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8092A1 -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8092A1
WO2023158092A1 PCT/KR2022/021261 KR2022021261W WO2023158092A1 WO 2023158092 A1 WO2023158092 A1 WO 2023158092A1 KR 2022021261 W KR2022021261 W KR 2022021261W WO 2023158092 A1 WO2023158092 A1 WO 20231580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rombin
hemostasis
gastrointestinal tract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12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홍선
박준규
이재영
권경난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ublication of WO20231580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80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8Starch or degraded starch, e.g. amylose, amyl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2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Abstract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및 상처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및 상처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제1성분 및 제2성분이 트롬빈과 상승효과를 발생시켜, 종래 시판되는 지혈제들 보다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종래 시판되는 다른 지혈제에 트롬빈을 혼합한 경우 보다도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트롬빈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도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위장관 내로 효과적으로 투입되어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 및 상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특허출원은 2022년 02월 15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19745호, 2022년 03월 22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35054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위장관 출혈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서, 위궤양 환자의 약 50% 정도는 출혈성 위궤양으로 진단되고 있다. 위장관 출혈의 80% 이상은 상부위장관에서 발생하며, 상부위장관 출혈이란 식도, 위, 십이지장의 병변에서 출혈되어 피를 토하거나 혈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상부위장관 출혈은 내시경 검사를 통해 90% 이상 출혈 병소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위나 대장의 용종절제술, 조기 위암이나 대장암의 치료를 위한 점막절제술, 치료내시경 시술이 다양하게 시술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술 도중 또는 시술 후에 출혈이 되어 응급수술을 해야 하거나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위장관 출혈의 치료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지혈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적 지혈법으로서, 고장성 식염수, 에피네프린 혹은 알코올 등을 궤양에 직접 국소주사하는 방법, 전기열, 아르곤 혹은 레이저를 이용한 응고요법을 이용하는 방법, 클립을 이용한 지혈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치료법은 궤양이 노출된 혈관 주위에 액체 상의 약을 주입하여 혈관을 압박하거나 혈관 자체를 결찰함으로 써 출혈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처부위의 궤양은 점막이 탈락된 상태로 방치되게 된다. 따라서 내시경적 지혈을 시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혈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연구에 따르면 종래의 내시경적 지혈법을 사용하는 경우 70∼80%정도만이 지혈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일단 지혈이 된 후라도 3∼4일 후에 재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도 20∼25%에 이르고 있다.
재출혈이란 궤양 부위의 조직의 재생이 일어나 궤양을 치료하기 전에 혈관에서 출혈이 발생되는 것으로, 궤양의 점막이 탈락되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혈을 하는 종래의 내시경적 치료법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법은 상처부위의 치료속도가 느리고 재출혈의 가능성이 공존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40329호는 고분자 용액 형태의 코팅제를 내시경을 통하여 체내의 궤양 부위에 분산 및 코팅함으로써 지혈을 유도하고 재출혈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체내 지혈제 및 그 도포 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상처부위의 치료속도를 높이고 재출혈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출혈 방지(즉, 지혈)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나아가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성 제제가 요구된다. 즉, 내시경의 카테터를 통하여 위장관의 상처 부위에 투여(주입)되어, 상처 보호, 출혈 방지, 및/또는 유착 방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위장관 내 국소 도포를 위해서는, 적합한 점도 조건, 적합한 점막 부착성을 가져야 하며, 표적 부위에 물리적인 방어막을 형성하여 물리적인 출혈 방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술 부위의 유착 방지를 위하여 종래에는 주로 겔 형태, 졸-겔 형태의 제제가 개발된 바 있다. 저점도 겔 형태의 제제는 상부위장관에 도포 시 손실이 많아 물리적 방어막 형성이 제한적이고, 고점도 겔 형태의 제제는 점막 부착성은 우수하지만 고압의 약액 분출장치가 요구되며, 역시 적지 않은 손실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졸-겔 형태의 제제는 체내 주입전 졸(sol) 상태에서 일정 온도(체온)에 의해 겔화 되는 제제로서, 졸-겔 전이(sol-gel transition) 구간이 작아 체내 도포 전 카테터 내에서 겔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역시 적지않은 손실이 수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다양한 지혈제 및 상처치료제가 개발되어 왔으나, 여전히 임상 현장에서는 보다 신속한 지혈 작용과 재출혈 방지가 가능한 약학 조성물 및 약학적 제제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장관 내로 효과적으로 투입되어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 및 상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시판되는 지혈제와 창상피복제 등 상처치료제에 비해 지혈 효과와 상처 치료 시간을 단축시키고 그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으로부터 제조된 약학적 제제는 분말 형태로 제제화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유동성을 가짐으로써 카테터의 통과 및 도포가 용이하며, 도포 부위에서 순간적인 겔화를 통하여 장벽을 형성하여 약학적 제제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및 상처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시판되는 