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962A -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962A
KR20060002962A KR20057019159A KR20057019159A KR20060002962A KR 20060002962 A KR20060002962 A KR 20060002962A KR 20057019159 A KR20057019159 A KR 20057019159A KR 20057019159 A KR20057019159 A KR 20057019159A KR 20060002962 A KR20060002962 A KR 20060002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rol
tuner
cli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후미 긱까와
다쯔야 이가라시
히로유끼 미쯔보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3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the control of the source by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튜너 수신 콘텐츠의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한 라이브 스트림 배신 및 기록 처리가 개선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튜너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을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와,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을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에 처리 제어 대상을 특정 가능한 콘텐츠 URL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고, 또한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제어 인스턴스 ID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했다. 본 구성에 의해,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른 독립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튜너 수신 콘텐츠, 스트리밍 배신, 튜너 제어 인스턴스,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콘텐츠 URL, AVT 인스턴스, 제어 인스턴스 ID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CONTENT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실행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및 기록 처리에 적용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작금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보급에 수반하여, 가정내에서도 가전 기기나 컴퓨터, 그 밖의 주변 기기를 네트워크 접속하여, 각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 소위 홈 네트워크가 계속 침투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각 기기의 데이터 처리 기능을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접속 기기 사이의 콘텐츠 송수신 등, 유저에게 편리성, 쾌적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금후, 점점 더 보급될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에 적합한 프로토콜로서 UPnP(등록 상표)가 알려져 있다. UPnP는, 복잡한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용이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곤란한 조작이나 설정을 수반하지 않고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에서 각 접속 기기의 제공 서비스를 수령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UPnP는 디바이스 상의 OS(오퍼레이팅 시스템)에도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게 기기의 추가를 할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UPnP는, 접속 기기 사이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준거한 정의 파일을 교환하여, 기기 사이에서 상호 인식을 행한다. UPnP의 처리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1) IP 어드레스 등의 자기의 디바이스 ID를 취득하는 어드레싱 처리.
(2) 네트워크 상의 각 디바이스의 검색을 행하고, 각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응답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종별, 기능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디스커버리 처리.
(3) 디스커버리 처리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요구하는 서비스 요구 처리.
상기 처리 수순을 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를 적용한 서비스의 제공 및 수령이 가능하게 된다.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되는 기기는, 상기 어드레싱 처리에 의해 디바이스 ID를 취득하고, 디스커버리 처리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의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에 서비스의 요구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서버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측 디바이스에서 재생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서버는, 기억부에 저장한 콘텐츠나, 튜너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다양한 콘텐츠에 관한 인포메이션을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고 있고, 이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속성 정보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로서의 예를 들면 곡이나 영화의 타이틀, 아티스트명, 기록 일시, 또한 데이터의 압축 양태 등에 관한 정보 등 다양하다. 이들 속성 정보는 메타 데이터 혹은 메타 정보라고 불린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대하여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 예를 들면 곡이나 영화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 또한 데이터의 압축 양태 정보(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 또한 필요에 따라 저작권 정보 등의 다양한 콘텐츠의 속성 정보의 취득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속성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취득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콘텐츠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명, 타이틀 등으로 이루어지는 곡목 리스트 등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대상 콘텐츠를 확인 혹은 선택하여, 콘텐츠의 송신 요구를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수신 리퀘스트에 부합하여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한 콘텐츠의 송신이 행하여지고, 클라이언트측에서 수신 콘텐츠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는, 네트워크 접속된 다른 기기(클라이언트)로부터 검색을 행하고, 특정한 콘텐츠를 지정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튜너 기능을 병설하고, 튜너를 통하여 수신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소위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구성을 갖는 서버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상파, 위성 방송 등의 각종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홈 서버 내의 튜너에서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 예를 들면 튜너를 갖지 않는 PC 등에 송신하여, 유저가 PC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통하여 다양한 TV, 라디오 등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구성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를 원격 조작하여, 서버 내의 튜너로 수신한 텔레비전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측에서 수신, 재생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2002-844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단,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은, 서버 내의 튜너로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 내의 기억 수단, 예를 들면 HDD에 저장하고, 이 저장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소위 서버 내의 저장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공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튜너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하는 가상적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특정한 콘텐츠를 취득하는 경우의 처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식별자를 송신하고,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수신 식별자에 기초하여 지정 콘텐츠를 취득하여 송신한다고 하는 처리로 된다.
예를 들면, 서버가 콘텐츠에 대응 지은 콘텐츠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을 콘텐츠 대응의 메타 데이터로서 유지하고,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URL을 지정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GET 메소드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서버가 수신 URL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할 수 있다.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URL 지정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구성을 상정하면, 서버는,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다수의 채널마다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수의 URL을 설정하여, 클라이언트가 각 채널에 대응하는 URL을 지정한 콘텐츠 요구를 서버에 송신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마다의 URL 설정 구성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채널 전환을 행하고자 하면, 전환 후의 채널에 대응한 URL을 설정한 HTTP-GET 메소드를 서버에 새롭게 송신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는, 전환 전의 URL에 기초한 커넥션을 무효로 하고, 새로운 URL에 기초한 커넥션을 새롭게 설정하여, 신규 설정한 커넥션에 기초하여 전환 후의 채널의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채널마다의 URL 설정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서 채널을 전환할 때마다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커넥션 설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해져, 쌍방의 부하가 과대하게 된다. 또한, 채널 전환마다 통신의 중단이 발생하게 되어, 통상의 텔레비전 리모콘을 사용한 채널 전환과 같은 원활한 처리 환경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1개의 서버로부터 동일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복수 유저가 시청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개개의 유저에 의한 채널 전환마다 프로그램이 중단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서버에서의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행하는 경우, 클라이언트가 튜너 수신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서버에 대한 녹화 요구를 발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경우, 서버에서는,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소위 비디오 캡슐의 설정 등, 다양한 처리가 필요로 된다. 서버는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처리 제어와, 기록 처리 제어를 병렬로 실행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배신 콘텐츠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시청 콘텐츠의 기록을 서버에 요구하여 처리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대한 제어를 원활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예를 들면 서버의 튜너를 통하여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기록 요구에 부합하여, 튜너 수신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배신 콘텐츠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임의의 타이밍에서 시청 콘텐츠의 기록을 서버에 요구하여 처리 가능하게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콘텐츠 송신 및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 및 제어 정보의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콘텐츠 정보로서 저장한 메타 데이터 기억부와,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정보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튜너를 통한 수신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를 갖고,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여, 튜너 수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튜너 제어 인스턴스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를 갖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이, 설정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제어를 독립하여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는,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되고,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한 기록 콘텐츠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기초한 콘텐츠 정보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의 채널 리스트 식별자이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복수 콘텐츠를 제어 콘텐츠의 1 단위로서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기초한 콘텐츠 정보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기록 종료 시간 정보, 기록 품질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보유 가능한 구성을 갖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의 설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기록원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펑션 ID가 설정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펑션 ID가 설정되고,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을 상기 펑션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대상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의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를 설정하여, 제어 인스턴스에 기초한 콘텐츠마다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각각의 식별자로서의 인스턴스 ID와,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 식별자인 커넥션 ID와,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대응 지은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기초한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배신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고, 해당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세트 요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식별 정보를 갖는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제어 요구 수신 스텝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의한 튜너 제어 또는 기억부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기록 콘텐츠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의 채널 리스트 식별자이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복수 콘텐츠를 제어 콘텐츠의 1 단위로서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기록 종료 시간 정보, 기록 품질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의 설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기록원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펑션 ID가 설정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펑션 ID가 설정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을 상기 펑션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대상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추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의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를 설정하여, 제어 인스턴스에 기초한 콘텐츠마다의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각각의 식별자로서의 인스턴스 ID와,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 식별자인 커넥션 ID와,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대응 지은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기초한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제어 요구 수신 스텝은,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배신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는 ID 취득 스텝과,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요구 송신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세트 요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식별 정보를 갖는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제어 요구 수신 스텝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의한 튜너 제어 또는 기억부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펑션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는 ID 취득 스텝과,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요구 송신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튜너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와,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에 처리 제어 대상을 특정 가능한 콘텐츠 URL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고, 또한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제어 인스턴스 ID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른 독립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를 실행하고,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가, 독자적으로 녹화 처리 대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채널의 집합체로서의 채널 리스트에 URL을 설정하고, 채널 리스트 URL을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로서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설정했기 때문에, 리스트 내의 채널 변경에서는, 새로운 URL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를 행할 필요가 없이 계속적인 콘텐츠 배신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콘텐츠 기록 처리도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채널 전환 후의 콘텐츠 기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하는 기억 매체, 통신 매체, 예를 들면, CD나 FD, MO 등의 기억 매체, 혹은 네트워크 등의 통신 매체에 의해 제공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프로그램에 부합한 처리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히 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으로서,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케이스 내에 있는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에서의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콘텐츠 정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콘텐츠 데이터 재생 처리에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서버에서의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 구성 중의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클라이언트사이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가 보유하는 커넥션 관리 테이블의 구성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처리 시퀀스 중의 채널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처리 시퀀스 중의 커넥션 종료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복수 튜너를 갖는 서버에 의한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튜너 컨테이너와 채널 리스트 URL의 대응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튜너 컨테이너와 채널 리스트 URL의 대응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튜너 컨테이너와 채널 리스트 URL의 대응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8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19는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 및 라이브 콘텐츠 기록을 실행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 및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 및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가 보유하는 커넥션 관리 테이블의 구성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 및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서버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23은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처리 및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 24는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할 때의 서버 클라이언트의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5는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할 때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 중에 포즈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서버 클라이언트의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라이브 콘텐츠 기록 처리 중에 기록 종료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서버 클라이언트의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8은 서버의 처리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클라이언트의 처리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개요]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처리 요구에 부합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배신 장치로서의 서버(101)와, 서버(101)에 대하여 처리 요구를 행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로서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 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서는, 퍼스널 컴퓨터(PC)(121), 모니터(122), 휴대 전화(123), 재생기(124),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25)를 예시하고 있다. 단, 클라이언트 장치로서는, 이 밖에도 다양한 전자 기기, 가전 기기가 접속 가능하다.
서버(101)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실행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서버(101)가 보유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수단에 저장된 콘텐츠의 제공, 혹은 서버(101)가 갖는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라이브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배신 서비스 등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서버(101)와,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별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서버로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어느 클라이언트 장치나, 자기의 데이터 처리 서비스를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서버로서의 기능을 제공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된 클라이언트 장치도 서버로 될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유선, 무선 등 중의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이고, 각 접속 기기는,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 프레임 등의 통신 패킷을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송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는,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부에 처리 요구 정보를 저장한 프레임을 서버(101)에 송신함으로써, 서버(101)에 대한 데이터 처리 요구를 실행한다. 서버(101)는, 처리 요구 프레임의 수신에 부합하여,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처리 결과로서의 결과 데이터를 통신 패킷의 데이터부에 저장하여, 각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네트워크 접속 기기는, 예를 들면 유니버설 플러그 앤드 플레이(UPnP:Universal Plug and Play) 대응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기기의 추가, 삭제가 용이한 구성이다.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하는 기기는,
(1) IP 어드레스 등의 자기의 디바이스 ID를 취득하는 어드레싱 처리.
(2) 네트워크 상의 각 디바이스의 검색을 행하고, 각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응답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종별, 기능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디스커버리 처리.
(3) 디스커버리 처리로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요구하는 서비스 요구 처리.
상기 처리 수순을 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를 적용한 서비스를 수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PC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는, ROM(Read 0nly Memory)(202), 또는 HDD(Hard Disk Drive)(204)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여, 데이터 처리 수단, 혹은 통신 제어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203)에는, CPU(2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201), ROM(202), 및 RAM(203), HDD(204)는, 버스(20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205)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06)가 접속되어 있고,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06)에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키보드, 스위치, 버튼, 포인팅 디바이스, 혹은 마우스 등에 의해 구성되는 입력부(207), 유저에게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 LCD, CRT, 스피커 등에 의해 구성되는 출력부(208)가 접속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통신부(209), 또한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를 장착 가능하고, 이들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혹은 기입 처리를 실행하는 드라이브(210)가 접속된다.
또한, 지상파 방송 데이터, 위성 방송 데이터, 케이블 TV 데이터, 인터넷 배신 데이터 등, 다양한 외부로부터의 배신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는 튜너(2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접속 기기의 일례로서의 서버, 퍼스널 컴퓨터(PC)의 예이지만, 네트워크 접속 기기는 PC에 한하지 않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PDA 등의 휴대 통신 단말기, 기타, 재생 장치,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기기 고유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그 하드웨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오브젝트 관리 및 메타 데이터]
다음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관리 구성, 및 메타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는, 자기의 기억부에 저장한 정지 화상, 동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 음악 등의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 나아가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튜너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채널 정보를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메타 데이터)로서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서버가 보유하는 정지 화상, 동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 음악 등의 음성 데이터,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총칭하여 AV 콘텐츠라고 부른다. 서버에서, AV 콘텐츠는, 계층 구성을 갖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의해 서버 내의 CDS(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에서 관리된다.
서버의 CDS(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에서 관리되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구성예를 도 3에 도시한다. 계층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 트리 형상의 도면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각 원의 각각이 개개의 오브젝트이다. 이 계층 구성은, 서버가 기억부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콘텐츠, 및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응하는 논리적인 관리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개개의 요소, 즉 개개의 AV 콘텐츠 혹은 복수의 AV 콘텐츠를 저장한 폴더, 메타 데이터 저장 폴더의 각각은 오브젝트(Object)라고 불 린다. 또한, 오브젝트란, 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 단위의 총칭이고, 개개의 AV 콘텐츠 혹은 복수의 AV 콘텐츠를 저장한 폴더, 메타 데이터 저장 폴더 이외에도 다양한 오브젝트가 존재한다.
AV 콘텐츠의 최소 단위, 즉 1개의 악곡 데이터, 1개의 동화상 데이터, 1개의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을 아이템(item)이라고 부른다.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경우는, 1개의 채널이 1 아이템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아이템의 집합으로서 규정되는 아이템의 상위 오브젝트를 컨테이너(Container)라고 부르는, 집합의 단위는, 예를 들면 각 오브젝트의 물리적인 기억 위치에 기초한 집합, 각 오브젝트의 논리적 관계에 기초한 집합, 카테고리에 기초한 집합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을 아이템으로 한 컨테이너의 일례로서는 지상파만의 채널의 아이템을 집합으로 한 컨테이너나, 위성 방송의 채널을 집합으로 한 컨테이너가 설정된다. 이들 예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더욱 설명한다.
오브젝트는, 그 종류, 예를 들면 음악(Audio), 비디오(Video), 사진(Photo) 등, 그 종류에 따라 클래스로 분류되어 클래스 라벨링이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면 특정한 클래스를 지정하여, 특정한 분류에 속하는 오브젝트만을 대상으로 한 「서치」를 요구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폴더 등의 오브젝트를 지정하고, 그 폴더에 관한 정보만을 요구하는 「브라우즈」를 요구하여 특정 폴더에 관한 정보의 취득 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에서는, 클래스도 계층 구성으로 관리되어 있고, 1개의 클래스 하에 서브클래스의 설정이 가능하다.
메타 데이터는, 서버가 갖는 콘텐츠에 대응한 속성 정보, 클래스의 정의 정보,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를 구성하는 계층 구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리 정보이다. 개개의 오브젝트에 대응 지어 정의된 콘텐츠의 속성 정보로서의 메타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URL 등의 콘텐츠 식별자(ID), 데이터 사이즈, 자원 정보, 타이틀, 아티스트명, 저작권 정보, 채널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개개의 정보를 프로퍼티 또는 프로퍼티 정보라고 부른다. 또한, 음악(Audio), 비디오(Video), 사진(Photo),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등, 전술한 클래스마다 어떠한 프로퍼티로 이루어지는 메타 데이터를 갖는지가 미리 규정되어 있다.
