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557B1 - 차량용 루프랙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557B1
KR101701557B1 KR1020130125085A KR20130125085A KR101701557B1 KR 101701557 B1 KR101701557 B1 KR 101701557B1 KR 1020130125085 A KR1020130125085 A KR 1020130125085A KR 20130125085 A KR20130125085 A KR 20130125085A KR 101701557 B1 KR101701557 B1 KR 10170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pad
hole
engag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617A (ko
Inventor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2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5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텐션; 및 상기 스텐션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랙{ROOF 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원가 절감을 이루고, 조립 및 생산 측면에서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루프랙은 크게 그 지지 구조에 따라 스텐션 부분이 루프에 안착되고 레일이 일정의 갭을 이루어 부상되는 부분 매칭 타입과, 스텐션 및 사이드 바의 전면이 루프 판넬 상에 안착되는 전면 매칭 타입으로 구분된다.
통상, 부분 매칭 타입의 경우, 스텐션의 하단에 부착되는 패드가 루프 몰딩 지지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면 매칭 타입의 경우, 루프 몰딩 영역이 외부로부터 커버됨으로 인해, 원가 절감의 목적으로 일부분 또는 전 구간에서 루프 몰딩 지지 구조를 생략한다.
또한, 스텐션은 그 하단에 패드가 설치되고 이 패드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스텐션과 상기 패드를 다수의 스냅 피트(snap fit)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특히, 전면 매칭 타입에서 루프 몰딩 구조가 생랙되는 경우, 스텐션은 패드와의 별도의 지지 구성이 없기 때문에, 스텐션 또는 패드 자체에 변형이 발생되면, 스텐션은 측방 또는 전방으로의 돌출이 발생되고, 패드는 하방으로 처지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7320호(2010.05.03)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용 루프랙 조립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션과 패드와의 걸림 결합 구조를 형성과 아울러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패드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텐션, 패드 및 커버를 포함하는 루프랙 구조물의 조립 방식을 단순화하여 조립 및 생산 측면에서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텐션; 및 상기 스텐션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랙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부는, 상단에 상기 스텐션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판상의 패드부 몸체와, 상기 패드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패드부 몸체의 선단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선단 걸림부와,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단과 상기 스텐션의 측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측단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선단부에서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장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상기 걸림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를 따라 직교되어 벤딩된다.
여기서, 벤딩되는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은 상기 패드부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홀의 주변 영역에 걸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단 결합부는, 상기 스텐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홀과,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결합홀의 상단 주변 영역에 걸치도록 형성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스텐션의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지는 단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분은 절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절개 공간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측단 결합부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홀과, 상기 스텐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결합홀의 하단 주변 영역에 걸치도록 형성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텐션의 하단에는, 상기 차량의 루프에 지지되는 폼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 몸체에는, 상기 폼이 관통되는 폼 지지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 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물이 형성되고,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상기 지지 돌기물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패드부 몸체에 형성되는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스텐션과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텐션과 패드부와의 걸림 결합 구조를 형성과 아울러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패드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션, 패드 및 커버를 포함하는 루프랙 구조물의 조립 방식을 단순화하여 조립 및 생산 측면에서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션과 패드부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브라켓의 설치 과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션과 패드부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정 브라켓의 설치 과정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은 크게, 패드부(100)와, 스텐션(200)과, 커버부(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루프랙은 차량(1)의 루프에 설치된다.
