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6098A1 -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6098A1
WO2024076098A1 PCT/KR2023/014966 KR2023014966W WO2024076098A1 WO 2024076098 A1 WO2024076098 A1 WO 2024076098A1 KR 2023014966 W KR2023014966 W KR 2023014966W WO 2024076098 A1 WO2024076098 A1 WO 20240760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firewall
heat
bar body
resista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9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WO20240760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60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bar assembly including a firewall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bus bar assembly that can prevent flames from entering 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in the event of a fire and delay the ceramicization of the heat-resistant member surrounding the bus bar bod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increasing,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being applied to high-capacity and high-output devices.
  • the use of battery modules in which multipl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battery packs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or parallel are also increasing.
  • bus bars are widely used a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battery cells and between battery modules.
  • the bus bar can stably transmit a large amount of current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compared to a cable, so it is suitable for use as a means of transmitting large currents.
  • the bus bar has a bus bar body containing copper and/or aluminum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disposed inside, and electrical connectors to form electrical connection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body. Except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the remaining parts are covered with tubes or injection molding materials to ensure electrical insula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s bar before and after being damaged by fire.
  • a conventional bus bar includes a bus bar body 110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 insulating tape 12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110 except for both ends, and an insulating tape ( 120) Includes a silicone tube 130 added to the outer surface.
  • the bus bar body 110 can secure electrical insulation through the insulating tape 120 and the silicone tube 130, and the bus bar body 110 has no added insulation tape 120 or silicone tube 130.
  • the part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and function as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 the heat energy generated when a battery cell ignites or explodes can be transferred to surrounding battery cells, causing the fire to spread. If the silicone tube 130 of the bus bar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is damaged due to a fire in the battery cell, the insulating tape 120 may open and the bus bar body 110 inside may be exposed.
  • the exposed bus bar body may contact other battery pack structures and cause a short circuit, and such an internal short circuit may form an electrical closed circuit inside the battery pack, which may accelerate the thermal runaway phenomenon inside the battery pack.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bus bar including a metal bar made of a metal material, a bandage member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both ends of the metal bar, and an insulating tube surrounding the metal bar and the bandage member together.
  • Patent Document 1 states that since the bandage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metal bar remain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etal bar even when a fire occurs, the metal bar does not directly contact surrounding metal objects,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bus bar body made of conductive metal and formed with two terminals, an insulating member covering the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of the bus bar body, and thermally expandable graphit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member.
  • a bus bar having an expanded graphite layer is disclosed.
  • Patent Document 1 ensures safety by preventing the metal bar from directly contacting metal objects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 Patent Document 2 ensures safety by preventing the bus bar body from being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Even if the bus bar is surrounded by heat-resistant members or expanded graphite, if these are separated from the bus bar body and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or if the expanded graphite is ceramicized and a gap is created, the bus bar body may be exposed. It can only be used as a limited safety measure against fire.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1-0141095 (2021.11.23)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2-094702 (2022.06.27)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bus bar assembly that can delay ceramicization of the heat-resistant member by delaying the penetration of flame 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when the bus bar assembly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the purpose is to provide
  •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ncludes a bus bar body with electrical connections formed at both ends, a fire wall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adjacent to the electrical connections, and the fire wall. It may include a heat-resistant member ad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ex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 the firewall may be coupled to a first side of the bus bar body an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 the firewall may be located at a distal end of the heat-resistant member.
  • the firewall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us bar body.
  • the firewall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copper, nickel, and alloys thereof.
  • the firewall may be coupled to the busbar body by laser welding.
  • the heat-resistant memb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ghly heat-resistant silic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etheretherketone, polyphthalamide, polyamid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etherimide, acrylic fiber, and polybenzimidazole.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 the heat-resistant member can be ceramicized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1,200°C or higher.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wall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slits are formed.
  •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 the coupling member may be at least one of bolts, nuts, bolts, pins, and rive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us bar assembly.
