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01443A1 -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01443A1
WO2021201443A1 PCT/KR2021/002500 KR2021002500W WO2021201443A1 WO 2021201443 A1 WO2021201443 A1 WO 2021201443A1 KR 2021002500 W KR2021002500 W KR 2021002500W WO 2021201443 A1 WO2021201443 A1 WO 20212014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ct
battery
side plate
battery module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5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은규
문정오
이윤구
주은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AU202124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1248343A1/en
Priority to EP21780259.4A priority patent/EP4084191A4/en
Priority to US17/794,396 priority patent/US20230052417A1/en
Priority to JP2022530287A priority patent/JP7317233B2/ja
Priority to CN202180009135.2A priority patent/CN114982043A/zh
Publication of WO20212014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01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01M50/143Fireproof; Explosion-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gas barrier structure, and specifically, in order to prevent a flame from spreading to an adjacent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when ignited in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communicated wit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t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gas barrier structure disposed in the duct.
  • the secondary battery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in the applied field or product.
  • small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digital cameras, and notebook computers
  • mid-to-large-sized battery packs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re used in mid-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due to the need for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is a portion where a lot of heat is concentrated, and is a point where ignition mainly occurs due to a high-temperature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and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a flam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us ba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 or battery module accommodated therein, a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system, etc., and a heat dissipation fan for discharging heat inside the battery pack is installed, etc. , often in an open structure.
  • the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material movement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flame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pack is easily transmitted to the adjacent area, and the air containing oxygen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pack into the inside of the battery pack continues. It can be supplied and the ignition condition can be continued.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battery pack provided with a thermal expansion member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battery case when the battery module ignites, and Patent Document 2 is deformed by overheating when the battery is abnormal.
  • a battery pack including a structure for closing an opening of a battery pack case.
  •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do not suggest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lame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pack from spreading inside the battery pack.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153616 (2015.08.24)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413-0089327 (2016.12.01)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normal times, air is circulat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battery module, and when the battery module is igni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in ignition by blocking the movement of air and fl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gas barrier structure.
  •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in which battery cells are closely arranged, a side pl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electrode leads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and a side plate on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It may include a duct disposed therein, and a gas barrier structure disposed in the duct, where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are disposed to form a spaced apart space.
  • the side plate may have an open structure so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and the duct communicate.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in a housing, and an open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 the side plate may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protrudes.
  • the gas barrier structur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space within the duct.
  • the side plate includes a first side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respectively positioned at opposite ends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n the electric length direction, and a first duct is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A second duct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plate.
  • 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first duct, passes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and then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duct.
  • the gas barrier structure includes a blocking fil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ct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blocking film, and when the fixing part is melted when the battery module heats up and the fixing of the blocking film is released, the gas flow through the duct is blocked
  • the blocking film may be formed in a rotating shape.
  • the gas barrier structure includes a shielding film connecting the duct, a thermal fus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shielding film, and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shielding film, When the thermal fuse is blown during heat generation, the blocking film may be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to block the gas flow through the duct.
  • the blocking film includes two blad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for rotation, and the blades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spiral shape when viewed from one end of the central axis.
  • a protrusion for stopping the rotating block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 the protrus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duct is indented inward, or a structure in which a protrusion is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uc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ct as a passage for air circulation on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as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accommodated therein are accommodated in an independent housing.
  • the battery module may exhibit a cooling function of the battery module by circulating in the form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ct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 the battery module can be reused by replacing the ignited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s removed from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gas barrier structure.
  •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as barrier structure of FIG. 4 is operated.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s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rm of a barrier film of the gas barrier struct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removed.
  •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110 are disposed to have a space 115 therebetween, and each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Reference numeral 110 indicates that the battery cells 111 are closely arranged.
  •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110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1 are accommodated in a housing, and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n individual housing within the battery module housing and is independently dispos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using an independent housing, in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housing,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s not accommodated in an individual housing and exists in an open form, so that the flame is easily ignited when ignited. It can solve the problem that has spread.
  •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leads protrude has an open structure.
  • the battery module is assembled by coupling the side plate 120 to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ing the ope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 the side plate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s 111 includes a first side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respectively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110 in the electric length direction.
  • the side plate 120 has an integrated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first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11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separation space 115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
  • the side plate 120 is sized to cover the entire first surf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and their spaced spaces.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n individual housing, and includes a side plate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battery module case.
