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63808A1 -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63808A1
WO2023063808A1 PCT/KR2022/015768 KR2022015768W WO2023063808A1 WO 2023063808 A1 WO2023063808 A1 WO 2023063808A1 KR 2022015768 W KR2022015768 W KR 2022015768W WO 2023063808 A1 WO2023063808 A1 WO 20230638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gment
electrode assembly
uncoated portion
height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57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명안
류덕현
우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8923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5425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A323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CA3233788A1/en
Publication of WO20230638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638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a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highly applicable to each product group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used not only in portable devices but also in electric vehicles (EVs) or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driven by an electrical driving source. It is universally applied.
  • EVs electric vehicles
  • HEVs hybrid electric vehicles
  •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parallel according to a charge/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and the type of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and/or charge/discharge capacity.
  •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is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form of a jelly roll is formed by winding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an to configure the battery.
  • An electrode tab in the form of a strip may be connected to the non-coated portion of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the electrode tab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a cap plate of a sealing body sealing the opening of the battery can
  •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the battery can.
  • a cylindrical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uncoated regions are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and a current collecting plate is welded to the uncoated region to improve the current collection efficiency.
  • a cell (a so-called tab-less cylindrical battery cell) is presented.
  • FIG. 1 to 3 ar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tab-less cylindrical battery cell.
  • 1 shows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 FIG. 2 shows a winding process of the electrode plate
  • FIG. 3 shows a process of welding a current collector plate to a bent surface of a non-coated portion.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ctive material 21 is coated on a sheet-shaped current collector 20, and are disposed on one long side along a winding direction X. It includes an uncoated portion 22 .
  • the electrode assembly (A)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11 together with two sheets of separator 12 as shown in FIG. 2 and then winding them in one direction (X). At this time, the uncoated port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 the one direction (X) means a winding direction centered on the axis.
  • the uncoated portion 10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uncoated portion 11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 are bent toward the core. After that, the current collector plates 30 and 31 are welded and coupled to the uncoated portions 10a and 11a, respectively.
  • the current collecting plates 30 and 31 are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de terminals, and the current path winds the electrode assembly A. Since it is formed with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long the axial direction (see arrow), it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resistance of the battery cell. This is because resistan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 the shapes of the uncoated portions 10a and 11a may be irregularly distorted and deformed.
  • the deformed portion may contact the electrode plate of the opposite polarity to cause an internal short circuit or cause fine cracks in the uncoated regions 10a and 11a.
  • the uncoated portion 32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is bent, all 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avity 33 in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is closed.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That is, the cavity 33 in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injected.
  • bent portions of the uncoated portions 10a and 11a where the current collector plates 30 and 31 are welded must overlap several layers and must not have empty spaces (gaps). In this way, sufficient wel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and even if the latest technology such as laser welding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laser penetrates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 and melts the separator or the active material.
  • the positive electrode uncoated portion 10a is formed entirely on the electrode assembly A. Therefore,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p of the battery can is press-fitted to form the beading part, the upper edge region 34 of the electrode assembly A is pressed by the battery can. Such pressure may cause partial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ssembly A, and at this time, an internal short circuit may occur as the separator 12 is torn. If a short circuit occurs inside the battery, heat generation or explosion of the battery may occur.
  • the inorganic coating separator has an asymmetric impregnation characteristic for the electrolyte because one side is the fabric and the other side is the inorganic (ceramic) coating layer.
  • the conventional single-sided inorganic coating separator has a large problem in that the shrinkage width is large at a high temperature of 130 ° C. or higher, as one side of the separator is exposed and has a limit in heat resistance.
  • the internal electrode short-circuit caused by the shrinkage of the separator during thermal shock 130 ° C or higher
  • the risk of ignition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ell increased due to abnormal reactions (overcharge, external short circui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under the background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electrolyte impregnation characteristic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uncoated portion structure to relieve stress applied to the uncoated portion when bending the uncoated portion expos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electrolyte injection passage is not blocked even when the uncoated portion is bent.
  •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whe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n is beaded.
  •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energy density and reduced resistance.
  •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ylindrical battery cell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turn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are wound in one direction around an axis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each independently includ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s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each independently include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on at least one surface, wherein the first part i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side part I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from,
  • the second portion is a plain portion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extends from the first side portion to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or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by a cu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 the segmental segment has a first end coincident with the first side
  • All or at least some of the segmental segments are bent radially about an axis at a bending point, which is any point in the segmental segment below the first distal end;
  • On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located between the bending point of each segment and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 on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located between the bending point and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but the separation membrane has the incision (s) It is arranged so that the notched bone (s) of is not exposed.
  • the bending point is a point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reference line
  • the reference line i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in the winding direction. It is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X).
  •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seg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independently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first en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segment segments of neighboring winding turns among the bent segment segments are continuously overlapped in a radial direction or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axis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r a surface area is formed at the bottom,
  • One end of the separator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90% of the height (Has) of the surface area based on the reference line, or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below the reference line will be.
  • the uncoated portion includes a core side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re.
  • a middle uncoated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side u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 At least one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has a relatively smaller distance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first side portion tha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 the core side uncoated portion has a relatively small distance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first side portion compared to the middle u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line.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includes an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most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includes an uncoated portion of an electrode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outermost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all or at least a part of the middle uncoated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bending point and the separation membrane are separated by 0.1 mm or more.
  • either end of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bending point and the reference line or is located below the reference line, and the reference line is a plurality of It is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s dividing the segments in the winding direction (X).
  • a bent segment among the segment segments is referred to as a bend segment, and for a minimum bend segment having the smallest height among the segment segments, the separation membrane
  •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t less than 50% of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 segm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or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at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 segm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It is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30%, and the reference line is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nding direction (X)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tching valley of the incision grooves.
  • the distance from the first end of the minimum bend segment to the reference line is 2 mm or more.
  •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bending line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bending line to the first end
  • the bending point is a point at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starts to be 45° or less among the portions caused by the segmental piece being bent toward the winding center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is the tangent to the bending point and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the angle between perpendicular planes.
  •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bend line based on the bend line is equal to the length from the bend line to the first end of the segment segment. or short,
  • the bending line means a line that includes a bending point and is horizontal to the reference line, and the bending point is a point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line starts to be 45° or less among the parts generated by bending the segment piece toward the winding center by an external force.
  •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means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line to the bending point and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egment (segment A)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minimum bend segment, or the minimum bend segment
  • the minimum segment segment is the minimum segment segment without including segments having a smaller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mean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first end of the segment segment.
  • the segment A is disposed closer to the core than other segment segments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has a height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Characterized in that will be.
  •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structure of a quadrangle, trapezoid, triangle, parallelogram, semicircle or semiellipse. .
  •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is trapezoidal, and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individually or in groups are trapezoidal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from the core side. It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lower interior angle.
  • At least one of the height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is individually or groupwise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re. It increases step by step from th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ce.
  •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width condition of 1 mm to 6 mm in a winding direction; a height condition of 2 mm to 10 mm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conditions are satisfied from among conditions of a separation pitch of 0.05 mm to 1 mm in the winding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gments satisfy a condition of a separation pitch of 0.05 mm to 1 mm in a winding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pitch is two adjacent segments. It is def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rs of the piece, and a round reinforcement part is added to the corner of the adjacent segment piece.
  • the radius of the round reinforcing portion is 0.02 mm or more and 0.1 mm or less.
  • a twenty-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first to twenty-fifth aspects,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notched bone of each segment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gap is 0.2 mm to 4 mm.
  •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form a plurality of segment segment groups going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periphery, and the segment segments belonging to the same segment segment group At least one or more of the width in the winding direction, the height in the winding axial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pitch in the winding direction are equal to each other.
  • W2/W3 widths in the winding direction of each of the three consecutively adjacent segment fragment group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W1, W2, and W3, respectively.
  • W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bination of segment groups in which W3/W2 is smaller than W1.
  • the segment segments belonging to the same segment group have width in the winding direction, height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and winding direction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pacing pitch increases step by step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a 31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28th to 30th aspects,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 groups are disposed in the same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a 32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sixth to 31st aspects,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has no segmental structure in the uncoated portion.
  • a 33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sixth to 32nd aspe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has no segmental structure in the uncoated portion.
  •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are bent toward the core along a rad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that are bent are closer to the cor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with fields.
  • a thirty-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ty-fourth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vity is provided in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vity is not blocked by a plurality of segments bent toward the core.
  •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and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segmen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have a relational expression H ⁇ It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R.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decreases in height from the core si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winding direction.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inclu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have at least one of a width in the winding direction, a height in the winding axial direction, and a separation pitch in the winding direction larger than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included in the middle uncoated region. to do it
  • the separator is a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a porous coating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 the inorganic particle includes an inorganic particle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 a for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battery cell, where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 a battery can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to have a first polarity
  •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a porous coating lay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41st aspects.
  • the second portion that is, the uncoated portion
  • the second portion is a core-side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core portion, an outer-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It is to include the middle uncoated region located at.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has a relatively smaller height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tha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 the battery can has a beading portion press-fitted toward the inside at an end adjacent to the open end,
  • the press-in depth (D1) of the beading portion and the distance (D2)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to the boundary poi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are the relational expression D1 It satisfies ⁇ D2.
  • a forty-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orty-fourth to forty-fifth aspects, the current collector plat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iddle uncoated portion;
  •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insulator covering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and having an edge interposed and fix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art and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 the outermost diameters of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and the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are smaller tha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and the diameter of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is smaller than the outermost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characterized by equal or greater
  •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is locat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eading part.
  • the segments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ar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core side, and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avity.
  • the cav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blocked by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 the middle uncoated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 a fif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rding to the fifty-fifth aspect,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structure of a quadrangle, trapezoid, triangle, parallelogram, semicircle, or semiellipse.
  •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has a width condition of 1 mm to 6 mm in a winding direction; height conditions of 2 to 10 mm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And at least one or more conditions of a separation pitch condition of 0.05 to 1 mm in the winding direction are satisfied.
  • a fif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orty-second to fifty-second aspects, wherein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notched bone of the segmental piec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gap is 0.2 mm to 4 mm.
  • the 55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50th to 54th aspects, wherein the plurality of segments constitute a plurality of groups,
  • the segments belonging to each group have the same at least one of the width in the winding direction, the height in the winding axial direction, and the spacing pitch in the winding direction,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s constitutes the same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56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50th to 55th aspects, wherein the plurality of segments constitute a plurality of groups,
  • W3 / W2 is smaller than W2 / W1. Including a combination of segment groups will be.
  • the sealing body includes a cap plate sealing the open end of the battery can, and surrounding an edge of the cap plate to cover the battery can. It includes a gasket crimped at an upper end, and the terminal having the second polarity is the cap plate.
  • the 58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ving the first polarit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battery can. Further comprising a collector plate to which is coupled,
  • the sealing body includes a cap plate without polarity, and a gasket wrapped around an edge of the cap plate and crimped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n,
  • the battery can includes a rivet terminal that is installed to be insulative in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a closed surfa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to have the second polarity.
  • a fifty-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wherein the battery cell includes another battery cell in any one of the forty-second to fifty-eighth aspects.
  • a sixtie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wherein the automobile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fifty-ninth aspect.
  •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ell may be reduced and energy density may be increased by using the uncoated portion itself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an electrode tab.
  •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no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due to partial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 the structure of the no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improved to prevent the uncoated portion from being torn when the uncoated portion is bent, and the wel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uncoated portion.
  •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welding of the battery can and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easily.
  •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low internal resistance, prevention of internal short circuit, and improved welding strength between a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n uncoated region,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a vehicle may b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ffec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or descriptions of effec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used in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tab-less cylindrical battery cell.
  • FIG. 2 is a view showing a winding process of an electrode plate of a conventional tab-less cylindrical battery cell.
  • FIG 3 shows a process of welding a current collector plate to a curved surface of a non-coated portion in a conventional tab-less cylindrical battery cell.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b and 7c are enlarged views showing segment segments in more detail.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definitions of width, height, and separation pitch of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b and 9c are enlarged views showing a segment portion in more detail.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definitions of width, height, and separation pitch of se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jelly roll-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FIG. 13 is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y one of the electrode plates of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modifications thereof)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shaft of the electrode assembly that is wound in the form of a jelly roll is referred to as an axial direction (Y).
  • a direction surrounding the winding shaft is referred to 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circumferential direction (X).
  • a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winding axis is referred to as a radial direction or a radial direction (Z).
  • a direction closer to the winding axis is referred to as a centripetal direction
  • a direction away from the winding axis is referred to as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are wound in one direction around an axis to form a plurality of winding turns.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each independently includ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have a rectangular sheet shape.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have a sheet shape with an aspect ratio exceeding 1. At this time, each side of the end of each electrode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ortion.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side portion is a side formed along the lowermost end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42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Y), and the first side portion is the uppermost end of the uncoated portion 43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Y). It is a side formed along the wealth.
  •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each independently include a first portion that is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t least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 the first portion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toward the first side portion. 4 shows the shape of the electrode plate before winding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may have a constant width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electrode plate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to a portion where the uncoated portion starts in the axial direction.
  • the second portion is a non-coated portion that is not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second portion forms an electrode tab and extends from the first side portion to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ide por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by a cu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not shown).
  • the segment has a first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 all or at least some of the segment segments are radially bent with respect to an axis at a bending point, which is any point in the segment segment below the first end, and at this time, any one side of the separator
  • the distal end may be located between the bending point and the boundary line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 either end of the separat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ending point and the reference line or positioned below the reference line.
  • the bending point may be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reference line.
  • the uncoate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and at this time, the separator may be disposed so that notched valleys of incisions between the segment segments are covered with the separator and not exposed.
  • the arrangement of such a separa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each of the segments may have a different height at the first end, a different shape for each incision groove, and a different height of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That is, the shape and size of the fragments themselves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incision grooves themselv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may be defined by an axial distance (C2, D2) from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defining the segment segment to the first end of the segment segment. If the heights of the notched bones of the incision grooves on both sides are different based on the segmental fragment, the height of the segmental fragment is the axial distance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height of the notched bones of the incisional grooves on both sides to the first end of the segmental fragment. can be defined as
  • the reference line is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nding direction (X)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s.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each independentl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that is a conductive thin film and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dispos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active material layer forms a first part in the electrode plate.
  • the sheet-shaped first and second electrode plates may have aspect ratios greater than 1.
  •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formed at an end of a long side of the uncoated por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uncoated portion is used as an electrode tab by itself.
  • the uncoated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Including the mucous membrane.
  • At least one of the core-side non-coated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may have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the middle non-coated portion.
  • 'height' may mean a distance (length)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x) to the first sid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 the relative value of the height measur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winding direction has meaning rath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is height.
  • the regulation of the line (zero point) that is the standard for measuring the height can be omitted.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ay be a relative distance at a specific point based on an arbitrar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 the reference line (zero point) for measuring the height may be the second side.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art in the section where the segment segment is not formed, it means the distance to the first side,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segment segment is formed, the first side mean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d of the segment segment.
  •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incision between the segments is not considered when measuring the height of the uncoated area in the section where the segments are formed.
  • the height of the notching bone is measured based on a portion having the lowest height among the incision grooves.
  • the electrode plate 4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41 made of metal foil and an active material part 42 .
  • the metal foil may be aluminum or copper, and is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plate 40 .
  •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41 , and the uncoated portion 43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long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in the winding direction X.
  • the uncoated portion 43 is a region not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 An insulating coating layer 44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 the uncoated portion 43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overlaps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 the uncoated portion 43 .
  •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l 2 O 3 .
  • the uncoated portion 43 includes a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djacent to the cor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an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B2)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3 are uncoated portions adjacent to the core side when each electrode plate 40 is wound as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It can be defined as the non-coated area of the area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and the non-coated area of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se areas.
  • the boundary between B1/B2 is the point at which the height (or change pattern) of the uncoated region substantially changes from the cor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r a point at a predetermined % based on the radius of the electrode assembly (eg, 5% or 10% of the radius). , the 15% point, etc.).
  • the boundary of B2/B3 is the point at which the height (or change pattern) of the uncoated region substantially chang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core side, or a point at a predetermined % based on the radius of the electrode assembly (eg, 85% or 90% of the radius). , the 95% point, etc.).
  • the middle uncoated area B2 can be automatically specified. If only the boundary of B1/B2 is specified, the boundary of B2/B3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t a point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boundary of B1/B2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t a point near the cor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43 is not constant and there is a relative difference in the winding direction X. That is, the height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45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plate 45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at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can be deformed into a step shape (see dotted line) in which the height decreases step by step.
  •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by a cu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not show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5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ights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s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height of the middle non-coated portion B2 may have a step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divid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43 changes.
  • the number of patterns and the height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and width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each pattern may be adjusted to maximize stress dispersion during the bending process of the uncoated portion 43 .
  • the stress distribution is to prevent the uncoated portion 43 from tearing.
  • the width (d B1 )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design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av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e is not covered when the patterns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re bent toward the core.
  •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 of the patterns 1 to 7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by a cu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not shown). ).
  • the width (d B1 )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first side of pattern 1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of pattern 1.
  • the width (d B1 ) of the non-coated portion B1 on the core side is 180 to 180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e. It can be set to 350mm.
  • the width of each pattern can be designed to constitute the same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may have a step shape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while going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be modifi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embodiment.
  • the pattern structure applied to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may exte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see dotted line).
  •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6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shows that segment fragments were formed in the entire region of the middle mucous membrane.
  • the heights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s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61.
  • the plurality of segment pieces 61 may increase in height step by step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 all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gments are bent in a radial direction (winding cen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segmental fragments may be bent at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notched bone (bottom of the incision groove).
  • the point at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starts to become 45° or less among the portions generated by actually bending the segment segment toward the center by an external force is referred to as a bending point.
  •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means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line to the bending point and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axis of the electrode assembly.
  • a line including the bending point and being horizontal to the reference line is referred to as a bending line.
  • the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notched bones of the plurality of cut groov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notched bone in the winding direction (X) is used as a reference line.
  • the reference line may be determined 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height. For example, when 50% or more of the notched bones are located at a specific height, the reference line may be determined 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s. Alternatively, the reference lin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that occupies the largest length in the winding direction.
  • the reference line may be defined a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ight.
  • the reference line may be determined as an average height of the heights of the notched bones of the incision grooves.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x is 30% in the winding direction,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y is 30% in the winding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groove is z is the winding direction If the length occupied by is 40%, the reference line may be x*0.3+y*0.3+z*0.4.
  • the height of the notched bone may be a relative distance at a specific point based on an arbitrar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 the height of the incision grooves may b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to the incision groove.
  • the bending point may be located about 2 mm to 3 mm above the notched bone,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eference line.
  • the reference lin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 line extending from a point having the smallest height among the uncoated regions in the winding direction (Y). 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reference line may be the same as a line extending from a point having a minimum height among the uncoated regions in a winding direction.
  • the segmental piece 61 may be laser notched.
  • the segment pieces 61 can be formed by a known metal foil cutting process such as ultrasonic cutting or punching.
  •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or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in order to prevent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or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from being damaged during bending of the uncoated portion 43,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 the notched valley between the segments 61 It is preferable to leave a gap of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stress is concentrated near the lower end of the cutting line when the uncoated portion 43 is bent.
  • the gap is preferably 0.2 to 4 mm.
  • the gap may prevent damage to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or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due to tolerances during notching or cutting of the segmental piece 61 .
  • the electrode plate 40 when the electrode plate 40 is wound into an electrode assembly,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In this case, when the segmental piece 61 is bent,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may support the notched bone.
  • a gap between the notched bone of the segment piece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preferably 1.0 mm or more. This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 corresponding electrode is a cathode.
  • a gap between the notched bone of the segment piece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more preferably 2.0 mm or more. This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 corresponding electrode is an anode.
  • a gap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may not sufficiently exhibit the above-described damage preventing effect, and a cap larger than the above range may result in only a de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electrode without increasing the damage preventing effect.
  • An insulating layer may cover a boundary between the non-coated region where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coated and the region coated with the active material layer.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notched valley of the segment segment and the insulating layer. there is.
  • This gap may be between 0.2 mm and 1.5 mm.
  • a gap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may not sufficiently exhibit the above-described damage preventing effect, and a cap larger than the above range may result in a reduced bending support effect of the segment of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without increasing the damage preventing effect.
  •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61 may form a plurality of segment segment groups going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the segment segments belonging to the same segment group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height, and spacing pitch between segments.
  • a separation film (SP) facing the active material portion 42 and/or the insulating coating layer 44 of the electrode plate 60 of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provided and formed as an electrode assembly.
  • FIGS. 7B, 7C, 8, 9B, and 9C the point where the end of the separator is located on the u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in the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uncoated reg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and the depths of notched bones between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 the line extending th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notching bone is used as the reference line.
  • the reference line may correspond to a line connecting the lowest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to both ends of the uncoated portion.
  • the end (SL)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bending point and the reference line (DL) or located from the reference line toward the in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electrode plate toward the uncoated portion, that is,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side
  • the inner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side.
  •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surface area formed at the upper or lower end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by continuously overlapping segment segments of neighboring winding turns among the bent segment segments in a radial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 the height of the surface area (HS) whe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maximum height (highest point) in the winding axis direction and the reference line among the surface areas is referred to as the height of the surface area (HS),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height of the surface area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It may be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90% of (HS) or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lyte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long the notched valley (empty space),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egnation.
  •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olution moves to the incision between segments, and at this time,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mpregnated again to the notched valley, that is, the end of the separator located close to the reference line, and finally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electrode. impregnates me
  • the uniformity of impregnation of the electrolyte into the electrode assembly is increased.
  •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position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or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And more preferably, it is controlled to be placed at 90% or less of the height (HS) of the surface area.
  • the end of the separation membrane in the width direction is based on the reference line. It may be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less than 50%, within 40%, within 30%, within 20%, or within 10% of the height Ha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Preferably, it may be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30%.
  • the separator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notched bone of the incision between the segments is covered with the separator and not exposed.
  • the separator may be damaged by heat when the segments are welded later.
  •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within 30%, within 20%, or within 10% of the height (Ha) of the minimum bend segment based on the reference line in the inward direction (second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direction) can be located. In this way, when disposed below the reference line, all or at least part of the notched valley(s) may b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eparator.
  • the segment segment of group 1 may be a minimum bending segment, and on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50 of the height (Ha)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 the electrode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ne side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 or within 30%, or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within 30% of the height (Ha)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based on the reference line. It can be located in the inward direction (direction of the two sides) of the assembly.
  • the segment segment of Group 1 may be a minimum bending segment, and on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within 30% of the height (Ha)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based on the reference line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1 lateral direction) may be located.
