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05B1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05B1
KR102136505B1 KR1020200016465A KR20200016465A KR102136505B1 KR 102136505 B1 KR102136505 B1 KR 102136505B1 KR 1020200016465 A KR1020200016465 A KR 1020200016465A KR 20200016465 A KR20200016465 A KR 20200016465A KR 102136505 B1 KR102136505 B1 KR 10213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wth
composition
solution
hair lo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천세희
Original Assignee
김성환
천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천세희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20001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클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1 용액; 및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제2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depilation and stimulating hair grow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두피 조직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모근세포의 재생을 도울 수 있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모주기를 가지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반복하며 생성, 성장 및 탈락하는데, 그 결과 전체 모발의 약 15%에 해당하는 모발이 휴지기와 퇴행기에 놓여 있어 일일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고 재생산된다.이러한 모발의 생장주기는 약 3∼6년을 사이클로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모발주기의 성장기(anagen)에 해당하는 기간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짧아져 퇴행기와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모발이 탈락하는 수가 평균치보다 많아지는 것을 말하며, 원인으로는 유전적 안드로겐 호르몬의 작용, 국소혈류 장애에 의한 영양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 자가면역질환, 내분비 장애가 있으나 현재까지 탈모에 관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며, 전술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이 자라는 모근의 뿌리부분은 모구(hair bulb)라고 하고, 그 아랫부분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모유두(papilla)라고 한다. 모유두는 모발의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모유두에는 혈관이나 신경이 있고, 바로 그 위에 있는 모모세포(keratinocyte cell)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모유두의 수는 태어날 때 결정되는데, 모유두가 없어지고 그 수가 감소할수록 모발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 생활습관의 변화, 사회 환경에 의한 과한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비정상적인 탈모를 유발하고 있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청년 및 장년과 여성 탈모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머리카락이나 털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정상보다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탈모는 모발이 휴지기 상태에서 빠지는 일반적인 탈모 현상(휴지기 탈모, telogen effluvium)과 비정상적인 탈모 현상인 성장기 탈모 현상(anagen effluvium)으로 구별할 수 있는 데,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후자를 일컫는다. 탈모증의 형태에는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 조기 탈모증, 여성 탈모증(androgen alopecia in women), 매독성 탈모증, 장년성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 등이 있다.
탈모 개선을 위해 개발된 가장 대표적인 탈모방지제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직접적인 탈모 원인 물질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을 생성하는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 제제의 경우는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투여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복용에 주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발모제 또한 FDA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은 제제이지만, 여성에게는 투여할 수 없고 피부자극, 가려움, 홍조, 탈모의 악화 등의 부작용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남녀 모두에게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가 있는 물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37174호는 어성초, 자소엽, 녹차, 검정콩, 검정깨, 옥수수, 율무, 수수, 뽕잎, 오디, 하수오, 민들레, 감초, 다시마 및 선인장을 사용한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136157호는 하수오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창포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복령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솔잎추출물, 거머리말추출물, 측백추출물, 복령추출물, 지황추출물과 각종 해조류와 곡물을 추출한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검은콩추출물, 참깨추출물 외, Minoxidil(모발 발육촉진제)콜라겐. 레몬추출물,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천연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37174호 한국등록특허 제2019-0136157호
본 발명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두피 조직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모근세포의 재생을 도울 수 있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클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1 용액; 및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제2 용액;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단백질 분해제에 의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1,2 헥산디올 또는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 용액 제조단계;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제2 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천연성분들의 혼합 분말에 단백질 분해제를 첨가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효소 불활성화 단계를 거친 혼합 추출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제는 브로멜라인, α-키토트립신, 알칼라아제, 프로테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단계는 구연산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두피 조직의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근 세포의 재생을 도와 탈모를 방지 및 억제할 수 있고, 발모 및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 