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9201A1 -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9201A1
WO2024019201A1 PCT/KR2022/010940 KR2022010940W WO2024019201A1 WO 2024019201 A1 WO2024019201 A1 WO 2024019201A1 KR 2022010940 W KR2022010940 W KR 2022010940W WO 2024019201 A1 WO2024019201 A1 WO 20240192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fermentation
feminine
aci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09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하나
Original Assignee
(주)레이디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이디하우스 filed Critical (주)레이디하우스
Publication of WO20240192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92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More specifically, complex extracts using mugwort ( Artemisia princeps ), green tea ( Camellia Sinensis Leaf), Centella asiatica and Opuntia ficus - indica Stem were extracted using Lactobacillus spp. This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that manufactures a complex fermented extract and contains i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emale genitourinary system includes the uterus, vagina, vulva, and urethra, and is easily exposed to infections from outside due to its anatomical,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the vagina is rich in nutrients and is located deep within the human body, s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high, making it easy for various bacteria, including bacteria and fungi,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vaginitis, to invade, making it highly likely that various diseases will occur.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always keep the vagina clean and be careful not to expose it to bacterial infections from the outside.
  • lactic acid bacilli exist in a woman's urogenital system, which maintain the pH of the genitourinary system at a slightly acidic level, which prevents the proliferation of harmful bacteria.
  • an unclean urogenital environment Diseases related to the female genitourinary system can easily occur due to bacterial diseases 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wounds to the mucous membrane that occur when introducing medical devices into the body or during childbirth can increase the chance of infection by pathogens and cause inflammation.
  • This type of inflammation of the female genitourinary system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among patients visiting gynecologists, and is very diverse, ranging from bacterial to parasites and viruses. These patients are accompanied by itching, severe inflammation, and bad odor. In particular, human papilloma virus infection is closely related to cervical cancer, so careful attention is requir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fatal complications through appropriat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d feminine washes are often used to prevent such female diseases and remove unpleasant odors.
  • Topical cleansers used to prevent vaginitis are sulfonated fatty acids or distilled lauryl alcohol, and contain emollients, thickeners, nutrients, foaming agents, organic disinfectants, etc., or as surfactants and pharmaceuticals with cleansing power.
  • An example is one containing povidone-iodine as the main ingredient.
  • iodine the main ingredient in chemical feminine wash, has the risk of causing symptoms of hypersensitivity or itching, burning, skin ulcers, and contact dermatitis due to mucous membrane damage, and may cause hypothyroidism due to an increase in inorganic iodine in the vagina or total iodine level in the blood. It is known to exist.
  • Feminine washes are used on sensitive mucous membranes, so the use of chemically synthesized substances is not saf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feminine wash compositions using natural products that are more effective and safer than conventionally known feminine washes. This is the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pecifically, mugwort ( Artemisia princeps ), green tea ( Camellia Sinensis Leaf), centella asiatica and Bogeum cactus stem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the complex fermented extract using Opuntia ficus - indica Stem) and a complex fermented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pp.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e feminine wash exhibit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types of harmful strain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complex extracts of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Bogeum cactus stem as active ingredien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breve
  • the aim is to provide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lex fermented extract prepared using one or more of ( Lactobacillus breve ) and Lactobacillus bifidus ( Lactobacillus bifidus ).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freeze-dried feminine was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minine wash containing complex fermented extracts of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Bogeum cactus stem as active ingredients.
  •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us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aracasei , and Lactobacillus casei .
  •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bacillus breve and Lactobacillus bifidus. ( Lactobacillus bifidus )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breve , and It may be a complex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bifidus,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feminine wash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 It may have on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feminine wash may be freeze-dried and in a solid form,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fermented extracts of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cactus stem as active ingredients, wherein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by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aracasei ,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breve and Lactobacillus bifidus are complex fermented, and the antibacterial agents are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acterial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Bogeum cactus stem complex fermente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wherein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by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paracasei ( It is a complex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breve and Lactobacillus bifidus , and the antibacterial agent i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gainst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specifically, mugwort ( Artemisia princeps ), green tea ( Camellia Sinensis Leaf), centella asiatica and Opuntia ficus - indica stem. ) It relates to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a complex fermented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pp. as an active ingredi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feminine wash exhibit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types of harmful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 did.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in chronological order tha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ter touches the air layer of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ily liquefied.