  • Ha height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 the maximum length of Hb is less than 50% of the minimum bend segment height (length).
  • the maximum length of Hb is 30% of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 a segment segment serving as a standard for disposing a separation membrane may mean a segment segment having a minimum height among bent (bent) segment segments, and this segment is referred to as a minimum bending segment.
  • the minimum bending segment may be 2 mm or more, and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ing segmen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ending point.
  • the minimum segment segment may be determined among segment segments having a height of 2 mm or more.
  • the height A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bending line based on the bending line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bending line to the segment height B.
  • the height A from the reference line to the bending line based on the bending line may be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bending line to the segment height B.
  • the electrode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egment segment (segment segment A)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minimum bending segment segment. At this time, the segment A is not bent.
  • the segment A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ore than other segment segments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 the electrode assembly may not include a segment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minimum bending segment, and the minimum bending segment may be the minimum segment.
  •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is locat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3 mm or less than 1.5 mm based on the reference line, or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extends beyond the reference line. As a standard, it may be locat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in 3 mm or within 1.5 mm.
  • FIG. 8 is a view showing definitions of the width and height of segment segments 61 and the spacing between segment segments, that is, the separation p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dth C1, height C2, and spacing C3 of the segments 61 prevent the uncoated portion 43 from being torn during bending of the uncoated portion 43 and weld strength.
  • it is designed to prevent abnormal deformation of the uncoated portion 43 while sufficie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uncoated portion 43 .
  • Abnormal deformation means that the portion C4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line DL does not maintain a straight state and is irregularly deformed without hesitation.
  • the width C1 of the segment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1 to 6 mm.
  • C1 is less than 1 mm
  • a non-overlapping region or empty space (gap) is generated to the extent that welding strength can be sufficiently secured.
  • C1 exceeds 6 mm
  • the uncoated portion 43 near the reference line DL may be torn by stress when the segment segment 61 is bent due to the curvature of the wound electrode.
  • the height C2 of the segment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2 mm to 10 mm.
  • the height (C2) of the segmental piece 61 is less than 2 mm, the segmental piece 61 is not smoothly bent or does not overlap sufficiently to secure welding strength when the segmental piece 61 is bent toward the core. Areas or empty spaces (gaps)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C2 exceeds 10 mm,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 electrode plate while uniformly maintaining the flatness of the uncoated por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X).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uncoated area increases, resulting in a scallop.
  • the spaced pitch C3 of the segments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0.05 to 1 mm or 0.5 mm to 1 mm. If C3 is less than 0.05 mm, the uncoated portion 43 near the reference line DL (near the bottom of the incision between two adjacent segments) may be torn due to stress when the segment 61 is bent. On the other hand, if the separation pitch C3 exceeds 1 mm, a region where the segment segments 61 do not overlap each other or an empty space (gaps) may occur to the extent that the segment segments 61 can sufficiently secure welding strength when the segment segments 61 are bent. there is.
  • the corners of the two segments may be connected straight. That is, the bottom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 may have a flat straight shape extending in the winding direction (X). A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added to the corner portion.
  • a radius (r) of the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02 mm. If the radius is greater than this,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can be brought about.
  • a radius of the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0.1 mm or less. If the radius exceeds 0.1 mm,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is no longer increased, and the space near the bottom of the incision is reduced, so that th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impaired.
  • the width (d B1 ) of the core-side non-coated portion (B1) applies the condition that the cav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e is not covered when the segment 61 of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is bent toward the core.
  • the width (d B1 )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may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height (C2) of the segment piece 61 of group 1.
  • the width (d B1 ) of the non-coated portion B1 on the core side is 180 to 180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e. It can be set to 350mm.
  • the width of each segment group can be designed to make the same winding tur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width and/or height and/or spacing pitch of segments 61 belonging to the same segment group may increase or decrease gradually and/or stepwise and/or irregularly within the group.
  • Groups 1 to 7 are only examples of segment groups.
  • the number of groups and the number of segments 61 included in each group are such that the segment segments 61 are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to maximize the distribution of stress during the bending process of the uncoated portion 43 and to ensure sufficient welding strength. can be regulated.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may be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segmental structure of the middle uncoated region B2 can be exte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region B3 (see dotted line).
  •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similarly to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 the segment pie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have a larger width and/or height and/or spacing pitch than those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segments may be formed in groups of eight.
  • the segments of groups 1 to 7 may be formed o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nd the segmental fragments of group 8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s in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
  • the width d B1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may be 180 to 350 mm.
  • the width of group 1 may be 35 to 40% of the width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width of group 2 may be 130 to 150% of the width of group 1.
  • the width of group 3 may be 120 to 135% of the width of group 2.
  • the width of group 4 may be 85 to 90% of the width of group 3.
  • the width of group 5 may be 120 to 130% of the width of group 4.
  • the width of group 6 may be 100 to 120% of the width of group 5.
  • the width of group 7 may be 90 to 120% of the width of group 6.
  • the width of group 8 may be 115 to 130% of the width of group 7.
  • the reason why the widths of groups 1 to 8 do not show a constant increase or decrease pattern is that the width of segment segments gradually increases from group 1 to group 8, but the number of segment segments included in a group is limited to an integer number. Accordingly, the number of segment segments may be reduced in a specific segment group.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group may exhibit an irregular change pattern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while going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groups 4 to 6 correspond to this.
  • the width ratio of group 5 to group 4 is 120 to 130%, and the width ratio of group 6 to group 5 is 100 to 120%, which is less than 120 to 130%.
  • 9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de plate 7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plate 70 of the fifth embodiment is the fourth embodiment (or Vari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 Figure 10 shows the definition of the width, height and spacing pitch of the trapezoidal segments 61'.
  • the width (D1), height (D2), and distance pitch (D3) of the segment segment (61') are determined by the non-coated portion (D4) near the reference line (DL) during bending of the uncoated portion (43). It is designed to prevent abnormal deformation of the uncoated portion 43 while sufficie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uncoated portion 43 to prevent tearing and to secure sufficient welding strength.
  • the width D1 of the segment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1 to 6 mm. If D1 is less than 1 mm, when the segment segment 61' is bent toward the core, a region where the segment segment 61' does not overlap or an empty space (gap) may occur to the extent that welding strength can be sufficiently secured. On the other hand, if D1 exceeds 6 mm, the uncoated portion D4 near the reference line DL may be torn due to stress when the segment segment 61' is bent due to the curvature of the wound electrod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gment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2 mm to 10 mm.
  • the segment 61' is not bent smoothly or the segment 61' does not overlap sufficiently to secure welding strength when the segment 61' is bent toward the core. Areas or voids (gaps) may occur.
  • the spaced pitch D3 of the segments 61'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0.05 to 1 mm or 0.5 mm to 1 mm. If D3 is less than 0.05 mm, the uncoated portion D4 near the reference line DL may be torn due to stress when the segment piece 61' is bent.
  • the separation pitch D3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rs of two adjacent segment segments 61'. Corners of two adjacent segments may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form. That is, the bottom portion of the incision groove may have a flat straight shape extending in the winding direction (X).
  • a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the corner area.
  • a radius (r) of the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02 mm. If the radius is greater than this,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can be brought about.
  • a radius of the rou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0.1 mm or less. If the radius exceeds 0.1 mm,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is no longer increased, and the space near the bottom of the incision is reduced, so that th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impaired.
  • the spaced pitches C3 and D3 may be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widths C1 and D1 measured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adjacent segment segments 61 and 61' defining them. For example, as the width of the segments increases in the wind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pitch between them also tends to increase. According to this, th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width of the segment pieces in the winding direction may be set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width of the segment pieces in the winding direction may gradually increase or increase in stages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widths C1 and D1 of the segment pieces in the winding direction are in the range of 1 to 6 mm, and may decrease toward the core and increas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 the separation pitches C3 and D3 also exist within a range of 0.5 to 1 mm, and may gradually increase or increase gradually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lower interior angles ⁇ of the trapezoid may increase from the core si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segment pieces 61'.
  • the radius of curvature increases. If the lower interior angle ⁇ of the segment segment 61' increases as the radius of the electrode assembly increases, stress generated in the rad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when the segment segment 61' is bent can be relieved.
  • the lower interior angle ⁇ increases, when the segment 61' is bent, the area overlapping with the inner segment 61' and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also increase, so that the welding strength is uniform in the rad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can be secured and the bending surface can be formed flat.
  • the inner angle of the segment segment 61' when the radius of the electrode assembly 70 increases from 4 mm to 22 mm. may increase in stages from 60 degrees to 85 degrees.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may be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d, similar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segmental structure of the middle uncoated region B2 can be exte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region B3 (see dotted line).
  •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similarly to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 the segment pie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have a larger width and/or height and/or spacing pitch than those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60 and 60'
  • the shapes of each segment segment 60 and 60' are triangular, semicircular, It can be changed to a semi-ellipse, a parallelogram, etc.
  • a section in which stress is concentrated applies a round shape (eg, a semicircular shape, a semi-elliptical shape, etc.) that is advantageous for stress distribution, and a section in which the stress is relatively low is applied in a polygonal shape (eg, square, trapezoidal, equilibrium, etc.) having a wide area as much as possible. quadrilateral, etc.) can be applied.
  • a round shape eg, a semicircular shape, a semi-elliptical shape, etc.
  • a section in which the stress is relatively low is applied in a polygonal shape (eg, square, trapezoidal, equilibrium, etc.) having a wide area as much as possible. quadrilateral, etc.) can be applied.
  • the segmental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B2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segmental structure when the segmental structure is applied to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when the segment pieces 60 and 60'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re bent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re, the end portion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 reverse forming phenomenon in which is ben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may occur. Therefore, the core-side non-coated portion B1 does not have a segmented structure, or even if the segmented structure is applied, the width and/or height and/or spacing of the segmented pieces 60 and 60' can be reverse-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re. It is desirable to adjust to a level that does not occur.
  • the height of the segments at which this reverse forming can occur may be less than approximately 3 mm.
  • the minimum height (H min ) of the segment fragment may be 2 mm or more, or 3 mm or more, or 4 mm or more, or 5 mm or more.
  •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 segment may be 2 mm or more, or 3 mm or more, or 4 mm or more, or 5 mm or more.
  • H min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separator
  • the impregnation property can be greatly increased. That is, in determining the minimum segment segment defining the position of the end S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segment segments that may cause reverse forming or segment segments that are not bent may be excluded.
  • the position of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in the range of DL ⁇ 0.3Ha and in the range of DL ⁇ 1.5mm, or the position of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in the range of DL ⁇ 0.3Ha and is in the range of DL ⁇ 1.2mm
  • the position of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in the range of DL ⁇ 0.3Ha and DL ⁇ 0.9mm
  • the position of th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parator is in the range of DL ⁇ 0.3Ha and DL ⁇ 0.6mm.
  • the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ncluded in the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 the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other one.
  • electrode plate structure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not b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may be different.
  • any one of the embodiments (variations)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Fig. 1) may apply.
  • any one of the embodiments (modifications)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embodiments (variations) are selective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Examples) can be selectively applied.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y are known in the art.
  •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has a thickness of, for example, 3 to 500 ⁇ m.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is,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fired carbon, or carbon on the surfac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 those surface-treated with nickel, titanium, silver, etc. may be used.
  •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form fine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have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foils, nets, porous materials, foams, and non-woven fabrics.
  •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additionally mix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Such a conductive material is add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includ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example.
  •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and examples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and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y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may be used.
  • the negative electrode is manufactured by coating and dry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if necessary, components such as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material, binder, solvent,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has a thickness of, for example, 3 to 500 ⁇ m.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to the battery, and for example, the surface of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fir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 an aluminum-cadmium alloy, etc. may be used.
  • fin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o enhanc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foils, nets, porous bodies, foams, and nonwoven fabrics.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carbon such as non-graphitizing carbon or graphite-based carbon; Li x Fe 2 O 3 (0 ⁇ x ⁇ 1), Li x WO 2 (0 ⁇ x ⁇ 1), Sn x Me 1-x Me' y O z (Me: Mn, Fe, Pb, Ge; Me' : Al, B, P, Si, Groups 1, 2, and 3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halogens; 0 ⁇ x ⁇ 1;1 ⁇ y ⁇ 3; 1 ⁇ z ⁇ 8) metal complex oxides; lithium metal; lithium alloy; silicon-based alloys; tin-based alloys; SnO, SnO 2 , PbO, PbO 2 , Pb 2 O 3 , Pb 3 O 4 , Sb 2 O 3 , Sb 2 O 4 , Sb 2 O 5 , GeO, GeO 2 , Bi 2 O 3 , Bi 2 O 4 , oxides such as Bi 2 O 5 ;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acetylene; A Li-Co-
  • the binder polymer usable for the electrode is a component that assists in the binding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binding to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example,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contain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 binder polymers are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olybutyl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cetate, ethylene-co-vinyl acetate, Polyethylene oxide, polyaryl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pullulan, Any one bin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anoethylpolyvinyl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pullulan, and carboxylmethyl cellulose A polymer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solvent used for preparing the electrode include acetone, tetrahydrofuran,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N-methyl-2- pyrrolidone (N-methyl-2-pyrrolidone, NMP), cyclohexane, water or a mixture thereof. These solvents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viscosity so that a slurry coating layer can be formed at a desired level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polymer, and a conductive material,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terviews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ile interviewing the lower layer region. It consists of an upper layer region extending to the surface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upper layer region may each independently contain at least one of graphite and a silicon-based compound as an anode active material.
  • the lower layer region may include natural graphite as an anode active material, and the upper layer region may include artificial graphite as an anode active material.
  •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upper layer region may each independently further include a silicon-based compound as an anode active material.
  • the silicon-based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Ox (0 ⁇ x ⁇ 2) and SiC.
  • a lower layer slurry containing a lower laye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a current collector and dried to form a lower layer region, and then an upper layer layer containing a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n upper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layer region. It can be prepared by applying and drying a slurry to form an upper layer region.
  • the negative electrode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slurry for a lower layer containing a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lower layer and an upper slurry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n upper layer;
  • Forming an active material layer by simultaneously drying the coated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 a mixed region (intermixing) in which these different types of active materials are mixed may exist in a portion where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upper layer reg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negative electrode.
  • This is to form an active material layer by coating the lower layer slurry containing the lower laye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upper layer slurry containing the upper laye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the current collector simultaneously or continuously with a very short time difference, and then drying at the same time.
  • a predetermined mixing section is generated on the interface where the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come into contact before drying, and then this mixing sec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layer in the mixing area as it is dried.
  • the weight ratio (or the ratio of the loading amount per unit area) of the upper layer region and the lower layer region is 20:80 to 50:50, specifically 25:75 to 50:50 can
  • the thickness of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upper layer region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completely match the thicknesses of the coated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coated slurry for the upper layer.
  • the thickness ratio of the lower layer region and the upper layer region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nally obtained is the thickness of the coated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coated slurry for the upper layer. ratio can be matched.
  • the first slurry is coated, and the second slurry is coated on the first slurry at the same time or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is 0.6 seconds or less, or 0.02 seconds to 0.02 seconds. It may be a time difference of 0.6 seconds, or 0.02 seconds to 0.06 seconds, or 0.02 seconds to 0.03 seconds. Sinc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coating of the first slurry and the second slurry is due to the coating equipmen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coat the first slurry and the second slurry.
  • a method of coating the second slurry on the first slurry may use a device such as a double slot die.
  • the step of form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may further include rolling the active material layer after the drying step.
  • the rolling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roll pressing, and may be performed at, for example, a pressure of 1 to 20 MPa and a temperature of 15 to 30 °C.
  • the step of simultaneously drying the coated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to form an active material layer is performed by using a device combining a hot air drying and an infrared drying device, (can be carried out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 the weight % of the first binder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lower lay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eight % of the second binder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 the weight percent of the first binder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lower layer is 1.0 to 4.2 times, or 1.5 to 3.6 times the weight percent of the second binder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or 1.5 to 3 times larger.
  • the binder in the lower layer region is not too small, so the electrode layer is detached does not occur, and since the binder in the upper layer region is not too large, resistance of the upper layer portion of the electrode is reduced and rapid charging performance may be advantageous.
  • the weight percent of the first binder polymer in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lower layer is 2 to 30% by weight, or 5 to 20% by weight. Or it may be 5 to 20% by weight, and the ratio (wt%) of the second binder polymer to the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is 0.5 to 20% by weight, or 1 to 15% by weight, or 1 to 10% by weight, or 2 to 5% by weight.
  • a total ratio (wt%) of the first binder polymer and the second binder polymer in the total solid content of the slurry for the lower layer and the slurry for the upper layer may be 2 to 20% by weight or 5 to 15% by weight.
  •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a porous coating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and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may be a polyolefin-based porous substrate.
  •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or non-woven web.
  • having a porous structure enables smooth movement of the electrolyte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ncreases th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of the substrate itself, thereby securing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and prevents an increase in resistance inside the electrochemical device, thereby preventing electrical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the chemical element can be prevented.
  • any planar porous substrate commonly used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can be used, and its material or shape can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film or a non-woven web forme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8 to 30 ⁇ m,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thickness outside the above range may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r high rat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 the nonwoven fabric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the nonwoven fabric sheet may be manufactured by fiber spinning.
  • the fiber of the material may be made into a fiber spinning form at a melting point or higher and mixed spinning.
  • the nonwoven fabric sheet may have an elongation of 200 to 400%, more preferably 300 to 400%. If the elongation is less than 200%, the probability of contact between electrodes increases when the nail penetrates, and if it is greater than 400%, the area around the nail penetrates is also elongated, so the barrier property is reduced because the separator is thin. will do
  •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1 to 10 ⁇ m are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 the size of the pores is smaller than 0.1 ⁇ m, the smooth movement of lithium ions and/or the electrolyte may not be achieved, and when the size of the pores is larger than 10 ⁇ m,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eparated by stretching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when the nail penetrate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contact may not be achieved.
  • the non-woven fabric sheet may have a porosity of 40 to 70%. If the porosity is less than 40%, the smooth movement of lithium ions and / or electrolyte may not be achieved, and if the porosity is greater than 70%, the non-woven fabric sheet is stretched during nail penetration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The effect of the invention may not be achieved.
  • the nonwoven fabric sheet prepared in this way may have an air permeability of 1 to 20 seconds/100 mL.
  • the non-woven fabric sheet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20 ⁇ m,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it is possible to adopt a non-woven fabric sheet having a thickness outside the above range.
  • the nonwoven sheet may be bonded to the separator component underlying the nonwoven sheet by lamination.
  • the lamination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range of 100 to 150 ° C. When the lamination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100 ° C., the lamination effect does not occur, and when the lamination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150 ° C., the nonwoven fabric some will melt
  • the sepa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separator in which a layer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film or nonwoven fabric sheet. It has improved resistance to nail penetration when compared to
  • inorganic particles may be bound to each other by the binder polym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harg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an interstitial volume is formed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to form an interstitial spac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Stitial volumes can become empty spaces to form pores.
  • inorganic particles that is, inorganic particles that do not undergo oxidation and / or reduction reactions in the operating voltage range of the electrochemical device (eg, 0 to 5V based on Li / Li + ) are further added can be used.
  • performance improvement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ion conductivity in the electrochemical device.
  • the dissociation degree of an electrolyte salt for example, a lithium salt in the liquid electrolyte may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ionic conductivity of the electrolyte solution.
  • the inorganic particles preferably include high dielectric constant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5 or more, preferably 10 or more, inorganic particles having lithium ion transport capability, or a mixture thereof.
  • Non-limiting examples of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5 or more include BaTiO 3 , Pb(Zr,Ti)O 3 (PZT), Pb 1-x La x Zr 1-y Ti y O 3 (PLZT), PB(Mg 1 /3 Nb 2/3 )O 3 -PbTiO 3 (PMN-PT), Hafnia (HfO 2 ), SrTiO 3 , SnO 2 , CeO 2 , MgO, NiO, CaO, ZnO, ZrO 2 , Y 2 O 3 , Al 2 O 3 , TiO 2 , SiC, boehmite ( ⁇ -AlO(OH)), pseudo-boehmite (Al 2 O 3 ⁇ H 2 O), diaspore, ⁇ -AlO(OH), bierite (bayerlite, ⁇ -AlO(OH) 3 ), gibbsite (gibbsite, ⁇ -AlO(OH)
  • the aforementioned BaTiO 3 , Pb(Zr,Ti)O 3 (PZT), Pb 1-x La x Zr 1-y Ti y O 3 (PLZT), PB(Mg 1/3 Nb 2/3 )O 3 -Inorganic particles such as PbTiO 3 (PMN-PT) and hafnia (HfO 2 ) not only exhibit high dielectric constant characteristics of 100 or more, but also generate electric charges when they are stretched or compressed by applying a certain pressure, resulting in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both sides.
  • PMN-PT PbTiO 3
  • HfO 2 hafnia
  • Inorganic particles having lithium ion transfer ability refer to inorganic particles that contain a lithium element but do not store lithium and have a function of moving lithium ions. Since inorganic particles having lithium ion transfer ability can transfer and move lithium ions due to a kind of defect existing inside the particle structure, the lithium ion conductivity in the battery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battery performance.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having the lithium ion transport ability include lithium phosphate (Li 3 PO 4 ), lithium titanium phosphate (Li x Ti y (PO 4 ) 3 , 0 ⁇ x ⁇ 2, 0 ⁇ y ⁇ 3) , lithium aluminum titanium phosphate (Li x Al y Ti z (PO 4 ) 3 , 0 ⁇ x ⁇ 2, 0 ⁇ y ⁇ 1, 0 ⁇ z ⁇ 3), 14Li 2 O-9Al 2 O 3 -38TiO 2 -39P 2 O 5 , such as (LiAlTiP) x O y series glass (0 ⁇ x ⁇ 4, 0 ⁇ y ⁇ 13), lithium lanthanum titanate (Li x La y TiO 3 , 0 ⁇ x ⁇ 2, 0 ⁇ y ⁇ 3 ), lithium germanium thiophosphate ( Li x Ge y P z S w , 0 ⁇ x ⁇ 4
  • the inorganic particles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having hydrophilic properties.
  • the inorganic particles having hydrophilic properties include Al 2 O 3 and aluminum hydroxide-based inorganic particles
  • examples of the aluminum hydroxide-based inorganic particles include boehmite ( ⁇ -AlO(OH)) and similar boehmite (Al 2 O 3 ⁇ H 2 O), diaspore ( ⁇ -AlO(OH)), bayerlite ( ⁇ -AlO(OH) 3 ), gibbsite ( ⁇ -AlO(OH) 3 ), node Strandite (nordstrandite, AlO(OH) 3 ) and the like are exemplified.
