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810Y1 - 전원 공급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810Y1
KR0111810Y1 KR2019940038305U KR19940038305U KR0111810Y1 KR 0111810 Y1 KR0111810 Y1 KR 0111810Y1 KR 2019940038305 U KR2019940038305 U KR 2019940038305U KR 19940038305 U KR19940038305 U KR 19940038305U KR 0111810 Y1 KR0111810 Y1 KR 011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ub
main
termin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813U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40038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810Y1/ko
Publication of KR960025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릴레이를 사용하여 서브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여 타임 시퀸스를 조정하는 전원 공급 회로가 개시되는 바, 이는 트랜스의 2차측이 권선되는 제1 내지 제3 코일의 권선수에 따른 전압이 각각의 코일에 유기되면 유기된 전압을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된 각각의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여 메인 전압 및 제1, 제2 서브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부와, 상기 메인 전압단에는 코일이 연결되고 제1, 제2 서브 전압단에는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어 제1, 제2 서브 전압의 출력 타임을 제어하는 릴레이와, 스위칭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와, 교류 전원 온/오프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타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교류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켜 서브 출력 전압의 출력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부품의 수량과 PCB의 사용 면적을 줄이고 가격을 다운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회로도.
제2도는 상기 제2도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T1 : 트랜스
D1~D5 : 다이오드 R1~R8 : 저항
SW1, SW2 : 스위칭 소자 C1~C4 : 콘덴서
COMP1, COMP : 비교기 Q1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전원 공급 회로(Switching Mode Power Supply : 이하, SMP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쵸코 코일 대신 릴레이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임 시퀸스를 조정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회로도로서, 메인 전압을 +5V로, 제1, 제2 서브 전압을 +12V, +30V로 가정하였다.
제1도를 보면, 트랜스(T1)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면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되어 메인 전압(Vo1)출력된다.
한편, 메인 전압(Vo1)이 출력되면 다른 서브 전압(Vo2,Vo3)의 타임 시퀀스 부하가 제2도 (나)와 같이 출력된다.
즉, 메인 전압(Vo1) 출력시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이하, PWM 이라 칭함.) IC내의 데드 타임(Dead Time)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와 온/오프 타임을 제어하여 서브 전압(Vo2, Vo3)을 타임 시퀀스한다.
따라서, 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후 트랜지스터(Q1)가 PWM IC(101)에 의해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1)를 통해 다이오드(D3)로 입력되어 다시 정류된 후 코일(L1)에 유도성 에너지를 축적한다.
한편, PWM IC(101)의 제어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코일(L1)에 축적된 에너지가 콘덴서(C1)에 의해 평활되어 제1 서브 전압(Vo2)으로서 출력된다.
즉, 제2도 (나)와 같은 타임 시퀀스 부하가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전압(Vo3)도 PWM IC(1013)의 제어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온/오프 타임이 제어되고, 트랜지스터(Q2)의 온/오프에 의해 코일(L2)에 축적된 에너지가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되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된 제1도는 PWM IC내의 데드 타임을 이용하여 PWM IC의 듀티를 조절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타임을 제어하여 서브 전압의 타임 시퀀스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된 제1도는 서브 전원의 부하가 많을 경우 메인 전압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제2도 (가)와 같이 메인 전압이 출력된 서브 전압이 온시 메인 전압에 언더 전압이 되고, 서브 전압이 오프시 메인 전원이 언더 전압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WM IC와 코일을 이용하여 서브 전원의 타이밍을 구성하다보니 주면 회로가 복잡해지면서 부품이 많이 사용되고, 부품이 차지하는 프린트 회로 기판(Print Circuit Board : 이하, PCB라 칭함.) 면적이 커지며,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PWM IC와 쵸코 코일 대신 릴레이를 사용하고, 교류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코일을 여자시켜 서브 전압 타임 시퀀스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부품의 수량이 줄고 PCB 면적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다운되는 전원 공급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특징은, 트랜스의 2차측에 권선되는 제1 내지 제3 코일의 권선수에 따른 전압이 각각의 코일에 유기되면 유기된 전압을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된 각각의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여 메인 전압 및 제1, 제2 서브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압단에는 코일이 연결되고 제1, 제2 서브 전압단에는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어 제1, 제2 서브 전압의 출력 타임을 제어하는 릴레이와, 스위칭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와, 교류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수위칭 타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도이다.
제3도를 보면, 트랜스(T1)의 2차측 제1 코일(L1)에는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메인 전압(Vo1)(예컨대, +5V)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 제2 코일(Ns2)에는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제1 서브 전압(Vo1)(예컨대, +12V)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2)가 연결되고, 제3 코일(Ns3)에는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여 제2 서브 전압(Vo3)(예컨대, +30)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3)가 연결된다.
