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108B1 -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108B1
KR101889108B1 KR1020130075956A KR20130075956A KR101889108B1 KR 101889108 B1 KR101889108 B1 KR 101889108B1 KR 1020130075956 A KR1020130075956 A KR 1020130075956A KR 20130075956 A KR20130075956 A KR 20130075956A KR 101889108 B1 KR101889108 B1 KR 10188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pin
control module
pw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042A (ko
Inventor
최지원
류영기
정상훈
김해욱
장주선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108B1/ko
Priority to US14/258,296 priority patent/US9438121B2/en
Priority to TW103118158A priority patent/TWI631800B/zh
Priority to CN201410282901.4A priority patent/CN104253557B/zh
Publication of KR2015000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정류된 DC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PWM 제어 모듈; 상기 PWM 제어 모듈의 VCC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연결되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외부 스위치; 상기 제1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에 연결되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외부 스위치; 및 상기 제2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응답 시간을 줄이고, 인에이블 모드 동작시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reduc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구동전류를 최소한으로 소모하도록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변환장치(power converter)는 컴퓨터 및 TV 등 각종 전자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해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넓은 뜻으로는 변압기, 회전변류기, 수은(水銀)정류기 등도 포함되지만, 최근에서는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반도체 전력변환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한 전력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종래의 전력변환장치는, LCD TV에 적용되는 PWM 제어에 의한 전력변환장치로서,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빠른 속도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전력변환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AC를 DC로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기(bridge rectifier)(10), 입력 전원의 리플을 감소시키는 PFC(power factor correction)(20), 전력을 변환하는 PWM 제어기(30), 변환된 전력을 공급받는 메인 보드(40), 통상의 LED 드라이버(50) 및 LCD 모듈(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력변환장치는, 메인 회로에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구동전류를 최소한으로 소모하는 파워 다운 모드(power-down mode) 또는 디스에이블 모드(disable mode)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력변환장치는, 메인 회로에 적정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캐패시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진입하기 위하여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모두 방전시켜야 하므로 이에 따른 응답 시간(response time)이 길고, 대용량의 캐패시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칭 소자에 과도한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255310호(2011년08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변환장치의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응답 시간을 줄이고, 인에이블 모드 동작시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정류된 DC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PWM 제어 모듈; 상기 PWM 제어 모듈의 VCC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연결되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외부 스위치; 상기 제1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에 연결되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외부 스위치; 및 상기 제2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외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상기 VCC핀과 상기 DIS핀이 단락되고, 상기 DIS핀에 일정 기준값 이상의 신호가 인가되어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되고, 상기 제2 외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이 접지되고, 상기 DIS핀에 일정 기준값 미만의 신호가 인가되어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보다 용량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WM 제어 모듈은; HV핀에 연결된 제1 전력소자와 상기 VCC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부 스위치; 상기 VCC핀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온시켜 HV전압을 상기 VCC핀에 공급하는 제1 콘트롤러; 상기 VCC핀의 전압과 상기 DIS핀의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레귤레이팅하는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상기 DIS핀의 전압과 제1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DIS핀의 전압과 제2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상기 VCC핀과 상기 제1 비교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내부 스위치; 및 상기 제2 내부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비교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콘트롤러는;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상기 DIS핀 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2 비교기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2 콘트롤러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DIS핀 전압을 비교하여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에이블 모드로 복귀하여 정상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 전력 소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류원과, 상기 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소자와, 상기 전류원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저전력 소모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전력 소자는; JFET, Depletion MOSFET, LDMOSFET 또는 DMOSF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력 소자는; MOSFET 또는 BJ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WM 제어 모듈은; 모놀리식 집적회로(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과 소용량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인에이블 모드 동작시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PWM 제어에 의한 전력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PWM 제어 모듈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100), 상기 정류기(100)에서 정류된 DC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200), 상기 트랜스포머(200)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Q0)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PWM 제어 모듈(300),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의 VCC핀(VCC)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의 DIS핀(DIS)에 연결되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외부 스위치(SW01), 상기 제1 외부 스위치(SW01)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C1),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의 DIS핀(DIS)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GND)에 연결되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외부 스위치(SW02) 및 상기 제2 외부 스위치(SW02)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기(100)는 입력단(VIN)의 AC전압을 DC전압으로 정류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의 반파 정류 회로 또는 전파 정류 회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정류기(100)에서 정류된 DC전압은 반파 정류 전압 또는 전파 정류 전압이 될 수 있다.
