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125A -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125A
KR20070085125A KR1020070002981A KR20070002981A KR20070085125A KR 20070085125 A KR20070085125 A KR 20070085125A KR 1020070002981 A KR1020070002981 A KR 1020070002981A KR 20070002981 A KR20070002981 A KR 20070002981A KR 20070085125 A KR20070085125 A KR 2007008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oadcast
output device
request
cont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류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5125A/ko
Priority to US11/707,473 priority patent/US20080148333A1/en
Priority to PCT/KR2007/000887 priority patent/WO2007097563A1/en
Priority to EP07709036.3A priority patent/EP1992106B1/en
Publication of KR2007008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V 네트워크, 방송 컨텐츠

Description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an audio-video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 간의 AV 세션 형성 과정 및 동작 모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의 적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저장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 장치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생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재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삭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공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310 : 방송 신호 수신부 1320 : 제한 수신부
1330 : 복원부 1340 :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
1350 : 제어부 1360 :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AV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및 케이블 방송 등을 통한 디지털 방송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는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셋탑 박스, 디지털 TV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디지털 방송은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이 디지털 정보로 압축된 상태로 출력되고, 이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의 압축을 해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시킨다.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출력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는 셋탑 박스나 디지털 TV 등은 종래의 아날로그 TV 환경에서 사용되지 않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은 영상 및 음성 정보 이외에도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de; EPG)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요일별, 채널별, 시간대별로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방송 스트림에서 특정 비트스트림을 추출하여 셋탑 박스나 디지털 TV 내부에 장착된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재생시킬 수 있는 타임 시프트(time shift) 기능이 등장하였다. 타임 시프트 기능을 사용하면,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우는 동안의 방송 내용을 저장하였다가 사용자가 다시 방송을 시청하려는 경우 저장된 내용부터 현재의 방송 내용까지를 연결하여 실시간처럼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방송 수신 장치 등에 내장된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수신 장치와 분리된 별도의 컨텐츠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이 경우, AV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AV 장치의 개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AV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가정 내에 둘 이상의 디지털 TV를 보유하는 경우처럼 하나의 AV 네트워크 내에 동종의 AV 장치가 복수로 존재하는 환경도 등장함에 따라서, AV 네트워크에 대한 관리 기술이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AV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긍정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상기 접근 허용 최대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긍정 응답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소정의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긍정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상기 접근 허용 최대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부정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긍정 응답을 송신한 이후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방송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사용자에게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방송 컨텐츠 공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로부터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사용자에게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 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 및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Audio/Video; AV) 시스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AV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AV 장치로 구성된다. AV 장치는 AV 데이터의 복원, 재생 및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방송 수신 장치(110), 컨텐츠 출력 장치(120), 및 컨텐츠 저장 장치(130)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방송 컨텐츠를 복원한다. 방송 컨텐츠는 영화, 드라마, 뉴스 등과 같이 방송국이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으로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의 일 예로써,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증권 정보, 날씨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케이블, 지상파 또는 위성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방송 신호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는 복원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방송 수신 장치(110)의 예로써, 셋탑 박스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닛(Network Interface Unit; NIT)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수신 장치(1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와 비디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출력할 방송 컨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110)나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디지털 TV, 프로젝터,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제공 받은 방송 컨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된 방송 컨텐츠는 소정의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북마크 정보나 기타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서 A/V HDD(Audio/Video Hard Disk Drive)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V 시스템(100)은 컨텐츠 출력 장치(120)를 중심으로 하여 AV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사용자와 AV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제어 요청을 입력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제어 대상이 되는 AV 장치에게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AV 네트워크의 제어를 가이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AV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녹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 구비된 버튼이나 리모콘과 같은 입력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사 용자는 리모콘에 구비된 기능 버튼을 사용하여 AV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에 녹화를 지시하는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리모콘의 기능 버튼을 누름으로써 방송 컨텐츠의 녹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AV 네트워크 내에는 방송 수신 장치(110), 컨텐츠 출력 장치(120) 및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각각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AV 네트워크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 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AV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해서 