즉, 트랜스(T1)의 2차측에 각각 권선되는 제1 내지 제3 코일(Ns1~Ns3)의 선수에 따라 유기되는 전압이 달라진다.
이때, 상기 제2 서브 전압(Vo3)의 부하가 제일 크다고 가정하였으므로 메인 전압이 출력된 후 서브 전압이 온시 메인 전압에 언더 전압이 되고, 서브 전압이 오프시 메인 전원이 언더 전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오드(D3)와 제2 서브 전압단(Vo3) 사이에 용량값이 콘덴서(C1,C2)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콘덴서(C1,C2)의 용량값은 1500μF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메인 전압단(Vo1)에는 릴레이(RL1)의 코일이 연결되고, 제1, 제2 서브전압단(Vo2, Vo3)에는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칭 소자(SW1,SW2)가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 (RL1)의 코일 여자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SW1, SW2)의 온/오프 타임이 제어되며 타임 시퀀스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칭 타임을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상기 메인 전압단(Vo1)과 제1 서브 전압단(Vo2)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1 서브 전압(Vo2)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이 저항(R1)을 통해 제1 비교기(CUMP1)의 반전단(-)에 연결된다.
동시에, 메인 전압(Vo1)을 출력하는 다이오드(D1)의 애노드단, 즉, 메인 전압의 역전압(-전압)을 제공하는 다이오드(D4) 및 저항(R2)을 통해 상기 제1 비교기 (CUMP1)의 반전단(+)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비교기(CUMP1)의 비반전단(+)에는 상기 메인 전압단 (Vo1)이 연결된다.
즉, 교류 전압이 오프되면 메인 전압의 역전압(-전압) 전압이 플러스 전압보다 먼저 오프되므로, 교류 전압이 온일때는 상기 제1 비교기(CUMP1)의 출력은 하이가 되고, 교류 전압이 오프일때는 상기 제1 비교기(CUMP1)의 반전단(-)으로 제1 서브 전압이 제공되므로 로우가 된다.
이때, 상기 제1 비교기(CUMP1)의 출력단에는 다이오드(D5)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비교기(CUMP1)의 출력이 하이이면 오프되고 로우이면 온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5)에는 저항(R4) 및 충전용 콘덴서(C3)와 병렬로 제2 비교기(CUMP2)의 비반전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저항(R3)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전압단(Vo1)이 연결되고 병렬로 저항(R4, R5)을 통해 제2 비교기(CUMP2)의 반전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교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콘덴서(C3)는 메인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콘덴서(C3)가 메인 전압을 충전하는 동안은 상기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은 다시 로우가 된다.
그러다가, 상기 콘덴서(C3)에 충전이 완료되면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또한, 교류 전원이 오프되어 상기 다이오드(D5)가 도통되면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오드(D5) 및 제1 비교기(CUMP1)를 통해서 방전되므로 상기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은 다시 로우가 된다.
한편, 상기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단에는 저항(R6)을 통해 메인 전압단( Vo1)이 연결되고, 공통으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는 사익 릴레이(RL1)의 코일이 연결되어 릴레이(RL1)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먼저 교류 전원이 온되면 트랜스(T1)에 유기된 전압이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후 메인 전압(Vo1)이 제4도 (가)와 같이 출력된다.
이때, 제1 비교기(CUMP1)의 반전단(-)에는 서브 전압이 아직 출력되고 있지 않으므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다만, 다이오드(D4)를 통해 메인 전압의 역전압이 제공되고 비반전단(+)에는 다이오드(D1)에 의해 소정 전압(예컨대, 0.8V)강하된 메인 전압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비교기(CUMP1)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므로, 다이오드(D5)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콘덴서(C3)는 교류 전원이 온되면서 메인 전압(Vo1)을 충전하고, 상기 콘덴서(C3)가 메인 전압을 충전하는 동안은 상기 제3 비교기(CUMP2)의 출력은 로우가 된다.
상기 제2 비교기(CUMP1)의 출력이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어 릴레이(RL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므로 서브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SW1, SW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콘덴서(C3)에 충전이 완료되면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릴레이(RL1)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코일이 여자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이 여자되면 스위칭 소자(SW1,SW2)는 온되므로 제4도 (나)와 같이 다이오드(D2, D3)에 의해 정류된 제1, 제2 서브 전압(Vo2,Vo3)을 출력한다.
한편, 교류 전원이 오프일때는 방식 특성에 의해 메인 전압의 역전압을 이용하여 서브 전압의 오프 타임을 제어한다.
