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795A - Ffc 버스바 - Google Patents

Ffc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795A
KR20220042795A KR1020200126047A KR20200126047A KR20220042795A KR 20220042795 A KR20220042795 A KR 20220042795A KR 1020200126047 A KR1020200126047 A KR 1020200126047A KR 20200126047 A KR20200126047 A KR 20200126047A KR 20220042795 A KR20220042795 A KR 2022004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flat flexible
bus bar
ff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우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2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2795A/ko
Priority to JP2022573253A priority patent/JP2023528382A/ja
Priority to PCT/KR2021/008890 priority patent/WO2022065647A1/ko
Priority to CN202180046355.2A priority patent/CN115735299A/zh
Priority to EP21872681.8A priority patent/EP4178025A4/en
Priority to US18/010,021 priority patent/US20230253685A1/en
Publication of KR2022004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들을 적층하여 형성한 케이블 적층체 및 상기 케이블 적층체의 적어도 일단부에 연결되는 대전류 터미널을 포함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은, 적어도 일단부에, 복수 개의 도체선들을 절연 필름으로 피복하지 않은 터미널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전류 터미널은 박판 형태의 웰딩 시트들을 구비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와 각 상기 웰딩 시트가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되고 용접으로 상호 간 접합된 FFC 버스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FFC 버스바{Flat Flexible Cable busbar}
본 발명은 FFC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연성케이블의 플랫한 도체선들과 버스바의 터미널 간의 접합 신뢰성을 향상시킨 FFC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ESS)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차전지 1개(셀)로는 전기 자동차를 구동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없다. 전기차의 에너지원으로 이차전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해야 하며, 통상 직렬 형태로 상기 배터리 모듈들을 연결하고 이를 기능적으로 유지해주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와 냉각 시스템, BDU(Battery Disconnection Unit) 등을 포함한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상기 배터리 팩을 구성할 때, 버스바를 많이 사용하여 배터리 모듈들이나 기타 전장부품들을 연결한다. 상기 버스바는 구리나 알루미늄 소재로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어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 용량을 가져 고전류 통전이 가능해야 하고 설치 공간이 협소한 배터리 팩의 내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버스바는 허용 전류 용량이 크지만 설치 경로가 고정적인 강성 버스바(Rigid busbar)와 벤딩이나 트위스트가 가능한 플랙서블 버스바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버스바는 유연성이 있어서 설치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강성 버스바보다 각광받고 있다.
최근 전기 자동차의 추세가 HEV(Hybrid Electric Vehicle) ->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EV(Electric Vehicle) 유형으로 많이 옮겨 가면서 전류 용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단면적(SQ) 내지 두께가 큰 버스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플랙서블 버스바의 경우 단면적 내지 두께를 증가시켰을 때 특유의 장점인 밴딩 공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층상으로 적층한 평면연성케이블(1)들과 상기 평면연성케이블들의 단부에 연결한 대전류 단자(2)를 포함하는 FFC 버스바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FFC 버스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다수의 도체선(3)들을 상기 대전류 단자(2)에 연결하기 위해 브라켓(4)으로 상기 적층된 다수의 도체선(3)들을 덮고, 상기 브라켓(4)을 리벳(5)으로 대전류 단자(2)에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FFC 버스바는 각 도체선들이 대전류 단자에서 쉽게 분리되는 등 상기 도체선들에 대한 고정력이 약하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체선들과 대전류 단자의 연결 구조가 견고한 FFC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들을 적층하여 형성한 케이블 적층체; 및 상기 케이블 적층체의 적어도 일단부에 연결되는 대전류 터미널을 포함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은, 적어도 일단부에, 복수 개의 도체선들을 절연 필름으로 피복하지 않은 터미널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전류 터미널은 박판 형태의 웰딩 시트들을 구비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와 각 상기 웰딩 시트가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되고 용접으로 상호 간 접합된 FFC 버스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전류 터미널은, 상기 웰딩 시트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미들 파트; 및 볼트 체결용 홀을 구비하고, 상기 미들 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웰딩 시트들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체결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웰딩 시트들, 상기 미들 파트, 상기 체결 파트는 