  • %' used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a specific substance means (w/w) % for solid/solid, (w/v) % for solid/liquid, and Liquid/liquid is (v/v) %.
  •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extraction and separation from nature using extraction and separ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extract"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extracting and separating mugwort ( Artemisia princeps ) using an appropriate solvent. , green tea ( Camellia Sinensis Leaf), Centella asiatica , and Opuntia ficus - indica Stem, and includes, for example, crude extract, polar solvent-soluble extract, or non-polar solvent-soluble extract.
  • the appropriate solvent for extracting the complex extract of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prickly pear cactus stem may be any cosmetically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ganic solvent, and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lcohols with 1 to 4 carbon atoms including purified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cetone, ether ( Various solvents such as ether, benzene,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hexane, and cyclohexan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
  • an extraction method an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can be selected and used: hot water extraction, cold needl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steam distillation, ultrasonic extraction, dissolution, compression,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 the desired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or may be purified using a conventional purification method.
  • the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powder form from the primary extract extracted by the above-described hot water extraction or solvent extraction method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and freeze-drying or spray drying.
  • the primary extract was further purified into fractions using various chromatographies such a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You can also get i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extracts, fractions, and purifications obtained at each stage of extraction, fractionation, or purification, as well as their dilutions, concentrates, or dried produc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eeze-dried feminine wash containing mugwort, green tea, centella asiatica, and a complex extract or complex fermented extract of cactus stem as active ingredients, which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or quasi-drug composition.
  •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types of harmful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
  • Products to which this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cosmetics such as feminine wash, various creams, lotions, skins, essences, etc., as well as shampoos, rinses, cleansers, face washes, soaps, treatments, packs, and beauty essences. .
  •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high molecular weight peptides, high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s.
  • Water-soluble vitamins may be any that can be mix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pyridoxine, pyridoxine hydrochlorid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cotinic acid, nicotinic acid amide, folic acid, vitamin C, and vitamin H. and their salts (thiamine hydrochloride, sodium ascorbate, etc.) or derivatives (sodium ascorbic acid-2-phosphate, magnesium ascorbic acid-2-phosphate, etc.) are also water-soluble vitamin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Water-soluble vitamins can b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icrobial transformation, purification from microbial cultures, enzymatic methods, or chemical synthesis.
  • Oil-soluble vitamins may be any that can be mix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 vitamin A, carotene, vitamin D2, vitamin D3, vitamin E (d1-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etc. , their derivatives (ascorbic palmitate, ascorbic stearate, ascorbic acid dipalmitate, dl-alpha tocopherol acetate, dl-alpha tocopherol nicotinic acid, vitamin E, DL-pantothenyl alcohol, D-pantothenyl alcohol, pantothenyl ethyl ether, etc.) are also included in the oil-soluble vitami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Oil-soluble vitamins can b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icrobial transformation, purification from microbial cultures, enzymatic or chemical synthesis.
  • the polymer peptide may be any peptide that can be blend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s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and keratin.
  • High molecular weight peptides can be purified and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purification from microbial culture media, enzymatic methods, or chemical synthesis, or they can usually be purified and us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dermis of pigs or cows or silk fiber of silkworms.
  • the high molecular polysaccharide may be any one that can be blend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s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chondroitin sulfate or its salts (sodium salt, etc.).
  • chondroitin sulfate or its salt can usually be purified and used from mammals or fish.
  • the sphingolipid may be any one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s ceramide, phytosphingosine, and sphingolipid.
  • Sphingolipids can usually be purified by conventional methods from mammals, fish, shellfish, yeast, or plants, or obtained by chemical synthesis.
