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4774A1 -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4774A1
WO2024014774A1 PCT/KR2023/009469 KR2023009469W WO2024014774A1 WO 2024014774 A1 WO2024014774 A1 WO 2024014774A1 KR 2023009469 W KR2023009469 W KR 2023009469W WO 2024014774 A1 WO2024014774 A1 WO 20240147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let
liquid container
liquid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4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규환
이준희
이동규
임승호
Original Assignee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147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47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upled to an inlet for a liquid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inlet formed at the liquid container joint is retractable, and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inlet is protruding. It relates to a connector coupled to an inlet for a container.
  • liquid container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side to contain liquid substances.
  • a joi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quid container, and an inlet is sealed and joined to the joint, and contents are injected or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 the inlet portion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a certain length from the joint of the liquid container,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covered with a cap.
  • the protruding inlet part must be coupled to the inserted connector, but the user must hold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beverage and engage it while holding the inlet part of the liquid container,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This exists.
  • the protruding inlet part is simply coupled to the recessed upper connector, there is a risk of infection due to the inflow of external air or foreign substances, and when coupled through the simple fitting method, liquid-like liquid forms at the joining sit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beverages may leak.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43544 (announced on May 9, 2012)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the inlet for a liquid container in which the inlet formed at the liquid container joint is of a retractable type, and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inlet is of a protruding type.
  • the liquid container connector is formed by bonding to an inlet cut on one side of a liquid container with a space in which liquid can be stored,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hat protrudes a certain length toward the outside and is hollow. It includes a connector in which a lead-in inlet part and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upling part of the inlet part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body part in which a hollow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is formed so that the tube through which the liquid is transmitted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rear end.
  • the liquid refers to a substance in liquid form and includes, for example, medical transfusions, liquid food, liquid beverages, etc.,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one side, and a pinho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hollo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 a central plate divid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onnector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further includes a pair of flexible fastening wings extending from the central plate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 the central plate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when the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inlet portion, the liquid is transmitted from the inlet portion to the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leakage prevention step to prevent liq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fixed step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from the flexible fastening wing of the connector, and is inserted into the fixed step of the inlet portion to connect the inlet portion and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for fastening.
  • 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inner peripheral protrusion that protrudes along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and is fitted with one end of the tube to prevent the tube from being separated.
  • the diameter of the hollow of the connector becomes smaller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diameter becomes larger after passing the inner peripheral protrusion.
  • the protruding connector is fitted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inlet portion of the liquid contain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fitting the liquid container while holding it and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a conventional liquid is coupled through a connection pip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connector is coupled to a retractable inlet portion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before and after state diagram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inlet portion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mbined with a connector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connector is coupled to a retractable cap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quid container connector is formed by adhering to an inlet cut on one side of the liquid container (P), which has a space in which liquid can be stored, and is formed by protruding a certain length toward the outside and forming a hollow.
  • a retractable inlet part 10 including a coupling part 11 and an insertion part 21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inlet part 10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tube through which liquid is transmitted is inserted.
  • the body portion 220 which has a hollow body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includes a connector 20 formed at the rear end.
  • the liquid container (P) is configured to have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liquids.
  • a pair of sheet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dher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form a space inside, and a cut is made on one side of the adhered circumference.
  • the liquid is delive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 a lead-in inlet is formed by adhesion to the cut inlet. It is placed between a pair of sheets and sealed by adhesive or heat-sealing method, and is formed through a coupling portion 11 that protrudes outward by a certain length and has a hollow interior.
  • the liquid is delivered to the outside.
  • the liquid container (P) can be formed not only in the form of a pair of sheets forming an internal space, but also in the shape of a container that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forms an external shape, and its inlet is an inlet leading into the inside. It is shaped so that a protruding connector can be inserted toward the inlet when used. Unlike the protruding inlet portion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 2 or 5, so that when a relatively light connector is inserted, Therefor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 an insertion part 21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inlet part 10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body part is formed with a hollow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so that the tube through which the liquid is delivered is inserted ( 220) includes a connector 20 formed at the rear end.