  • the separation membrane may include one or more types of inorganic particles having such hydrophilic properties.
  • a hydrophilic organic solvent such as a carbonate-based organic solvent
  • the electrolyte impregnability of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further improved.
  • a separator substrate made of a polyolefin material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wettability by an electrolyte solution because such a separator substrate exhibits hydrophobic properties.
  • the inorganic particle size of the porous coating layer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0.001 to 10 ⁇ m in order to form a coating layer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have an appropriate porosity. If the particle size is less than 0.001 ⁇ m, the dispersibility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decrease, and if the particle size exceeds 10 ⁇ m, the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increase and mechan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and due to an excessively large pore size, internal short circuit may occur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re likely to happen
  • Binder polymers forming the porous coating layer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polymethyl Polymethylmethacrylate, polybutyl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cetate, ethylene-co-vinyl acetate copolymer acetate), polyethylene oxide, polyaryl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flurane (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vinyl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pullulan, and carboxylmethylcellulose.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 PVdF polyvinylidene
  •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e binder polymer used in the porous coating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or example, 50:50 to 99:1, more preferably 70:30 to 95:5. If the content ratio of the inorganic particles to the binder polymer is less than 50:50, the content of the binder polymer increases, and thus thermal stability improvement of the separator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and thus the performance of the final battery may be deteriorated.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exceeds 99 parts by weight, the peeling resistance of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be weakened because the content of the binder polymer is too small.
  • the thicknes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to 20 ⁇ m.
  •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ore siz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01 to 10 ⁇ m, and the porosity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90%.
  • the pore size and porosity mainly depend on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For example, when inorganic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 ⁇ m or less are used, pores formed are also approximately 1 ⁇ m or less. Such a pore structure is fill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o be injected later,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filled in this way plays a role in ion transfer.
  • the pore size and porosity are less than 0.001 ⁇ m and 10%, respectively, it may act as a resistance layer, and when the pore size and porosity exceed 10 ⁇ m and 90%, respectively,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 the porous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binder polymer in a dispersion medium, adding inorganic particles to obtain a slurry for forming a porous coating layer, coating the slurry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bstrate, and drying it.
  • a dispersion medium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ubility index is similar to that of the binder polymer to be used and the boiling point is low. This is to facilitate uniform mixing and subsequent removal of the dispersion medium.
  • Non-limiting examples of usable dispersion media include acetone, tetrahydrofuran, methylene chloride, chloroform, dimethylformamide, N-methyl-2-pyrrolidone ( N-methyl-2-pyrrolidone (NMP), cyclohexane, water or mixtures thereof.
  • the crushing time is appropriately 1 to 20 hours,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crushed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0.001 to 10 ⁇ m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methods can be used as a crushing method, and a ball mill method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binder polymer dispersion in which the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is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under a humidity condition of 10 to 80% and dried.
  • a method of coating the dispersion on a porous polymer substrate may use a conventional coating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dip coating, die coating, roll coating, comma Various methods such as coating or mixing methods thereof may be used.
  • additives such as a conductive agent may be further included as components of the porous coating layer.
  • the final manufactured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100 ⁇ m or 5 to 50 ⁇ 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 ⁇ m, the function of the separator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and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and if the thickness exceeds 100 ⁇ m, battery characteristics may be deteriorated during high-rate charging and discharging. In addition, it may have a porosity of 40 to 60% and an air permeability of 150 to 300 seconds/100mL.
  •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may use a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series.
  • Al oxide and Si oxide-based coating materials may be used as inorganic particles in the porous coating layer.
  • the porous coating lay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rous polymer substrate, a uniform solid electrolyte interface layer can be formed by improving the impregnation performance for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a conventional cross-sectional inorganic material Compared to the coated separator, superior air permeability can be secured. For example, it may be within 120s/100cc. In addition, even when an inorganic porous coating layer is provided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ickness equivalent to that of a conventional single-sided inorganic coating separator. For example, it may be within ⁇ 15.0 ⁇ m.
  • FIG. 11 shows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80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40 of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It is a cut section.
  • the electrode assembly 80 may be manufactured by the wind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uncoated portions 43a and 43b extending outside the separator is shown in detail, and the illustration of the winding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is omitted.
  • the uncoated portion 43a protruding upward extends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uncoated portion 43b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econd electrode plate.
  • a pattern in which the heights of the uncoated portions 43a and 43b change is schematically shown. That is, the heights of the uncoated portions 43a and 43b may vary irregularly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cross section is cut. For example, when the side portions of the trapezoidal segments 61 and 61' are cut,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in the cross sec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segments 61 and 61'.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heights of the uncoated portions 43a and 43b shown in the cross-sectional drawings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respond to the average of the heights of the uncoated portions (C2 in FIG. 8 and D2 in FIG. 10) included in each winding turn. .
  • the uncoated portion 43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ncludes a core side uncoated portion B1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8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80 ( B3), and a middle uncoated portion B2 interposed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 the height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pressed against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8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80 toward the core side.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not be substantially bent.
  • FIG. 12 shows a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90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45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It is a cut section.
  • the uncoated portion 43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ncludes a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9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90 ( B3), and a middle uncoated portion B2 interposed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nd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s from the core si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pressed against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9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90 toward the core side. In this case, the outermost side 92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not be substantially bent.
  • FIG. 13 shows any one of the electrode plates 50, 60, and 70 of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modifications thereof) attached to a first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negative electrode plate).
  •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lied jelly roll type electrode assembly 100 cut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the uncoated portion 43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ncludes a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B3), and a middle uncoated portion B2 interposed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43a i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or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equal to or smaller than.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0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not blocked by the bent portion. If the cavity 102 is not blocked, there is no difficulty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02,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pressed against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decrease gradually or stepwise, unlike that shown in FIG. 13 .
  •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is the same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but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i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core-side non-coated portion B1 and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to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It may gradually or stepwise increase to the boundary between (B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10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oward the core side. At this time, the core 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re not substantially bent.
  • the intermediate uncoated portion B2 includes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bending stress is alleviated, and tearing or abnormal deformation of the notched valley portion of the uncoated portion 43 can be prevented.
  • the width and / or height and / or spacing pitch of the segment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erical ra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gment segments are bent toward the core and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ufficiently secure the wel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surface Do not form hollow holes (gap) in (surface viewed from the Y-axis).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most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Other than tha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description of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modifications) is substantially the same for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1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not blocked by the bent portion. If the cavity 112 is not blocked, there is no difficulty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12,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gradually or stepwise increases from the core si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may exte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43a may gradually or stepwise increase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to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11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oward the core side. At this time,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not substantially bent.
  • the middle uncoated region B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region B3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bending stress is relieved to prevent tearing or abnormal deformation of the uncoated regions 43a and 43b near the notched bone.
  • the width and / or height and / or spacing pitch of the segment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erical ra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gment segments are bent toward the core and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ufficiently secure the wel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surface Do not form hollow holes (gap) in (surface viewed from the Y-axis).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the electrode assembly 120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0 of FIG. 13 only in that it has a pattern in which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gradually or stepwise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is the same as
  • Such a change in height of the middle non-coated portion B2 can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ep pattern (see FIG. 6) or segment segment (see FIG. 7a or FIG. 9a)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bent portion does not block the cavity 12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If the cavity 122 is not blocked, there is no difficulty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22,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pressed against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In one modification,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may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12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toward the core side. At this time, the core 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re not substantially bent.
  • the bending stress is alleviated to prevent the uncoated portions 43a and 43b from being torn or abnormally deformed.
  • the width and / or height and / or spacing pitch of the segment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erical ra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gment segments are bent toward the core and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ufficiently secure the wel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surface Do not form hollow holes (gap) in (surface viewed from the Y-axis).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winding axis direction).
  • the electrode assembly 130 has a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compar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20 of FIG. It is different in that it has a pattern that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s towar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extends the step pattern (see FIG. 6) included i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pattern heigh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Or it can be implemented by reducing step by step. Further, in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height chang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extends the segmental segment structure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segmental segment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t can be implemented by reducing the float step by step.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bent portion does not block the cavity 13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If the cavity 132 is not blocked, there is no difficulty in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32,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side current collector plate and the battery ca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ends 131 of the upper uncoated portion 43a and the lower uncoated portion 43b may b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toward the core side. At this time,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not substantially bent.
  • the middle uncoated region B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region B3 include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bending stress is relieved to prevent tearing or abnormal deformation of the notched valley portions of the uncoated regions 43a and 43b.
  • the width and / or height and / or spacing pitch of the segment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erical rang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gment segments are bent toward the core and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ufficiently secure the welding strength, and the bending surface Do not form hollow holes (gap) in (surface viewed from the Y-axis).
  • Various electrode assembly structur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jelly roll type cylindrical battery cell.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form factor ratio (defined as the diameter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divided by its height, i.e., the ratio of the height (H) to the diameter ( ⁇ )) of greater than about 0.4.
  • a form factor ratio defined as the diameter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divided by its height, i.e., the ratio of the height (H) to the diameter ( ⁇ )
  • the form factor means a value representing the diameter and height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 Cylindrical battery cells may be, for example, 46110 cells, 48750 cells, 48110 cells, 48800 cells, or 46800 cells.
  • the first two numbers indicate the diameter of the cell
  • the next two numbers indicate the height of the cell
  • the last number 0 indicate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ell is circular.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6 mm, a height of about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75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64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11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418.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diameter of about 48 mm, a height of about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600.
  •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diameter of about 46 mm, a height of about 80 mm, and a form factor ratio of 0.575.
  • battery cells having a form factor ratio of approximately 0.4 or less have been used. That is, conventionally, for example, 18650 cells, 21700 cells, etc. have been used. For an 1865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18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65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0.277. For a 21700 cell, its diameter is approximately 21 mm, its height is approximately 70 mm, and the form factor ratio is 0.300.
  •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cut along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41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batter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41.
  • the can 142 and the sealing body 143 for sealing the open end of the battery can 142 are included.
  • the battery can 142 is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n opening formed thereon.
  • the battery can 14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or steel.
  • the battery can 142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inner space through the upper opening and also accommodates the electrolyte.
  • the electrolyte may be a salt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 B - .
  • a + includes alkali metal cations such as Li + , Na + , and K + or ions made of combinations thereof.
  • B - is F - , Cl - , Br - , I - , NO 3 - , N(CN) 2 - , BF 4 - , ClO 4 - , AlO 4 - , AlCl 4 - , PF 6 - , SbF 6 - , AsF 6 - , BF 2 C 2 O 4 - , BC 4 O 8 - , (CF 3 ) 2 PF 4 - , (CF 3 ) 3 PF 3 - , (CF 3 ) 4 PF 2 - , (CF 3 ) 5 PF - , (CF 3 ) 6 P - , CF 3 SO 3 - , C 4 F 9 SO 3 - , CF 3 CF 2
  • the electrolyte can also be used by dissolving it in an organic solvent.
  • the organic solv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ponent as long as it can be used as a solvent for an electrolyte solution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 PC propylene carbonate
  • EC ethylene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DMC dimethyl carbonate
  • DPC dipropyl carbonate
  • Carbonate solvents including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tetrahydrofuran, N-methyl-2-pyrroly N-methyl-2-pyrrolidone (NMP), ethyl methyl carbonate (EMC), ⁇ -butyrolactone,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 the electrode assembly 141 may have a jelly roll shape.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de assembly 141 is a laminat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lower separator, a first electrode plate, an upper separator, and a second electrode plate at least once, based on the winding center (C). It can be produced by winding it.
  • C winding center
  •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ve different polarities. That is, when one is positively polarized, the other is negatively polarized.
  • At least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have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other one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have a conventional electrode plate structure or an electrode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respectively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
  • the first electrode plate has the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modified example). Therefore, in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of the other portions.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in particular, the beading portion 147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can 1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plate, thereby prevent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of the battery cell 140 .
  •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s the same height.
  •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the no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selectively have the structure of the no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odifications).
  • the sealing body 143 provides airtightness between the top plate 143a, the top plate 143a and the battery can 142, and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with the first gasket 143b having insulation and the top plate 143a.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late (143c) coupled to.
  • the cap plate 143a is a component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covers an upper opening of the battery can 142 .
  • the cap plate 143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battery can 142 through the first gasket 143b. Accordingly, the cap plate 143a may function as a first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
  • the cap plate 143a is seated on the beading part 147 formed in the battery can 142 and is fixed by the crimping part 148 . Between the cap plate 143a and the crimping portion 148, a first gasket 143b may be interposed to secure airtightness of the battery can 142 and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battery can 142 and the cap plate 143a.
  • the cap plate 143a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143d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thereof.
  • the battery can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Accordingly, the battery can 142 has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If the second electrode plate has a negative polarity, the battery can 142 also has a negative polarity.
  • the battery can 142 has a beading part 147 and a crimping part 148 at the top.
  • the beading portion 147 is formed by press fitt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
  • the beading part 147 prevents the electrode assembly 141 accommodated inside the battery can 142 from escap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ttery can 142, and may function as a support on which the sealing body 143 is seated. .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47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ore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47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has a low height, even when the battery can 12 is press-fitted from the outside to form the beading portion 147,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not substantially affected.
  •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is not pressed by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beading portion 147, and thus partial shap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 the press-in depth of the beading portion 147 is defined as D1, and the radial length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to the boundary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referred to as D2.
  • D1 ⁇ D2 the relational expression
  • the battery can 142 is press-fitted to form the beading portion 147, damag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ubstantially prevented.
  • the crimping portion 148 is formed above the beading portion 147 .
  • the crimping portion 148 has an extended and bent shap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disposed on the beading portion 147 and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llector plate 144 and/or a second collector plate 145 and/or an insulator 146 .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
  •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44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or nicke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a lead 149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
  • the lead 149 may extend upwar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143c or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 the lead 149 and other components may be coupled through welding.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ad 149 .
  • the lead 149 may have a long plate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hav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not shown) formed radially on its lower surface. When radial irregularities are provided, the irregularities may be pressed in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by pressing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is coupled to an end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the coupling between the uncoated portion 146a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laser welding.
  • Laser welding may be performed by partially mel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current collector plate.
  • welding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uncoated portion 146a may be performed with sold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solder may have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at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uncoated portion 146a.
  • Laser welding can be replaced with resistance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 a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
  • One surface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45 may be weld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and the opposite surface may be weld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and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ccordingly,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selectively have the non-coat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non-coated structure.
  • the insulator 146 may cover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
  • the insulator 146 covers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thereby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
  • the insulator 146 has a lead hole 151 through which a lead 149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can be drawn out.
  • the lead 149 is drawn upward through the lead hole 151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43c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 An area around the edge of the insulator 146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beading portion 147 to fix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 Accordingly,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battery cell 140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assembly stability of the battery cell 140 can be improved.
  • the insulator 146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polymer resin.
  • insulator 146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imide or polybutyleneterephthalate.
  • the battery can 142 may further include a venting portion 152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 the venting portion 152 corresponds to an area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surrounding area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battery can 142 .
  • the vent 152 is structurally weak compared to the surrounding area.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and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 venting part 152 is ruptured and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n 14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venting portion 152 may b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while drawing a circle.
  • the vents 152 may be formed in a rectilinear pattern or some other pattern.
  •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50 adopts the electrode plat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modified example) in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compar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of FIG. 17 .
  •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
  •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uppermost end of the outer non-coated portion B3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47 .
  •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forms an inclined surface. Therefore, when the battery can 142 is press-fitted to form the beading portion 147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from being compressed and damaged by the beading portion 147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er non-coated portion B3 contacts the battery can 142 having a different polarity and causes an internal short circuit.
  •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5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modified example).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ccordingly,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selectively have the non-coat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non-coated structure.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direc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60 has a lead 149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44 in a lead hole ( 1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143a of the sealing body 143, and the insulator 146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have a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 the diameter of the first collector plate 144 and the outermost diameter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re smaller than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142 . Also, the diameter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most diameter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minimum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142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142 at a position where the beading portion 147 is formed.
  • the outermost diameters of the first current collector plate 144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r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ttery can 142 at the position where the beading portion 147 is formed.
  • the diameter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outermost diameter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edge circumference area of the insulator 146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the beading portion 147 in a bent downward state, forming a combin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can be fixed.
  • the insulator 146 includes a portion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a portion covering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a portion connecting the two portions is a beading portion 147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hape of may have a curved shape together.
  • the insulator 146 may insulat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47 from the outer uncoated portion B3 and at the same time insulate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47 .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eading portion 147 and may be coupled to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pressing depth D1 of the beading portion 147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42 to the boundary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and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and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coupled thereto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eading portion 147 .
  • the lower end of the beading portion 147 refers to a reference lin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ortion of the battery can 142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41 is accommodated and the beading portion 147 .
  • the empty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cap plate 143a can be minimized.
  • the connection plate 143c locat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cap plate 143a is omitted. Accordingly, the lead 149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144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143a.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empty space in the battery cell is reduced, and energy density can be maximized by the reduced empty space.
  • the first collector plate 144 and the second collector plate 145 may be welded to the ends of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ccordingly,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selectively have the non-coated structure of the electrode pl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non-coated structure.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electrode assembly compar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shown in FIG. .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includes a battery can 171 through which a rivet terminal 172 is installed.
  • the rivet terminal 172 is installed on the closed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rivet terminal 172 is rive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battery can 171 in a state where the insulating second gasket 173 is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rivet terminal 172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 the rivet terminal 172 includes a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and a terminal inserted portion 172b.
  •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osed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exposed terminal portion 172a may be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closed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attery can 171 .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through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may be rivet-coup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end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may have a curved shap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maximum diameter of the end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battery can 171 .
  •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may be welded to the first collector plate 144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 An insulating cap 174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insulating cap 174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and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ort circuit from being caused b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having a different polarity.
  •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of the rivet terminal 172 may pass through the insulating cap 174 and be welded to the first collector plate 144 .
  • the second gasket 173 is interposed between the battery can 171 and the rivet terminal 172 to prevent the battery can 171 and the rivet terminal 172 having opposite polarities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each other.
  •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having a substantially flat shape can function as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
  • the second gasket 173 includes a gasket exposed portion 173a and a gasket insertion portion 173b.
  • the gasket exposed portion 173a is interposed between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of the rivet terminal 172 and the battery can 171 .
  • the gasket insertion portion 173b is interposed betwee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of the rivet terminal 172 and the battery can 171 .
  • the gasket insertion portion 173b may be deformed together during riveting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72b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second gasket 173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polymer resin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 the gasket exposed portion 173a of the second gasket 173 may have an extended shape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of the rivet terminal 172 .
  •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process of coupling an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such as a bus b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and / or to the rivet terminal 172 that can be prevented
  • the gasket exposed portion 173a may have an extended shape to cover not on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but als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second gasket 173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can 171 and the rivet terminal 172 by thermal fusion. In this case, airtightness at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gasket 173 and the rivet terminal 172 and at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gasket 173 and the battery can 171 may be enhanced. Meanwhile, in the case where the gasket exposed portion 173a of the second gasket 173 has a shape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exposed portion 172a, the rivet terminal 17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asket 173 by insert injection. and can be integrally combined with.
  • the area 175 oth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rivet terminal 172 and the second gasket 173 corresponds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rivet terminal 172.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teel, copper, or nicke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an 171 .
  • at leas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and the first gasket 178b and fixed.
  •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is fixed to the beading portion 17 by welding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ading portion 18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an 171. It can be.
  • at least a portion of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current collector plate 176 may be directly weld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not shown) formed radially on a surface facing the uncoated portion 146b. When the unevenness is forme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may be pressed to press-fit the unevenness into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and the end of the uncoated portion 146b may be coupled by welding, for example, laser welding.
  • the sealing body 178 sealing the lower open end of the battery can 171 includes a cap plate 178a and a first gasket 178b.
  • the first gasket 178b electrically separates the cap plate 178a and the battery can 171 from each other.
  • the crimping part 181 fixes the edge of the cap plate 178a and the first gasket 178b together.
  • a vent portion 179 is provided on the cap plate 178a.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 portion 179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odified example).
  • the cap plate 178a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 the first gasket 178b is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178a and the battery can 171, the cap plate 178a has no electrical polarity.
  • the sealing body 178 functions to seal the open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an 171 and to discharge gas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170 increases above a critical value.
  • the rivet terminal 17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a of the first electrode plate is used a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 the portion 175, excluding the rivet terminal 17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7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coated portion 146b of the second electrode plate through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is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It is used as a second electrod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As such, when the two electrode terminals are positioned on top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it is possible to dispose an electrical connection component such as a bus bar on only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This can lead to simplification of the battery pack structure and improvement of energy density.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may reduce resistance at the jun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ng parts to a desirable level.
  •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uncoated portion structure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replaced with struc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80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8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50 shown in FIG.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70 shown in FIG. 20 .
  •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modified exampl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50 and 170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80 .
  •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41 and the uncoated portion structure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may be replaced with struc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190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9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10 shown in FIG. 14, and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shown in FIG. do.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core side. At this time, since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has a low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it is not substantially bent.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bent surfac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while overlapping in several layers.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has a relatively small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Further, as shown in Fig. 14,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1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can be opened upward without being blocked (refer to the dotted line circle).
  •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and the battery can 142 may be easily performed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12 .
  • the segmental segments have weld strength when the segments are bent. It is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ecure enough and does not form an empty space (gap) on the bending surface.
  • the structures of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be changed as desired to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uncoated structure to either one of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is not limited.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Y-axis.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0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10 shown in FIG. 14 , and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80 shown in FIG. 21 . do.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core side. At this time, since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has a low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it is not substantially bent.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has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Further, as shown in Fig. 14,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1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can be opened upward without being blocked (refer to the dotted line circle).
  •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and the battery can 171 may be easily performed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12 .
  • the segmental segments have weld strength when the segments are bent. It is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ecure enough and does not form an empty space (gap) on the bending surface.
  • the structures of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be changed as desired to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
  •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uncoated structure to either one of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is not limited.
  •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210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1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shown in FIG. 13 , and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electrode assembly 1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40 shown in FIG. 17 . do.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r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core side.
  • the core-side non-coated portion B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of the non-coated portion 146a are lower in height than the other portions, they are not substantially bent. This is the same for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height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Further, as shown in Fig. 14,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0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opened upward without being blocked (refer to the dotted line circle).
  •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45 and the battery can 142 may be easily performed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 the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Therefore, when the uncoated portion 146a is b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ubstantially not bent. 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beading portion 147,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n the process of press-fitting the beading portion 147.
  • the segmental segments have weld strength when the segments are bent. It is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ecure enough and does not form an empty space (gap) on the bending surface.
  • the structures of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be changed as desired to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uncoated structure to either one of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is not limited.