도 3에서, 최상위는 루트 컨테이너(301)라고 불린다. 루트 컨테이너의 하위에 예를 들면 음악(뮤직) 컨테이너(302), 동화상 컨테이너(303), 정지 화상 컨테이너(304), 또한 튜너 컨테이너(305) 등이 설정된다. 음악(뮤직) 컨테이너(302)의 하위에는, 장르(305), 장르의 하위에는, 아티스트(306) 등의 오브젝트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동화상 컨테이너(303)의 하위에는, 장르(308), 또한 그 하위에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템으로서의 비디오 캡슐(309)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캡슐(309)은, 서버 내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부에 저장된 비디오 콘텐츠에 대응하고, 그 비디오 콘텐츠에 대응한 속성 정보(메타 데이터)를 갖는다. 메타 데이터에는, 클라이언트가 콘텐츠를 취득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자, 즉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 포함된다. 클라이언트는, 콘텐츠 정보 취득 수속에 의해 비디오 캡슐(309)의 URL, 즉 비디오 캡슐 URL을 취득하여, 비디오 캡슐 URL을 지정한 콘텐츠 요구를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비디오 캡슐에 대응하는 비디오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튜너 컨테이너(305)에도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URL로서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다. 즉, 튜너 수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로서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다.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306)의 자로서 존재하는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모든 콘텐츠의 취득, 제어권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정된 URL이다.
종래의 시스템이라면, 아이템인 채널마다 URL이 설정되어, 클라이언트는, 채널 전환에 부합하여 URL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필요로 되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채널의 집합체로서의 채널 리스트에 URL을 설정하여, 클라이언트가, 채널 리스트 URL을 지정한 콘텐츠 취득 요구를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채널 리스트에 리스트 업된 채널, 즉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서, 튜너 컨테이너의 하위에 설정된 채널 아이템의 모든 콘텐츠의 취득, 즉 제어권을 통합하여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채널 리스트에 리스트된 채널 사이의 전환에서는,새로운 URL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를 행할 필요가 없다. 이들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콘텐츠 검색을 실행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계층이나 오브젝트 집합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지정한 「서치」, 혹은 특정한 오브젝트의 지정으로서의「브라우즈」를 서버에 요구함으로써, 콘텐츠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를 기술한 XML 데 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콘텐츠 정보 리스트의 표시 처리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콘텐츠 No, 타이틀, 아티스트명, 채널, 콘텐츠 URL을 리스트화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 콘텐츠 정보 리스트(357)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캡슐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콘텐츠 정보는, 도 4 중의 콘텐츠 No. [0001], [0002]의 콘텐츠이고,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콘텐츠 정보는, [0003], [0004]와 같이 채널 리스트인 것과, 채널 리스트에 포함되는 채널 정보, 및 채널 리스트 URL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콘텐츠 정보는, 서버가 관리하는 콘텐츠 대응의 메타 데이터의 구성 요소로서의 프로퍼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서치」 또는 「브라우즈」 요구에 기초하여 조건에 일치하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의 프로퍼티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프로퍼티 정보에 기초하여 XML 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의해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퍼티 정보에 기초한 XML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XML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클라이언트측의 유저는 이들 리스트로부터 재생 대상 콘텐츠를 선택하여, 선택 콘텐츠 지정 정보, 예를 들면 콘텐츠 URL을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서버로부터 콘텐츠, 즉 음악이나 영화, 혹은 사진 등, 다양한 콘텐츠가 송신되어 클라이언트측에서 재생, 출력이 실행된다.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를 행하면, 채널 리스트에 리스트된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통합하여 취득, 즉 URL 전환을 행하지 않고, 채널 전환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되는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 포함된다.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콘텐츠 URL 혹은 링크 데이터를 유저가 지정(클릭)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콘텐츠 취득 요구인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GET 메소드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가 콘텐츠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에 의한 콘텐츠 재생 처리]
콘텐츠를 재생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요구를 행하고, 요구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콘텐츠 재생의 수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1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 정보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스텝 S12에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서 콘텐츠 대응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s) 일람, 콘텐츠의 타이틀, 아티스트명 등의 콘텐츠 정보를 XML(eXtended Markup Language) 데이터에 의해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는, 스텝 S13에서, 수신 XML 정보에 따라서, 콘텐츠 정보를 디스 플레이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이면, 서버가 보유하는 복수의 음악에 대응하는 곡명, 아티스트명, 재생 시간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로서 표시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는 스텝 S14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곡을 선택하고, 콘텐츠 지정 정보로서의 콘텐츠 URL을 지정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스텝 S15에서, 수신한 콘텐츠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송신한다. 스텝 S16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콘텐츠가 ATRAC, MPEG 등의 압축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서버 혹은 클라이언트측에서 복호 처리를 행한 후에 송신 혹은 재생 처리를 행한다.
통상의 콘텐츠 재생 수순은, 전술한 바와 같다.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콘텐츠 속성 정보, 즉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 대응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로퍼티 정보를 취득하고, 프로퍼티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에 콘텐츠 리스트 등의 UI를 표시하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서버에 요구할 수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배신 처리]
서버의 하드디스크 등에 미리 저장한 콘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가 콘텐츠 대응의 URL을 지정한 콘텐츠 요구를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콘텐츠의 취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 내의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각 채널의 데이터에 각각 URL을 설정하여, URL 지정에 기초한 콘텐츠 제공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클라이언트에 의한 채널 전환 시에, 전환 후의 채널에 대응한 URL을 설정한 HTTP-GET 메소드를 서버에 송신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 결과,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신구 URL에 기초한 커넥션의 절단 및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쌍방의 부하가 과대해져서, 채널 전환마다 통신의 중단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채널의 집합체인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고, 채널 리스트를 1개의 콘텐츠로 가정하여 1개의 콘텐츠 URL을 채널 리스트에 대해 설정하여 관리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하, 본 구성에 기초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배신 처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기능을 갖고, 튜너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배신하는 구성을 갖는 서버의 구성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400)는, 클라이언트(460)에 대하여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요구 콘텐츠를 송신하고, 유저(470)는, 클라이언트(460) 디바이스에 구비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하여 콘텐츠를 시청한다. 또한, 도 6에서는, 클라이언트(460)를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서버(400)에 대하여 접속하는 클라이언트는 복수이고,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400)로부터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443)에 저장한 콘텐츠의 제공, 또한 튜너(4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지상파 방송 데이터, 위성 방송 데이터, 케이블 TV 데이터, 인터넷 배신 데이터 등, 다양한 외부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60)에 대하여 송신한다. 서버(400)와 클라이언트(460) 사이의 통 신 네트워크는,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무선 등 중의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이더넷(등록 상표) 프레임 등의 통신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한다. 즉, 클라이언트(460)는,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부에 처리 요구 정보를 저장한 프레임을 서버(400)에 송신함으로써, 서버(400)에 대한 데이터 처리 요구를 실행한다. 서버(400)는, 처리 요구 프레임의 수신에 부합하여,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처리 결과로서의 결과 데이터를 통신 패킷의 데이터부에 저장하여, 각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한다.
서버(400)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튜너(410)는, 지상파 방송 데이터, 위성 방송 데이터, 케이블 TV 데이터, 인터넷 배신 데이터 등, 다양한 외부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수신부이다. 튜너(410)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 내의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에 설정되는 배신 콘텐츠마다의 콘텐츠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로서의 AVT 인스턴스(AV-Transport Instance)(433)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어 인스턴스란, 제어 대상 하드웨어 등의 제어 오브젝트의 설정이 가능하고, 또한 설정 오브젝트에 부합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이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해당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 대상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어 오브젝트의 제어가 실행된다.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는, 배신 콘텐츠마다, 콘텐츠 배신 제어 실행부로서의 AVT 인스턴스(AV-Transport Instance) #1∼#n(433)을 설정한다. 각 AVT 인스턴스(433)는, 각각 특정한 콘텐츠의 배신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이브 스트리밍용의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는, 튜너를 통하 여 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만의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송신 개시, 종료, 혹은 채널 전환 등의 지시를 클라이언트(460)로부터 받아, 채널 전환 등의 제어를 튜너(410)에 대하여 실행한다.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에 설정되는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 외에, 예를 들면, 서버 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비디오 콘텐츠인 비디오 캡슐의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나, 서버에 장착된 DVD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DVD 컨트롤 인스턴스 등이 있다. 이들 각 AVT 인스턴스가, 특정한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한다.
각 AVT 인스턴스에는, 제어 대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즉 콘텐츠 식별자로서의 콘텐츠 URL이 설정된다. 콘텐츠 URL은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자이다.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는, 비디오 캡슐에 설정된 비디오 캡슐 URL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는 튜너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다. AVT 인스턴스(433)는, 자기에게 설정된 URL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콘텐츠와 관계 지어진다. 또한, URL이 설정된 AVT 인스턴스는, 자기의 식별자로서의 AVT 인스턴스 ID를 갖는 것으로 된다. 이들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는,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복수 콘텐츠를 제어 콘텐츠의 1 단위로서 설정하여, 1개의 AVT 인스턴스를 어사인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 어 요구를 AVT 인스턴스가 수신하고, AVT 인스턴스가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CMS)(431)는, 클라이언트(460)에게 라이브 스트리밍 제어부(430)의 입력 프로토콜 정보를 전한다. 또한, 클라이언트(460)로부터 제시된 프로토콜 정보에 기초하여, AVT 인스턴스(433)를 어사인하여 클라이언트(460)에게 통지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콘텐츠 요구에 부합하여, AVT 인스턴스(433)의 어사인(할당) 처리를 실행하고, 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AVT 인스턴스 ID를 클라이언트(460)에게 통지한다. 이 때,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 식별자로서의 커넥션 ID도 클라이언트(460)에게 통지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이들 데이터를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의한 전술한 처리 후,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AVT 인스턴스(433)에 대한 요구에 의해, 전술한 콘텐츠 URL 및 AVT 인스턴스 ID가 AVT 인스턴스(433)에 설정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의한 AVT 인스턴스(433)의 어사인 처리 및 클라이언트(460)에 의한 URL 세트 처리에 의해, 콘텐츠 대응의 URL이 설정되고, URL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의 배신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된 AVT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수신하면, 그 제어 커맨드에 따른 콘텐츠 제어를 실행한다. 이 크라이언트(460)의 서버 사이에서의 콘텐츠 배신 제어 처리 에는, 예를 들면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460)는, XML 데이터에 따른 기술 데이터를 생성하여 AVT 인스턴스(433)에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각 AVT 인스턴스(433)에 통지되어, AVT 인스턴스(433)가 수신 정보에 기초한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개시, 종료, 채널 전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제어 정보로서, 채널 전환 지시 정보가 입력되면,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로부터, 제어 정보가 튜너(410)에 입력되어 튜너(410)가 특정한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튜너 수신 콘텐츠의 배신용 커넥션은,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커넥션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튜너 수신 콘텐츠의 전환으로서 실행되는 채널 전환 전후에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HTTP 커넥션을 계속적으로 사용한 콘텐츠 배신을 실행한다.
튜너(410)의 수신 데이터는, 예를 들면 부호화 데이터(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인 경우도 있고 미처리의 데이터인 경우도 있다.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는, 데이터 송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특정한 부호화 데이터로서 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46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일 필요가 있다. 코덱(420)은, 튜너(410)의 수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60)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 양태로 변환 한다. 코덱(420)은, 데이터의 인코드 및 디코드 기능을 갖는다. 코덱(420)에서 생성된 변환 데이터가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되어, 재생된다.
코덱(420)에서 어떠한 데이터 변환을 행할지는, AVT 인스턴스(433)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의해 결정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요구 정보를 AVT 인스턴스(433)가 수령하고, AVT 인스턴스(433)로부터의 제어 정보가 코덱(420)에 입력되어 코덱(420)이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변환을 실행한다.
콘텐츠 관리부(미디어 서버)(440)는, 콘텐츠 홀더로서 기능한다.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443),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기초하여 콘텐츠 대응의 메타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고,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콘텐츠 서치, 브라우즈 등의 처리 요구에 응답하여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를 갖는다.
데이터베이스(443)에는, 미리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콘텐츠의 정보뿐만 아니라, 튜너를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채널 정보 등의 관리 정보도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어,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튜너에 관한 콘텐츠 정보 취득 요구를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수신한 경우에는, 서버의 수신 가능한 채널 정보, 복수의 채널의 집합으로서 설정되는 채널 리스트에 대응 지어진 채널 리스트 URL 등의 정보를 클라이언트(460)에게 제공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취급하는 콘텐츠용의 메타 데이터로서,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용의 URL이나 코덱 정보, 프로토콜 정보 를 데이터베이스(443)에 유지하고 있어,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이들 정보를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한다.
또한, 서버가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배신 가능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460)는,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의 프로토콜 정보에 의해 알 수 있다. 프로토콜 정보에는, 튜너의 제어에 의한 콘텐츠 배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펑션 ID(funcID))가 설정되고, 클라이언트에서는, 펑션 ID에 기초하여 튜너를 통한 라이브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펑션 ID는, 튜너 제어, DVD 제어, 하드디스크 제어 등, 콘텐츠 처리를 위한 제어 대상마다 설정되는 ID로서, 튜너가 2개 있으면 각각 상이한 펑션 ID, 예를 들면 funcID=a, funcID=b와 같이 상이한 ID가 설정되어, 튜너 식별 정보로서도 이용된다.
클라이언트(460)는,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의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수신의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콘텐츠 정보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431)에 송신한다. 이들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후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에서, AVT 인스턴스(433)가 어사인되어, 클라이언트는, AVT 인스턴스(433)에 대하여 배신 콘텐츠에 대한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의 일시 정지(STOP)나, 채널 전환(SEEK) 등의 각종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440) 내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CMS)(441)는, 클라이언트(460)에게 콘텐츠 관리부(440)의 출력 프로토콜 정보를 전하는 등, 클라이언트 (460)와, 콘텐츠 관리부(440) 사이의 통신 제어 서비스를 행한다. 서버(400)와의 접속 클라이언트(460)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460)마다의 커넥션 ID 관리를 실행하고, 각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요구를 식별하여 대응한다.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서의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관련의 메타 데이터에 관한 오브젝트 관리 구성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계층 구성의 디렉토리에서 관리하고 있다. 도 7은,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서 관리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관련의 메타 데이터의 관리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루트 컨테이너(481)의 하단에 튜너 컨테이너(482)가 설정된다. 또한, 튜너 수나, 채널 리스트 URL의 설정 양태에 부합하여, 디렉토리에 설정되는 튜너 컨테이너의 설정 양태는 달라진다. 이들 형태에 대하여는,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튜너 컨테이너(482)의 자로서 설정되는 아이템에, 개개의 채널(483, 484, 485)이 설정된다.
컨테이너, 아이템에는 각각 콘텐츠 속성 정보로서의 메타 데이터가 대응 지어지고,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서치나, 브라우즈 등의 콘텐츠 정보 요구에 부합하여 이들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콘텐츠 정보가 서버로부터 제공된다.
튜너 컨테이너(482)에는, 채널 리스트 URL, 프로토콜 정보 등이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채널 아이템(483, 484, 485)에는, 예를 들면 채널의 이름(도쿄 텔레비전, ABC 텔레비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튜너 컨테이너(482)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되는 채널 리스트 URL은, 예를 들면 지상파 1∼12 채널만을 수신 가능한 튜너인 경우는, 1∼12 채널의 12개의 채널을 리스트화한 1개의 채널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URL로서 설정된다. 지상파, BS, CS등의 위성 방송 등의 채널(1∼n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튜너인 경우는, 1∼n 채널의 n채널을 리스트화한 1개의 채널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URL로서 설정된다.