능동 모드(active mode)와 수동 모드(passive mode)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능동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갖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수동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능동 모드의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채널 변경, 타임 시프트(time shift) 기능 등을 요청하면 방송 수신 장치(110)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수동 모드의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부터 소정의 작업이 요청될 경우에 방송 수신 장치(110)는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방송 수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주체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일 수도 있고 방송 수신 장치(110)일 수도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판단의 주체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제어 요청(예를 들어 채널 변경이나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이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자신의 동작 모드가 능동 모드이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컨텐츠 출력 장치(110)는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컨텐츠 출력 장치(110)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임을 알릴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가 판단의 주체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사용자의 제어 요청을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달한다. 이 때, 방송 수신 장치(110)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가 능동 모드이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사용자의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방송 수신 장치(120)는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제어 요청을 수락할 수 없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출력 장치(110)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임을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출력 장치(110)가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주체인 경우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 모드와 수동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한 순서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AV 세션은 AV 데이터(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의 전송 채널을 의미한다. 즉, AV 세션이 형성되었다는 것은 AV 장치들 간에 AV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AV 데이터를 획득하는 싱크 디바이스의 관계가 성립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120)와 방송 수신 장치(110) 간의 AV 세션 형성 과정 및 동작 모드 설정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흐름도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 및 방송 수신 장치(110)로 구성된 AV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먼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한다(S210). 이를 위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AV 장치가 없으므로, 방송 수신 장치(11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를 능동 모드의 AV 장치로 설정한다(S215). 그 후, 방송 수신 장치(11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의 AV 세션 형성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S220). 이 때, 방송 수신 장치(11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AV 세션 형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방송 수신 장치(110)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 간의 AV 세션이 확립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110)는 자신이 방송 신호에서 복원한 방송 컨텐츠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AV 세션 형성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확인된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S225),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230). 동작 모드를 알리기 위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이벤트 음향을 출력하거나 이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가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한 이후,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할 수 있다(S235). 이를 위해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는 이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를 수동 모드의 AV 장치로 설정한다(S240). 그 후, 방송 수신 장치(11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의 AV 세션 형성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S245). 이를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11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AV 세션 형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방송 수신 장치(110)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 간의 AV 센션이 확립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110)는 자신이 방송 신호에서 복원한 방송 컨텐 츠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AV 세션 형성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방송 수신 장치(110)에 대한 자신의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확인된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S250),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255). 동작 모드를 알리기 위하여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이벤트 음향을 출력하거나 이벤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이 수행된 이후에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 또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로부터 채널 변경과 같은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110)는 자신이 설정하여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수신된 제어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능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 2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 각각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110) 간의 AV 세션 형성 순서에 관계없이,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컨텐츠 출력 장치가 능동 모드로 동작하고 나머지 컨텐츠 출력 장치들은 수동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 출력 장치와 방송 수신 장치 간의 AV 세션이 해지될 경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경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과정은 도 2의 과정을 통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가 능동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기반으로 한다.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AV 세션의 해지를 요청한다(S310). 이를 위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AV 세션 해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V 세션의 해지를 요청 받은 방송 수신 장치(110)는 자신이 설정하여 두었던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S320),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의 AV 세션 해지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S330). 과정 S330에서 방송 수신 장치(110)는 AV 세션 해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AV 세션 해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도 2의 과정 S225에서 설정하여둔 자신의 동작 모드를 삭제할 수 있다(S340).
그 후, 방송 수신 장치(110)는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의 동작 모드를 능동 모드로 변경하고(S350), 동작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통지할 수 있다(S360). 과정 S360에서 방송 수신 장치(110)는 동작 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동작 모드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도 2의 과정 S250에서 설정하여둔 자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S370), 변경된 동작 모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 다(S380).