  • a duct 130 through which air can flow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each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the first duct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A second duct is located.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ct passes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pposite duct, and the side plate communicates wit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and the duct so that air can circulate. It may have an open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 air serving as a refrigerant flows into the battery module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through a fan 11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duct, as shown by the dotted arrow in FIG. 2 ,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end of the first duct, passes through the side plate having an open structure, passes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110, and passes through the open structure of the opposite side plate to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duct discharged through the end.
  • the heated battery module can be cooled by such a flow of air.
  • the side plate may constitute one side of the duct 130 .
  • a separate duct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and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through the side plat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uct overlapping the side plate.
  •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gas barrier structure
  •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s barrier structure of FIG. 4 is operated .
  • the gas barrier structure 140 is positioned in the duct 130 .
  • the gas barrier structure 140 is a gas barrier structure in which flames move between adjacent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110 .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space 115 within the duct 130 to block it.
  • the side plate 120 includes an opening 122 formed in a bent form by cutting a portion so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and the duct 1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shape of the opening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3 to 5 , and may be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or a slit is formed.
  • the gas barrier structure 140 includes a blocking film 1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ct 130 and a fixing part 141 for fixing the blocking film 142 .
  •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141 grips and fixes the blocking film 142 when the battery module is in a normal state, and the blocking film 14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air flow direction (indicated by a dotted arrow).
  •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4, and if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blocking film can be stably gripped and fixed in a normal state, and melted rapidly during heat or ignition, so that the fixing of the blocking film can be released. does not
  • the fixing part 141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r a melting point of 300° C. or less.
  • the gas heated in the right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110 moves toward the left in the drawing,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battery module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through the fan flows toward the right in the drawing, the heating
  • the blocking film 142 which was rot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gas and the incoming air,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4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130 and is left still.
  •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gas b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gas blocking structure 240 includes a blocking film 242 for covering a duct, a thermal fuse 247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blocking film 242 , and a first end of the blocking film 242 .
  •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of FIG. 5 may als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of FIG. 6 , and rotation of the blocking film may be stopped by the protrusion.
  •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duct or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rm of a barrier film of the gas barrier structure.
  • the blocking film 342 illustrated in FIG. 7A has the same shape as the blocking films 142 and 242 illustrated in FIGS. 5 and 6 , and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43 for rotation. It includes two wings 349 .
  • the wing 349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when viewed from one end of the central axis 343 .
  • the blocking film 442 shown in FIG. 7B includes two blades 449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443 for rotation.
  • the wing 449 is formed in a spiral shape when viewed from one end of the central axis 443 .
  •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of FIG. 5 may als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of FIG. 7 , and rotation of the blocking film may be stopped by the protrusion.
  • the barrier film rapidly rotates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gas passing through the duct to completely block the gas passing through the du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ame and heat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from spread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outside the battery module from flowing into the battery module,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a large fire.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ct as a passage for air circulation on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as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accommodated therein are accommodated in an independent housing.
  • the battery module may exhibit a cooling function of the battery module by circulating in the form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ct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assemblies.