또한, 지상파의 채널 리스트, BS용의 채널 리스트, CS용의 채널 리스트 등, 카테고리마다 구분한 채널 리스트를 설정하여, 각각에 상이한 채널 리스트 URL을 설정해도 된다.
이들 채널 리스트 URL은, 클라이언트(460)로부터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에 대한 서치나 브라우즈를 적용한 콘텐츠 정보 취득 처리에 의해 클라이언트(460)가 취득 가능하다.
클라이언트(460)는 취득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콘텐츠 취득을 행함으로써, 채널 리스트에 설정된, 예를 들면 1∼12 채널 사이의 전환 제어를 그 1개의 URL에 기초하여 실행 가능하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460)는 채널 리스트 URL에 의한 콘텐츠 취득에 의해, 채널 리스트에 리스트 업된 모든 스트리밍 데이터의 제어권을 통합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채널마다의 URL 설정이 아니라, 복수의 채널을 통합하여 그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채널의 집합으로 한 채널 리스트에 콘텐츠 URL을 설정했다. 따라서, 채널 리스트에 리스트업된 채 널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제어권을 통합하여 클라이언트(460)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460)는, 채널 리스트에 기초한 제어권을 갖는 경우에는, 리스트에 있는 채널 사이의 전환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채널 전환 등의 제어 명령을 콘텐츠 배신 제어부(432)에 송신하는 것만으로, 채널 전환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신구 URL의 전환에 기초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의 재설정 등의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컨테이너(482)의 자로서는, 튜너 컨테이너(482)가 갖는 채널 리스트 URL에 설정된 각 채널, 예를 들면 지상파 1∼12 채널의 각각이 자 아이템으로서 설정된다. 각각의 아이템에는 각 채널의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된다.
도 8에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메타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데이터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에 대한 콘텐츠 정보 요구에 부합하여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되는 XML 데이터의 예이다.
도 8a가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이고,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보를 갖는다.
<container id="ch-list" parent ID="-1" restricted="1" …>
<dc:title> 지상파 채널 일람</dc:title>
<upnp:class> object.container.function.avVideoTuner</upnp:class>
<av:allowedOperation>P1ay</av:allowedOperation>
<av:eventingURI>http://1.2.3.4:56000/SENA?id=live</av:eventingURI>
<res protocolInfo="http-get:*:video/mpeg:func-id=t01"av:codec="MPEG1V" …>
http://1.2.3.4:56000/liveoutUrl
</res>
</container>
상단부터, 컨테이너 ID, 타이틀, 클래스에 관한 데이터, 또한 허용 처리[al1owed0peration], 이벤트 통지용 URL[eventingURI], 프로토콜 정보[protocolInfo] 등이 튜너 컨테이너의 콘텐츠 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벤트 통지란, 예를 들면 스테레오/모노럴의 전환, 2개국어 방송의 전환 등,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클라이언트(460)에게 통지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되는 URL이고, 클라이언트(460)는, 이벤트 통지용 URL을 지정한 이벤트 통지 요구를 서버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콘텐츠 배신에 병렬하여 다양한 이벤트 통지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의 데이터부(491)에 나타낸 프로토콜 정보[protocolInfo] 중의 펑션 ID [func-id=t01]는, 이 콘텐츠가 라이브 스트리밍용의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즉 튜너를 적용한 제어에 의한 콘텐츠 배신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펑션 ID는, 튜너 제어, DVD 제어 등, 콘텐츠 배신을 위한 제어 대상마다 설정되는 ID이고, 튜너가 2개 있으면 각각 상이한 펑션 ID, 예를 들면 funcID=a, funcID=b와 같이 다른 ID가 설정된다. 도 8의 데이터부(492)에 나타낸 [http://1.2.3.4:56000/liveoutUrl]이, 채널 리스트 URL이다.
도 8b가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정보이고,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정보를 갖는다.
<dc:title>도쿄 텔레비전</dc:title>
<upnp:class>object.item.videoItem.videoBroadcast.avChannel
</upnp:c1ass>
<upnp:channelName>도쿄 텔레비전</upnp:channelName>
<upnp:channelNr>8</upnp:channelNr>
</item>
상단부터, 타이틀, 클래스, 채널명, 채널 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클라이언트(460)는,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튜너 컨테이너에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에 의해, 어떠한 범위의 채널 제어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460)는, 도 8에 나타낸 콘텐츠 정보로 이루어지는 XML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 일람 리스트를 클라이언트(46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실행되는 채널 리스 트 URL에 기초한 스트리밍 데이터 배신 처리 시퀀스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460)는, 서버가 보유하고, 클라이언트(460)에게 제공 가능한 콘텐츠를 조사하기 위해, 스텝 S101에서,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정보를 취득한다. 콘텐츠 검색을 실행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460)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계층이나 오브젝트 집합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지정한 「서치」, 혹은 특정한 오브젝트의 지정으로서의 「브라우즈」를 서버에 요구함으로써, 콘텐츠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라우즈 또는 서치는, 콘텐츠 관리부(440)(도 6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실행되고,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443)로부터 각 오브젝트 대응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XML 데이터를 생성하여 콘텐츠 정보로서 클라이언트(460)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튜너 컨테이너에 관한 콘텐츠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는,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에 기초한 정보가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정보는, 1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이고, 클라이언트(460)가, 튜너 컨테이너 및 자 아이템으로서의 전체 채널의 정보를 요구한 경우에는, 튜너 컨테이너의 자 아이템으로서 설정되는 채널 수에 대응하는 수의 도 8b에 나타낸 정보가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클라이언트(460)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를 기술한 XML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 정보이다.
클라이언트(460)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funcID)
채널 정보를 취득한다.
클라이언트(460)는, 다음으로, 스텝 S102에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이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에 입력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 즉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의 일람을 요구하는 처리이다.
스텝 S103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을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한다. 이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의 프로토콜로서의 MPEG나, 오디오 데이터의 ATRAC 등,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로 처리 가능한 다양한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튜너(410)의 수신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서버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인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즉, schema란(제1 컬럼)이 [internal]인 것이 포함된다. 이 프로토콜 정보는, 내부의 콘텐츠 관리부(미디어 서버)(440)와의 논리 커넥션이,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준비(PrepareForConnection)에 의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이 프로토콜 정보에도 펑션 ID가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펑션 ID는, 튜너 제어, DVD 제어 등, 콘텐츠 배신을 위한 제어 대상마다 설정되는 ID로서, 스텝 S101에서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정보에도 포함된다. 여기서는, 펑션 ID [func-id=t01]이 튜너(410)를 적용한 콘텐츠 배신에 대응하는 펑션 ID로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04에서, 클라이언트(460)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서버에 접속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커넥션 ID를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각 클라이언트에게 배신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등을 대응 지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커넥션 관리 테이블을 유지하여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고 있다.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커넥션 정보의 취득 요구에 부합하여, 이들 정보를 클라이언트(460)에게 제공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커넥션 정보 통지 처리는, 클라이언트(460)가 다른 클라이언트(460)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실행하는 것으로서, 생략하여도 된다.
스텝 S105에서, 클라이언트(460)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460)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먼저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로부터 수령한 콘텐츠 정보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펑션 ID(funcID)와 일치하는 펑션 ID를 갖는 프로토콜 정보를 송신하면 된다.
스텝 S105의 접속 준비(PrepareForConnection)의 송신에서, 클라이언트(460)는, 전술한 프로토콜 정보 취득(S103)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수령한 라이브 스트리밍에 관한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을 송신한다.
클라이언트(460)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의 요구라고 판단하고,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433)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에 대한 커넥션 ID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도 10에 나타낸 커넥션 관리 테이블, 즉 각 접속 클라이언트(460)마다의 커넥션 ID와 AVT 인스턴스 ID, 프로토콜 정보의 대응 데이터를 갖고, 이것을 커넥션 관리 정보로서 관리하고 있다.
스텝 S106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460)에 대하여, 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AVT 인스턴스 ID, 및 클라이언트(460) 서버 사 이의 커넥션에 대하여 설정한 커넥션 ID 정보를 통지한다. 클라이언트(460)는 이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 S107에서, 클라이언트(460)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의해 어사인된 AVT 인스턴스에 의한 콘텐츠 배신 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한 처리로서, 어사인된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발행한다.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AVT 인스턴스 ID와, 스텝 S102의 처리에서 취득한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채널 리스트 URL이 포함된다.
AVT 인스턴스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 지정된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자기의 제어 대상 콘텐츠 및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클라이언트가 AVT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이고, 채널 리스트 URL이 제어 대상 콘텐츠로 된다.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의 대응 콘텐츠이고, 채널 리스트 URL을 세트한 AVT 인스턴스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하는 인스턴스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460)는 스텝 S108 이후에서,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실행할 수 있다. 스텝 S108에서는, 재생(Play) 요구를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다. 이 제어 요구는, 예를 들면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SOAP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460) 는, XML 데이터에 따른 기술 데이터를 생성하여 AVT 인스턴스(433)에 송신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기초한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개시, 종료, 채널 전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세트된 콘텐츠 URL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콘텐츠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제어 대상 콘텐츠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URL은 채널 리스트 URL이고,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이고,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108의, 재생(Play) 요구를 AVT 인스턴스(433)가 수령하면,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튜너 수신 데이터의 클라이언트(460)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
스텝 S109에서는, 채널 설정(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다. 이 요구에는,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번호가 포함된다. 채널 설정(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433)가 수령하면,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고, 튜너의 채널을 설정하여 수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한다.
스텝 S110은, 이하 계속하여 실행되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111은, 이벤트 통지 처리(SENA)가 콘텐츠 배신과 병렬하여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란, 예를 들면 스테레오/모노럴의 전환 등과 같이 배신 콘텐츠에 관한 정보이고, 클라이언트(460)로부터의 이벤트 URL에 기초한 이벤트 통지 요구에 기초하여 서버가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는 처리이다.
채널 전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채널 전환 처리는,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중에 실행한다. 스텝 S201에서,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및 이벤트 통지가 실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02에서, 클라이언트(460)는 채널 전환(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발행한다. 이 제어 요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클라이언트(460)는, XML 데이터에 따른 기술 데이터를 생성하여 AVT 인스턴스(433)에 송신한다. 이 요구에는, AVT 인스턴스 ID와 전환 채널 번호가 포함된다. 채널 설정(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433)가 수령하면,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고, 튜너의 채널을 전환하여 수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한다.
그 후, 스텝 S203에서, 전환 후의 채널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및 이벤트 통지가 실행된다.
이 채널 전환의 전후에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HTTP 커넥션은, 동일한 URL, 즉 동일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이기 때문에,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는 커넥션이 유지된 채로 채널 전환이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채널 리스트 중의 채널을 전환할 때는,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채널 전환 요구(AVT Seek action)를 행한다. 이 때, 채널 전환 요구(AVT Seek action)를 행한 클라이언트(460)뿐만 아니라, 동일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이용하고 있는 클라이언트도, HTTP 커넥션을 절단하는 일 없이 콘텐츠가 변경된다.
또한,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되는 화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 등의 부호화 데이터로 한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전환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무조건 송신 데이터의 전환을 실행하면,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 패킷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정합한 부호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측에서 디코드(복호)하면 디코드 에러에 의해 콘텐츠 재생 에러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MPEG-2 시스템에서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개별 데이터 스트림인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복수 결합하고, 또한 제어 정보를 헤더에 저장한 팩(Pack)을 1개의 처리 단위로 하고 있다. 따라서, 팩(Pack)을 구성하는 PES 패킷의 일부를 송신 중에, 채널 전환을 실행하여, 송신 데이터를 변경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디코드할 때의 1개의 처리 단위인 팩(Pack)에 누락이 발생하여, 재생 에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서버의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채널 전환 요구에 기초한 송신 데이터의 변경에 의해, 송신 부호화 데이터의 정합성의 유지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정합성이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스트림 배신용의 접속 커넥션, 즉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을 절단한다. 서버는, 또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이벤트 통지용 커넥션을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 배신용의 접속 커넥션이 절단된 것을 통지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커넥션 절단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차,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을 설정하는 처리, 즉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GET 메소드를 서버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AVT 인스턴스(튜너 컨트롤 인 스턴스(433))의 설정 상태는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새로운 어사인, URI 세트 등의 설정 처리는 생략 가능하다.
혹은,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채널 전환 타이밍에 기초하여 무조건 채널 전환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채널 전환 요구 수신 후,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 가능한 타이밍을 대기하여, 정합성을 유지 가능한 타이밍에서 클라이언트에 대한 송신 데이터의 전환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전환 타이밍의 제어는, 코덱(420)의 데이터 인코드 상황을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입력하여,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타이밍 제어 하에 튜너(410)의 채널 전환을 실행함으로써 행한다.
서버측에서 이러한 채널 전환 타이밍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측에서의 디코드 에러의 발생이 방지되어,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채널 전환 전의 데이터 및 채널 전환 후의 데이터 재생을 정상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및 이벤트 통지가 실행되어 있다고 한다.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처리를 종료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460)는, 스텝 S302에서,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송신한다. 커넥션 ID는, 도 9의 시퀀스도의 스텝 S106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수령한 것이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 (46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의 절단을 행하고,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대응 엔트리를 삭제한다.
또한, 클라이언트(460)는 동일한 AVT 인스턴스를 사용하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의 존재를 아는 것이, 스텝 S104의 조회 처리에 의해 가능하다. 이 체크를 미리 행함으로써, 어떤 펑션 ID(func-id)를 선택하면 비어 있는 AVT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체크를 행하여, 다른 클라이언트를 배려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든 AVT 인스턴스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등은, 채널 변경시에 「다른 사람이 시청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말로 괜찮습니까?」 등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460)에게 송신하고, 클라이언트(460)에서 메시지 표시 UI를 생성하여 제시함으로써,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네트워크에서, 다른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부주의하게 제어하는, 예를 들면 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텝 S104의 커넥션 정보 취득 처리의 상세 내용은, 이하와 같다. 우선,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현 접속 커넥션 ID 요구(GetCurrentConnectionIDs)를 행한다. 복귀 값으로서 현재 액티브한 커넥션 ID(ConnectionID)의 일람이 되돌아온다. 각각의 커넥션 ID를 이용하여 커넥션 정보 요구(GetCurrentConnectionInfo)를 행하면, 그 커넥션 ID로 어사인되어 있는 프로토콜 정보(ProtocolInfo)를 알 수 있다. 이 프로토콜 정보의 추가 정보(AdditionalInfo)에 기재되는 펑션 ID(func-id)가 자신이 사용하려고 하고 있는 펑 션 ID와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내부 자원(튜너 등)을 취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460)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CMS)(431)에 대하여 AVT 인스턴스를 어사인해 받고, 그 AVT 인스턴스에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URL을 세트함으로써, 그 URL에 기초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에서, 설정 가능한 AVT 인스턴스의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CMS)(431)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AVT 인스턴스의 설정을 제어한다.
