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88B1 -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88B1
KR102606788B1 KR1020220087563A KR20220087563A KR102606788B1 KR 102606788 B1 KR102606788 B1 KR 102606788B1 KR 1020220087563 A KR1020220087563 A KR 1020220087563A KR 20220087563 A KR20220087563 A KR 20220087563A KR 102606788 B1 KR102606788 B1 KR 10260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let
hollow
liquid contain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이준희
이동규
임승호
Original Assignee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웰라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88B1/ko
Priority to PCT/KR2023/009469 priority patent/WO20240147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및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A connector that engages the pouch spout}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引入型)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액상용기는 액상의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상용기의 일측에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합부에 인입구부가 실링처리되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인입구부를 통해 내용물이 주입되거나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부는 액상용기의 접합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로 인입된 형태에 캡이 씌워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 중에서 액상형 음료가 담기는 액상용기의 경우, 대부분의 인입구부는 외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형 인입구부의 외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튜브 형태의 연결관 상측에 구성된 인입형 상단커넥터에 끼워져 상호 연결된 상태로 액상형 음료가 연결관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부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돌출된 인입구부를 인입된 커넥터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사용자가 액상형 음료가 담긴 액상용기를 들고 액상용기의 인입구부를 파지한 상태로 결합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성된 상단 커넥터에 단순 결합되는 형태에서는 외부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감염될 위험성이 존재하고, 단순 끼움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면 결합부위에서 액상형 음료가 누수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3544호(2012.05.09. 공고)
본 발명은 액상용기 접합부에 형성된 인입구부가 인입형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돌출형으로 이루어진 액상용기용 인입구부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및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는 액상 형태의 물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의료용 수액, 액상형 식품, 액상 음료 등을 포함하며, 상기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와 몸체부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가 커넥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의 결합부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로부터 커넥터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과, 상기 커넥터의 가요성 체결날개에서 삽입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의 고정단턱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중공은 삽입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용기의 인입구부의 내측 중공을 향해 돌출형 커넥터가 끼움결합되면서 액상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끼움결합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입구부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통해 누액을 방지하고 외부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체가 담긴 액상용기에 연결관을 통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형 인입구부에 돌출형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전후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연결관과 결합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인입형 캡에 돌출형 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 커넥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P)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10) 및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220)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용기(P)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구성으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시트 둘레를 따라 점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점착된 둘레 중 일측에 절개된 입구를 통해 액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절개된 입구에는 인입구부가 접착 형성되는데, 한 쌍의 시트 사이에 게재되어 부착 또는 열융착 방식 등으로 밀봉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를 통해 액체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액상용기(P)는 한 쌍의 시트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외형을 이루는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입구는 내부를 향해 인입되는 인입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시에 돌출형 커넥터가 입구를 향해 삽입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돌출형 인입구부와 달리,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커넥터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11)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커넥터를 끼우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220)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20)는 크게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튜브가 끼워지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는 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0)로부터 몸체부(220)까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 내부로 튜브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면 액상용기(P)로부터 인입구부(10), 커넥터(20)를 거쳐 튜브로 액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0)에 형성된 중공의 내경은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튜브가 중공에 삽입되는 경우 점차 끼움결합되면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삽입부(210)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1)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211)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2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210)는 전단을 날카롭게 형성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1)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211)을 가진 삽입부(210)는 인입구부(10)로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수평면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져 더 많은 액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211) 일측에서 중공과 연통 가능하고, 삽입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핀홀(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홀(213)은 인입구부(10)와 커넥터(20)가 상호 결합되면서 전달되는 액체 중에 배출되지 못하고 결합영역 주변에 남아있는 잔여물을 최대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삽입부(210)가 결합부(11)에 끼워지면서 삽입부(210) 외주면과 결합부(11) 내주면 틈에 잔여물이 남을 수 있고, 이렇게 남은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핀홀(213)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그 폭이 더 넓어지도록 하여 하부로 쌓이는 잔여물을 최대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삽입부(210)와 몸체부(220)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230)가 커넥터(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2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12)과, 상기 커넥터(20)의 가요성 체결날개(231)에서 삽입부(210)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10)의 고정단턱(12)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10)와 커넥터(20)를 체결하는 체결돌기(2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230)는 삽입부(210)와 몸체부(220)의 위치를 구분하면서 상기 체결날개(231)가 형성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220) 후단에 형성된 후단플레이트(240)와 함께 몸체부(220)의 위치를 구획한다. 상기 중앙플레이트(23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커넥터(2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날개(23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날개(231)는 최소한 한 쌍 이상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상으로 일부 확장 및 축소 가능한 가요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11)에 체결된다.
상기 가요성 체결날개(231)는 삽입부(2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체결돌기(2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외주면 둘레를 따라 링 타입의 고정단턱(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20)를 인입구부(10)에 삽입하게 되면 고정단턱(12)까지 접근한 체결돌기(232)가 끼워지면서 단턱에 체결되고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10)에 커넥터(20)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10)의 결합부(11)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10)로부터 커넥터(20)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2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액방지단턱(215)은 중앙플레이트(230)에서 삽입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된 단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입구부(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경우, 전술한 체결돌기(232)가 고정단턱(12)에 체결되는 순간에 누액방지단턱(215)의 전단과 결합부(11)의 전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의 전단과 누액방지단턱(215)의 전단은 상호 수평면 형태로 맞닿을 수 있고, 블럭결합 등의 방식으로 보다 확실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20)의 중공은 삽입부(210)의 선단에서 내주면돌기(221)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221)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가 커넥터(20)의 중공에 결합되는 과정에 있어, 전술한 중공의 내경과 튜브의 외경이 상호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끼움결합되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사용중에 이탈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상기 튜브가 보다 안전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20)의 중공 내주면에서 중심축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내주면돌기(221)까지 튜브가 삽입되면 튜브의 전단이 내주면돌기(221)를 통과하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되, 내주면돌기(221)에 의하여 튜브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넥터(20)의 중공은 삽입부(210)를 향해, 특히 내주면돌기(221)까지는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튜브의 삽입시 보다 강력하게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이후부터는 직경이 다시 커지도록 이루어져 액상용기(P)에서 전달된 액체가 중앙플레이트(230) 주변에서 빠른 속도로 유입 및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입구부
11 : 결합부
12 : 고정단턱
20 : 커넥터
210 : 삽입부
211 : 경사면
213 : 핀홀
215 : 누액방지단턱
220 : 몸체부
221 : 내주면돌기
230 : 중앙플레이트
231 : 가요성 체결날개
232 : 체결돌기
240 : 후단플레이트
P : 액상용기