금속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파트는 사각 판 형상이고, 판면이 상기 케이블 적층체의 단면적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각 상기 웰딩 시트는 은(Ag)으로 도금한 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상기 웰딩 시트는 평평하게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접속부를 형성하는 도체선들이 상기 돌출부들 사이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마다에 하나씩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에는 은 도금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들을 일체로 감싸는 열 수축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와 각 상기 웰딩 시트가 일체화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압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FFC 버스바를 하나 이상 포함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체선들과 대전류 터미널의 연결 구조가 견고한 FFC 버스바가 제공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FFC 버스바는 각 평면연성케이블의 터미널 접속부와 대전류 터미널의 각 웰딩 시트가 일대일로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각 평면연성케이블과 대전류 터미널의 연결 부위의 기계적 강성도 높다. 또한, 리벳과 브라켓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FFC 버스바의 대전류 터미널 부분을 보다 단순화 및 소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FFC 버스바의 일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 버스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연성케이블의 일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적층체의 일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적층체와 대전류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적층체와 대전류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도 9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비율은 실제적인 크기나 비율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FFC(Flat Flexible Cable) 버스바는 예컨대, 2개의 배터리 모듈을 서로 직렬 연결하거나 배터리 모듈의 터미널과 릴레이 또는 배터리 팩 내에 장치들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FFC 버스바가 배터리 팩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FFC 버스바는 고전압 내지 고전류가 흐르는 다양한 장치 내지 장비에 전기적 연결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 버스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연성케이블의 일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적층체의 일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 버스바는 케이블 적층체(10), 대전류 터미널(20), 상기 케이블 적층체를 감싸는 열 수축 튜브(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적층체(10)는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들이 적층된 것이다. 각 평면연성케이블(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12)들과, 절연 필름(13)을 포함한다.
또한,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은 적어도 일단부에 복수 개의 도체선(12)들을 상기 절연 필름(13)으로 피복하지 않은 터미널 접속부(15)를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 접속부(15)는 상기 대전류 터미널(2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12)들은 동박판을 일정 너비와 두께로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들은 일정 간격 떨어져서 나란히 배치되며 절연 필름(13)으로 피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필름(13)은 베이스 필름(13a)과 커버레이 필름(13b)을 포함하고, 절연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Polyimid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13a)에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12)들을 일정 간격으로 접착하여 배치하고, 그 위에 상기 커버레이 필름(13b)을 접착할 수 있다.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을 복수 개 적층하여 케이블 적층체(10)를 구성하고 이에 대전류 터미널을 연결하면 가볍고 유연하면서 대전류 통전이 가능한 FFC 버스바가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면, 평면연성케이블(11)의 도체선(12) 하나의 허용전류 용량은 그 소재와 단면적(SQ)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으나, 도체선(12)은 1 개당 대략 3A 정도의 전류에 대응 가능하다. 따라서 단순 계산하면, 예컨대 10가닥의 도체선(12)들을 포함한 하나의 평면연성케이블(11)은 30A 정도의 전류에 대응 가능하고, 10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들 적층하여 구성한 케이블 적층체(10)는 300A 정도의 전류에 대응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적층체(10)는 4가닥의 도체선(12)을 구비한 평면연성케이블(11)을 4개 적층한 것이다. 이는 일 예이며, 본 실시예보다 허용 전류 용량을 증대하고자 한다면 각 평면연성케이블(11)의 도체선(12)들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들의 층수를 증가시키면 된다.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열 수축 튜브(30)로 감싸여 질 수 있다. 상기 열 수축 튜브(30)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열을 가하면 수축하면서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들을 빈틈없이 둘러싸서 유동하지 않게 묶을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적층체(10)는 벤딩 또는 트위스트될 수 있으며, 기존의 플랙서블 버스바처럼 3차원 배선이 가능하다. 열 수축 튜브(30)의 대안으로는, 절연 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을 테이핑하여 일체로 묶을 수 있다.