지혈제와 창상피복제 등 상처치료제에 비해 지혈 효과와 상처 치료 시간을 단축시키고 그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성분, 제2성분, 및 트롬빈이 혼합된 약학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제1성분과 제2성분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와 트롬빈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지혈 효과와 상처 치료 효과에 있어서 현저한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으로부터 제조된 약학적 제제는 분말 형태로 제제화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유동성을 가짐으로써 카테터의 통과 및 도포가 용이하며, 도포 부위에서 순간적인 겔화를 통하여 장벽을 형성하여 약학적 제제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라 수행된 혈액응고시간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S1시료, 도 2는 S1-1시료, 도 3은 S2시료, 도 4는 S2-1시료, 도 5는 S3 시료, 도 6은 S3'-1시료, 도 7은 S4시료로 수행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1-2-1에 따라 수행된 적혈구 용혈 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2-2에 따라 수행된 혈전 무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S1-1시료, 도 10은 S2-1시료, 도 11은 S3'-1시료, 도 12는 S4시료로 수행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험예 1-3에 따라 수행된 혈액응고시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4는 S5시료, 도 15는 S6시료, 도 16은 S7시료, 도 17은 S8시료, 도 18은 S9시료, 도 19는 S10시료로 수행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수행된 조기 지혈 성공률에 대한 내시경 소견을 나타낸 것으로, 도 20은 No treatment 군, 도 21은 Endoclot 처치군, 도 22는 CGGEL 처치군, 도 23은 CGGEL_Thrombin 처치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라 수행된 점막재생 면적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수행된 혈액응고시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5는 S11-1시료, 도 26는 S12-1시료, 도 27은 S13-1시료, 도 28은 S14시료, 도 29은 S15시료, 도 30은 S16시료로 수행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개발 및 시판중인 지혈제 조성물 및 상처치료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위장관 궤양에서 보다 신속하게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재출혈 가능성을 차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지혈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은,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어 물리적 지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소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HPC),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은, 크로스카멜로스 소듐(Ac-di-sol),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칼슘 실리케이트, 및 크로스포비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은 상기 트롬빈이 첨가되기 전의 프리(pre)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95 중량부 :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위점막에서 순간적인 겔화로 형성된 방어벽에 의해 물리적인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충분한 겔강도, 예를 들어, 0.001 MPa 이상의 겔강도가 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은 상기 트롬빈이 첨가되기 전의 사전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90 중량부 :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롬빈은, 소 또는 돼지 혈장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트롬빈은 단핵구에서 염증 및 상처 치료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상처 치료를 촉진할 수 있고, PAR(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상처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TF(tissue factor)을 발현시키며, 혈관내피세포의 VEGF 수용체 발현을 상향조절하여 신생혈관 형성을 가속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장관 궤양에서 신속하게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를 달성하고, 재출혈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리학적 지혈효과를 갖는 다양한 물질들을 검토하고 관련 실험들을 반복한 결과, 트롬빈이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트롬빈과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지혈제 및/또는 상처치료제 조성물을 대상으로 관련 실험의 반복과 시행착오 끝에,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과 함께 트롬빈이 배합되는 경우 지혈 및/또는 상처치료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제1성분, 상기 제2성분, 및 트롬빈을 특정 조성 범위에서 사용하는 경우 트롬빈에 의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약리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에 의한 물리적인 지혈효과와 트롬빈에 의한 생리학적인 지혈효과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조성 범위에서 상승효과를 갖는 것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시판되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지혈 및/또는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성분에 트롬빈을 투입하면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을 갖는 분말 형태의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트롬빈과의 상승효과를 발생시켜 첫째로 종래 시판되는 지혈제들 보다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둘째로 종래 시판되는 다른 지혈제에 트롬빈을 혼합한 경우 보다도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고, 셋째로 트롬빈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도 지혈 및 상처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트롬빈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 20 IU/g 내지 10,000 IU/g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추가적인 지혈 효과 및 상처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트롬빈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 100 IU/g 내지 5000 IU/g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상기 트롬빈에 의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롬빈은 