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688A1 -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688A1
WO2023182688A1 PCT/KR2023/002705 KR2023002705W WO2023182688A1 WO 2023182688 A1 WO2023182688 A1 WO 2023182688A1 KR 2023002705 W KR2023002705 W KR 2023002705W WO 2023182688 A1 WO2023182688 A1 WO 20231826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nucleating agent
polaractide
paragraph
polylac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7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유진
조정훈
성민창
오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3775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32160A1/en
Priority to CN202380012038.8A priority patent/CN117460771A/zh
Priority to CA3220818A priority patent/CA3220818A1/en
Priority to AU2023240753A priority patent/AU2023240753A1/en
Publication of WO20231826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688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4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crystallin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Polylactide (or polylactic acid; PLA) resin is manufactured based on bio-based materials, and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emits less carbon dioxide, a global warming ga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decomposed at a specific temperature and in composting facilities. am. In addition, i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materials that can replace existing crude oil-based resins as a response to waste plastic use and carbon emission regulations.
  • polylactide resin has the advantage of being cheaper than other biodegradable polymers and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characteristics.
  • polylactide resin has a rigid polymer main chain repeated in short units, has a slow crystallization rate due to slow chain mobility, has a long molding cycle, and thus has a problem of low produ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heat resistance by introducing substances such as nucleating agents.
  • the materials used as the nucleating agent are mainly inorganic nucleating agents, and materials such as talc, mica, and nanoclay are used, and some of them can be added during PLA molding to improve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can be done. However, if these nucleating agents are added in excessive amounts,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ed resin specific gravity and decreased transparency. Meanwhile, organic nucleating agents such as LAK 301 (aromatic sulfonate drivate), sodium benzoate, N-aminophthalimide, phthalhydrazide, and cadmium phenylmalonate are used as substances to improve crystallinity and transparency. However, these materials are not bio-based and have dispersion issues with PLA resin.
  • LAK 301 aromatic sulfonate drivate
  • sodium benzoate sodium benzoate
  • N-aminophthalimide N-aminophthalimide
  • phthalhydrazide phthalhydraz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crystallinity by using a combination of specific nucleating agen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 polylactide resin polylactide resin; first nucleating agent; and a polaract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second nucleating agent, heat-treated at 25 to 120° C. for 1 to 30 minutes,
  •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uracil or orotic acid
  •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a compound containing a lactide oligomer structure
  • polylactid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o encompass a homo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the following repeating units.
  • the polylactide resin may be manufactured by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repeating unit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a lactide monomer, and the polymer after the ring-opening polymerization and the forming process of the repeating unit are completed is called the “polylactide resin.” It can be referred to as ".
  • lactide monomer can be defined as follows. Typically, lactide can be divided into L-lactide made of L-lactic acid, D-lactide made of D-lactic acid, and mesolactide made of one L-form and one D-form. Additionally, a 50:50 mixture of L-lactide and D-lactide is called D,L-lactide or rac-lactide. Among these lactides, it is known that if polymerization is performed using only L-lactide or D-lactide with high optical purity, L- or D-polylactide (PLLA or PDLA) with very high stereoregularity can be obtained.
  • L- or D-polylactide PLLA or PDLA
  • Lactide is known to have a faster crystallization rate and higher crystallization rate than polylactide, which has low optical purity.
  • lactide monomer is defined to include all forms of lactid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rm of lacti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lactide resin formed therefrom.
  • the polylactide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or exampl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400,000.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lactide resin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nucleating agents together and heat-treating the composition at a specific temperature and for a specific time.
  •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30°C or higher, 40°C or higher, 50°C or higher, 60°C or higher, 70°C or higher, 80°C or higher, or 90°C or higher; It is 115°C or lower, or 110°C or lower. Most preferably,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90 to 110°C.
  • the heat treatment time is 2 minutes or more, or 3 minutes or more; 25 minutes or less, 20 minutes or less, 15 minutes or less, 10 minutes or less, or 5 minutes or less. Most preferably, the heat treatment time is 3 to 5 minutes.