대전류 터미널(20)은 외부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단자로부터 들어오는 대전류를 상기 케이블 적층체(10)의 각 도체선들에 흘려보내기 위한 매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대전류 터미널(20)은 케이블 적층체(10)의 일단부와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배터리 모듈의 단자 또는 릴레이 장치 등과 같은 전장부품의 단자와도 쉽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딩 시트(21)들과, 미들 파트(23) 및 체결 파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웰딩 시트(21)들은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와 일대일로 접촉할 수 있는 박판의 시트 형태이고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웰딩 시트(21)들은 그 사이마다 이격 공간들을 구비하여 각 연성평면케이블의 터미널 접속부(15)를 개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웰딩 시트(21)들 사이에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를 개재함으로써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15)와 각 상기 웰딩 시트(21)가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적층체(10)는 4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을 구비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는 4개의 도체선(12)을 구비하고 대전류 터미널(20)의 웰딩 시트(21)들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장의 웰딩 시트(21)들 사이의 이격 공간들 마다에 상기 4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의 각 터미널 접속부(15)가 개재되어, 케이블 적층체(10)와 대전류 터미널(20) 간의 연결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최하단부터 1층 웰딩 시트(21) > 1층 터미널 접속부(15) > 2층 웰딩 시트(21) > 2층 터미널 접속부(15) > 3층 웰딩 시트(21) > 3층 터미널 접속부(15) > 4층 웰딩 시트(21) > 4층 터미널 접속부(15) 순으로 4개의 평면연성케이블(11)들의 각 터미널 접속부(15)와 4장의 웰딩 시트(21)들이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접속부(15)들과 상기 웰딩 시트(21)들은 용접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적층체(10)와 대전류 터미널(20)은 강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지 않는다.
상기 터미널 접속부(15)들과 상기 웰딩 시트(21)들의 용접 방법으로는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블레이징 용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블레이징 용접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블레이징 용접은 모재보다 용융점이 낮은 용가재를 용융시켜 2개의 모재를 접합하는 용접 방식인데, 상기 용가재를 녹여 모재들 사이에 고르게 스며들게 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각 상기 웰딩 시트(21)는 은(Ag) 도금한 동판으로 이루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웰딩 시트(21)들은 각각 은 도금층(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미널 접속부(15)들과 웰딩 시트(21)들이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된 상태에서 블레이징 용접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는데, 이때 각 웰딩 시트(21)의 은 도금층이 용가재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징 용접시 추가적인 용가재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은 도금층이 녹아 은 성분이 상기 터미널 접속부(15)들과 상기 웰딩 시트(21)들 사이에 균일하고 넓게 퍼짐으로써 용접 품질 및 전기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미들 파트(23)는 상기 웰딩 시트(21)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럭 내지 사각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웰딩 시트(21)들은 일단부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미들 파트(23)에 다단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파트(23)는 넓은 판면이 상기 케이블 적층체(10)의 단면적과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파트(23)는 그 판면의 면적(가로×세로)이 케이블 적층체(10)의 단면적(두께×폭)을 벋어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대전류 터미널(20)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체결 파트(25)는 볼트 체결용 홀(25a)을 구비하고, 상기 미들 파트(2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웰딩 시트(21)들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 형상이고 상기 미들 파트(23)의 중간 높이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파트(25)는 배터리 모듈의 단자 또는 릴레이 장치 등과 같은 전장부품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결 파트(25)와 상대물의 단자를 맞대고 볼트를 상기 볼트 체결용 홀(25a)에 넣고 너트로 조여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웰딩 시트(21)들, 상기 미들 파트(23), 상기 체결 파트(25)는 예컨대, 구리(Cu)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웰딩 시트(21)들, 상기 미들 파트(23), 상기 체결 파트(25)는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요소이고, 이들 각각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FFC 버스바는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와 각 상기 웰딩 시트(21)가 일체화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압박밴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접속부(15)들과 상기 웰딩 시트(21)들은 블레이징 용접 후 상기 압박밴드(40)로 추가로 고정 및 절연 처리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케이블 적층체(10)와 대전류 터미널(20) 간의 연결부(C)는 압박밴드(40)로 감싸여 압박됨으로써 고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C)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절연처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 버스바는 각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와 대전류 터미널(20)의 각 웰딩 시트(21)가 일대일로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 각 평면연성케이블(11)과 대전류 터미널(20)의 연결 부위의 기계적 강성도 높다. 