  • 2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220 taken along the Y-ax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22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00 shown in FIG. 13 , and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electrode assembly 1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80 shown in FIG. 21 . do.
  •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re ben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core side. At this time, since the uncoated portion B1 on the core side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is lower than the other portions, it is not substantially bent. This is also true for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plate 144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a,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may be weld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has a relatively lower height than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Further, as shown in Fig. 14, the height H of the innermost uncoated portion of the middle uncoated portion B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al length R of the core-side uncoated portion B1.
  • the height of the uncoated portion means the length from the reference line DL to the first side portion or the height of the segment segment.
  • the cavity 102 of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opened upward without being blocked (refer to the dotted line circle).
  • a welding process between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plate 176 and the battery can 171 may be easily performed by inserting a welding jig through the cavity 102 .
  • the outer circumferential non-coated portion B3 of the non-coated portion 146a has a relatively smaller height than the intermediate non-coated portion B2. Therefore, when the uncoated portion 146a is b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portion B3 is substantially not bent. This also applies to the uncoated portion 146b.
  • the segmental segments have weld strength when the segments are bent. It is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enough to secure enough and does not form an empty space (gap) on the bending surface.
  • the structures of the u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may be changed as desired to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s.
  •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uncoated structure to either one of the non-coated portions 146a and 146b is not limited.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odifications) may be used to manufacture a battery pack.
  • 2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ttery pack 300 includes an electrically connected assembl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301 and a pack housing 302 accommodating them.
  •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301 may be any one of the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variations).
  • parts such as a bus bar, a cooling unit, and external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301 are omitted.
  • the battery pack 300 may be mounted in a vehicle.
  • the vehicle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Vehicles include four-wheeled vehicles or two-wheeled vehicles.
  • FIG. 2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300 of FIG. 26 .
  • a vehicle 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pack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V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can be reduced and the energy density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uncoated portion itself protruding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an electrode tab.
  •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non-coated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eading portion of the battery ca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due to partial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 the uncoated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uncoated reg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n the uncoated region is bent, tearing of the uncoated region near the notching bone can be prevented, and the wel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number of overlapping layers of the uncoated region. there is.
  • the electrolyte injection process and the welding of the battery can and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easily.
  • a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with low internal resistance, prevention of internal short circuit, and improved welding strength between a current collector plate and an uncoated region,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n automobile.
  • a metal thin film (thickness: 15 ⁇ m) for a current collector made of aluminum including a non-coated region where segments of groups 1 and 2 are to be formed was prepared.
  • the metal thin film had a length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4,000 mm from the core to the outer periphery (B1 + B2 + B3), and a width along the winding axis direction of 75 mm.
  • B1 was divided into a core-side uncoated region
  • B3 was an outer circumferential uncoated region
  • B2 which was between the core-side and outer-side regions, was divided into an intermediate uncoated region.
  • the length of B1 was 350 mm
  • the length of B2 was 3500 mm
  • the length of B3 was 150 mm.
  •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second side to the inside i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and the rest is the first portion, which is the uncoated portion. made smaller.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except that a copper thin film (thickness of 10 ⁇ m) was used as a material for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width along the winding axis was 80 mm.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Overall length of current collector (mm) (length from core to outer periphery) 4000mm 4000mm 4000mm Overall width of current collector (mm) cathode 80mm 80mm 80mm anode 75mm 75mm 75mm 75mm 75mm 75mm 75mm 75mm Length of B1 (mm) 350 mm 350 mm 350 mm Length of B2 (mm) 3500 mm 3500 mm 3500 mm Length of each group (mm) (Group 1 to Group 7) 500 mm 500 mm 500mm 500mm B2 segment height (C2) (mm) group 1 5mm 5mm 5mm Group 2 to Group 7 6mm 6mm 6mm Length of B3 (mm) 150mm 150 mm 150 mm B2 segment width (C1) 5mm 5 mm 5 mm Spacing between segments (separation pitch, C3) 0.5mm 0.5mm 0.5mm 0.5mm
  • Natural graphite, carbon black, carboxylmethylcellulose (CMC), and styrene-butadiene rubber (SBR) on soil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 50 ) of 11 ⁇ m were mixed with water in a weight ratio of 94:1.5:2:2.5 to obtain water.
  • a slurry for an anode active material layer having a concentration of 50 wt% of the remaining ingredients was prepared.
  • the slurry was applied to the anode a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copper current collector prepared above using a slot die at a running speed of 40 m/min.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the wid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was 70 mm, and the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was 10 mm.
  • the loading amount of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was 16 mg/cm 2 based on the electrode area.
  • the copper thin film coated with the slurry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dried by passing through a hot air oven having a length of 60 m, and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oven was adjusted to maintain 130 ° C. Thereafter, roll pressing was performed with a target thickness of 180 ⁇ m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density of 3.45 g/cc.
  • the middle uncoated region was notched with a laser and divided to have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to form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lower end of the notched bone of each segment was adjust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 a slurry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prepared. The slurry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current collector prepared above, and dried and roll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negative electrode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a width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rtion was 65 mm and a width of the uncoated portion was 10 mm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axis.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adjusted so that the NP ratio of the battery was 1.18 (118%, about 27.7 cm 2 ) in consideration of the theoretical discharge capacity of the NMC 622.
  • the middle uncoated region was notched with a laser and divided to have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to form a plurality of segments.
  • the lower end of the notched bone of each segment was adjust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 PVdF-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 THF tetrahydrofuran
  • the mixed solution prepared using the doctor blade method was coated on both sides of a substrate made of polypropylene.
  •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was prepared by stacking and winding in the order of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separator/anode.
  •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was position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t 30% (1.5 mm) of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 segment (group 1) based on the reference line.
  • Example 2 the end of the separator in the width direction was positioned outside the electrode assembly at 10% (0.5 mm) of the height of the minimum bend segment (group 1) based on the reference line.
  • the positive and negative current collector plates were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bent surfaces, respectively.
  • a cylindrical cell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5 was fabricated.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current collectors are welded is inserted into a battery housing in which external terminals are pre-installed, the positive and external terminals are welded, and the edge of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is welded to the beading part. Then, the battery housing wa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and the battery housing was erected so that an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fac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 LiPF 6 wa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in which ethylene carbonate (EC), dimethyl carbonate (DMC), and diethyl carbonate (DEC) were mixed in a composition of 1:2:1 (volume ratio) to a concentration of 1.0 M to obtain a non-aqueous
  • An electrolyte solution was prepared. Then, after injecting electrolyte through the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the pressure in the chamber is raised to 800 kPa for 20 seconds and maintained for 150 seconds, then the pressure in the chamber is reduced to -90 kPa for 20 seconds and a substantial vacuum is maintained for 20 seconds. did After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process was completed, the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wa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using a gasket to complete the fabrication of the cylindrical cell.
  • Example 2 The batterie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also manufactured by applying substantially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as above.
  • Example 1 The batteries of Example 1,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disassembled to obtain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respectively. Thereafter, samples of 10 cm 2 size were cut out from a total of 9 points for the cathode and anode.
  • the nine samples are three (#1 to #3) in the area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ee (#7 to #9) in the area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winding direction
  • the nine samples are three (#1 to #3) in the area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ee (#7 to #9) in the area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winding direction
  • the nine samples are three (#1 to #3) in the area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ee (#7 to #9) in the area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winding direction
  • the three sampling areas #4 to #6
  • #1, #4 and #7 are near one end of the electrode width direction
  • #3, #6 and #9 are near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width direction
  • #2, #5 and #8 are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middle part.
  • the sampling part of the sample may be referred to through FIG. 34 .
  • FIG. 34 only shows the sampling part based on FIG. 7A, and for shapes and values other than the sampling part, refer to [Table 1].
  • the amount of electrolyte impregnation was determ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of the control sample and the weight of the collected sample. Control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same sampling location from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fabricated identically to the electrodes used in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not impregnated with electrolyte.
  • Example 1 In the electrode assembly of Example 1, the average electrolyte impregnated amount for each part of #1 to #9 was 60.3 mg, Example 2 was 59.6 mg,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56.3 mg.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electrolyte impregnation in Examples 1 and 2 was higher than that in Comparative Example 1.
  • the sum of the electrolyte impregnated amounts of the positive electrode sample and the negative electrode sample collected from the central point (#2) of the active material part based on the winding axis direction of the sampling area adjacent to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the electrode assembly of Example 1. 55.1mg, the electrode assembly of Example 2 was 59mg, and the electrode assembly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confirmed to be 47.7mg, respectively. From this, it was found that Example 1 and Example 2 were high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even near the core of the electrode assembly with a relatively low electrolyte impregnation amount.
  • Example 2 anode (mg) #2 location 20.3 21.8 23.1 average 23.8 22.4 23.7 cathode (mg) #2 location 27.4 33.3 35.9 average 33.5 37.9 40.1 sum (mg) (anode + cathode) Summation for #2 position 47.7 55.1 59 average summation 56.3 60.3 59.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개시한다. 전극 조립체는, 쉬트 형상을 가진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일 방향으로 권취된 구조를 가진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로서, 상기 제1전극판 및 상기 제2전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장변 단부에 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그 자체로서 전극 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무지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상기 코어측 무지부 및 상기 외주측 무지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간 무지부보다 권취 축 방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다.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본 출원은 2021년 10월 15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37939호, 2021년 12월 8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1-0175085호 및 2022년 7월 19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22-008923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 또한 갖기 때문에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 및 전기적 연결 형태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및/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위 이차 전지 셀의 종류로서,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 배터리 셀이 알려져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의 경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체인 분리막을 개재하고 이를 권취하여 젤리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를 전지 캔 내부에 삽입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극 및 음극 각각의 무지부에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탭은 전극 조립체와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참고로, 양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의 개방구를 밀봉하는 밀봉체의 캡 플레이트이고, 음극 전극 단자는 전지 캔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원통형 배터리 셀에 의하면, 양극 무지부 및/또는 음극 무지부와 결합되는 스트립 형태의 전극 탭에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저항이 크고 열이 많이 발생하며 집전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8650이나 21700의 폼 팩터를 가진 소형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저항과 발열이 큰 이슈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원통형 배터리 셀을 전기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 폼 팩터를 증가시킬 경우, 급속 충전 과정에서 전극 탭 주변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원통형 배터리 셀이 발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양극 무지부 및 음극 무지부가 위치하도록 설계하고, 이러한 무지부에 집전 플레이트를 용접시켜 집전 효율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 셀(소위 탭-리스(Tab-less) 원통형 배터리 셀)이 제시되었다.
도 1 내지 도 3은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전극판의 권취 공정을 나타내고, 도 3은 무지부의 절곡면에 집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양극판(10)과 음극판(11)은 쉬트 모양의 집전체(20)에 활물질(21)이 코팅된 구조를 가지며, 권취 방향(X)을 따라 한쪽 장변 측에 무지부(22)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A)는 양극판(10)과 음극판(11)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2장의 분리막(12)과 함께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일방향(X)으로 권취시켜 제작한다. 이 때, 양극판(10)과 음극판(11)의 무지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일 방향(X)는 축을 중심으로 한 권취 방향을 의미한다.
권취 공정 이후, 양극판(10)의 무지부(10a)과 음극판(11)의 무지부(11a)는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그 이후에는, 무지부(10a,11a)에 집전 플레이트(30, 31)를 각각 용접시켜 결합시킨다.
양극 무지부(10a)와 음극 무지부(11a)에는 별도의 전극 탭이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집전 플레이트(30, 31)가 외부의 전극 단자와 연결되며, 전류 패스가 전극 조립체(A)의 권취 축 방향(화살표 참조)을 따라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므로 배터리 셀의 저항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통로의 단면적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에서, 무지부(10a,11a)와 집전 플레이트(30,31)의 용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지부(10a,11a)의 용접 지점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최대한 평평하게 무지부(10a, 11a)를 절곡시켜야 한다.
그런데, 무지부(10a,11a)의 용접 지점을 절곡시킬 때 무지부(10a,11a)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일그러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형된 부위가 반대 극성의 전극판과 접촉하여 내부 단락을 일으키거나 무지부(10a,11a)에 미세한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A)의 코어에 인접한 무지부(32)가 절곡되면서 전극 조립체(A)의 코어에 있는 공동(33)을 전부 또는 상당 부분을 폐색한다. 이 경우, 전해액 주액 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즉, 전극 조립체(A)의 코어에 있는 공동(33)은 전해액이 주입되는 통로로 사용된다. 그런데, 해당 통로가 폐색되면 전해액 주입이 어렵다. 또한, 전해액 주입기가 공동(3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코어 근처의 무지부(32)와 간섭을 일으켜 무지부(32)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집전 플레이트(30, 31)가 용접되는 무지부(10a, 11a)의 절곡 부위는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 있어야 하고 빈 공간(빈틈)이 존재하면 안 된다. 그래야만, 충분한 용접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레이저 용접 등의 최신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레이저가 전극 조립체(A) 내부로 침투하여 분리막이나 활물질을 융발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A)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양극 무지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 캔 상단의 외주면을 내부로 압입하여 비딩부를 형성할 때, 전극 조립체(A)의 상단 가장자리 영역(34)이 전지 캔에 의한 압박을 받게 된다. 이러한 압박은, 전극 조화립체(A)의 부분적인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때 분리막(12)이 찢어지면서 내부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전지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전지의 발열이나 폭발이 초래될 수 있다.
종래의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열수축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도입하였으나, 이때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일측에만 코팅층을 도입하는 단면 무기물 코팅 분리막이었다. 이러한 무기물 코팅 분리막은 젤리롤(J/R)내 전극 대면 시 한쪽이 원단, 다른 한쪽이 무기물(ceramic) 코팅층 이므로 전해액에 대한 함침 특성이 비대칭인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해액 함침 비대칭으로 양, 음극 설계시 분리막에 맞춰야 하는 관리상의 문제가 있었고, 젤리롤에 전해액을 함침 시 가압/진공 조건을 상향하여야 하므로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었으며, 적절한 함침 공정의 적용 없을시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단면 무기물 코팅 분리막은 분리막 한쪽 원단 노출되어 내열특성 한계 있음에 따라, 130℃ 이상의 고온에서 수축 폭이 커서 큰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열 충격(130℃이상) 시 분리막 수축에 의한 내부 전극 단락이 유발되고, 이상반응(과충전, 외부단락)으로 셀 내부 온도 상승 시 발화 위험이 증가하였다.
또한, 미 노칭의 젤리롤의 경우 조립 후 집전체인 호일 접힘 등으로 내, 외부 폐쇄적인 구조 형성하여 주액 시 전해액이 젤리롤속 전극으로의 이동에 간섭 발생하며, 균일하지 않은 전해액 함침 특성을 보였다. 이는 전해액 함침 시 균일하지 않은 전해액 함침 경로(path) 발생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에 따라, 함침 균일성 감소로 전지 간 편차가 증가하여 불안정한 고체전해질계면(SEI)층이 형성되고, 저항 산포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전해액 함침 특성이 개선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극 조립체의 양단에 노출된 무지부를 절곡시킬 때 무지부에 가해지는 응력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무지부 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지부가 절곡되더라도 전해액 주입 통로가 폐색되지 않은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지 캔의 상단이 비딩될 때 전극 조립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전지 캔의 내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너지 밀도가 향상되고 저항이 감소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선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전극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상기 전극 조립체 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분리막이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복수의 권회턴을 갖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측부(side) 및 제2측부(side)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 및 제2측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전극 활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전극 활물질부이며 상기 제2측부로부터 제1측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부분은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이며 상기 제1측부로부터 제2측부 방향으로 제1 부분의 전극 활물질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소정 깊이의 절개홈에 의해서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절편은 제1측부와 일치하는 제1 말단을 가지며,
상기 분절편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제1 말단 아래의 분절편 내 어느 한 지점인 절곡 지점에서 축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각 분절편의 절곡 지점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절곡 지점과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선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절개홈(들)의 노칭골(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은 제1 말단과 기준선 사이의 어느 한 지점인 것이며, 상기 기준선은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의 분절편(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기준선에서 제1 단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것인 전극 조립체.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분절편 중 이웃하는 권회턴들의 분절편들이 반경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 상단 또는 하단에 표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표면 영역 중 최고점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표면 영역의 높이(Hsa)라고 할 때,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표면 영역의 높이(Has)의 9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1측부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기준선 아래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2측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상기 코어측 무지부 및 상기 외주측 무지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간 무지부보다 기준선과 제1 측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상기 중간 무지부 및 외주측 무지부에 비해서 기준선과 제1 측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또는 제7 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높이와 기준선이 일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의 가장 내측의 권회턴에 해당되는 전극판 부분의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의 최외측 권회턴에 해당하는 전극판 부분의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 구간은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10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과 상기 분리막은 0.1mm 이상 이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1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절곡 지점과 기준선 사이에 위치하거나 기준선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선은 복수의 분절편들을 분할하고 있는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 측면은, 상기 제12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 중 절곡된 분절편을 절곡 분절편이라고 하고, 상기 절곡 분절편 중 가장 작은 높이를 갖는 최소 절곡 분절편에 대해서,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의 50% 미만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의 3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기준선은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 측면은, 상기 제1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제1 단부에서 기준선까지의 거리는 2mm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은, 상기 제13 측면 또는 제1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길이는 절곡선에서 제1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길며,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분절편이 외력에 의해서 권취 중심 방향으로 구부러져 발생된 부분 중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서 상기 접선의 기울기는 절곡 지점에 대한 접선과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6 측면은, 상기 제1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길이는 절곡선에서 분절편의 제1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짧으며,
상기 절곡선은 절곡 지점을 포함하며 기준선과 수평인 선을 의미하며,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분절편이 외력에 의해서 권취 중심 방향으로 구부러져 발생된 부분 중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서 상기 접선의 기울기는 절곡 지점에 대한 접선과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7 측면은, 상기 제13 측면 내지 제16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분절편 A)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이 최소 분절편인 것이며, 상기 분절편의 높이는 기준선으로부터 분절편의 제1 말단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8 측면은, 상기 제17 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 A는 복수의 분절편 중 다른 분절편에 비해서 코어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9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1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권취 축 방향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0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1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평형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1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0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다리꼴이고,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사다리꼴의 하부 내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2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의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폭 중 적어도 하나는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권취 방향을 따라서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3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권취 방향에서 1mm 내지 6mm의 폭 조건; 권취 축 방향에서 2mm 내지 10mm의 높이 조건; 및 권취 방향에서 0.05mm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4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권취 방향에서 0.05mm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이격 피치는 이웃하는 두 분절편의 코너 간의 거리에 의해서 규정되며, 이웃하는 상기 분절편의 코너 부위에는 라운드 보강부가 부가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5 측면은, 상기 제24 측면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은 0.02mm 이상 0.1mm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6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7 측면은, 상기 제26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갭은 0.2mm 내지 4mm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8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27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복수의 분절편 그룹을 형성하며,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9 측면은, 상기 제28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에서 연속해서 인접하는 3개의 분절편 그룹 각각에 대한 권취 방향의 폭을 각각 W1, W2 및 W3이라고 했을 때 W2/W1 보다 W3/W2가 작은 분절편 그룹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0 측면은, 상기 제28 측면 내지 제2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가 권취 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1 측면은, 상기 제28 측면 내지 제30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분절편 그룹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회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2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3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무지부의 분절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3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3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무지부의 분절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3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코어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복수의 분절편들은 코어부에 더 가까운 분절편들과 여러 겹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5 측면은, 상기 제3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코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분절편에 의해 폐색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6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3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반경 방향 길이(R)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내측 분절편의 높이(H)는 관계식 H≤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7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3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코어측으로부터 권취 방향을 따라 외주측으로 가면서 높이가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8 측면은, 상기 제37 측면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의 높이는 권취 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9 측면은, 상기 제6 측면 내지 제3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 및 중간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외주측 무지부에 포함된 복수의 분절편은 상기 중간 무지부에 포함된 복수의 분절편보다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0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3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하고,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1 측면은, 상기 제40 측면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표면이 친수성 특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2 측면은 원통형 배터리 셀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원통형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상기 제2전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극성을 띠는 전지 캔;
상기 전지 캔의 개방단을 밀봉하는 밀봉체; 및
상기 제1전극판 및 상기 제2전극판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2극성을 띠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양면 상에 위치하고,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내지 제4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3 측면은 상기 제4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인 무지부는 코어부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외주부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및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4 측면은 상기 제4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상기 중간 무지부보다 권취 축 방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전지 캔은 개방단에 인접한 단부에 내측을 향해 압입된 비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부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상기 비딩부의 내주면과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5 측면은 상기 제44 측면에 있어서, 상기 비딩부의 압입 깊이(D1)와 상기 전지 캔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주측 무지부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경계 지점까지의 거리(D2)는 관계식 D1≤D2을 만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6 측면은 상기 제44 측면 내지 제4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 및
상기 집전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가장자리가 상기 비딩부의 내주면과 상기 집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7 측면은 상기 제46 측면에 있어서, 상기 집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외측 지름은 상기 비딩부 내주면의 최소 내경보다 작고, 상기 집전 플레이트의 지름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외측 지름보다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8 측면은 상기 제46 측면 내지 제47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집전 플레이트는, 상기 비딩부의 하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9 측면은 상기 제43 측면 내지 제4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의 분절편은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는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절곡 구조에 의해 폐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0 측면은 상기 제49 측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반경 방향의 길이(R)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내측에 위치한 분절편의 높이(H)는 관계식 H≤R을 만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1 측면은 상기 제50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평형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2 측면은 상기 제50 측면 내지 제5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권취 방향에서 1mm 내지 6mm의 폭 조건; 권취 축 방향에서 2 내지 10mm의 높이 조건; 및 권취 방향에서 0.05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3 측면은 상기 제42 측면 내지 제5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에 갭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4 측면은 상기 제53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갭은 0.2mm 내지 4mm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55 측면은 상기 제50 측면 내지 제5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복수의 그룹을 구성하고,
각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취 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6 측면은 상기 제50 측면 내지 제5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복수의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에서 연속해서 인접하는 3개의 분절편 그룹 각각에 대한 권취 방향의 폭을 각각 W1, W2 및 W3이라고 했을 때 W2/W1 보다 W3/W2가 작은 분절편 그룹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7 측면은 상기 제42 측면 내지 제5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상기 전지 캔의 개방단을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전지 캔의 상단부에 클림핑된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극성을 띠는 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8 측면은 상기 제42 측면 내지 제57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극성을 띠는 제2전극판의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 캔의 측벽에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체는, 극성이 없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전지 캔의 상단부에 클림핑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캔은 폐쇄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 절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극성을 띠는 리벳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9 측면은 배터리 팩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제42 측면 내지 제58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다른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0 측면은 자동차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는 상기 제59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된 무지부 자체를 전극 탭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의 비딩부 형성 과정에서 전극 조립체와 전지 캔의 내주면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부분적 변형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 내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지부가 절곡될 때 무지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무지부의 중첩 레이어 수를 충분히 증가시켜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지부가 절곡될 때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있는 공동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해액 주입 공정과 전지 캔과 집전 플레이트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 저항이 낮고, 내부 단락이 방지되고, 집전 플레이트와 무지부의 용접 강도가 향상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의 전극판 권취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 셀에 있어서 무지부의 절곡면에 집전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b 및 도 7c는 분절편 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편의 폭, 높이 및 이격 피치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b 및 도 9c는 분절편 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편의 폭, 높이 및 이격 피치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전극판을 제1전극판(양극판) 및 제2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전극판을 제1전극판(양극판) 및 제2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이들의 변형예들)의 전극판들 중 어느 하나를 제1전극판(양극판) 및 제2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및 도 29는 비교예에 따른 양극과 음극에 있어서 전극 각 위치별 전해액 함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 및 도 31은 실시예 1에 따른 양극과 음극에 있어서 전극 각 위치별 전해액 함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2 및 도 33은 실시예 2에 따른 양극과 음극에 있어서 전극 각 위치별 전해액 함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각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함침 시료를 채취한 각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젤리롤 형태로 감기는 전극조립체의 권취축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축방향(Y)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축을 둘러싸는 방향을 원주방향 또는 둘레방향(X)이라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축에 가까워지거나 권취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또는 방사방향(Z)이라 지칭한다. 이들 중 특히 권취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 권취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분리막이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복수의 권회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측부(side) 및 제2 측부(side)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 및 제2측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장방형의 쉬트(sheet)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종횡비가 1을 초과하는 쉬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전극판의 폭 방향의 말단의 각 변이 제1 측부 및 제2 측부에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극판(40)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측부는 권취축 방향(Y)에서 전극 활물질부(42)의 최하단부를 따라 형성된 변이며, 상기 제1 측부는 권취축 방향(Y)에서 무지부(43)의 최상단부를 따라 형성된 변이다.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에 전극 활물질로 피복된 전극 활물질부인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은 제2 측부로부터 제1 측부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전극 조립체의 권취 전 전극판의 모양을 타나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활물질부는 제2 측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무지부가 시작되는 부분까지 전극판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은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이다. 상기 제2 부분은 전극 탭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측부로부터 제2 측부 방향으로 제1 부분의 전극 활물질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소정 깊이의 절개홈에 의해서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다(미도시).