  • the seaweed extract may be any one that can be blended into cosmetics, but preferably includes brown algae extract, red algae extract, green algae extract, etc. Also, calrageenan, arginic acid, sodium alginate, etc. purified from these seaweed extracts. Potassium arginate and the like are also included in the seaweed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eaweed extract can be obtained by purifying seaweed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ther ingredients that are usually blended in cosmetics, if necessary.
  • Other ingredients that may be added include oils and fats, moisturizer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disinfectant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 colorants, fragrances, Examples include blood circulation promoters, cooling agents, antiperspirants, and purified water.
  • oil and fat components include ester-based fats and oils,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silicone-based fats and oils, fluorine-based fats and oils, animal fats and oils, and vegetable fats and oils.
  • Ester-based oils include glyceryl tri2-ethylhexanoate, cetyl 2-ethylhexanoate, isopropyl myristate, but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ethyl stearate, octyl palmitate, isocetyl isostearate, and stearic acid.
  • Triisocetyl citrate Triisoalkyl citrate, Triisooctyl citrate, Lauryl lactate, Myristyl lactate, Cetyl lactate, Octyldecyl lactate, Triethyl citrate, Acetyltriethyl citrate, Acetyltributyl citrate, Trioctyl citrate, Mal.
  • Diisostearyl acid 2-ethylhexyl hydroxystearate, di2-ethylhexyl succinate, diisobutyl adipate, diisopropyl sebacate, dioctyl sebacate, cholesteryl stearate, cholesteryl isostearate.
  • cholesteryl hydroxystearate cholesteryl oleate, dihydrocholesteryl oleate, phytsteryl isostearate, phytsteryl oleate, 12-stealoyl hydroxystearate isocetyl, 12-stealoyl Ester systems such as stearyl monohydroxystearate and isostearyl 12-stealoylhydroxystearate can be mentioned.
  •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include squalene, liquid paraffin, alpha-olefin oligomer, isoparaffin, ceresin, paraffin, liquid isoparaffin, polybudene, microcrystalline wax, and petroleum jelly.
  • Silicone oils include polymethyl silicone, methylphenyl silicone, methylcyclopolysiloxane, octamethylpolysiloxane, decamethylpolysiloxane, dodecamethylcyclosiloxane, dimethylsiloxane and methylcetyloxysiloxane copolymer, dimethylsiloxane and methylstealoxysiloxane copolymer, and alkyl. Modified silicone oil, amino-modified silicone oil, etc. can be mentioned.
  • fluorine-based fats and oils examples include perfluoropolyether.
  • Animal or plant oils include avocado oil, almond oil, olive oil, sesame oil, rice bran oil, birdflower oil,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apricot oil, palm kernel oil, palm oil, castor oil, sunflower oil, and grape seed oil. , cottonseed oil, palm oil, cucumber nut oil, wheat germ oil, rice germ oil, shea butter, walnut colostrum oil, marker damia nut oil, meadow oil, egg yolk oil, beef tallow, horse oil, mink oil, orange rape oil, jojoba oil. , animal or plant oils such as candelier wax, carnaba wax, liquid lanolin, and hydrogenated castor oil.
  • Moisturizers include water-soluble low-molecular-weight moisturizers, oil-soluble molecular moisturizers, water-soluble polymers, and fat-soluble polymers.
  • fat-soluble low-molecular-weight moisturizers examples include cholesterol and cholesterol esters.
  • Water-soluble polymers include carboxyvinyl polymer, polyaspartate, tragacanth, xanthan gum, methylcellulose, hydroxym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water-soluble chitin, chitosan, dextrin, etc. You can.
  • oil-soluble polymers examples include polyvinylpyrrolidone and eicosene copolymers, polyvinylpyrrolidone and hexadecene copolymers, nitrocellulose, dextrin fatty acid ester, and polymer silicone.
  • emollients include long-chain acyl glutamic acid cholesteryl ester, hydroxystearic acid cholesteryl, 12-hydroxystearic acid, stearic acid, rosin acid, and lanolin fatty acid cholesteryl ester.
