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2578A1 -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2578A1
WO2023132578A1 PCT/KR2023/000013 KR2023000013W WO2023132578A1 WO 2023132578 A1 WO2023132578 A1 WO 2023132578A1 KR 2023000013 W KR2023000013 W KR 2023000013W WO 2023132578 A1 WO2023132578 A1 WO 20231325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0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혜림
신건
유종민
정경문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7584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07089A/ko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325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25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sheet and an optical film.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copolym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epared therefrom, and an optical film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used to bond a display panel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evice to various optical structures or circuit structure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needs to have improved transparency and high adhesive strength so as not to degrad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 a structure coupled to the display can also prevent the structure from falling off or peeling despite harsh conditions or external impact. It needs to be formed so that According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high wettability and durability and capable of bonding the display structure is requir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39274 discloses an adhesive for a polarizing plat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 an adhesive for a polarizing plat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having improved adhesive properties and reworkabil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m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n optical film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 the (meth) acrylate monomer is an alkyl (meth) acrylate-based monomer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 first monomer having 4 to 12 alkyl (meth) acrylate-based monomer The second monomer Contain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R 1 i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R 6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R 2 and R 7 are each independently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having 1 to 30 carbon atoms is
  • R 3 to R 5 and R 8 to R 10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base film and form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above.
  • Adhesion change rate P H /P C
  • PC is the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object and left for 24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 C. and 50% RH, and then the adhesive sheet is peeled from the object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and 180 ° Adhesion measured by peeling at a peel angle of
  • P H attaches the adhesive sheet to the object and leaves it for 48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50 ° C and 50% RH, and then removes the adhesive sheet from the object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50% RH at 300 mm / RH. is the adhesion measured by peeling at a peel rate of min and a peel angle of 180 ° ).
  • An optical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orm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above, and an antireflection lay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18 abov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ic copolymer,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and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based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Accordingly, chemical stability and re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improved.
  • FIG. 1 and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an optical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re provid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ic copolymer.
  • the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 copolymer formed from a polymerizable mixture including a (meth)acrylate monomer and (meth)acrylic acid.
  • (meth)acrylate is used to encompass either acrylate or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is used to encompass either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 the (meth)acrylate monomer may include a first alkyl (meth)acrylate monomer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 second alkyl (meth)acrylate monomer having 4 to 12 carbon atoms.
  • the first monomer and the second monomer may be a compound derived from an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Examples of the first monomer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and propyl (meth)acrylate, and preferably methyl (meth)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content of the first monomer may be 10% to 40% by weight, preferably 15% to 3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If the content of the first monomer is less than 10% by weight, adhesive strength may not be sufficiently implemented. If the content of the first monomer is more than 40%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resulting in poor reworkability.
  • Examples of the second monomer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2 -Ethylhex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etc. may be mentioned, and the second monomer is preferably n-butyl (meth) 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content of the second monomer may be 60% to 89% by weight, preferably 65%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 the content of the first monomer is less than 60% by weight, sufficient adhesive force may not be realized.
  • the polymerizable mixture includes the first monomer and the second monomer together,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adhesive material remaining during rework while implementing improved adhesiveness.
  • the (meth)acrylic acid monomer may serve to impart adhesiveness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crylic copolymer has an acidic group derived from a (meth)acrylic acid monomer, the adhesiveness and crosslinking degre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improved.
  • the hydrophilic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rease, and the surface migration of the ionic antistatic agent described later may deteriorate.
  • the crosslinking agent to be described later reacts with an acidic group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and is consumed, the cohesive strength and 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may decrease.
  • the amount of (meth)acrylic acid may be 1%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 the content of the (meth)acrylic acid monomer may be 0.01 wt% to 1 wt%, preferably 0.05 wt% to 1 wt%, more preferably 0.05 wt% to 0.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may be %.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decrease.
  •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and re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by affecting the transfer of the ionic antistatic agent to the surface.
  • the polymerizable mixture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able monomer containing a polar functional group.
  • the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 copolymer formed from a polymerizable mixture including a (meth)acrylate monomer, (meth)acrylic acid, and a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crosslinkable monomer may improve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acrylic copolymer. In addition, it reacts with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based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destruction of the co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under high temperature/high humidity conditions and impart adhesive strength.
  •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e group, etc. as a polar functional group.
  •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include a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an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nd/or an amine group-containing monomer.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examples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4-hydroxybutyl (meth)acrylate. Rate, 6-hydroxyhexyl (meth)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acrylate, hydroxyalkylene having 2-4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Glycol (meth)acrylate, 4-hydroxybutyl vinyl ether, 5-hydroxypentyl vinyl ether, 6-hydroxyhexyl vinyl ether, 7-hydroxyheptyl vinyl ether, 8-hydroxyoctyl vinyl ether, 9-hydroxy Roxynonyl vinyl ether, 10-hydroxydecyl vinyl ether,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Examples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N-tert-butylacrylamide, 3-hydroxypropyl (meth)acrylamide, and 4-hydroxybutyl (meth)acrylamide.
  • Amide, 6-hydroxyhexyl (meth)acrylamide, 8-hydroxyoctyl (meth)acrylamide, 2-hydroxyethylhexyl (meth)acrylamide,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 tertiary amine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included.
  • the tertiary amin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N, N- (dimethylamino) ethyl (meth) acrylate, N, N- (diethylamino) ethyl (meth) acrylate, N, N- (dimethylamino) Prop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or (meth)acrylamide may be included as the crosslinkable monomer.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may be 0.05% to 5% by weight, preferably 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all.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reduced, and thus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exceeds 5%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and durability may decrease as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ecomes excessively high.