  •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pack housing that accommodates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 pack frame that arranges the battery modules in an internally defined space to fix the positions of the battery modules, and a bus bar assembly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modules. It can be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provided in various combinations of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lame from penetrating into the center of the heat-resistant member by the firewall even if a part of the heat-resistant member is damaged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the time for the heat-resistant member to become ceramic at a high temperature can be delayed, so it is possible to delay the penetration of flame through cracks that occur in the ceramicized portion of the heat-resistant member.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us bar before and after being damaged by fire.
  • Figure 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delaying the flame from entering 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when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flame.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us bar assembly 200 includes a bus bar body 210 with electrical connections formed at both ends, a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10 adjacent to the electrical connections. It includes a firewall 220 and a heat-resistant member 230 that is ad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bar body 210, including the firewall 220 but ex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 the bus bar assembly 200 is a means of electrically connecting spaced apart electrical components and includes a battery module disposed in a battery pack and an inter-module bus bar for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 the length of the bus bar body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al components or battery module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us bar body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amount of current and resistance. .
  • the shape of the bus bar body can be manufactured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connector of the electric component or battery modul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bus bar body can be bent upward or downward. 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L-shape bent at 90 degrees on the plane of the bus bar body, a ⁇ -shape and a ⁇ -shape where both ends are bent at 90 degrees on the plane.
  • the bus bar can be in a form where the bus bar body is branched in the middle and has two or more electrical connections.
  • a firewall 220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of the bus bar body 210 and the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Additionally, the firewall 220 is located between the bus bar body 210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at the distal end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2 to 4,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is shown to completely surround the firewall 220, but may be located only inside the firewall 220 at both ends.
  • the bus bar body 2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nickel, copper, gold, silver, tin, zinc, and alloys thereof.
  • the firewall 2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us bar body 210.
  • the firewall 220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nickel, copper, gold, silver, tin, zinc, and alloys thereof.
  • the firewall 220 is a separate part separated from the bus bar body 210, and can be coupled to the bus bar body 210 by laser welding. Alternatively, it can be manufactured by being integrally molded when manufacturing a bus bar.
  •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at-resistant silic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etheretherketone, polyphthalamide, polyamid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etherimide, acrylic fiber, and polybenzimidazole. It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is ad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10 to which the firewall 220 is coupled,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heat-shrinkable tube. A heat-resistant tube that additionally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may be added.
  •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can maintain the insulating state of the busbar body 210 and the firewall 220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exposed. However, if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becomes ceramic at a high temperature, it may be damaged by cracks caused by ceramiciza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bus bar body 210 may be exposed internally and a short circuit may occur.
  • the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where the bus bar body 210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are in contact are the portions with the highest risk of flame penet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fire wall 220 adjacent to the distal end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to prevent flame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and the busbar body 210 in the event of a fire, thereby forming a heat-resistant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flame from penetrating between (230) and the bus bar body (210).
  • the center of the heat-resistant member refers to the center of the heat-resistant member parallel to the y-direction in FIG. 2.
  •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may be a material that has the property of becoming ceramic at high temperatures. For example, it may be ceramicized at a minimum of 1,200°C or higher, and in detail, it may be ceramicized at 1,500°C or higher.
  • the heat-resistant member When ignition or explosion occurs in a battery cell within a battery pack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bus bar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the heat-resistant member is ceramicized by the gas or flame emitted from the battery cell, but can maintain its shape.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wall may include a slit structure.
  • the firewall 220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slit is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bus bar body 21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bus bar body 210.
  • grooves and grooves may be formed to repeat.
  • Figure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slits are formed in the fire walls 220 on the first side,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bus bar body 210, but the second side,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bus bar body 220, is also formed on the first side.
  • Firewalls 220 of the same type as the attached firewalls 220 may be combined.
  • the firewalls 220 attached to the second side are coupl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ewalls 220 attached to the first side with respect to the busbar body 220, and the firewall 220 is connected to the busbar body 210.
  • )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slit is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joined.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wall 220 By mak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wall 220 uneven in this way, the surface area can be expanded,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can be stably fixed.
  •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includes a through hole 211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 Figure 2 shows a form in which one through hole 211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bus bar body 210. However, the number of through holes 211 may be formed at two or more at each end of the bus bar body 210.
  • the bus bar assembly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of the battery modules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mounted inside the battery pack.
  • One of the through holes 211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assembly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first battery module, and the other through hole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second battery module.