  • surfactants include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 Nonionic surfactants include self-emulsifying glycerin monostearat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 glycerin fatty acid ester, polyglycerin fatty acid 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POE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 POE.
  • Anionic surfactants include fatty acid soap, alpha-acyl sulfonate, alkyl sulfonate, alkyl allyl sulfonate, alkylnaphthalene sulfonate, alkyl sulfate, POE alkyl ether sulfate, alkyl amide sulfate, alkyl phosphate, POE alkyl phosphate industry, alkyl amide.
  • alkyloyl alkyl taurine salt N-acylamino acid salt
  • POE alkyl ether carboxylate alkyl sulfosuccinate, sodium alkyl sulfoacetate, acylated hydrolyzed collagen peptide salt, perfluoroalkyl phosphate ester, etc. there is.
  • Cationic surfactants include alkyl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trimethylammonium bromide, cetostea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diste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behenyl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cationic surfactant.
  • Examples include benzalkonium, diethylaminoethylamide stearate, dimethylaminopropyl stearate,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of lanolin derivatives.
  • Amphoteric surfactants include carboxy beta type, amide beta type, sulfo beta type, hydroxy sulfo beta type, amide sulfo betaine type, phosphobetain type, aminocarboxylate type, imidazoline derivative type, and amidamine type. Amphoteric surfactants, etc. can be mentioned.
  •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include silicic acid, anhydrous silicic acid, magnesium silicate, talc, sericite, mica, kaolin, bengala, clay, bentonite, titanium-coated mica, bismuth oxychloride, zirconium oxide, magnesium oxide, zinc oxide, titanium oxide, and aluminum oxide.
  •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iron oxide, ultramarine blue, chromium oxide, chromium hydroxide, calamine and complexes thereof; Polyamide, polyester,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urethane, vinyl resin, urea resin, phenolic resin, fluorine resin, silicon resin, acrylic resin, melamine resin, epoxy resin, polycarbonate resin, divinylbenzene and styrene copolymer, Examples include organic pigments such as silk powder, cellulose, CI pigment yellow, and CI pigment orange, and complex pigments of these inorganic pigments and organic pigments.
  • organic powder examples include metal soap such as calcium stearate; Alkyl phosphate metal salts such as sodium zinc cetilate, zinc laurylate, and calcium laurylate; Acyl amino acid polyvalent metal salts such as N-lauroyl-beta-alanine calcium, N-lauroyl-beta-alanine zinc, and N-lauroyl glycine calcium; Amidesulfonic acid polyvalent metal salts such as N-lauroyl-taurine calcium and N-palmitoyl-taurine calcium; N such as N-epsilon-lauroyl-L-lysine, N-epsilon-palmitoylizine, N-alpha-paritoylolnithine, N-alpha-lauroylarginine, N-alpha-hydrogenated beef tallow fatty acid acylarginine, etc.
  • metal soap such as calcium stearate
  • Alkyl phosphate metal salts such as
  • N-acyl polypeptides such as N-lauroylglycylglycine
  • Alpha-amino fatty acids such as alpha-aminocaprylic acid and alpha-aminolauric acid
  • Examples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polystyrene, divinylbenzene and styrene copolymers, and ethylene tetrafluoride.
  • UV absorbers include para-aminobenzoic acid, ethyl para-aminobenzoate, amyl para-aminobenzoate, octyl para-aminobenzoate, ethylene glycol salicylate, phenyl salicylate, octyl salicylate, benzyl salicylate, butylphenyl salicylate, homomenthyl salicylate, and benzyl cinnamate.
  • Disinfectants include hinokitiol, triclosan, trichlorohydroxydiphenyl ether, chlorhexidine gluconate, phenoxyethanol, resorcin, isopropylmethylphenol, azulene, salicylic acid, zincphyllithione, benzalkonium chloride, and photosensitive.
  • Sub-No. 301, mononitroguaiacol sodium, undecirenic acid, etc. can be mentioned.