  • polymerizable monomers known in the art may be further included in an amount that does not reduce adhesive strength, for example, 1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ixture.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using methods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commonly used in the art, preferably using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t can be manufactured by In addition, solvents, 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chain transfer agents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which are commonly used during polymerization, may be used.
  • the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Mw) of 50,000 to 2,000,000, preferably 400,000 to 2,000,000.
  • Mw polystyren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the non-yellowing type isocyanate-based or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 may improve cohesion, adhesion, and high-temperature reli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 the yellowing-typ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may mean a compound in which the carbon of pheny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itrogen atom of isocyanate among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and the non-yellowing typ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s the yellowing-typ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mong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It can mean the rest except for .
  • the non-yellowing type isocyanate-based compound and aziridine-based compound have high reactivity to polar functional groups and may have improved adhesion to a corona discharge-treated or plasma-treated base film.
  • Examples of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nclude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and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An adduct obtained by reacting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with 1 equivalent of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 isocyanurate obtained by self-condensation of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2 out of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Diisocyanate obtained from the equivalent biuret body obtained by condensation of 1 equivalent of diisocyanate with urea,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s containing three functional groups such as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and methylene bistriisocyanat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xylene diisocyanate, hexam
  • aziridine-based compound examples include pentaerythol-tris-(beta-(N-aziridinyl)propionate, trimethylolpropane-tris(beta-N-aziridinyl)propionate, and trimethylolpropane tris.
  • (2-methyl-1-aziridine propionate) N,N'-toluene-2,4-bis(1-aziridinecarboxamide), N,N'-diphenylmethane-4,4'- bis(1-aziridinecarboxamide), triethylene melamine, bisisoprotaloyl-1-(2-methylaziridine) or tri-1-aziridinylphosphine oxide, etc.
  • two or more may be used in combination.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0.1 part by weight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cohesive strength is lowered due to an insufficient crosslinking degree, and thus adhesive durability and cutting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greater than 3 parts by weight,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may occur, resulting in increased residual stress and decreased adhesion to the adhered objec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include two carbonyl groups linked to a methylene group. Therefor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increased by the organosilicon compound, and the occurrence of bubbles, lifting, and breakag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suppressed.
  •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include a malonyl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 the ad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urther enhanced by the malonyl group or the acetoacetyl group, and heat resistance and moisture-heat resistance may be improved.
  •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have a nitrogen atom or a sulfur atom.
  •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include an amine group or a sulfide group.
  • the organosilicon compound has an amine group or a sulfide group together with a malonyl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improved reworkability can be realized even after being left for a long time under heat and moist heat resistance conditions, and adhesion durability and adhes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or Chemical Formula 2 below.
  • R 1 may be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R 1 include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n isopropyloxy group, and the like, and may be preferably a methoxy group in terms of reworkability.
  • R 6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R 6 include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n isopropyl group,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n isopropyloxy group, and the like, and may be preferably a methyl group or a methoxy group in terms of reworkability.
  • R 2 and R 7 may each independently be a divalent aliphatic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 R 2 and R 7 may be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 alkenylene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or an alkynylene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 R 3 to R 5 and R 8 to R 10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t least one of R 3 to R 5 and at least one of R 8 to R 10 is preferably an alkoxy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the number of carbon atoms may be adjust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hesiveness and reworkability.
  • the content of the organosilicon compound may be 0.01 parts by weight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to 2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t may be 0.1 part by weight to 1 part by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durability and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improv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ionic antistatic agent.
  • the ionic antistatic agent may include an ionic salt composed of anions and cations, and may impart ionic conductivity to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10 ⁇ 10 10 ⁇ / ⁇ or less, preferably 7 ⁇ 10 10 ⁇ / ⁇ or less.
  • the ionic antistatic agent may include an alkali metal salt, an ionic agent or an ionic solid, preferably an ionic solid.
  • the ionic solid is included as the ionic antistatic agent, stability over tim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improved.
  • the ionic solid has high compatibility with the above-mentioned other components and can maintain high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melting point of the ionic solid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20 °C, and may be specifically between 20 °C and 50 °C. In this case, since the mobility of the ionic solid is minimiz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dhesive sheet or optical film may be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ionic solid is less than 20° C., as the mobility of the ionic solid increases, the ionic solid may move to the end of the adhesive sheet or the optical film and be eluted.
  • the ionic solid is Cl - , Br - , I - , AlCl 4 - , AlCl 7 - , BF 4 - , PF 6 - , ClO 4 - , NO 3 - , CO 3 2 as an anion.
  • the ionic solid may include imidazolium, pyridinium, alkylammonium, alkylpyrrolidium, and/or alkylphosphonium as a cation.
  • the amount of the ionic antistatic agent may be 0.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While the antistatic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is improved within the above rang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excellently maintain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known in the art in order to adjust adhesive force, cohesive force, viscosity, elastic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required according to us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tackifier, an antioxidant, a corrosion inhibitor, a leveling agent, a surface lubricant, a dye, a pigment, an antifoaming agent, a filler, a light stabilizer, a plasticizer, and the like as additives.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 the adhesive sheet includes a base film 110, an adhesive layer 12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 the release film 130 may be includ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from the above-describ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layer 120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n acrylic copolymer, a non-yellowing type isocyanate or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and an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carbonyl groups onto the base film 110. It can be formed by post curing.
  • the base film 110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 cellulose resin, a polyolefin resin, or a polyester resin. In this case,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ies, isotropy, and the like of the base film 110 may be improved.