상기 약학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3 내지 1.60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추가적인 지혈 효과 및 상처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롬빈의 함량이 높을수록 단기 지혈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나, 1.603 중량부 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수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트롬빈은 상기 약학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6 중량부 내지 0.80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상기 트롬빈에 의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상승 효과, 즉, 트롬빈 자체에 의한 지혈 및 상처치료 효과 보다 향상된 지혈 및 상처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트롬빈에 의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상승 효과, 즉, 트롬빈 자체에 의한 지혈 및 상처치료 효과 보다 향상된 효과를 정의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을 혼합한 후 혈액이 흐르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혈액응고시간으로 측정할 때, 상기 혈액응고시간이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혈액응고시간 보다 짧게 나타나는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혈액응고시간은 50초 미만, 일 예로, 30초 이하, 구체 예로, 25초 이하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를 혼합하여 37℃, 10분 조건으로 반응 후 1㎖ 정제수를 첨가하여 혈액응고반응을 5분 동안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혈전을 제외하고 정제수에 의해 용혈된 적혈구가 존재하는 상층액을 채취하는 단계, 및 채취된 상기 상층액에 1㎖ 정제수를 첨가하여 잔존하는 적혈구 용혈용액을 채취하여 OD540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으로 측정된 540㎚에서의 광학 밀도(OD540)가, 이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OD540 값 보다 낮게 나타나는 지혈 작용의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상기 약학 조성물의 광학 밀도(OD540)는 1.0 미만, 일 예로 0.9 이하, 일 예로 0.8 이하, 일 예로 0.7 이하, 구체 예로 0.6 이하로 나타날 수 있다.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를 혼합하여 37℃, 10분 조건으로 반응 후 1㎖ 정제수를 첨가하여 혈액응고반응을 5분 동안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응고된 혈전을 분리하여 10% 포르말린으로 20분 동안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고된 혈전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5분동안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으로 측정된 혈전 무게가, 이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혈전 무게 보다 무겁게 나타나는 상승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혈전 무게는 8.0 ㎎ 초과, 일 예로 10.0 ㎎ 이상, 일 예로 15.0 ㎎ 이상, 일 예로 20.0 ㎎ 이상, 구체 예로 30.0 ㎎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혈전 무게는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혈전 무게 보다 2배 이상, 일 예로 3배 이상, 구체 예로 4배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제3성분 및/또는 제4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처 치료 성분 인 상기 제3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성분은,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각질세포성장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처치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성분은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양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지혈 효과를 향상시키는 성분 인 상기 제4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성분은, 염화칼슘,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칼슘 실리케이트, 및 황산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성분 : 상기 제2성분 : 상기 제4성분은 상기 트롬빈이 첨가되기 전의 프리(pre)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75 중량부 : 5 내지 30 중량부 :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일 예로 50 내지 70 중량부 : 10 내지 20 중량부 :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물리적인 지혈 효과와 화학적인 지혈인자의 적정 구성에 의한 지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분말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약학적 제제는 분말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말 형태"는 모든 형태의 분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통상의 제제화 방법을 통하여 얻어지는 약제학적 산제 형태 및 약제학적 과립 형태(즉, 과립)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및/또는 약학적 제제가 분말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적절한 유동성을 가짐으로써 카테터의 통과 및 도포가 용이하며, 도포 부위에서 순간적인 겔화를 통하여 높은 점막 부착성을 나타내면서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손실이 최소화되는 추가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내시경(즉, 내시경의 카테터)을 통하여 위장관 내로 투여되어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작용 및 상처치료 작용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제제의 지혈 효과와 상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 시판되는 지혈제와 창상피복제를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시료 S1 S2 S3
명칭 및 품목명 Endoclot® PHS흡수성체내용지혈용품 Nexpowder™
합성재료흡수성창상피복재
CGGEL®
합성재료흡수성창상피복재
제조사 EndoClot Plus, Inc.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시지바이오
성분 Modified starch (100%) -Succinic anhydride(ε-poly(L-lysine))-Aldehyded dextran-Polyvinylpyrrolidone
-Low-substituted
-Hydroxypropylcelluose
-Lactosse Monohydrate
-Magnesium stearate
-Hydroxy ethyl cellulose
-Sodium starch glycolate
-Croscarmellose sodium
-EGF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점막 부착성 중합체 7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및 흡습제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제제(S3')를 준비하였다.