  • the connector 20 largely consists of an insertion part 21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inlet part 10, and a body part 220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which forms a handle for the user to hold. .
  • a hollow is formed inside from the insertion part 210 to the body part 220, and when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fitted, the tube passes from the liquid container (P) through the inlet part 10 and the connector 20. Liquid can be transferred.
  •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formed in the connector 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ube, so that when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t is gradually fitted and fixed.
  •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of the connector 20 has an inclined surface 211 inclined to one side, and a pinhole 213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11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hollow.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made to have an inclined surface 211 inclined to one side to sharply form the front end.
  • the insertion part 210 having the inclined surface 211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insert into the inlet part 10 and having a larger area compared to the horizontal surface, so that more liquid can be delivered.
  • a pinhole 213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11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inhole 213 is configured to discharge as much as possible the residue remaining around the coupling area that cannot be discharged in the liquid delivered when the inlet portion 10 and the connector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portion 210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1, residue may remain in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1, and this serve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residue to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hat the width of the pinhole 213 becomes wider as it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maximize the discharge of residues accumulating at the bottom.
  • a central plate 230 dividing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body portion 220 of the connector 2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 and the central plate 23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flexible fastening wings 231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210.
  • a fixed step 12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1 of the inlet portion 10, and an insertion portion 210 are formed on the flexible fastening wing 231 of the connector 20. ) and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232 tha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tep 12 of the inlet part 10 and fastens the inlet part 10 and the connector 20.
  • the central plate 230 is configured to form the fastening wings 231 while distinguishing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body portion 220.
  • the rear plate 24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220 and defines the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220.
  • the central plate 230 is made in the shape of a disk a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 and a pair of fastening wings 231 are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central plate 230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210. .
  • the fastening wings 231 are preferably composed of at least one pair, and are flexible enough to partially expand and contract radially and are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11.
  • the flexible fastening wing 231 has a fastening protrusion 232 protrud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insertion part 210, and is fixed in a ring ty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1 of the inlet part 10.
  • a step 12 is formed, so that when the connector 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10, the fastening protrusion 232 approaching the fixed step 12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tep to prevent it from coming off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plays a role in preventing
  • the central plate 230 is formed to exte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connector 20 is fastened to the inlet portion 10 to connect the inlet portion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eakage prevention step 215 that contacts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 and prevents the liquid delivered from the inlet portion 10 to the connector 2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leak-proof step 2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ep extending from the center plate 230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connector 2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10.
  • the front end of the leak-proof step 215 and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 are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and prevents liquid leakage.
  •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1 and the front end of the leakage-prevention step 215 may contact each other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ne, and may be more securely fastened by a method such as block coupling.
  • the connector 20 further includes an inner peripheral protrusion 221 that protrudes along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is fitted with one end of the tube to prevent the tube from being separated.
  • the diameter of the hollow of the connector 20 becomes smaller as it moves from the tip of the insertion portion 210 toward the inner peripheral protrusion 221, and the diameter decreases after passing the inner peripheral protrusion 221. It is characterized by growing larger.