  • the bus bar assembly and the battery module connector can be fixed by inserting a pin containing a locking portion into the through hole 211, or the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connector can be fixed by fastening a rivet into the through hole 211. there is.
  • Fig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delaying the flame from entering 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heat-resistant member when the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flame.
  • the portion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adjacent to the flame melts and begins to disappear due to high heat.
  •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is gradually removed and even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ad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wall 220 disappears, the fire wall 220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flame, so the flame flows to the right side of the bus bar assembly. Further movement can be blocked.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cluding a bus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pack 300 includes a battery pack housing 320 that accommodates two or more battery modules 301, and a battery pack housing 320 partitioned inside for fixing the positions of the battery modules 301. It includes a pack frame 310 for arranging battery modules in a space, and a bus bar assembly 20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s 301, and the bus bar assembly 200 has a heat-resistant member 230 attached to the pack frame.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bus bar body 210 to which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is not added are combined with the connectors of the battery modules 301.
  • the pack frame 310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of the bus bar assembly 20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pack frame 310, so the battery pack 300 is in a normal state. It is possible to secure insulation between the bus bar assembly 200 and the pack frame 310.
  • the temperature of the pack frame 310 increases and a flame occurs, the firewal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210 is Since the movement of flame can be blocked, ceramicization of the heat-resistant member 230 can be delayed and the insulating state of the bus bar body can be maintained.
  • the position where the bus bar assembly is placed is not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 frame 310, and the bus bar assembly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parts that make up the battery pack and ar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material. Even when disposed,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battery pack, insulation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bus bar assembly and the components mad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전기 접속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인접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방화벽, 및 상기 방화벽을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상기 전기 접속부를 제외한 외면을 감싸도록 부가되는 내열부재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에 대한 것으로, 내열부재와 버스바 본체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버스바 어셈블리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본 출원은 2022년 10월 5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22-0127380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발명은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화재 발생시 버스바 본체와 내열부재 사이로 화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버스바 본체를 감싸고 있는 내열부재가 세라믹화 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장치가 늘어나고 있으며, 고용량 및 고출력 장치에도 리튬 이차전지가 적용되고 있다. 고용량 및 고출력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다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 및 상기 전지모듈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한 전지팩의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상기 전지모듈 및 전지팩에서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전지모듈들 간의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 버스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버스바는 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굵기로도 많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대전류 통전 수단으로 이용하기 적합하다.
버스바는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및/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버스바 본체를 안쪽에 배치하고,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는 전기 접속부를 상기 버스바 본체의 양측 단부에 배치한다. 상기 전기 접속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튜브나 사출물로 피복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바가 화재로 인해 손상되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버스바는 전기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본체(110), 버스바 본체(110)의 외면 중 양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절연 테이프(120), 및 절연 테이프(120) 외면에 부가되는 실리콘 튜브(130)를 포함한다.
