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29107A1 -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29107A1
WO2023229107A1 PCT/KR2022/013442 KR2022013442W WO2023229107A1 WO 2023229107 A1 WO2023229107 A1 WO 2023229107A1 KR 2022013442 W KR2022013442 W KR 2022013442W WO 2023229107 A1 WO2023229107 A1 WO 20232291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loss
leaf extract
enzyme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4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연
장보윤
배진혜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2291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291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 natural product extract.
  • Hair loss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partial or complete absence of hair in areas of the body, including the head, where hair should be present. It refers to the absence of hair on most of the head. On average, there are 50,000 to 70,000 hairs on the scalp, and losing 50 to 70 hairs per day is normal because new hair grows as much as the number of hairs that fall out. However, if more than 100 hairs fall out per day, hair loss may be suspected.
  • the causes of hair loss have been variously reported to include genetic factors, male hormones, nutritional deficiencies, excessive stress, drug use, or autoimmune diseases, but no single model has been proposed for the mechanism of hair loss that encompasses all of these causes.
  • the hair cycle is controlled by signal transmission by various factors and their receptors.
  • dermal papilla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hair growth
  • dermal papilla cells contain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KGF/FGF7 ( Their number and size are controlled by being activated or inhibited by growth factors such as Keratinocyte Growth Factor.
  • the male hormone DHT (5 ⁇ -dihydrotestosterone) binds to the androgen receptor in dermal papilla cells and activates them. By suppressing the secretion of growth factors, the hair cycle returns to the catagen phase at an early stage, thereby promoting hair loss.
  • Finasteride a representative hair loss treatment approved by the FDA, inhibits 5-alpha reductase, which synthesizes DHT from the male hormone testosterone. Afterwards, the inhibited 5-alpha reductase cannot synthesize DHT, which reduces the concentration of DHT and inhibits the progression of hair loss.
  • finasteride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decreased libido, erectile dysfunction, decreased sperm count, and depression.
  • Other synthetic treatments such as minoxidil other than finasteride also cause side effects such as itching and irritation when applied to the scalp. There is.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composition that is excellent in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without side effects using natural produc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n enzyme-treated leaf extract.
  • the enzyme is Viscozyme consisting of arabanase, cellulase, beta-glucanase, hemicellulase and xylanase or Provided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pectinase.
  • the upper leaves are in a powder state, and the content of the enzyme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pper leave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thereby allowing dermal papilla cells to express growth factors related to hair growth promotion (VEGF, KGF/FGF7), thereby providing a composition that exhibits excellent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without side effects. there is.
  •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promotion
  • KGF/FGF7 growth factors related to hair growth promo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cosmetic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zyme treatment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under conditions without interferon-gamma treatment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under interferon-gamma treatment conditions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hair growth promo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by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that the extract obtained by enzymatically treating the upper leaves acts on dermal papilla cells and promotes the secretion of growth factors that activate the proliferation of dermal papilla cells, thereby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and thus came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n enzyme-treated leaf extract.
  • the upper leaves refer to mulberry leave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upper leaf powder to facilitate the reaction with the enzyme.
  • the enzyme is Viscozyme consisting of arabanase, cellulase, beta-glucanase, hemicellulase, and xylanase.
  • it may be pectinase, and preferably viscozyme and pectinase may be treated simultaneously.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leaf extract treated with the two enzymes simultaneously has a more excellent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promotion effect than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leaf extract treated alone, as well as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leaf extract without any enzyme treatment. Confirmed.
  • the content of the enzyme may be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pper leaves, 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enzyme reaction relative to the content, it is preferably 0.05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3 parts by weight. , more preferably 0.3 to 2 parts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0.5 to 1.5 parts by weight.