이미 제한 수의 AVT 인스턴스가 어사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CMS)(431)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새롭게 AVT 인스턴스를 요구받았을 때에는, 오래된 커넥션이 우선한다. 즉, 오래된 커넥션에 기초하여 설정된 AVT 인스턴스를 새로운 요구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AVT 인스턴스의 한도 수의 얘기로서, 동일한 AVT 인스턴스를 취급하는 요구였던 경우에는, 가령 이미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있더라도, 상이한 커넥션 ID로 동일한 AVT 인스턴스 ID를 새롭게 제공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1개의 AVT 인스턴스에 기초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 AVT 인스턴스의 제어를 2개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실행 가능하고, 어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제어 명령, 예를 들 면 채널 전환 처리나 그 1개의 AVT 인스턴스의 제어 하에 유효하게 실행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가, AVT 인스턴스-#0과 AVT 인스턴스-#1의 2개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1개의 AVT만 동작할 수 있는 서버인 경우의 처리는, 예를 들면 이하의 a∼f와 같이 실행된다.
a. 최초로, 클라이언트 1로부터 AVT-#0를 어사인하도록 요구
b. 커넥션 ID-1에 AVT 인스턴스 ID-#0를 어사인
c.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2로부터 AVT-#0를 어사인하도록 요구
d. 커넥션 ID-2에 AVT 인스턴스 ID-#0를 어사인
e.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1로부터 AVT-#1을 어사인하도록 요구
f. 클라이언트 1에게 에러를 되돌린다
이러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AVT 인스턴스의 설정 수의 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 URL은,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로부터 얻는 것이 가능하다. 튜너가 플레이 상태, 즉 클라이언트에 대한 콘텐츠 배신 상태에 있을 때는, 이 채널 리스트 URL에 이미 HTTP-GET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를 행하고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서버가 복수 클라이언트 대응시에 한함)는, 채널 리스트 URL이 AVT 인스턴스로 세트됨과 동시에 튜너의 스트리밍을 얻을 수 있다.
즉,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스트리밍을 단순히 모니터하고 싶은 경우에는, AVT 인스턴스의 설정을 실행하지 않고, 스트리밍용 URL 즉,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로부터 취득한 채널 리스트 URL을 설정한 HTTP-GET 메소드를 발행하는 것만으로, 튜너의 스트리밍을 얻을 수 있다.
서버(400)의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튜너(410)가 수신하는 복수 채널의 콘텐츠의 배신 제어를 AVT 인스턴스의 제어 하에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동일한 채널 리스트 URL을 지정한 콘텐츠 요구로서의 HTTP-GET 메소드를 수신한 경우, 그 요구 클라이언트는, AVT 인스턴스의 설정을 행하지 않고,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에 의해,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튜너 수신 콘텐츠의 배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복수 튜너를 갖는 서버]
전술한 예는, 서버에 튜너가 1개만인 예이지만, 복수의 튜너를 탑재한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 튜너에 대응하여 채널 리스트 URL이 대응 지어지고, 또한 각각 상이한 AVT 인스턴스가 설정되어 제어가 실행된다. 도 13에 튜너를 2개 갖는 서버에서의 처리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튜너 A(511),코덱 A(512)를 통하여 1개의 스트리밍 콘텐츠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되고, 또한 튜너 B(521), 코덱 B(522)를 통하여 다른 1개의 스트리밍 콘텐츠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콘텐츠 배신 제어부(50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530)는, 각각의 튜너 제어를 실행하는 AVT 인스턴스를 개별적으로 어사인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1)는, 튜너 A(511)의 제어를 실행하고,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2)는, 튜너 B(521)의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1)에 세트되는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A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URL(A)이고,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2)에 세트되는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B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URL(B)로 된다.
각각의 튜너를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는, 각각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1) 또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532)에 대응하는 AVT 인스턴스 ID를 갖고, 각각의 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제어가 가능하여, 각각 독립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튜너와 채널 리스트의 대응 지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되는 채널 리스트 URL에 의해 결정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튜너 1개에 대하여 1개의 채널 리스트 URL을 대응 지은 예를 설명했지만, 튜너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튜너와 채널 리스트 URL의 대응 지음 양태는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2개의 튜너가 있는 경우에서, 각각의 튜너가 지상파, BS 쌍방과도 수신 가능한 경우에는, 1개의 튜너 컨테이너를 설정하고, 2개의 채널 리스트 URL을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 가능하게 된다. 튜너 컨테이너(601)에는 지상파 채널 아이템(602)과, BS 채널 아이템(603)이 자 아이템으로서 설정된다.
튜너 컨테이너(601)의 메타 데이터로서, 채널 리스트 URL1(funcID=a)과, 채널 리스트 URL2(funcID=b)의 2개의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튜너 컨테이너(601)의 콘텐츠 정보로서 2개의 채널 리스트 URL, 및 그 채널 정보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는, 지상파를 시청하고 싶은 경우에는, 지상파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예를 들면 채널 리스트 URL1(funcID=a)을 선택하여, 도 9에 나타낸 처리 시퀀스에서의 스텝 S107의 AVT 인스턴스의 세트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BS파를 시청하고 싶은 경우에는, BS파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 예를 들면 채널 리스트 URL2(funcID=b)를 선택하여, 도 9에 나타낸 처리 시퀀스에서의 스텝 S107의 AVT 인스턴스의 세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인 경우, 스텝 S103에서의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431)로부터 송신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전술한 2개의 채널 리스트 URL의 펑션 ID에 대응하는,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a]와,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b]의, 2개의 튜너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 콘텐츠에 관한 2개의 프로토콜 정보가 각각 클라이언트에게 통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지상파 BS 겸용 수신 튜너가 2개 있는 경우에서, 한쪽을 지상파 전용, 다른 쪽을 BS전용으로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튜너 컨테이너(611, 621)가 설정된다. 지상파 튜너 컨테이너(611)에는 복수의 지상파 채널 아이템(612)이 설정된다. BS 튜너 컨테이너(621)에는 복수의 BS 채널 아이템(622)이 설정된다.
각각의 튜너 컨테이너에 설정하는 채널 리스트 URL을 1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튜너 컨테이너의 각각에 2개의 채널 리스 트 URL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어떤 클라이언트가 1개의 튜너를 적용하여 지상파의 어떤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다른 클라이언트가 다른 튜너를 이용하여 다른 지상파 채널을 시청하는 것, 마찬가지로 상이한 2개의 BS 채널, 혹은 1개는 지상파, 다른 쪽은 BS라는 각 타입의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지상파를 2개의 튜너를 통하여 시청하는 경우에는, 지상파 컨테이너(61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l1(funcID=a)과,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l2(funcID=b)를 각각 상이한 AVT 인스턴스로 세트하여, 각각이 상이한 튜너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2개의 지상파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2개의 BS파를 2개의 튜너를 통하여 시청하는 경우에는, BS파 컨테이너(62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BS1(funcID=a)과, 채널 리스트 URL-BS2(funcID=b)를 각각 상이한 AVT 인스턴스에 세트하여, 각각이 상이한 튜너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2개의 지상파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지상파와 BS의 경우는, 지상파 컨테이너(61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l1(funcID=a)과, BS파 컨테이너(62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BS2(funcID=b), 혹은 지상파 컨테이너(61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12(funcID=b)와, BS파 컨테이너(62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BS1(funcID=a)의 조합에 의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상파 및 BS파의 콘텐츠가 각각 상이한 튜너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또한, 2개의 튜너 중, 1개는 지상파 전용 튜너이고, 다른 쪽은 지상파 BS 겸용 튜너인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채널 리스트 URL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튜너 컨테이너(631, 641)가 설정된다. 지상파 튜너 컨테이너(631)에는 복수의 지상파 채널 아이템(632)이 설정된다. BS 튜너 컨테이너(641)에는 복수의 BS 채널 아이템(642)이 설정된다.
지상파 튜너 컨테이너(631)에는 2개의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되어, 2개의 채널 리스트 URL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상파에 대해서만, 2개의 튜너를 이용하여 동시에 스트리밍 배신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지상파를 2개의 튜너를 통하여 시청하는 경우에는, 지상파 컨테이너(63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l1(funcID=a)과,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l2(funcID=b)를 각각 상이한 AVT 인스턴스에 세트하여, 각각이 상이한 튜너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2개의 지상파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지상파와 BS의 경우는, 지상파 컨테이너(61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Terrestria12(funcID=b)와, BS파 컨테이너(621)에 있는 채널 리스트 URL-BS1(funcID=a)의 조합에 의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상파 및 BS파의 콘텐츠가 각각 상이한 튜너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처리 플로우]
튜너 수신 데이터의 라이브 스트리밍 처리에서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각각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17 및 도 18의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에서의 처리를 도 17의 처리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스텝 S501에서,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정보의 취득 요구를 실행한다. 이것은, 콘텐츠 관리부(440)(도 6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실행한다.
스텝 S502에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튜너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실행하기 위해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서,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 처리에 의해,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 채널 정보가 취득된다.
클라이언트는, 다음으로, 스텝 S503에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504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프로토콜 정보 일람을 수신한다. 이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스텝 S505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506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 밍 데이터의 배신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스텝 S502에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로부터 수령한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 중의 펑션 ID(funcID)와 일치하는 펑션 ID를 갖는 프로토콜 정보를 송신한다.
스텝 S507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ID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를 수신한다.
스텝 S508에서, 클라이언트는, 어사인된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발행한다.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AVT 인스턴스 ID와, 스텝 S502에서 취득한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채널 리스트 URL이 포함된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AVT 인스턴스에 의한 튜너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정 처리이다. 이 이후는, 클라이언트는,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제어 요구를 발행함으로써, 콘텐츠 송신, 정지, 채널 전환 등의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스텝 S509에서, 클라이언트는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Play) 요구, 채널 전환(Seek) 요구이다. 클라이언트는, XML 데이터에 따른 기술 데이터를 생성하여, 각종 제어 정보를 AVT 인스턴스(433)에 송신한다.
스텝 S510에서 클라이언트측 유저가 채널 전환을 행하고 싶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11에서, 클라이언트는 채널 전환(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발행한다. 이 제어 요구에는, AVT 인스턴스 ID와 전환 채널 번호를 저장한다. 스텝 S512에서, 접속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송신한다. 커넥션 ID는, 스텝 S507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수령한 것이다.
다음으로, 서버측의 처리에 대하여, 도 18의 처리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601에서, 콘텐츠 관리부(440)(도 6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의 취득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한다.
스텝 S602에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를 송신한다.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로서,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funcID),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스텝 S603에서, 서버의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604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인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스텝 S605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에게,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커넥 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도 10에 나타낸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기초하여 커넥션 정보를 제공한다.
스텝 S606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에는, 먼저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442)가 송신한 콘텐츠 정보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펑션 ID(funcID)가,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를 수신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의 요구라고 판단하고, 스텝 S607에서,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433)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고, 접속 준비 요구를 송신해 온 클라이언트에 대한 커넥션 ID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고,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와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 도 10에 나타낸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대한 엔트리 설정을 행하여, 스텝 S608에서, 커넥션 ID와 AVT 인스턴스 ID를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한다.
스텝 S609에서, AVT 인스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610에서,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을, AVT 인스턴스 URI로서 AVT 인스턴스에 세트한다.
AVT 인스턴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지정된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자기의 제어 대상 콘텐츠 및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클라이언트를 AVT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로서 인식하고, 채널 리스트 URL에 의해 대응 지어지는 튜너가 제어 대상으로 된다.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의 대응 콘텐츠이고, 채널 리스트 URL을 세트한 AVT 인스턴스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하는 인스턴스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스텝 S611에서, AVT 인스턴스가, 콘텐츠 제어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612에서, AVT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기초한 튜너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개시, 종료, 채널 전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세트된 콘텐츠 URL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콘텐츠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제어 대상 콘텐츠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URL은 채널 리스트 URL이고,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이고,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613에서, 채널 전환(Seek)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4에서, AVT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튜너의 채널을 전환한다. 이 채널 전환의 전후에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HTTP 커넥션은, 동일한 URL, 즉 동일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이기 때문에, 서버 클라이언트사이에서는 커넥션이 유지된 채로 채널 전환이 실행된다.
스텝 S615에서,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616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 에 따라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의 절단을 행하고,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대응 엔트리를 삭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되는 화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예를 들면 MPEG 등의 부호화 데이터로 한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전환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무조건 송신 데이터의 전환을 실행하면,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 패킷의 부정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MPEG-2 시스템에 규정되는 팩(Pack)의 구성 패킷인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의 일부를 송신 중에, 채널 전환을 실행하여, 송신 데이터를 변경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디코드할 때의 1개의 처리 단위인 팩(Pack)에 누락이 발생하여, 재생 에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서버는, 스텝 S613에서, 채널 전환(Seek)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채널 전환 요구에 기초한 송신 데이터의 변경에 의해, 송신 부호화 데이터의 정합성의 유지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정합성이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14의 AVT 인스턴스(433)의 튜너(410)의 제어에 의한 채널 전환의 실행 전에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스트림 배신용의 접속 커넥션, 즉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을 절단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이벤트 통지용 커넥션을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 배신용의 접속 커넥션이 절단된 것의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 S614의 AVT 인스턴스(433)의 튜너(410)의 제어에 의한 채널 전환을 실행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커넥션 절단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재차,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을 설정하는 처리, 즉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GET 메소드를 서버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AVT 인스턴스(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설정 상태는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새로운 어사인, URI 세트 등의 설정 처리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코덱(420)의 데이터 인코드 상황을 검출하여, 검출 정보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입력하고,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타이밍 제어 하에 튜너(410)의 채널 전환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스텝 S613에서의, 채널 전환(Seek) 요구 수신후, 코덱(420)의 데이터 인코드 상황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가,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 가능한 타이밍에서, 스텝 S614의 AVT 인스턴스(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튜너(410)의 제어에 의한 채널 전환을 실행한다.
서버측에서 이러한 채널 전환 타이밍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측에서의 디코드 에러의 발생이 방지되어,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채널 전환 전의 데이터 및 채널 전환 후의 데이터 재생을 정상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라이브 녹화 처리]
다음으로 서버에서 튜너 수신하는 콘텐츠의 녹화 처리, 즉 서버 내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수단에 튜너 수신 콘텐츠를 기록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튜너 기능을 갖고, 튜너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배신하는 구성을 가짐과 아울러, 서버 내의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에 콘텐 츠 기록을 실행하는 처리 구성을 갖는 서버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한 구성 중의 주요 부분은,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서버(400)는, 튜너(410), 코덱(420), 콘텐츠 배신 제어부(미디어 렌더러)(430), 콘텐츠 관리부(미디어 서버)(440)를 갖는다.
본 구성예는, 콘텐츠 기억부(650), 콘텐츠 기억부 내의 비디오 캡슐(651),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 내의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에 새롭게 설정한 AVT 인스턴스, 즉 HDD, DVD, CD 드라이브 등의 다양한 데이터 기억부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여, 콘텐츠 기록 처리 제어를 행하는 기억부 제어 처리부로서 기능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로서의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를 갖는 점이 상이하다.
도 19에서, 도 6과 공통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고, 기본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튜너(410)가 수신하는 콘텐츠를 라이브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면서,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650)에 설정된 라이브 데이터 기억용으로 설정된 오브젝트로서의 비디오 캡슐(650)에 튜너(410)의 수신 콘텐츠를 녹화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서는, 콘텐츠 기억부를 하드디스크, 기록 콘텐츠를 화상 데이터로 한 예를 설명하지만, 콘텐츠 기억부는, 하드디스크에 한하지 않고, DVD, CD-R, 플래시 메모리 등, 데이터 기입 가능한 기억 수단이면 되고, 또한 기록 콘텐츠에 대해서도 화상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등, 데이터 형태를 불문한다.
또한, 콘텐츠 기록을 행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로서 비디오 캡슐을 예로서 나타내지만, 비디오 캡슐은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것이고, 오디오 데이터 캡슐 등,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기억부를 하드디스크, 기록 콘텐츠를 화상 데이터,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를 비디오 캡슐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디오 캡슐(651)에 녹화를 행하기 위해, 콘텐츠 기억부(650)의 제어를 실행하는 AVT 인스턴스로서, 비디오 캡슐 콘트롤 인스턴스(652)가 설정된다.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튜너(410)로부터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650) 내의 비디오 캡슐(651)에 대하여, 녹화용의 스트림이 흘러 기록된다.