  • the base film 110 may include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ethyl (meth)acrylat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naphthalate; cellulosic resins such as diacetyl cellulose, triacetyl cellulose, and cellulose acetate butylen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olefin, polyolefin having a norbornene structur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sulfone-based resin; polyether-ether ketone-based resins; Allylate type resin; or a mixture of the above resins.
  •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ethyl (meth)acrylate
  •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
  •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may be surface treated.
  •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blast treatment, primer treatment, etc. may be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
  • a carboxylic acid derivative (R-COOH)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by the surface treatment.
  • the carboxyl group of the carboxylic acid derivative may re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us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base film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may not be saponified. Since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used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hydrophobic, adhesion and adhesion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deteriorated. In this case, a pretreatment process of saponifying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by dipping it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is performed, a separate coa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is corona- or plasma-treate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material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improved.
  • the yield and 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lowered as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contamination and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occur due to the additional pretreatment or coating layer formation process. there is.
  • the organosilicon compound having a malonyl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increases affinity betwee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reby providing adhesion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 Adhesion of layer 120 may be improv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2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drying and/or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base film 110 by a coating method such as roll coating, gravure coating, reverse coating, spray coating, air knife coating, or die coater. .
  •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60% to 80%, preferably 65% to 75%.
  •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 W1 may be the initial weight of the adhesive layer.
  • W2 may be a weight measured after immersing the adhesive layer in an ethyl acetate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and drying at 120° C. for 24 hours.
  •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is less than 60%, durability and reworkability over time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crosslinking and cohesion. Whe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exceeds 80%, durability and adhesion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deteriorate due to excessive cross-linking, and damage to the object may occur when the adhesive sheet is peeled off.
  • the adhesive strength change rat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may be 0.8 to 2.2, preferably 1.1 to 2.1. Within the above range, adhesion reliability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may be secured and improved reworkability may be realized.
  • Adhesion change rate P H /P C
  • PC is the peeling rate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sive object at 300 mm/min after leaving the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at a temperature of 23° C. and 50% RH for 24 hours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adhesive force measured by peeling at a peeling angle of 180 ° .
  • P H is to leave the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adhesive object at a temperature of 50 ° C and 50% RH for 48 hours, and then remove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sive object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50% RH at 300 mm / RH.
  •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peeling at a peel rate of min and a peel angle of 180 ° can be represented.
  • the adhesive force change rate may represent the ratio of the adhesive force at a warm temperature (a temperature of about 50 ° C.) to the adhesive force at room temperature (a temperature of about 23 ° C.) can
  • the adhesive sheet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film 13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
  • the base film 110, the adhesive layer 120, and the release film 13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base film 110 and a release film 130 are attached to both sides.
  • the release film 130 may be removed from the adhesive sheet.
  • the release film 130 may be removed from the adhesive sheet and the exposed adhesive layer 120 may be attached to an adhesive object (eg, a display panel).
  • the adhesive shee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release films 130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dhesive layer 120 .
  • the laminate is laminated. body can be formed.
  •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provided as an anti-reflection pl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ptical base film 110, and the adhesive layer 120 of the adhesive sheet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tical base film 110. may be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 the optical film includes a base film 110, an adhesive layer 12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an optical functional layer 14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 the optical film is formed by forming the optical function layer 140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and then applying and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10 to form the adhesive layer 120.
  • the optical function layer 140 may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a hard coating layer, a retardation layer, a polarizer, and the like.
  • the optical film may be provided as an antireflection film, a hard coating film, a window film, a retardation film, a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optical function layer 140 .
  • the optical film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film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
  • the optical film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base film 110 and the release film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dhesive layer 120 .
  • the release film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removed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attached to an object (eg, a display panel).
  • the release film 130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removed, and the optical function is provided on the exposed side.
  • a layer 140 may be applied.
  • the release film 130 remaining on the oth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0 may be additionally removed, and an object (eg, a display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200 and an optical fil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00 .
  • an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200 and an optical film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via the adhesive layer 120 .
  • an imag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by remov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optical film and attaching the exposed adhesive layer 120 to the display panel 200 .
  •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or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QLED).
  •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s.
  • a retardation film, a hard coating film, a protective film, a window film, a touch panel,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mponents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 adhesion reliabi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such as repeated bending or a physical external force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breakage, peeling, and lifting of each component can be prevented.
  • an acrylic copolymer (A-1)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24 million.
  • An acrylic copolymer (A-2)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27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was added.
  • An acrylic copolymer (A-3)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42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was added.
  • An acrylic copolymer (A-4)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4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was added.
  • An acrylic copolymer (A-5)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41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was added.
  • An acrylic copolymer (A-6)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39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was added.
  • An acrylic copolymer (A-7)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4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by diluting with ethyl acetate at a solid content of 20% by weight. At this time, the content is parts by weight.
  •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ied onto a release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and dried at 100° C. for 2 minutes to form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 m.
  • A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by laminating a corona discharge-treated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on the formed adhesive layer.
  • TAC triacetyl cellulose
  • the exposed adhesive layer was attached to a glass substrate (#1737, manufactured by Corning) at a pressure of 0.25 MP, and at a temperature of 50 ° C. Specimens were prepared by autoclave treatment for 20 minutes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 the prepared specimen was left for 24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C. and 50% RH.
  • a universal tensile tester (UTM, manufactured by Instron)
  • the adhesive sheet was peeled from the glass substrate at a peel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 angle of 180 ° , and the adhesive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 the prepared specimen was left for 48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50° C. and 50% RH. Thereafter, the adhesive sheet was peeled from the glass substrate at a peel rate of 300 mm/min and a peel angle of 180 °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UTM, manufactured by Instron) under conditions of 23 ° C. was measured.