절연 테이프(120)와 실리콘 튜브(130)를 통해 버스바 본체(110)는 전기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버스바 본체(110) 중 절연 테이프(120)와 실리콘 튜브(130)가 부가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전기적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전지셀이 발화하거나 폭발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주변의 전지셀로 전달되어 화재가 확산될 수 있다. 전지셀의 화재로 인해 전지모듈들을 연결하는 버스바의 실리콘 튜브(130)가 손상되면, 절연 테이프(120)가 벌어지면서 내부에 있는 버스바 본체(110)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버스바 본체는 다른 전지팩 구조물과 접촉하여 단락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부 단락은 전지팩 내부에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전지팩 내부의 열폭주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금속 소재로 형성된 금속바, 상기 금속바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밴디지 부재, 및 상기 금속바와 상기 밴디지 부재를 함께 감싸는 절연성 튜브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은 금속바 표면에 있는 밴디지 부재가 화재 발생시에도 금속바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금속바가 주변 금속 물체에 직접 닿지 않아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2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단자가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의 상기 두 개의 단자 사이 중간부의 표면을 덮는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열팽창성 흑연을 포함하는 팽창 흑연층을 구비한 버스바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의 버스바에서 팽창 흑연이 팽창하면 내부에 미세한 간극을 갖는 다공체나 발포체 구조가 되고, 상기 팽창 흑연은 단열재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부재가 고온의 가스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결과 절연부재가 열손상되어 버스바 본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금속바가 고온 환경에서 금속 물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특허문헌 2는 버스바 본체가 고온 환경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버스바를 내열부재나 팽창 흑연이 감싸고 있더라도 이들이 버스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버스바 본체와 내열부재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팽창 흑연이 세라믹화되어 틈이 생기면 버스바 본체가 노출될 수 있는 바, 이들은 화재에 대한 제한적인 안전 수단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 본체가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좀 더 강화된 기술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141095호 (2021.11.23)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2-094702호 (2022.06.27)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 어셈블리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화염이 버스바 본체와 내열부재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지연시켜서 내열부재의 세라믹화를 늦출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전기 접속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인접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방화벽, 및 상기 방화벽을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상기 전기 접속부를 제외한 외면을 감싸도록 부가되는 내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상기 내열부재의 말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버스바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열부재는 고내열성의 실리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아크릴 섬유,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부재는 최소 1,200 ℃ 이상에서 세라믹화 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의 외면은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접속부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 볼트, 핀, 및 리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수용하는 전지팩 하우징, 전지모듈들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내부에 구획된 공간에 전지모듈을 배치하는 팩 프레임, 및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내열부재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방화벽에 의해 내열부재의 중심부로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열부재가 고온에서 세라믹화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내열부재가 세라믹화된 부분에서 생기는 균열을 통해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버스바 본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단락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바가 화재로 인해 손상되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가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화염이 버스바 본체와 내열부재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지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투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200)는 전기 접속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버스바 본체(210), 전기 접속부와 인접하게 버스바 본체(210)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방화벽(220), 및 방화벽(220)을 포함하되 버스바 본체(210)의 전기 접속부를 제외한 외면을 감싸도록 부가되는 내열부재(230)를 포함한다.
버스바 어셈블리(200)는 서로 이격된 전장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전지팩 내에 배치되는 전지모듈과 전지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 모듈 버스바를 포함한다.
버스바 어셈블리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장부품 또는 전지모듈의 거리를 고려하여 버스바 본체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통전되는 전류의 양 및 저항을 고려하여 버스바 본체의 폭 및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도면에는 모두 일직선인 형태로만 나타나 있으나, 버스바 본체의 형태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전장부품 또는 전지모듈의 커넥터 위치를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는 바, 버스바 본체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 또는 버스바 본체의 평면상에서 90도 절곡된 L자형, 양 끝단이 평면상에서 90도 절곡된 ㄷ자형 및 └┓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는 버스바 본체가 중간에 분기되어 2개 이상의 전기 접속부를 갖는 형태도 가능하다.
버스바 본체(210)의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에는 방화벽(22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방화벽(220)은 내열부재(230)의 말단부에서 버스바 본체(210)와 내열부재(230) 사이 위치한다. 도 2 내지 4에서 내열부재(230)는 방화벽(220)을 모두 감싸는 형태로 나타나 있으나, 양 끝단의 방화벽(220)을 기준으로 그 내부에만 위치할 수 있다.
버스바 본체(210)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니켈, 구리, 금, 은, 주석, 아연 및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화벽(220)은 버스바 본체(2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화벽(220)은 알루미늄, 니켈, 구리, 금, 은, 주석, 아연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화벽(220)은 버스바 본체(210)에서 분리된 별도의 부품인 바, 레이저 용접에 의해 버스바 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버스바를 제조할 때 일체로 성형되서 제조될 수 있다.
내열부재(230)는 내열 실리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아크릴 섬유,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열부재(230)는 방화벽(220)이 결합된 버스바 본체(210)의 외면을 감싸도록 부가되는 바, 예를 들어, 열수축성이 있는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내열부재(230)의 외면을 추가적으로 감싸는 내열성 튜브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내열부재(230)는 버스바 본체(210)와 방화벽(22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고온에서 세라믹화되는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세라믹화로 인해 발생한 균열에 의해 내부에 버스바 본체(210)가 노출되어 단락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열부재(230)의 양 끝단으로서 버스바 본체(210)와 내열부재(230)가 접촉되는 부분이 화염 침투 위험이 가장 높은 부분이다.
