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70Y1 - 전원공급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70Y1
KR960007870Y1 KR2019900013482U KR900013482U KR960007870Y1 KR 960007870 Y1 KR960007870 Y1 KR 960007870Y1 KR 2019900013482 U KR2019900013482 U KR 2019900013482U KR 900013482 U KR900013482 U KR 900013482U KR 960007870 Y1 KR960007870 Y1 KR 960007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coil
transformer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413U (ko
Inventor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70Y1/ko
Publication of KR920005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전원공급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싱부20 : 펄스폭 제어부
100 : 전압변환 출력회로200 : 제어회로
T1, T2 : 트랜스Q1 : 트랜지스터
L1~L3 : 코일C1~C3 : 콘덴서
D1~D7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압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의 2차측 코일을 얹어 권선하고, 트랜스의 출력전압을 검출 및 제어함으로써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제품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전원을 공급하여야 안정된 동작을 하게 되며, 높거나 낮은 전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고정이나 오동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과전압 방지회로는 제1도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트랜스(T1)의 이차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2차측 코일(S1), (S2), (S3)은 권선비에 따른 일정전압을 유기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측 코일(S1)에 유기되는 전압을 정출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상기 2차측 코일(S1)에 유기된 전압이 평활용 코일(L1) 및 콘덴서(C1)에 의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기(OP1)에서, 일정전압(VREF)과 비교하여 비교된 값에 의하여 펄스폭 제어부(20)에서 출력 펄스폭을 조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펄스폭 제어부(20)의 출력펄스가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온타임을 조절하므로서, 상기 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 및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에 의한 출력전압을 조절하므로서 안정된 전원공급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는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에 유기되는 전압만을 비교기(OP1)에 의하여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 값으로 출력전압을 제어하므로서,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에서 과도한 전압이 유기되어 출력되는 경우 제어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원공급 제어회로는 상이한 전압을 유기하여 출력하기 위한 2차측 코일(S1), (S2), (S3)이 상호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소형, 경량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정출력용 2차측 코일에 부출력용 2차측 코일을 얹어 감아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2차측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어하므로서, 정출력용 2차측 코일 및 부출력용 2차측 코일은 항상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게 함과 동시에 소형경량화 할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트랜스의 일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일정전압으로 유기하는 정출력용 2차측 코일과,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에 얹어 권선된 부출력용 2차측 코일과, 상기 2차측 코일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와, 상기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평활용 코일 및 콘덴서와, 상기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는 평활용 코일 및 콘덴서와로 되는 전압변환 출력회로와; 상기 센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트랜스의 입력전압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 제어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 제어회로도로서 전압변환 출력회로(100)와, 제어회로(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회로(200)는 종래와 동일하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전압(VIN)을 특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전압변환 출력회로(100)는 트랜스(T1)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은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에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을 얹어 감이 형성하며, 상기 정출력용 2자측 코일(S1)에 정류용 다이오드(D1)를 연결한다. 그리고, 전압변환 출력회로(100)는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1)에 트랜스(T2)를 연결하여,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트랜스(T2)의 권선비에 따라 일정전압을 후단에 인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 출력회로(100)는 상기 트랜스(T2)에 평활용 코일(L1), 및 콘덴서(C1)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 출력회로(100)는 상기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에 정류용 다이오드(D2), (D3)와, 평활용 코일(L2), (L3) 및 콘덴서 (C2), (C3)를 연결하며,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L1) 및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은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D4), (D5), (D6)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변환 출력회로(100)의 출력전압을 센싱하여, 상기 전압변환 출력회로(10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200)는 상기 트랜스(T2)의 2차측 코일에 정류용 다이오드(D7)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0)는 상기 다이오드(D7)를 비교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비교기(OP1) 반전단자(-)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회로(200)는 상기 비교기(OP1)의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펄스의 튜티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펄스폭 제어부(20)를 연결하고, 상기 펄스폭 제어부(20)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상기 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구동에 따라 입력전압이 상기 트랜스(T1)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 발명에 따른 전압공급 제어회로는 상기 스위칭용 트랜시스터(Q1)가 구동시 상기 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트랜스(T1)의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 및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에는 권선비에 따른 일정전압이 유기되어,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1), (D2), (D3)를 통해 정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 (D1), (D2), (D3)에 의하여 정류된 전류는 상기 코일(L1), (L2), (L3) 및 트랜스(T2)에 축적된후,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상태일때, 상기 코일(L1), (L2), (L3) 및 콘덴서(C1), (C2), (C3)에 의하여 평활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코일(L1), (L2), (L3) 및 센싱부(10)인 트랜스(T2)가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될때 발생하는 역기전력은 상기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D4), (D5), (D6)를 통하여 궤환되어 상기 센싱부(10) 트랜스(T2) 2차측 코일에 유기된다.