  • Antioxidants include butylhydroxyanisole, propyl gallate, and elisorbic acid.
  • pH adjusters examples include citric acid, sodium citrate, malic acid, sodium malate, fumal acid, sodium fumalate, succinic acid, sodium succinate, sodium hydroxide, and sodium monohydrogen phosphate.
  • alcohol examples include higher alcohols such as cetyl alcohol.
  • ingredients that may be added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ny of the above ingredients can be blend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the form of a solid, solution, emulsion, viscous mixture, etc. due to freeze-drying.
  • the ingredient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as active ingredients, for example, conventional auxiliaries and carriers such a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ragrances. Includes.
  • the feminine cleansing agent containing mugwort, green tea, complex extracts of Bokpoom and Bogeum cactus stems or complex fermented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ctive ingredients is effective against four types of harmful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and S. I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and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These cosmetic compositions can be manufactu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manufactured in the art, and examples include solids, emulsions, creams, lotions, packs, foundations, lotions, beauty essences, hair cosmetics, etc.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eminine cleanser,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milk lotion, astringent,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It includes formulations of nutritional essence, pack,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hair lotion, hair tonic, hair essence, hair shampoo, hair rinse, hair treatment,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fiber, vegetable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You ca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 chlorofluorohydrocarbon and propane may be used as carrier ingredients.
  •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 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and fatty acid amide.
  •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ine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can be used.
  • mugwort Artemisia princeps
  •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eaf
  • centella asiatica and prickly pear stem ( Opuntia ficus - indica stem) used to prepare the natural complex extract
  •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at 95 to 100°C using a stirrer at 150 rpm for 3 to 5 hours, and the complex extracts extract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were freeze-dried to remove all solvents in powder form. made.
  • a natural complex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by fermentation using the complex extract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bove.
  •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 were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bulgaricus ( Lactobacillus bulgaricus ),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salivarius, Lactobacillus breve and Lactobacillus bifidus More than one was used.
  • the above strains are strains distributed from the “Food Microbial Gene Bank” of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or the Korea Microbial Conservation Center. Strain deposit numbers and depositori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he Lactobacillus spp strain was added to 10 mL of fermentation medium (1.5% (v/v) glucose, 1.5% (v/v) sugar, 1.5% (v/v) starch syrup, 0.3% (v/v) yeast extract). .), 10 mg of any one or more was added and pre-cultivation was performed.
  • the natural complex extract was added to a medium of the same composition as the fermentation medium, and the pre-culture solution was inoculated and fermented. Cultured at 35 to 37°C for 36 hours, and glucose and sugar contents were controlled to improve the growth rate of the strain during culture. After fermentation was completed, the culture fluid and the dead body of the strain were separated through centrifugation and filtration, and the separated culture fluid portion was freeze-dried to obtain the natural complex ferment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Lactobacillus strains are divided into Lactobacillus acidophilus (LA), Lactobacillus rhamnosus (LR), Lactobacillus paracasei (LP), and Lactobacillus casei. casei ; LC), Lactobacillus bulgaricus (LB), Lactobacillus fermentum (LF), Lactobacillus plantarum (LPT), Lactobacillus salivarius (LS), and They were given short names such as Lactobacillus breve (LBV) and Lactobacillus bifidus (LBD).
  • a natural complex fermentation extract according to Table 2 above was prepared, and an antibacterial test was performed using it.
  •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compared by soaking the comparative examples in paper disks, placing them on a medium smeared with microorganisms, culturing them, and then measuring the size of the clear zone around the disks. Specifically, 50 ⁇ l of each of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soaked in a paper disk (diameter 8 mm, thickness 1.5 mm) and th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 the four strains to be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Pseudomonas aeruginosa ,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were stored at 30°C or 37°C, respectively.
  •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harmful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 Candida albicans , Escherichia coli , and Bacillus cereus It has Comparative Examples 2 ( Lactobacillus rhamnosus (LR)), 3 (Lactobacillus paracasei (LP)), 7 ( Lactobacillus plantarum (LPT)), 9 ( It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LS)) and 10 ( Lactobacillus bifidus (LBD)).
