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617Y1 -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 Google Patents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617Y1
KR920006617Y1 KR2019900018143U KR900018143U KR920006617Y1 KR 920006617 Y1 KR920006617 Y1 KR 920006617Y1 KR 2019900018143 U KR2019900018143 U KR 2019900018143U KR 900018143 U KR900018143 U KR 900018143U KR 920006617 Y1 KR920006617 Y1 KR 920006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piece
plat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391U (ko
Inventor
김용기
엄상중
Original Assignee
김용기
엄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엄상중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19900018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617Y1/ko
Publication of KR920009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간 일부절개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상세하개 보이기 위한 일부절결 상태의 저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절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중 상측의 커버와 밑판이 계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리판 2 : 고리
3 : 볼트 10 : 전면커버
20 : 밑판 30 : 단속편
3l : 안내축 40 : 완충패드
41 : 조절벨트 43 : 지지편
100 : 벨트조절편 200 : 보조벨트
B : 좌석안전벨트 B' : 당김부
C : 샤시 P : 탑승자
Pa : 압박부 X : 벨트해제방향
Y : 벨트단속방향
본 고안은 인명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벨트를 탑승자가 상기 목적을 얻고자 착용, 가슴이나 어개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해소하고져 안출된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에 관한것이다.
상기 본 고안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바와 같은 자동차나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는 좌석안전벨트를 설명할 수 있겠으며, 그중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에 장착한 삼점식 좌석안전벨트에서 발생되는 착용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쉬운 이해를 돕고져, 이점식좌석 안전벨트와 삼점식좌석 안전벨트에 대한 설명을 갖기로 한다.
상기에서 밝힌 이점식 좌석벨트라 함은 주로 항공기에 주로 사용되오고 있거나, 자동차중에서는 운전석과 그 옆의 앞좌석을 제외한 택시나 버스의 승객좌석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아 쉽게 알 수 있듯이, 승객의 허리부분만을 둘러맬 수 있게 장착된 것을 이점식좌석 안전벨트라고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삼점식좌석 안전벨트라 함은 상기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자동차의 운전석과 그 옆의 앞좌석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어깨, 가슴과 허리부위를 동시에 둘러맬 수 있게 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한 이점식좌석 안전벨트는 탑승자 승객이 자기의 체위에 따라 약간 유동적일 수 있도록 허리띠와 같은 수단으로 조절해서 착용할 수 있지만, 삼점식좌석 안전벨트보다는 안전도가 높지 못하다.
반면에 상기한 삼점시좌석 안전벨트는 상기 이점식좌석 안전벨트보다 안전도가 높은 대신에 착용하는 사람이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항시 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착용압박감이 부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에 의해 착용기피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양복을 입고 착용하게 되면 양복이 구겨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한 운행을 돕고자 안출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안출된 것은 국내 실용신안출원(제90-7250호)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좌석안전벨트에 끼우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상기 종래제품을 보면, 좌석안전벨트를 단속하거나 해제하는 작동편과 앞판체를 분리형성하며 각각 다른 2개의 배면판을 나사로 양측에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일일이 별도의 공구로써 조립해야만 하고, 특히 차량에 고정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자동차운행중에 부딛혀 발생하는 잡음을 유발시키게 되어 탑승자의 신경을 자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하 설명하는 구조적 작용효과를 보아 알 