  • the battery module can be reused by replacing the ignited battery cell module assemb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의 화재 발생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전지셀들이 밀착 배열된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의 전극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지모듈에 대한 것이다. (대표도) 도 3

Description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본 출원은 2020년 4월 1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20-0039868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 발명은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특정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에서 발화된 경우 화염이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연통된 덕트 내에 배치된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분야 또는 제품에서 요구되는 출력과 용량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의 전지셀 또는 열 개 내외의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는 소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팩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팩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충방전시에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증가하고, 비정상적인 작동상태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구조체가 손상되는 경우 연소 및 발화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이차전지용 전지셀에서 전극단자 부위는 많은 열이 집중되는 부분으로서, 전지셀의 고온화 현상에 따른 발화가 주로 발생하는 지점이며, 외부로 화염이 유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가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전지모듈 하우징 내에서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특정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에서 발화가 발생하면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열과 화염이 확산되어 화재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전지팩은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 또는 전지모듈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버스바, 및 외부 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 등이 결합되고, 전지팩 내부의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팬이 설치되는 등,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전지팩은 내부와 외부 간의 물질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전지팩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이 인접 구역으로 전달되기 쉽고, 전지팩 외부에서 전지팩 내부로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계속 공급되어 발화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배터리 모듈이 발화하는 경우 배터리 케이스 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팽창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팩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전지 이상 시의 과열에 의해 변형되어 배터리팩 케이스의 개구를 닫는 구조를 포함하는 배터리팩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배터리팩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이 배터리팩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지팩 발화시 외부에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발화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화염이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번지지 않도록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153616호 (2015.08.24)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413-0089327호 (2016.12.01)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전지모듈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순환되고, 전지모듈의 발화시에는 공기 및 화염의 이동을 차단시켜서 연쇄적인 발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들이 밀착 배열된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의 전극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가 연통되도록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지셀들이 하우징에 수납된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에서 전지모듈의 측면 전체를 덮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 내에서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장 방향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와 제2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1덕트가 위치하며, 상기 제2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2덕트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은 냉매가 상기 제1덕트의 제1측 끝단을 통해 유입되어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통과한 후, 상기 제2덕트의 제2측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전지모듈의 발열시 상기 고정부가 용융되어 상기 차단막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덕트를 통한 가스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차단막이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를 계패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제1측 끝단에 연결된 온도 퓨즈, 및 상기 차단막의 제1측 끝단의 반대편인 제2측 끝단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전지모듈의 발열시 상기 온도 퓨즈가 끊어지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막이 회전하여 상기 덕트를 통한 가스 흐름이 차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중심축의 일측 끝단에서 바라볼 때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측면에는 회전하는 차단막을 정지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덕트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입된 형태이거나, 또는 덕트의 내측면에 돌기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이 독립된 하우징에 수용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외측에 공기 순환을 위한 통로로서 덕트(duct)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지모듈은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형태로 순환됨으로써 전지모듈의 냉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 내에 배치된 가스 차단 구조체에 의해 특정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화염이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화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교체하여 전지모듈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모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스 차단 구조체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스 차단 구조체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차단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가스차단 구조체의 차단막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또한, 모든 수치 범위는 명확하게 제외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양 끝의 값과 그 사이의 모든 중간값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110)이 사이에 이격 공간(115)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는 전지셀들(111)이 밀착 배열되어 있다.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는 복수의 전지셀들(111)이 하우징에 수납된 형태로서, 전지모듈 하우징 내에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가 개별 하우징에 수용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독립된 하우징을 사용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에 전지모듈 하우징 내에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가 개별 하우징에 수용되지 못하고 개방된 형태로 존재함으로써, 발화시 화염이 쉽게 번졌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의 하우징은 모노프레임 형태인 바,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은 개방된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개방면에 사이드 플레이트(120)가 결합됨으로써 전지모듈이 조립된다.
전지셀들(111)의 전극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110)의 전장 방향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와 제2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의 제1면, 및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15)의 제1면 전체를 덮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 및 이들의 이격 공간이 형성하는 제1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가 개별 하우징에 수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 별도의 전지모듈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제1사이드 플레이트와 제2사이드 플레이트 각각의 외측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덕트(130)가 배치되는 바, 상기 제1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1덕트가 위치하며, 상기 제2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2덕트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반대쪽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사이드 플레이트는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덕트가 연통되도록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제1덕트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는 팬(fan)(112)을 통해 전지모듈 외부에서 전지모듈 내부로 냉매 역할을 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바, 도 2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공기는 제1덕트의 제1측 끝단을 통해 유입되어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진 사이드 플레이트를 지나고,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를 통과한 후, 반대편 사이드 플레이트의 개방형 구조를 지나 제2덕트의 제2측 끝단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가열된 전지모듈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구조와 관련하여, 사이드 플레이트가 덕트(130)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사각 기둥 형태의 별도의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겹쳐지는 덕트의 일측면에 사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연통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지모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가스 차단 구조체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스 차단 구조체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덕트(130) 내에 가스 차단 구조체(140)가 위치하는 바, 구체적으로, 가스 차단 구조체(140)는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들 간에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덕트(130) 내에서 이격 공간(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덕트(130)가 연통되도록 일부분이 절취되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개방부(122)를 포함한다.
개방부의 형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구나 슬릿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가스 차단 구조체(140)는 덕트(130)를 개폐하는 차단막(142)과 차단막(142)을 고정하는 고정부(141)를 포함한다.
