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3534A1 -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3534A1
WO2023033534A1 PCT/KR2022/013013 KR2022013013W WO2023033534A1 WO 2023033534 A1 WO2023033534 A1 WO 2023033534A1 KR 2022013013 W KR2022013013 W KR 2022013013W WO 2023033534 A1 WO2023033534 A1 WO 20230335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kai1
seq
protein
fibrosis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0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진
한정화
이수용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335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35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a KAI1 polypeptide and a fragment thereof,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using the same.
  • liver is called a silent organ, and even if a disease develops in the liver,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are difficult.
  • Liver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men and is a very dangerous cancer.
  • Liver cancer is a case where a significant number of liver cirrhosis (fibrosis and hardening of the liver) has developed into cancer. Liver fibrosis develops into cirrhosis, liver cancer, and eventually death due to liver failure.
  • liver fibrosis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for liver fibrosis yet, and no therapeutic agent with a clear effect has been developed. Recently, clinical studies are underway based on the basic mechanisms of inflammation and fibrosis that have been studied through preclinical studies. Specifically, drugs that inhibit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such as antioxidants and interferons, and TGF- ⁇ cytokine inhibition and COX2 inhibition, are being tested with the goal of reducing inflammation in the liver and regulating immune responses (Zui Tan et al., Front Cell Dev Biol, 2021, 9:730176).
  • drugs that inhibit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such as antioxidants and interferons, and TGF- ⁇ cytokine inhibition and COX2 inhibition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KAI1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can inhibit liver fibrosis at the cellular and animal level as a result of studying a method for effectively inhibiting liver fibrosi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a KAI1 polypeptide and a fragment thereof.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 the KAI1 protein or fragment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liver fibrosis in mice in which acute liver fibrosis was induced by CCl 4 .
  • the KAI1 protein or fragment thereof suppressed fibrosis of liver cells treated with TGF- ⁇ 1 and promoted senescence of hepatic stellate cells, thereby suppressing liver fibrosis. Therefor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KAI1 protein or fragmen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event or treat liver fibrosis.
  • KAI1 peptide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KAI1 peptide; And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inding site between the KAI1 peptide fragment and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r PD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PD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schedule for verifying the effect of inhibiting liver fibrosis by KAI1 protei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bserved by H&E staining of liver tissue after treatment with KAI1 protein in an acute liver fibrosis model mous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gene expression of Col1a1, fibronectin (fibronectin) and TGF ⁇ 1 in liver tissue after KAI1 protein treatment in acute liver fibrosis model mice by qPCR analysis. *, p ⁇ 0.05 vs. veh, #, p ⁇ 0.05;##,p ⁇ 0.01 vs. CCl 4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qPC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 -SMA, Col1a1, TIMP1 and MMP9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when liver fibrosis was induced by treating liver cell lines with TGF- ⁇ 1.
  • * p ⁇ 0.05 vs. veh, #, p ⁇ 0.05; ##, p ⁇ 0.01 vs. TGF ⁇
  •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ZO-1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by immunoblotting when hepatic fibrosis was induced by treating liver cell lines with TGF- ⁇ 1.
  • Figure 7 shows the treatment of recombinant human KAI1 protein (rhKAI1), wild-type KAI1 peptide (pepKAI1 WT), or mutant KAI1 peptide (pepKAI1 Mut) when liver fibrosis is induced by treating liver cell lines with TGF- ⁇ 1, ⁇ -SMA, Col1a1, It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gene expression changes of TIMP1, Vimentin, TGF- ⁇ and fibronectin by qPCR analysis. *, p ⁇ 0.05 vs. veh, #, p ⁇ 0.05; ##, p ⁇ 0.01 vs. TGF ⁇
  •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cell proliferation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s and the results of confirming gene expression changes of Vimentin, Col1a1, TGF- ⁇ 1, ⁇ -SMA and GFAP by qPCR analysis.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Vimentin, Col1a1, ⁇ -SMA and GFAP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by immunoblotting.
  • 10 is a graph showing the quantification of protein expression of Vimentin, Col1a1, ⁇ -SMA and GFAP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s. *, p ⁇ 0.05; **, p ⁇ 0.01 vs. veh (24h), #, p ⁇ 0.05; ##, p ⁇ 0.01 vs. veh(48h)
  • 1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qPC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changes of HGMA1, p16, p21, p53, and SIRT1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s. *, p ⁇ 0.05; **, p ⁇ 0.01 vs. veh (24h), #, p ⁇ 0.05; ##, p ⁇ 0.01 vs. veh(48h)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SIRT1 and p16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by immunoblotting.
  •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quantification of protein expression of SIRT1 and p16 according to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s. *, p ⁇ 0.05; **, p ⁇ 0.01 vs. veh (24h), #, p ⁇ 0.05; ##, p ⁇ 0.01 vs. veh(48h)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KAI1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 KAI1 protein refers to CD82, CD82 antigen, 4F9, C33, GR15, IA4, inducible membrane protein R2, SAR2, ST6 (Suppressor of tumorigenicity 6) or tetraspanin-27 , TSPAN27).
  • the KAI1 protein is UniProt Accession No. A protei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P27701 (human) or P40237 (mouse).
  •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is a part of the KAI1 protein and may be a polypeptide having the activity of the KAI1 protein.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be an extracellular domain of the KAI1 protein.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33rd to 53rd amino acid sequence from the N-terminus in the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consisting of the 101st to 228th amino acid sequence from the N-terminus.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consisting of the 111th to 228th amino acid sequence from the N-terminus.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consisting of the 166th to 185th amino acid sequence from the N-terminus.