이러한 녹화 처리에서는, 2개의 콘텐츠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즉, 녹화원(녹화 소스) 콘텐츠와 녹화처(녹화 싱크) 콘텐츠이다. 이 경우, 튜너 수신 콘텐츠가 녹화원 콘텐츠로 되고, 비디오 캡슐 저장 콘텐츠가 녹화처 콘텐츠로 된다.
튜너 수신 콘텐츠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 URL에 의해 특정된다. 녹화처 콘텐츠는, 비디오 캡슐 URL에 의해 특정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비디오 캡슐 URL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생성 처리에 의해 비디오 캡슐을 생성하고, 생성한 비디오 캡슐에 대한 콘텐츠 URL로서의 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는 처리가 필요로 된다.
녹화 중에는, 녹화원(녹화 소스) 콘텐츠는 재생 상태이고, 녹화처(녹화 싱크) 콘텐츠는 녹화 상태로 천이한다. 이러한 천이 상태의 관리, 제어를 실행하는 콘텐츠 대응 제어부로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 턴스(652)가 사용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녹화 소스 제어 인스턴스(녹화 소스 AVT 인스턴스)이고,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는, 녹화 싱크 제어 인스턴스(녹화 싱크 AVT 인스턴스)이다. 이들 제어 인스턴스에,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을 세트한다. 세트 처리는, 먼저 도 9의 처리 시퀀스에서 설명한 스텝 S107의 AVT의 URL 세트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또한, 본 예의 처리 시퀀스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후단에서 설명한다.
또한, 튜너 수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영역이 미리 확보되어 있고, 콘텐츠 URL을 갖는 영역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URL을 AVT 인스턴스에 설정하여 녹화처 콘텐츠의 제어 인스턴스로서 적용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억 영역에 튜너 수신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튜너 수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영역이 미리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서버(400)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를 발행하여 튜너 수신 콘텐츠의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를 생성한다.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를 발행할 때에는, 메타 데이터에 의해 생성 오브젝트(비디오 캡슐)가 라이브 녹화용인 것을 명시하여 작성한다. 이 처리에 의해, 신규의 비디오 캡슐로 아무것도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프로퍼티(resproperty)에 콘텐츠를 나타내는 URL을 서버가 어사인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라이브 녹화에서 필요로 되는 AVT 인스턴스의 취득, 즉 비디오 캡슐 제어 인 스턴스(652)의 취득, 설정 처리는, 전술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설정과 마찬가지의 수속에 의해 실행된다. 녹화를 서포트하는 서버는, 녹화용과 재생용을 고려하여 최저 2개의 AVT 인스턴스를 어사인한다. 각각의 AVT 인스턴스에 대응하여 2개의 커넥션 ID가 설정된다.
2개의 커넥션 ID가 설정된 상태에서, 2개의 AVT 인스턴스, 즉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각각 녹화원, 녹화처의 콘텐츠의 URL, 즉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이 세트된다. 이 세트 처리는, 도면에 나타낸 스텝 S107의 AV 트랜스포트 URI 세트(AVT:SetAVTransportURI)의 수속에 따른 처리로서 실행된다.
또한,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를 실행한다. 이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저장한 제어 요구로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발행된다.
이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녹화 처리(X_Record action)를 행할 때에 무엇이 녹화될지가 결정된다.
또한, 녹화원 콘텐츠, 즉 채널 리스트 URL에 대응하는 튜너 수신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 요구(AVT:Play action)를 송신하면, 클라이언트는 녹화원 콘텐츠 URL로부터 스트리밍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먼저 설명한 도 9의 시퀀스도 의 스텝 S108의 재생 요구에 상당한다.
녹화처 콘텐츠, 즉 비디오 캡슐 URL이 설정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녹화 개시 요구(AVT:X_Record action)를 송신하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녹화가 개시된다.
또한, 녹화처 콘텐츠, 즉 비디오 캡슐 URL이 설정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포즈 요구(AVT::Pause action)를 보내면, 녹화 포즈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M 컷트 등에 이용 가능하다.
녹화원 콘텐츠를 전환하고 싶은 경우, 채널 변경 등 녹화원의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에 기재된 채널의 범위이면, 채널을 변경해도, 그대로 녹화를 계속할 수 있다. 타임 시프트 재생은, 녹화원 콘텐츠 URL이 아니라, 녹화처 콘텐츠 URL에 대하여 스트리밍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타임 시프트 재생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신규 비디오 캡슐을 추가하여, 거기를 녹화처 콘텐츠로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규 오브젝트 작성은, 클라이언트가, 서버(400)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를 발행한다. 이에 의해, 튜너 수신 콘텐츠의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가 생성된다.
튜너 수신 콘텐츠의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로서는, [기록 상태(recordStatus)], [녹화 종료 일시], [기록 퀄리티 레벨]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정보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지정은 임의이다. 이들을 지정한 경우에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지정 정보 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고,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미리 디폴트로서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처리가 실행된다.
오브젝트(비디오 캡슐) 생성 처리에서, 서버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기록 상태(recordStatus)]가 미기록(NotYet)인 오브젝트의 작성을 요구받은 경우에는, 서버는 이것을 라이브 녹화용의 오브젝트라고 판단하여, 실제로는 콘텐츠가 없더라도 신규 생성의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콘텐츠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한다.
오브젝트(비디오 캡슐) 생성 처리에서, 서버는, 라이브 녹화용의 비디오 캡슐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이하의 메타 데이터의 설정을 행한다.
[기록 상태(recordStatus)]=미기록(NotYet)
[기록 퀄리티 레벨]=설정 또는 디폴트 값
[자원(res)]=타임 시프트 재생을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 fi1e:로 시작되는 내부 접속용 URL, 타임 시프트 재생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http로 시작되는, 내부 접속과 스트리밍 겸용의 URL
[프로토콜 정보]
Schema:타임 시프트 재생을 서포트하고 있으면 http-get, 그렇지 않으면 internal,
Network:http-get이면 *, interna1이면 IP address,
MIME-Type:클라이언트에게 지정되어 받아들이는 경우에는 그 값, 지정되지 않으면 *, 혹은 디폴트의 값,
추가 정보(AdditionalInfo:func-id=<HDD를 나타내는 값>)
[기록 퀄리티 레벨(recordQualityLevel)=설정 또는 디폴트 값
프로토콜 정보 중의 추가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650)의 제어에 의한 콘텐츠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펑션 ID가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기억부(650)는 하드디스크이고, HDD의 제어를 수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펑션 I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처리시의 제어 대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DVD 저장 콘텐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DVD를 나타내는 펑션 ID, 튜너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튜너를 나타내는 펑션 ID가 콘텐츠의 프로퍼티 정보 중에 설정된다.
이하에,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에서 작성되는 메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item id="vc103" parentID="cab32" restricted="1">
<dc:title>차회 녹화용 파일</dc:title>
<upnp:class>object.item.videoItem.sonyVideoCapsule</upnp:class>
<av:recordQua1ityLeve1>4</av:recordQualityLevel>
<av:recordStatus>NotYet</av:recordStatus>
<res protocolInfo"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
av:codec="MPEG2V" duration="0O:00:00.000" …>
file:/cabinet32/recording-001
</res>
</item>
또한, 클라이언트는, 오브젝트 갱신(UpdateObject)에 의해, 이들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적으로 녹화를 종료시키기 위해 프로퍼티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록 종료 일시를 프로퍼티 정보로서 추가 가능하다. 이하에 예를 나타낸다.
<item id="vc103" parentID="cab32" restricted="1">
<dc:title>차회 녹화용 파일</dc:title>
<upnp:class>object.item.videoItem.sonyVideoCapsule</upnp:class>
<av:recordQua1ityLeve1>4</av:recordQualityLeve1>
<av:recordStatus>NotYet</av:recordStatus>
<av:recordEndDateTime>2003-03-14T22:00:000</av:recordEndDateTime>
<res protocolInfo"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
av:codec="MPEG2V" duration="00:00:00.000" …>
file:/cabinet32/recording-001
</res>
</item>
전술한 예에서, <av:recordEndDateTime>2003-03-14T22:00:000</av:recordEndDateTime>이 추가된 기록 종료 일시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타임 시프트 재생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임 시프트 재생은, 녹화 중인 콘텐츠의 녹화 시점보다 과거의 부분을 스트리밍 재생하는 처리를 말한다. 타임 시프트 재생은, 라이브 스트리밍과 같이 녹화원 URL(채널 리스트 URL)로부터가 아니라, 녹화처의 URL(비디오 캡슐 URL)로부터의 스트리밍을 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 타임 시프트 재생은, 통상의 비디오 캡슐과 마찬가지의 콘텐츠 배신 처리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단, 가능한 씨크의 범위, 즉 배신 콘텐츠의 시간적인 앞으로 감기나 되감기 재생의 가능 범위는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 씨크의 범위 변화에 대하여는 서버로부터의 이벤트 통지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알 수 있다.
이벤트 통지에 의해, 현 시점에서의 씨크 범위와, 서버에서의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벤트 통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에서의 시각과 정합함으로써, 이 후의 씨크 범위를 항상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시프트 재생의 유무에 상관없이 녹화 본체의 종료나 포즈에 대해서는, 이벤트 통지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로부터 통지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튜너 수신 콘텐츠의 라이브 스트리밍, 및 라이브 녹화를 함께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유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 가능한 콘텐츠를 조사하기 위해, 스텝 S701에서,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정보를 취득한다. 콘텐츠 검색을 실행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계층이나 오브젝트 집합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지정한 「서치」, 혹은 특정한 오브젝트의 지정으로서의 「브라우즈」를 서버에 요구함으로써, 콘텐츠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라우즈 또는 서치는, 콘텐츠 관리부(440)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실행되고,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443)로부터 각 오브젝트 대응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XML 데이터를 생성하여 콘텐츠 정보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튜너 컨테이너에 관한 콘텐츠 정보는,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에 기초한 정보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를 기술한 XML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 정보이다.
클라이언트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funcID)
채널 정보를 취득한다.
이 시점에서, 녹화용 비디오 캡슐의 정보를 취득하여, 비디오 캡슐의 정보에 포함되는 비디오 캡슐 URL을 튜너 수신 데이터의 녹화용 비디오 캡슐 URL로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디오 캡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702에서 비디오 캡슐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클라이언트는, 오브젝트 생성 요구를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송신하여, 비디오 캡슐의 신규 작성을 행한다. 이 때, 메타 데이터로서 [기록 상태(recordStatus)], [녹화 종료 일시], [기록 퀄리티 레벨]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정보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지정은 임의이다. [기록 상태(recordStatus)]의 설정은 미기록(NotYet)으로 한다.
오브젝트(비디오 캡슐) 생성 처리에서, 서버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기록 상태(recordStatus)]가 미기록(NotYet)인 오브젝트의 작성을 요구받은 경우에는, 서버는 이것을 라이브 녹화용의 오브젝트라고 판단하고, 실제로는 콘텐츠가 없더라도 신규 생성의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콘텐츠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한다.
클라이언트는, 다음으로, 스텝 S703에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이것은,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에 입력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 즉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의 일람을 요구하는 처리이다.
스텝 S704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이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의 프로토콜로서의 MPEG나, 오디오 데이터의 ATRAC 등,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로 처리 가능한 다양한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튜너(410)의 수신 데이터를 배신 가능한 서버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interna1:1.2.3.4:app1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인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즉, schema란(제1 컬럼)이 [internal]이고, 튜너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펑션 ID(func-id=t01)가 포함된다. 이 프로토콜 정보는, 내부의 콘텐츠 관리부(미디어 서버)(440)와의 논리 커넥션이, 이하의 접속 준비(PrepareForConnection)에 의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녹화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인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즉, schema란(제1 컬럼)이 [internal]이고, 하드디스크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펑션 ID(func-id=hdd)가 포함된다. 이 프로토콜 정보는, 내부의 콘텐츠 관리부(미디어 서버)(440)와의 논리 커넥션이, 이하에 설명하는 접속 준비(PrepareForConnection)에 의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펑션 ID는, 튜너 제어, DVD 제어, 하드디스크 제어 등, 콘텐츠 배신을 위한 제어 대상마다 설정되는 ID로서, 스텝 S101에서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 취득한 콘텐츠 정보에도 포함된다. 여기서는, 펑션 ID [func-id=t01]이 튜너(410)를 적용한 콘텐츠 배신에 대응하는 펑션 ID로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텝 S705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커넥 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서버에 접속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커넥션 ID를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각 클라이언트에게 배신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등을 대응 지은 먼저 설명한 도 10에 나타낸 커넥션 관리 테이블을 유지하여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커넥션 정보의 취득 요구에 부합하여, 이들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커넥션 정보 통지 처리는, 클라이언트가 다른 클라이언트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실행하는 것으로, 생략하여도 된다.
스텝 S706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처리와,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튜너 수신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하드디스크 기록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튜너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의 요구라고 판단하고,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433)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와 튜너 컨트 롤 인스턴스의 커넥션 ID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또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기록 요구라고 판단하고,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652)를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커넥션 ID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션 관리 테이블의 엔트리 설정을 행한다. 즉, 동일한 클라이언트 A에 대하여, 튜너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681)와, 튜너 수신 데이터의 기록 처리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682)가 각각의 커넥션 ID, AVT 인스턴스 ID에 대응 지은 엔트리가 설정된다.
스텝 S707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어사인한 2개의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2개의 AVT 인스턴스 ID, 및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의 커넥션에 대하여 설정한 2개의 커넥션 ID 정보를 통지한다. 클라이언트는 이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 S708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의해 어사인된 2개의 AVT 인스턴스에 의한 콘텐츠 배신 제어 및 기록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처리로서, 어사인된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발행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스텝 S703의 처리에서 취득한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채널 리스트 URL이 포함된다.
또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스텝 S703의 처리에서 취득한 비디오 캡슐 URL이 포함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지정된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하여, 자기의 제어 대상 콘텐츠 및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지정된 AVT 인스턴스 ID와, 비디오 캡슐 URL에 기초하여, 자기의 제어 대상 콘텐츠 및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의 대응 콘텐츠이고, 채널 리스트 URL을 세트한 AVT 인스턴스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하는 인스턴스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비디오 캡슐 URL은, 비디오 캡슐 오브젝트의 대응 콘텐츠이고, 비디오 캡슐 URL을 세트한 AVT 인스턴스는, 비디오 캡슐(651)의 제어를 실행하는 인스턴스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스텝 S708에서는,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를 실행한다. 이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저장한 제어 요구로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실행된다. 이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녹화 처리(X_Record action)를 행할 때에 무엇이 녹화되는지가 결정된다.
여기까지에서, 각 AVT 인스턴스의 세트 처리가 완료하여, 클라이언트는 각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다양한 제어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709에서는, 재생(Play) 요구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다. 이 제어 요구는, 예를 들면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SOAP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는, XML 데이터에 따른 기술 데이터를 생성하여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송신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기초한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개시, 종료, 채널 전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AVT 인스턴스(433)는, 세트된 콘텐츠 URL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콘텐츠를 특정하고, 그 특정된 제어 대상 콘텐츠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URL은 채널 리스트 URL이고, 채널 리스트 URL은 튜너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이고,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튜너(410)의 제어를 실행한다.
스텝 S709의, 재생(Play) 요구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가 수령하면,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튜너 수신 데이터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송신을 개시한다.
스텝 S710에서는, 채널 설정(Seek) 요구를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다. 이 요구에는, AVT 인스턴스 ID와 채널 번호가 포함된다. 채널 설정(Seek) 요구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가 수령하면,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고, 튜너의 채널을 설정하여 수신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또한, 스텝 S711에서,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 개시 요구(AVT:X_Record action)를 송신하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녹화가 개시된다.