준비예 1
준비예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90 중량부,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5 중량부, 크로스카멜로스 소듐(Croscarmellose sodium) 5 중량부가 혼합된 조성물을 S3'로서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상기 준비예 1에 따른 S1, S2, S3'에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소 혈장에서 추출한 높은 활성도를 가진 트롬빈 분말 0.080 중량부를 글라스 바이알에 투입하고 Shaker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될수 있도록 하여 분말 형태의 시료를 제조하고, 트롬빈 분말이 포함된 조성물을 '-1'로 표시하였다. 즉, S1-1은 S1에 S1-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80 중량부를, S2-1은 S2에 S2-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80 중량부를, S3'-1은 S3'에 S3'-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80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분말 형태의 조성물로서 각각 제조되었다.
이때, 투입된 트롬빈 Activity는 624 IU/mg로 함량은 모두 500 IU/g 이 되도록 제어되었다.
또한, 트롬빈 용액 시료(S4)는 동일한 트롬빈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녹여 100 IU/㎖ 농도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예 1-1: 혈액응고시간 측정
2㎖ microtube에 혈액 200㎕ 및 각 시료 15㎎를 혼합한 후 혈액이 흐르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혈액응고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S1-1, S2-1, S3'-1의 경우 트롬빈 7.5 IU가 되도록 처리하였고, 각 시료의 트롬빈 함량은 500 IU/g으로 동일하도록 제어하였다.
또한, S4의 경우 2㎖ microtube에 혈액 200㎕ 및 S4 시료 75㎕를 투입하여 혈액응고시간을 측정하였고, S1-1, S2-1, S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트롬빈 함량 인 7.5 IU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시료 혈액응고시간(s)
S1 >300
S1-1 45
S2 >300
S2-1 53
S3 200
S3'-1 20
S4 49
상기 표 2의 S1, S1-1, S2, S2-1, S3, S3'-1 및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종래 제품에 트롬빈을 추가하는 경우 혈액응고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지혈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S1-1, 도 2), (S2-1, 도 4), 및 (S3'-1, 도 6)을 비교하면, 지혈제 성분으로 알려진 다른 조성들에 트롬빈을 배합하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은 혈액응고시간이 훨씬 짧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3'-1, 도 6)과 (S4, 도 7)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S3'-1)은 이와 동일한 양의 트롬빈만 처리된 경우(S4)에 비해 혈액응고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농도의 트롬빈 자체 보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의 혈액응고시간이 더 짧은 상승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생리적인 혈액 응고기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이 흡습성 고분자와 점막부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겔화 반응을 통한 장벽형성으로 물리적 지혈 효과를 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과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1-2: 혈전형성 평가
혈전무게 및 적혈구 용혈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2㎖ microtube에 혈액 200㎕ 및 각 시료 15㎎를 혼합하여 37℃, 10분 간 반응 후 1㎖ 정제수를 첨가하여 혈액 응고반응을 정지시켰다.
실험예 1-2-1: 적혈구 용혈 정도의 측정
각 시료가 투입 후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혈전을 제외하고 정제수에 의해 용혈된 적혈구가 존재하는 상층액을 채취하였다.
이후, 다시 1㎖ 정제수를 첨가하여 잔존하는 적혈구 용혈용액을 채취하여 OD540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OD540은 용혈된 적혈구를 정량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540㎚에서의 흡광도로서, ELISA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표 3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시료 OD540
S1-1 1.4756
S2-1 0.9468
S3'-1 0.5647
S4 0.978
상기 표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종래 제품에 트롬빈을 첨가하는 경우 트롬빈 자체에 의한 적혈구 용혈 정도 보다 높거나(S1-1) 동등한 수준(S2-1)임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S3'-1)은 적혈구 용혈 정도가 종래 제품들과 비교할 때 뿐만 아니라 트롬빈 자체 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S3'-1)은 5분 이내의 조기 지혈효과가 우수하고, 조직의 신속한 재생효과를 가짐에 따라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의 지혈효과 및 상처치료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농도의 트롬빈 자체 보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적혈구 용혈 수치가 훨씬 더 낮은 혈액응고시간 평가 결과와 마찬가지로 상승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생리적인 혈액 응고기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이 흡습성 고분자와 점막부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겔화 반응을 통한 장벽형성으로 물리적 지혈 효과를 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과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1-2-2: 혈전 무게 측정
각 시료가 투입 후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응고된 혈전을 분리하여 10% 포르말린으로 20분 동안 고정하였다.
이후, 상기 응고된 혈전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5분 동안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다.