또한, 리벳과 브라켓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FFC 버스바의 대전류 터미널(20)이 보다 단순화 및 소형화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2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적층체(10)와 대전류 터미널(20)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대전류 터미널(20A)의 웰딩 시트(21) 부분과 블레이징 용접을 위한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전류 터미널(20A)의 각 웰딩 시트(2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하게 마련된 베이스부(21a) 및 상기 베이스부(21a)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돌출부(21b)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b)들은 터미널 접속부(15)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21b)들로 인해 베이스부(21a)에는 상기 돌출부(21b)들 사이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O)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O)마다 터미널 접속부(15)를 형성하는 도체선(12)들이 하나씩 개재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각 웰딩 시트(21)에는 5개의 돌출부(21b)가 베이스부(21a)에 폭 방향(X축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21b)들 사이사이에 4개의 오목한 공간(O)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오목한 공간(O)에 각 터미널 접속부(15)를 구성하는 4개의 도체선(12)들이 하나씩 개재될 수 있다. 각 도체선(12)은 적어도 3면이 상기 돌출부(21b)와 베이스부(21a)로 둘러싸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각 평면연성케이블(11)의 터미널 접속부(15)와 각 웰딩 시트(21)가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열됨과 더불어, 상기 터미널 접속부(15)의 도체선(12)들이 각 웰딩 시트(21)에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웰딩 시트(21)의 상기 오목한 공간(O)들에 은 도금층(M)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오목한 공간(O)을 형성하는 돌출부(21b)와, 베이스부(21a)의 표면에 은 도금층(M)이 구비되고, 블레이징 용접시 상기 은 도금층(M)이 용융되어 상기 도체선(12)들이 웰딩 시트(21)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은 도금층(M)이 열에 의해 녹을 때 각 도체선(12)의 적어도 3면이 웰딩 시트(21)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웰딩 시트(21)와 각 도체선(12)의 접촉 면적과 접합 면적이 더 넓게 확보되어 웰딩 시트(21)와 각 도체선(12)이 더 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술한 FFC 버스바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FFC 버스바는 2개의 배터리 모듈을 서로 직렬 연결하거나 배터리 모듈의 터미널과 릴레이 또는 배터리 팩 내에 장치들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FFC 버스바 이외에도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집합체인 셀 적층체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 및 온도를 기초로 배터리 모듈들의 충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서 BMS,퓨즈, 릴레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터리 팩은 전력 저장장치 또는 기타 IT 제품군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케이블 적층체
11 : 평면연성케이블
12 : 도체선
13 : 절연 필름
15 : 터미널 접속부
20 : 대전류 터미널
21 : 웰딩 시트
21a : 베이스부
21b : 돌출부
23 : 미들 파트
25 : 체결 파트
30 : 열 수축 튜브
40 : 압박밴드

Claims (10)

  1.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들을 적층하여 형성한 케이블 적층체; 및
    상기 케이블 적층체의 적어도 일단부에 연결되는 대전류 터미널을 포함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은,
    적어도 일단부에, 복수 개의 도체선들을 절연 필름으로 피복하지 않은 터미널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전류 터미널은 박판 형태의 웰딩 시트들을 구비하고,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와 각 상기 웰딩 시트가 하나씩 교대로 층상 배치되고 용접으로 상호 간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터미널은,
    상기 웰딩 시트들이 다단으로 연결되는 미들 파트; 및
    볼트 체결용 홀을 구비하고, 상기 미들 파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웰딩 시트들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의 체결 파트를 더 포함하는 FFC 버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웰딩 시트들, 상기 미들 파트, 상기 체결 파트는 금속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파트는 사각 판 형상이고, 판면이 상기 케이블 적층체의 단면적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5.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웰딩 시트는 은(Ag)으로 도금한 동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6.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웰딩 시트는
    평평하게 마련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접속부를 형성하는 도체선들이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마다에 하나씩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에 은 도금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평면연성케이블들을 일체로 감싸는 열 수축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9.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평면연성케이블의 상기 터미널 접속부와 각 상기 웰딩 시트가 일체화된 부분의 둘레를 감싸는 압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FC 버스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FFC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200126047A 2020-09-28 2020-09-28 Ffc 버스바 KR20220042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47A KR20220042795A (ko) 2020-09-28 2020-09-28 Ffc 버스바