수 있게 되듯이, 샤시내부상측에 체결한 고리가 형성된 고리판에 고정할 수 있게 되었고, 착용한 사람의 어깨, 가슴을 보호해줄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좌석안전벨트 사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자동차 운전석과 그 옆의 옆좌석(이하 조수석으로 칭함)양측에는 삼점식좌석 안전벨트(B)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삼점식좌석 안전벨트(B)는 반드시 운전석과 조수석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가용 승용차의 경우, 고급형 소형승용자동차와 중형급 이상의 자동차의 뒷좌석에는 대부분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삼점식좌석 안전벨트(B)는 벨트하우징(도시없음)에 권말되어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중 일단부가 상기 벨트하우징의 내부 권말기에 권말되어 스파이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권말력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벨트하우징은 차내의 샤시(C)하단부에 볼트로 고정하되, 약간의 유동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좌석안전벨트(B)상에는 후크(도시없음)와 고리판(1)이 결합되어 후크는 좌석일측에 가진 버클(도시없음)에 결합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은 상기 고리판(1)에는 벨트연결고리(2)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샤시(C)상측에 유동적일 수 있도록 볼트(3)로 체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한 삼점식좌석 안전벨트(B)를 착용하는 사람이 자기의 채위에 알맞은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어깨, 가슴압박부위(Pa)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조절편(100)은 상기 샤시(C)에 고정한 고리판(1)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벨트조절편(100)에 가진 하기 벨트연결부(20a)로부티 연장 연결된 하기 조절벨트(41)단부에 완충패드(40)를 형성하여 좌석 안전벨트(B)에 결합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벨트조절편(100)은 전면덮개(10)와, 상기 벨트연결부(20a)가 일체 형성된 밑판(20)으로 형성하되, 전면덮개(10)에는 주변걸림턱(10a)을 비롯한 원통형의 볼트커버(10b)와 반원형상의 반원걸림턱(10c)을 형성하고, 지지판(10d)과 양측의 슬라이드장공(10e)을 형성하며, 내측사면에는 다수조의 안내홈(10f)을 형성하는 안내벽(10f')을 갖게함과 동시에, 내향돌설된 텐숀편걸럼턱(10g)이 형성되게 하여, 앞판(10h)과 뒷판(10i)에 벨트유통구(10h'),(10i')을 요홈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밑판(20)은 옆쪽의 크기를 상기 전면덮개(10)의 외곽크기와 일치시킨 크기로 형성하되,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20a')을 가진 벨트연결부(20a)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게 하고, 다수개의 텐숀편(20b)상단에 걸림편(20b')을 형성하며, 단속유도턱(20c)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의 전면덮개(10)내측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너얼링이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반복형성된 단속편(30)을 형성하여, 그 축방향중심에 구멍을 관통시켜서, 안내측(31)을 끼워 결합한다.
이때의 상기 안내축(31)일단부는 머리를 형성하며, 그 타측은 상기 단속편(30)에 입설하여 전면덮개(10)에 끼워결합하고,형 캡너트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대로 반드시 캡너로 체결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리벳팅 수단을 이용하거나, 일반적인 너트체결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정길이의 면직류 내지 합성수지제 또는 가죽제품으로서의 조절벨트(41)를 형성하여, 그 일단부를 완충패드(40)에 봉제 또는 열융착 결합하며, 이와 같은 상기 완충패드(40)는 일정크기로 된 부드러운 재질의 스폰지나 우레탄재질로 쿳숀편(40a)을 형성하여 그 외주연을 면직류나 합성수지재 또는 가죽재질의 시트(40b)로 커버형성한 후, 그 일측면에 스넵버튼(42),(42')을 가진 지지편(43),(43')을 결합 형성한 보조벨트(20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전면덮개(10)는 제1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샤시(C)에 체결한 고리판(1)과 고리(2)에 끼워 고정시키며, 이때의 상기 전면덮개(10)에 형성된 볼트커버(10b)는 상기 고리판(1)을 고정시킨 볼트(3)머리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배면측에 형성된 주변걸림턱(10a)은 상기 고리판(1) 외주연에 끼워지게 되며, 반원형성된 반원걸림턱(10c)은, 고리(2)의 상측 장축부(2a)에 외삽되면서 지지판(10d)이 상기 고리(2)의 양측원형부(2c)일측면에 압지되어, 상기 고리판(1)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된 전면커버(10)의 앞판(10h)과 뒷판(10i)에 형성된 벨트유통구(10h'), (10i')에는 좌석안전벨트(B)의 당김부(B')가 일치되도록 하여 밑판(20)을 끼워결합한다.