  •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the enzyme-treated leaf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r a cosmetic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s When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it may be in the form of commonly used creams, gels, ointments, skin emulsifiers, skin suspensions, transdermal delivery patches, drug-containing bandages, lotions, etc., and commonly used ingredients other than the above active ingredients
  • Bases such as white petroleum jelly, yellow petrolatum, lanolin, refined beeswax, cetanol,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hydrogenated oil, hydrocarbon gel, polyethylene glycol, liquid paraffin and squalane; Oleic acid, isopropyl myristate, glycerol triisooctanoate, crotamiton, diethyl sebacate, diisopropyl sebacate, diisopropyl adipate, hexyllaulate, fatty acids, fatty acid esters, vegetable oil, fatty acid alcohol and Solvents or stabilizers such as alcohol; Antioxidants such as tocophe
  •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pigments and fragrances, and carriers.
  •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such as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It may be formulated as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spra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when the formula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etc. may be used as carrier ingredients. You can.
  • the formulation when the formulation i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can be used.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liquid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and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tracant, etc. can be used.
  •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and fatty acid amide ether.
  • Sulfates, alkylamidobetaines,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etc. can be used.
  • the hydrolyzate obtained by adding Viscozyme to the leaf powder in an amount of 0.5 parts by weight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eaf powder was centrifuged at 6,000 rpm for 20 minutes to remove the residue, and then added 4 times the volume (v/v).
  • the extract was precipitated by adding 95% (v/v) ethanol and stirring for 24 hours.
  • the precipitate generated at this time was recovered by centrifuging at 7,000 rpm for 30 minutes, dissolved in a small amount of distilled water, and then dialyzed for 3 to 4 days using a dialysis tubing (MW cut-off 2,000). This was freeze-dried to obtain enzyme treated Morus alba L. leaves (ETML).
  • An enzyme-treated leaf extract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treated with pectinase instead of viscozyme.
  • An enzyme-treated leaf extract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viscozyme and pectinase were treated together at an amount of 0.5 parts by weight each.
  • a leaf extract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nzyme was not treated in Example 1.
  • Human dermal papilla cells were purchased from Abm Inc (Richmond, British Columbia, Canada) and used in DMEM (Dulbecco) containing 10% FBS (Fetal bovine serum), penicillin (100 U/ml), and streptomycin (100 ⁇ g/ml). 's Modified Eagle's Medium) was used as a culture medium and cultured in a 37°C, 5% CO 2 incubator.
  • the upper leaf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conditions in which interferon gamma (IFN- ⁇ ), a factor that induces the catagen phase of hair follicles, was not treated.
  • IFN- ⁇ interferon gamma
  • ETML was divided into groups treated with star (0, 1, 5, 10, 50, 100, 500 ⁇ g/ml) and ETML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 ng/ml (0, 1, 5). , 10, 50, 100, 500 ⁇ g/ml) were cultured for 24 hours.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each well was treated with 500 ⁇ g/ml ETML, the medium was removed after 24 hours, and then incubated with Trizol reagent (Life Technologies) , Carlsbad, CA, USA) to extract mRNA, synthesize cDNA, and use the synthesized cDNA as a template for real-time PCR using FAST qPCR kit Master Mix (2 ⁇ ) (Bio-Rad, Hercules, CA, USA). The entire process was performed.
  •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KGF/FGF7 the gene for androgen receptor
  • AR the receptor for DHT
  • VEGF Gene Forward primer order identification number Gene Reverse primer order identification number Gene VEGF CCCACTGAGGAGTCCAACAT One VEGF AAATGCTTTCTCCGCTCTGA 2 KGF/FGF7 CTCCAGAGCAAATGGCTACAAA 3 KGF/FGF7 GTCTTCTCACTCTTATATCCCCTCCTT 4 AR TACCAGCTCACCAAGCTCCT 5 AR GCTTCACTGGGTGTGGAAAT 6 GAPDH GAAGGTGAGGTCGGAGTCAA 7 GAPDH GCTCCTGGAAGATGGTGATG 8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zyme treatment under conditions without treatment with IFN- ⁇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under conditions without interferon-gamma treatment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under interferon-gamma treatment conditions.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hair growth promo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by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in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enzyme-treated upper leaf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by promoting the secretion of growth factors such as VEGF and KGF/FGF7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thereby promoting hair growth promotion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it does not increase the expression of AR, which affects the hair loss process, and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even under treatment with IFN- ⁇ assuming hair loss, so it is confirmed to have an anti-hair loss effect.