  • the hollow of the connector 20 is made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insertion part 210, especially up to the inner peripheral protrusion 221, so that the tube is inserted more strongly. Fitting can be achieved, and from then on, the diameter is made larger again so that the liquid delivered from the liquid container (P) flows in and out at a high speed around the central plate (2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및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引入型)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액상용기는 액상의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상용기의 일측에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부에 인입구부가 실링처리되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인입구부를 통해 내용물이 주입되거나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부는 액상용기의 접합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로 인입된 형태에 캡이 씌워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 중에서 액상형 음료가 담기는 액상용기의 경우, 대부분의 인입구부는 외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형 인입구부의 외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연결관 상측에 구성된 인입형 상단커넥터에 끼워져 상호 연결된 상태로 액상형 음료가 연결관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부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돌출된 인입구부를 인입된 커넥터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사용자가 액상형 음료가 담긴 액상용기를 들고 액상용기의 인입구부를 파지한 상태로 결합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성된 상단 커넥터에 단순 결합되는 형태에서는 외부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감염될 위험성이 존재하고, 단순 끼움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면 결합부위에서 액상형 음료가 누수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3544호(2012.05.09. 공고)
본 발명은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및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는 액상 형태의 물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의료용 수액, 액상형 식품, 액상 음료 등을 포함하며, 상기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와 몸체부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가 커넥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의 결합부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로부터 커넥터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과, 상기 커넥터의 가요성 체결날개에서 삽입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의 고정단턱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중공은 삽입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용기의 인입구부의 내측 중공을 향해 돌출형 커넥터가 끼움결합되면서 액상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끼움결합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입구부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통해 누액을 방지하고 외부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체가 담긴 액상용기에 연결관을 통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형 인입구부에 돌출형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전후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연결관과 결합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형 캡에 돌출형 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P)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10) 및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220)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용기(P)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성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시트 둘레를 따라 점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점착된 둘레 중 일측에 절개된 입구를 통해 액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절개된 입구에는 인입구부가 접착 형성되는데, 한 쌍의 시트 사이에 게재되어 부착 또는 열융착 방식 등으로 밀봉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를 통해 액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액상용기(P)는 한 쌍의 시트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외형을 이루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입구는 내부를 향해 인입되는 인입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시에 돌출형 커넥터가 입구를 향해 삽입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돌출형 인입구부와 달리,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커넥터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커넥터를 끼우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220)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20)는 크게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튜브가 끼워지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0)로부터 몸체부(220)까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 내부로 튜브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면 액상용기(P)로부터 인입구부(10), 커넥터(20)를 거쳐 튜브로 액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0)에 형성된 중공의 내경은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튜브가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점차 끼움결합되면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삽입부(210)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1)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211)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210)는 전단을 날카롭게 형성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1)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211)을 가진 삽입부(210)는 인입구부(10)로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수평면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져 더 많은 액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211) 일측에서 중공과 연통 가능하고, 삽입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핀홀(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홀(213)은 인입구부(10)와 커넥터(20)가 상호 결합되면서 전달되는 액체 중에 배출되지 못하고 결합영역 주변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최대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삽입부(210)가 결합부(11)에 끼워지면서 삽입부(210) 외주면과 결합부(11) 내주면 틈에 잔여물이 남을 수 있고, 이렇게 남은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핀홀(213)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그 폭이 더 넓어지도록 하여 하부로 쌓이는 잔여물을 최대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삽입부(210)와 몸체부(220)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230)가 커넥터(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2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12)과, 상기 커넥터(20)의 가요성 체결날개(231)에서 삽입부(210)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10)의 고정단턱(12)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10)와 커넥터(20)를 체결하는 체결돌기(2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230)는 삽입부(210)와 몸체부(220)의 위치를 구분하면서 상기 체결날개(231)가 형성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220) 후단에 형성된 후단플레이트(240)와 함께 몸체부(220)의 위치를 구획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23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넥터(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날개(23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날개(231)는 최소한 한 쌍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상으로 일부 확장 및 축소 가능한 가요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11)에 체결된다.