상기 분절편은 제1측부와 상응하는 제1 말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말단 아래의 분절편 내 어느 한 지점인 절곡 지점에서 축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절곡 지점과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경계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은 상기 절곡 지점과 기준선 사이에 위치하거나 기준선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제1 말단과 기준선 사이의 소정의 지점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전체에서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분리막은 상기 분절편 사이의 절개홈의 노칭골이 분리막으로 덮여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의 배치에 대해서는 아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들은 각각 제1 말단의 높이가 다를 수 있고, 절개홈들마다 그 형상이 다를 수 있으며, 절개홈들의 노칭골의 높이도 다를 수 있다. 즉 분절편들의 형상과 크기 자체, 절개홈들의 형상과 크기 자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절편의 높이는 해당 분절편을 규정하는 절개홈의 노칭골로부터 해당 분절편의 제1 말단에 이르는 축방향 거리(C2, D2)로 규정될 수 있다. 해당 분절편을 기준으로 양측의 절개홈의 노칭골의 높이가 다르다면, 해당 분절편의 높이는 상기 양측의 절개홈의 노칭골의 평균 높이에 해당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분절편의 제1 말단에 이르는 축방향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가상의 직선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전도성 박막인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상에 배치된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층은 전극판에서 제1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쉬트 형상을 가진 제1 및 제2 전극판은 종횡비가 1을 초과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지부는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권취 방향의 장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그 자체로서 전극 탭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전극 조립체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코어측 무지부 및 외주측 무지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코어측 무지부와 외주측 무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중간 무지부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높이'는 권취 방향(x)의 소정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제1 측부까지의 거리(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지부/노칭골의 높이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높이의 절대값보다, 권취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되는 높이의 상대적인 수치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므로, 상기 무지부/노칭골의 높이를 측정함에 있어서 그 높이 측정의 기준이 되는 선(영점)에 대한 규정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권취축 방향에 대한 임의의 수선을 기준으로 한 특정 지점에서의 상대적인 거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 측정의 기준이 되는 선(영점)은 제2 측부일 수 있다.
한편,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무지부의 높이에 있어서, 분절편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제1 측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분절편이 형성된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측부는 분절편의 제1 말단과 상응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분절편 사이의 절개홈을 구성하는 부분은 분절편이 형성된 구간에서의 무지부의 높이를 측정할 때 고려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노칭골의 높이는 절개홈 중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 부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전극판(40)은 금속 포일로 이루어진 집전체(41) 및 활물질부(42)을 포함한다. 금속 포일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일 수 있으며, 전극판(40)의 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전극 활물질층은 집전체(4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집전체의 권취 방향(X)의 장변 단부에 무지부(43)가 배치된다. 무지부(43)는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이다. 활물질부와(42)과 무지부(43)의 경계에는 절연 코팅층(44)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코팅층(44)은 적어도 일부가 활물질부(42)와 무지부(43)의 경계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절연 코팅층(44)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고, Al2O3와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지부(43)는 전극 조립체의 코어측과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B1), 전극 조립체의 외주측과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B3), 및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B2)를 포함한다.
코어측 무지부(B1), 외주측 무지부(B3) 및 중간 무지부(B3)는 각 전극판(40)이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로 권취되었을 때 각각 코어 측에 인접한 영역의 무지부, 외주측에 인접한 영역의 무지부, 및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무지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B1/B2의 경계는 전극 조립체의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무지부의 높이(또는 변화 패턴)이 실질적으로 바뀌는 지점 또는 전극 조립체의 반경을 기준으로 소정 %의 지점(예컨대, 반경의 5%, 10%, 15% 지점 등)으로 적절하게 정의될 수 있다. B2/B3의 경계는 전극 조립체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가면서 무지부의 높이(또는 변화 패턴)이 실질적으로 바뀌는 지점 또는 전극 조립체의 반경을 기준으로 소정 %의 지점(예컨대, 반경의 85%, 90%, 95% 지점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B1/B2의 경계와 B2/B3의 경계가 특정되면 중간 무지부(B2)는 자동으로 특정될 수 있다. 만약, B1/B2의 경계만 특정되는 경우 B2/B3의 경계는 전극 조립체의 외주측 근처 지점에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반대로, B2/B3의 경계만 특정되는 경우 B1/B2의 경계는 전극 조립체의 코어측 근처 지점에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무지부(43)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고 권취 방향(X)에서 상대적인 차이가 있다. 즉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Y축 방향의 길이)는 코어측 무지부(B1) 및 중간 무지부(B2)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극판(45)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전극판(45)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외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스텝 형상(점선 참조)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에서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소정 깊이의 절개홈에 의해서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는 것이다(미도시).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극판(50)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의 전극판(50)은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는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스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턴1 내지 패턴7은 무지부(43)의 높이가 변화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중간 무지부(B2)를 구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패턴들의 수와 각 패턴의 높이(Y축 방향의 길이)와 폭(X축 방향의 길이)은 무지부(43)의 절곡 과정에서 응력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응력 분산은 무지부(43)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중간 무지부(B2)의 패턴들을 코어측으로 절곡시켰을 때 전극 조립체 코어의 공동을 가리지 않는 조건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에서 상기 패턴 1 내지 패턴 7의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소정 깊이의 절개홈에 의해서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는 것이다(미도시).
일 예에서,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패턴 1의 기준선~제1 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패턴 1의 분절편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극판(60)이 폼 팩터가 46800인 원통형 셀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전극 조립체 코어의 직경에 따라 180 내지 350mm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패턴의 폭은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취 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는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스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중간 무지부(B2)에 적용된 패턴 구조가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될 수 있다(점선 참조).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60)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는 중간 무지부 전 구간에 분절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도 7a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전극판(60)은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중간 무지부(B2)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간 무지부(B2)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복수의 분절편(6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절편(61)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들은 이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권취 중심 방향) 또는 반경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분절편들의 절곡은 노칭골(절개홈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방 이격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이 외력에 의해서 실제로 중심 방향으로 구부러져 발생된 부분 중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지점을 절곡 지점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접선의 기울기는 절곡 지점에 대한 접선과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곡 지점을 포함하며 기준선과 수평인 선을 절곡선이라고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높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노칭골에 대응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가상의 직선을 기준선으로 한다.
만약 절개홈들의 노칭골의 대부분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고, 일부 절개홈들의 노칭골의 높이만 상기 특정 높이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선은 상기 특정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칭골의 50% 이상이 특정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선은 이들 노칭골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권취방향으로 가장 많은 길이를 차지하는 절개홈의 노칭골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선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권취방향으로 절개홈의 노칭골이 차지하는 전체 길이 중 2/3 정도가 제1높이를 가지고 있고, 권취방향으로 절개홈 노칭골이 차지하는 전체 길이 중 나머지 1/3에 해당하는 절개홈 노칭골의 높이가 제1 높이와 다르다면, 상기 기준선은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규정될 수 있다.
만약 절개홈들의 노칭골의 높이가 특정 높이에 집중되어 있지 않다면(가장 많이 집중된 절개홈이 50% 미만인 경우), 상기 기준선은, 상기 절개홈들의 노칭골들의 높이들을 평균한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가령 절개홈의 노칭골 높이가 x인 것이 권취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가 30%, 절개홈의 노칭골의 높이가 y인 것이 권취방향으로 차지하는 30%, 절개홈 노칭골의 높이가 z 인 것이 권취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가 40%라면, 기준선은, x*0.3+y*0.3+z*0.4 가 될 수 있다. 상기 노칭골의 높이는 권취축 방향에 대한 임의의 수선을 기준으로 한 특정 지점에서의 상대적인 거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홈들의 높이는 제2측부로부터의 절개홈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노칭골로부터 약 2mm 내지 3mm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준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무지부 중 가장 작은 높이를 갖는 지점을 권취 방향(Y)로 연장한 선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무지부 중 최소 높이를 갖는 지점을 권취 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동일할 수 있다.
분절편(61)은 레이저로 노칭된 것일 수 있다. 분절편(61)은 초음파 커팅이나 타발 등 공지의 금속박 커팅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무지부(43)의 절곡 가공시 활물질부(42) 및/또는 절연 코팅층(4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절편(61) 사이의 노칭골 과 활물질부(42) 사이에 소정의 간격 이격된 거리의 갭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지부(43)가 절곡될 때 절단 라인 하단 근처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갭은 0.2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갭이 해당 수치범위로 조절되면, 무지부(43)의 절곡 가공시 생기는 응력에 의해 절단 라인 하단 근처의 활물질부(42) 및/또는 절연 코팅층(4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갭은 분절편(61)의 노칭 또는 커팅시 공차로 인한 활물질부(42) 및/또는 절연 코팅층(4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극판(40)이 전극 조립체로 권취되었을 때, 절연 코팅층(44)의 적어도 일부는 분리막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절연 코팅층(44)이 노칭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의 갭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일 수 있다. 이는 해당 전극이 음극일 경우 더 유효할 수 있다.
상기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의 갭은, 보다 바람직하게 2.0mm 이상일 수 있다. 이는 해당 전극이 양극일 경우 더 유효할 수 있다.
위 범위보다 작은 갭은 상술한 손상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위 범위보다 큰 캡은 손상 방지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전극의 용량만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 영역과 상기 활물질층이 코팅된 영역의 경계 부위는 절연층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절연층 사이에도 소정의 갭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갭은 0.2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위 범위보다 작은 갭은 상술한 손상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위 범위보다 큰 캡은 손상 방지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절연 코팅층의 분절편 절곡 지지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복수의 분절편(61)은 코어측에서 외주측으로 가면서 복수의 분절편 그룹을 이룰 수 있다.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의 폭, 높이 및 분절편간 이격 피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9a에서, 제4실시예의 전극판(60)의 활물질부(42) 및/또는 절연 코팅층(44)과 대면하는 분리막(SP)이 구비되어 전극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b, 도 7c, 도 8,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판의 무지부쪽에 분리막의 단부가 위치하는 지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양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절편간 노칭골의 깊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칭골의 깊이에 대응되는 지점들을 연장한 선을 기준선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준선은 상기 코어측 무지부, 외주측 무지부, 및 중간 무지부 중에서 가장 작은 높이를 상기 무지부의 양단부으로 연결한 선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SL)은 상기 절곡 지점과 기준선(DL) 사이에 위치하거나 기준선에서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은 전극판의 활물질층에서 무지부 쪽으로 향하는 방향, 즉 제1 측부로 향하는 방향을 말하며 내측 방향은 외측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제2 측부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절곡된 분절편 중 이웃하는 권회턴들의 분절편들이 반경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권취축 방향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 영역 중 권취축 방향 최대 높이(최고점)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표면 영역의 높이(HS)라고 할 때,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표면 영역의 높이(HS)의 9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분리막의 폭 방향 끝단이 상기 기준선과 가깝게 위치하게 제어함으로써, 전해액이 노칭골(빈공간)을 따라 전극 조립체 내로 유입되므로 함침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전해액이 전극 조립체에 투입되고, 이때 전해액은 분절편간의 절개홈으로 이동하고, 이때 노칭골, 즉 상기 기준선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분리막의 말단으로 다시 전해액이 함침되어 최종적으로 전극의 활물질층 내로 함침하게 된다. 그 결과, 전극 조립체 내에 전해액의 함침의 균일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젤리롤 바깥쪽, 즉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벗어날수록 용접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젤리롤의 안쪽, 즉 전극 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들어올 수록 양극과 음극이 단락할 위험이 커지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 영역의 높이(HS) 대비 90% 이하로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분절편 중 절곡된 분절편 중 가장 작은 높이를 갖는 분절편을 최소 절곡 분절편이라고 할 때,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50% 미만, 40% 이내, 30% 이내, 20% 이내 또는 10% 이내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1측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이내로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막은 상기 분절편 사이의 절개홈의 노칭골이 분리막으로 덮여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막의 위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분절편의 제1 말단에 더욱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후 분절편들을 용접할 때 분리막이 열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30% 이내, 20% 이내 또는 1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2측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선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노칭골(들)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분리막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 7b, 도 7c, 도 9b 또는 9c에 따르면, 그룹 1의 분절편이 최소 절곡 분절편일 수 있으며, 분리막의 폭 방향의 일측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50% 미만 또는 30% 이내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1측부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3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2측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그룹 1의 분절편이 최소 절곡 분절편일 수 있으며, 분리막의 폭 방향의 일측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30% 이내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1측부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7b 또는 9b를 참조하면, 분리막의 일측 말단이 기준선 위쪽으로 배치되면, 분리막의 일측 말단은 Hb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Hb의 최대 길이는 최소 절곡 분절편 높이(길이)의 50% 미만이다. 한편, 분리막의 일측 말단이 DL 아래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Hb의 최대 길이는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의 30%이다.
즉, 본 발명에서 분리막을 배치하는 기준이 되는 분절편은 절곡(벤딩)이 이루어진 분절편들 중 그 높이가 최소인 분절편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최소 절곡 분절편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은 2mm 이상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는 절곡 지점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다. 분절편의 높이가 2mm 미만인 경우, 분리막과 분절편의 간섭에 의해 분절편의 절곡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상기 최소 분절편은, 2mm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분절편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높이 A는 절곡선에서 분절편 높이 B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길 수 있다. 또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높이 A는 절곡선에서 분절편 높이 B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분절편 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절편 A는 절곡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 A는 복수의 분절편 중 다른 분절편에 비해서 코어부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이 최소 분절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3mm 이내 또는 1.5 mm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3mm 이내 또는 1.5 mm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편(61)의 폭, 높이 및 분절편 사이의 간격 즉, 이격 피치의 정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절편(61)의 폭(C1), 높이(C2) 및 이격 피치(C3)는 무지부(43)의 절곡 가공 시 무지부(43)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 강도 향상을 위해 무지부(43)의 중첩 레이어 수를 충분히 증가시키면서 무지부(43)의 비정상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비정상적 변형은 기준선(DL)에 해당되는 부분(C4)이 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주저 않으면서 불규칙하게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분절편(61)의 폭(C1)은 1 내지 6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C1이 1mm 미만이면, 분절편(61)이 코어측으로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또는 빈 공간(틈)이 발생한다. 반면, C1이 6mm를 초과하면, 권췩된 전극의 곡률로 인해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기준선(DL) 근처의 무지부(43)가 응력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분절편(61)의 높이(C2)는 2mm 내지 10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분절편(61)의 높이(C2)가 2mm 미만이면, 분절편(61)의 절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분절편(61)이 코어측으로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또는 빈 공간(틈)이 발생한다. 반면, C2가 10mm를 넘으면 권취 방향(X)으로 무지부의 평탄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전극판을 제조하기 어렵다. 즉, 무지부의 높이가 커져서 너울이 생긴다.
또한, 분절편(61)의 이격 피치(C3)는 0.05 내지 1mm 또는 0.5mm 내지 1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C3이 0.05mm 미만이면,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응력에 의해 기준선(DL) 근처(이웃하는 두 분절편 사이의 절개홈의 바닥 부근)의 무지부(43)가 찢어질 수 있다. 반면, 이격 피치(C3)이 1mm를 초과하면 분절편(61)이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분절편(61)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 또는 빈 공간(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두 분절편의 코너 사이는 곧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홈의 바닥 부위는 권취방향(X)으로 연장된 평평한 직선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부위에는 라운드 보강부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r)은 0.02mm 이상일 수 있다. 해당 반경이 이 이상 되면, 응력 분산의 효과를 확실히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은 0.1mm 이하일 수 있다. 해당 반경이 0.1mm를 초과하면 응력 분산의 효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서, 절개홈의 바닥 부근의 공간이 줄어들어 전해액의 함침성이 저해될 수 있다.
다시 도 7a을 참조하면,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중간 무지부(B2)의 분절편(61)을 코어측으로 절곡시켰을 때 전극 조립체 코어의 공동을 가리지 않는 조건을 적용하여 설계한다.
일 예에서,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그룹 1의 분절편(61)의 높이(C2)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극판(60)이 폼 팩터가 46800인 원통형 셀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전극 조립체 코어의 직경에 따라 180 내지 350mm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분절편 그룹의 폭은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취 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61)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는 그룹 내에서 점진적으로 및/또는 단계적으로 및/또는 불규칙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그룹1 내지 그룹7은 분절편 그룹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그룹들의 수와 각 그룹에 포함되는 분절편(61)의 수는 무지부(43)의 절곡 과정에서 응력을 최대한 분산시키고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분절편(61)이 여러 겹으로 중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의 분절구조는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 가능하다(점선 참조). 이 경우, 외주측 무지부(B3)도 중간 무지부(B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주측 무지부(B3)의 분절편은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중간 무지부(B2)보다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전극판(60)이 폼팩터가 46800인 원통형 셀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8개의 그룹으로 분절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그룹1 내지 7의 분절편들은 중간 무지부(B2)에 형성되고, 그룹8의 분절편들은 전술한 변형예처럼 외주측 무지부(B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코어측 무지부(B1)의 폭(dB1)은 180~350mm일 수 있다. 그룹1의 폭은 코어측 무지부(B1)의 폭 대비 35~40%일 수 있다. 그룹2의 폭은 그룹1의 폭 대비 130~150%일 수 있다. 그룹3의 폭은 그룹2의 폭 대비 120~135%일 수 있다. 그룹4의 폭은 그룹 3의 폭 대비 85~90%일 수 있다. 그룹5의 폭은 그룹4의 폭 대비 120~130%일 수 있다. 그룹6의 폭은 그룹5의 폭 대비 100~120%일 수 있다. 그룹7의 폭은 그룹6의 폭 대비 90~120%일 수 있다. 그룹8의 폭은 그룹7의 폭 대비 115~130%일 수 있다.