따라서, 상기 센싱부(10) 트랜스(T2)의 2차측 코일은 트랜스(T1)의 2차측 코일(S1), (S2), (S3)에 유기되는 전압에 따른 일정전압을 유기하여,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7)를 통해 정류한 후 상기 비교기(OP1)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는 이러한 궤환전압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고 펄스폭 제어부(20)에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의 구동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은 정출력용 코일(L1) 및 부출력용 코일(L2), (L3) 역시 항상 일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고안은 트랜스(T1)의 정출력용 2차측 코일과 부출력용 2차측 코일을 얹어 감아 형성하므로서, 정출력용 2차측 코일 및 부출력용 2차측 코일은 항상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경량화 할 수 있고, 궤환 출력단의 트랜스(T2)를 이용하여 궤환회로 구성을 함으로써 일정한 전압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랜스(T1)의 일차측 코일(P1)에 인가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일정전압으로 유기하는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과,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S1)에 얹어 권선부 부출력용 2차측 코일(S2), (S3)와, 상기 2차측 코일(R1), (R2), (R3)에 연결되는 정류용 다이오드(D1), (D2), (D3)와, 상기 정류용 다이오드(D1), (D2), (D3)에 연결되는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D4), (D5), (D6)와, 상기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D5), (D6)에 연결되는 평활용 코일(L2), (L3) 및 콘덴서(C2), (C3)와, 상기 플라이 휠링 다이오드(D4)에 연결되어 상기 정출력용 2차측 코일의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부(10)와, 상기 센싱부(10)에 연결되는 평활용 코일(L1) 및 콘덴서(C1)와, 로 되는 전압변환 출력회로(100)와 ; 상기, 센싱부(10)에 연결되어 센싱부(10)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트랜스(T1)의 입력전압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00)와;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는 전압센싱용 트랜스(T2)로 구성된 전원공급 제어회로.
KR2019900013482U 1990-08-31 1990-08-31 전원공급 제어회로 KR960007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482U KR960007870Y1 (ko) 1990-08-31 1990-08-31 전원공급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482U KR960007870Y1 (ko) 1990-08-31 1990-08-31 전원공급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13U KR920005413U (ko) 1992-03-26
KR960007870Y1 true KR960007870Y1 (ko) 1996-09-18

Family

ID=1930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482U KR960007870Y1 (ko) 1990-08-31 1990-08-31 전원공급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13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7635A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circuit therefor having sense-FET and boost converter control circuit
KR100379057B1 (ko) 버스트 모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8624572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power-supply apparatus
KR0152252B1 (ko) 5핀을 갖는 능동역률보정집적회로
US5633787A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control of output supply voltage and overcurrent
KR19990012879A (ko) 전원공급장치의 역률개선회로
US20040141339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1889108B1 (ko)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TWI443946B (zh) 過功率保護補償電路及返馳式電源
CN110401347B (zh) 直流电源装置
KR960007870Y1 (ko) 전원공급 제어회로
US1006942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for reducing energy loss
JPH07288976A (ja) 多出力コンバータ
JPH072648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55119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7126625B2 (ja) 負荷を駆動するための変換器、ledドライバ及びled照明装置
JP302728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20230042664A1 (en) Power converter controller,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JP738754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57195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736059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3348846A (ja) 電源回路
KR940001193Y1 (ko) 정전압기의 발열 감쇄회로
JPS63277471A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173056Y1 (ko) 모니터의 전원공급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