만약, 방송 수신 장치(110)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 간에 AV 세션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면, 도 3의 과정 S350 내지 과정 S380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출력 장치가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였다면, 과정 S350 내지 과정 S380은 방송 수신 장치(110)와의 AV 세션 형성 순서가 가장 빠른 컨텐츠 출력 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AV 네트워크 사용 시나리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의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 방송 수신 장치(111), 제2 방송 수신 장치(112) 및 컨텐츠 출력 장치(120)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방송 수신 장치(111)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이고, 제2 방송 수신 장치(112)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제1 방송 수신 장치(111)와 AV 세션을 형성한다(S410). 즉,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제1 방송 수신 장치(111)를 소스 디바이스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경우, 제1 방송 수신 장치(111)는 지상파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에서 방송 컨텐츠를 복원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제1 방송 수신 장치(111)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던 사용자가 위성 방송을 시청하고자 한다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소스 디바이스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AV 네트워크의 제어를 가이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방송 수신 장치(112)를 소스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를 제2 방송 수신 장치(112)로 변경하라는 요청이 입력되면(S42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제1 방송 수신 장치(111)와의 AV 세션을 해지하고(S430), 제2 방송 수신 장치(112)와 AV 세션을 형성한다(S440). 만약 제2 방송 수신 장치(112)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라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제2 방송 수신 장치(112)는 자동으로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제2 방송 수신 장치(112)와 컨텐츠 출력 장치(120) 간에 AV 세션이 형성되었으므로, 사용자는 위성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송 수신 장치는 컨텐츠 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도 방송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송 수신 장치는 채널 변경 요청이 임계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방송 컨텐츠를 전송한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채널을 브라우징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채널을 변경시키려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채널 변경 버튼 등을 사용하여 이전 채널 변경을 입력한 때로부터 다음 채널 변경을 입력하기까지 소요되는 평균적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시간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표본 실험 등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 저장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 하여 시청하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채널을 브라우징하는 동안에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의 저장은 사용자의 요청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방송 컨텐츠는 타임 시프트 기능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임 시프트 기능의 구현을 위한 방송 컨텐의 저장 작업을 백업이라 칭하기로 한다.
타임 시프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컨텐츠 저장 장치가 사용하는 저장 영역(이하 백업 영역이라 한다)은 다른 데이터의 저장 영역으로부터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백업 영역이 포화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는 백업 영역에서 저장 시점이 오래된 순서대로 기존에 백업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저장 공간에 새로운 내용의 방송 컨텐츠를 백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임 시프트 기능이란 방송 수신 장치(110)가 수신된 방송 신호에서 복원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백업하여 두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타임 시프트 기능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는 방송 수신 장치(110)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컨텐츠보다 시간적으로 뒤진 내용을 갖는다. 이러한 타임 시프트 기능은 방송 컨텐츠의 일시 정지, 역재생, 빠른 재생, 및 지난 시간의 방송 컨텐츠 재생 등의 세부 기능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시프트 기능의 적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이 입력되면(S51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동작 모드가 능동 모드이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타임 시프트 기능을 요청한다(S530, S540).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부터 타임 시프트 기능이 요청되면, 방송 수신 장치(110)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 대한 방송 컨텐츠 전송을 중단한다(S550). 또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부터 타임 시프트 기능이 요청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백업 영역에 백업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560). 물론,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백업 영역에 백업된 방송 컨텐츠를 어느 부분부터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것인가는 타임 시프트 기능의 요청 유형(일시 정지, 역재생, 빠른 재생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방송 컨텐츠가 수신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570).