그룹1 내지 8의 폭이 일정한 증가 또는 감소 패턴을 보이지 않는 이유는, 분절편의 폭은 그룹1에서 그룹8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지만 그룹 내에 포함되는 분절편의 수는 정수 개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분절편 그룹에서는 분절편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그룹의 폭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상기의 예시처럼 불규칙한 변화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에서 연속해서 인접하는 3개의 분절편 그룹 각각에 대한 권취 방향의 폭을 각각 W1, W2 및 W3이라고 했을 때 W2/W1 보다 W3/W2가 작은 분절편 그룹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예에서, 그룹4 내지 그룹6이 이에 해당한다. 그룹4에 대한 그룹5의 폭 비율은 120~130%이고, 그룹5에 대한 그룹6의 폭 비율은 100~120%로서 그 값이 120~130%보다 작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극판(70)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의 전극판(70)은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분절편(61')의 형상이 사각형에서 사다리꼴로 변경된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제4실시예(또는 변형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은 사다리꼴 분절편(61')의 폭, 높이 및 이격 피치의 정의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절편(61')의 폭(D1), 높이(D2) 및 이격 피치(D3)는 무지부(43)의 절곡 가공 시 기준선(DL) 근처의 무지부 부분(D4)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용접 강도 확보를 위해 무지부(43)의 중첩 레이어 수를 충분히 증가시키면서 무지부(43)의 비정상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바람직하게, 분절편(61')의 폭(D1)은 1 내지 6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D1이 1mm 미만이면, 분절편(61')이 코어측으로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분절편(61')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나 빈 공간(빈틈)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D1이 6mm를 초과하면, 권취된 전극의 곡률로 인해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기준선(DL) 근처의 무지부 부분(D4)가 응력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분절편(61')의 높이는 2mm 내지 10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D2가 2mm 미만이면, 분절편(61')의 절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분절편(61')이 코어측으로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분절편(61')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나 빈 공간(빈틈)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D2가 10mm를 넘으면 권취 방향으로 무지부(43)의 평탄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전극판을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분절편(61')의 이격 피치(D3)는 0.05 내지 1mm 또는 0.5mm 내지 1m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D3이 0.05mm 미만이면,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응력에 의해 기준선(DL) 근처의 무지부 부분(D4)가 찢어질 수 있다. 반면, D3이 1mm를 초과하면 분절편(61')이 절곡되었을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분절편(61')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나 빈 공간(빈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분절편이 사다리꼴 형태일 때, 이격 피치(D3)는 이웃하는 두 분절편(61')의 코너들 사이의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분절편의 코너 사이는 곧은 직선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절개홈의 바닥 부위는 권취방향(X)으로 연장되는 평평한 직선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부위에는 라운드 보강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코너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r)은 0.02mm 이상일 수 있다. 해당 반경이 이 이상 되면, 응력 분산의 효과를 확실히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은 0.1mm 이하일 수 있다. 해당 반경이 0.1mm를 초과하면 응력 분산의 효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서, 절개홈의 바닥 부근의 공간이 줄어들어 전해액의 함침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이격 피치(C3, D3)는 이를 규정하는 이웃하는 분절편들(61, 61')의 권취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의 크기(C1, D1)와 관련되어 결정될 수 있다. 가령, 분절편들의 권취방향 폭이 증가할수록, 이들 간의 이격 피치도 증가하는 경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권취 방향을 따라 전해액의 함침성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상기 분절편의 권취방향 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코어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분절편의 권취방향 폭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코어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가령, 상기 분절편의 권취방향 폭(C1, D1)은 1 내지 6mm 범위 내에 존재하며, 코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외주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 피치(C3, D3) 역시, 0.5 내지 1mm 범위 내에 존재하며, 상기 전극조립체의 코어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분절편(61')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사다리꼴의 하부 내각(θ)이 증가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70)의 반경이 증가하면 곡률반경이 증가한다. 만약, 분절편(61')의 하부 내각(θ)이 전극 조립체의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면 분절편(61')이 절곡될 때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생기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내각(θ)이 증가하면, 분절편(61')이 절곡되었을 때 안쪽의 분절편(61')과 중첩되는 면적 및 중첩 레이어 수도 함께 증가함으로써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에서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절곡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극판(70)이 폼 팩터가 46800인 원통형 셀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전극 조립체(70)의 반경이 4mm부터 22mm까지 증가할 때 분절편(61')의 내각은 60도 내지 85도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의 분절구조는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 가능하다(점선 참조). 이 경우, 외주측 무지부(B3)도 중간 무지부(B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주측 무지부(B3)의 분절편은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중간 무지부(B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같이, 중간 무지부(B2)가 복수의 분절편(60, 60')을 포함할 때, 각 분절편(60, 60')의 형상은 삼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평형사변형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의 영역에 따라서 분절편(60, 60')의 형상을 다르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구간은 응력 분산에 유리한 라운드 형상(예컨대, 반원형, 반타원형 등)을 적용하고, 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은 면적이 최대한 넓은 다각 형상(예컨대, 사각형, 사다리꼴, 평형 사변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무지부(B2)의 분절 구조는 코어측 무지부(B1)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코어측 무지부(B1)에 분절 구조가 적용되면, 코어의 곡률 반경에 따라 중간 무지부(B2)의 분절편(60, 60')이 절곡될 때 코어측 무지부(B1)의 단부가 외주측으로 휘는 역포밍(reverse form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측 무지부(B1)에는 분절 구조가 없거나, 분절 구조를 적용하더라도 코어의 곡률 반경을 고려하여 분절편(60, 60')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를 역포밍이 생기지 않는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역포밍이 발생할 수 있는 분절편의 높이는 대략 3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분절편의 높이가 2mm 미만인 경우, 분절편과 분리막에 간섭이 발생하여 절곡이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분절편의 높이가 4mm 미만인 경우에는, 분절편의 용접 공정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절곡을 의도하여 분절편의 최소 높이(Hmin)는 2mm 이상, 또는 3mm 이상, 또는 4mm 이상 또는 5mm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는 2mm 이상, 또는 3mm 이상, 또는 4mm 이상 또는 5mm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기준선(DL)을 기준으로, 무지부에서 절곡이 가능한 최소높이(Hmin, 가령 앞서 2mm 또는 3mm 또는 4mm 또는 5mm)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분절편들 중 절곡되는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의 ±30% 범위(기준선 기준) 내에 분리막의 폭방향 말단(SL)이 존재하면, 함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즉, 분리막의 폭방향 말단(SL)의 위치를 규정하는 최소 분절편을 결정함에 있어서, 역포밍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분절편이나 절곡을 하지 않는 분절편은 제외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기준선(DL)을 기준으로, 무지부에 존재하는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Ha) 및 상기 절곡 가능 최소높이(Hmin) 중 큰 높이{max(Ha, Hmin)}의 ±30% 범위 내에 분리막의 폭방향 말단(SL)이 존재하면, 함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기준선(DL)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 가능 최소 높이(Hmin)의 ±30% 범위 내에 분리막의 폭방향 말단(SL)이 존재하면, 전해액의 함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는 기준선(DL)±1.5mm 또는 기준선(DL)±1.2mm 또는 기준선(DL)±0.9mm 또는 기준선(DL)±0.6mm의 범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리막 폭 방향 말단의 위치는 DL±0.3Ha의 범위이면서 DL±1.5mm의 범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분리막 폭 방향 말단의 위치는 DL±0.3Ha의 범위이면서 DL±1.2mm의 범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분리막 폭 방향 말단의 위치는 DL±0.3Ha의 범위이면서 DL±0.9mm의 범위에 존재하거나, 상기 분리막 폭 방향 말단의 위치는 DL±0.3Ha의 범위이면서 DL±0.6mm의 범위에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는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에 포함된 극성이 다른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중 어느 하나에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 구조가 적용될 경우, 다른 하나에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에 적용된 전극판 구조는 서로 동일하지 않고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판과 제2음극판이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일 때, 제1전극판에는 실시예들(변형예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고 제2전극판에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도1 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전극판과 제2음극판이 각각 양극판 및 음극판일 때, 제1전극판에는 실시예들(변형예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제2전극판에는 실시예들(변형예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판에 코팅되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판에 코팅되는 음극 활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활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 또는 1종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여기서, x 는 0 내지 0.33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망간 산화물(LiMnO2); 리튬구리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이고, x = 0.01 내지 0.3임)으로 표현되는 니켈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lithiated nickel oxide); 화학식 LiMn2-xMxO2(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이고, x = 0.01 내지 0.1임) 또는 Li2Mn3MO8(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임)로 표현되는 리튬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리튬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 산화물 등과 같이 리튬 흡착 물질(lithium intercalation material)을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종류들이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예컨대 3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 입자에는 도전재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예컨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입자를 도포 및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도전재, 바인더, 용매 등과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예컨대 3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컨대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등의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에 사용가능한 바인더 고분자는 전극 활물질 입자와 도전재 등의 결합과 전극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및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시클로헥산(cyclohexane), 물 또는 이들의 혼합체 등이 있다. 이러한 용매들은 전극 집전체 표면에 대해 소망하는 수준으로 슬러리 도포 층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적정한 수준의 점도를 제공한다.
상기 음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음극활물질, 바인더 고분자,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음극활물질층이 상기 집전체와 면접하는 하층 영역과 상기 하층 영역과 면접하면서 음극활물질층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상층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 영역 및 상층 영역이 각각 독립적으로 음극활물질로서 흑연 및 규소계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층 영역이 음극활물질로서 천연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영역에는 음극활물질로서 인조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층 영역 및 상층 영역이 각각 독립적으로 음극활물질로서 규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소계 화합물이 SiOx(0≤x≤2) 및 SiC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극은 하층용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하층용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 및 건조하여 하층 영역을 형성하고, 이후 하층 영역 상에 상층용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상층용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상층 영역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음극은 하층용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하층용 슬러리;와, 상층용 음극활물질 포함하는 상층용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음극 집전체의 일면에 상기 하층용 슬러리를 코팅하고,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하층용 슬러리 위에 상기 상층용 슬러리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하층용 슬러리 및 상층용 슬러리를 동시에 건조하여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후자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음극에서 하층 영역과 상층 영역이 맞닿는 부분에 이들 상이한 종류의 활물질들이 서로 혼재하는 혼합 영역(인터믹싱, intermixing)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하층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하층용 슬러리와 상층 음극활물질로 포함하는 상층용 슬러리를 집전체 상에 동시에 또는 매우 짧은 시간 차이를 두고 연속적으로 코팅을 하고, 이후 동시에 건조하는 방식으로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하층용 슬러리와 상층용 슬러리가 건조전에 맞닿은 계면 상에 소정의 혼합 구간이 발생하고 이후 건조되면서 이러한 혼합 구간이 혼합 영역의 층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음극의 활물질층에서, 상기 상층 영역과 상기 하층 영역의 중량비 (또는 단위 면적당 로딩양의 비)는 20:80 내지 50:50, 상세하게는 25:75 내지 5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의 활물질층의 하층 영역 및 상층 영역의 두께는 상기 코팅된 하층용 슬러리 및 상기 코팅된 상층용 슬러리의 두께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건조 또는 선택적인 압연 공정을 거친 결과, 최종 얻어지는 본 발명의 음극의 음극의 활물질층의 하층 영역 및 상층 영역의 두께의 비율은 상기 코팅된 하층용 슬러리 및 상기 코팅된 상층용 슬러리의 두께의 비율과는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러리를 코팅하고,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슬러리 위에 상기 제2 슬러리를 코팅하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시간차는 0.6초 이하, 또는 0.02초 내지 0.6초, 또는 0.02초 내지 0.06초, 또는 0.02초 내지 0.03초의 시간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슬러리와 제2 슬러리의 코팅시에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은 코팅 장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1 슬러리와 제2 슬러리를 동시에 코팅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러리 상에 제2 슬러리를 코팅하는 방법은 이중 슬롯 다이(double slot die), 등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활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건조 단계 이후 활물질층을 압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연은 롤 프레싱(roll pressing)와 같이 당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내지 20 MPa의 압력 및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팅된 하층용 슬러리 및 상층용 슬러리를 동시에 건조하여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열풍 건조 및 적외선 건조 장치가 조합한 장치를 이용하고, (당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하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1 바인더 고분자의 중량%가 상기 상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2 바인더 고분자의 중량%과 동일하거나 더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며, 상기 하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1 바인더 고분자의 중량%가 상기 상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2 바인더 고분자의 중량%보다 1.0 내지 4.2배, 또는 1.5 내지 3.6배, 또는 1.5 내지 3 배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된 하층용 슬러리에서 제1 바인더의 중량% 및 상기 코팅된 상층용 슬러리에서 제2 바인더의 중량%의 비율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하층 영역의 바인더가 너무 적지 않아서 전극층의 탈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층 영역의 바인더가 너무 많지 않아서 전극 상층부의 저항이 감소되고 급속충전성능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하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1 바인더 고분자의 중량%가 2 내지 30 중량%, 또는 5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상층용 슬러리의 고형분에서 제2 바인더 고분자의 비율(중량%)이 0.5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15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 또는 2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하층용 슬러리 및 상기 상층용 슬러리 전체의 고형분에서 제1 바인더 고분자 및 제2 바인더 고분자의 총비율(중량%)이 2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고,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가진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는 필름(film) 또는 부직웹(non-woven web)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구조를 가짐으로써 양극과 음극 간의 전해액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기재 자체의 전해액 함침성도 증가하게 되어 우수한 이온 전도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전기화학소자 내부의 저항증가가 방지되어 전기화학소자의 성능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는 통상적으로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되는 평면상의 다공성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그 재질이나 형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는 비제한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도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필름(film) 혹은 부직웹(non-woven we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는 8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기계적인 물성이나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를 벗어난 두께도 채택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직포 시트는 섬유 방사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멜트 블로운(melt blown)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소재의 섬유를 융점 이상에서 섬유 방사 형태로 만들어서 혼방 방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시트는 200 내지 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 %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신율이 200% 미만인 경우에는 못 관통시 전극과 전극 사이에 접촉할 확률이 증가하게 되고, 400 %보다 큰 경우에는 못 관통 주변 부위도 연신하게 되어 분리막이 얇아져서 barrier성(차단성)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부직포 시트에는 0.1 내지 1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기공의 크기가 0.1 ㎛ 보다 작은 경우에는 리튬 이온 및/또는 전해액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기공의 크기가 10 ㎛ 보다 큰 경우에는 못 관통시에 부직포 시트의 연신에 의해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방지하려는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는 40 내지 70 %의 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공극률이 40 % 미만인 경우에는 리튬 이온 및/또는 전해액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공극률이 70 %보다 큰 경우에는 못 관통시에 부직포 시트의 연신에 의해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방지하려는 본 발명의 효과가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 시트는 1 내지 20초/100 mL 의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는 10 내지 2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 시트의 투과성에 따라 상기 범위를 벗어난 두께의 부직포 시트도 채택이 가능하다.
상기 부직포 시트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부직포 시트 아래에 놓인 분리막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은 100 내지 150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100 ℃ 보다 낮은 온도에서 라미네이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150 ℃ 보다 높은 온도에서 라미네이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일부가 녹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 라미네이션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분리막은, 종래 부직포 시트로 이루어진 분리막과 비교할 때, 또한, 필름이나 부직포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막과 비교할 때 못 관통성에 대하여 향상된 저항성을 갖게 된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에서 무기물 입자들은 서로 충전되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서로 결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무기물 입자들 사이에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이 형성되어 상기 무기물 입자들 사이의 인터스티셜 볼륨은 빈 공간이 되어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무기물 입자로는 무기물 입자, 즉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무기물 입자들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온 전달능력이 있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화학소자 내의 이온 전도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로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이유들로 인해,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 PB(Mg1/3Nb2/3)O3-PbTiO3(PMN-PT), 하프니아(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보헤마이트(γ-AlO(OH)), 유사 보헤마이트(Al2O3ㆍH2O), 다이어스포(diaspore, α-AlO(OH)), 바이어리트(bayerlite, α-AlO(OH)3), 깁사이트(gibbsite, γ-AlO(OH)3), 노드스트란디트(nordstrandite, AlO(OH)3) 등의 수산화 알루미늄또는 이들의 혼합체 등이 있다.
특히, 전술한 BaTiO3, Pb(Zr,Ti)O3(PZT), Pb1-xLaxZr1-yTiyO3(PLZT), PB(Mg1/3Nb2/3)O3-PbTiO3(PMN-PT) 및 하프니아(HfO2)와 같은 무기물 입자들은 유전율 상수 100 이상인 고유전율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일정 압력을 인가하여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경우 전하가 발생하여 양쪽 면 간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두 전극의 내부 단락 발생을 방지하여 전기화학소자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와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들을 혼용할 경우 이들의 상승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는 리튬 원소를 함유하되 리튬을 저장하지 아니하고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지칭한다.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는 입자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일종의 결함(defect)으로 인해 리튬 이온을 전달 및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내 리튬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전지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xAlyTiz(PO4)3, 0 < x < 2, 0 < y < 1, 0 < z < 3), 14Li2O-9Al2O3-38TiO2-39P2O5 등과 같은 (LiAlTiP)xOy 계열 glass (0 < x < 4, 0 < y < 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 x < 2, 0 < y < 3), Li3.25Ge0.25P0.75S4 등과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 < x < 4, 0 < y <1, 0 < z < 1, 0 < w < 5), Li3N 등과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LixNy, 0 < x < 4, 0 < y < 2), Li3PO4-Li2S-SiS2 등과 같은 SiS2 계열 glass(LixSiySz, 0 < x < 3, 0 < y < 2, 0 < z < 4), LiI-Li2S-P2S5 등과 같은 P2S5 계열 glass(LixPySz, 0 < x < 3, 0 < y < 3, 0 < z < 7)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친수성 성질을 가지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성질을 갖는 무기물 입자로는 Al2O3나 수산화 알루미늄계 무기물 입자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수산화 알루미늄계 무기물 입자로는 보헤마이트(γ-AlO(OH)), 유사 보헤마이트(Al2O3ㆍH2O), 다이어스포(diaspore, α-AlO(OH)), 바이어리트(bayerlite, α-AlO(OH)3), 깁사이트(gibbsite, γ-AlO(OH)3), 노드스트란디트(nordstrandite, AlO(OH)3)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이와 같은 친수성 성질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해액용 유기 용매로 카보네이트 계열 유기 용매와 같이 친수성 유기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친수성 성질을 갖는 무기물 입자가 분리막의 다공성 코팅층에 적용된다면 전극 조립체의 전해액 함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소재의 분리막 기재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분리막 기재는 소수성 성질을 나타내므로 전해액에 의한 충분한 젖음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이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코팅층에 친수성 성질을 가지는 무기물 입자가 적용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분리막 기재의 소수성 성질에 의한 분리막의 낮은 젖음성 을 방지할 수 있다. 다공성 코팅층의 무기물 입자 크기는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0.0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 미만인 경우 무기물 입자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를 초과하는 경우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지나치게 큰 기공 크기로 인해 전지 충방전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고분자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및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공성 코팅층에 사용되는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조성비는 예를 들어 50:50 내지 99:1 범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95:5이다. 바인더 고분자에 대한 무기물 입자의 함량비가 50:50 미만일 경우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이 많아지게 되어 분리막의 열적 안전성 개선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들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감소로 인한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감소되어 최종 전지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무기물 입자의 함량이 9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바인더 고분자 함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다공성 코팅층의 내필링성이 약화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0.01 내지 20㎛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공 크기 및 기공도 역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기공 크기는 0.001 내지 10㎛ 범위가 바람직하며, 기공도는 10 내지 90% 범위가 바람직하다.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주로 무기물 입자의 크기에 의존하는데, 예컨대 입경이 1 ㎛ 이하인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형성되는 기공 역시 대략 1 ㎛ 이하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기공 구조는 추후 주액되는 전해액으로 채워지게 되고, 이와 같이 채워진 전해액은 이온 전달 역할을 하게 된다.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각각 0.001㎛ 및 10% 미만일 경우 저항층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10㎛ 및 90%를 각각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코팅층은 분산매에 바인더 고분자를 용해 혹은 분산시킨 후에 무기물 입자를 첨가하여 다공성 코팅층 형성을 위한 슬러리를 수득하고, 이러한 슬러리를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분산매로는 사용하고자 하는 바인더 고분자와 용해도 지수가 유사하며, 끓는점(boiling point)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균일한 혼합과 이후 분산매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사용 가능한 분산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톤 (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시클로헥산 (cyclohexane), 물 또는 이들의 혼합체 등이 있다.
상기 바인더 고분자가 분산매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액에 무기물 입자를 첨가한 후, 무기물 입자의 파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쇄 시간은 1 내지 20 시간이 적절하며, 파쇄된 무기물 입자의 입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0.00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파쇄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볼밀(ball mill)법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무기물 입자가 분산된 바인더 고분자 분산액을 10 내지 80%의 습도 조건 하에서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하고 건조시킨다. 상기 분산액을 다공성 고분자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코팅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딥(Dip) 코팅, 다이(Die) 코팅, 롤(roll) 코팅, 콤마(comma) 코팅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공성 코팅층 성분으로 전술한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 이외에, 도전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종 제작된 분리막은 1 내지 100 ㎛ 또는 5 내지 5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가 1 ㎛ 미만이면 분리막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기계적 특성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0 ㎛ 초과이면 고율 충방전시 전지의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40 ~ 60% 공극률을 가질 수 있으며, 150 내지 300 초/100mL의 통기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코팅층에서 무기물 입자로는 Al 산화물, Si 산화물 계열의 코팅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양측에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해액에 대한 함침 성능 향상으로 균일한 고체전해질계면층을 형성할 수 있고, 종래의 단면 무기물 코팅 분리막과 대비하여 우위의 통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s/100cc 이내 일 수 있다. 또한, 양면에 무기물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하여도 종래 단면 무기물 코팅 분리막 수준의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0㎛ 이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 분리막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내열 및 내압축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80℃ 기준 5% 이내의 열수축 특성을 갖는 내열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550gf 이상의 관통 강도(Puncture strength) 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리막을 채용한 전지의 사이클 중 코어 변형(core deformation) 발생 시 단차 부에서 분리막의 손상 또는 관통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전극판(40)을 제1 전극판(양극판) 및 제2 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8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전극 조립체(80)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권취 공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막 밖으로 연장된 무지부(43a, 43b)의 돌출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제1전극판, 제2전극판 및 분리막의 권취 구조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상부로 돌출된 무지부(43a)는 제1 전극판으로부터 연장된 것이고, 하부로 돌출된 무지부(43b)는 제2 전극판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무지부(43a, 43b)의 높이가 변화하는 패턴은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즉, 단면이 잘리는 위치에 따라서 무지부(43a, 43b)의 높이는 불규칙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사다리꼴 분절편(61, 61')의 사이드 부분이 잘리면 단면에서의 무지부 높이는 분절편(61, 61')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들에 도시된 무지부(43a, 43b)의 높이는 각 권취 턴에 포함된 무지부 높이(도 8의 C2, 도 10의 D2)의 평균에 대응한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전극판의 무지부(43a)는, 전극 조립체(80)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B1), 전극 조립체(80)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B3), 코어측 무지부(B1) 및 외주측 무지부(B3)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B2)를 포함한다.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Y축 방향의 길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전지 캔의 비딩부에 외주측 무지부(B3)가 압박되면서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81)은 전극 조립체(8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때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전극판(45)을 제1전극판(양극판) 및 제2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9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전극판의 무지부(43a)는, 전극 조립체(90)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B1), 전극 조립체(90)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B3), 및 코어측 무지부(B1) 및 외주측 무지부(B3)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B2)를 포함한다.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전지 캔의 비딩부에 외주측 무지부(B3)가 압박되면서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91)은 전극 조립체(9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때 외주측 무지부(B3)의 최외측(92)은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이들의 변형예들)의 전극판들(50, 60, 70) 중 어느 하나를 제1전극판(양극판) 및 제2전극판(음극판)에 적용한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10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전극판의 무지부(43a)는, 전극 조립체(100)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B1),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B3), 및 코어측 무지부(B1) 및 외주측 무지부(B3)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B2)를 포함한다.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43a)의 높이 내지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간 무지부(B2)가 절곡되더라도 절곡 부위가 전극 조립체(100) 코어의 공동(102)을 폐색하지 않는다. 공동(10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0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음극측의 집전 플레이트와 전지 캔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전지 캔의 비딩부에 외주측 무지부(B3)가 압박되면서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가 외주측 일부분이 동일하지만,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는 코어측 무지부(B1)와 중간 무지부(B2)의 경계부터 중간 무지부(B2)와 외주측 무지부(B3)의 경계까지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101)는 전극 조립체(10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중간 무지부(B2)가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는 경우 절곡 응력이 완화되어 무지부(43)의 노칭골 부분이 찢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절편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에 따라 조절될 경우, 분절편들이 코어측으로 절곡되면서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Y축에서 바라본 표면)에 빈 구멍(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1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10)는 도 13의 전극 조립체(100)와 비교하여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중간 무지부(B2)의 최외측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외주측 무지부(B3)는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절편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4 및 제5 실시예(변형예들)의 설명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원용한다.