또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녹화 종료 일시], [기록 퀄리티 레벨]의 설정 정보가 있고,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는, 설정 정보에 따라서 기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12에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제어 하에 라이브 스트리밍 배신이 실행되고, 스텝 S713에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제어 하에 콘텐츠 기억부(650)의 비디오 캡슐(651)에 대한 라이브 콘텐츠 기록이 실행된다. 스텝 S714는, 이벤트 통지 처리(SENA)가 콘텐츠 배신과 병렬하여 실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란, 예를 들면 스테레오/모노럴의 전환 등과 같이 배신 콘텐츠에 관한 정보이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이벤트 URL에 기초한 이벤트 통지 요구에 기초하여 서버가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는 처리이다.
또한, 녹화처 콘텐츠 즉, 비디오 캡슐 URL이 설정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포즈 요구(AVT::Pause action)를 보내면, 녹화 포즈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M 컷트 등에 이용 가능하다.
녹화원 콘텐츠를 전환하고 싶은 경우, 채널 변경 등 녹화원의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에 대응하는 채널 리스트에 기재된 채널의 범위이면, 채널 변경 요구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발행하는 것만으로, 그대로 녹화를 계속할 수 있다. 타임 시프트 재생은, 녹화원 콘텐츠 URL이 아니라, 녹화처 콘텐츠 URL에 대응하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스트리밍 요구를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라이브 녹화에서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처리 플로우]
튜너 수신 데이터의 라이브 스트리밍 처리 및 라이브 녹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 각각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2 및 도 23의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클라이언트에서의 처리를 도 22의 처리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스텝 S721에서, 브라우즈 또는 서치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정보의 취득 요구를 실행한다. 이는, 콘텐츠 관리부(440)(도 19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실행한다.
스텝 S722에서,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튜너를 통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을 실행하기 위해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를 취 득하는 것으로서,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 처리에 의해,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 채널 정보가 취득된다.
스텝 S723에서는, 비디오 캡슐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미 비디오 캡슐 또는 다른 기록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723의 오브젝트 생성은 생략하여도 된다. 오브젝트 생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는, 오브젝트 생성 요구를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송신하여, 비디오 캡슐의 신규 작성을 행한다. 이 때, 메타 데이터로서 [기록 상태(recordStatus)]=미기록(NotYet), [녹화 종료 일시], [기록 퀄리티 레벨]의 설정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는, 다음으로, 스텝 S724에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이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에 입력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 즉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의 일람을 요구하는 처리이다.
스텝 S725에서, 클라이언트는, 펑션 ID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수신한다. 튜너 제어에 의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녹화를 나타내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스텝 S726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서버 가 갖는 커넥션 관리 테이블(도 10, 도 21 참조)에 기초한 정보이다.
스텝 S727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송신한다. 클라이언트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처리와,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튜너 수신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하드디스크 기록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를 송신한다.
스텝 S728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어사인한 2개의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2개의 AVT 인스턴스 ID, 및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의 커넥션에 대하여 설정한 2개의 커넥션 ID 정보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는 이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스텝 S729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의해 어사인된 2개의 AVT 인스턴스에 의한 콘텐츠 배신 제어 및 기록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처리로서, 어사인된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발행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이 포함되고,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세트하는 URI에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비디오 캡슐 URL이 포함된다.
또한, 스텝 S729에서는,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를 실행한다. 이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저장한 제어 요구로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실행된다. 이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녹화 처리(X_Record action)를 행할 때에 무엇이 녹화될지가 결정된다.
여기까지로, 각 AVT 인스턴스의 세트 처리가 완료한다. 스텝 S730에서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대하여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스텝 S731에서,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 개시 요구(AVT:X_Record action)를 송신한다. 이 처리에 의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녹화가 개시된다.
스텝 S732에서 클라이언트측 유저가 채널 전환을 행하고 싶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734에서, 클라이언트는 채널 전환(Seek) 요구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대하여 발행한다. 이 제어 요구에는, AVT 인스턴스 ID와 전환 채널 번호를 저장한다. 스텝 S733에서, 접속 종료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에 대응하는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송신한다. 커넥션 ID는, 스텝 S725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수령한 것이다. 단,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종료해도 데이터 기록은, 먼 저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한 기록 종료 시간으로 될 때까지 기록 처리가 계속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도 23의 처리 플로우를 참조하여 서버측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751에서, 콘텐츠 관리부(440)(도 19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의 취득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한다.
스텝 S752에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튜너 컨테이너 및 채널 아이템의 콘텐츠 정보를 송신한다. 도 8a에 나타낸 튜너 컨테이너 대응의 콘텐츠 정보 및, 도 8(b)에 나타낸 채널마다의 콘텐츠 정보이고,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funcID),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스텝 S753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비디오 캡슐의 생성 처리를 행한다. 오브젝트(비디오 캡슐) 생성 처리에서, 서버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가, [기록 상태(recordStatus)]가 미기록(NotYet)인 오브젝트의 작성을 요구받은 경우에는, 서버는 이것을 라이브 녹화용 오브젝트라고 판단하여, 실제로는 콘텐츠가 없더라도 신규 생성의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콘텐츠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한다.
스텝 S754에서, 콘텐츠 배신 제어부(43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프로토콜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755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프로토콜 정보 일람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이 프로토콜 정보 일람에는, 튜너 제어에 의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1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 녹화를 나타내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1:1.2.3.4:video/mpeg:func-id=hdd]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스텝 S756에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부합하여,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현재,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커넥션 관리 테이블(도 10, 도 21 참조)에 기초한 정보이다.
스텝 S757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가, 튜너를 적용한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 처리와, 라이브 스트리밍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튜너 수신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하드디스크 기록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를 수신하게 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스텝 S758에서,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튜너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스트리밍 배신의 요구라고 판단하여,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433)를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고,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의 커넥션 ID와,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또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에 기초하여, 튜너에 의한 수신 데이터의 기록 요구라고 판단하여, 콘텐츠 대응 제어부(432) 내의 1개의 AVT 인스턴스(652)를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하고,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커넥션 ID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로서 설정(어사인)한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이 결과, 도 21에 나타낸 커넥션 관리 테이블의 엔트리가 생성된다.
스텝 S759에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어사인한 2개의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2개의 AVT 인스턴스 ID, 및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의 커넥션에 대하여 설정한 2개의 커넥션 ID 정보를 통지한다.
스텝 S760에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 및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각각은, 클라이언트로부터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수신한다.
스텝 S761에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로부터 통지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채널 리스트 URL이 세트되고,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비디오 캡슐 URL이 세트된다. 또한, 스텝 S761에서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 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가 실행된다.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의 식별자,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 ID와,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수신하여, 이것을 세트한다. 이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녹화 처리(X_Record action)를 행할 때에 무엇이 녹화될지가 결정된다.
여기까지로, 각 AVT 인스턴스의 세트 처리가 완료하고, 클라이언트는 각 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다양한 제어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762에서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제어 요구, 예를 들면 재생 개시를 수령하고, 스텝 S763에서 튜너(410)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을 개시한다.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수신 정보에 기초한 제어,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개시, 종료, 채널 전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764에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제어 요구, 예를 들면 녹화 개시 요구(AVT:X_Record action)를 수신하고, 스텝 S765에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콘텐츠 기억부(650)의 제어가 실행되어, 튜너 수신 콘텐츠가 비디오 캡슐(651)에 입력되고, 녹화가 개시된다.
스텝 S766에서, 채널 전환(Seek)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767에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튜너(410)를 제어하여, 튜너의 채널을 전환한다. 이 채널 전환의 전후에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HTTP 커넥션은, 동일 한 URL, 즉 동일한 채널 리스트 URL에 기초한 HTTP 커넥션이기 때문에,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는 커넥션이 유지된 채로 채널 전환이 실행된다.
또한, 콘텐츠의 기록 처리는, 채널 전환과는 무관하게 실행되고, 전환 후의 채널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비디오 캡슐에 계속해서 입력되어 기록이 계속해서 실행된다.
스텝 S768에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가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769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의 절단을 행하고, 또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삭제한다. 스트리밍 데이터의 배신이 종료해도 데이터 기록은, 먼저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한 기록 종료 시간으로 될 때까지 기록 처리가 계속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명시적인 기록 종료 커맨드를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발행함으로써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에도,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제어는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튜너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와,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에 처리 제어 대상을 특정 가능한 콘텐츠 URL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고, 또한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 의 식별자인 제어 인스턴스 ID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른 독립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서버 주도형 라이브 녹화 처리]
전술한 라이브 녹화 처리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출력함으로써, 기록처(기록 싱크) 콘텐츠 식별자(비디오 캡슐 URL)의 설정 처리나,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한 기록원(기록 소스) 콘텐츠 식별자(채널 리스트 URL)의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다.
즉, 도 20의 시퀀스도에 나타낸 스텝 S706에서, 클라이언트는,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송신하고, 튜너 수신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1:1.2.3.4:application/x-av-tuner-content:func-id=t01], 및 하드디스크 기록 처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 [internal:1.2.3.4:video/mpeg:func-id=hdd]를 송신하고, 스텝 S707에서, 서버로부터,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2개의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 ID, 및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의 커넥션에 대하여 설정한 2개의 커넥션 ID 정보를 수신하고, 스텝 S708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2개의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에 대하여,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세트 요구를 발행함으로써, 제어 인스턴스의 셋업 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다.
이하, 설명하는 구성예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실행 중,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요구를 발행하는 것만으로, 서버가 각종 설정을 내부에서 실행하여, 콘텐츠의 기록을 개시하는 처리예이다. 서버 구성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도 19에 도시한 참조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서버(4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을 실행함과 아울러, 생성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제어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어사인 처리, 및 URL 설정 처리를 서버 내에서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의 제어 하에 실행되고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의 비디오 캡슐 저장 처리를, 클라이언트에 의한 제어 인스턴스 설정 처리를 개재시키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처리 양태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한 URL 설정 처리의 요구를 행할 필요가 없어, 클라이언트의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도 24에, 콘텐츠의 라이브 녹화의 일련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서버에서 튜너에 의해 콘텐츠 수신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의 처리이다. 예를 들면,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위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여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도 19 참조)의 제어 하에 라이브 스트리밍이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클라이언트는,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를 기록(라이브 녹화)하고 싶은 경우, 스텝 S770에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인 비디오 캡슐의 생성 요구를 행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400)(도 19 참조)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 대하여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Anywhere)를 발행하여 튜너 수신 콘텐츠의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를 생성한다.
서버(4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콘텐츠 관리부(440)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서 라이브 녹화용의 비디오 캡슐을 생성한다.
클라이언트는,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생성 요구(CreateObjectAnywhere)의 발행시에,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의 설정을 서버에 요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요구에 기초한 값을, 없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디폴트 값을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한다.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설정 가능한 메타 데이터를 도 2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타 데이터로서는, [기록 상태(recordStatus)], [기록 개시 일시(recordStart DateTime)], [기록 종료 일시(recordEnd DateTime)], [기록 퀄리티 레벨(record Quality Level)], [입력 펑션 ID(recordInputFuncID)], [녹화 방식(recording Method)], [자원(res)], [자원 프로토콜 정보(res@protocolInfo)]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이들 메타 데이터의 모든 설정이 필수로 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기록 개시 일시(recordStart DateTime)]에 대한 지정은 임의이고, 설정이 없는 경우라도, 서버는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요구인 경우,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어사인, 설정, 녹화 개시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지정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AVT 설정/제어 명령 출력부(691), 및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지정 정보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요구인지의 여부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 생성 처리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설정되는 [기록 상태(recordStatus)]의 설정 값에 기초하여 서버(400)가 판단한다. [ 기록 상태(recordStatus)]의 설정 값이 라이브 녹화용인 것을 나타내는 [Recording]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는,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요구라고 판단하여,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비디오 캡슐 URL 설정,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어사인, URI 설정 처리를 실행하고,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되는 콘텐츠의 기록 개시 일시 정보 [라이브 녹화에서는, 0000-00-00T00:00:00.000Z]에 기초하여, 생성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개시한다.
서버의 콘텐츠 관리부(442)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예약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인 것을 나타내는 [기록 상태(recordStatus)]=[Recording]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한다. 즉, 서버는 [기록 상태(recordStatus)]=[Recording]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브 녹화용의 오브젝트라고 판단하여, 실제로는 콘텐츠가 없더라도 신규 생성의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에 콘텐츠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한다.
[기록 개시 일시]는, 콘텐츠의 기록 개시 일시 정보가 설정된다. 라이브 녹화에서는, 0000-00-00T00:00:00.000Z를 지정한다. 이는, 대기하지 않고 기록을 개시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기록 종료 일시]는, 콘텐츠의 기록 종료 일시 정보가 설정되어, 서버 상에서 이 설정 시각으로 되었을 때에, 이 비디오 캡슐이 녹화 상태이면, 녹화를 종료한다. 설정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 혹은 미리 설정된 최대 계속 기록 시간 경과 후, 또는 서버 내부의 문제 발생 시에 서버가 녹화 종료를 행한다.
[기록 퀄리티 레벨]은 미리 설정된 기록 품질 레벨 값으로서의 복수 레벨, 예를 들면 3∼5로부터 선택한다.
[입력 펑션 ID]는, 녹화 소스로 되는 콘텐츠를 취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펑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튜너에 대응하는 펑션 ID를 설정한다. 단, 클라이언트의 지정은 옵셔널이다. 라이브 녹화인 경우에는, 서버 내에서 수신하고 있는 콘텐츠가 입력 콘텐츠이고, 설정 완료한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가 있는 경우에는, 그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에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이 입력 소스 콘텐츠이고, 입력 소스 콘텐츠를 제어하고 있는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의 제어 대상인 튜너에 대응하는 펑션 ID가 서버에 의해 설정된다.
[기록 방식]은, 녹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3배 모드, 고화질 모드 등의 설정 정보이다. 클라이언트의 지정은 옵셔널이고, 클라이언트는, 서 버 내의 콘텐츠 기억부(650)에 대응하는 설정 가능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원(res)]은, 기록 콘텐츠(기록 싱크 콘텐츠)의 자원 정보이다.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라이브 녹화용의 비디오 캡슐의 URL(비디오 캡슐 URL)이 서버에 의해 설정된다.
[자원 프로토콜 정보]는, 기록 콘텐츠(기록 싱크 콘텐츠)의 자원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이다. 추가 정보(AdditionalInfo)로서, 콘텐츠 기억부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펑션 ID(예를 들면 func-id=<HDD)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프로토콜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650)의 제어에 의한 콘텐츠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펑션 ID가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 기억부(650)는 하드디스크이고, HDD의 제어를 수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펑션 I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처리시의 제어 대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DVD 저장 콘텐츠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DVD를 나타내는 펑션 ID, 튜너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튜너를 나타내는 펑션 ID가 콘텐츠의 프로퍼티 정보 중에 설정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메타 데이터의 각 항목에 어떠한 값을 설정할 수 있는지를 이하의 방법으로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종료 일시], [기록 퀄리티 레벨], [입력 펑션 ID], [기록 방식]에 관해서는, 비디오 캡슐을 나타내는 클래스의 스키마 정보를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각 메타 데이터의 허용치(Anowedva1ue)를 체크함으로써 설정 가능한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갱신이 허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갱신 (UpdateObject) 처리에 의한 갱신도 가능하다.
또한, 펑션 ID(func-id)의 값이 무엇을 뜻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는,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로부터 취득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에 의해, 아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의 시퀀스도에 되돌아가서, 라이브 녹화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서버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는, 스텝 S770에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인 비디오 캡슐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서버(4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콘텐츠 관리부(440)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442)에서 라이브 녹화용의 비디오 캡슐을 생성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예약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인 것을 나타내는 [기록 상태(recordStatus)]=[Recording]의 설정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고, 또한 전술한 각 메타 데이터를 설정한다.