도 5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도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 받고, 이를 백업 영역에 백업하는 작업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과정 S510에서의 판단 결과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라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의 과정 S530 내지 과정 S570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던 중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채널 변경을 요청하고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는 타임 시프트 기능의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 장치(110)는 채널 튜닝 작업을 통해서 방송 신호의 수신 채널을 요청된 채널로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서 방송 컨텐츠를 복원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 이와 함께,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 대한 방송 컨텐츠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저장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타임 시프트 기능 구현을 위해서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백업 영역에 방송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백업 작업과는 구분되는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방송 컨텐츠를 하나의 독립된 동영상 파일로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즉,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명시적인 삭제 요청이 없는 한 도 6의 과정을 통해서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임의로 삭제하지 않는다.
우선,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와 AV 세션을 형성한다(S610).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 받고,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방송 컨텐츠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S615),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620). 판단 결과, 동작 모드가 능동 모드이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방송 컨텐츠의 저장을 요청한다(S625, S630)). 이를 위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저장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V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컨텐츠 저장 장치가 존재한다면,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컨텐츠 저장 장치(13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저장 장치(130)의 식별자가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과정 S625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전송할 저장 요청 메시지에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컨텐츠 저장 장치(130)의 식별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AV 네트워크 내에 컨텐츠 저장 장치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컨텐츠 저장 장치(130)의 식별자를 방송 수신 장치(110)에게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요청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110)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컨텐츠 저장 장치(130)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방송 컨텐츠를 전송한다(S635). 물론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 간에 AV 세션이 이미 형성되어 있었다면, AV 세션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고(S640), 방송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저장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645). 과정 S635와 과정 S640은 저장 작업이 중단되기 전까지 지속된다. 또한, 과정 S645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650).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알리는 음향을 출력하거나 방송 컨텐츠가 저장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의 저장 작업 중, 사용자는 저장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저장 중단 요청이 입력되면(655),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컨텐츠 저장 작업을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660, S665). 과정 S660과 과정 S665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저장 중단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방송 수신 장치(110)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 장치(11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대한 방송 컨텐츠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670). 또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방송 컨텐츠의 저장 작업을 중단하고(S675), 저장 중단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680). 과정 S680에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는 파일명, 파일 크기, 저장 위치 등과 같은 저장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명은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임의로 생성한 것일 수 있으며, 추후 사용자에 의해 편집 가능하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의 저장 작업이 완료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685).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저장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과정 S620에서의 판단 결과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라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의 저장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의 과정 S625 내지 과정 S670은 수행되지 않는다.
만약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수동 모드라면, 방송 컨텐츠의 저장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 능동 모드로 동작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110)가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10)는 기존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더 이상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방송 컨텐츠 저장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수동 모드인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 저장 작업의 수행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컨텐츠를 백업하는 컨텐츠 저장 장치와 도 6의 과정에 따라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장치가 동일한 장치라면, 도 6의 방송 컨텐츠 저작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백업 영역으로 방송 컨텐츠를 백업하는 작업은 중단될 수 있다. 방송 컨텐츠의 백업 작업은 방송 컨텐츠 저장 작 업이 중단된 때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면 재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작업은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백업 영역에 방송 컨텐츠를 백업하는 작업과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6의 과정을 거쳐서 방송 컨텐츠가 저장 중인 경우에도,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이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백업 영역에 지속적으로 백업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과정은 도 6의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방송 컨텐츠를 저장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컨텐츠 저장 장치(130)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선택되면(S71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할 수 있다(S720). 과정 S720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텐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접근(access)할 수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에 제한을 둘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저장 장치가 보유한 인터페이스의 수나 연산 능력 등 컨텐츠 저장 장치의 성능이나 AV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서 하나의 컨텐츠 저장 장치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부터 AV 세션 형성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현재 자신과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들의 개수를 확인한다(S730). 만약,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들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보다 작다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대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재생 옵션 메뉴와 함께 AV 세션 형성 요청에 대한 긍정 응답을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740). 과정 S730에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재생 옵션 메뉴를 포함하는 AV 세션 형성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옵션 메뉴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의 리스트와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히스토리 정보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 중에서 가장 최근에 재생된 방송 컨텐츠 정보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전송 받은 재생 옵션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50).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재생 옵션 메뉴에서 재생을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 컨텐츠가 선택되면(S76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선택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요청하고(S770),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요청된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780). 여기서 방송 컨텐츠의 전송 방식은 스트리밍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전송 받은 방송 컨텐 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790).