상기 패드부(100)는 러버의 재질로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이루며 일정 두께의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10)의 상면부에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11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 영역(111)은 상기 스텐션(200)이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패드부(100)는 패드부 몸체(110)와, 연장 몸체(120)와, 선단 걸림부(130)와, 측단 결합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부 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착 영역(111)이 상면부에 형성되고,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몸체(120)는 상기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에 형성되며, 하방을 따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 몸체(120)는 실질적으로 차량(1)의 루프에 형성되는 곡면 부분에 밀착되어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 걸림부(130)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에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단 걸림부(130)는 상기 패드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장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홀(1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홀(131)에는 후술되는 스텐션(200)의 선단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텐션(200)의 선단 일부분의 구성은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 몸체(110)의 측단에는 측단 결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단 결합부(140)는 측단 결합부(140)는 다수의 결합 부재(141)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결합 부재(141)는 패드부 몸체(110)의 측단에서 패드부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 결합 부재(141)는 패드부 몸체(110)의 측단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방으로 벤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결합 부재(141)의 단부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결합 부재(141)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일정 폭의 절개 공간(141a)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단 결합부는 다수의 결합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드부 몸체(110)의 안착 영역(111)에는 스텐션(200)이 안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스텐션(200)은 안착 영역(111)에 안착 배치되도록 일정 길이의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텐션(200)의 선단부 하단에는 돌출되는 걸림 부재(21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 부재(210)의 일단은 스텐션(200)의 선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을 따라 연장되며, 직각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부재(210)는 상술한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홀(131)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걸림 부재(210)의 타단은 걸림홀(131)에 끼워지면서 패드부 몸체(110)의 하단에서 걸림홀(131) 주변 영역에 걸리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텐션(200)의 측단에는 스텐션(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홀(230)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결합홀(230)에는 상술한 결합 부재(141)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결합홀들(230)은 각 형성 위치에서 일부분이 하방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231)에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31)는 상기 패드부 몸체(110)에 형성되는 절개 공간(141a)에 끼워져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텐션(200)의 측단에는 스텐션(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 부재들(2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부재들(240)은 상술한 패드부 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홀들(142)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텐션(200)의 하단에는 폼(150)이 형성되고, 상기 폼(150)은 패드부 몸체(110)에 형성되는 폼 지지홀(15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텐션(200)의 상단에는 커버부(300)가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물(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 하단에는 고정 브라켓(40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400)에는 상기 지지 돌기물(220)이 관통하여 지지되는 지지 돌기물 고정홀(4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0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420)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420)에는 볼트(B)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텐션(200)의 하단 일정 위치에는 체결홀(25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250)은 패드부 몸체(110)에 형성되는 노출홀(112)을 통해 하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420)에 체결되어 관통한 볼트(B)는 상기 체결홀(250)에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400)은 스텐션(200)과 결합된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 하단에 결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루프랙의 조립 과정을 통한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1)의 루프 상에는 패드부(100)가 배치되고, 상기 패드부(100)의 상단부에는 스텐션(200)이 결합되며, 상기 스텐션(200)에는 커버부(3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스텐션(200) 선단부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부재(210)는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홀(131)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스텐션(200)의 선단부는 걸림 부재(210)가 걸림홀(131)에 끼워져 걸림 부재(210)의 타단이 패드부 몸체(110)의 하단에서 걸림홀(131)의 주변 영역에 걸쳐 고정되기 때문에, 전방측에서 스텐션(200)이 들뜨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텐션(200)의 측단 다수 위치는 패드부 몸체(110)의 측단 다수 위치에서 별도로 고정된다.
즉, 패드부 몸체(110)의 측단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 부재들(141)은 스텐션(200)에 형성되는 결합홀들(230)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고정력이 형성되는 방향은 상방을 따른다.
따라서, 스텐션(200)의 전방인 선단부에서는 패드부 몸체(110)와 걸림 부재(210) 및 걸림홀(131)을 통하여 결합되고, 스텐션(200)과 패드부(100)의 측단은 결합 부재들(141) 및 결합홀들(230)을 통해 결합되어, 패드부(100)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전방으로 돌출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스텐션(200)의 선단부와 측단에서의 결합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스텐션(200)과 패드부(100)와의 결합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결합홀(230)은 스텐션(200)의 측단 일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231)에 형성되고, 단차부(231)는 패드부 몸체(110)에 형성되는 절개 공간(141a)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고정력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텐션(200)의 측단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 부재들(240)이 패드부 몸체(110)의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들(142)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텐션(200) 및 패드부(100)와의 측단에서 결합 방식을 결합 부재(141,240)의 끼움 방향을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고, 혼용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서로 결합되는 스텐션(200)과 패드부(100)에서, 패드부(100)의 측방으로의 돌출 및 패드부(100)의 하방으로의 처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된 스텐션(200)과 패드부(100)에서,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 하단에 고정 브라켓(40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400)은 스텐션(200)과 패드부(100)를 볼트(B)를 통해 보조적으로 더 결합시킴으로써, 부가 고정력을 더 형성함과 아울러, 고정 브라켓(400)의 형상이 연장 몸체(120)를 포함하는 패드부 몸체(110)의 선단부 하단 형상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패드부(100) 자체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역시, 패드부(100)의 하방으로의 처짐, 외측으로의 돌출을 규제함과 아울러, 시간 변수에 따르는 반영구적 형상 변형을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랙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차량 100 : 패드부