스텝 S771에서, 서버는, 생성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비디오 캡슐 URL)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한다.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메타 정보에는, 자원 정보로서의 비디오 캡슐 URL, 펑션 ID, 예를 들면[func-id=hdd]를 포함하는 자원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서버는, 스텝 S772에서, 작성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도 19 참조)를 설정한다. 또한, 이 때 튜너 컨트롤 인스턴스(433)는 설정 완료이다. 이 스텝 S772의 처리, 및 이하에 설명하는 스텝 S773∼S775의 처리는 서버 내의 내부 처리로서 실행되어,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에서의 통신 처리는 필요로 되지 않는다.
스텝 S772의 처리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를 어사인하여, 이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녹화처 콘텐츠 URL, 즉 비디오 캡슐 URL을 세트한다. 또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설정을 실행한다. 이들 처리는,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이에 의해, 녹화처 AVT(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녹화 처리를 행할 때에 무엇이 녹화될지가 결정된다.
스텝 S773에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설정된 [기록 개시 일시]로 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비디오 캡슐(651)에 대한 저장 처리가 개시되고, 스텝 S774에서, 콘텐츠 기록이 콘텐츠 기억부(650)의 비디오 캡슐(651)에 대하여 실행된다.
또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설정된 [기록 개시 일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브 녹화에서는, 0000-00-00T00:00:00.000Z가 지정되고, 이는, 대기하지 않고 기록을 개시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서, 서버는, 라이브 녹화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비디오 캡슐)의 생성,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어사인, 설정 후, 바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녹화 개시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스텝 S775에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설정된 [기록 종료 일시]로 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혹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기록 종료 요구의 수신에 기초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비디오 캡슐(651)에 대한 저장 처리를 종료한다. 설정 메타 데이터가 없고, 또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기록 처리 요구도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계속 기록 시간에 도달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기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콘텐츠 기록 처리의 일시 정지 처리, 즉 포즈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의 포즈 처리 심리스에 대하여 도 2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는, 우선, 스텝 S781에서, 앞의 도 24의 스텝 S771에서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캡슐 메타 데이터 중의 펑션 ID, 예를 들면 [func-id=hdd]를 지정한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서버(400)의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는, 클라이언트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 사이의 접속에 관한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를 수신한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접속 준비 요구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대응 펑션 ID [func-id=hdd]에 기초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와, 접속 준비 요구(PrepareForConnection)가 있었던 클라이언트(460)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커넥션 ID를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또한 커넥션 ID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의 바인드 처리, 즉 대응 지음을 행한다. 먼저, 도 10, 도 21 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션 관리 테이블의 엔트리 설정을 행한다.
스텝 S782에서,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포즈 요구(AVT::Pause action)를 보내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요구에 기초하여, 녹화 포즈를 행한다.
또한, 스텝 S783에서,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기록 재개 요구(AVT::Record)를 보내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기록을 재개한다.
다음으로, 도 27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한 라이브 기록 처리의 종료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791에서, 클라이언트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식별자(AVT 인스턴스 ID)를 지정하여,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하여 기록 정지 요구(AVT::RecordStop)를 보내면,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가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기록을 종료한다.
또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와의 커넥션을 종료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는, 스텝 S792에서,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와의 커넥션에 대응하는 커넥션 ID를 저장한 커넥션 종료 요구를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에 송신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431)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의 커넥션의 절단을 행하고, 또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넥션 관리 테이블로부터 대응 엔트리를 삭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서버내에서,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배신 제어부(431)의 제어 인스턴스로서의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의 어사인 처리, 및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652)에 대한 URI 설정 처리가 실행되어, 클라이언트에 의한 명시적인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를 행하지 않고, 라이브 입력 콘텐츠의 저장 처리에 수반하는 각종 제어가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실하게 실행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를 제어하여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가 설정되고,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기록원 콘텐츠 및 기록처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 URL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의 설정 처리를 서버가 실행하여, 비디오 캡슐의 메타 데이터의 설정 정보에 따라서 콘텐츠 기록을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라이브 녹화에 의해 콘텐츠를 저장한 비디오 캡슐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가 취득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라이브 녹화 비디오 캡슐에 설정된 비디오 캡슐 URL에 기초한 콘텐츠 취득 요구인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GET 메소드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비디오 캡슐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 즉 라이브 녹화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 녹화의 실행 중에서도, 비디오 캡슐에 설정된 비디오 캡슐 URL에 기초한 콘텐츠 취득 요구인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GET 메소드를 생성하여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전술한 라이브 스트리밍에서의 타임 시프트 재생과 마찬가지의 콘텐츠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기능 구성]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전술한 각종 처리, 예를 들면 도 17, 도 18, 도 22, 도 23의 플로우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는, 서버 클라이언트 각각의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주로 CPU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서버의 기능 구성과 클라이언트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도 28 및 도 2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서버의 주요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대응하지만, 도 28의 구성에서는 튜너를 2개 갖는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패킷 송수신부(701)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패킷,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 생성, 해석부(702)는, 송신 패킷의 생성 처리, 수신 패킷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패킷의 어드레스 설정, 어드레스 인식, 데이터부에 대한 데이터 저장, 데이터부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처리 등이다.
튜너 A(703) 및 튜너 B(704)는, 지상파, BS, CS 등의 위성 방송, 인터넷, 그 밖의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이다.
콘텐츠 기억부(705)는,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저장한다. 전술한 비디오 캡슐 등,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가 설정된다. 각 콘텐츠는 비디오 캡슐 URL 등의 콘텐츠 URL에 의해 특정 가능하다. 이벤트 정보 기억부(706)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다. 각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 URL에 의해 특정 가능하다.
코덱(707)은, 서버가 보유하는 콘텐츠, 튜너 수신 콘텐츠를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데이터 양태로 변환한다. 파일 포맷, 코덱, 해상도 등의 변환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ATRAC3, MPEG4에 기초한 데이터 변환을 실행한다.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관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고, 메타 데이터 기억부(713)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로서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 기억부이다. 메타 데이터 기억부(71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등의 각 오브젝트 대응의 메타 데이터를 구성하는 프로퍼티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튜너 컨테이너의 프로퍼티 정보로서, 채널 리스트 URL이 설정된다. 비디오 캡슐에 대해서는 비디오 캡슐 URL이 설정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711)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정보 요구에 부합하여,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711)는, 콘텐츠 관리부에서의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관리하여, 콘텐츠 관리부에서 처리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 등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배신 제어부(720)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하여,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721)와 콘텐츠 대응 제어부(722)를 갖는다. 콘텐츠 대응 제어부(722)에는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여 AVT 인스턴스(723)가 설정되고, 구체적인 콘텐츠의 배신 제어, 기록 제어는, 각 콘텐츠에 대응하는 AVT 인스턴스가 실행한다. 커넥션 매니저 서비스(721)는, AVT 인스턴스를 어사인하여, 커넥션 ID, AVT 인스턴스 ID, 프로토콜 정보를 대응 지어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 테이블(도 10 참조)을 설정하여 커넥션 관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장치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 패킷 송수신부(801)는, 서버에 대한 패킷, 서버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한다. 패킷 생성, 해석부(802)는, 송신 패킷의 생성 처리, 수신 패킷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패킷 내의 저장 데이터 해석뿐만 아니라, 패킷의 어드레스 설정, 어드레스 인식, 데이터부에 대한 데이터 저장, 데이터부로부터의 데이터 취득 처리 등도 포함한다.
기억부(803)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포함되는 콘텐츠 정보, 콘텐츠, 채널 정보, 채널 리스트 URL, 펑션 ID, 이벤트 정보, 커넥션 ID, AVT 인스턴스 ID 등을 저장한다.
출력부(804)는, 콘텐츠 재생 처리에 적용하는 스피커,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정보의 출력에도 이용된다. 입력부(805)는, 예를 들면 표시 정보로서 표시된 콘텐츠 정보로서의 채널 리스트의 선택, 채널 정보에 기초한 채널 선택 등, 유저의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키보드, 그 밖의 데이터 입력 수단이다.
콘텐츠 정보 해석부(806)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정보로 이루어지는 XML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콘텐츠 URL, 채널 리스트 URL 또는 이들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부로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콘텐츠 재생 제어부(807)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의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 처리에서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808)에서, 서버로부터의 수신 콘텐츠의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ATRAC3, MPEG4에 기 초한 데이터 복호 처리 등을 실행한다.
서버 및 클라이언트는, 기능적으로는 도 28, 도 29에 도시한 각 기능을 갖고, 전술한 각 처리를 실행한다. 단, 도 28, 도 29에 도시한 블록도는,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실제로는, 도 2에 도시한 PC 등의 하드웨어 구성에서의 CPU의 제어 하에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해 온 것으로서,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의 범위의 란을 참작하여야 한다.
또한,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복합 구성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처리 시퀀스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인스톨하여 실행시키거나, 혹은 각종 처리가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나 ROM(Read 0nly Memory)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혹은,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컴퓨터에 무선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내장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처리는, 기재에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혹은 필요에 부합하여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으로서,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케이스 내에 있는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튜너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스트리밍 배신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와, 하드디스크 등의 콘텐츠 기억부의 제어 하에 튜너 수신 콘텐츠의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를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각각에 처리 제어 대상을 특정 가능한 콘텐츠 URL로서의 채널 리스트 URL, 비디오 캡슐 URL을 설정하고, 또한 제어 인스턴스(AVT 인스턴스)의 식별자인 제어 인스턴스 ID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요구에 따른 독립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녹화처 콘텐츠를 취급하는 AVT 인스턴스, 즉 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대하여, 녹화원 콘텐츠의 URI의 지정 처리(AVT:X_SetAVTRecordInputURI action)를 실행하고, 녹화원 콘텐츠 URL, 즉 채널 리스트 URL을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비디오 캡슐 컨트롤 인스턴스)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가, 독자적으로 녹화 처리 대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채널의 집합체로서의 채널 리스트에 URL을 설정하고, 채널 리스트 URL을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로서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설정했기 때문에, 리스트 내의 채널 변경에서는, 새로운 URL에 기초한 콘텐츠 요구를 행할 필요가 없이 계속적인 콘텐츠 배신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콘텐츠 기록 처리도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채널 전환 후의 콘텐츠 기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2)

  1.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콘텐츠 송신을 실행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서,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 및 제어 정보의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한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콘텐츠 정보로서 저장한 메타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정보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튜너를 통한 수신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콘텐츠 배신 제어부를 갖고,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고, 튜너 수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튜너 제어 인스턴스와,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고,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를 갖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이, 설정 콘텐츠 식별자에 대응한 제어를 독립하여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는,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되고,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기록 콘텐츠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기초한 콘텐츠 정보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또는 기록처 콘텐 츠 식별자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의 채널 리스트 식별자이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복수 콘텐츠를 제어 콘텐츠의 1 단위로서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에 기초한 콘텐츠 정보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기록 종료 시간 정보, 기록 품질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보유 가능한 구성을 갖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의 설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기록원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기능 ID가 설정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기능 ID가 설정되고,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을 상기 기능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대상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의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를 설정하여, 제어 인스턴스에 기초한 콘텐츠마다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각각의 식별자로서의 인스턴스 ID와,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 식별자인 커넥션 ID와,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대응 지은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기초한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신 제어부는,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배신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13.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고, 해당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세트 요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식별 정보를 갖는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제어 요구 수신 스텝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의한 튜너 제어 또는 기억부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을 추가로 갖고,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여 기록 콘텐츠의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튜너 컨테이너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제공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부합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의 채널 리스트 식별자이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는,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튜너가 수신하는 복수 콘텐츠를 제어 콘텐츠의 1 단위로서 설정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채널 리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에 기술된 복수 채널에 대응하는 배신 콘텐츠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콘텐츠 관리 디렉토리의 관리 오브젝트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기록 종료 시간 정보, 기록 품질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가 설정된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서, 상기 설정 정보에 따른 콘텐츠 기록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생성 오브젝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로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에 라이브 콘텐츠의 저장용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생성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설정 처리에는,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로서의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의 설정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에는,
    콘텐츠 대응의 프로토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기록원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기능 ID가 설정되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프로토콜 정보에는, 콘텐츠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기능 ID가 설정되고,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각각을 상기 기능 ID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대상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추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콘텐츠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의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인스턴스를 설정하여, 제어 인스턴스에 기초한 콘텐츠마다의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 및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각각의 식별자로서의 인스턴스 ID와, 서버 클라이언트 사이의 커넥션 식별자인 커넥션 ID와, 배신 콘텐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정보를 대응 지은 커넥션 관리 테이블에 기초한 커넥션 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구 수신 스텝은,
    SOAP(Simple Object Access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배신 콘텐츠의 제어 요구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스텝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요구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8.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 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는 ID 취득 스텝과,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요구 송신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의 세트 요구를 행함과 아울러, 상기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튜너의 수신 채널 중, 적어도 복수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리스트의 식별 정보로서 설정된 채널 리스트 URL(Uniform Resource Locators)이고,
    상기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영 역에 대응하는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의 식별자로서 설정된 콘텐츠 저장 오브젝트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1.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상기 튜너의 수신 콘텐츠의 배신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원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튜너에 의한 수신 콘텐츠의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대한 기록 처리 제어를 실행하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대하여 기록처 콘텐츠 식별자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의 식별 정보를 갖는 제어 요구를 수신하는 제어 요구 수신 스텝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 제어 인스턴스 또는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에 의한 튜너 제어 또는 기억부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2.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에 대한 튜너 수신 콘텐츠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정보 중의, 튜너 식별 정보로서의 튜너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는 제1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 기억부 식별 정보로서의 데이터 기억부 식별 기능 ID를 포함하는 제2 프로토콜 정보를 상기 서버에 대하여 송신하는 프로토콜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너 제어 인스턴스 ID 및 기억부 제어 인스턴스 ID를 취득하는 ID 취득 스텝과,
    제어 인스턴스 ID를 지정한 각 제어 인스턴스에 대한 제어 요구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요구 송신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057019159A 2003-04-08 2004-04-05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KR20060002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3717 2003-04-08
JP2003103717A JP2004312413A (ja) 2003-04-08 2003-04-08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62A true KR20060002962A (ko) 2006-01-09

Family

ID=3315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9159A KR20060002962A (ko) 2003-04-08 2004-04-05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5844B2 (ko)
EP (1) EP1612686A4 (ko)
JP (1) JP2004312413A (ko)
KR (1) KR20060002962A (ko)
CN (1) CN100583063C (ko)
WO (1) WO20040907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76B1 (ko) * 2007-02-22 2008-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록시 서버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캐시교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42142A (ko) * 2010-10-27 2013-12-27 오렌지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인덱싱 및 실행
KR101367606B1 (ko) * 2006-06-15 2014-03-12 소니 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6261B1 (en) 2002-01-08 2018-03-07 Seven Networks, LLC Connection architecture for a mobile network
US7917468B2 (en) 2005-08-01 2011-03-29 Seven Networks, Inc.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ata
US8468126B2 (en) 2005-08-01 2013-06-18 Seven Networks, Inc. Publishing data in an information community
US7853563B2 (en) 2005-08-01 2010-12-14 Seven Networks, Inc. Universal data aggregation
JP3935459B2 (ja) * 2003-08-28 2007-06-20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US8719378B2 (en) * 2004-06-14 2014-05-06 Vringo Infrastructure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roviding content to client devices
US7441271B2 (en) 2004-10-20 2008-10-21 Seven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pting ev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10082B2 (en) 2004-10-20 2011-08-30 Seven Networks, Inc. Flexible billing architecture
US7706781B2 (en) 2004-11-22 2010-04-27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Data security in a mobile e-mail service
FI117152B (fi) 2004-12-03 2006-06-30 Seven Networks Internat Oy Sähköpostiasetusten käyttöönotto matkaviestimelle
US7877703B1 (en) 2005-03-14 2011-01-25 Seven Networks, Inc.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KR101097820B1 (ko) * 2005-04-06 2011-1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채널의 url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과 채널을변경하는 방법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US7796742B1 (en) 2005-04-21 2010-09-14 Seve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ified provisioning
WO2006136660A1 (en) 2005-06-21 2006-12-28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US7444135B2 (en) * 2005-07-08 2008-10-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Updating availability of an instant messaging contact
KR101263393B1 (ko) * 2005-07-15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피앤피 에이브이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US8069166B2 (en) 2005-08-01 2011-11-29 Seven Networks, Inc. Managing user-to-user contact with inferred presence information
KR100678954B1 (ko) * 2005-08-08 200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환경하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중지된 시점에 대한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JP4554473B2 (ja) * 2005-08-26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サーバ装置
CN1852421A (zh) * 2005-11-30 2006-10-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直播与时移播放之间切换的方法
US7818775B2 (en) 2005-12-21 2010-10-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time-shifting programming in a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with limited content retention
US8789128B2 (en) 2005-12-21 2014-07-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time-shifting programming in a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using policies
US8037505B2 (en) 2006-01-30 2011-10-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pular TV shows on demand
US8171144B2 (en) * 2006-02-06 2012-05-01 Panasonic Corporation AV server apparatus an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KR20070085125A (ko) 2006-02-22 2007-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7769395B2 (en) 2006-06-20 2010-08-03 Seven Networks, Inc.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US20070220577A1 (en) * 2006-03-15 2007-09-20 Kongalath George P Method and media manager client unit for optimising network resources usage
JP4023508B2 (ja) * 2006-03-28 2007-12-19 松下電工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80079984A1 (en) * 2006-09-22 2008-04-03 Gallucci Frank V Digital Image Sharing
MX2009004311A (es) * 2006-10-23 2009-08-07 Axion Power Int Inc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de energia hibrida y metodo de elaboracion del mismo.