JP2022573253A JP2023528382A (ja) 2020-09-28 2021-07-12 Ffcバスバー
PCT/KR2021/008890 WO2022065647A1 (ko) 2020-09-28 2021-07-12 Ffc 버스바
CN202180046355.2A CN115735299A (zh) 2020-09-28 2021-07-12 Ffc汇流条
EP21872681.8A EP4178025A4 (en) 2020-09-28 2021-07-12 FFC BUSBAR
US18/010,021 US20230253685A1 (en) 2020-09-28 2021-07-12 FFC Bu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047A KR20220042795A (ko) 2020-09-28 2020-09-28 Ffc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795A true KR20220042795A (ko) 2022-04-05

Family

ID=8084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47A KR20220042795A (ko) 2020-09-28 2020-09-28 Ffc 버스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53685A1 (ko)
EP (1) EP4178025A4 (ko)
JP (1) JP2023528382A (ko)
KR (1) KR20220042795A (ko)
CN (1) CN115735299A (ko)
WO (1) WO20220656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84A1 (ko)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층을 포함하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407609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2068A (en) * 1988-05-26 1990-05-01 Bangs Edmund R Densified braided switch contact
JP2002015792A (ja) * 2000-06-28 2002-01-18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基板の端子構造及び接続端子の接合方法
JP4010529B2 (ja) * 2001-02-13 2007-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索部材及び積層配索部材
KR200248915Y1 (ko) * 2001-07-10 2001-11-17 박강섭 용접 케이블
JP2011124178A (ja) * 2009-12-14 2011-06-2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0458B2 (ja) * 2010-02-16 2015-01-28 日立金属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とその製造方法
KR20180037364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경신전선 버스바 제조방법
DE102017222427A1 (de) * 2016-12-16 2018-06-21 Yazaki Corporation Verdrahtungselement,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Verdrahtungselement und Verdrahtungselementverbindungsstruktur
KR102224302B1 (ko) 2019-04-29 2021-03-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84A1 (ko) * 2022-09-05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연층을 포함하는 인터 모듈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407609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8382A (ja) 2023-07-04
WO2022065647A1 (ko) 2022-03-31
EP4178025A4 (en) 2023-12-27
EP4178025A1 (en) 2023-05-10
CN115735299A (zh) 2023-03-03
US20230253685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465B2 (en) Z-shaped bus bar for a battery pack
JP6656373B2 (ja) 電池モジュール内に占める空間が少ない相互連結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電池モジュール
EP3131161B1 (en)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 battery assembly utilizing non-overlapping bus bars
US20220415537A1 (en) Bus Bar With Safety Against Fire
JP498798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における電極接続部材
CN106953060B (zh) 汇流条模块和汇流条模块制造方法
US20130244499A1 (en) Connection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device with said connection system
CN104253252A (zh) 电池模块
US20130202928A1 (en) Busbar including flexible circuit
US20230253685A1 (en) FFC Bus Bar
JP2021501457A (ja) バスバ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JP7339252B2 (ja) 保護素子実装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保護素子実装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US9372237B2 (en) Battery pack having stable measuring unit
JP7354429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US20230253682A1 (en) Bus Bar Having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US20190081310A1 (en) Ribbonbond interconnect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blocks
US20220255193A1 (en) Battery Module Using Non-Welding Type Structure as Connection Structure of Bus Bar and Voltage Sensing Member
US11610700B2 (en) FFC cable assembly
JP746077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並びにバッテリーパックを製造する方法
KR20220012037A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4191780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ultiple parallel battery cells
US20170338462A1 (en) Electrode arrangement of a battery cell, electrode layer and battery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latter
KR20210061830A (ko) Ffc 케이블 조립체
KR20220074999A (ko) 케이블형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