110 : 패드부 몸체 111 : 안착 영역
112 : 노출홀 120 : 연장 몸체
130 : 선단 걸림부 131 : 걸림홀
140 : 측단 결합부 141 : 결합 부재
141a : 절개 공간 142 : 결합홀
150 : 폼 151 : 폼 지지홀
200 : 스텐션 210 : 걸림 부재
220 : 지지 돌기물 300 : 커버부
400 : 고정 브라켓 410 : 지지 돌기물 고정홀

Claims (9)

  1. 차량의 루프에 배치되는 일정 길이의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텐션; 및
    상기 스텐션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는, 상단에 상기 스텐션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판상의 패드부 몸체와, 상기 패드부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몸체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패드부 몸체의 선단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선단 걸림부와,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단과 상기 스텐션의 측단을 서로 결합시키는 측단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 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물이 형성되고,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상기 지지 돌기물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이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패드부 몸체에 형성되는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스텐션과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걸림부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선단부에서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장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는,
    상기 걸림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 부재의 일단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텐션의 선단부를 따라 직교되어 벤딩되고,
    벤딩되는 상기 걸림 부재의 타단은 상기 패드부 몸체의 하단에서 상기 걸림홀의 주변 영역에 걸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션의 측단에는 상기 스텐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측단 결합부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결합홀의 상단 주변 영역에 걸치도록 형성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스텐션의 일부가 하방으로 단차지는 단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벤딩되는 부분은 절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절개 공간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 결합부는, 상기 패드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텐션의 측단에는 상기 스텐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결합홀에 끼워져 상기 결합홀의 하단 주변 영역에 걸치도록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션의 하단에는, 상기 차량의 루프에 지지되는 폼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 몸체에는, 상기 폼이 관통되는 폼 지지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랙.
  9. 삭제
KR1020130125085A 2013-10-21 2013-10-21 차량용 루프랙 KR10170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85A KR101701557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루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85A KR101701557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루프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7A KR20150045617A (ko) 2015-04-29
KR101701557B1 true KR101701557B1 (ko) 2017-02-01

Family

ID=5303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085A KR101701557B1 (ko) 2013-10-21 2013-10-21 차량용 루프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67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20200036784A (ko) * 2018-09-28 2020-04-07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20200074506A (ko) * 2018-12-17 2020-06-25 (주)엘지하우시스 루프 랙의 진동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 랙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881B1 (ko) * 2018-09-28 2021-07-01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294A (ja) * 1998-09-29 2000-04-11 Suzuki Motor Corp ルーフレールのクッション部材取付構造
JP2009298230A (ja) * 2008-06-11 2009-12-24 Faltec Co Ltd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4396B1 (en) * 2002-07-18 2007-04-17 Sportrack Automotive One-piece support with integrated rail attachment mechanism and interchangeable outer c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294A (ja) * 1998-09-29 2000-04-11 Suzuki Motor Corp ルーフレールのクッション部材取付構造
JP2009298230A (ja) * 2008-06-11 2009-12-24 Faltec Co Ltd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7767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20200036784A (ko) * 2018-09-28 2020-04-07 (주)엘지하우시스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102462010B1 (ko) * 2018-09-28 2022-11-03 (주)엘엑스하우시스 루프랙 및 루프랙 제조 방법
KR20200074506A (ko) * 2018-12-17 2020-06-25 (주)엘지하우시스 루프 랙의 진동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 랙의 제조방법
KR102266115B1 (ko) 2018-12-17 2021-06-17 (주)엘지하우시스 루프 랙의 진동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프 랙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7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557B1 (ko) 차량용 루프랙
KR101632047B1 (ko) 보상 위치 루프 디치 몰딩 리테이너
US9669778B2 (en) Clamping member
JP5564576B2 (ja) 車体構造
KR101391230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2014007720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홀더 및, 그에 대응하는 헤드라이트
KR101370228B1 (ko) 장착구조 및 장착구
KR20170044572A (ko) 패널의 장착 시스템 및 이 장착 시스템의 클립
JP6805591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101800236B1 (ko) 기둥 패널 어셈블리
KR102090128B1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CN104210435B (zh) 一种用于转向柱罩的间隙遮盖装置
KR200482535Y1 (ko) 차랑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CN105857210B (zh) 一种用于车辆的后备箱盖的饰条的辅助支承装置
KR101727648B1 (ko) 파티션 지지용 안전각
KR100925583B1 (ko) 개방 가능한 차량 루프의 루프 프레임
JP6457174B2 (ja) 壁材留具
KR20190001754U (ko) 네비게이션 매립장치
JP6384902B2 (ja) 便器設備
KR10057806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결합구조
JP5680774B1 (ja) 軒樋支持具
KR200420674Y1 (ko) 조립식 앵글 흔들림 방지구 보강구조
KR20110011556U (ko) 내비게이션 고정구
JP5046624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け構造
KR0115749Y1 (ko) 천정판지지용 모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