PWM 제어 모듈(300)은 트랜스포머(200)의 1차측 권선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Q0)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Q0)는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er)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류기(100)는 트랜스포머(200)의 1차측에 연결되고, 메인 보드(40), LED 드라이버(50) 및 LCD 모듈(60) 등의 부하기기는 트랜스포머(200)의 2차측 출력단(VOUT)에 연결될 수 있다.
PWM 제어 모듈(300)은 모놀리식 집적회로(monolithic integrated circuit)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집적회로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PWM 제어 모듈(300)은 전력변환장치의 입력단(VIN)으로부터 트랜스포머(200)를 거쳐 출력단(VOUT)에 연결된 부하기기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한다. 즉, PWM 제어 모듈(300)은 PWM 동작시, 피드백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 스위칭 소자(Q0)를 스위칭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출력단(VOUT)의 전압을 조절한다. 전력 스위칭 소자(Q0)가 온인 경우, 에너지는 입력단(VIN)으로부터 트랜스포머(200)의 1차측 권선에 에너지를 저장한다. 반면, 전력 스위칭 소자(Q0)가 오프인 경우, 1차측 권선에 저장된 에너지는 2차측 권선으로 전달되어 출력단(VOUT)에 연결된 부하기기에 조절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트랜스포머(200)는 입출력 권선비를 조절하여 출력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PWM 제어 모듈(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 외부 스위치(SW01)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의 VCC핀(VCC)와 상기 DIS핀(DIS)이 단락(short)되고, 상기 DIS핀(DIS)에 일정 기준값(threshold) 이상의 신호가 인가되어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디스에이블 모드에서는 메인 회로에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구동 전류를 최소한으로 소모하여 대기전력을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제2 외부 스위치(SW02)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의 DIS핀(DIS)이 접지(GND)되고, 상기 DIS핀(DIS)에 일정 기준값(threshold) 미만의 신호가 인가되어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인에이블 모드에서는 메인 회로를 정상 전원을 공급하여 정상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제2 캐패시터(C2)는 상기 제1 캐패시터(C1)보다 용량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작은 용량의 제2 캐패시터(C2)를 사용함에 따라 디스에이블 모드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진입하기 위하여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시간이 단축되어 빠른응답시간(response time)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전력 스위칭 소자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변환장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PWM 제어 모듈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의 상기 PWM 제어 모듈(300)은, HV핀(HV)에 연결된 제1 전력소자(Q1)와 상기 VCC핀(VC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부 스위치(SW11); 상기 VCC핀(VCC)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SW11)를 오프시키고,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SW11)를 온시켜 HV전압을 상기 VCC핀(VCC)에 공급하는 제1 콘트롤러(310); 상기 VCC핀(VCC)의 전압과 상기 DIS핀(DIS)의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레귤레이팅하는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320); 상기 DIS핀(DIS)의 전압과 제1 기준값(VREF1)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340); 상기 DIS핀(DIS)의 전압과 제2 기준값(VREF2)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350); 상기 VCC핀(VCC)과 상기 제1 비교기(340)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내부 스위치(SW12); 및 상기 제2 내부 스위치(SW12)를 온시켜 상기 제1 비교기(340)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비교기(3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320) 및 상기 제2 비교기(3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콘트롤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콘트롤러(330)는 상기 제1 비교기(340)로부터 상기 DIS핀(DIS) 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값(VREF1) 이상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320) 및 상기 제2 비교기(350)를 동작시킨다.