이때의 상기 밑판(20)은 벨트연결부(20a)가 좌석안전벨트(B)를 착용할 때 당겨지는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단속유도턱(20c)과 다수개의 형성된 텐숀편(20b)은 상기 전면커버(10)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의 단속유도턱(20c)은, 슬라이드장공(10e)의 벨트해제방향(X)측에 위치되고, 텐숀턱(20b)은 결합되는 과정에서 그 상단의 걸림편(20b')이 텐숀편걸림턱(10g)경사면을 타고 내측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안내홈(10f)에 유도되어, 상기 텐숀편걸림턱(10g')상단에 위치하면서 휨상태의 텐숀력이 복귀되면서 걸려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석안전벨트(B)는 밑만(20)내측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벨트유통구(10h'),(10i')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단속편(30)에 의해 당겨진 길이를 항시 유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벨트(200)는 스넵버튼(42),(42')을 분리시켜 지지편(43),(43')을 들러졌힌 후, 당김부(B')측 좌석안전벨트(B)가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편(43),(43')을 덮은 다음, 스넵버튼(42)(,42')을 잠궈 결합하게 되며, 상기 결합된 좌석안전벨트(B)는 탑승자(P)가 착용하거나, 해체할 때 상기 지지편(43), (43')사이로 유통하게 된다.
또한, 조절벨트(B)는 그 단부를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연결부(20a)에 끼워 결합하므로써 좌석안전벨트(B)와 고리판(1)에 항시 결합되 있게되어, 착용하는 탑승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신축조절이 가능케 결합구성되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삼적식좌석 안전벨트(B)를 편리하고, 부담없이 착용하기 위해 안출된 반면에, 주로 사용하게 되는 사람의 예를들면, 버스이 운전자와 화물차 운전자 또는 조수, 그리고 사업용 택시를 비롯한 자가용승용차의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가용승용차의 경우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소형자동차의 경우 고급형 즉, 옵션품목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같은 차종에서도 가격이 다소 높은 소형승용자동차의 경우는 뒷자석 까지 삼적식좌석 안전벨트(B)가 장착되어 있고, 중형급 자가용승용차와 고급자가용승용차는 뒷자석이 모두 삼적식좌석 안진벨트(B)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삼적식좌석 안전벨트(B)를 사용하는 사람은, 상기한 차량과 그 좌석에 착석하는 사람이 착용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거의 고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탑승자(P)는 좌석안전벨트(B)를 착용할 때, 크립을 버클에 채운상태에서 완충패드(40)의 위치가 자기의 어개와 가슴압박부(Pa)에 오도록 조절벨트(20a)로 신축조절하고, 압박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착용한 좌석안전벨트(B)를 약간 당겨준다.
상기와 같이 좌석안전벨트(B)를 약간 당기게되면, 당김부(B')를 향해서 진행이동하는 상기 좌석안전벨(B)가 단속편(30)을 끌어당기는 힘이 제공되어, 그 단속편(30)에 가진 안내축(31)이 벨트해제방향(X)을 향해 슬라이드장공(10e)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상의 상기 슬라이드장공(10e)은 밑판(20)과 간격이 넓어지면서, 좌석안전벨트(B)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좌석안전벨트(B)와 탑승자(P)간에 필요한 만큼의 공간이 확보되고 나면 전방을 향해 가슴으로 밀고있던 탑승자(P)의 상체를 뒤로하거나 당기고 있는 좌석안전벨트(B)에서 손을 뗀다.
상기와 같이 상체를 뒤로젖혀 좌석등받이에 밀착하거나, 손을 떼게되면 좌석안전벨트(B)는 벨트하우징방향(Z)으로 약간 역진되면서 벨트해제방향(X)으로 이동한 단속편(30)을 벨트단속방향(Y)으로 원위치시켜주게 된다. 왜냐하면, 벨트해제방향(X)으로 이동한 단속편(30)과 밑판(20)의 간격은 넓게 형성되었더라도 단속유도턱(20c)때문에, 좌석안전벨트(B)는, 도면 제3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단속편(30)에 살짝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팽창력이 내포되어 있는 상기 좌석안전벨트(B)가 항시 일직선상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의 작용이 상기 단속편(30)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벨트하우징방향(Z)을 향해 역진하는 좌석안전벨트(B)가 상기 단속편(30)을 끌고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이동하는 단속편(30)은 벨트단속방향(Y)을 향해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좌석안전벨트(B)를 압압하게 되어, 밑판(20)과 상기 단속편(30)사이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석안전벨트(B)를 압압해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따라 이동정지된 좌석안전벨트(B)와 탑승자(P)간에 필요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었을 때는 손으로 안내축(31)양단부를 벨트해제방향(X)으로 끌어내서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후, 손을 다시놓거나 끌어낸 안내측(31)을 다시 밀어넣어 필요한 거리만큼의 공간을 조절한다.