전극 조립체(110)에 있어서,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간 무지부(B2)가 절곡되더라도 절곡 부위가 전극 조립체(110) 코어의 공동(112)을 폐색하지 않는다. 공동(11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1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음극측의 집전 플레이트와 전지 캔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중간 무지부(B2)의 높이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는,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지부(43a)의 높이는 코어측 무지부(B1)와 중간 무지부(B2)의 경계부터 전극 조립체(110)의 최외측 표면까지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111)는 전극 조립체(11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중간 무지부(B2) 및 외주측 무지부(B3)가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는 경우 절곡 응력이 완화되어 노칭골 근처의 무지부(43a, 43b)가 찢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절편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에 따라 조절될 경우, 분절편들이 코어측으로 절곡되면서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Y축에서 바라본 표면)에 빈 구멍(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2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20)는 도 13의 전극 조립체(100)와 비교하여 중간 무지부(B2)의 높이가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패턴을 가지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중간 무지부(B2)의 높이 변화는 중간 무지부(B2)에 포함된 스텝 패턴(도 6 참조)이나 분절편(도 7a 또는 도 9a 참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20)에 있어서,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간 무지부(B2)가 코어측을 향해 절곡되더라도 절곡 부위가 전극 조립체(120) 코어의 공동(122)을 폐색하지 않는다. 공동(12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2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음극측의 집전 플레이트와 전지 캔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전지 캔의 비딩부에 외주측 무지부(B3)가 압박되면서 내부 단락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외주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121)는 전극 조립체(12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중간 무지부(B2)가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는 경우 절곡 응력이 완화되어 무지부(43a, 43b)가 찢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절편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에 따라 조절될 경우, 분절편들이 코어측으로 절곡되면서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Y축에서 바라본 표면)에 빈 구멍(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130)를 Y축 방향(권취 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30)는 도 15의 전극 조립체(120)와 비교하여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외주측 무지부(B3)와 중간 무지부(B2)의 경계 지점부터 전극 조립체(130)의 최외측 표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패턴을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 변화는 중간 무지부(B2)에 포함된 스텝 패턴(도 6 참조)을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하면서 동시에 패턴의 높이를 외주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 예에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 변화는 중간 무지부(B2)의 분절편 구조를 외주측 무지부(B3)까지 확장하면서 동시에 분절편의 높이를 외주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뜨는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구현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30)에 있어서,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간 무지부(B2)가 코어측을 향해 절곡되더라도 절곡 부위가 전극 조립체(120) 코어의 공동(132)을 폐색하지 않는다. 공동(13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3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음극측의 집전 플레이트와 전지 캔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하부 무지부(43b)는 상부 무지부(43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 변형예에서, 하부 무지부(43b)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나 다른 실시예들(변형예들)의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무지부(43a)와 하부 무지부(43b)의 단부(131)는 전극 조립체(130)의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중간 무지부(B2) 및 외주측 무지부(B3)가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는 경우 절곡 응력이 완화되어 무지부(43a, 43b)의 노칭골 부분이 찢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절편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가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에 따라 조절될 경우, 분절편들이 코어측으로 절곡되면서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Y축에서 바라본 표면)에 빈 구멍(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극 조립체 구조는 젤리롤 타입의 원통형 배터리 셀에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폼 팩터의 비(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을 높이로 나눈 값, 즉 높이(H) 대비 직경(Φ)의 비로 정의됨)가 대략 0.4 보다 큰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여기서, 폼 팩터란, 원통형 배터리 셀의 직경 및 높이를 나타내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예를 들어 46110 셀, 48750 셀, 48110 셀, 48800 셀, 46800 셀일 수 있다. 폼 팩터를 나타내는 수치에서, 앞의 숫자 2개는 셀의 직경을 나타내고, 그 다음 숫자 2개는 셀의 높이를 나타내고, 마지막 숫자 0은 셀의 단면이 원형임을 나타낸다.
폼 팩터의 비가 0.4를 초과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에 탭-리스 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를 적용할 경우, 무지부를 절곡할 때 반경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이 커서 무지부가 찢어지기 쉽다. 또한, 무지부의 절곡면에 집전 플레이트를 용접할 때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무지부의 중첩 레이어 수를 충분히 증가시켜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과 전극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64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11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418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600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은, 대략 원기둥 형태의 셀로서, 그 직경이 대략 46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8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575인 원통형 배터리 셀일 수 있다.
종래에는, 폼 팩터의 비가 대략 0.4 이하인 배터리 셀들이 이용되었다. 즉, 종래에는, 예를 들어 18650 셀, 21700 셀 등이 이용되었다. 18650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18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65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277이다. 21700 셀의 경우, 그 직경이 대략 21mm이고, 그 높이는 대략 70mm이고, 폼 팩터의 비는 0.300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40)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40)은 제1전극판, 분리막 및 제2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141), 전극 조립체(141)를 수납하는 전지 캔(142) 및 전지 캔(142)의 개방단부를 밀봉하는 밀봉체(143)를 포함한다.
전지 캔(142)은, 상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용기이다. 전지 캔(142)은 알루미늄이나 스틸과 같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전지 캔(142)은 상단 개구부를 통해 내측 공간에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며 전해질도 함께 수용한다.
전해질은 A+B-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염일 수 있다. 여기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한다. 그리고 B-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4O8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한다.
전해질은 또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는 전기화학소자의 전해액용 용매로 사용가능한 것이면 특정한 성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carbonate, E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ipropyl carbonate, DPC) 등을 포함하는 카보네이트계 용매, 디메틸설프옥사이드 (dimethyl sulfoxide),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디메톡시에탄 (dimethoxyethane), 디에톡시에탄 (diethoxy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감마 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41)는, 젤리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극 조립체(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분리막, 제1전극판, 상부 분리막 및 제2전극판을 순차적으로 적어도 1회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체를 권취 중심(C)을 기준으로 하여 권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은 극성이 다르다. 즉 하나가 양의 극성을 띠면 다른 하나는 음의 극성을 띤다.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 중 다른 하나는 종래의 전극판 구조 또는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극 조립체(1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가 돌출된다. 제1전극판은 제1실시예(변형예)의 전극판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는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무지부 높이 보다 작다. 외주측 무지부(B3)는 전지 캔(142)의 내주면, 특히 비딩부(14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전극판의 외주측 무지부(B3)는 제2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캔(142)과 접촉하지 않아 배터리 셀(140)의 내부 단락이 방지된다.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는 높이가 동일하다. 변형 예에서,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는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변형 예에서,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는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의 무지부 구조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밀봉체(143)는 탑 플레이트(143a), 탑 플레이트(143a)와 전지 캔(142) 사이에 기밀성을 제공하며 절연성을 가진 제1가스켓(143b) 및 상기 탑 플레이트(143a)와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143c)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43a)는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품이며, 전지 캔(142)의 상단 개구부를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143a)는,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지 캔(142)과는 제1가스켓(143b)을 통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따라서 캡 플레이트(143a)는, 원통형 배터리 셀(140)의 제1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43a)는 전지 캔(142)에 형성된 비딩부(147) 상에 안착되며, 크림핑부(148)에 의해 고정된다. 캡 플레이트(143a)와 크림핑부(148) 사이에는, 전지 캔(142)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전지 캔(142)과 캡 플레이트(143a)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제1가스켓(143b)이 개재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43a)는 그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3d)를 구비할 수 있다.
전지 캔(142)은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지 캔(142)은 제2전극판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만약, 제2전극판이 음의 극성을 가지면, 전지 캔(142) 또한 음의 극성을 가진다.
전지 캔(142)은 상단에 비딩부(147) 및 크림핑부(148)를 구비한다. 비딩부(147)는 전지 캔(142)의 외주면 둘레를 압입하여 형성한다. 비딩부(147)는 전지 캔(142)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141)가 전지 캔(142)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며, 밀봉체(143)가 안착되는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비딩부(147)의 내주면은, 제1전극판의 외주측 무지부(B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딩부(147)의 내주면 하단이, 제1전극판의 외주측 무지부(B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외주측 무지부(B3)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비딩부(147)를 형성하기 위해 전지 캔(12)을 외부에서 압입할 때에도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외주측 무지부(B3)가 비딩부(147)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압박되지 않으며, 이로써 전극 조립체(141)의 부분적 형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원통형 배터리 셀(140) 내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딩부(147)의 압입 깊이를 D1으로 정의하고, 전지 캔(14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측 무지부(B3)와 중간 무지부(B2)의 경계 지점까지의 반경 향 길이를 D2라고 정의할 때, 관계식 D1 ≤ D2가 만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딩부(147)를 형성하기 위해 전지 캔(142)을 압입할 때 외주측 무지부(B3)의 손상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크림핑부(148)는 비딩부(147)의 상부에 형성된다. 크림핑부(148)는, 비딩부(147) 상에 배치되는 캡 플레이트(143a)의 외주면, 그리고 캡 플레이트(143a)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 및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원통형 배터리 셀(140)은 제1집전 플레이트(144) 및/또는 제2집전 플레이트(145) 및/또는 인슐레이터(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전극 조립체(141)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과 같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에는 리드(149)가 연결될 수 있다. 리드(149)는 전극 조립체(141)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연결 플레이트(143c)에 결합되거나 캡 플레이트(143a)의 하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리드(149)와 다른 부품의 결합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리드(149)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드(149)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그 하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방사상 요철이 구비된 경우, 제1집전 플레이트(144)를 눌러서 요철을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에 압입시킬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의 단부에 결합된다. 무지부(146a)와 제1집전 플레이트(144) 간의 결합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용접은, 집전 플레이트 모재를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예에서,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무지부(146a) 사이의 용접은 솔더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솔더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무지부(146a)와 비교하여 더 낮은 융점을 가질 수 있다. 레이저 용접은 저항 용접, 초음파 용접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전극 조립체(141)의 하면에는 제2집전 플레이트(14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집전 플레이트(145)의 일 면은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반대쪽 면은 전지 캔(142)의 내측 바닥 면 상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집전 플레이트(145)와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 사이의 결합 구조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 사이의 결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무지부(146a, 146b)는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지부(146a, 146b)는 종래의 무지부 구조뿐만 아니라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의 무지부 구조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를 커버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상면에서 제1집전 플레이트(144)를 커버함으로써,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전지 캔(142)의 내주면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는, 제1집전 플레이트(14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리드(149)가 인출될 수 있도록, 리드 홀(151)을 구비한다. 리드(149)는 리드 홀(151)을 통해 상방으로 인출되어 연결 플레이트(143c)의 하면 또는 캡 플레이트(143a)의 하면에 결합된다.
인슐레이터(146)의 가장자리 둘레 영역은,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비딩부(147)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 조립체(141) 및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결합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 조립체(141) 및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결합체는, 배터리 셀(140)의 높이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배터리 셀(140)의 조립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는 절연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인슐레이터(146)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지 캔(142)은 그 하면에 형성된 벤팅부(1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벤팅부(152)는 전지 캔(142)의 하면 중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갖는 영역에 해당한다. 벤팅부(152)는,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다. 따라서, 원통형 배터리 셀(140)에 이상이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벤팅부(152)가 파열되어 전지 캔(142)의 내부에 생성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벤팅부(152)가 전지 캔(142)의 하면에 원을 그리며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예에서, 벤팅부(152)는 직선 패턴 또는 그 밖의 다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50)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150)은 도 17의 원통형 배터리 셀(140)과 비교하여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에 제2실시예(변형예)의 전극판 구조가 채용된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는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가 전지 캔(142)의 내주면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주측 무지부(B3)의 최상단을 연결한 가상의 선은 비딩부(147)의 내주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주측 무지부(B3)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비딩부(147)를 형성하기 위해 전지 캔(142)을 압입할 때 외주측 무지부(B3)가 비딩부(147)에 의해 압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 무지부(B3)가 극성이 다른 전지 캔(142)과 접촉하여 내부 단락을 일으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150)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변형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무지부(146a, 146b)는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지부(146a, 146b)는 종래의 무지부 구조뿐만 아니라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의 무지부 구조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60)을 Y축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160)은 앞서 설명된 원통형 배터리 셀(140, 150)과 비교할 때, 제1집전 플레이트(144)에 연결된 리드(149)가 인슐레이터(146)의 리드 홀(151)을 통해 밀봉체(143)의 캡 플레이트(143a)에 직접 연결되고 인슐레이터(146)와 제1집전 플레이트(144)가 캡 플레이트(143a)의 하부면에 밀착된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원통형 배터리 셀(160)에 있어서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지름과 중간 무지부(B2)의 최외측 지름은 전지 캔(142)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 또한,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지름은 중간 무지부(B2)의 최외측 지름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캔(142)의 최소 내경은 비딩부(147)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전지 캔(142)의 내경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제1집전 플레이트(144) 및 중간 무지부(B2)의 최외측 지름은 비딩부(147)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전지 캔(142)의 내경보다 작다. 또한,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지름은 중간 무지부(B2)의 최외측 지름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의 가장자리 둘레 영역은, 하부로 절곡된 상태로 외주측 무지부(B3)과 비딩부(147)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 조립체(141) 및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결합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슐레이터(146)는, 외주측 무지부(B3)를 커버하는 부분과, 제1집전 플레이트(144)를 커버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 두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은 비딩부(147)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여 함께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슐레이터(146)는, 외주측 무지부(B3)와 비딩부(147)의 내주면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비딩부(147)의 내주면을 절연시킬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비딩부(147)의 하단보다 더 높게 위치할 수 있고, 코어측 무지부(B1)와 중간 무지부(B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비딩부(147)의 압입 깊이(D1)는, 전지 캔(14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측 무지부(B3)와 중간 무지부(B2)의 경계까지의 거리(D2)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코어측 무지부(B1)와 중간 무지부(B2) 및 이에 결합된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비딩부(147)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비딩부(147)의 하단이란, 전지 캔(142)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141)가 수용된 부분과 비딩부(147) 사이에 위치한 기준선 부분을 을 의미한다.
코어측 무지부(B1)와 중간 무지부(B2)가 비딩부(147)의 반경 방향 내측 공간을 차지하므로, 전극 조립체(141)와 캡 플레이트(143a) 사이의 빈 공간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41)와 캡 플레이트(143a)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고 있던 연결 플레이트(143c)가 생략되었다. 따라서, 제1전극 플레이트(144)의 리드(149)는, 캡 플레이트(143a)의 하면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전지 셀 내의 빈 공간이 감소하고, 감소된 빈 공간만큼 에너지 밀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원통형 배터리 셀(160)에 있어서, 제1집전 플레이트(144) 및 제2집전 플레이트(145)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무지부(146a, 146b)의 단부에 각각 용접될 수 있다.
무지부(146a, 146b)는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지부(146a, 146b)는 종래의 무지부 구조뿐만 아니라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전극판의 무지부 구조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7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170)은 도 17에 도시된 원통형 배터리 셀(140)과 비교하여 전극 조립체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전극 조립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가 변경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원통형 배터리 셀(170)은 리벳 단자(172)가 관통 설치된 전지 캔(171)을 포함한다. 리벳 단자(172)는 전지 캔(171)의 폐쇄면(도면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리벳 단자(172)는 절연성이 있는 제2가스켓(173)이 개재된 상태에서 전지 캔(171)의 관통 홀에 리벳팅된다. 리벳 단자(172)는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외부로 노출된다.
리벳 단자(172)는, 단자 노출부(172a) 및 단자 삽입부(172b)를 포함한다. 단자 노출부(172a)는, 전지 캔(171)의 폐쇄면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단자 노출부(172a)는, 전지 캔(171)의 폐쇄면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 노출부(172a)의 최대 지름은 전지 캔(171)에 형성된 관통 홀의 최대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삽입부(172b)는, 전지 캔(171)의 폐쇄면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삽입부(172b)는, 전지 캔(171)의 내측 면 상에 리벳(rivet) 결합될 수 있다. 즉, 단자 삽입부(172b)의 단부는, 전지 캔(171)의 내측 면을 향해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자 삽입부(172b)의 단부의 최대 지름은 전지 캔(171)의 관통 홀의 최대 지름보다 더 클 수 있다.
단자 삽입부(172b)의 하단면은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에 연결된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용접될 수 있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와 전지 캔(171)의 내측면 사이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 캡(174)이 개재될 수 있다. 절연 캡(174)은 제1집전 플레이트(144)의 상부와 전극 조립체(14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을 커버한다. 이로써, 전극 조립체(141)의 외주측 무지부(B3)가 다른 극성을 가진 전지 캔(171)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벳 단자(172)의 단자 삽입부(172b)는 절연 캡(174)을 관통하여 제1집전 플레이트(144)에 용접될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은 전지 캔(171)과 리벳 단자(172)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전지 캔(171)과 리벳 단자(172)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대략 플랫한 형상을 갖는 전지 캔(171)의 상면이 원통형 배터리 셀(170)의 제2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은, 가스켓 노출부(173a) 및 가스켓 삽입부(173b)를 포함한다. 가스켓 노출부(173a)는 리벳 단자(172)의 단자 노출부(172a)와 전지 캔(171) 사이에 개재된다. 가스켓 삽입부(173b)는 리벳 단자(172)의 단자 삽입부(172b)와 전지 캔(171) 사이에 개재된다. 가스켓 삽입부(173b)는, 단자 삽입부(172b)의 리벳팅(reveting) 시에 함께 변형되어 전지 캔(171)의 내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은, 예를 들어 절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의 가스켓 노출부(173a)는, 리벳 단자(172)의 단자 노출부(172a)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이 리벳 단자(172)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경우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 부품을 전지 캔(171)의 상면 및/또는 리벳 단자(172)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가스켓 노출부(173a)는, 단자 노출부(172a)의 외주면뿐만 아니라 상면의 일부도 함께 커버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가스켓(173)이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제2가스켓(173)은 열 융착에 의해 전지 캔(171) 및 리벳 단자(172)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스켓(173)과 리벳 단자(172)의 결합 계면 및 제2가스켓(173)과 전지 캔(171)의 결합 계면에서의 기밀성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제2가스켓(173)의 가스켓 노출부(173a)가 단자 노출부(172a)의 상면까지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리벳 단자(172)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2가스켓(173)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전지 캔(171)의 상면 중에서 리벳 단자(172) 및 제2가스켓(173)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75)이 리벳 단자(172)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전극 단자에 해당한다.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전극 조립체(141)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알루미늄, 스틸, 구리, 니켈 등의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전지 캔(17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가장 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전지 캔(171)의 내측 면과 제1가스켓(178b)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집전 플레이트(176)의 가장 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전지 캔(171) 하단에 형성된 비딩부(180)의 하단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비딩부(17)에 고정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제2집전 플레이트(176)의 가장 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전지 캔(171)의 내벽 면에 직접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무지부(146b)와 대향하는 면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요철이 형성된 경우, 제2집전 플레이트(176)를 눌러서 요철을 무지부(146b)에 압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집전 플레이트(176)와 무지부(146b)의 단부는 용접, 예컨대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전지 캔(171)의 하부 개방단을 밀봉하는 밀봉체(178)는 캡 플레이트(178a)와 제1가스켓(178b)을 포함한다. 제1가스켓(178b)은 캡 플레이트(178a)와 전지 캔(171)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크림핑부(181)는 캡 플레이트(178a)의 가장자리와 제1가스켓(178b)을 함께 고정시킨다. 캡 플레이트(178a)에는 벤트부(179)가 구비된다. 벤트부(179)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변형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캡 플레이트(178a)는 도전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캡 플레이트(178a)와 전지 캔(171) 사이에 제1가스켓(178b)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캡 플레이트(178a)는 전기적 극성을 띠지 않는다. 밀봉체(178)는 전지 캔(171) 하부의 개방단을 밀봉시키고 배터리 셀(170)의 내부 압력이 임계치 이상 증가하였을 때 가스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1전극판의 무지부(14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벳 단자(172)는 제1전극 단자로 사용된다. 또한, 제2집전 플레이트(176)를 통해 제2전극판의 무지부(14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캔(171)의 상부 표면 중에서 리벳 단자(172)를 제외한 부분(175)은 제1전극 단자와 극성이 다른 제2전극 단자로 사용된다. 이처럼, 2개의 전극 단자가 원통형 배터리 셀(17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 부품을 원통형 배터리 셀(170)의 일 측에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배터리 팩 구조의 단순화 및 에너지 밀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제2전극 단자로 사용되는 부분(175)은 대략 플랫한 형태를 가지므로 버스바 등의 전기적 연결 부품을 접합시키는데 있어서 충분한 접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형 배터리 셀(170)은 전기적 연결 부품의 접합 부위에서의 저항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141)의 구조와 무지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의 구조로 대체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8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180)은 도 18에 도시된 원통형 배터리 셀(150)과 비교하여 전극 조립체(141)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전극 조립체(14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20에 도시된 원통형 배터리 셀(1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원통형 배터리 셀(150, 170)에 관한 실시예(변형예)의 구성이 원통형 배터리 셀(18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141)의 구조와 무지부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의 구조로 대체 가능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19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190)은 도 14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110)를 포함하며, 전극 조립체(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원통형 배터리 셀(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10)의 무지부(146a, 146b)는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는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무지부(146a)의 절곡면에 용접되고, 제2집전 플레이트(145)는 무지부(146b)의 절곡면에 용접될 수 있다. 절곡면은 무지부(146a, 146b)가 절곡될 때 여러 겹으로 중첩되면서 전극 조립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0)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지부(46a)를 코어측을 향해 절곡시키더라도 전극 조립체(110) 코어의 공동(112)이 폐색되지 않고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점선원 참조).
공동(11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1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제2집전 플레이트(145)와 전지 캔(142)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무지부(146a, 146b)가 분절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분절편들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를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면, 분절편들이 절곡될 때 분절편들이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 상에 빈 공간(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무지부(146a, 146b)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46a, 146b) 중 어느 한쪽에 종래의 무지부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20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200)은 도 14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110)를 포함하며, 전극 조립체(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21에 나타낸 원통형 배터리 셀(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10)의 무지부(146a, 146b)는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이 때, 코어측 무지부(B1)는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무지부(146a)의 절곡면에 용접되고,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무지부(146b)의 절곡면에 용접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0)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지부(146a, 146b)를 코어측을 향해 절곡시키더라도 전극 조립체(110) 코어의 공동(112)이 폐색되지 않고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점선원 참조).