이에, 본원발명은 화재 발생시 내열부재(230)와 버스바 본체(210) 사이에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열부재(230)의 말단부와 인접하게 방화벽(220)을 부착함으로써, 내열부재(230)와 버스바 본체(210)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벽(220)과 방화벽(220) 사이에 부가된 내열부재(230)로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내열부재(230)의 중심부가 세라믹화되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버스바 본체(210)가 노출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바, 안전성이 향상된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열부재의 중심부는 도 2에서 y방향과 평행한 내열부재 중 그 중심부를 의미한다.
내열부재(230)는 고온에서 세라믹화되는 성질이 있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최소 1,200 ℃ 이상에서 세라믹화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1,500 ℃ 이상에서 세라믹화될 수 있다.
따라서, 1,200 ℃ 이하에서는 내열부재의 형태 유지가 가능하고 화염에 대한 내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1,200 ℃ 이상에서는 세라믹화되어 크랙이 생길 수 있다.
전지팩 내에 있는 전지셀에서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하여 전지모듈에 결합된 버스바로 열이 전달되는 경우, 내열부재는 전지셀에서 방출한 가스나 화염에 의해 세라믹화되지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실리콘 튜브(130)를 버스바 본체(110)의 외면에 부가하는 경우, 실리콘 튜브(130)가 소실되어 버스바 본체가 노출되었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방화벽의 외면은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방화벽(220)에서 버스바 본체(210)에 결합된 방향의 외면과 반대측에는 버스바 본체(210)의 일부가 제거되어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한다.
또는, 슬릿 대신 요부와 홈부가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버스바 본체(210)의 상면인 제1면에 있는 방화벽들(220)에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버스바 본체(220)의 하면인 제2면에도 상기 제1면에 부착된 방화벽들(220)과 동일한 형태의 방화벽들(2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면에 부착된 방화벽들(220)은 버스바 본체(220)를 기준으로 제1면에 부착된 방화벽들(220)과 대칭이 되도록 결합되는 바, 방화벽(220)은 버스바 본체(210)에 결합된 방향의 외면과 반대측의 일부가 제거되어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방화벽(220)의 외면을 울퉁불퉁하게 구성함으로써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는 바, 내열부재(2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본체에 방화벽을 레이저 용접으로 결합할 때 상기 요부를 이용하면 용접에 따른 결합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전기 접속부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211)를 포함한다. 도 2는 버스바 본체(210)의 양 끝단 각각에 관통구(211)가 한 개씩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구의 개수는 버스바 본체의 양 끝단 각각에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 어셈블리는 전지팩 내부에 장착된 복수의 전지모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지모듈들의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 어셈블리 양 끝단에 형성된 관통구들(211) 중 어느 하나는 제1전지모듈의 커넥터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관통구는 제2전지모듈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전지모듈 커넥터와 연결을 위하여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볼팅 작업을 하는 경우, 관통구(211)에 볼트를 삽입한 후 너트로 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1전지모듈 및 제2전지모듈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관통구(211)에 걸림부를 포함하는 핀을 삽입하여 버스바 어셈블리와 전지모듈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는 관통구(211)에 리벳을 체결하여 버스바 어셈블리와 전지모듈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가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화염이 버스바 본체와 내열부재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지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 어셈블리의 좌측에서 화염이 발생하는 경우, 높은 열로 인해 내열부재(230)에서 화염과 인접한 부분이 용융되어 소실되기 시작한다. 내열부재(230)가 점점 제거되어 방화벽(220)의 외면에 부가된 내열부재(230)까지 소실되는 경우, 방화벽(220)이 화염의 침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버스바 어셈블리의 우측으로 화염이 더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염과 인접한 방화벽(220)을 기준으로 우측에 있는 내열부재(230)가 세라믹화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팩(300)은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301)을 수용하는 전지팩 하우징(320), 전지모듈들(301)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내부에 구획된 공간에 전지모듈을 배치하는 팩 프레임(310), 및 전지모듈들(3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어셈블리(200)를 포함하고, 버스바 어셈블리(200)는 내열부재(230)가 팩 프레임(310)의 상면(311)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내열부재(230)가 부가되지 않은 버스바 본체(210)의 양 끝단의 전기 접속부는 전지모듈들(301)의 커넥터와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팩 프레임(310)이 전기전도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되더라도 버스바 어셈블리(200)의 내열부재(230)와 팩 프레임(310)이 접촉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전지팩(300)의 정상 상태에서 버스바 어셈블리(200)와 팩 프레임(310) 간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지팩(300)을 구성하는 전지셀에서 화염이나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어 팩 프레임(310)의 온도가 증가하고 화염이 발생하는 경우, 버스바 본체(210)의 외면에 결합된 방화벽이 화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바, 내열부재(230)의 세라믹화를 지연시켜서 버스바 본체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버스바 어셈블리가 배치된 위치가 팩 프레임(310)의 상면이 아니고, 그 외에 전지팩을 구성하며 전기 전도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된 부품과 접촉하도록 버스바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전지팩의 화재 발생시 버스바 어셈블리와 상기 전기 전도성의 금속 소재로 구성된 부품 간에 절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10, 210: 버스바 본체