  • growth factors such as VEGF and KGF/FGF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활성화하는 성장인자들의 분비를 촉진함을 밝히고, 이러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2년 05월 23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62910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탈모란 머리를 포함한 신체에서 모발이 있어야 할 부위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 머리에 모발이 없을 때를 의미한다. 두피에는 평균적으로 5만 내지 7만 개의 모발이 존재하고, 하루에 50 내지 70 개의 모발이 빠지는 것은 정상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빠지는 모발의 수만큼 새롭게 자라는 모발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넘어서 하루에 100개 이상의 모발이 빠진다면 탈모가 의심된다고 볼 수 있다.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남성 호르몬, 영양 결핍, 과도한 스트레스, 약물 사용 또는 자가 면역 질환 등으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이 모든 원인들을 아우르는 탈모의 기전에 관한 단일한 모델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탈모 기전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정립된 것은 여러 인자들과 그들의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에 의하여 모발 주기가 조절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모발 성장 조절에 있어 모유두 세포의 수 및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모유두 세포는 FGF(Fibroblast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KGF/FGF7(Keratinocyte Growth Factor) 등의 성장인자들에 의해 활성화 또는 억제되어 그 수와 크기가 조절되는데, 남성 호르몬인 DHT(5α-dihydrotestosterone)는 모유두 세포에서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에 결합하여 모유두 세포를 활성화하는 성장인자의 분비를 억제하여 모발 주기를 이른 시기에 퇴행기로 돌려 탈모가 진행되도록 한다.
FDA의 승인을 받은 탈모 치료제 중 대표격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DHT를 합성하는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한다. 이후, 억제된 5-알파 환원효소는 DHT를 합성하지 못해 DHT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탈모의 진행은 억제된다. 그러나 피나스테리드는 성욕감퇴, 발기부전, 정자 수 감소, 우울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피나스테리드 외의 미녹시딜(minoxidil)과 같은 다른 합성 치료제의 경우도 두피에 처리 시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있다.
합성 치료제의 부작용을 갖지 않으면서도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선행문헌(공개 특허 제10-2013-0033623호)과 같이 보고되고 있으나, 다른 특별한 처리 없이 열수 추출 방식에 의하고 있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한 성분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고, 복합 생약 추출물을 얻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서로 다른 여러 성분들이 신호 전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소는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및 자일레나제(xylanase)로 이루어진 비스코자임(Viscozyme) 또는 펙티나제(Pectin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엽은 분말 상태이고, 상기 효소의 함량은 상기 상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모유두 세포가 모발 성장 촉진 관련 성장인자(VEGF, KGF/FGF7)를 발현하도록 하여 부작용 없이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효소 처리 유무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인터페론-감마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인터페론-감마를 처리한 조건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에 의한 인간 모유두 세포의 모발 성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엽을 효소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에 작용하여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활성화하는 성장인자의 분비를 촉진시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엽은 뽕나무 잎을 말하며, 상기 효소와의 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엽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는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및 자일레나제(xylanase)로 이루어진 비스코자임(Viscozyme) 또는 펙티나제(Pectinas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코자임과 펙티나제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두 효소를 동시에 처리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효소를 전혀 처리하지 않은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물론, 단독 처리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가 더욱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의 함량은 상기 상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함유량 대비 효소 반응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효소 처리 후 상기 상엽의 추출 과정에 있어서는 당 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적절히 채택할 수 있고, 따라서 추출시간, 용매, 온도 등의 조건에 있어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다만, 추출 용매의 경우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그 