  • UTM universal tensile tester
  • the exposed adhesive layer was attached to a glass substrate at a pressure of 0.25 MP, and at a temperature of 50 ° C. and a pressure of 5 atm for 20 minutes. Specimens were prepared by autoclave treatment.
  • the prepared specimen was left in an oven at 80° C. for 10 hours, then taken out,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0 hours, and then th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at a rate of 1.3 cm/sec.
  • the prepared specimen was left in an oven at 60 ° C and 90% RH for 12 hours, t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0 hours, and then th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at a rate of 1.3 cm / sec. .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the adhesive remains on the glass substrate or the base film (TAC film) is torn in the peeling process in any one or more of heat-resistant reworkability and moist heat-resistant reworkability.
  • the exposed adhesive layer was attached to a glass substrate (210 mm ⁇ 350 mm ⁇ 0.7 mm) and treated with an autoclave (50 ° C ⁇ 30 min 0.5 MPa) to prepare a specimen.
  • the applied pressure was 5 kg/cm 2 , and clean room work was performed to prevent bubbles or foreign matter from occurring.
  • the specimen was left at a temperature of 80° C. for 1000 hours, and then whether bubbles or peeling occurred was observed.
  • the specimen was left for 1000 hours under conditions of 60° C. and 90% RH, and then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peeling was observed. At this time, immediately before evaluating the state of the specimen, it was observed after leaving it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cut into a size of 25 mm in length x 50 mm in width, and attached to the SUS304 plate through a double-sided adhesive tape (width: 25 mm, light receiving thread) on the surface of the TAC film. 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was reciprocated 20 times in a longitudinal (25 mm) direction at a pressure of 1 MPa and a speed of 0.1 m/s using elastic rubber (Neoprene rubber, Kouda). At this time, the adhesivenes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that the adhesive layer was pushed on the TAC film.
  • 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15 mm or more and less than 20 mm
  • A is the weight of the wire mesh
  • B is the weight of the wire mesh to which the adhesive layer is attached
  • C is the weight of the wire mesh dried after immersion. Therefore, (B-A) means the initial weight of the adhesive layer, and (C-A) means the weight of the gelled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force ratio in Table 2 below means the ratio of the adhesive force at room temperature to the adhesive force at room temperature.
  • Example 1 3.8 4.9 1.3 ⁇ o o ⁇ 73.2
  • Example 2 5.4 6.5 1.2 ⁇ o o ⁇ 74.8
  • Example 3 3.1 6.5 2.1 ⁇ o o ⁇ 71.5
  • Example 4 2.1 3.2 1.5 ⁇ o o o 74.8
  • Example 5 4.1 3.8 0.93 ⁇ o o o 69.7
  • Example 6 3.8 4.2 1.1 ⁇ o o o 70.3
  • Example 7 3.3 4.3 1.3 ⁇ o ⁇ ⁇ 75.2
  • Example 8 3.6 5.8 1.6 ⁇ o ⁇ o 73.8
  • Example 9 9.5 15.2 1.6 ⁇ ⁇ ⁇ 69.5
  • Example 10 0.6 1.0 1.6 ⁇ ⁇ ⁇ ⁇ 70.2
  • Example 11 3.8 4.7 1.2 ⁇ ⁇ ⁇ ⁇ 76.2
  • Example 12 0.8 1.3 1.6 ⁇
  •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realize improved reworkability even after being left for a long time while securing adhesion to a base film.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durability such as heat resistance and moist heat resistance is improved as the organosilicon compound includes a malonyl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and includes an amine group or a sulfide group.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has significantly poor reworkability after being left in a high temperature/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because the organosilicon compound does not have a malonyl group or an acetoacety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은 기재 필름에 대하여 높은 밀착성을 가지며, 고온/고습 등의 가혹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 후에도 향상된 리워크성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제조된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LCD) 장치, 유기 발광 표시(OLED) 장치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다양한 광학 구조물 또는 회로 구조물 등을 접합하기 위해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화상 표시 장치의 광학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도록 향상된 투명성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점착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최근, 고온 및 다습의 가혹 조건 또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구조물 역시 가혹 조건,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의 탈락,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높은 젖음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물을 접합할 수 있는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9274호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편광판용 점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지된 점착제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요구되는 상술한 특성들을 충분히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점착 특성 및 리워크성을 갖는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제조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아크릴계 공중합체,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성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혼합물은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위 3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의 극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아미드기 또는 아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위 3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5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6. 위 2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제1 단량체 및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제2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40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8. 위 2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아민기 또는 설파이드기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메틸렌기로 연결된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2
(R1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이고, R6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이고, R2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R3 내지 R5 및 R8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임).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0.1중량부 내지 3중량부, 및 상기 유기 규소 화합물 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배치되며, 위 1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17. 위 16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하기 식 2에 따른 점착력 변화율은 0.8 내지 2.2인, 점착 시트:
[식 2]
점착력 변화율=PH/PC
(식 2 중, PC는 상기 점착 시트를 대상체에 부착시키고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이고,
PH는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고 50℃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임).