  • Example 8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ains. Therefore, Lactobacillus rhamnosus (LR), Lactobacillus paracasei (LP), Lactobacillus plantarum (LPT)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LS) of Example 8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al complex fermented extract using ) can be used as a feminine cleanser.
  • LR Lactobacillus rhamnosus
  • LP Lactobacillus paracasei
  • LPT Lactobacillus plantarum
  • LS Lactobacillus salivarius
  • Example 8 A freeze-dried feminine wash was prepared using Example 8, which ha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confirmed in Experimental Example 2. As shown in Figure 1, it was confirmed that water was easily liquefied when it came into contact with the air layer. Therefore, the feminine wa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is immediately dissolved upon contact with water, providing a good feeling of use,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and is human-friendly as it does not contain preser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를 이용한 복합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하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 건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쑥(Artemisia princeps),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병풀(Centella asiatica) 및 보검선인장줄기(Opuntia ficus-indica Stem)를 이용한 복합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Lactobacillus spp.)를 이용하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비뇨생식기계는 자궁, 질, 외음부 및 요도 등을 포함하며, 해부생리학적 또는 기능적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감염에 노출되기 쉽다. 예를 들어, 질은 양분이 풍부하여 인체 깊숙히 위치하고 있으므로, 온도와 습도가 높기 때문에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를 포함한 여러 균들의 침범이 용이하여 여러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항상 질은 청결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세균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성의 비뇨생식기계에는 비뇨생식기계 pH를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주는 유산간균이 존재하여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지만, 물리적 손상, 스트레스 및 호르몬 불균형 외에도 청결하지 않은 비뇨생식기계 환경, 성관계에 따른 세균성 질환 혹은 성병 등에 의해 여성 비뇨생식기계 관련 질환이 발생되기 쉬우며, 의료기구를 체내에 도입할 때 또는 출산 시 발생하는 점막의 상처는 병원균의 감염의 기회를 높이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 비뇨생식기계 염증은 부인과를 찾아오는 환자들의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며, 세균성에서부터 기생충,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들 환자들은 소양감 및 심한 염증과 악취를 동반하게 되는데, 특히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예방, 진단과 치료로서 치명적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와 같은 여성질환을 예방하고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여성청결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국부용 세정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콜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살균제 등을 함유된 것이나, 또는 세정력을 지닌 계면 활성제 및 의약품으로서의 포비돈-요오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화학적 여성청결제의 주성분인 요오드는 과민 증상이나 점막 손상에 의한 소양감, 작열감, 피부 궤양, 접촉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질내 무기 요오드 또는 혈중 총 요오드치가 상승하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청결제는 민감한 점막 부위에 사용하므로, 화학적 합성물질의 사용은 안전하지 못하며, 이에, 종래 알려진 여성용 청결제에 비하여 보다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한 물질로서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여성청결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쑥(Artemisia princeps),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병풀(Centella asiatica) 및 보검선인장줄기(Opuntia ficus-indica Stem)를 이용한 복합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Lactobacillus spp.)를 이용하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성청결제는 4종의 유해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우수한 향균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결건조 여성청결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는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향균력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는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이고, 상기 항균은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이고, 상기 항균은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쑥(Artemisia princeps),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병풀(Centella asiatica) 및 보검선인장줄기(Opuntia ficus-indica Stem) 복합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Lactobacillus spp.)를 이용하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여성청결제는 4종의 유해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우수한 향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의 공기층에 물이 닿으면 쉽게 액화됨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쑥(Artemisia princeps),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병풀(Centella asiatica) 및 보검선인장줄기(Opuntia ficus-indica Stem)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화장품학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추출물 또는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를 제공하며, 이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4종의 유해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우수한 향균력을 가진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여성청결제,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 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동결건조로 인한 고체,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쑥, 녹차, 병품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추출물 또는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는 4종의 유해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우수한 향균력을 가지며 이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성청결제,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준비예 1> 천연 복합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서 천연 복합 추출물 제조에 사용된 쑥(Artemisia princeps),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병풀(Centella asiatica) 및 보검선인장줄기(Opuntia ficus-indica Stem)는 약초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재료들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 시 95 내지 100℃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rpm으로 3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으며, 상기 방법에 따라 추출된 복합 추출물들을 동결건조를 통해 용매를 모두 제거시킨 가루 형태로 만들었다.
