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361Y1 -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361Y1
KR0113361Y1 KR2019950014100U KR19950014100U KR0113361Y1 KR 0113361 Y1 KR0113361 Y1 KR 0113361Y1 KR 2019950014100 U KR2019950014100 U KR 2019950014100U KR 19950014100 U KR19950014100 U KR 19950014100U KR 0113361 Y1 KR0113361 Y1 KR 0113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lever
compression spring
hol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333U (ko
Inventor
서정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4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361Y1/ko
Publication of KR970001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벨트 앵커(10)에 연통형성한 제1고정공(11)과 제2고정공(12)에서 슬라이드 고정설치되며, 압축스프링(22)이 설치된 파지구(21)를 가진 레버(20)와; 상기 시트벨트 앵커(10)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압축스프링(22)을 지지하는 장착구(30)와; 상기 파지구(21)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2)의 압축에 의해 상기 레버(20)를 상기 제2고정공(12)으로 고정함으로써 시트벨트(50)를 압압고정시키는 시트벨트 누름구(40)로 된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시트벨트 착용시 착용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고, 이에 따라 시트벨트의 장기착용이 가능해짐으로 충돌시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시트벨트 가슴 압박 방지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 앵커의 설치상태 부분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벨트 앵커20 : 레버
21 : 파지구22 : 압축스프링
30 : 장착구40 : 시트벨트 누름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벨트 착용시 착용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시트벨트의 압박을 최소화하여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벨트는 자동차 주행중에 충돌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하는 것으로 그 지지점의 수에 따라 2점식, 3점식, 4점식이 있는데, 그 중 안전성 측면에서 3점식이 뛰어나 타방식에 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트벨트를 착용하면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40Km 정도 충돌시에도 인체의 손상을 최대로 저감시켜 주게 된다.
상기한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3점식 시트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과 어깨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lap)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shoulder)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점식 시트벨트, 따로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점식 시트벨트라고 부른다.
상기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시트벨트 리트렉터(retractor)내에 수회로 감겨진 시트벨트가 시트벨트 앵커(anchor)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후, 상기 시트벨트의 고정구(tank plate)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당긴다.
그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시트벨트에 설치된 고정구를 끼우게 되면, 숄더벨트는 탑승자의 어깨로 부터 대각선 방향의 허리쪽까지의 부위, 즉 가슴부위를 압압지지해 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랩벨트는 상기 시트벨트 앵커로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자동차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시트벨트가 탑승자가 가슴부위를 압박함에 따라 탑승자가 가슴에 압박감을 느끼며 장기 착용시에는 불편하여 시트벨트를 풀기 때문에 충돌시 사고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탑승자가 시트벨트 착용시, 가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적게하기 위하여 시트벨트를 물어 시트벨트 앵커에 걸리게 함으로써 시트벨트를 느슨하게 해주는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시트벨트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시트벨트 앵커에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시트벨트를 느슨하게 해줌으로써 가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시트벨트 착용시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벨트 앵커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을 가진 파지구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시트벨트 앵커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이탈방지 및 그 압축스프링의 지지용 장착구와; 상기 파지구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시트벨트를 압압고정하는 시트벨트 누름구로 된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가 설치된 시트벨트 앵커의 사시도와, 제2도의 시트벨트 앵커의 부분 측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벨트 앵커(10)에 연통형성한 제1고정공(11)과 제2고정공(12)에서 슬라이드식으로 고정설치되며, 압축스프링(22)이 설치되 파지구(21)를 가진 레버(20)와; 상기 시트벨트앵커(10)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압축스프링(22)을 지지하는 장착구(30)와 ; 상기 파지구(21)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2)의 압축에 의해 상기 레버(20)를 상기 제2고정공(12)으로 고정함으로써 시트벨트(50)를 압압고정시키는 시트벨트 누름구(40)로 된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레버(20)의 시트벨트 누름구(40)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그 빗면이 시트벨트(50)를 압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레버(20)와, 시트벨트(50)를 압압고정시키는 시트벨트 누름구(40)와, 상기 레버(20)의 이탈을 막고 레버(20)의 작동을 가능케하는 압축스프링(22)을 지지하는 장착구(30)로 구성한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에 착석하여 시트벨트(50)의 고정구(60)를 버클(미도시)에 끼워 고정시키고, 시트벨트 앵커(10)의 제1고정공(11)에 레버(20)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손으로 시트벨트(50)를 가슴이 편안한 상태로 느슨하게 길이를 조정하여 잡은후, 다른 한손으로 레버(20)를 잡고 하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압축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시트벨트 누름구(40)가 시트벨트(50)를 압압하게 되는데, 이어서 레버(20)를 제2고정공(12)으로 슬라이드시켜 고정시키면 압압된 시트벨트(50)는 압압된채 고정되어 시트벨트(50)가 리트랙터(미도시)로 감기지 않기 때문에 시트벨트(50)가 느슨해져 가슴이 편안해지는 것이다.
시트벨트(50)를 풀때는 레버(20)를 상기의 역순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고정공(11)에 설치하면 시트벨트 누름구(40)에 의해 압압되어 있던 시트벨트(50)가 풀리는데, 이후 버클에서 시트벨트(50)의 고정구(60)를 풀어 놓으며 시트벨트(50)가 리트랙터로 감겨서 들어가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트벨트 앵커에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설치한 본 고안에 의해 종래 시트벨트 가슴압박방지장치의 개별구입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과 구입사용치 않을 경우의 가슴압박의 문제점이 해결됨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시 착용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고, 이에따라 시트벨트의 장기착용이 가능해짐으로 충돌시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시트벨트 앵커(10)에 연통형성한 제1고정공(11)과 제2고정공(12)에서 슬라이드식 고정설치되며, 압축스프링(22)이 설치된 파지구(21)를 가진 레버(20)와; 상기 시트벨트 앵커(10)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압축스프링(22)을 지지하는 장착구(30)와; 상기 파지구(21)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22)의 압축에 의해 상기 레버(20)를 상기 제2고정공(12)으로 고정함으로써 시트벨트(50)를 압압고정시키는 시트벨트 누름구(40)로 된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2019950014100U 1995-06-21 1995-06-21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0113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00U KR0113361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100U KR0113361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333U KR970001333U (ko) 1997-01-21
KR0113361Y1 true KR0113361Y1 (ko) 1998-04-14

Family

ID=1941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100U KR0113361Y1 (ko) 1995-06-21 1995-06-21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3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333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US7059445B2 (en) Seat belt device for automobile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KR011336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011336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960007725Y1 (ko) 임산부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 시트벨트
CN219446799U (zh) 一种车用座椅头枕
CN212243050U (zh) 一种儿童汽车座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0138513Y1 (ko) 자동차용 벨트 보호구
KR93000201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고정장치
KR10111458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KR200142038Y1 (ko) 시트일체형 시트벨트
KR19980013541U (ko)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0126085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920006617Y1 (ko)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JPH0644655U (ja) シートベルト定着装置
KR19990011056U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잠금장치
KR19980052749U (ko) 시트 벨트가 장착된 차량의 프런트 시트
JPS6353149A (ja) シヨルダスル−アンカ構造
KR19980017360U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가이드 앵커
KR19980055323A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KR19980031594U (ko) 어린이 안전장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
JP2002187521A (ja)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ーガイド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