18.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면 상에 배치되며, 위 1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기재 필름 하면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19. 위 18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 및 무황변 타입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제 조성물의 화학적 안정성 및 리워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carbonyl group)을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점착제 조성물>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중합성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출원에 사용된 용어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1 단량체 및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2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량체 및 상기 제2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알코올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량체의 예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10중량% 내지 4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이 40중량% 초과인 경우,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리워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량체의 예로서,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60중량% 내지 89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5중량%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점착력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점착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착층의 가교 밀도 및 밀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혼합물은 상기 제1 단량체 및 상기 제2 단량체를 함께 포함하여, 향상된 점착력을 구현하면서도 리워크 시 기재의 손상 및 점착 물질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는 점착제 조성물에 점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산성기를 가짐에 따라 점착제 조성물의 밀착성 및 가교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제 조성물의 친수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이온성 대전방지제의 표면 이행성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가교제가 (메타)아크릴산으로부터 유래된 산성기와 반응하여 소모됨에 따라, 점착층의 응집력 및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1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은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0.01중량% 내지 1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일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이 1중량% 초과인 경우,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리워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온성 대전방지제의 표면 이행에 영향을 주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중합성 혼합물은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성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가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와 반응하여 고온/고습 조건 하에서 점착층의 응집력 파괴를 방지하고 점착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극성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 아미드기 및 아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아민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및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민기 함유 단량체로서 3차 아민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 아민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교성 단량체로서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및/또는 (메타)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를 갖는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0.05중량% 내지 5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중량%일 수 있으며, 다.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작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이 5중량% 초과인 경우, 점착제 조성물의 겔분율이 과도하게 높아짐에 따라 점착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중합성 단량체가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 중 10중량%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액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은 5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 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2,000,000 초과인 경우 도공 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매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는 점착제의 응집력, 밀착성 및 고온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이소시아네이트의 질소 원자에 페닐의 탄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고,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상기 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제외한 나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극성 관능기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된 기재 필름에 대하여 향상된 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당량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자기 축합(self-condensation)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 중 2당량으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당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화합물의 예로서,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3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랑부 내지 2중량부일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낮아짐에 따라,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이 저하될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이 3중량부 초과인 경우, 가교 반응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잔류 응력이 높아질 수 있으며, 점착 대상체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규소 화합물은 메틸렌기로 연결된 두개의 카보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점착층의 기포 발생, 들뜸 및 파단이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규소 화합물은 말로닐기(malonyl group) 또는 아세토아세틸기(acetoacetyl grou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성이 보다 증진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아민기 또는 설파이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이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와 함께 아민기 또는 설파이드기를 가짐에 따라, 내열 및 내습열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 후에도 향상된 리워크성을 구현할 수 있고, 점착 내구성 및 점착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3
[화학식 2]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4
R1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R1의 예로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리워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일 수 있다.
R6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R6의 예로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리워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일 수 있다.
R2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R2 및 R7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렌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키닐렌기일 수 있다.
R3 내지 R5 및 R8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R3 내지 R5 중 적어도 하나 및 R8 내지 R1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소수는 점착력 및 리워크성의 관계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중량부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의 내구성 및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구성된 이온성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에 이온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의 표면 비저항 값은 10×1010Ω/□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1010Ω/□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알칼리 금속염, 이온성 약체 또는 이온성 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대전방지제로서 이온성 고체를 포함함에 따라, 점착제 조성물의 경시변화 안정성 및 점착층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온성 고체는 전술한 다른 성분들에 대하여 높은 상용성을 가지며, 점착제 조성물의 투명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온성 고체의 융점은 20℃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50℃일 수 있다. 이 경우, 이온성 고체의 이동성이 최소화되어 점착시트 혹은 광학필름의 내구성,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온성 고체의 융점이 20℃ 미만인 경우, 이온성 고체의 운동성이 높아짐에 따라, 점착 시트 혹은 광학필름의 단부로 이온성 고체가 이동하여 용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고체는 음이온으로서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O3 2-,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FSO2)2N-,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F(HF)n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C6H5COO-, (CF3SO2)(CF3CO)N-, OTf-(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OTs-(톨루엔술포네이트), OMs-(메탄술포네이트) 및/또는 BPh4 -(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고체는 양이온으로서 이미다졸륨, 피리디늄, 알킬암모늄, 알킬피롤리듐 및/또는 알킬포스포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층의 대전방지성이 향상되면서, 점착층의 내구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당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가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시트>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110), 기재 필름(11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점착층(120), 및 점착층(12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이형 필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층(120)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110) 상에 도포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재 필름(110)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110)의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110)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렌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올레핀,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재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점착층(120)이 형성되는 면은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110)의 일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블라스트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에 의해 기재 필름(110)의 표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R-COOH)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카르복실기는 점착제 조성물과 반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층의 기재 필름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재 필름(110)은 표면이 검화(saponification)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표면이 소수성이므로 점착제에 대한 밀착성 및 점착력이 열화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의 표면을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검화하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거나, 기재와 점착제 간 별도의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기재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하여 기재와 점착제 간 접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검화 공정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정이 복잡해짐에 따라 점착 시트의 수득률 및 가공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전처리 또는 코팅층 형성 공정에 의하여 점착 시트의 오염 및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이 기재 필름(110)의 표면 및 점착제 조성물간 친화성(affinity)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재 필름(110) 표면에 대한 점착층(120)의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고온, 다습의 가혹 조건에서 내열 및 내습열 내구성 및 점착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혹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된 후에도 향상된 리워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점착층(120)은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110)의 적어도 일면 상에 도포하고, 건조 및/또는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다이코터 등의 코팅법으로 기재 필름(110) 상에 도포함으로써 점착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120)의 겔분율은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일 수 있다. 점착층(120)의 겔분율은 하기 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식 1]
겔분율(%) = W2/W1×100
식 1에서, W1은 점착층의 초기 중량일 수 있다. W2는 상기 점착층을 상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용액에 3일 간 침지하고 120℃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측정한 중량일 수 있다.