JP5130734B2 (ja) 2007-02-15 2013-01-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05425B2 (en) 2007-06-01 2014-08-12 Seven Networks, Inc. Integrated messaging
US8693494B2 (en) 2007-06-01 2014-04-08 Seven Networks, Inc. Polling
US8117664B2 (en) * 2007-06-28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Radio-type interface for tuning into content associated with projects
US7917591B2 (en) 2007-07-25 2011-03-2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videos inline with an e-mail
US8554784B2 (en) 2007-08-31 2013-10-08 Nokia Corporation Discovering peer-to-peer content using metadata streams
US8671428B2 (en) * 2007-11-08 2014-03-11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 video inbox channel
US8364181B2 (en) 2007-12-10 2013-01-29 Seven Networks, Inc. Electronic-mail filtering for mobile devices
US9002828B2 (en) 2007-12-13 2015-04-07 Seven Networks, Inc. Predictive content delivery
US8793305B2 (en) 2007-12-13 2014-07-29 Seven Networks, Inc. Content delivery to a mobile device from a content service
US8107921B2 (en) 2008-01-11 2012-01-31 Seven Networks, Inc.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US8862657B2 (en) 2008-01-25 2014-10-14 Seven Networks, Inc.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US20090193338A1 (en)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JP5042063B2 (ja) * 2008-02-21 2012-10-03 三洋電機株式会社 被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US8762938B2 (en) 2008-04-28 2014-06-24 Salesforce.Com, Inc. Object-oriented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websites and their content
US8787947B2 (en) 2008-06-18 2014-07-22 Seven Networks, Inc. Application discovery on mobile devices
US8078158B2 (en) 2008-06-26 2011-12-13 Seven Networks, Inc. Provision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US9106489B2 (en) * 2008-07-17 2015-08-11 Dish Network,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network address of an audio/video node to a communication device
US8909759B2 (en) * 2008-10-10 2014-12-09 Seven Networks, Inc. Bandwidth measurement
JP5353615B2 (ja) * 2009-10-06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放送装置、コンテンツ放送方法、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放送システム
JP2011087103A (ja) * 2009-10-15 2011-04-28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サーバを提供
KR101750049B1 (ko) * 2009-11-13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인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US9635336B2 (en) 2010-03-16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output system and codec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same system
PT2550607T (pt) * 2010-03-23 2020-05-15 Reversinglabs Corp Filtragem de conteúdo web com base em nuvem
JP2011211269A (ja) * 2010-03-29 2011-10-20 Buffalo Inc デジタル放送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再生プログラム
US9043731B2 (en) 2010-03-30 2015-05-26 Seven Networks, Inc. 3D mobile user interface with configurable workspace management
KR101517638B1 (ko) * 2010-04-22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8843736B2 (en) 2010-05-04 2014-09-23 Sony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internet video client
US8458741B2 (en) 2010-05-27 2013-06-04 Sony Corporation Provision of TV ID to non-TV device to enable access to TV services
US8838783B2 (en) 2010-07-26 2014-09-16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CA2806527A1 (en) 2010-07-26 2012-02-09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8886176B2 (en) 2010-07-26 2014-11-11 Seven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GB2495877B (en) 2010-07-26 2013-10-02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implementation of dynamic wireless traffic policy
US8407755B2 (en) 2010-07-27 2013-03-26 Sony Corporation Control of IPTV using second device
US9223892B2 (en) 2010-09-30 2015-12-29 Salesforce.Com, Inc. Device abstraction for page generation
US8908103B2 (en) * 2010-10-01 2014-12-09 Sony Corporation Content supplying apparatus, content supply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content viewing system
US8484314B2 (en) 2010-11-01 2013-07-09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WO2012060997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Application and network-based long poll request detection and cacheability assessment therefor
WO2012060995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US9060032B2 (en) 2010-11-01 2015-06-16 Seven Networks, Inc. Selective data compression by a distributed traffic management system to reduce mobile data traffic and signaling traffic
US8903954B2 (en) 2010-11-22 2014-12-02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CN103620576B (zh) 2010-11-01 2016-11-09 七网络公司 适用于移动应用程序行为和网络条件的缓存
US8326985B2 (en) 2010-11-01 2012-12-04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management of keep-alive message signaling for mobile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and optimization
WO2012061437A1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Cache defeat detection and caching of content addressed by identifiers intended to defeat cache
US9330196B2 (en) 2010-11-01 2016-05-03 Seven Networks, Llc Wireless traffic management system cache optimization using http headers
US8843153B2 (en) 2010-11-01 2014-09-23 Seven Networks, Inc.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CA2798523C (en) 2010-11-22 2015-02-24 Seven Networks, Inc.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8935360B2 (en) 2010-12-03 2015-01-13 Salesforce.Com, Inc. Techniques for metadata-driven dynamic content serving
WO2012092347A2 (en) 2010-12-28 2012-07-05 Digital Storage Solutions, Inc. System for writing and dispensing solid-state storage devices
EP2661697B1 (en) 2011-01-07 2018-11-21 Seve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mobile network traffic used for domain name system (dns) queries
US8856171B2 (en) * 2011-03-29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Locating and executing objects in a distributed network
FR2973633A1 (fr) * 2011-03-30 2012-10-05 France Telecom Restitution en differe de donnees.
GB2517815A (en) 2011-04-19 2015-03-04 Seven Networks Inc Shared resource and virtual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ed environment
WO2012149434A2 (en) 2011-04-27 2012-11-01 Seven Networks, Inc. Detecting and preserving state for satisfying application requests in a distributed proxy and cache system
GB2504037B (en) 2011-04-27 2014-12-24 Seven Networks Inc Mobile device which offloads requests made by a mobile application to a remote entity for conservation of mobile device and network resources
US8645353B2 (en) * 2011-06-23 2014-02-04 Microsoft Corporation Anchor image identification for vertical video search
EP2737742A4 (en) 2011-07-27 2015-01-28 Seven Networks Inc AUTOMA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LINES INFORMATION ON MOBILE MOBILE TRANSPORT IN A WIRELESS NETWORK
KR101491604B1 (ko) * 2011-11-02 2015-02-13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채널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934414B2 (en) 2011-12-06 2015-01-13 Seven Networks, Inc. Cellular or WiFi mobile traffic optimization based on public or private network destination
EP2789137A4 (en) 2011-12-06 2015-12-02 Seven Networks Inc SYSTEM OF REDUNDANTLY CLUSTERED MACHINES FOR PROVIDING TILTING MECHANISMS IN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 RESOURCE PRESERVATION
WO2013086455A1 (en) 2011-12-07 2013-06-13 Seven Networks, Inc.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a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for network traffic alleviation
US9277443B2 (en) 2011-12-07 2016-03-01 Seven Networks, Llc Radio-awareness of mobile device for sending server-side control signals using a wireless network optimized transport protocol
EP2792188B1 (en) 2011-12-14 2019-03-20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reporting and usage analytics system and method using aggregation of data in a distributed traffic optimization system
US8861354B2 (en) 2011-12-14 2014-10-14 Seven Networks, Inc. Hierarchies and categories for management and deployment of policies for distributed wireless traffic optimization
WO2013090834A1 (en) 2011-12-14 2013-06-20 Seven Networks, Inc. Operation modes for mobile traffic optimization and concurrent management of optimized and non-optimized traffic
WO2013103988A1 (en) 2012-01-05 2013-07-11 Seven Networks, Inc. Detection and management of user interactions with foreground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in distributed caching
WO2013116856A1 (en) 2012-02-02 2013-08-08 Seven Networks, Inc. Dynamic categorization of applications for network access in a mobile network
WO2013116852A1 (en) 2012-02-03 2013-08-08 Seven Networks, Inc. User as an end point for profiling and optimizing the delivery of content and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8812695B2 (en) 2012-04-09 2014-08-19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US10263899B2 (en) 2012-04-10 2019-04-16 Seven Networks, Llc Enhanced customer service for mobile carriers using real-time and historical mobile application and traffic or optimization data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s in a mobile network
WO2014011216A1 (en) 2012-07-13 2014-01-16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US20140074961A1 (en) * 2012-09-12 2014-03-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Efficiently Delivering Time-Shifted Media Content via Content Delivery Networks (CDNs)
US9161258B2 (en) 2012-10-24 2015-10-13 Seven Networks, Llc Optimized and selective management of policy deployment to mobile clients in a congested network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network congestion
US9307493B2 (en) 2012-12-20 2016-04-05 Seven Net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f mobile device radio state promotion and demotion
US9690759B2 (en) * 2013-01-03 2017-06-27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ontent linking
US9271238B2 (en) 2013-01-23 2016-02-23 Seven Networks, Llc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US8874761B2 (en) 2013-01-25 2014-10-28 Seven Networks, Inc.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US9326185B2 (en) 2013-03-11 2016-04-26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US9065765B2 (en) 2013-07-2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US10506282B2 (en) 2013-10-21 2019-12-10 Synamedia Limited Generating media signature for content delivery
KR102184492B1 (ko) * 2013-11-19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US10185719B2 (en) * 2014-04-15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life log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CN104301803B (zh) * 2014-10-24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UPnP的多媒体播放控制方法及系统
JP2016149625A (ja) * 2015-02-12 2016-08-18 日本放送協会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KR101722673B1 (ko) 2015-12-08 2017-04-03 네이버 주식회사 생중계에서 타임머신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506059B2 (en) * 2016-03-18 2019-12-1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application content packaging and delivery
US10516715B2 (en) * 2016-06-22 2019-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controlled time-shift live media and advertisement content play for learned ABR video white spot coverage in a streaming network
US10805028B2 (en) 2016-10-04 2020-10-13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7959719B (zh) * 2017-11-27 2020-10-27 苏州乐麟无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缓存的多服务器调用方法及系统
CN108882041B (zh) * 2018-07-09 2021-03-0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播放器状态获取方法及装置
US10833972B2 (en) * 2018-11-30 2020-11-10 Dispersive Networks, Inc. Automatically selecting an optimized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unications with a deflect in an overlay network
US11249986B2 (en) * 2019-12-17 2022-02-15 Paypal, Inc. Managing stale connections in a distributed system
US11645266B2 (en) * 2020-08-13 2023-05-09 Red Hat, Inc. Automated pinning of file system subtre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8222A (en) * 1994-11-14 1999-03-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audio and channel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signal based on channel data indicative of channel contents of a signal
US6304564B1 (en) * 1996-11-29 2001-10-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server process
US6421733B1 (en) * 1997-03-25 2002-07-16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dynamically transcoding data transmitted between computers
JP3676048B2 (ja) 1997-09-03 2005-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放送システム、放送方法及び記録媒体
WO2000078001A2 (en) * 1999-06-11 2000-12-21 Microsoft Corporation General api for remote control of devices
JP2001092749A (ja) 1999-09-22 2001-04-06 Akihide Miyamura 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7024679B1 (en) * 1999-10-13 2006-04-04 Svod Llc Local near video on demand storage
US20030182567A1 (en) * 1999-10-20 2003-09-25 Tivo Inc. Client-side multimedia content targeting system
CA2324856C (en) * 1999-11-15 2007-05-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udiovisual signal recording
US6970127B2 (en) * 2000-01-14 2005-11-29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and displaying of compressed video on a display on the remote
JP2001333410A (ja) * 2000-05-22 2001-11-30 Sony Corp メディアデータの提供を最適化するためのメタデータ使用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1093655A2 (en) * 2000-06-05 2001-12-13 Shiman Associat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cuments in a centralized document repository system
JP2002140614A (ja) 2000-11-02 2002-05-17 Ksk:Kk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2189943A (ja) 2000-12-20 2002-07-05 Ne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接続制御サーバ、接続・課金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354451A (ja) 2001-02-23 2002-12-06 Artech Communication Inc ストリーミング放送システム
JP2002312391A (ja) 2001-04-09 2002-10-25 Ntt Data Pocket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050799A (ja) 2001-08-08 2003-02-21 Seiko Epson Corp データベース検索方法、データベース検索システム、検索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20030088876A1 (en) * 2001-11-08 2003-05-08 Liberate Technologies Video on demand gateway
US7159224B2 (en) * 2002-04-09 2007-01-02 Sun Microsystems, Inc. Method, system,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providing a servlet container based web service endpoi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06B1 (ko) * 2006-06-15 2014-03-12 소니 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과 컴퓨터·프로그램
US9432628B2 (en) 2006-06-15 2016-08-30 Saturn Licensing Ll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860076B1 (ko) * 2007-02-22 2008-09-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록시 서버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캐시교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42142A (ko) * 2010-10-27 2013-12-27 오렌지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인덱싱 및 실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2413A (ja) 2004-11-04
CN100583063C (zh) 2010-01-20
US20060212531A1 (en) 2006-09-21
US8135844B2 (en) 2012-03-13
EP1612686A4 (en) 2008-09-17
EP1612686A1 (en) 2006-01-04
WO2004090736A1 (ja) 2004-10-21
CN1788259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2962A (ko)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KR20060002952A (ko) 콘텐츠 제공 서버,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프로그램
EP1635574B1 (en) Method for redirection of streaming content
KR101762088B1 (ko) 다중 스크린 상호작용 방법 및 디바이스
US79965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event information to a client
US8490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contents on audio/video network and controlling execution of the contents
JP2008219929A (ja) 放送番組蓄積装置
WO2007111312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20110032674A (ko)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H11317937A (ja) 放送蓄積視聴装置
US20080240670A1 (en) Picture recording system and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WO2009093694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指示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方法、受信方法、指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10026745A (ko)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02018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19434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2132607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並びに通信方法
JP2004312414A (ja) コンテンツ記録サーバ、コンテンツ記録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85015B2 (ja) ネットワーク放送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番組提供装置
JP4140533B2 (ja) 放送番組蓄積装置
KR20160048740A (ko)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