시료 혈전 무게(㎎)
S1-1 3.1
S2-1 3.9
S3'-1 33.7
S4 8.2
상기 표 4 및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종래 제품에 트롬빈을 첨가하는 경우 트롬빈 자체에 의한 조기 혈전 형성 정도가 낮게 나타났음에 반해(S1-1, S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S3'-1)은 조기 혈전 형성 정도가 트롬빈 자체 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빈이 배합된 약학 조성물은 5분 이내에 상처부위의 혈액을 신속하게 응고시켜 신속한 지혈효과와 상처치료효과 뿐만 아니라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트롬빈 자체 보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조기 혈전 형성 정도가 훨씬 더 높은 상승 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생리적인 혈액 응고기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이 흡습성 고분자와 점막부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겔화 반응을 통한 장벽형성으로 물리적 지혈 효과를 낼 수 있고, 고분자의 겔화 반응보다 트롬빈이 지혈작용에 먼저 작용함에 따라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예 1-2
상기 준비예 1에 따른 S3'에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3 중량부, 0.016 중량부, 0.080 중량부, 0.401 중량부, 0.802 중량부, 1.603 중량부의 트롬빈을 각 글라스 바이알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시료를 제조하였다(S5 내지 S10). 즉, S5는 S5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03 중량부를, S6은 S6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16 중량부를, S7은 S7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80 중량부를, S8은 S8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401 중량부를, S9는 S9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802 중량부를, S10은 S10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1.60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분말 형태의 조성물로서 각각 제조되었다.
이때, 투입된 트롬빈 함량은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고, S5 내지 S10 모두 624 IU/㎎ Activity를 가진 동일한 Thrombin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3: 혈액응고시간 측정
2㎖ microtube에 혈액 200㎕ 및 각 시료 15㎎를 혼합한 후 혈액이 흐르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혈액응고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혈액응고시간(s)는 3회 측정 후 평균 값을 기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다음 표 5 및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내었다.
시료 S5 S6 S7 S8 S9 S10
트롬빈(중량부) 0.003 0.016 0.080 0.401 0.802 1.603
트롬빈(IU/g) 20 100 500 2500 5000 10000
혈액응고시간(s) 60 26 19 11 3 0
상기 표 5 및 도 13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트롬빈 함량이 증가할수록 혈액응고시간이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S4와 비교하면 트롬빈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0.016 중량부 이상인 경우 트롬빈 자체에 의한 혈액응고시간 보다 현저하게 짧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트롬빈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0.016 중량부 이상인 경우 생리학적인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이 물리적인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과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준비예 2
준비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및 크로스카멜로스 소듐(Croscarmellose sodium)이 다음 표 6의 조성비로 혼합된 조성물을 S11, S12, 및 S13으로서 제조하였다.
시료 Hydroxy ethyl cellulose Sodium starch glycose Croscarmellose sodium
S11 70 중량부 15 중량부 15 중량부
S12 80 중량부 10 중량부 10 중량부
S13 95 중량부 2.5 중량부 2.5 중량부
제조예 2
상기 준비예 2에 따른 S11, S12, S13에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소 혈장에서 추출한 높은 활성도를 가진 트롬빈 분말을 다음 표 7의 조성비로 글라스 바이알에 투입하고 Shaker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분말 형태의 시료를 제조하고, 트롬빈 분말이 포함된 조성물을 '-1'로 표시하였다. 즉, 11-1은 S11에 S11-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080 중량부를, S12-1은 S12에 S12-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401 중량부를, S13-1은 S13에 S13-1 총 중량에 대하여 트롬빈 0.802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분말 형태의 조성물로서 각각 제조되었다.
이때, 투입된 트롬빈 Activity는 624 IU/㎎으로 동일하게 제어되었고, 함량(IU/g)은 S11-1이 500, S12-1이 2500, S13-1이 5000이 되도록 제어되었다.
또한, 트롬빈 용액 시료 S14, S15, S16은 Activity는 624 IU/㎎인 것이 적용되되 다음 표 8의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녹여 제조되었다. 구체적으로, 트롬빈 용액 시료는 농도(IU/㎖)가 S14는 100, S15는 500, S16은 1000이 되도록 제조되었다.