  •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uracil or orotic acid.
  •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a bio-based organic material that can be added to polylactide resin to act as a nucleation site and increase the crystallization rate by causing crystal nucleation at a high temperature.
  •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effect of using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5%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impairing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lactide resin. More preferably, the first nucleating agent is 0.2% by weight or more, 0.3% by weight, 0.4% by weight, or 0.5% by weight or more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4.5 weight percent or less, 4.0 weight percent or less, or 3.5 weight percent or less.
  •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a nucleating agent containing an oligomeric structure of lactide monomer. Due to the oligomeric structure of the lactide monomer, it has high compatibility with polylactide resin and is added to polylactide resin to play a role similar to a plasticizer. Accordingly, the degree of crystallinity can be increased by forming a free volume within the polylactide resin and improving the chain mobility of the polylactide resin.
  •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L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n1 is an integer from 1 to 4,
  • n2 is an integer from 1 to 30,
  • R is a substitue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n the number of repeat units
  • R' is hydrogen or acetyl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nucleating agen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each lactide repeating unit.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1,000 to 50,000. More preferab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1,100 or more, 1,200 or more, 1,300 or more, 1,400 or more, or 1,500 or more; It is 40,000 or less, 30,000 or less, 20,000 or less, 10,000 or less, 9,000 or less, or 8,000 or less.
  •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of using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25%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impairing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lactide resin. More preferably, the second nucleating agent is 3.5 wt% or more, 4.0 wt% or more, or 4.5 w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24% by weight or less, 23% or less, 22% or less, or 21% or less by weight.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actid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step of producing the above-described polaractide resin composition (step 1), and the polaractide resin composition prepared in step 1 at a temperature of 25 to 120. It includes heat treatment at °C for 1 to 30 minutes (step 2). At this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of step 2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the polaractid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excellent crystallinity and thus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while maintaining the inherent properties of polaractide resin.
  • An oligomer was prepared using PEG-1000 (P10) as an initiator. Specifically, add Lactide:P10 to a 20 mL vial for a total of 4.5 g at a molar ratio of 16:1 (molar ratio), add Sn(Oct) 2 catalyst at 0.1 to 0.2 wt%, and add 4.5 g at 130°C. It was reacted for some time. After adjusting the temperature to 120°C, acetic anhydride (4 equivalents compared to the terminal OH group) was added, and the reaction proceeded for an additional 12 hours.
  • An oligomer was prepared using sorbitol (SB) as an initiator. Specifically, add Lactide:SB to a 20 mL vial for a total of 4.5 g at a molar ratio of 24:1, add Sn(Oct) 2 catalyst at 0.1 to 0.2 wt%, and then react 4 times at 130°C. It was reacted for some time. After vacuum drying and cooling to room temperature, a second nucleating agent was prepared, which was named SB-O-002,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shown in Tables 1 to 3 below.