점착층(120)의 겔분율이 60% 미만인 경우, 가교도 및 응집력이 낮아짐으로 인하여 경시 내구성 및 리워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점착층(120)의 겔분율이 80% 초과인 경우, 과다 가교로 인하여 점착층(120)의 내구성 및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점착 시트 박리 시 대상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점착 시트의 하기 식 2에 따른 점착력 변화율은 0.8 내지 2.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점착 신뢰성을 확보하고 향상된 리워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식 2]
점착력 변화율=PH/PC
식 2 중, PC는 점착 대상체에 부착된 점착시트를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조건 하에서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점착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PH는 점착 대상체에 부착된 점착시트를 50℃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방치 한 후,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점착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착력 변화율은 상온(약 23℃의 온도)에서의 점착력에 대한 가온(약 50℃의 온도)에서의 점착력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가온에서 장시간 방치된 후의 리워크성을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착 시트는 점착층(1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이형 필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110), 점착층(120) 및 이형 필름(1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110) 및 이형 필름(130)이 양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착 시트의 사용 시,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 필름(130)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 필름(130)을 제거하고 노출된 점착층(120)을 점착 대상체(예를 들면, 표시 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이형 필름(130)이 점착층(120)의 양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이형 필름(130)을 제거하고, 점착층(120)의 노출면에 광학 기재 필름(110) 또는 기능층(예를 들면, 반사방지층)를 부착시킴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방지층은 광학 기재 필름(110)의 일 면에 부착된 반사 방지판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점착 시트의 점착층(120) 광학 기재 필름(110)의 타면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110), 기재 필름(110)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점착층(120), 및 기재 필름(110)의 타면 상에 배치된 광학 기능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110)의 일면 상에 광학 기능층(140)을 형성한 후, 기재 필름(110)의 다른 일면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점착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기능층(140)은 반사방지층, 하드코팅층, 위상차층, 편광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은 광학 기능층(140)에 따라, 반사방지 필름, 하드코팅 필름, 윈도우 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판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점착층(1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110) 및 이형 필름이 점착층(120)의 양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12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점착층(120)의 노출면을 대상체(예를 들면, 표시 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120)의 양면에 이형 필름(130)이 부착된 경우 점착층(120)의 일면의 이형 필름(130)이 제거될 수 있으며, 노출된 면에 상기 광학 기능층(14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120)의 타면에 남아있는 이형 필름(130)이 추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노출된 면에 대상체(예를 들면, 표시 패널)가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0) 및 상기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0), 및 점착층(120)을 매개로 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배치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노출된 점착층(120)을 표시 패널(200)에 부착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LCD),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또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QLED)일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구성들 외에 당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 하드코팅 필름, 보호 필름, 윈도우 필름, 터치 패널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110) 및 점착층(120)간 밀착성, 접합성이 개선됨에 따라 향상된 내구성 및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굽힙 등의 물리적 외력 또는 고온, 다습의 가혹 조건에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점착 신뢰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이 파단, 박리 및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온, 다습의 가혹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 후 리워크 시 대상체의 손상이나 점착 물질의 잔류 없이 점착 시트의 박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포함하는 실험예를 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제조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A-1)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가 설치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8.8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30중량%, 아크릴산(AA) 0.2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를 투입한 후,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EA)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후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동안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온도를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분자량이 약 124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1)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A-2)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78.8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20중량%, 아크릴산(AA) 0.2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27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아크릴계 공중합체(A-3)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74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25중량%, 아크릴산(AA) 0.3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0.7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42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3)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아크릴계 공중합체(A-4)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53.3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45중량%, 아크릴산(AA) 0.2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5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4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4)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아크릴계 공중합체(A-5)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3.8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5중량%, 아크릴산(AA) 0.2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41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5)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아크릴계 공중합체(A-6)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7.8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30중량%, 아크릴산(AA) 1.2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39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6)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아크릴계 공중합체(A-7)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69중량%, 메타아크릴레이트(MA) 30중량%,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0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량이 약 14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A-7)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혼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고형분 20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함량은 중량부이다.