한편, 상기 제2 콘트롤러(330)는 상기 제2 비교기(350)로부터 상기 DIS핀(DIS) 전압을 비교하여 제2 기준값(VREF2) 미만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에이블 모드로 복귀하여 정상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320)는; 상기 제1 전력 소자(Q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류원(321)과, 상기 전류원(321)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소자(Q2)와, 상기 전류원(321)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322)를 포함하여 저전력 소모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전력 소자(Q1)는; JFET, Depletion MOSFET, LDMOSFET 또는 DMOSFET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력 소자(Q2)는; MOSFET 또는 BJT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WM 제어 모듈은; 모놀리식 집적회로(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는 플라이백 방식, 포워드 방식, LLC, 또는 쿡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정류기 200 : 트랜스포머
300 : PWM 제어 모듈 310 : 제1 콘트롤러
320 :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321 : 전류원
322 : 제너다이오드 330 : 제2 콘트롤러
340 : 제1 비교기 350 : 제2 비교기
HV : HV핀 VCC : VCC핀
DIS : DIS핀 Q0 : 전력 스위칭 소자
Q1 : 제1 전력 소자 Q2 : 제2 전력 소자
C1, C2, C3 : 캐패시터 R1 : 저항
SW01 : 제1 외부 스위치 SW02 : 제2 외부 스위치
SW11 : 제1 내부 스위치 SW12: 제2 내부 스위치

Claims (13)

  1.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에서 정류된 DC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PWM 제어 모듈;
    상기 PWM 제어 모듈의 VCC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연결되어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외부 스위치;
    상기 제1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캐패시터;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에 연결되어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외부 스위치; 및
    상기 제2 외부 스위치의 일측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상기 VCC핀과 상기 DIS핀이 단락되고, 상기 DIS핀에 일정 기준값 이상의 신호가 인가되어 디스에이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PWM 제어 모듈의 DIS핀이 접지되고, 상기 DIS핀에 일정 기준값 미만의 신호가 인가되어 인에이블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패시터는 상기 제1 캐패시터보다 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 모듈은;
    HV핀에 연결된 제1 전력소자와 상기 VCC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부 스위치;
    상기 VCC핀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온시켜 HV전압을 상기 VCC핀에 공급하는 제1 콘트롤러;
    상기 VCC핀의 전압과 상기 DIS핀의 전압을 일정 전압 이하로 레귤레이팅하는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상기 DIS핀의 전압과 제1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DIS핀의 전압과 제2 기준값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상기 VCC핀과 상기 제1 비교기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내부 스위치; 및
    상기 제2 내부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1 비교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트롤러는;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상기 DIS핀 전압을 비교하여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2 비교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트롤러는;
    상기 제2 비교기로부터 상기 DIS핀 전압을 비교하여 제2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인에이블 모드로 복귀하여 정상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 전력 소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류원과, 상기 전류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소자와, 상기 전류원에 직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저전력 소모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소자는;
    JFET, Depletion MOSFET, LDMOSFET 또는 D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소자는;
    MOSFET 또는 BJ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 모듈은;
    모놀리식 집적회로(monolithic integrated circu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는;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KR1020130075956A 2013-06-28 2013-06-28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KR10188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956A KR101889108B1 (ko) 2013-06-28 2013-06-28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US14/258,296 US9438121B2 (en) 2013-06-28 2014-04-22 Power converter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TW103118158A TWI631800B (zh) 2013-06-28 2014-05-23 用於降低待機電源消耗之電源轉換器
CN201410282901.4A CN104253557B (zh) 2013-06-28 2014-06-23 用于降低待机功耗的功率转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956A KR101889108B1 (ko) 2013-06-28 2013-06-28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42A KR20150003042A (ko) 2015-01-08
KR101889108B1 true KR101889108B1 (ko) 2018-08-17

Family

ID=5211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956A KR101889108B1 (ko) 2013-06-28 2013-06-28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8121B2 (ko)
KR (1) KR101889108B1 (ko)
CN (1) CN104253557B (ko)
TW (1) TWI631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396B2 (en) * 2013-08-06 2016-01-26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Power supplying device with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US9531285B2 (en) 2013-08-06 2016-12-27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PFC power system with power managed main and standby voltage outputs
WO2016165017A1 (en) 2015-04-13 2016-10-20 Telcodium Inc. Ideal diode bridge rectify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TWI580162B (zh) * 2015-05-25 2017-04-2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轉換器及其控制電路與待機節能方法
CN108390428B (zh) * 2015-06-01 2021-09-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和移动终端