시료 준비예 2 Bovine Thrombin 트롬빈 함량(IU/g)
S11-1 99.920 중량부 0.080 중량부 500
S12-1 99.599 중량부 0.401 중량부 2500
S13-1 99.198 중량부 0.802 중량부 5000
시료 농도 (㎎/㎖) 농도 (IU/㎖)
S14 0.160 100
S15 0.802 500
S16 1.604 1000
실험예 2: 혈액응고시간 측정
1.5㎖ microtube에 혈액 200㎕ 및 각 시료 15㎎을 혼합한 후 혈액이 흐르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혈액응고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혈액응고시간(s)는 3회 측정 후 평균 값을 기재하였다. 이때, 트롬빈 용액 시료 인 S14, S15, S16은 75㎕를 넣어 혈액응고 반응을 진행했다.
상기 실험 결과를 다음 표 9 및 도 25 내지 도 30에 나타내었다.
혈액에 처리된 트롬빈 양(IU) 7.5 37.5 75
시료 S11-1 S14 S12-1 S15 S13-1 S16
혈액 응고 시간 40 51 20 25 7 8
상기 표 9 및 도 25 내지 도 3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트롬빈 함량이 증가할수록 혈액응고시간이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S11-1, S12-1, S13-1은 모두 각 실시예에서 혈액에 처리된 트롬빈 양과 동일한 양의 트롬빈 자체(S14, S15, S16)가 혈액에 처리된 경우 보다 혈액응고시간이 짧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점막 부착성 중합체 7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및 흡습제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분말 제제(S3', S5 내지 S10, S11, S12, S13)은, 생리학적인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이 물리적인 지혈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과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 형태의 약학 조성물은 시판되는 다른 제품에 트롬빈을 추가한 경우들 보다 모든 실험에 있어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트롬빈 자체 보다도 모든 실험에 있어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생체내(in-vivo) 시험
이하 생체내 시험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수행되었다.
<1> 시험동물 준비 및 약물 처치
4~5개월령, 35~40kg의 수컷 돼지(Sus scrofa(porcine)) 12마리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돼지가 인간과 유사한 출혈 경향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실험 전과 실험 중 아스피린과 헤파린을 다음과 같이 투여하였다.
① 실험 전 5일동안 항혈소판제(아스피린, 200mg/day)를 분쇄하여 음식과 혼합하여 돼지에게 경구투여하였다.
② 실험 전 3일동안은 항혈소판제 투여를 위한 최소량(100g/두)의 사료를 급이하고 시험 당일은 금식을 유지하였다.
③ 실험 전 동물용 근육이완제와 전신마취제(zoletil+xylazine, 6:4)를 혼합하여 근육 주사하여 전마취한 후 Isoflurane과 호흡마취기를 이용하여 호흡마취 하였다.
④ 헤파린(200IU/kg)을 내시경 시술 직전 정맥투여하고,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에 시린치 펌프를 이용하여 헤파린을 지속 투여하였다(10% glucose에 혼합하여 10,000 IU/hr 속도로 투여).
<2> 출혈성 위궤양 모델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 순서로 출혈성 위궤양 모델을 제작하였다.
① 마취된 동물의 구강으로 double-channel upper endoscope (GIF-2T260M; Olympus Medical Systems, Tokyo, Japan)을 삽입하여 위강에 진입한 뒤 직경 6mm의 sizer를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하였다.
② sizer크기를 기준으로 APC를 이용하여 20mm 크기의 궤양 이 될 부위의 경계를 표시하였다.
③ isotonic saline을 submucosal layer에 inject하였다.
④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박리생검술 방법(grasp-and-snare)을 이용하여 점막절제술을 시행하였다.
- 포셉을 이용하여 점막을 잡아당기고, snare로 포획하였다.
- Snare에 전류를 흘려 점막조직을 절제하였다.
⑤ 출혈이 유도되지 않을 경우 포셉을 이용하여 노출된 점막하 혈관을 뜯어내어 출혈을 유발하였다.
⑥ 이러한 방법으로 한마리의 돼지에 2개의 궤양을 생성하였다. 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의 궤양을 생성하고 서로 상호영향을 받지 않도록 5cm 이상의 간격을 두었다.
<3> 시험물질 도포
시험물질로 상기 S1, S3, S3'-1 시료를 준비하였고, 투여용량은 각 3g으로 설정하였다.
미리 임의로 분배된 치료 protocol에 따라, no treatment, Endoclot(S1시료), CGGEL(S3시료), CGGEL_Thrombin(S3'-1시료) 4종류의 치료를 수행하였다. Powder 분사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궤양의 전체 부분에 분사되어 궤양의 기저면이 보이지 않게 될 정도로 충분히 도포하였다.