(2) 점착 시트의 제조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에서 2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0㎛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형성된 점착층 위에 코로나 방전 처리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TAC)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A) 가교제(B) 유기규소
화합물(C)
대전방지제
(D)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종류 함량
실시예 1 (A-1) 100 (B-1) 0.5 (C-1) 0.5 3
실시예 2 (A-1) 100 (B-1) 0.5 (C-1) 1 3
실시예 3 (A-1) 100 (B-2) 0.5 (C-1) 1.2 3
실시예 4 (A-1) 100 (B-1) 1.5 (C-1) 0.01 3
실시예 5 (A-1) 100 (B-3) 0.12 (C-1) 0.5 3
실시예 6 (A-1) 100 (B-3) 0.14 (C-1) 0.5 3
실시예 7 (A-2) 100 (B-1) 0.5 (C-1) 0.5 3
실시예 8 (A-3) 100 (B-1) 0.5 (C-1) 0.5 3
실시예 9 (A-4) 100 (B-1) 0.5 (C-1) 0.5 3
실시예 10 (A-5) 100 (B-1) 0.5 (C-1) 0.5 3
실시예 11 (A-6) 100 (B-1) 0.5 (C-1) 0.5 3
실시예 12 (A-7) 100 (B-1) 0.5 (C-1) 0.5 3
실시예 13 (A-4) 100 (B-3) 0.12 (C-1) 0.5 3
실시예 14 (A-1) 100 (B-1) 3.5 (C-1) 0.5 3
실시예 15 (A-1) 100 (B-1) 0.5 (C-2) 0.5 3
실시예 16 (A-1) 100 (B-1) 0.5 (C-2) 1 3
실시예 17 (A-1) 100 (B-2) 0.5 (C-2) 1.2 3
실시예 18 (A-1) 100 (B-1) 1.5 (C-2) 0.01 3
실시예 19 (A-1) 100 (B-3) 0.12 (C-2) 0.5 3
실시예 20 (A-1) 100 (B-3) 0.14 (C-2) 0.5 3
실시예 21 (A-2)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2 (A-3)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3 (A-4)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4 (A-5)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5 (A-6)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6 (A-7) 100 (B-1) 0.5 (C-2) 0.5 3
실시예 27 (A-4) 100 (B-3) 0.12 (C-2) 0.5 3
실시예 28 (A-1) 100 (B-1) 3.5 (C-2) 0.5 3
비교예 1 (A-1) 100 (B-1) 0.5 (C-3) 0.5 3
비교예 2 (A-1) 100 (B-3) 0.3 (C-3) 0.5 3
비교예 3 (A-1) 100 (B-4) 0.5 (C-1) 0.5 3
비교예 4 (A-1) 100 (B-4) 0.5 (C-2) 0.5 3
상기 표 1에 기재된 구체적인 성분명은 아래와 같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A-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3: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4: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5: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6: 상기 제조예 6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A-7: 상기 제조예 7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가교제(B)
B-1: D-110N(미쯔이 화학 제)
B-2: Coronate-HXR(일본폴리우레탄공업 제)
B-3: CL-467(메나디오나 제)
B-4: Coronate-L(일본폴리우레탄공업 제)
유기규소 화합물(C)
C-1: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1]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5
C-2: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1]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6
C-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7
대전방지제(D)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험예
(1) 점착력 평가
상기 제조된 점착 시트를 길이 25mm×폭 100mm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노출된 점착층을 유리기판(#1737, 코닝 제)에 0.25MP의 압력으로 부착하고,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조건 하에서 20분동안 오토 클레이브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온 점착력 측정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시편을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 제)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를 유리기판으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상온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가온 점착력 측정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시편을 50℃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 후,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 제)를 이용하여, 점착 시트를 유리기판으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가온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2) 리워크성 측정
상기 제조된 점착 시트를 길이 25mm×폭 100mm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노출된 점착층을 유리기판에 0.25MP의 압력으로 부착하고, 50℃의 온도 및 5기압의 조건 하에서 20분동안 오토 클레이브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내열 리워크성 측정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시편을 80℃의 오븐에서 10시간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상온에서 120시간동안 보관한 후 1.3cm/sec의 속도로 점착층을 박리하였다.
내습열 리워크성 측정을 위하여 상기 제조된 시편을 60℃의 온도 및 90%RH의 오븐에서 12시간동안 방치한 후 상온에서 120시간동안 보관한 후 1.3cm/sec의 속도로 점착층을 박리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기준>
○: 내열 리워크성 및 내습열 리워크성 모두에서 유리 기판에 점착제의 남음이 없고 기재필름(TAC 필름)의 찢어짐이 없이 깨끗이 박리됨.
×: 내열 리워크성 및 내습열 리워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유리 기판에 점착제가 남아있거나 박리과정에서 기재필름(TAC 필름)이 찢어짐.
(3) 내구성(내열, 내습열) 평가
제조된 점착 시트를 길이 200mm×폭 300mm로 절단하고 이형 필름을 박리한 후, 노출된 점착층을 유리 기판(210㎜×350㎜×0.7㎜)에 부착하고 오토 클레이브 처리(50℃×30분 0.5MPa)를 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5㎏/㎠이며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내열성 평가는 시편을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내습열성 평가는 시편을 60℃, 90%RH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기준>
ⓞ: 기포나 박리 없음.
○: 기포나 박리 < 5개
△: 5개 ≤ 기포나 박리 < 10개
×: 10개 ≤ 기포나 박리
(4) 밀착성 측정
상기 제조된 점착 시트를 길이 25mm x 폭 5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TAC 필름 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폭: 25mm, 수광사)를 개재하여 SUS304 판에 부착시켰다. 이 후, 탄성 고무(네오푸렌 고무, 고우다사)를 이용하여 점착층 면을 1MPa의 압력과 0.1m/s의 속도로 길이(25mm) 방향으로 20회 왕복시켰다. 이 때 점착층이 TAC 필름 상에서 밀리는 거리를 측정하여 밀착성을 판단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10mm미만
○: 10mm이상 15mm미만
△: 15mm이상 20mm미만
×: 20mm이상
(5) 겔분율 평가
250메쉬의 철망(100㎜×100㎜)에 점착시트의 점착층을 약 0.25g 첩부하고, 겔분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감쌌다. 정밀 천칭으로 중량(B)을 측정한 후, 철망을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에 3일간 침지하였다. 침지된 철망을 꺼내어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으로 세정하고, 120℃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중량(C)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중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 1로 겔분율을 계산하였다.
[식 1]
겔분율(%) = (C-A)/(B-A) × 100
식 중, A는 철망의 중량, B는 점착층을 첩부한 철망의 중량, C는 침지 후 건조한 철망의 중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B-A)는 점착층의 초기 중량을 의미하고, (C-A)는 겔화된 점착층의 중량을 의미한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점착력 비율은 상온 점착력에 대한 가온 점착력의 비율를 의미한다.