<준비예 2>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 제조
상기 준비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한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였다. 상기 균주들은 한국식품연구원의 "식품 미생물 유전자은행" 또는 한국미생물 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은 균주이다. 균주 기탁번호와 기탁기관은 하기 표 1과 같다.
균주명 기탁번호 기탁기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40265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40069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40996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12452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40266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퍼맨텀 35469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60805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40210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 61605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 12096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
발효배지(포도당 1.5%(v/v), 설탕 1.5%(v/v), 물엿 1.5%(v/v), 효모 추출물 0.3%(v/v)) 10mL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Lactobacillus sp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10 mg 첨가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하였다. 전배양 후 상기 발효용 배지와 동일한 조성의 배지에 천연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전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35 내지 37℃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시 균주의 증식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도당 및 설탕 함량을 제어하였다. 발효가 종료된 후 원심 분리 및 필터링을 거쳐 배양액과 균주의 사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배양액 부분을 동결건조 시켜 본 발명의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항균효과 테스트를 위한 비교예 제조 및 이의 항균효과
상기 준비예 1 및 2의 제조방법에 따라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 비교 실험군을 하기 표 2과 같이 제조하였다. 편의를 위해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LA),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LR),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P),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LC),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LB),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LF),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T),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LS)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LBV)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LBD)와 같이 짧게 명명하였다.
LA LR LP LC LB LF LPT LS LBV LBD
비교예1 O
비교예2 O
비교예3 O
비교예4 O
비교예5 O
비교예6 O
비교예7 O
비교예8 O
비교예9 O
비교예10 O
상기 표 2에 따른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항균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항균 효과는 상기 비교예들을 페이퍼 디스크에 적시어, 미생물을 도말한 배지위에 올려 놓고 배양한 다음, 디스크 주위의 투명환(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들을 각각 50 ㎕를 페이퍼 디스크(지름 8mm, 두께 1.5mm)에 적신 다음, 실온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였다. 항균력 실험을 수행할 대상 4종의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는 각각 30℃ 또는 37℃에서 1 내지 2일 동안 배양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1×104CFU가 되도록 계산한 다음, 고체 배지(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는 Nutrient Agar 배지, Candida albicans는 Sabrouraud Dextrose Agar 배지) 위에 상기 4종의 균주를 각각 고르게 도말하고, 37℃의 인큐베이터에서 2-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균이 자라지 않은 투명환의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투명환의 지름은 mm로 나타내며, 투명환의 지름이 클수록 높은 항균력을 가지는 것이다. 항균 효과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비교예
/ (mm)
1 2 3 4 5 6 7 8 9 10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0.1 1.1 1.9 0.2 0.1 0.5 1.9 0.4 1.9 1.4
칸디다 알비칸스 0.3 1.5 1.1 0.1 0.8 0.4 1.1 0.5 1.7 1.5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0.2 1.8 1.2 0.8 0.9 0.1 1.2 0.7 1.8 1.4
바실러스 세레우스 0.5 1.7 1.2 0.7 0.4 0.1 1.8 0.2 1.8 1.5
상기 비교예 1 내지 10에서 4종의 유해 균주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우수한 향균력을 가지는 것은 비교예 2(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LR)), 3(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P)), 7(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T)), 9(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LS)) 및 10(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LBD))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여러 균주를 이용한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의 항균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낸 비교예 2, 3, 7, 9 및 10을 이용하여 복합 발효를 하였으며 이의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5가지 비교예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하였다.