장애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여성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용액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용액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이하, ‘발모제 조성물’이라고도 함)은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1 용액; 및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제2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두피 조직의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근 세포의 재생을 도와 탈모를 방지 및 억제할 수 있고, 발모 및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 장애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여성도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제1 용액과 제2 용액이 혼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용액은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로, 주로 단백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천연성분들은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및 피쉬콜라겐으로 이루어진 제1군,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및 율무로 이루어진 제2군,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제3군으로 편의상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군에 속하는 천연성분들은 각각 5 내지 2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군에 속하는 아마란스씨는 각종 영양소가 풍부한 슈퍼 곡물로 알려진 아마란스(Amaranth)의 씨앗으로, 아마란스는 다른 곡류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슘, 칼륨 등의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마란스씨에는 스쿠알렌 성분과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혈액을 맑게하고 보습 효과와 항산화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마란스씨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음으로써 모낭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아마란스씨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군에 속하는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으로, 암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가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아 두피 및 모근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차가버섯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군에 속하는 잎새버섯은 은행나무잎처럼 생긴 갓들이 여러겹 겹쳐져 자실체 다발을 이루고 색은 흑색, 흑갈색, 회갈색, 또는 백색을 가질 수 있다. 느타리버섯과 갓 모양이 비슷하나, 잎새버섯은 덩어리로 자생하는 특징이 있다. 잎새버섯은 면역력 개선, 혈압 강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잎새버섯은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아 두피 및 모근세포의 면역 기능을 향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잎새버섯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군에 속하는 마카(학명: Lepidium meyenii)는 페루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인 배추과 두해살이 풀이다. 마카는 다른 천연성분들 처럼 분말가루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트륨을 배출시켜 주는 칼륨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카는 이외 비타민, 칼슘, 미네랄, 올레산, 및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두피에 영양 공급을 할 수 있다. 마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군에 속하는 피쉬콜라겐은 저분자콜라겐으로 흡수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피쉬콜라겐은 두피 조직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피쉬콜라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군에 속하는 천연성분들은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는 각각 3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야콘은 고구마와 매우 닮았으나 고구마와 달리 전분이 거의 없고, 섬유질이 풍부한 근채류이다. 야콘은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고, 혈액 내의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야콘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3군은 천연성분들은 각각 1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군에 속하는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가 각각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천연성분들이 함량비가 작아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제3군에 속하는 퀴노아는 쌀보다 작은 좁쌀 크기의 원형 모양에 흰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등 다양한 색상이 있으며, 쌀의 2배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퀴노아는 미국 농무부(USDA)에 등재된 2000여 가지 식품 중 베타인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베타인은 호모시스테인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퀴노아 추출물에 의하여 두피 조직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3군에 속하는 핑거루트(fingerroot)는 인도네이사 등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이나 아열대 지역의 습지에서 자생하는 생강과의 뿌리작물이다. 핑거루트는 비타민C, 칼륨, 철과 판두라틴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판두라틴은 염증 유발을 억제해 염증성 질환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성분으로 두피 조직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용액은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탄올 및 정제수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콘, 헥실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용액에서 보습제의 함량은 1 내지 5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2 헥산디올,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80)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둘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 2 헥산디올은 제2 용액에서 0.5 내지 2 중량부, 폴리솔베이트80은 0.1 내지 1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페퍼민트 오일은 제2 용액에서 0.05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페파민트(Mentha piperita)는 서양박하라고도 불리우며,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고 수요도 많은 허브이다. 