구분 점착력(N/25mm) 점착력 비율 리워크성 내구성 밀린 거리
(mm)

분율
(%)
상온 점착력 가온 점착력 내열성 내습열성
실시예 1 3.8 4.9 1.3 73.2
실시예 2 5.4 6.5 1.2 74.8
실시예 3 3.1 6.5 2.1 71.5
실시예 4 2.1 3.2 1.5 74.8
실시예 5 4.1 3.8 0.93 69.7
실시예 6 3.8 4.2 1.1 70.3
실시예 7 3.3 4.3 1.3 75.2
실시예 8 3.6 5.8 1.6 73.8
실시예 9 9.5 15.2 1.6 × × 69.5
실시예10 0.6 1.0 1.6 × 70.2
실시예11 3.8 4.7 1.2 × × × 76.2
실시예12 0.8 1.3 1.6 × × 67.2
실시예13 11.2 16.8 1.5 × × × 69.5
실시예14 0.5 0.8 1.5 × × × 75.8
실시예15 3.7 4.4 1.2 71.8
실시예16 3.2 3.9 1.2 72.2
실시예17 2.9 3.5 1.2 73.1
실시예18 2.0 3.5 1.8 72.3
실시예19 4.2 4.9 1.2 73.2
실시예20 3.7 4.6 1.2 70.9
실시예21 2.7 3.2 1.2 74.2
실시예22 3.5 4.1 1.2 71.5
실시예23 8.9 14 1.6 × × 72.8
실시예24 0.7 1 1.4 × 71.6
실시예25 3.8 4.4 1.2 × × × 72.8
실시예26 1.0 1.5 1.5 × × 70.4
실시예27 10.8 16.5 1.5 × × × 73.5
실시예28 0.3 0.9 3.0 × × × 72.7
비교예 1 3.6 10.8 3 × × 70.1
비교예 2 4.0 10.0 2.5 × × 74.6
비교예 3 3.0 3.3 1.1 × × 74.6
비교예 4 2.9 3.2 1.1 × × 73.8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기재 필름에 대한 밀착성을 확보하면서도 장시간 방치 후에도 향상된 리워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규소 화합물이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포함하고, 아민기 또는 설파이드기를 포함함에 따라, 내열성 및 내습열성 등의 내구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는 유기규소 화합물이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지 못하여 고온/다습 환경에서 장시간 방치 후 리워크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9)

  1. 아크릴계 공중합체;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및
    적어도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성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혼합물은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의 극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아미드기 및 아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5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제1 단량체 및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인 제2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40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중합성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1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아민기 또는 설파이드기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메틸렌기로 연결된 두개의 카보닐기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말로닐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8
    [화학식 2]
    Figure PCTKR2023000013-appb-img-000009
    (상기 화학식 1 및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이고, R6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이고, R2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2가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며,
    R3 내지 R5 및 R8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콕시기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황변 타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 0.1중량부 내지 3중량부, 및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 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배치되며, 청구항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하기 식 2에 따른 점착력 변화율은 0.8 내지 2.2인, 점착 시트:
    [식 2]
    점착력 변화율=PH/PC
    (식 2 중, PC는 상기 점착 시트를 대상체에 부착시키고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이고,
    PH는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고 50℃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23℃의 온도 및 50%RH의 조건 하에서 상기 점착 시트를 상기 대상체로부터 300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o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여 측정된 점착력임).
  18.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면 상에 배치되며, 청구항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기재 필름 하면 상에 배치된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19. 청구항 18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CT/KR2023/000013 2022-01-06 2023-01-02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WO20231325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50 2022-01-06
KR20220002050 2022-01-06
KR1020220075844A KR20230107089A (ko) 2022-01-06 2022-06-21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KR10-2022-0075844 2022-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578A1 true WO2023132578A1 (ko) 2023-07-13

Family

ID=8707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013 WO2023132578A1 (ko) 2022-01-06 2023-01-02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3257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715A (en) * 1988-04-08 1991-01-08 Nippon Paint Co., Ltd. Curable composition
KR20120137779A (ko) * 2011-06-13 2012-12-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용 접착제 조성물, 접착제층 및 이면 보호 시트
KR20150025702A (ko) * 2013-08-30 2015-03-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80095687A (ko) * 2015-12-22 2018-08-27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에멀젼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KR20200090153A (ko) * 2017-12-14 2020-07-2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715A (en) * 1988-04-08 1991-01-08 Nippon Paint Co., Ltd. Curable composition
KR20120137779A (ko) * 2011-06-13 2012-12-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용 접착제 조성물, 접착제층 및 이면 보호 시트
KR20150025702A (ko) * 2013-08-30 2015-03-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80095687A (ko) * 2015-12-22 2018-08-27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에멀젼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KR20200090153A (ko) * 2017-12-14 2020-07-2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코팅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108A1 (ko)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WO2013012273A2 (ko) 터치 패널
WO2013012274A2 (ko) 터치 패널
WO2012111963A2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59918A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056710A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14204250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10765A1 (ko) 화합물
WO2014204253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09131393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8056675A2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0226461A1 (ko) 실리콘계 점착성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WO2021060876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2578A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광학필름
WO2018048272A2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1194071A1 (ko)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WO2015099279A1 (ko)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WO2018062744A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19054751A1 (ko) 광학 적층체
WO2016006875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23008747A1 (ko)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7183940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WO2018048065A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19132455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WO2015190826A1 (ko)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373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