즉, 교류 전원이 오프되면 메인 전압의 역전압(-전압)이 플러스 전압보다 먼저 오프되므로 제1 비교기(CUMP1)의 반전단(-)에는 제1 서브 전압이 +12V가 걸린다.
따라서, 제1 비교기(CUMP1)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다이오드(D5)를 온시킨다.
상기 다이오드(D5)가 온되면 콘덴서(C3)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오드(D5)및 제1 비교기(CUMP1)를 통해 방전되므로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도 로우가 된다.
이때, 상기 제2 비교기(CUMP2)의 출력이 로우가 되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L1)의 코일에 흐르던 전류가 끊어지므로 스위칭 소자(SW1,SW2)가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칭 소자(SW1,SW2)가 오프되면 제4도 (가)및 (나)와 같이 메인 전압(Vo1/)이 오프되기 전에 제1, 제2 서브 전압(Vo2, Vo3)이 먼저 다운된다.
이때, 부하가 제일 큰 서브 전압단(예컨대, Vo3)에 용량값이 큰 콘덴서(C1),(C2)를 연결하여 메인 전압이 출력된 후 서브 전압이 온시 메인 전압이 언더 전압이되고, 서브 전압이 오프시 메인 전원이 언더 전압이 되는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콘덴서(C1),(C2)의 용량값은 1500μ F 이상을 사용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하면, PWM IC와 쵸코 코일 대신 메인 전압단에는 릴레이의 코일을 연결하고 서브 전압단에는 릴레이의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여 교류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렐레이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켜 서브 출력 전압의 출력 타임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한 회로 구성으로 부품의 수량과 PCB의 사용 면적을 줄이고 가격을 다운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트랜스의 2차측에 권선되는 제1 내지 제3 코일의 권선수에 따른 전압이 각각의 코일에 유기되면 유기된 전압을 제1 내지 제3 코일에 연결된 각각의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여 메인 전압 및 제1, 제2 서브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압단에는 코일이 연결되고 제1, 서브 전압단에는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어 제1, 제2 서브 전압의 출력 타임을 제어하는 릴레이와, 스위칭에 의해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와, 교류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타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전원 공급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서브 전압과 메인 전압의 역전압을 공통으로 반전단으로 제공받고 메인 전압단에 연결된 다이오드에 의해 소정 전압 강하된 플러스 메인 전압을 비반전단으로 제공받아 교류 전원이 온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교류 전원이 오프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이 로우이면 도통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상기 메인 전압단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이 온되면 메인 전압을 충전하는 저항 및 콘덴서와, 상기 다이오드와 저항 및 콘덴서의 접점이 비반전단이 연결되고 분압용 저항을 통해 메인 전압단이 반전단에 연결되어 콘덴서에 충전이 완료되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제2 비교기로 구성되는 전원 공급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가 제일 콘 서브 전압단에 용량값이 큰 콘댄서를 연결하여 메인 전압이 출력된 후 서브 전압이 온시 메인 전압이 언더 전압이 되고, 서브 전압이 오프시 메인 전원이 언더 전압이 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KR2019940038305U 1994-12-30 1994-12-30 전원 공급 회로 KR011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305U KR0111810Y1 (ko) 1994-12-30 1994-12-30 전원 공급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305U KR0111810Y1 (ko) 1994-12-30 1994-12-30 전원 공급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13U KR960025813U (ko) 1996-07-22
KR0111810Y1 true KR0111810Y1 (ko) 1998-04-15

Family

ID=1940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305U KR0111810Y1 (ko) 1994-12-30 1994-12-30 전원 공급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8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813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642A (en) Switching power supply
EP2096746B1 (en) Device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input voltage range of a DC/DC converter
CN110401349B (zh) 电源控制用半导体装置和开关电源装置及其设计方法
US11502593B2 (en) Adjustable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power switch control device
US6252782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tilizing magnetically coupled series inductors
US20020172057A1 (en) Power supply arrangement comprising a DC/DC converter
EP1050953B1 (en) Zero 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KR0111810Y1 (ko) 전원 공급 회로
KR100387381B1 (ko) 고효율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US7355373B2 (en) DC-DC converter
JP2022056756A (ja) 電流検出回路、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システム
JPH07288976A (ja) 多出力コンバータ
CA2214217C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302728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H119882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357195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549258A (ja) スイツチング電源
RU2269858C1 (ru) Блок вторичного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117411292A (zh) 集成电路、电源电路
KR200156513Y1 (ko) 모니터의 스위칭 전원 보호 회로
KR960007870Y1 (ko) 전원공급 제어회로
JP308141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0140018Y1 (ko) 배터리 충전회로
JP280327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225615Y1 (ko) 고효율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