LR
(비교예2)
LP
(비교예3)
LPT
(비교예7)
LBV
(비교예9)
LBD
(비교예10)
실시예1 O O
실시예2 O O
실시예3 O O
실시예4 O O
실시예5 O O O
실시예6 O O O
실시예7 O O O
실시예8 O O O O
실시예9 O O O O
실시예10 O O O O O
상기 표 4와 같이 여러 균주를 투입 시 모든 비율은 동등하게 첨가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예를들어 2개의 균주 발효 시 1:1의 중량비로 첨가). 이후의 항균효과 테스트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의 방법대로 진행하였다.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의 항균 효과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실시예
/ (mm)
1 2 3 4 5 6 7 8 9 10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0.8 1.1 1.5 1.1 1.1 1.5 1.1 2.4 1.8 2.0
칸디다 알비칸스 1.2 1.1 1.4 1.2 0.8 1.7 1.8 2.6 1.7 1.8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1.8 1.4 1.4 1.1 0.8 1.7 1.9 2.7 2.1 2.2
바실러스 세레우스 2.1 0.5 1.8 0.8 1.7 1.8 0.7 2.2 1.9 1.7
상기 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전체적으로는 실험예 1의 결과인 단독 발효 시 보다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균주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실시예 8의 경우에만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8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LR),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P),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T)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LS)를 이용한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은 여성청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천연 복합 발효 추출물의 동결건조
상기 실험예 2에서 확인한 높은 항균력을 가진 실시예 8을 이용하여 동결건조 여성 청결제를 제조하였다. 도 1과 같이 공기층에 물이 닿으면 쉽게 액화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청결제는 뛰어난 항균력을 가지고, 물이 닿자마자 바로 풀어져서 사용감이 좋으며, 휴대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며,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아 인체 친화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동일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7)

  1.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퍼맨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 것인, 여성청결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인, 여성청결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는,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해 향균력을 가지는 것인, 여성청결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는,
    동결건조를 진행하여 고체 형태인 것인, 여성청결제. 
  6.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이고,
    상기 항균은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쑥, 녹차, 병풀 및 보검선인장줄기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브(Lactobacillus breve) 및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ctobacillus bifidus)를 복합발효 시킨 것이고,
    상기 항균은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에 대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CT/KR2022/010940 2022-07-22 2022-07-2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WO20240192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201 2022-07-22
KR1020220091201A KR102517579B1 (ko) 2022-07-22 2022-07-22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201A1 true WO2024019201A1 (ko) 2024-01-25

Family

ID=8592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0940 WO2024019201A1 (ko) 2022-07-22 2022-07-2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517579B1 (ko)
WO (1) WO202401920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27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래디안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8225B1 (ko) *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255810B1 (ko) * 2021-01-12 2021-05-25 유한회사 엠비즈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유산균을 함유하고, 초음파 분산을 통해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2296688B1 (ko) * 2020-08-03 2021-08-31 박종호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20210119188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밴드골드 여성 외음부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530A (ja) 2014-02-07 2015-08-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ス流量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27A (ko) * 2010-06-30 2012-01-05 주식회사 래디안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8225B1 (ko) *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20210119188A (ko) *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밴드골드 여성 외음부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96688B1 (ko) * 2020-08-03 2021-08-31 박종호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102255810B1 (ko) * 2021-01-12 2021-05-25 유한회사 엠비즈 락토바실러스 발효용해물 유산균을 함유하고, 초음파 분산을 통해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579B1 (ko) 2023-04-04
KR20240013645A (ko) 2024-01-30
KR20240013646A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6156A1 (en) Novel lactobacillus gasseri skb1102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having anti-pollution function
US20220143112A1 (en)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57970B1 (ko)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18062751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924A (ko)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4019201A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KR20090055261A (ko)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34698A1 (ko) 쑥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045830A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WO2013105734A1 (ko) 여드름 피부개선용 조성물
WO2022045833A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25B1 (ko)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92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520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