그 고정브래킷에 착탈가능케 체결되며 어느 일측에는 천정판지지용 지지부를 갖는 모울드본체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벽면미장공사전에도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부착작업을 자유로히 시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기단축과 아울러 타공정과 병행하면서도 실시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제1도는 본 고안 천정판지지용 몰드가 실시되는 경우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전후 방향 길이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I-I 선 방향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천정판 지지용 몰드의 좌우방향 길이조절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제4도는 종래 천정판지지용 몰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몰드본체 21 : 체결부
22 : 부착부 24 : 재치면
25 : 요돌조 26 : 체결홈
27a,27b : 지지턱부 28 : 수직면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판을 견고하게 지지토록 함에 사용하는 천정판지지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몰드의 부착구조를 개량한 것에 의해, 몰드의 전후 방향 조절은 물론 좌우 길이방향 조절이 용이하게 된 천정판지지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과 같은 건물에 천정판을 부착함에는 그 천정판이 천정부에 이탈됨 없이 견고히 설치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알루미늄재질로 형성한 몰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예를 첨부 도면 제4도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면에 따른 종래 몰드조립구조는 고정공(13)을 형성하는 측판부와, 하방으로 절곡되어 평면을 이루면서 체결공(16)을 형성한 평판부(12)를 구비한 고정브래킷(10)과, 상기 체결공(16)에 맞추어지는 체결공(부호생략)을 천공하여 전후방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저면에 걸림턱(32)을 형성한 몰딩캐처(30)와, 상기 몰딩캐처(30)의 걸림턱(32)에 걸리는 지지턱(42)을 형성하면서 수평상의 지지판(44)을 형성한 몰딩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몰딩조립체(몰딩캐처(30)와 몰딩부재(40)를 통틀어 명칭함)를 걸림상태로 조립한 뒤 상기한 브래킷(10)에 체결하여 설치하므로 설치후 몰딩조립체는 체결공(16)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간격 조절이 되고 좌우로는 걸림상태로 걸린 하부 몰딩부재(40)를 밀어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몰딩조립체 전체의 좌우방향의 폭 조절은 불가능하고, 단지 별도 분리된 몰딩부재를 좌우로 당겨주어 조절할 수 있으나, 걸림상태에서 하부 몰딩부재만이 이동되므로 고정상태의 결착력 약화는 물론 상부 몰딩 캐처(30)와의 좌우 폭이 불일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또한, 이와 같은 몰딩조립체는 몰딩캐처(30)와 몰딩부재(40)를 분리하여 제작한 뒤 조립식으로 설치하므로 분리 제작함에 따른 부품수 증가로 인해 제작단가의 상승원인이 되며,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조립공정이 많아지는 단점도 있다.
특히, 몰딩조립체의 몰딩캐처(30)와 브래킷(10)간의 높이조절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다만, 몰딩부재를 체결할 때 체결정도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수직 방향의 체결상태가 불량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고정브래킷에 체결되는 몰딩조립체를 하나의 몰드본체로 제작됨이 요구되고 동시에 상기와 같이 체결시에 좌우 폭 조절에 문제가 없으면서 몰드본체의 상하높이 조절에도 문제가 없는 일체형 몰드본체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종래 인용고안이 조립으로 이루어지던 몰드조립체를 하나의 몰드본체로 하고자 하며, 둘째, 종래 인용고안이 브래킷과의 체결시 몰드본체가 좌우폭 조절이 불가능하던 점을 개선하고자 하며, 특히, 인용고안의 하부 몰딩부재로서는 좌우 조절이 가능은 하지만 조절후 상부 캐쳐와의 불일치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이를 나사 등으로 체결할 수 없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좌우 유동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된 체결홈내의 요돌조에 