목적에 따라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형태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 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유효성분 이외의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백색와셀린(와셀린), 황색와셀린, 라놀린, 정제 밀랍, 세타놀,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수소첨가유, 탄화수소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 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헥실라울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식물성유, 지방산 알콜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또는 안정화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 드록시아니졸과 같은 항산화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히알 루로네이트와 같은 연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증점제; 안정화제; 보존제; 흡착 촉진제; 및 기타 적당한 충진제 등의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상엽 분말에 비스코자임(Viscozyme)을 상엽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5 중량부 함량으로 첨가하여 반응시켜 얻은 가수분해물을 6,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여기에 4배(v/v) 부피의 95 %(v/v) 에탄올을 가하여 24시간 교반하면서 추출물을 침전시켰다. 이때 발생한 침전물에 대해 7,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고, 이를 소량의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투석 튜브(dialysis tubing, MW cut-off 2,000)를 이용하여 3 내지 4일간 투석을 실시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enzyme treated Morus alba L. leaves; ETML)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비스코자임(Viscozyme) 대신 펙티나제(Pectinase)를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비스코자임과 펙티나제를 각각 0.5 중량부 함량으로 함께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엽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인간 모유두 세포(hDPCs: human dermal papilla cells)의 배양
1) 공통 조건
인간 모유두 세포는 Abm Inc(Richmond, British Columbia,Canada)에서 구입하여 사용했고, 10 % FBS(Fetal bovine serum), penicillin(100 U/㎖), streptomycin(100 ㎍/㎖)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배양액으로 사용하여 37℃, 5 %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 효소 처리에 따른 배양 조건
효소 처리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공통 조건으로 4개의 배양 용기를 준비하고, 각 배양 용기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중복되지 않도록 첨가하였고, 배양액 내 추출물의 농도는 100 ㎍/㎖로 동일하게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3)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배양 조건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낭의 퇴행기를 유도하는 인자인 인터페론 감마(IFN-γ)가 처리되지 않은 조건에서 상엽 추출물을 농도별(0, 1, 5, 10, 50, 100, 500 ㎍/㎖)로 처리한 그룹과, IFN-γ가 100 ng/㎖의 농도로 처리된 조건에서 ETML을 농도별(0, 1, 5, 10, 50, 100, 500 ㎍/㎖)로 처리한 그룹을 24시간 배양하였다.
(2) 세포 증식 분석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TT(0.5 mg/㎖)를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였다. 실온에서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하기 위해 DMSO(Dimethyl Sulfoxide)를 처리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
인간 모유두 세포를 1×105 cells/well의 농도로 6-well plate에 24시간 배양한 후, 각 well에 ETML을 500 ㎍/㎖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Trizol reagent(Life Technologies, Carlsbad,CA, USA)을 이용해 mRNA를 추출하고 cDNA 합성 및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FAST qPCR kit Master Mix(2×)(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Real-time PCR의 전 과정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1 및 첨부한 서열목록전자파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장인자 2종(VEGF, KGF/FGF7)의 유전자, DHT의 수용체로 알려진 androgen receptor(AR)의 유전자 및 house keeping gene으로 알려진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와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였고, PCR의 유효성은 melting curve analysis로 검증하였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은 GAPDH의 발현량으로 표준화하여 분석하였다.
Gene Forward primer 서열
식별번호
Gene Reverse primer 서열
식별번호
VEGF CCCACTGAGGAGTCCAACAT 1 VEGF AAATGCTTTCTCCGCTCTGA 2
KGF/FGF7 CTCCAGAGCAAATGGCTACAAA 3 KGF/FGF7 GTCTTCTCACTCTTATATCCCCTCCTT 4
AR TACCAGCTCACCAAGCTCCT 5 AR GCTTCACTGGGTGTGGAAAT 6
GAPDH GAAGGTGAGGTCGGAGTCAA 7 GAPDH GCTCCTGGAAGATGGTGATG 8
(4) 통계 처리
실험 결과의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로 Student's t-test 방법을 통해 p 값을 측정하고 p < 0.05 인 경우에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유의수준은 다음과 같다.