한편,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과정 S730에서의 판단 결과 컨텐츠 저장 장치(130)와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들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와 동일하다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AV 세션 형성 요청에 대한 부정 응답을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AV 세션 형성 불가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접근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생성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북마크 생성 요청이 입력되면(S81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북마크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820). 과정 S820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재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북마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북마크를 생성한다(S830). 예를 들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로부터 전송 받은 재생 위치 정보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북마크가 생성되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북마크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840).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북마크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85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진행 바(progress bar, 910) 상에 북마크가 생성된 지점을 나타내는 아이콘(922, 92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재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컨텐츠 저장 장치(130)가 보유한 북마크 리스트에 대한 요청이 입력되면(S101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북마크 리스트를 요청한다(S1020).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북마크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북마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북마크 리스트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1030). 여기서 북마크 리스트는 북마크 식별자, 북마크가 형성된 시간, 북마크에 연관된 방송 컨텐츠의 명칭 등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전송 받은 북마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04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리스트에서 원하는 북마크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마크가 선택되면(S105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선택된 북마크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부터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요청할 수 있다(S1060). 이 때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북마크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북마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북마크에 의해 지시되는 저점에서부터 방송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107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S108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삭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방송 컨텐츠 리스트 요청이 입력되면(S111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방송 컨텐츠 리스트를 요청한다(S1115). 과정 S1115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 리스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의 리스트를 컨텐츠 출력 장치(130)에게 전송하고(S112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전송된 방송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125). 사용자는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컨텐츠 리스트에서 삭제를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삭제될 방송 컨텐츠가 선택되면(S1130),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선택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요청한 다(S1135). 과정 S1135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선택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저장 장치(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삭제 요청된 방송 컨텐츠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되는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40). 만약 삭제 요청된 방송 컨텐츠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고(S1145), 방송 컨텐츠 삭제 요청에 대한 긍정 응답을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한다(S1150). 과정 S1150에서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삭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가 삭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1155).
한편,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과정 S1140에서의 판단 결과 삭제 요청된 방송 컨텐츠가 사용되는 중이라면,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방송 컨텐츠가 사용 중이므로 삭제할 수 없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컨텐츠 출력 장치(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 공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제1 방송 수신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수신된 지상파 방송을 사용자1에게 출력하고 있으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제2 방송 수신 장치(도시하니 않음)를 통해서 수신된 위성 방송을 사용자2에게 출력 하고 있는 상태를 기반으로 한다.
만약 사용자1이 사용자2가 시청중인 방송 컨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원한다면, 사용자1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출력 하는 방송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입력되면(S1210),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방송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S1220). 과정 S1220에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컨텐츠 공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 받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가 방송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였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230). 또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는 자신이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에 따라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출력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1에게 출력할 수 있다(S1250).
한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소스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와 방송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제2 방송 수신 장치와의 AV 세션 을 해지하고 컨텐츠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면,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자신이 직접 출력할 뿐만 아니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에게도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동작하게 된다. 즉,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의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없으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현재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전달 받아 출력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가 제2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해서 능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동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도 12의 실시예는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앞서 언급된 제1 방송 수신 장치(111)와 제2 방송 수신 장치(112)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10)는 방송 신호 수신부(1310), 제한 수신부(1320), 복원부(1330),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1340), 제어부(1350),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13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신호 수신부(1310)는 튜너(도시하지 않음)와 복조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튜너는 채널 튜닝 작업을 통해서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 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복조기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10)가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튜너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해 I/Q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I/Q 신호를 복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는 중간주파수로 변화된 신호로부터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을 복원하고, 복원된 전송스트림을 제한 수신부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복조기는 QPSK 복조기(미도시)와 FEC 복조기(미도시)로 이루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QPSK(quadratic phase shift keying) 복조 및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한 수신부(1320)는 스마트 카드(12)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한 수신부(1320)는 복조기로부터 제공된 전송스트림 내에 포함된 인증 파라미터와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1340)가 스마트 카드(12)를 판독하여 제공한 인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방송 수신 장치(110)의 사용자에게 수신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두 인증 파라미터가 동일하다면 사용자에게 수신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두 인증 파라미터가 동일하지 않다면 사용자에게 수신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결과 사용자에게 수신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한 수신부(1320)는 전송스트림을 디스크램블링 한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결과 사용자에게 수신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한 수신부(1320)는 전송스트림에 대한 디스크램블링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가를 지불한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디스크램블링이 수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디스크램블링이 수행되지 않는다.