나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셋째, 종래 브래킷 저면과 몰드본체 상면이 면대면의 접촉상태를 이루어 나사 체결시 텐션을 줄 수 있게 브래킷 저면을 띄울 수 있도록 체결부 양측을 돌출연부를 형성하도록 하고자 하며, 넷째, 종래 인용고안으로도 상하 높이 조절은 가능하였으나, 높이 조절후 나사가 풀려 있어 설치시공시 상하유동되거나 풀릴 염려가 있었으므로, 이를 몰드본체에 길게 형성된 요돌조 폭이 깊게 하여 나사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전후방으로 길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되는 천정판 지지용 몰딩부재에 있어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내벽면에 수개의 요돌조를 형성한 체결홈과, 이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부에 절곡돌출된 지지턱부를 구비한 고정브래킷 부착면; 및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일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수평연장된 천정판 지지용 재치면을 포함하여 상기 부착면과 재치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으며, 이로 인해 천정판 지지용 몰드가 전후간격조절은 물론 좌우 폭 조절 및 체결상태의 높이 조절이 안정적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제1도는 본 고안 천정판지지용 몰드(20)가 고정브래킷(10)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벽면부(W)의 천장판(P)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면서 어느 일측 부위가 벽면부(W)에 밀접되는 상태를 이루는 고정브래킷(10)에 착탈가능케 체결되어 천정판을 재치하기 위한 몰드본체(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브래킷(10)은 종래 공지된 브래킷이고 본 고안은 이 브래킷에 체결되는 몰드 본체(20)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공지된 고정 브래킷(10)은 벽면부(W)에 고정하기 쉽도록 소정넓이를 이루는 고정측판부(11)와, 그 측판부(11)로부터 일체로 직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고정평판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부(11)에는 고정공(13)이 천설되는 반면, 평판부(12)에는 나사(14) 체결공(16)이 설치된다. 체결공(16)은 평판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몰드본체(20)는 첨부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크게 부착면(22)과, 이 부착면(22)에서 연정된 수직면(28)과, 이 수직면(28)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재치면(24)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면(22)은 일정높이를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서로 대응하는 체결홈(26)을 형성하면서 돌출된 체결부(21)를 형성한다. 이 체결부(21)의 상단연부에는 지지턱부(27a,27b)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브래킷(10)의 저면에 접촉하고, 특히, 상기 체결홈(26)에는 내벽면으로 횡 방향으로 요돌조(25)를 형성하여 나사(14)와의 체결시 나사맞춤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재치면(24)은 상기 부착면(22)으로부터 수직면(28)을 따라 직하방으로 연결되어 수평 연장된다. 이 재치면(24)에는 천정판(P)이 재치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첨부 도면 제2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부착면(22)이 고정브래킷(10)의 고정평판부(12)의 저면부에 그 중앙을 대응시켜 체결부(21)의 상단 지지턱부(27a,27b)를 접촉시키면서 체결공(16)을 통하여 체결홈(26)의 내면측 요돌조(25)에 나사(14)가 맞추어지게 체결됨에 의해 몰드본체(20)가 고정브래킷(10)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21)의 양측은 이 체결부(21)와 일체로 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기립된 지지턱부(27a,27b)를 형성하여 고정브래킷(10)에 균형있게 지지된다. 이것은 종래 판대판의 체결상태보다 체결정도가 개선되며 그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 제3도에 의하면 본 고안 몰드본체(20)는 그 길이방향으로 좌우 폭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것은 몰드본체(20)를 상기와 같이 고정브래킷(10)에 체결하면서 몰드본체(20)의 전후진 간격을 체결공(16)의 장공을 따라 조절가능한 것과 무관하다.