<4> 평가 변수 측정
Archieve of hemostasis는 출혈이 육안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artificial ulcer로부터 visible outward flow of blood가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각각의 인공궤양에서 출혈 유발 및 시험물질 도포 후 5분까지 지혈여부를 확인하였고, 1시간 뒤 지혈상태를 다시 확인하였다. 이후 동물을 개별 케이지에서 회복하도록 하였지만 24시간동안 먹이를 주지 않았다. 인공 궤양부위의 재출혈여부와 궤양의 치료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추적내시경이 시술 24시간 뒤, 48시간 뒤, 72시간 뒤, 1주일 뒤, 2주일 뒤에 시행되었다.
재출혈 여부는 내시경 관찰을 통한 Forrest 분류로 판단하였으며, Forrest classification I에 해당하는 내시경 소견일 경우 재출혈 되었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궤양의 치료정도 및 점막의 재생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내시경 관찰을 할 때 마다 궤양의 면적변화를 기록하였다. 기준이 되는 6mm 크기의 sizer를 궤양 위에 놓고 궤양의 면적을 측정(estimation)하였다. 궤양의 면적은 Java 기반의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Image 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을 통해 측정 및 계산하였다.
6마리의 돼지는 시술 1주 후, 나머지 6마리의 돼지는 시술 2주 후까지 관찰한 뒤 관찰 기간이 끝나면 안락사 하였으며 위장관 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조직은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H&E staining과 면역화학염색(CD31)을 진행하였다. 포르말린용액으로 고정된 검체는 자동조직처리기(Automatic tissue process)를 이용하여 탈수, 투명, 침투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였다. 이 후 회전형 박절기를 사용하여 4 μm 두께로 박절하였다. 박절된 조직을 슬라이드에 올려 미염색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모든 조직은 탈파라핀 과정과 함수 처리하였으며 이 중 하나는 Harris-Hematoxylin (YD Diagnostics, Korea) 및 eosin Y (Showa, Japan)를 사용하여 H&E 염색을 수행하였다.
<5> 희생 및 검체 채취
모든 동물의 검체 채취는 실험 일정표에 따라 안락사 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의 희생을 위하여 Zoletil과 Xylazine의 1:1 혼합용액 0.1ml/kg을 근육주사로 전마취를 유도한 후 succipharm 1 ml을 근육에 투여하여 안락사를 유도하였다. 이후 각 개체의 이식부위를 절개하여 검체가 이식된 부위의 위장점막을 완전히 적출하여 10% 중성완충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다.
<6> 실험결과
조기 지혈 성공률
No treatment 군에서는 0%(도 20), endoclot 처치군에서는 66.7%(도 21), CGGEL 처치군에서는 16.7%(도 22)였던 반면에 CGGEL_Thrombin 처치군에서는 100%(도 23)로 나타났다.
점막재생 면적
도 24를 참조하면, CGGEL(EGF) 처치군과 CGGEL(Thrombin) 처치군에서는 14일차 조직에서 7일차 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점막재생을 보였다. 특히 CGGEL(Thrombin) 처치군의 14일차 점막재생 면적이 CGGEL(EGF) 처치군보다 약 3배 이상 증가되어 있는 결과를 보여 CGGEL(Thrombin)의 궤양 치료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1)

  1. 지혈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
    을 포함하는,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 소듐 알지네이트, 키토산,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HPC),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성분은, 크로스카멜로스 소듐(Ac-di-sol),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칼슘 실리케이트, 및 크로스포비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를 혼합한 후 혈액이 흐르지 않을 때 까지의 시간을 혈액응고시간으로 측정할 때, 상기 혈액응고시간이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혈액응고시간 보다 짧은,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를 혼합하여 37℃, 10분 조건으로 반응 후 1㎖ 정제수를 첨가하여 혈액응고반응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정제수에 의해 용혈된 적혈구가 존재하는 상층액을 채취하는 단계; 및
    채취된 상기 상층액에 1㎖ 정제수를 첨가하여 잔존하는 적혈구 용혈용액을 채취하여 OD540을 측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방법으로 측정된 540㎚에서의 광학 밀도(OD540)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OD540 값 보다 낮은,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혈액 200㎕ 및 상기 약학 조성물의 시료 15㎎를 혼합하여 37℃, 10분 조건으로 반응 후 1㎖ 정제수를 첨가하여 혈액응고반응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혈액응고반응이 정지된 상태에서, 응고된 혈전을 분리하여 10% 포르말린으로 20분 동안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응고된 혈전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5분동안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방법으로 측정된 혈전 무게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된 상기 트롬빈으로 구성된 시료의 상기 혈전 무게 보다 무거운,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EC)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성분은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및 크로스카멜로스 소듐로 구성되는,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은, 20 내지 10,000 IU/g으로 포함되는,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염화칼슘,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칼슘 실리케이트, 및 황산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기물로 구성되는 제4성분을 더 포함하는,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상기 위장관 내로 투입되어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작용을 하는 것 인, 위장관 내 지혈용 약학 조성물.