  • the mixture was placed in a vacuum oven and dried at 85°C for 4 hours. This was placed in a convection oven and heat treated for the temperature and time shown in Tables 1 to 3 below to prepare a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nucleating agent, the second nucleating agent, and the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prepared above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 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Mw/Mn oligome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crystallinity analysis is performed during the first temperature increase. DSC was measured by heating to 250°C, which is above the melting temperature of PLA, at a heating rate of 10°C/min. W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he melting peak, ⁇ Hm, was confirmed, and the crystallin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핵제를 조합하고 열처리하여 제조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결정화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2년 3월 2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035554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들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락타이드(또는 폴리락트산; PLA) 수지는 바이오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제조 과정에서 지구 온난화 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고, 또한 특정 온도와 퇴비화 설비에 의해 분해되는 특징을 가지는 친환경 소재이다. 또한, 최근에는 폐플라스틱 사용 및 탄소 배출 규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기존의 원유 기반의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다른 생분해성 고분자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높은 인장강도와 모듈러스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rigid한 고분자 주쇄가 짧은 단위로 반복되며, 느린 chain 이동성으로 인해 결정화 속도가 느려 성형 싸이클이 길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핵제와 같은 물질을 도입하여 생산성과 내열성을 개선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핵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주로 무기계 핵제로서, 탈크(Talc), 마이카(Mica), 나노클레이(nanoclay)와 같은 물질이 사용되며, 이를 PLA 성형시 일부 첨가하여 내열성과 강도를 개선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핵제를 과량으로 첨가하면 수지 비중 증가와 투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결정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LAK 301(aromatic sulfonate drivate), sodium benzoate, N-aminophthalimide, phthalhydrazide, cadmium phenylmalonate 등과 같은 유기계 핵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은 바이오 기반의 물질이 아니며, PLA 수지와 분산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친환경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고, 동시에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바이오 기반의 유기계 핵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와 분산 문제가 적은 핵제를 도입하여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결정화도를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특정 핵제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락타이드 수지; 제1 핵제; 및 제2 핵제를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25 내지 120℃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열처리한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핵제는 유라실(uracil) 또는 오르트산(orotic acid)이고,
상기 제2 핵제는 락타이드 올리고머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폴리락타이드 수지"란 하기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1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락타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상기 반복 단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환 중합 및 상기 반복 단위의 형성 공정이 완료된 후의 중합체를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로 지칭할 수 있다.
이때, "락타이드 단량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통상 락타이드는 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L-락타이드, D-락트산으로 이루어진 D-락타이드, L-형태와 D-형태가 각각 하나씩으로 이루어진 meso락타이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L-락타이드 와 D-락타이드가 50:50으로 섞여있는 것을 D,L- 락타이드 또는 rac-락타이드라고 한다. 이들 락타이드 중 광학적 순도가 높은 L- 락타이드 또는 D-락타이드만을 이용해 중합을 진행하면 입체 규칙성이 매우 높은 L- 또는 D-폴리락타이드(PLLA 또는 PDLA)가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폴리락타이드는 광학적 순도가 낮은 폴리락타이드 대비 결정화 속도가 빠르고 결정화도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락타이드 단량체"라 함은 각 형태에 따른 락타이드의 특성 차이 및 이로부터 형성된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특성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400,000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에 상기 제1 핵제와 제2 핵제를 함께 사용하고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특정 온도 및 특정 시간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결정화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온도는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이고; 115℃ 이하, 또는 110℃ 이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온도는 90 내지 1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시간은 2분 이상, 또는 3분 이상이고; 25분 이하, 20분 이하, 15분 이하, 10분 이하, 또는 5분 이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처리 시간은 3분 내지 5분이다.
상기 제1 핵제는 유라실(uracil) 또는 오르트산(orotic acid)이다. 상기 제1 핵제는 바이오 기반의 유기계 물질로서, 폴리락타이드 수지에 첨가되어 nucleation site로 작용하여 높은 온도에서 결정핵 생성을 유발하여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핵제의 사용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락타이드 수지 고유의 물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또는 0.5 중량% 이상이고;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제2 핵제는 락타이드 단량체의 올리고머 구조를 포함하는 핵제로서, 이러한 락타이드 단량체의 올리고머 구조에 의하여 폴리락타이드 수지와 상용성이 높아 폴리락타이드 수지에 첨가되어 가소제와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폴리락타이드 수지 내에서 free volume을 형성하여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chain 이동성을 향상시켜 결정화도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핵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3
상기에서,
n1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n2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R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화학식 2]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4
n은 반복단위 수를 나타내고,
R'는 수소, 또는 아세틸이다.