KR20180004388A (ko) * 2016-07-03 201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입력장치 및 그 전원 제어방법
KR20220101776A (ko) * 2016-08-25 2022-07-19 아나로그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버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기술들
US10341100B2 (en) * 2017-01-06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ally encrypted conversations via keys on member change
US10256630B2 (en) * 2017-05-30 2019-04-0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Controller device for power electronics circuit
CN108539983B (zh) * 2018-04-19 2020-06-19 西安交通大学 一种快速充放电双向反激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1041A2 (en) 2006-07-18 2008-01-2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Improved ballast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ccfl and eefl lamps
US20110255311A1 (en) 2010-04-20 2011-10-20 Wei-Chan Hsu Flyback converter system and feedba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30129373A1 (en) 2011-11-17 2013-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low-capacity ac process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8992B (en) * 1997-03-17 1998-04-01 Acer Peripherals Inc Improved low power consumption electric power supply
JP4415646B2 (ja) * 2003-10-31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US6967851B2 (en) * 2003-12-15 2005-11-22 System General Corp.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PFC-PWM power converter
JP4804156B2 (ja) * 2006-02-01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KR100724313B1 (ko) * 2006-02-28 2007-06-04 조영창 전원변환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변환장치
US7952895B2 (en) 2008-05-29 2011-05-31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unregulated dormant mode in a power converter
TWI364914B (en) * 2008-12-02 2012-05-21 Delta Electronics Inc Single stag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1093805B1 (ko) * 2009-07-02 2011-12-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바운스 회로가 내장된 디바운스 스위칭 소자
TWI390818B (zh) * 2009-07-14 2013-03-21 Richpower Microelectronics 改善充電器待機時之效率的裝置及方法,以及超低待機功率充電器
CN102377358B (zh) * 2010-08-23 2014-09-10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降低开关模式电源变换器的待机功耗的系统和方法
US8283979B2 (en) * 2011-01-19 2012-10-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mplifier system for a power converter
CN102307014A (zh) * 2011-09-15 2012-01-0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根据待机讯号减少待机耗电的电源供应器及电子装置
US9602018B2 (en) * 2012-03-20 2017-03-21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KR101913557B1 (ko) * 2012-08-23 2018-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1041A2 (en) 2006-07-18 2008-01-2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Improved ballast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ccfl and eefl lamps
US20110255311A1 (en) 2010-04-20 2011-10-20 Wei-Chan Hsu Flyback converter system and feedba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30129373A1 (en) 2011-11-17 2013-05-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low-capacity ac process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1800B (zh) 2018-08-01
KR20150003042A (ko) 2015-01-08
TW201505334A (zh) 2015-02-01
US9438121B2 (en) 2016-09-06
CN104253557A (zh) 2014-12-31
CN104253557B (zh) 2018-06-29
US20150003122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108B1 (ko)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US10355605B1 (en) Adjustable frequency curve for flyback converter at green mode
AU2014355917B2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KR100692557B1 (ko) 에너지 절감형 스위칭 전원장치 및 그의 에너지 절감방법
US7208985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US8310845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 functional modes of operation
US8885364B2 (en) Flyback converter with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feedback control and method for the same
US9318962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reducing output voltage overshoot of switch mode power supply
US8013477B2 (en) Power system having a power saving mechanism
US744029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ctive load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50194900A1 (en) Power converter with modulated secondary-side synchronous rectification
US9318961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US20130308360A1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JPWO2011132275A1 (ja) 電流共振電源
US9385615B2 (en) Isolated switching power supply
US9543843B2 (en) Power supply device
US7894214B1 (en) Power converter capable of lowering power wastage on standby
US952535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for performing control of output voltage switching operation
JP5968071B2 (ja) 電力変換装置
US20230010170A1 (en) Method of standby power supply
KR102059204B1 (ko)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140056994A (ko)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JP597122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TW201541843A (zh) 二次側控制輸出電能之自激式電源轉換電路
KR20160021984A (ko) 대기 전력을 저감하는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