  10.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위장 점막 조직에 부착되는 수용성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제1성분;
    수분 흡수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2성분; 및
    트롬빈;
    을 포함하는, 위장관 내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서 상기 위장관 내로 투입되어 출혈성 위장관 궤양에서 지혈작용 및 상처 치료 작용을 하는 것인,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22/021261 2022-02-15 2022-12-26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5809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9745 2022-02-15
KR10-2022-0019745 2022-02-15
KR1020220035054A KR102442102B1 (ko) 2022-02-15 2022-03-22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035054 2022-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92A1 true WO2023158092A1 (ko) 2023-08-24

Family

ID=8327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1261 WO2023158092A1 (ko) 2022-02-15 2022-12-26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102B1 (ko)
WO (1) WO2023158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102B1 (ko) * 2022-02-15 2022-09-08 (주)시지바이오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061A (ja) * 2009-01-29 2012-04-12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新規組成物
KR20120125465A (ko) * 2010-01-08 2012-11-15 프로피브릭스 비.브이. 건조 분말 피브린 실란트
KR20160006642A (ko) * 2013-01-30 2016-01-19 주식회사 대웅 위장관 내 상처 보호, 출혈 방지, 또는 유착 방지용 약학 조성물
KR20210025918A (ko) * 2019-08-28 2021-03-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하이드로젤 지혈제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지혈제
KR20210052099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분말형 지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2102B1 (ko) * 2022-02-15 2022-09-08 (주)시지바이오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061A (ja) * 2009-01-29 2012-04-12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新規組成物
KR20120125465A (ko) * 2010-01-08 2012-11-15 프로피브릭스 비.브이. 건조 분말 피브린 실란트
KR20160006642A (ko) * 2013-01-30 2016-01-19 주식회사 대웅 위장관 내 상처 보호, 출혈 방지, 또는 유착 방지용 약학 조성물
KR20210025918A (ko) * 2019-08-28 2021-03-1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하이드로젤 지혈제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지혈제
KR20210052099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분말형 지혈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2102B1 (ko) * 2022-02-15 2022-09-08 (주)시지바이오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02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all et al. Th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wound healing in mice
JP7109097B2 (ja) 角膜創傷治癒および眼表面疾患のためのヒスタチン
WO2023158092A1 (ko) 위장관 내 지혈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10031266A (ko) 헤지호그류 폴리펩티드에 의해 상피 조직을 조절하는방법, 및 이와 관련된 제형 및 용도
KR20200039677A (ko) 몬테루카스트 및 홍합 접착 단백질과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제형
US20140287028A1 (en) Use of Chemotherapeutic Agents
KR101751282B1 (ko) 위장관 내 상처 보호, 출혈 방지, 또는 유착 방지용 약학 조성물
SK12362000A3 (sk) Prostriedky na báze proteínov matrice na hojenie rán
WO2014092239A1 (ko) 콜라겐과 피브린이 혼합된 조직 실란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2265368A1 (ko) 점막 부착성과 팽윤성이 우수한 필름 형태의 유착방지용 조성물
US5155038A (en) Use of thrombospondin to promote wound healing
WO2019124946A1 (ko) Vegf 길항제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WO2022019701A1 (ko) 유착방지용 고분자 조성물
WO2018043932A1 (ko) 치수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79860A (ko) 신규 펩티드
WO2022114881A1 (ko) 벤즈브로마론을 포함하는 상처 또는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101311A1 (ko) 지혈 및 상처치유용 창상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242231A1 (ko) 지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H0232100A (ja) トロンビン阻害作用を有するアンブリオミン
WO2021020771A1 (ko) 에스오메프라졸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안정한 약제학적 조성물
WO2020106074A1 (ko) 창상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2234963A1 (ko) 혈액 응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0149449A1 (ko) 흡수성 골 지혈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 지혈재 제조방법
WO2020122666A1 (ko) 중간엽줄기세포가 포함된 생체 이식용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09628A9 (ko) 화상 및 욕창의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74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