상기 제2 핵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각 락타이드 반복단위 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핵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핵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100 이상, 1,200 이상, 1,300 이상, 1,400 이상, 또는 1,500 이상이고; 40,000 이하, 30,000 이하, 20,000 이하, 10,000 이하, 9,000 이하, 또는 8,00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2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 핵제의 사용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락타이드 수지 고유의 물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이고;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또는 21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25 내지 120℃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계 2의 열처리 온도와 시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도가 우수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폴라락타이드 수지 고유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현예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2 핵제(P10-A-oligomer)의 제조
PEG-1000(P10)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oligomer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0 mL vial에 Lactide:P10의 몰비가 16:1(몰비)로 총 4.5 g이 되도록 각각 넣어주고, Sn(Oct)2 촉매를 0.1 내지 0.2 wt%가 되도록 투입한 후 1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온도를 120℃로 조절한 후, acetic anhydride(말단기 OH기 대비 4당량)을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반응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진공 건조로 부산물일 acetic acid 및 잔류 acetic anhydride를 제거하여 말단기가 acetyl 기로 치환된 구조를 가지는 제2 핵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P10-A-002로 명명하였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은 이하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 제2 핵제(SB-oligomer 제조)
쏘르비톨(sorbitol; SB)을 개시제로 사용하여 oligomer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0 mL vial에 Lactide:SB의 몰비가 24:1 (몰비)로 총 4.5 g이 되도록 각각 넣어주고, Sn(Oct)2 촉매를 0.1 내지 0.2 wt%가 되도록 투입한 후 1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진공 건조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2 핵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SB-O-002으로 명명하였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은 이하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PLA pellet(NatureWorks 사의 4032D; 중량평균분자량 약 200,000) 65 g, 및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된 제1 핵제를 각 함량에 따라 혼합하였다. 이를 Haake mixer에 넣고 180℃에서 5분 동안 60 rpm으로 혼합하였다. 여기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제2 핵제를 각 함량에 따라 넣고 180℃에서 5분 동안 60 rpm으로 혼합하였다. 이때 하기 표 1 내지 3에서 제1 핵제 및 제2 핵제의 함량은 PLA 수지, 제1 핵제 및 제2 핵제의 총 함량 대비 wt%를 의미한다.
상기 혼합물을 진공 오븐에 넣고 8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를 convection oven에 넣고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된 온도 및 시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하여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한 제1 핵제, 제2 핵제 및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1) 중량평균분자량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장비를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Mn), 중량평균분자량(Mw)를 산출하고, oligomer 분자량 분포 (Mw/Mn)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 컬럼: PLgel Mixed E x 2
- 용매: THF
- 유속: 0.7 mL/min
- 시료 농도: 3.0 mg/mL
- 주입량: 100 μl
- 컬럼온도: 40℃
- Detector: Waters 2414 RID
- Standard: PS (폴리스티렌)
2)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Blenidng PLA 시료의 annealing 열 이력으로부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차 승온 시의 결정화도 분석을 진행한다. DSC는 10℃/min의 가열 속도로 PLA의 용융 온도 이상인 250℃까지 가열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승온 시 용융 피크인 ΔHm을 확인하였고 다음 식을 이용하여 결정화도 X를 계산하였다(100% crystalline PLA ΔHm = 93 J/g).
- 1st Run 결정화도 : (1st thermogram 내 흡열 peak의 면적, ΔHm) / (100% crystalline PLA ΔHm) * 100
항목 핵제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간(분) DSC, 1차 승온
제1 핵제 (wt%) 제2 핵제 (wt%) Tcc (℃) Tm (℃) Xc (%)
종류 Mw
비교예 1 - - - 25 30 111.8 169.4 5.0
비교예 2 90 30 113.3 169.7 4.2
비교예 3 110 30 - 168.9 33.6
비교예 4 D-sorbitol (1w%) - - 25 30 108.3 169.4 4.3
비교예 5 90 30 94.6 167.7 25.0
비교예 6 110 30 - 168.2 34.2
비교예 7 Uracil (1w%) - - 25 30 108.8 169.8 4.7
비교예 8 90 30 98.3 168.1 32.7
비교예 9 110 30 - 168.4 33.9
비교예 10 Orotic acid (1w%) - - 25 30 107.5 169.0 4.6
비교예 11 90 30 104.0 167.4 35.3
비교예 12 110 30 - 167.9 33.7
실시예 1 Uracil (1w%) SB-O-002 (3w%) 5,700 25 30 111.8 169.5 3.7
실시예 2 90 30 97.4 167.9 21.9
실시예 3 110 30 - 169.1 35.4
항목 핵제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간(분) DSC, 1차 승온
제1 핵제 (wt%) 제2 핵제 (wt%) Tcc (℃) Tm (℃) Xc (%)
종류 Mw