상기 가요성 체결날개(231)는 삽입부(2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체결돌기(2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링 타입의 고정단턱(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20)를 인입구부(10)에 삽입하게 되면 고정단턱(12)까지 접근한 체결돌기(232)가 끼워지면서 단턱에 체결되고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10)에 커넥터(20)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10)로부터 커넥터(20)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2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액방지단턱(215)은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된 단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입구부(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경우, 전술한 체결돌기(232)가 고정단턱(12)에 체결되는 순간에 누액방지단턱(215)의 전단과 결합부(11)의 전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의 전단과 누액방지단턱(215)의 전단은 상호 수평면 형태로 맞닿을 수 있고, 블럭결합 등의 방식으로 보다 확실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중공은 삽입부(210)의 선단에서 내주면돌기(221)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221)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가 커넥터(20)의 중공에 결합되는 과정에 있어, 전술한 중공의 내경과 튜브의 외경이 상호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끼움결합되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사용중에 이탈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상기 튜브가 보다 안전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20)의 중공 내주면에서 중심축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내주면돌기(221)까지 튜브가 삽입되면 튜브의 전단이 내주면돌기(221)를 통과하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되, 내주면돌기(221)에 의하여 튜브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넥터(20)의 중공은 삽입부(210)를 향해, 특히 내주면돌기(221)까지는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튜브의 삽입시 보다 강력하게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이후부터는 직경이 다시 커지도록 이루어져 액상용기(P)에서 전달된 액체가 중앙플레이트(230) 주변에서 빠른 속도로 유입 및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인입구부
11 : 결합부
12 : 고정단턱
20 : 커넥터
210 : 삽입부
211 : 경사면
213 : 핀홀
215 : 누액방지단턱
220 : 몸체부
221 : 내주면돌기
230 : 중앙플레이트
231 : 가요성 체결날개
232 : 체결돌기
240 : 후단플레이트
P : 액상용기

Claims (7)

  1.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및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와 몸체부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가 커넥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의 결합부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로부터 커넥터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과,
    상기 커넥터의 가요성 체결날개에서 삽입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의 고정단턱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공은 삽입부의 선단에서 내주면돌기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PCT/KR2023/009469 2022-07-15 2023-07-0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WO20240147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63A KR102606788B1 (ko) 2022-07-15 2022-07-1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KR10-2022-0087563 2022-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774A1 true WO2024014774A1 (ko) 2024-01-18

Family

ID=8896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469 WO2024014774A1 (ko) 2022-07-15 2023-07-0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788B1 (ko)
WO (1) WO202401477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534A (en) * 2000-01-24 2000-10-31 Bracco Diagnostics, Inc. Vial access adapter
KR20090005954U (ko) * 2007-12-12 2009-06-17 두손정밀주식회사 식품 포장용기
KR20170113580A (ko) * 2015-01-26 2017-10-12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용기 캡을 제거하지 않고 용기에 딥 튜브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딥 튜브 삽입 부재
JP2018008510A (ja) * 2016-06-29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機構、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2514637A (ja) * 2018-12-21 2022-02-14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経腸栄養容器用キャップ、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44B1 (ko) 2010-06-21 2012-05-09 (주) 에이텍 파우치용 스파우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534A (en) * 2000-01-24 2000-10-31 Bracco Diagnostics, Inc. Vial access adapter
KR20090005954U (ko) * 2007-12-12 2009-06-17 두손정밀주식회사 식품 포장용기
KR20170113580A (ko) * 2015-01-26 2017-10-12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용기 캡을 제거하지 않고 용기에 딥 튜브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딥 튜브 삽입 부재
JP2018008510A (ja) * 2016-06-29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機構、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2514637A (ja) * 2018-12-21 2022-02-14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経腸栄養容器用キャップ、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88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8294B2 (en) Leak proof tube connection site
WO2011155707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1997021951A9 (en) Leak proof tube connection site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KR19990028687A (ko) 주입장치용 관통핀
WO2021118183A1 (ko) 검체용기
JP2002510996A (ja)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と流体システム及び連結方法
WO2024014774A1 (ko)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WO2019240358A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US4969565A (en) Independent universal connector for enteral nutrition tubes
RU2583831C2 (ru) Безопасн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вентиляцией
MXPA02005674A (es)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para soluciones medicas y un recipiente con dicho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WO2017014405A1 (ko) 카테터 연결용 멀티캡
KR100448954B1 (ko) 일체의라인세트를구비한비경구적유체송출백
WO2019124717A1 (ko) 회전 토출식 용기
WO2020226249A1 (ko) 스포이트를 구비한 혼합용기
WO2019117530A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WO2016085140A1 (ko) 지방 이식용기
WO2018034391A1 (ko) 체액배출용 튜브 고정구
WO2020222467A1 (ko) 숄더부 일체형 플립톱 캡을 구비하는 블리스터 포장용기
WO2021096073A1 (ko)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WO2017222163A1 (ko) 화장품 내용물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화장품 용기
WO2017171179A1 (ko) 수액세트의 수액튜브 연결구조
WO2020197050A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WO2021162140A1 (ko)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398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