페파민트의 멘톨 성분은 피부 가려움증과 피부 염증에 효과적이며 해열작용으로 인해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공을 청결히 하고 수렴작용이 뛰어나 몸에 난 여드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페파민트 오일을 사용하여 두피를 청결히 하여 두피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탈모 방지 및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돌아세트산(indole acetic acid)는 제2 용액에서 1 내지 3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인돌아세트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에탄올은 1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정제수는 70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들의 비율은 제2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용액은 2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특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 용액 제조단계;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제2 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천연성분들의 종류 및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천연성분들은 분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분말 형태의 천연성분들을 혼합하고, 단백질 분해제를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분말 형태의 천연성분들은 혼합된 후 균질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추출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균질화 과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0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균질화 과정이후 단백질 용출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용출 공정은 상기 균질화된 천연성분들을 증류수에 희석한 후 상온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용출 공정을 완료한 후 추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출 공정에 의하여 천연성분들에서 추출되는 유용한 성분의 종류 및 추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추출 공정은 항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항온 온도는 35 내지 3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백질 분해제는 브로멜라인, α-키토트립신, 알칼라아제, 프로테아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4종의 단백질 분해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효소 불활성화 단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85 내지 88℃에서 5 내지 10분간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효소 불활성화 단계를 거친 혼합 추출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pH는 7로 조절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연산으로 pH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여과된 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40μm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이즈가 큰 덩어리들이 걸러진 액상 여과물을 제1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용액 제조단계는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탄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혼합 비율 및 구체적인 특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성분을 혼합한 후 68 내지 72℃의 온도로 가온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어진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용액은 2 내지 4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의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두피에서 발모 조성물의 유지력 및 지속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은 상온에서 액상일 수 있으며, 이는 크림, 젤, 연고, 로션제,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정의 제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담체 성분, 용매화제, 유탁화제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헤어 샴푸, 헤어 무스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제1 용액 제조
아마란스씨가루, 차가버섯분말가루, 잎새버섯가루, 마카가루, 피쉬콜라겐분말가루 홍삼가루, 미강가루, 검정콩분말가루, 야콘분말가루, 율무가루, 퀴노아가루, 귀리가루, 핑거루트뿌리가루, 모링가분말가루, 뽕잎가루, 비타민나무잎가루, 녹차가루, 감태가루, 크로렐라분말가루, 알로에분말가루를 10:10:10:10:10:5:5:5:5:5:2.5:2.5:2.5:2.5:2.5:2.5:2.5:2.5:2.5:2.5(%)의 중량비로 호모게나아제를 이용하여 30분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복합 가루 10%를 멸균 증류수에 희석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그 후 브로멜라인(B-4882, 5%), α-키토트립신(C-4129, 2%), 알칼라아제(A30079, 1%), 프로테아제(P5147, 1%)를 섞은 후 37℃ 항온 수조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시킨 액상의 여과물을 87℃에서 5분간 효소를 불활성시킨다. 그 후 구연산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였다. 그 후에 액상의 여과물을 40μm filter로 이용하여 통과시켜 사이즈가 큰 덩어리들을 걸러내고, 통과한 단백질 액상 여과물을 제1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도 1은 단백질 액상 여과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제조예: 제2 용액 제조
글리세린 3 중량%, 1,2 헥산디올 1 중량%, 에탄올 3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0.2 중량%, 페퍼민트오일 0.1중량%, 인돌아세틱에시드 3중량%, 정제수 89.7 중량%를 혼합하고 70℃로 가온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였고, 도 2는 이를 촬영한 사진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발모제를 제조하였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발모제를 촬영한 사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제1 용액 2 5 10 0
제2 용액 100 100 100 100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
단백질 분해제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기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발모제를 제조하되, 제1 용액에 사용되는 단백질 분해제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와 같이 하여 발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2
제1 용액 브로멜라인 5 - - - -
α-키토트립신 - 5 - - -
알칼라아제 - - 5 - -
프로테아제 - - - 5 -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발모제를 탈모가 심한 성인 남성(각 그룹당 10명)을 대상으로 아침과 저녁으로 머리를 감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두피에 직접 도포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10일 지난 후 발모의 증감률을 고해상도 디지털 접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및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발모제 사용 10일이 지난 후 발모된 모발의 개수를 측정하였고, 하기 표 3의 평가방법으로 점수화하였다.