비교예 13 D-sorbitol (3w%) - - 25 30 106.1 168.4 9.8
비교예 14 90 30 96.5 168.0 32.5
비교예 15 110 30 - 167.9 35.2
비교예 16 Uracil (3w%) - - 25 30 111.1 169.9 3.1
비교예 17 90 30 98.9 168.6 24.4
비교예 18 110 30 - 169.2 33
비교예 19 Orotic acid (3w%) - - 25 30 - 169.9 35
비교예 20 90 30 96.0 168.3 32.4
비교예 21 110 30 - 168.3 34.5
실시예 4 Uracil (3w%) P10-A-002 (5w%) 6,000 25 30 101.1 167.9 11.7
실시예 5 90 30 - 168.0 37.5
실시예 6 110 30 - 167.8 36.6
실시예 7 Uracil (3w%) P10-A-002 (10w%) 6,000 25 30 90.8 167.6 37.1
실시예 8 90 30 - 163.7 168.5 42.2
실시예 9 110 30 - 167.7 39.1
실시예 10 Orotic acid (3w%) P10-A-002 (5w%) 6,000 25 30 - 169.1 38.5
실시예 11 90 30 - 169.0 37.4
실시예 12 110 30 - 167.3 34.8
실시예 13 Orotic acid (3w%) P10-A-002 (10w%) 6,000 25 30 - 168.6 40.4
실시예 14 90 30 - 163.6 39.8
실시예 15 110 30 - 167.8 39
항목 핵제 열처리 온도(℃) 열처리 시간(분) DSC, 1차 승온
제1 핵제 (wt%) 제2 핵제 (wt%) Tcc (℃) Tm (℃) Xc (%)
종류 Mw
비교예 22 - - - 110 30 - 168.9 33.6
비교예 23 1 119.1 167.2 1.9
비교예 24 3 113.5 169.3 4.2
비교예 25 5 102.8 169.1 31.1
실시예 16 Uracil (3w%) P10-A-002 (5w%) 6,000 110 30 - 167.8 36.6
실시예 17 1 96.6 167.3 18.4
실시예 18 3 - 167.5 34
실시예 19 5 - 167.4 36.7
실시예 20 Uracil (3w%) P10-A-002 (10w%) 6,000 110 30 - 167.7 39.1
실시예 21 1 - 168.5 38.9
실시예 22 3 - 164.2 43
실시예 23 5 - 165.1 42.3
실시예 24 Orotic acid (3w%) P10-A-002 (5w%) 6,000 110 30 - 167.3 34.8
실시예 25 1 - 167.3 33.6
실시예 26 3 - 169.2 39.7
실시예 27 5 - 168.6 39.2
실시예 28 Orotic acid (3w%) P10-A-002 (10w%) 6,000 110 30 - 167.8 39
실시예 29 1 - 164.4 44
실시예 30 3 - 168.5 41.5
실시예 31 5 - 163.7 43.7
상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1 핵제와 제2 핵제를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적은 함량으로도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폴리락타이드 수지; 제1 핵제; 및 제2 핵제를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25 내지 120℃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열처리한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핵제는 유라실(uracil) 또는 오르트산(orotic acid)이고,
    상기 제2 핵제는 락타이드 올리고머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가 90 내지 110℃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시간이 3분 내지 5분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400,000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5 중량%로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핵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L은 하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6
    상기에서,
    n1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n2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R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화학식 2]
    Figure PCTKR2023002705-appb-img-000007
    n은 반복단위 수를 나타내고,
    R'는 수소, 또는 아세틸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핵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인,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25 중량%로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핵제는 상기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5 내지 21 중량%로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12. 1) 폴리락타이드 수지; 제1 핵제; 및 제2 핵제를 혼합하여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을 80 내지 120℃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핵제는 유라실(uracil) 또는 오르트산(orotic acid)이고,
    상기 제2 핵제는 락타이드 올리고머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라락타이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PCT/KR2023/002705 2022-03-22 2023-02-27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826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775186.2A EP4332160A1 (en) 2022-03-22 2023-02-27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crystallin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202380012038.8A CN117460771A (zh) 2022-03-22 2023-02-27 结晶度优异的聚丙交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A3220818A CA3220818A1 (en) 2022-03-22 2023-02-27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crystallinity degre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U2023240753A AU2023240753A1 (en) 2022-03-22 2023-02-27 Polylactide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crystallinity degre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554 2022-03-22
KR1020220035554A KR20230137739A (ko) 2022-03-22 2022-03-22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688A1 true WO2023182688A1 (ko) 2023-09-28

Family

ID=8810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705 WO2023182688A1 (ko) 2022-03-22 2023-02-27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32160A1 (ko)
KR (1) KR20230137739A (ko)
CN (1) CN117460771A (ko)