도 4는 전지모듈이 정상 상태인 경우에 차단막(142)을 고정부(141)가 파지하여 고정한 상태로서, 차단막(142)은 공기의 흐름 방향(점선 화살표로 표시)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정상 상태에서 차단막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하고, 발열 또는 발화시에 빠르게 용융되어 차단막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오른쪽에 있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가 발열되어 고정부(141)가 용융되어 차단막(142)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이다. 고정부(141)는 고온에서 용융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 또는 녹는점이 300 ℃이하인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41)가 용융되면 차단막(142)의 고정이 해제되어 덕트를 흐르는 기체의 흐름에 의해 차단막이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110)에서 가열된 기체가 도면상 왼쪽을 향해 이동하고, 팬을 통해 전지모듈 외부에서 전지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면상 오른쪽을 향해 유입되는 바, 상기 가열된 기체와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회전하던 차단막(142)은 덕트(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44)에 걸려서 정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지한 차단막(142)에 의해 덕트를 흐르는 기체의 흐름이 차단되는 바, 가열된 기체가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발화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유입되어 연소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차단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 차단 구조체(240)는, 덕트를 계패하는 차단막(242), 차단막(242)의 제1측 끝단에 연결된 온도 퓨즈(247), 및 차단막(242)의 제1측 끝단의 반대편인 제2측 끝단에 연결된 탄성체(248)를 포함하고, 전지모듈의 발열시 온도 퓨즈(247)가 끊어지면 탄성체(248)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막(242)이 회전하여 덕트를 완전히 막게 된다. 따라서, 덕트를 통한 가스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도 5의 설명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가열된 기체가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발화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유입되어 연소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도 5의 덕트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도 6의 덕트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차단막의 회전이 멈출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돌출부가 덕트의 바깥쪽 측면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돌출부는 덕트 바닥의 내측면에 형성되거나,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가스차단 구조체의 차단막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차단막(34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차단막(142, 242)과 동일한 형태로서, 회전을 위한 중심축(34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날개(349)를 포함한다. 날개(349)는 중심축(343)의 일측 끝단에서 바라볼 때 일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의 (b)에 도시된 차단막(442)은 회전을 위한 중심축(44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날개(449)를 포함한다. 날개(449)는 중심축(443)의 일측 끝단에서 바라볼 때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도 5의 덕트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도 7의 덕트 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차단막의 회전이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차단 구조체는 덕트를 통과하는 기체의 압력차에 의해 차단막이 빠르게 회전하여 덕트를 통과하는 기체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과 열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전지모듈 외부의 공기가 전지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대형 화재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전지모듈
110: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
111: 전지셀
112: 팬
115: 이격 공간
120: 사이드 플레이트
122: 개방부
130: 덕트
140, 240: 가스 차단 구조체
141: 고정부
142, 242, 342, 442: 차단막
144: 돌출부
247: 온도 퓨즈
248: 탄성체
343, 443: 중심축
349. 449: 날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이 독립된 하우징에 수용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 외측에 공기 순환을 위한 통로로서 덕트(duct)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지모듈은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형태로 순환됨으로써 전지모듈의 냉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순환하는 덕트 내에 배치된 가스 차단 구조체에 의해 특정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화염이 인접하는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화된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교체하여 전지모듈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전지셀들이 밀착 배열된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의 전극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가스 차단 구조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들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와 상기 덕트가 연통되도록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지셀들이 하우징에 수납된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전지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극리드가 돌출되는 방향에서 전지모듈의 측면 전체를 덮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 내에서 상기 이격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지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장 방향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와 제2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1덕트가 위치하며, 상기 제2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제2덕트가 위치하는 전지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냉매가 상기 제1덕트의 제1측 끝단을 통해 유입되어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를 통과한 후, 상기 제2덕트의 제2측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전지모듈의 발열시 상기 고정부가 용융되어 상기 차단막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덕트를 통한 가스 흐름이 차단되도록 상기 차단막이 회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구조체는,
    상기 덕트를 계패하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제1측 끝단에 연결된 온도 퓨즈, 및 상기 차단막의 제1측 끝단의 반대편인 제2측 끝단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전지모듈의 발열시 상기 온도 퓨즈가 끊어지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막이 회전하여 상기 덕트를 통한 가스 흐름이 차단되는 전지모듈.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회전을 위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중심축의 일측 끝단에서 바라볼 때 일자형 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측면에는 회전하는 차단막을 정지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덕트의 일부가 내측으로 만입된 형태이거나, 또는 덕트의 내측면에 돌기가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13. 제 1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PCT/KR2021/002500 2020-04-01 2021-02-26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212014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1248343A AU2021248343A1 (en) 2020-04-01 2021-02-26 Battery module including gas cutoff structure