복원부(1330)는 제한 수신부(1320)에 의해 디스크램블링된 전송스트림을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를 복원한다. 그러나, 제한 수신부(1320)가 전송스트림을 디스크램블링하지 않는 경우 복원부(1330)는 전송스트림에 포함된 방송 컨텐츠를 정상적으로 복원할 수 없게 된다.
방송 컨텐츠를 복원하기 위하여 복원부(1330)는 역다중화부(1332)와 디코딩부(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332)은 제한 수신부(1320)로부터 디스크램블링된 전송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이들을 디코딩부(1334)에게 제공한다.
디코딩부(1334)는 비디오 디코더(도시하지 않음) 및 오디오 디코더(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역다중화부(1332)로부터 제공 받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다. 이 중 비디오 디코더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등의 비디오 압축 해제 방식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으며, 오디오 디코더는 MP3(MPEG Layer-3), AC3(Audio Compression 3) 등의 오디오 압축 해제 방식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1340)은 스마트 카드(12)를 판독하여 스마트 카드(12)에 저장된 인증 파라미터를 제한 수신부(1320)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D 카드, 메모리 스틱과 같이 스마트 카드(12) 대신 인증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휴대용 저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부(1340)은 해당 휴대용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50)는 다른 AV 장치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송 수신 장치(1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50)는 다른 AV 장치들과의 통신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해석하고, 다른 AV 장치들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50)가 처리하는 메시지는 도 2 내지 도 12의 설명에서 방송 수신 장치(110, 111, 112)가 생성하거나 수신하는 메시지들을 의미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은 유선 매체 또는 무선 매체를 사용하여 다른 AV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은 복원부(1330)가 복원한 방송 컨텐츠를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은 제어부(1350)가 생성한 메시지를 다른 AV 장치에게 송신하고, 다른 AV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는 복수의 서브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컨텐츠와 메시지가 서로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각 AV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서 서로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360)는 디코딩부(1334)에 의해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의 방송 컨텐츠를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다른 AV 장치가 디코딩부(1334)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 여 방송 컨텐츠를 직접 디코딩할 수 있을 경우에 수행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12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앞서 언급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21)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122) 또한 도 14에 도시된 컨텐츠 출력 장치(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 제어부(1420), 컨텐츠 출력부(1430), 및 사용자 요청 입력부(144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는 유선 매체 또는 무선 매체를 사용하여 다른 AV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는 다른 AV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는 컨텐츠 출력부(1430)가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는 제어부(1420)가 생성한 메시지를 다른 AV 장치에게 송신하고, 다른 AV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는 복수의 서브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컨텐츠와 메시지가 서로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각 AV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서 서로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420)는 다른 AV 장치의 요청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컨텐츠 출력 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20)는 다른 AV 장치들과의 통신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해석하고, 다른 AV 장치들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20)가 처리하는 메시지는 도 2 내지 도 12의 설명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20, 121, 122)가 생성하거나 수신하는 메시지들을 의미한다. 이밖에도 제어부(1420)는 AV 네트워크의 제어를 가이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144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1430)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410)가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 컨텐츠 출력부(1430)은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와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부(1430)는 제어부(142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요청 입력부(144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이를 위해 사용자 요청 입력부(144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요청 입력부(1440)는 IR 수신기, 블루투스 모듈과 같이 리모콘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신호 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는 인코딩된 방송 컨텐츠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AV 장치로부터 디코딩되지 않은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120)의 디코딩부가 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장 장치(13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컨텐츠 저장 장치(130)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 제어부(1520), 저장부(1530), 인코딩부(1540), 및 디코딩부(155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는 유선 매체 또는 무선 매체를 사용하여 다른 AV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는 다른 AV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는 저장부(15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는 제어부(1520)가 생성한 메시지를 다른 AV 장치에게 송신하고, 다른 AV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1510)는 복수의 서브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AV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해서 서로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520)는 컨텐츠 저장 장치(130)를 구성하는 기능성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1530)는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부(1530)가 저장하는 방송 컨텐츠는 MPEG-2, MPEG-4, MP3, AC3와 같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 인코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컨텐츠는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될 당시부터 인코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수신 장치(110)로부터 디코딩된 상태의 방송 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인코딩부(1540)가 이를 인코딩한 후에 저장부(1530)가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코딩부(1550)는 저장부(1530)에 저장된 방송 컨텐츠 중에서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될 방송 컨텐츠를 디코딩할 수 있다. 물론, 다른 AV 장치에게 전송될 방송 컨텐츠라 할지라도 디코딩부(1550)가 이를 디코딩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디코딩부(1550)가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압축 해제 방식은 인코딩부(1540)가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압축 방식과 대응된다.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서 '~부'로 언급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AV 장치가 존재하는 AV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0)