AU (1) AU2023240753A1 (ko)
CA (1) CA3220818A1 (ko)
WO (1) WO20231826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372A (ja) * 2006-10-11 2008-05-22 Kao Corp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10031203A (ja) * 2008-07-31 2010-02-12 Kao Corp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080048A (ja) * 2009-09-10 2011-04-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16011388A (ja) *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リコー ポリ乳酸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372A (ja) * 2006-10-11 2008-05-22 Kao Corp 生分解性樹脂組成物
JP2010031203A (ja) * 2008-07-31 2010-02-12 Kao Corp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080048A (ja) * 2009-09-10 2011-04-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16011388A (ja) *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リコー ポリ乳酸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AN, X ET AL.: "Synthesis of multi-arm poly (L-lactide) and its modification on linear polylactide", POLYMER BULLETIN, vol. 74, 2017, pages 245 - 262, XP036126097, DOI: 10.1007/s00289-016-1713-4 *
QIU ZHAOBIN, LI ZHISHENG: "Effect of orotic acid on the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morphology of biodegradable poly (L-lactide) as an efficient nucleating agent",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50, no. 21, 2 November 2011 (2011-11-02), pages 12299 - 12303, XP093095504, ISSN: 0888-5885, DOI: 10.1021/ie201959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818A1 (en) 2023-09-28
EP4332160A1 (en) 2024-03-06
CN117460771A (zh) 2024-01-26
AU2023240753A1 (en) 2023-12-14
KR20230137739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3807A1 (ko) 폴리유산 수지 및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블렌드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WO2019203542A1 (ko) 무수당 알코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친환경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97147A1 (ko) 블록 공중합체 제조 방법
WO2023033562A1 (ko) 투명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WO2023182688A1 (ko)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82687A1 (ko) 결정화 반감기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82723A1 (ko)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86470A1 (ko) 신축성이 현저히 개선된 폴리락트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0288A1 (ko)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3182686A1 (ko) 결정화도가 우수한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97148A1 (ko)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50750A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WO2016093395A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로부터 얻어진 발포체
WO2023239090A1 (ko) 고도로 분지화된 폴리락타이드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75684A1 (ko)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4521435A (ja) 結晶化度に優れたポリラクチ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211078A1 (ko) 고도로 분지화된 폴리락타이드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050815A1 (ko) 폴리락테이트 입체이성질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880733A1 (en)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biomass-derived component
WO2023172085A1 (ko) 생분해성 필름
WO2022182160A1 (ko)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3027512A1 (ko)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82154A1 (ko) 투명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b-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2255615A1 (ko)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생분해성 퓨란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47618A2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751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751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220818

Country of ref document: C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80012038.8

Country of ref document: CN

Ref document number: 18565864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23240753

Country of ref document: AU

Ref document number: AU2023240753

Country of ref document: AU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751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127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759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24075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30227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3027145

Country of ref document: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