또한, 목적지까지 탑승이 끝난 후, 좌석안전벨트(B)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단속편(30)의 안내축(31)을 제조절할 때와 같이, 벨트해제방향(X)으로 완전히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착용하기 위해 끌어당긴 길이만큼의 좌석안전벨트(B)가 벨트하우징의 스파이럴스프링 인장력에 의해 원형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완충패드(40)의 위치를 탑승자(P)신체조건에 따라 수시로 조절하거나 손으로 안내축(31) 양단부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좌석안전벨트(B)의 착용길이를 임의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좌석안전벨트(B)의 압박감에 대한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좌석안전벨트(B) 착용기피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운행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작동편과 앞판이 결합되고, 두개의 배면판 양측에 벨트끼움부를 갖게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주변걸림턱(10a)과 볼트커버(10b)를 가진 전면덮개(10)에 반원걸림턱(10c)과 지지판(10d)을 형성하여 슬라이스장공(10e)을 양측에 형성하며, 텐숀편걸림턱(10g)을 형성한 다수조의 안내벽(10f')이 상기의 전면덮개(10)내측 사면에 형성되게 하여 앞판(10h)과 뒷판(10i)하단에 벨트유통구멍(10h'), (10i)을 요홈형성하고, 다수개의 텐숀편(20b)과 그 상단에 가진 걸림편(20b')과 단속유도턱(20c)을 가진 밑판(20)(20)일측으로 벨트연결부(20a)를 형성하며, 슬라이드 유동하는 단속편(30)과 상기 단속편(30)을 결합하는 안내축(31)을 형성하고, 일정크기의 완충패드(40)를 형성하여 조절벨트(41) 일단부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완충패드(40) 일측면에 조절벨트(41) 일단부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완충패드(40)일측면에 스넵버튼(42),(42')을 가진 지지편(43),(43')이 형성되어, 좌석안전벨트(B) 착용압박감 해소를 위해 신축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안전벨트 조절편.
KR2019900018143U 1990-11-24 1990-11-24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KR920006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3U KR920006617Y1 (ko) 1990-11-24 1990-11-24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143U KR920006617Y1 (ko) 1990-11-24 1990-11-24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91U KR920009391U (ko) 1992-06-16
KR920006617Y1 true KR920006617Y1 (ko) 1992-09-21

Family

ID=1930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143U KR920006617Y1 (ko) 1990-11-24 1990-11-24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6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91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7211A (en) Safety harness
US5005865A (en) Seatbelt positioning assembly for a pregnant person
US2798539A (en) Safety belt
US20040169411A1 (en) Add-on safety harness for vehicles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US5524928A (en) Automobile restraint system
EP1123833A3 (en) Child safety seat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US5562326A (en) Personal body restraint device
US4145074A (en) Automotive body harness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US5063879A (en) Child restraint method and apparatus for aircraft and other vehicles
US4139215A (en) Automobile safety belt
KR920006617Y1 (ko) 압박감 해소를 위한 자동차용 좌석 안전벨트 조절편
CN215097459U (zh) 一种汽车儿童座椅安全装置及汽车儿童座椅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93000201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고정장치
JP2000016237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220281333U (zh) 一种乘员约束装置及车辆
CN106080496A (zh) 汽车安全带扣体
KR200148853Y1 (ko) 자동차 리어시트 벨트 가변 장치
KR011336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011336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KR0138513Y1 (ko) 자동차용 벨트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