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807Y1 -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807Y1
KR0113807Y1 KR2019930025695U KR930025695U KR0113807Y1 KR 0113807 Y1 KR0113807 Y1 KR 0113807Y1 KR 2019930025695 U KR2019930025695 U KR 2019930025695U KR 930025695 U KR930025695 U KR 930025695U KR 0113807 Y1 KR0113807 Y1 KR 0113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arm
bracket
plate
fixing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764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5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807Y1/ko
Publication of KR950013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65Attachments of sun visors to mounting means including details of sun visor bearing member regulating the rotational friction on the support arm
    • B60J3/0273Attachments of sun visors to mounting means including details of sun visor bearing member regulating the rotational friction on the support arm on both end regions of sun vi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Abstract

본 고안은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륵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 바이저 본체의 내부에 매설된 프레임에 피봇 아암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피봇 아암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브래킷을 절단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한 공간부와 브래킷에 고정부를 협지고정하는 위치 고정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 고정부재는 1개의 탄성판을 구부려서 중앙에 절결부를 두고 양측 전후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홈을 설치하고 지지판의 반대측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틱을 설치하여 걸림턱을 걸림홈에 걸어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제4도(가)는 제3도의 B-B에선 단면도
제4도(나)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선 바이저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피봇 아암 7 : 위치 고정부재
11 : 절결부 12,12' : 지지판
l3,13' : 걸림홈 14,14' : 고정판
15,15' : 걸림턱
본 고안은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바이저 본체(1)의 내부에 프레임(2)을 매설하여 그 연결부에 피봇 아암(3)을 지지하는 브래킷(4)을 구성하고 상기 피봇 아암(3)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5)(5')가 위치되는 부분의 브래킷(3)을 절단하여 공간부(6)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6)와 상기 브래킷(3)에 고정부(5)(5')가 협지고정되는 위치 고정부재(7)를 설치하여 선 바이저 본체(1)가 임의의 각도로서 위치가 고정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위치 고정부재(7)는 탄성이 양호한 클램프(8)와 클램프(8)의 개구부(8')를 오무려서 클램프(8)를 고정부(5)(5')에 밀착시키는 클립(9)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치 고정부재(7)의 제조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클램프(8)의 양측을 오무리면서 클립(9)를 조립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그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한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 바이지 본체의 내부에 매설된 프레임에 피봇 아암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피봇 아암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브래킷을 절단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와 브래킷에 고정부를 협지고정하는 위치 고정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 고정부재는 1개의 탄성판을 구부려서 중앙에 절결부를 두고 양측 전후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홈을 설치하고 지지판의 반대측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턱을 설치하여 걸림턱을 걸림홈에 걸어서 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바이저 본체(1)의 내부에 매설된 프레임(2)에 피봇 아암(3)을 지지하는 브래킷(4)을 고정하고, 상기 피봇 아암(3)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5)(5')가 위치되는 부분의 브래깃(4)을 절단하여 공간부(6)를 형성하며, 상기한 공간부(6)와 브래킷(4)에 고정부(5)(5')를 협지고정하는 위치 고정부재(7)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 고정부재(7)는 스프링 강판 등으로 된 1개의 탄성판을 구부려서 중앙에 절결부(11)를 두고 양측 전후에 지지판(12)(12')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홈(13)(13')을 설치하고, 지지판(12)(12')의 반대측에 고정판(14)(14′)을 형성하여서 그 끝에 걸림턱(15)(15')을 설치하여 걸림턱(15)(15')을 걸림홈(l3)(13')에 걸어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피봇 아암(3)의 고정부(5)(5)가 위치 고정부재(7)의 지지판(12)(12')과 고정판(14)(14')에 협지고정되어 있어 전 바이저 본체(1)를 회전시키므로서 선 바이저 본체(1)가 임의의 각도로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인 바, 본 고안은 위치 고정부재를 1개의 탄성판으로 만들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중앙에 절결부를 두고 양측 전후에 지지판과 고정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홈과 걸림턱을 형성하였으므로 지지판과 고정판을 오무리면 쉽게 조립된다.
이때 지지판과 고정판은 종래의 클램프와 그 전체폭은 등일하므로 피봇 아암의 고정부의 지지 고정 기능은 동일하면서도 지지판과 고정판의 중앙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할된 지지판과 고정판의 폭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작아서 적은 힘으로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 바이지 본체의 내부에 매설된 프레임에 피봇 아암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피봇 아암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브래킷을 절단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한 공간부와 브래킷에 고정부를 협지고정하는 위치 고정부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 고정부재는 1개의 탄성판을 구부려서 중앙에 절결부를 두고 양측 전후에 지지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홈을 설치하고, 지지판의 반대측에 고정판을 형성하여 그 끝에 걸림턱을 설치하여 걸림턱을 걸림홈에 걸어서 된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KR2019930025695U 1993-11-30 1993-11-30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KR0113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695U KR0113807Y1 (ko) 1993-11-30 1993-11-30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695U KR0113807Y1 (ko) 1993-11-30 1993-11-30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764U KR950013764U (ko) 1995-06-16
KR0113807Y1 true KR0113807Y1 (ko) 1998-04-11

Family

ID=1936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695U KR0113807Y1 (ko) 1993-11-30 1993-11-30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062B1 (ko) * 2010-08-16 2013-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선바이저용 클램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062B1 (ko) * 2010-08-16 2013-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선바이저용 클램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764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5481B2 (ja) 車両の内部空間のための取付け部材
US6332806B1 (en) Fixing apparatus
JP3795197B2 (ja) 板材の取り付け具
JP3346315B2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
US5411310A (en) Outer support bracket for vehicle sun visor
JP2003011676A (ja) 自動車のドアウインドウガラスのための確保装置
JPH0715306Y2 (ja) 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US6830280B2 (en) Leaf spring visor detent assembly
CA1316730C (en) Mirror housing for a sunshade
JP2000064672A (ja) ドア用の乗物ドア開放ノブ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4623169A (en) Clamp
JPH11230135A (ja) 物品取付具
KR0113807Y1 (ko) 선 바이저의 피봇 아암 위치 고정장치
GB2034397A (en) Spring clips
JP3795705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ウインドパネル支持構造
JPH053656Y2 (ko)
JPH0445992Y2 (ko)
JPH0728284Y2 (ja) 竪樋取付金具
JPH0649928Y2 (ja) クリップ
JPS6340812Y2 (ko)
KR0123032Y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체결구조
KR19980036903U (ko) 자동차 연료휠러 및 트렁크리드의 케이블 지지구
JP2002289027A (ja) 埋込形照明器具とその取付具
JP4106745B2 (ja) 車装部材取付け用クリップ
JPS5941531Y2 (ja) 埋込開放形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