  1. 방송 수신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갖는 능동 모드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능동 모드이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수동 모드 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없다는 정보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수동 모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채널 변경 요청,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 방송 컨텐츠 저장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7. 방송 신호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복원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갖는 능동 모드와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능동 모드이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수동 모드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어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정보와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수동 모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채널 변경 요청,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 방송 컨텐츠 저 장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2.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긍정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상기 접근 허용 최대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긍정 응답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소정의 제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의 전송 요청과 상기 방송 컨텐츠의 삭제 요청 중 어느 하나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재생 요청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북마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북마크 리스트의 전송 요청인 경우,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북마크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북마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북마크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6.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 장치의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접근 허용 최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긍정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개수가 상기 접근 허용 최대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부정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긍정 응답을 송신한 이후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어 요청 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 요청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저장 장치가 저장하고 있는 방송 컨텐츠의 전송 요청과 상기 방송 컨텐츠의 삭제 요청 중 어느 하나인,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재생 요청인 경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북마크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하여 북마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삭제 요청인 경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 중이면 상기 삭제 요청에 대한 부정 응답을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가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 중이지 않으면 상기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이 북마크 리스트의 전송 요청인 경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상기 북마크 리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리스트에 포함된 북마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상기 북마크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부터 방송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3.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방송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사용자에게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4.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공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변경을 요청 받는 단계;
    변경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새로운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되는 새로운 방송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27. 방송 수신 장치에게 AV 세션 형성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 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동작 모드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갖는 능동 모드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출력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능동 모드이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수동 모드인, 컨텐츠 출력 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없다는 정보와 상기 동작 모드가 상 기 수동 모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채널 변경 요청,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 방송 컨텐츠 저장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33.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AV 세션 형성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하여 제어 권한을 갖는 능동 모드와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인, 방송 수신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능동 모드이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AV 세션을 형성한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는 상기 수동 모드인, 방송 수신 장치.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정보와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수동 모드임을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전송하는, 방송 수신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은 채널 변경 요청, 타임 시프트 기능 요청, 방송 컨텐츠 저장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38.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방송 컨텐츠 공유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사용자에게 출력 중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AV 장치.