즉, 몰드본체(20)의 전후진은 체결공(16)에 체결된 나사(14)를 풀어 앞뒤로 조정한 뒤 조이면 되지만 좌우 폭을 맞추는 경우에는 몰드본체(20)의 체결홈(26) 내벽면 요돌조(25)에 나사로 맞추어진 나사(16)을 풀어낸 뒤 몰드본체(20)를 제3도 도면의 점선과 같이 좌우로 조절한 뒤 다시 체결하므로서 좌우폭을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이중조립식 몰드가 하부 몰드부재로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체결수단이 없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 몰드본체(20)는 몰드본체(20)의 체결부(21)의 어느 일측 부위를 벽면부(W)에 미장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벽면부(W)로부터 일정간극(d)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토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d)부위만큼 벽면부(W)에는 미장부(S)가 형성된다. 이 간극(d)은 시공할 미장부(S)의 두께에 대응하여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간극(d)의 형성은 장공으로 된 체결공(16)을 따라 그 몰드본체(2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나사(14)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이에 의해 상기 간극(d)의 넓이가 조절된다.
몰드본체(20)의 부착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천정벽마감용 천정판재(P)를 재치면(24)에 걸리는 상태로 재치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 몰드본체(2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몰드본체(20)가 고정브래킷(10)에 체결된 나사(14)를 해체함에 의해 몰드본체(20)를 고정브래킷(10)으로부터 손상됨 없이 떼어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천정판지지용 몰드를 알려진 고정브래킷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치되며, 설치후에는 전후 방향은 물론 좌우 폭조절이 가능하며, 그 설치구조를 2개 일조로 하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서 일체화하므로서 종래 2개 일조의 몰드조립체에 비하여 좌우폭 조절시 견고성이 향상되면서도 구조의 간단화를 이룩하며, 종래에는 고정브래킷과 몰드조립체 상면이 면대면으로 체결되어 체결시 텐션을 줄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은 고정브래킷의 저면을 지지턱부로서 받치도록 하므로 나사 체결시 몰드본체의 상면이 텐션을 갖고 견고하게 체결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전후방으로 길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되는 천정판 지지용 몰딩부재에 있어서,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내벽면 수개의 요돌조를 형성한 체결홈과, 이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부에 절곡돌출된 지지턱부를 구비한 고정브래킷 부착면; 및 상기 부착면으로부터 일단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수평연장된 천정판 지지용 재치면을 포함하여, 상기 부착면과 재치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판지지용 몰드.
KR2019940007475U 1994-04-11 1994-04-11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KR0115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75U KR0115749Y1 (ko) 1994-04-11 1994-04-11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475U KR0115749Y1 (ko) 1994-04-11 1994-04-11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91U KR950030591U (ko) 1995-11-20
KR0115749Y1 true KR0115749Y1 (ko) 1998-04-22

Family

ID=1938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475U KR0115749Y1 (ko) 1994-04-11 1994-04-11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7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91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8384A (en) Mounting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front-end component made of plastics
US5158392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panel assemblies on a building
US8727582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with alignment enhancements and methods for mounting same
KR20160120392A (ko) 루프랙 구조
KR0115749Y1 (ko)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KR101701557B1 (ko) 차량용 루프랙
KR100194974B1 (ko) 칸막이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00509561A (ja) 組付けレールを有する組付けユニット
KR200165605Y1 (ko) 칸막이 받침구
JP4406207B2 (ja) 間仕切りパネル
JP6983702B2 (ja) ルーフレール固定構造
KR900008942Y1 (ko) 건축용 칸막이의 수평조절 장치
JPS6233918Y2 (ko)
JPS6020761Y2 (ja) 塀用笠木
JP4271784B2 (ja) 作業台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S6134421Y2 (ko)
JP2844801B2 (ja) バンパの取付部構造
JPS5831944Y2 (ja) 手摺
JP3520437B2 (ja) 雨樋支持具及びそのセット並びに雨樋支持具と軒先化粧板との取付構造
KR20020079129A (ko) 칸막이의 연결장치
JP2898925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ハンガーレール取付け構造
JP6737079B2 (ja) フックの取付構造
JPH0813662A (ja) 間仕切
JPS6033206Y2 (ja) 型材の取付装置
KR200172605Y1 (ko) 칸막이의 하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