점수 발모량
0 변화없음
1 1~10%미만 증가
3 10%이상~20%미만 증가
5 20%이상~30%미만 증가
7 30% 이상 증가
도 4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발모제를 사용한 실험자의 사용 전과 사용 후 10일이 지난 후에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은 발모량이 전혀 증가하지 않아 제2 용액만으로는 발모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모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1점 이상의 발모점수를 받아 발모량이 증가할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용액이 5중량부 이상 혼합된 발모제를 사용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발모점수가 5점이상으로 발모량이 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제2 용액과 비교하여, 제1 용액이 5 내지 10 중량부인 경우 보다 발모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제1 용액의 함량 비율을 높이는 경우 발모 효과가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발모제 사용 10일 후에 발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모제 사용 90일 후 발모 효과를 추가로 확인해 본 결과 발모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의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 2는 단백질 분해제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발모량이 전혀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단백질 분해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발모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은 1종의 단백질 분해제를 사용한 것으로, 실시예 4 및 실시예 5가 3점 이상을 받아, 브로멜라인과 α-키토트립신이 알칼라아제 또는 프로테아제 보다는 발모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2는 4종의 단백질 분해제를 모두 사용한 것으로 5점 이상을 받아 4종의 단백질 분해제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발모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클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에 브로멜라인, α-키토트립신, 알칼라아제, 및 프로테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제를 첨가하여 추출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1 용액; 및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제2 용액;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1,2 헥산디올 또는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80)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아마란스씨, 차가버섯, 잎새버섯, 마카, 피쉬콜라겐, 홍삼, 미강, 검정콩, 야콘, 율무, 퀴노아, 귀리, 핑거루트, 모링가, 뽕잎, 비타민나무잎, 녹차, 감태, 크로렐라, 및 알로에로 이루어진 천연성분들에 브로멜라인, α-키토트립신, 알칼라아제, 및 프로테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제를 첨가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 용액 제조단계;
    보습제, 계면활성제, 페퍼민트 오일, 인돌아세트산, 에탈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제2 용액 제조단계; 및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 제조단계는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효소 불활성화 단계를 거친 혼합 추출물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단계는 구연산을 첨가하여 수행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16465A 2020-02-11 2020-02-1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65A KR102136505B1 (ko) 2020-02-11 2020-02-1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65A KR102136505B1 (ko) 2020-02-11 2020-02-1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05B1 true KR102136505B1 (ko) 2020-07-22

Family

ID=7189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65A KR102136505B1 (ko) 2020-02-11 2020-02-1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359A (ko) * 2021-10-27 2023-05-04 이원민 두피 케어용 그린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229107A1 (ko) * 2022-05-23 2023-11-3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5080668A (ja) * 2003-09-04 2005-03-31 Kraft Foods Holdings Inc 優れた機能特性を有する可溶性大豆タンパク質
KR20110131498A (ko) * 2010-05-31 2011-12-07 김선일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128299B1 (ko) * 2012-01-05 2012-03-23 고은주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4250A (ko) * 2009-12-15 2013-01-09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육모 및/또는 발모 조성물
KR20150005928A (ko) * 2012-03-22 2015-01-15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점막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KR20170126600A (ko) * 2016-05-10 2017-11-20 (주)화니핀코리아 초정탄산수를 함유한 모발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74A (ko) 2017-06-16 2018-12-27 김경일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90136157A (ko) 2018-05-30 2019-12-10 임경도 탈모 방지 및 천연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5080668A (ja) * 2003-09-04 2005-03-31 Kraft Foods Holdings Inc 優れた機能特性を有する可溶性大豆タンパク質
KR20130004250A (ko) * 2009-12-15 2013-01-09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육모 및/또는 발모 조성물
KR20110131498A (ko) * 2010-05-31 2011-12-07 김선일 패각 또는 패산호로부터 추출한 알카리용액에 은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와 이를 포함하여 조성된 조성물.
KR101128299B1 (ko) * 2012-01-05 2012-03-23 고은주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5928A (ko) * 2012-03-22 2015-01-15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점막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KR20170126600A (ko) * 2016-05-10 2017-11-20 (주)화니핀코리아 초정탄산수를 함유한 모발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74A (ko) 2017-06-16 2018-12-27 김경일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190136157A (ko) 2018-05-30 2019-12-10 임경도 탈모 방지 및 천연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359A (ko) * 2021-10-27 2023-05-04 이원민 두피 케어용 그린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8898B1 (ko) 2021-10-27 2023-10-12 이원민 두피 케어용 그린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229107A1 (ko) * 2022-05-23 2023-11-3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효소 처리된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94446B1 (ko)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CN106074306A (zh) 一种用于皮肤和头发养护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136505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8858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KR10231198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7456B1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5842B1 (ko) 한약재 em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EP3131565A2 (de) Präparat aus hafermehl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
KR20070067542A (ko) 팥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리밍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4488B1 (ko) 홍삼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JP3208531B2 (ja) ぶどう及び人参を褐色化した組成物を含む化粧品
KR20160128245A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652243B1 (ko) 샴푸조성물
KR102174309B1 (ko) 참나무겨우살이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5645B1 (ko) 천연식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1087440A (ja) 養毛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