* : p < 0.05,
** : p < 0.01,
*** : p < 0.001
실험결과
(1)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IFN-γ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 효소 처리 유무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효소 처리되지 않은 추출물(UN, 비교예)에 비해 비스코자임 단독(Viscozyme, 실시예 1) 또는 펙티나제 단독(Pectinase, 실시예 2) 처리된 추출물에서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보다 촉진되고, 특히, 비스코자임과 펙티나제가 함께 처리된 상엽 추출물(Viscozyme + Pectinase, 실시예 3)에서는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촉진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인터페론-감마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인터페론-감마를 처리한 조건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성장기 모낭을 퇴행기로 유도하는 IFN-γ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과 처리한 조건에서 모발의 생성과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ETML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 IFN-γ는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도 2b, CON 참조), 효소 처리된 상엽(ETML)은 IFN-γ을 처리하지 않은 조건과 처리한 조건 모두에서 ETM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인간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에 의한 인간 모유두 세포의 모발 성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TML을 처리한 경우 ETML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UN)보다 유의적으로 VEGF와 KGF/FGF7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으나, AR의 mRNA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 모유두 세포에서 VEGF 및 KGF/FGF7와 같은 성장인자들의 분비를 촉진하여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고, 탈모 진행에 영향을 주는 AR의 발현을 증가시키지 않고, 탈모를 상정한 IFN-γ 처리 하에도 인간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탈모 방지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아라바나제(arabanase), 셀룰라제(cellulase), 베타-글루카나제(beta-glucan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및 자일레나제(xylanase)로 이루어진 비스코자임(Viscozyme) 또는 펙티나제(Pectin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엽은 분말 상태이고, 상기 효소의 함량은 상기 상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CT/KR2022/013442 2022-05-23 2022-09-07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22910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910A KR20230163163A (ko) 2022-05-23 2022-05-23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22-0062910 2022-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107A1 true WO2023229107A1 (ko) 2023-11-30

Family

ID=8891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442 WO2023229107A1 (ko) 2022-05-23 2022-09-07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3163A (ko)
WO (1) WO202322910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24A (ko) * 2011-09-27 2013-04-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762796B1 (ko) * 2015-12-02 2017-07-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180031486A (ko)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얼라셀바이오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136505B1 (ko) * 2020-02-11 2020-07-22 김성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24A (ko) * 2011-09-27 2013-04-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762796B1 (ko) * 2015-12-02 2017-07-3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180031486A (ko)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얼라셀바이오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136505B1 (ko) * 2020-02-11 2020-07-22 김성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OVE: "Hair loss, you need to know the types first 'baldness' block", NAVER BLOG, NAVER, KOREA, Korea, XP00955082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blog.naver.com/charns77/22095186508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163A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22974B (zh) 全能干细胞的诱导方法、及用该方法制备的全能干细胞
WO2017135556A1 (ko) Gdf11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01076316B (zh) 用于促进纤蛋白-5产生和/或提高纤蛋白-5活性的组合物和方法
WO2019143055A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WO2023229107A1 (ko)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4085458A1 (ko) 매스틱검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7057910A1 (ko) 소야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및/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091295A1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1605678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102287A (ko) 발모 촉진용 가르시니아 망고스타나 추출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15882A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1136561A2 (ko) 세로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561A1 (ko)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WO2019225891A1 (ko) 아이리린 b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147604B1 (ko) 소듐 서팩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111297A1 (ko)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30422A9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2255810A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WO2018030560A1 (ko) 디옥시콜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32970A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3022473A1 (ko)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159642A1 (ko) 프소랄리딘을 함유하는 발모 및/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39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