공동(11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1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제2집전 플레이트(176)와 전지 캔(171)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무지부(146a, 146b)가 분절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분절편들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를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면, 분절편들이 절곡될 때 분절편들이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 상에 빈 공간(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무지부(146a, 146b)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46a, 146b) 중 어느 한쪽에 종래의 무지부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21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210)은 도 13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하며, 전극 조립체(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원통형 배터리 셀(1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전극 조립체(100)의 무지부(146a, 146b)는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이 때, 무지부(146a)의 코어측 무지부(B1)와 외주측 무지부(B3)는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이는 무지부(146b)의 경우도 동일하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무지부(146a)의 절곡면에 용접되고, 제2집전 플레이트(145)는 무지부(146b)의 절곡면에 용접될 수 있다.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지부(146a, 146b)를 코어측을 향해 절곡시키더라도 전극 조립체(100) 코어의 공동(102)이 폐색되지 않고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점선원 참조).
공동(10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제2집전 플레이트(145)와 전지 캔(142)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 무지부(B3)의 높이는 중간 무지부(B2)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무지부(146a)가 절곡될 때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또한, 외주측 무지부(B3)는 비딩부(147)와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므로, 비딩부(147)가 압입되는 과정에서 외주측 무지부(B3)가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무지부(146a, 146b)가 분절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분절편들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를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면, 분절편들이 절곡될 때 분절편들이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 상에 빈공간(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무지부(146a, 146b)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46a, 146b) 중 어느 한쪽에 종래의 무지부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220)을 Y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원통형 배터리 셀(220)은 도 13에 나타낸 전극 조립체(100)를 포함하며, 전극 조립체(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21에 나타낸 원통형 배터리 셀(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전극 조립체(100)의 무지부(146a, 146b)는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된다. 이 때, 무지부(146a)의 코어측 무지부(B1)는 높이가 다른 부분보다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이는 무지부(146b)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1집전 플레이트(144)는 무지부(146a)의 절곡면에 용접되고, 제2집전 플레이트(176)는 무지부(146b)의 절곡면에 용접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높이가 중간 무지부(B2)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무지부(B2)에 있어서 최내측에 위치한 무지부의 높이(H)는 코어측 무지부(B1)의 반경 방향 길이(R)와 같거나 작다. 여기에서 상기 무지부의 높이는 기준선(DL)으로부터 제1측부까지의 길이 또는 분절편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지부(146a)를 코어측을 향해 절곡시키더라도 전극 조립체(100) 코어의 공동(102)이 폐색되지 않고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점선원 참조).
공동(102)이 폐색되지 않으면, 전해질 주액 공정에 어려움이 없고, 전해액 주액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동(102)을 통해 용접 지그를 삽입하여 제2집전 플레이트(176)와 전지 캔(171) 사이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46a)의 외주측 무지부(B3)는 높이가 중간 무지부(B2)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무지부(146a)가 절곡될 때 외주측 무지부(B3)는 실질적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이는 무지부(146b)도 마찬가지이다.
무지부(146a, 146b)가 분절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분절편들의 폭 및/또는 높이 및/또는 이격 피치를 상술한 실시예의 수치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면, 분절편들이 절곡될 때 분절편들이 용접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여러 겹으로 중첩되며 절곡면 상에 빈공간(빈틈)을 형성하지 않는다.
무지부(146a, 146b)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무지부(146a, 146b) 중 어느 한쪽에 종래의 무지부 구조가 적용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은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은 원통형 배터리 셀(30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합체 및 이를 수용하는 팩 하우징(302)을 포함한다. 원통형 배터리 셀(301)은 상술한 실시예들(변형예들)에 따른 배터리 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면 도시의 편의상 원통형 배터리 셀(301)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 냉각 유닛, 외부 단자 등의 부품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배터리 팩(300)은 자동차에 탑재될 수 있다. 자동차는 일 예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일 수 있다. 자동차는 4륜 자동차 또는 2륜 자동차를 포함한다.
도 27은 도 26의 배터리 팩(300)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V)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을 포함한다. 자동차(V)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된 무지부 자체를 전극 탭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원통형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캔의 비딩부 형성 과정에서 전극 조립체와 전지 캔의 내주면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부분적 변형에 따른 원통형 배터리 셀 내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지부가 절곡될 때 노칭골 근처의 무지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무지부의 중첩 레이어 수를 충분히 증가시켜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무지부 구조를 개선하여 무지부가 절곡될 때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있는 공동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해액 주입 공정과 전지 캔과 집전 플레이트의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 저항이 낮고, 내부 단락이 방지되고, 집전 플레이트와 무지부의 용접 강도가 향상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1)집전체 준비
1)양극 집전체의 준비
아래 [표 1]과 같이 그룹 1과 그룹 2의 분절편이 형성될 무지부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소재의 집전체용 금속 박막(두께 15㎛)을 준비하였다.
상기 금속 박막은 권취 방향을 따르는 길이가 코어에서 외주까지(B1+B2+B3)4,000mm이고, 권취 축 방향을 따르는 폭이 75mm였다. 상기 금속 박막에 대해서 B1은 코어측 무지부, B3는 외주측 무지부, 상기 코어측부와 외측측부 사이인 B2는 중간 무지부로 영역을 구분하였다. 상기 B1의 길이는 350mm, B2의 길이는 3500mm 및 B3 길이는 150mm 였다.
상기 금속 박막의 폭 방향에서 제2 측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폭은 양극 활물질부로 하고 나머지는 무지부인 제1 부분으로 하였으며,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중간 무지부보다 권취 축 방향의 높이를 작게하였다.
2)음극 집전체의 준비
구리 박막(두께 10㎛)을 집전체의 소재로 하고 권취 축 방향을 따르는 폭이 80mm인 것을 제외하고는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극 집전체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집전체 전체 길이(mm) (코어~외주까지 길이) 4000mm 4000mm 4000mm
집전체 전체 폭 (mm) 음극 80mm 80mm 80mm
양극 75mm 75mm 75mm
B1의 길이(mm) 350 mm 350 mm 350 mm
B2의 길이(mm) 3500 mm 3500 mm 3500 mm
각 그룹의 길이(mm)
(그룹 1 내지 그룹 7)
500 mm 500 mm 500 mm
B2 분절편 높이(C2) (mm) 그룹 1 5mm 5mm 5mm
그룹 2 내지 그룹 7 6mm 6mm 6mm
B3의 길이(mm) 150mm 150 mm 150 mm
B2 분절편의 폭(C1) 5mm 5 mm 5 mm
분절편 사이의 간격(이격피치, C3) 0.5mm 0.5mm 0.5mm
(2) 음극의 제조
평균 입경(D50)이 11㎛인 토상의 천연 흑연, 카본블랙,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MC) 및 스티렌부타티엔러버(SBR)을 94:1.5:2:2.5의 중량비로 물과 혼합하여 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50 wt% 농도의 음극 활물질층용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슬러리를 상기에서 준비된 구리 소재의 집전체 표면의 음극 활물질부에 슬롯다이를 이용하여 주행속도 40m/min으로 도포하였다. 권취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극 활물질부의 폭은 70mm이며, 무지부의 폭은 10mm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의 로딩량은 전극 면적을 기준으로 16 mg/cm2의 양으로 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용 슬러리가 도포된 구리 박막을 길이 60m의 열풍 오븐을 통과시켜 건조하였으며 이때 오븐의 온도는 130℃를 유지하도록 조절되었다. 이후 target 두께는 180㎛로 하여 롤 프레싱을 수행하여 밀도 3.45g/cc인 음극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무지부 구간은 레이저로 노칭 가공하여 하래 표 1의 조건을 갖도록 분할하여 복수의 분절편을 형성하였다. 이때, 각 분절편의 노칭골 하단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갖도록 조절하였다.
(3) 양극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Li(Ni0.6Mn0.2Co0.2)O2(NCM-622), 도전재로 카본블랙(carbon black) 및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96:2:2의 중량비로 분산매인 물에 첨가하여, 양극활물질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상기에서 준비된 알루미늄 집전체의 표면에 코팅하고, 상기 음극과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 및 압연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에서 권취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부의 폭은 65mm이며, 무지부의 폭은 10mm였다.
이때, 양극 활물질층은 상기 NMC 622의 이론 방전 용량을 고려해서 전지의 NP ratio 1.18(118%, 약 27.7cm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 무지부 구간은 레이저로 노칭 가공하여 하래 표 1의 조건을 갖도록 분할하여 복수의 분절편을 형성하였다. 이때, 각 분절편의 노칭골 하단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갖도록 조절하였다.
(4) 분리막의 제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 고분자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에 약 5 중량% 첨가한 후, 50℃의 온도에서 약 12시간 이상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고분자 용액에 입경이 약 400nm인 BaTiO3 분말을 전체 고형분 20 중량%로 첨가하고 분산시켜 혼합용액(BaTiO3/ PVdF-HFP = 80:20 (중량비)) 을 제조하였다.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 용액을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기재 양면상에 코팅하였다. 코팅 후, THF를 건조시킨 후 최종적인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을 얻었다. 최종 분리막의 두께는 약 30㎛ 정도이었다. 기공율 측정 장치(porosimeter)로 측정한 결과, 최종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각각 0.4㎛ 및 60% 였다.
(5) 전극 조립체의 준비
상기 준비된 음극/분리막/양극 순으로 적층하고 권취하여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그룹 1)의 높이의 30%(1.5mm)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2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그룹 1)의 높이의 10%(0.5mm)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에 위치시켰다.
비교예는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그룹 1)의 높이의 50%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였다.
(6) 전지의 제조(4680 타입)
실시예 1의 전극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에 노출된 그룹 1 내지 7의 분절편들을 코어 측으로 절곡시킨 후 상부 절곡면 및 하부 절곡면에 양극 집전판 및 음극 집전판을 각각 용접하였다. 그런 다음, 도 25에 도시된 구조의 원통형 셀을 제작하였다. 즉, 양극 집전판 및 음극 집전판이 용접된 전극 조립체를 외부 단자가 미리 설치된 배터리 하우징에 삽입하고, 양극 집전판과 외부 단자를 용접하고, 음극 집전판의 가장자리를 비딩부에 용접하였다. 그런 다음, 배터리 하우징을 전해액 주입장치의 챔버로 인입시키고, 배터리 하우징의 개구부가 중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터리 하우징을 기립시켰다. 이어서,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DEC)를 1:2:1(부피비)의 조성으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LiPF6를 1.0M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비수성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배터리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후 20초 동안 800kPa까지 챔버의 압력을 상승시켜 150초 동안 유지하고 다시 20초 동안 -90kPa까지 챔버의 압력을 낮추고 실질적인 진공 상태를 20초 동안 유지하였다. 전해액 함침 공정이 완료된 후, 가스켓을 이용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개방부를 밀봉체로 실링하여 원통형 셀의 제작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전지도 위와 같은 제조 공정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7) 전해액 함침량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전지를 분해하여 각각의 양극과 음극을 얻었다. 이후 음극과 양극에 대해 총 9 개의 지점에서 10 cm2 크기의 시료를 잘라내서 얻었다. 9개의 시료는 전극을 펼쳐 놓았을 때 전극 조립체의 코어와 인접한 영역에서 3개(#1 내지 #3), 전극 조립체의 외주측과 인접한 영역에서 3개(#7 내지 #9는),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의 중앙 영역에서 3개(#4 내지 #6) 각 시료 채취 영역에서 3개의 시료를 채취함에 있어서는, 권취 축 방향을 따라서 활물질층의 하단, 중앙 및 상단에서 각각 하나씩 채취하였다. 한편, #1, #4 및 #7은 전극 폭 방향의 일측 말단 부근이고, #3, #6 및 #9는 전극 폭 방향의 타측 말단 부근이고, 한편, #2, #5 및 #8은 그 중간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4를 통해서 시료의 채취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단, 도 34는 도 7a을 바탕으로 단지 시료 채취 부분을 표시한 것으로서, 시료 채취 부분 외의 모양이나 수치는 상기 [표 1]을 참조한다.
전해액 함침량은 대조 시료의 무게와 채취 시료의 무게 차이로부터 결정하였다. 대조 시료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전극과 동일하게 제작되고 전해액을 함침시키지 않은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동일한 채취 위치로부터 얻었다.
실시예 1의 전극 조립체에서 #1 내지 #9의 각 부분에 대한 평균 전해액 함침량은 60.3mg이었고, 실시예 2는 59.6mg이었고, 비교예 1은 56.3mg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전해액 함침량이 비교예 1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시료 채취 영역 중 권취 축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부의 중앙 지점(#2)에서 채취한 양극 시료 및 음극 시료에 대한 전해액 함침량의 합산값은 실시예 1의 전극 조립체가 55.1mg, 실시예 2의 전극 조립체가 59mg 및 비교예 1의 전극 조립체가 47.7mg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전해액 함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극 조립체의 코어 근처에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비교예 1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극 측정 위치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양극
(mg)
#2 위치 20.3 21.8 23.1
평균 23.8 22.4 23.7
음극
(mg)
#2 위치 27.4 33.3 35.9
평균 33.5 37.9 40.1
합산(mg)
(양극+음극)
#2 위치에 대한 합산 47.7 55.1 59
평균 합산 56.3 60.3 59.6

Claims (60)

  1.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분리막이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복수의 권회턴을 갖는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측부(side) 및 제2측부(side)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 및 제2측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은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전극 활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전극 활물질부이며 상기 제2측부로부터 제1측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부분은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무지부이며 상기 제1측부로부터 제2측부 방향으로 제1 부분의 전극 활물질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소정 깊이의 절개홈에 의해서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분절편은 제1측부와 일치하는 제1 말단을 가지며,
    상기 분절편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제1 말단 아래의 분절편 내 어느 한 지점인 절곡 지점에서 축에 대해서 방사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각 분절편의 절곡 지점과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선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절곡 지점과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경계선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절개홈(들)의 노칭골(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은 제1 말단과 기준선 사이의 어느 한 지점인 것이며, 상기 기준선은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인 전극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의 분절편(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기준선에서 제1 단부까지의 거리가 다른 것인 전극 조립체.
  5. 제4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분절편 중 이웃하는 권회턴들의 분절편들이 반경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 방향 상단 또는 하단에 표면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표면 영역 중 최고점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표면 영역의 높이(Hsa)라고 할 때,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표면 영역의 높이(Has)의 9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1측부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기준선 아래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2측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주 표면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상기 코어측 무지부 및 상기 외주측 무지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간 무지부보다 기준선과 제1 측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인 전극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상기 중간 무지부 및 외주측 무지부에 비해서 기준선과 제1 측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인 전극 조립체.
  8.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높이와 기준선이 일치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의 가장 내측의 권회턴에 해당되는 전극판 부분의 무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전극 조립체의 최외측 권회턴에 해당하는 전극판 부분의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 구간은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인 전극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지점과 상기 분리막은 0.1mm 이상 이격된 것인 전극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어느 한 일측 말단이 상기 절곡 지점과 기준선 사이에 위치하거나 기준선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선은 복수의 분절편들을 분할하고 있는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인 전극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 중 절곡된 분절편을 절곡 분절편이라고 하고, 상기 절곡 분절편 중 가장 작은 높이를 갖는 최소 절곡 분절편에 대해서,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의 50% 미만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막의 폭 방향의 말단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높이의 30% 이내로 상기 전극조립체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기준선은 절개홈들의 노칭골에 대응하는 높이를 권취방향(X)으로 연장한 직선인 것인 전극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의 제1 단부에서 기준선까지의 거리는 2mm 이상인 것인 전극 조립체.
  15.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길이는 절곡선에서 제1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길며,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분절편이 외력에 의해서 권취 중심 방향으로 구부러져 발생된 부분 중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서 상기 접선의 기울기는 절곡 지점에 대한 접선과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에 있어서,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기준선에서 절곡선까지의 길이는 절곡선에서 분절편의 제1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짧으며,
    상기 절곡선은 절곡 지점을 포함하며 기준선과 수평인 선을 의미하며, 상기 절곡 지점은 상기 분절편이 외력에 의해서 권취 중심 방향으로 구부러져 발생된 부분 중 접선의 기울기가 45°이하가 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서 상기 접선의 기울기는 절곡 지점에 대한 접선과 전극 조립체의 권취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분절편 A)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보다 높이가 작은 분절편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최소 절곡 분절편이 최소 분절편인 것이며, 상기 분절편의 높이는 기준선으로부터 분절편의 제1 말단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편 A는 복수의 분절편 중 다른 분절편에 비해서 코어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전극 조립체.
  19.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권취 축 방향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평형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다리꼴이고,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사다리꼴의 하부 내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의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폭 중 적어도 하나는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권취 방향을 따라서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권취 방향에서 1mm 내지 6mm의 폭 조건; 권취 축 방향에서 2mm 내지 10mm의 높이 조건; 및 권취 방향에서 0.05mm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권취 방향에서 0.05mm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을 충족하고, 상기 이격 피치는 이웃하는 두 분절편의 코너 간의 거리에 의해서 규정되며, 이웃하는 상기 분절편의 코너 부위에는 라운드 보강부가 부가된 것인 전극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보강부의 반경은 0.02mm 이상 0.1mm 이하인 것인 전극 조립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0.2mm 내지 4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복수의 분절편 그룹을 형성하며,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에서 연속해서 인접하는 3개의 분절편 그룹 각각에 대한 권취 방향의 폭을 각각 W1, W2 및 W3이라고 했을 때 W2/W1 보다 W3/W2가 작은 분절편 그룹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0. 제2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분절편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코어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가면서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가 권취 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분절편 그룹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회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2. 제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는 무지부의 분절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3. 제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무지부의 분절구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코어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복수의 분절편들은 코어부에 더 가까운 분절편들과 여러 겹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코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분절편에 의해 폐색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6. 제6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반경 방향 길이(R)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내측 분절편의 높이(H)는 관계식 H≤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7. 제6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코어측으로부터 권취 방향을 따라 외주측으로 가면서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의 높이는 권취 방향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39. 제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 및 중간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외주측 무지부에 포함된 복수의 분절편은 상기 중간 무지부에 포함된 복수의 분절편보다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위치하고,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표면이 친수성 특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며, 상기 제1전극판 및 상기 제2전극판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극성을 띠는 전지 캔;
    상기 전지 캔의 개방단을 밀봉하는 밀봉체; 및
    상기 제1전극판 및 상기 제2전극판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2극성을 띠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양면 상에 위치하고,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인 무지부는 코어부에 인접한 코어측 무지부, 외주부에 인접한 외주측 무지부 및 상기 코어측 무지부와 상기 외주측 무지부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 무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원통형 배터리 셀.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상기 중간 무지부보다 권취 축 방향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전지 캔은 개방단에 인접한 단부에 내측을 향해 압입된 비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부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상기 비딩부의 내주면과 상기 외주측 무지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딩부의 압입 깊이(D1)와 상기 전지 캔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주측 무지부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경계 지점까지의 거리(D2)는 관계식 D1≤D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6. 제44항 내지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 및
    상기 집전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가장자리가 상기 비딩부의 내주면과 상기 집전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외측 지름은 상기 비딩부 내주면의 최소 내경보다 작고, 상기 집전 플레이트의 지름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외측 지름보다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8. 제46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 플레이트는,
    상기 비딩부의 하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49. 제4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의 분절편은 외주측으로부터 코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코어에는 공동이 구비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절곡 구조에 의해 폐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무지부는 복수의 분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측 무지부의 반경 방향의 길이(R)와 상기 중간 무지부의 최내측에 위치한 분절편의 높이(H)는 관계식 H≤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평형사변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2. 제50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 각각은 권취 방향에서 1mm 내지 6mm의 폭 조건; 권취 축 방향에서 2 내지 10mm의 높이 조건; 및 권취 방향에서 0.05 내지 1mm의 이격 피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3. 제42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분절편의 노칭골과 상기 활물질층 사이에 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0.2mm 내지 4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5. 제50항 내지 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복수의 그룹을 구성하고,
    각 그룹에 속한 분절편들은 권취 방향의 폭, 권취 축 방향의 높이 및 권취 방향의 이격 피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동일한 권취 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6. 제50항 내지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절편은 복수의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의 반경 방향에서 연속해서 인접하는 3개의 분절편 그룹 각각에 대한 권취 방향의 폭을 각각 W1, W2 및 W3이라고 했을 때 W2/W1 보다 W3/W2가 작은 분절편 그룹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7. 제42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상기 전지 캔의 개방단을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전지 캔의 상단부에 클림핑된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극성을 띠는 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8. 제4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성을 띠는 제2전극판의 무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 캔의 측벽에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된 집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체는, 극성이 없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전지 캔의 상단부에 클림핑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캔은 폐쇄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홀에 절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극성을 띠는 리벳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셀.
  59. 제42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0. 제59항에 기재된 배터리 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PCT/KR2022/015768 2021-10-15 2022-10-17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38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233788A CA3233788A1 (en) 2021-10-15 2022-10-17 Electrode assembly,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939 2021-10-15
KR20210137939 2021-10-15
KR20210175085 2021-12-08
KR10-2021-0175085 2021-12-08
KR10-2022-0089239 2022-07-19
KR1020220089239A KR20230054256A (ko) 2021-10-15 2022-07-19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808A1 true WO2023063808A1 (ko) 2023-04-20

Family

ID=8596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5768 WO2023063808A1 (ko) 2021-10-15 2022-10-17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18382A1 (ko)
KR (1) KR20230054604A (ko)
CN (2) CN218867340U (ko)
CA (1) CA3233788A1 (ko)
WO (1) WO202306380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4A (ja) * 1999-02-24 2001-0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エネルギー蓄積素子
KR20050121914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20160009406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부 저항이 감소된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6156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200041625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210137939A (ko) 2020-05-08 2021-11-18 호라이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주식 자동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9239A (ko) 2020-12-21 2022-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계적 강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이중 가교 구조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4A (ja) * 1999-02-24 2001-01-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エネルギー蓄積素子
KR20050121914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20160009406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부 저항이 감소된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16156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200041625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210137939A (ko) 2020-05-08 2021-11-18 호라이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주식 자동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9239A (ko) 2020-12-21 2022-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계적 강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이중 가교 구조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867340U (zh) 2023-04-14
CA3233788A1 (en) 2023-04-20
KR20230054604A (ko) 2023-04-25
CN115986329A (zh) 2023-04-18
US20230118382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8862A2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242072A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20167017A1 (ko)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85893A1 (ko) 분리막,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58951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22015026A1 (ko)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이차전지
WO2019050356A1 (ko) 전기화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23063808A1 (ko)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575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282722A1 (en) Assembly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electrode assembly
WO2023090573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1158027A1 (ko) 박형 리튬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68885A1 (ko)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89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86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98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91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93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576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95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4019552A1 (ko) 원통형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494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68888A1 (ko) 원통형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0577A1 (ko) 전극 조립체,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96389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14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814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31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233788

Country of ref document: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