EP21780259.4A EP4084191A4 (en) 2020-04-01 2021-02-26 BATTERY MODULE WITH GAS BREAKER STRUCTURE
US17/794,396 US20230052417A1 (en) 2020-04-01 2021-02-26 Battery module including gas cutoff structure
JP2022530287A JP7317233B2 (ja) 2020-04-01 2021-02-26 ガス遮断構造体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CN202180009135.2A CN114982043A (zh) 2020-04-01 2021-02-26 包括气体切断结构的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68A KR20210122559A (ko) 2020-04-01 2020-04-01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20-0039868 2020-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1443A1 true WO2021201443A1 (ko) 2021-10-07

Family

ID=7792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500 WO2021201443A1 (ko) 2020-04-01 2021-02-26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52417A1 (ko)
EP (1) EP4084191A4 (ko)
JP (1) JP7317233B2 (ko)
KR (1) KR20210122559A (ko)
CN (1) CN114982043A (ko)
AU (1) AU2021248343A1 (ko)
WO (1) WO2021201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09548A1 (en) * 2021-10-18 2023-04-27 Sung-Hwan Jang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20230076014A (ko)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AU2022427414A1 (en) * 2021-12-27 2024-03-1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and ES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660087B1 (ko) * 2021-12-27 2024-04-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s 및 자동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900A (ja) * 2007-11-28 2009-06-18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1258426A (ja) * 2010-06-09 2011-12-22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パック
KR20130089327A (ko)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058759A (ko) * 2012-11-06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81940A (ko) * 2012-12-20 2014-07-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15153616A (ja)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ッテリパック
JP2018129240A (ja) * 2017-02-09 2018-08-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電池パック、組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20200039868A (ko) 2018-10-05 2020-04-17 안창규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873A (ja) 2005-12-28 2007-07-12 Showa Aircraft Ind Co Ltd バッテリー
JP5507173B2 (ja) 2009-09-25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JP5993209B2 (ja) 2012-05-24 2016-09-1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5761164B2 (ja) 2012-11-30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15076216A (ja) 2013-10-08 2015-04-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365884B2 (ja) 2015-04-14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
CN209183604U (zh) * 2018-12-27 2019-07-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900A (ja) * 2007-11-28 2009-06-18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1258426A (ja) * 2010-06-09 2011-12-22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パック
KR20130089327A (ko) 2012-02-02 2013-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058759A (ko) * 2012-11-06 2014-05-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40081940A (ko) * 2012-12-20 2014-07-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15153616A (ja) 2014-02-14 2015-08-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ッテリパック
JP2018129240A (ja) * 2017-02-09 2018-08-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電池パック、組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20200039868A (ko) 2018-10-05 2020-04-17 안창규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8419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59A (ko) 2021-10-12
AU2021248343A1 (en) 2022-09-01
JP7317233B2 (ja) 2023-07-28
JP2023505029A (ja) 2023-02-08
EP4084191A1 (en) 2022-11-02
EP4084191A4 (en) 2023-08-09
US20230052417A1 (en) 2023-02-16
CN114982043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1443A1 (ko) 가스 차단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2044065A2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WO2015170880A1 (ko) 전지팩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WO2021071138A1 (ko)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12546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075962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WO2020256304A1 (ko) 가스배출통로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장치
WO2021085911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1040293A1 (ko) 셀 프레임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2120142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9117449A1 (ko) 배터리 팩
WO20212014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201409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9151741A1 (ko) 차량 전지 팩의 유체 분배 시스템용 튜브 조립체 및 차량용 전지 팩
WO202215879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40242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0256284A1 (ko) 홈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WO2023172054A1 (ko)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22231152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4076098A1 (ko) 방화벽을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172055A1 (ko)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23058927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WO2023128576A1 (ko) 배터리 팩,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ess 및 자동차
WO2023229421A1 (ko)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01454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802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028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802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26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4834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226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