Claims (7)

  1.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액상용기의 일측에서 절개된 입구에 접착 형성되고, 외부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인입형 인입구부;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전단에 형성되고, 액체가 전달되는 튜브가 삽입되도록 튜브의 외경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가 후단에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와 몸체부를 구획하는 중앙플레이트;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요성 체결날개;
    상기 인입구부의 결합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고정단턱; 및
    상기 커넥터의 가요성 체결날개에서 삽입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부의 고정단턱에 끼워지면서 인입구부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체결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 전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 일측에서 내부 중공에 연통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레이트에서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부에 커넥터가 체결되면서 인입구부의 결합부 전단과 맞닿아 인입구부로부터 커넥터까지 전달되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누액방지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과 끼움결합되면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주면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공은 삽입부의 선단에서 내주면돌기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상기 내주면돌기를 통과한 이후부터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 커넥터.
KR1020220087563A 2022-07-15 2022-07-1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KR102606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63A KR102606788B1 (ko) 2022-07-15 2022-07-1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PCT/KR2023/009469 WO2024014774A1 (ko) 2022-07-15 2023-07-0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563A KR102606788B1 (ko) 2022-07-15 2022-07-1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88B1 true KR102606788B1 (ko) 2023-11-29

Family

ID=8896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563A KR102606788B1 (ko) 2022-07-15 2022-07-15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788B1 (ko)
WO (1) WO202401477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534A (en) * 2000-01-24 2000-10-31 Bracco Diagnostics, Inc. Vial access adapter
KR20090005954U (ko) * 2007-12-12 2009-06-17 두손정밀주식회사 식품 포장용기
KR101143544B1 (ko) 2010-06-21 2012-05-09 (주) 에이텍 파우치용 스파우트
KR20170113580A (ko) * 2015-01-26 2017-10-12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용기 캡을 제거하지 않고 용기에 딥 튜브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딥 튜브 삽입 부재
JP2018008510A (ja) * 2016-06-29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機構、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2514637A (ja) * 2018-12-21 2022-02-14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経腸栄養容器用キャップ、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534A (en) * 2000-01-24 2000-10-31 Bracco Diagnostics, Inc. Vial access adapter
KR20090005954U (ko) * 2007-12-12 2009-06-17 두손정밀주식회사 식품 포장용기
KR101143544B1 (ko) 2010-06-21 2012-05-09 (주) 에이텍 파우치용 스파우트
KR20170113580A (ko) * 2015-01-26 2017-10-12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용기 캡을 제거하지 않고 용기에 딥 튜브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딥 튜브 삽입 부재
JP2018008510A (ja) * 2016-06-29 2018-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機構、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供給方法
JP2022514637A (ja) * 2018-12-21 2022-02-14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経腸栄養容器用キャップ、並びにその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774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2542T3 (es) Tapón de boca para recipiente de líquido
FI87173B (fi) Foerpackning foer lagring och utmatning av fluider.
RU2201296C2 (ru) Контейнер, содержащий насос
US4955493A (en) Collapsible expansible plastic hollow articles in a latchable configuration
ES2393902T3 (es) Envase para sorpresas
US6991121B1 (en) Disposable infant formula feeding pouch
WO2015002099A1 (ja) 容器
CN101247781B (zh) 具有空心针的容器
MXPA04005407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prevenir la salida inadvertida de un fluido de un recipiente para beber.
SK5602003A3 (en) Drip liquid dispenser
PL198329B1 (pl) Opakowanie
JP6083706B2 (ja) 容器及びシールバー
MXPA02005674A (es)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para soluciones medicas y un recipiente con dicho sistema de retiro e inyeccion.
WO2015002104A1 (ja) 容器
WO2015002101A1 (ja) 容器
KR102606788B1 (ko)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US6669013B1 (en) Disposable baby bottle
WO2015002105A1 (ja) 容器
KR101622611B1 (ko) 앰플용기 뚜껑
KR20010006221A (ko) 사용하고 버리는 음료 용기 및 그 꼭지
JP2949694B2 (ja) 食品容器
ES2774332T3 (es) Elemento de cierre
KR200443796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US20120097677A1 (en) Hermetic Container
JP5656259B2 (ja) 折取りスパウ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