120: 절연 테이프
130: 실리콘 튜브
200: 버스바 어셈블리
211: 관통구
220: 방화벽
230: 내열부재
300: 전지팩
301: 전지모듈
310: 팩 프레임
311: 팩 프레임 상면
320: 전지팩 하우징

Claims (12)

  1. 전기 접속부가 양 끝단에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인접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방화벽; 및
    상기 방화벽을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상기 전기 접속부를 제외한 외면을 감싸도록 부가되는 내열부재;
    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에 결합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상기 내열부재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상기 버스바 본체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버스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버스바 본체에 결합된 버스바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부재는 고내열성의 실리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탈아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아크릴 섬유, 및 폴리벤즈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부재는 최소 1,200 ℃ 이상에서 세라믹화 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의 외면은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 볼트, 핀, 및 리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버스바 어셈블리.
  12.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수용하는 전지팩 하우징;
    전지모듈들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내부에 구획된 공간에 전지모듈을 배치하는 팩 프레임; 및
    상기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전지팩.
PCT/KR2023/014966 2022-10-05 2023-09-27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40760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380 2022-10-05
KR1020220127380A KR20240047835A (ko) 2022-10-05 2022-10-05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098A1 true WO2024076098A1 (ko) 2024-04-11

Family

ID=9060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966 WO2024076098A1 (ko) 2022-10-05 2023-09-27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7835A (ko)
WO (1) WO20240760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2602A (zh) * 2018-02-13 2018-07-03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导电排及新能源车用电池包
KR20190009120A (ko) * 2017-07-18 2019-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214013108U (zh) * 2020-12-28 2021-08-20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母排结构及电池包
KR2021014109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KR20220042795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fc 버스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94702A (ja) 2020-12-15 2022-06-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バッテ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120A (ko) * 2017-07-18 2019-01-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242602A (zh) * 2018-02-13 2018-07-03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导电排及新能源车用电池包
KR20210141095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버스바
KR20220042795A (ko) * 2020-09-28 2022-04-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fc 버스바
CN214013108U (zh) * 2020-12-28 2021-08-20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连接母排结构及电池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835A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2626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1145706A1 (ko) 방염 시트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WO2019117485A1 (ko) 배터리 팩
WO2012044065A2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WO2016039536A1 (ko) 전지셀 상호연결 및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전지모듈
WO2021201443A1 (ko)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21071138A1 (ko)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12546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8186604A1 (ko) 배터리 팩
WO202120142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4076098A1 (ko)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04024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4053884A1 (ko) 절연층을 포함하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5879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7935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4039133A1 (ko)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WO2021075666A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3172055A1 (ko)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21096023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4054098A1 (ko) 내화염성이 향상된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204446A1 (ko) 열전발전모듈
WO2023172054A1 (ko)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18143596A1 (ko) 전지 모듈용 집전시스템, 전지 모듈 및 자동차
WO2024071835A1 (ko)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WO2023163542A1 (ko)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및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5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