  39.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 및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방송 컨텐츠의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송신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AV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게 공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AV 장치.
KR1020070002981A 2006-02-22 2007-01-10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70085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81A KR20070085125A (ko) 2006-02-22 2007-01-10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707,473 US20080148333A1 (en) 2006-02-22 2007-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video (AV) network
PCT/KR2007/000887 WO2007097563A1 (en) 2006-02-22 2007-02-2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video (av) network
EP07709036.3A EP1992106B1 (en) 2006-02-22 2007-02-21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video (av)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536106P 2006-02-22 2006-02-22
US60/775,361 2006-02-22
KR1020070002981A KR20070085125A (ko) 2006-02-22 2007-01-10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125A true KR20070085125A (ko) 2007-08-27

Family

ID=3861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81A KR20070085125A (ko) 2006-02-22 2007-01-10 Av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48333A1 (ko)
EP (1) EP1992106B1 (ko)
KR (1) KR20070085125A (ko)
WO (1) WO20070975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377A1 (en) * 2010-10-27 2012-05-0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8719688B2 (en) 2010-10-29 2014-05-06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processing bookmark information generated by another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bookmark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4505B1 (fr) * 2006-07-31 2008-10-17 Oberthur Card Syst Sa Entite electronique portable securisee amovib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autoriser une retransmission differee
US8418206B2 (en) * 2007-03-22 2013-04-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US20110262103A1 (en) * 2009-09-14 2011-10-27 Kumar Ramachandra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video content with linked tagging information
MX2019004958A (es) 2016-10-28 2019-08-12 Rovi Guides Inc Sistemas y metodos para almacenar programa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0052A1 (en) * 1999-01-06 2002-07-25 Daniels John J. Methods for enabling near video-on-demand and video-on-request services using digital video recorders
US6594688B2 (en) * 1993-10-01 2003-07-15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Dedicated echo canceler for a workstation
US6816904B1 (en) * 1997-11-04 2004-11-09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Networked video multimedia storage server environment
US6219839B1 (en) * 1998-05-12 2001-04-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On-screen electronic resources guide
DE10250102A1 (de) * 2002-10-28 2004-07-15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eingerichteten logischen Verbindungen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station
JP2004312413A (ja) 2003-04-08 2004-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05235B2 (en) * 2003-11-14 2012-06-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presenting a tuner device in a media server content directory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377A1 (en) * 2010-10-27 2012-05-0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8719688B2 (en) 2010-10-29 2014-05-06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processing bookmark information generated by another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bookmark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7563A1 (en) 2007-08-30
EP1992106A1 (en) 2008-11-19
EP1992106A4 (en) 2013-08-28
EP1992106B1 (en) 2014-08-13
US20080148333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014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構成
KR101740204B1 (ko) 미디어 소스 선택 및 토클링 시스템 및 방법
RU2491618C2 (ru) Методы потребления контента и метаданных
US9325931B2 (en) Content display-playback system, content display-playback method, recording medium having content display-playback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KR101240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20060206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060265654A1 (en) Content display-playback system, content display-playback method, recording medium having a content display-playback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operation control apparatus
US997372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erform actions upon content items associated with multiple series subscriptions
US20100325652A1 (en) Method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erminal and receiver using the same
US20090070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a Remote Control Device
JP2008022393A (ja) Ip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ip放送受信端末装置
EP19921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video (av) network
US11659254B1 (en) Copyright compliant trick playback modes in a service provider network
JP200951234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シームレスな生放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60294557A1 (en) 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change of a programming state
KR100714692B1 (ko) 오디오/비디오 네트워크에서 타임 시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4233874A (ja) 表示装置および拡大表示方法
JP2004120089A (ja) 受信装置
KR201400295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2014003789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JP6271169B2 (ja) 番組関連プログラム
KR20080050657A (ko) 동영상 탐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19868B1 (ko) 서비스 시간이 경과된 방송 정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JP2007209029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13000445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