  • the fragment of the KAI1 protein may include a poly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or SEQ ID NO: 4.
  • the KAI1 fragment may be a peptide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 Xaa1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1 may be Pro.
  • Xaa2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2 can be Ser.
  • Xaa3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3 may be Cys.
  • Xaa4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4 can be Glu.
  • Xaa5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5 may be Val.
  • Xaa6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6 may be Lys.
  • Xaa7 can be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He, Met, Asn, Lys, Ser or Val.
  • Xaa7 may be Gl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KAI1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 liver fibrosis refers to a symptom in which fibrous tissue proliferates due to damage to the liver. Liver fibrosis can progress to cirrhosis.
  • the liver fibrosis may be liver cirrhosis.
  • Liver cirrhosi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the soft liver is changed into a hard liver like a stone, and the original liver func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 the cirrhosi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ral liver fibrosis, alcoholic cirrhosis, non-alcoholic cirrhosis, Wilson's disease-related cirrhosis, hemochromatosis-related cirrhosis, portal cirrhosis, post-necrotic cirrhosis, nutritional deficiency-related cirrhosis, and cardiac cirrhosis.
  •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liver fibrosis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reatment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mprove or beneficially change the symptoms of liver fibrosis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contain an effective amount of KAI1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 the term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to produce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effect when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need of such prophylaxis or treatment.
  • the effective amou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cell or organism to be selec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patient's age, weight, health, sex, the patient's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excretion, th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with the composition used, and other medical field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well-known factors.
  • the effective amount may be about 0.5 ⁇ g to about 2 g, about 1 ⁇ g to about 1 g, about 10 ⁇ g to about 500 mg, about 100 ⁇ g to about 100 mg or about 1 mg to about 50 mg p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known active ingredient having anti-inflammatory or antiviral activit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carrier.
  • salt refers to an addition salt of an inorganic acid salt, an organic acid salt, or a metal salt of a compound.
  • the salt may b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a salt that does not cause serious irritation to the organism to which the compound is administered and does not impai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und.
  • the inorganic acid salt may be a hydrochloride, bromate, phosphate, sulfate, or bisulfate salt.
  • the organic acid salt is formate, acetate, propionate, lactate, oxalate, tartrate, malate, maleate, citrate, fumarate, besylate, camsylate, edisyl salt, trichloroacetic acid, trifluoroacetate , benzoate, gluconate, methanesulfonate, glycolate, succinate, 4-toluenesulfonate, galacturonate, embonate, glutamate,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or aspartate.
  • the metal salt may be a calcium salt, sodium salt, magnesium salt, strontium salt, or potassium salt.
  • the carrier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an excipient, diluent or auxiliary agent.
  • Such carriers include, for exampl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s,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polyvinyl fibre,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olidone, water, physiological saline, a buffer such as PBS, methylhydroxy benzoate, propyl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formulation may include fillers, anti-agglomerating age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lavor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preservatives,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into a subject by an appropriat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to a subject in a conventional manner through an oral, transdermal, subcutaneous, rectal, intravenous, intraarterial, intraperitoneal, intramuscular, intrasternal, topical, or intradermal rou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once a day, 2 to 24 times a day, 1 to 2 times a day, 1 to 2 times a week, 1 to 6 times a week, 1 to 10 times a 2 week, 1 time a 3 week to 15 times, 1 to 3 times every 4 weeks, or 1 to 12 times a year.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for example, about 0.001 mg/kg to about 100 mg/kg, about 0.01 mg/kg to about 10 mg/kg, or about 0.1 mg/kg to about 1 mg/kg based on an adult.
  • the administration is once a day, 2 to 24 times a day, 1 to 2 times a day, 1 to 6 times a week, 1 to 10 times a week, 1 to 15 times a week, and 1 to 15 times a week. , 1 to 3 times every 4 weeks, or 1 to 12 times a year. These dosag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respect.
  • the subject may be an individual at risk of developing liver fibrosis or developing liver fibrosis.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such as a human, cow, horse, pig, dog, sheep, goat or cat. Preferably it may be huma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dosage form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for example, a parenteral formulation (eg, an injection).
  • the formulation may be prepared as a systemic formulation or a topical formul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n injection f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 hard capsule, soft capsule, gel, liquid formulation, or spray formulatio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 of the KAI1 protein or fragment thereof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 liver fibrosis, prevention, treatment, KAI1 protein and fragments of KAI1 protein are as described abov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KAI1 protein or fragment thereof.
  • KAI1 protein, fragments of KAI1 prote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liver fibrosis, prevention, treatment and administra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subject may be an individual at risk of developing liver fibrosis or developing liver fibrosis.
  • the subject may be a mammal, such as a human, cow, horse, pig, dog, sheep, goat, or cat. Preferably it may be human.
  • the administration route,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protein or fragment thereof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n various ways and amou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de effects, and the optimal administration method,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select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ny known compound or natural extract useful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fibrosi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AI1 protein fragment of Structural Formula 1 above.
  • a functional KAI1 peptide (wild-type peptide, pepKAI1 WT) composed of 20 amino acids including a Y*C motif and an EED motif, and a mutant peptide (pepKAI1 Mut) in which both Y*C and EED were substituted with alanine (A) were prepared.
  • Peptide sequence informa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In Table 1, amino acid sequences differing between the wild-type KAI1 peptide sequence and the mutant KAI1 peptide sequence are underlined.
  • Example 2.1 Acute liver fibrosis animal model experiment
  • mice 7-week-old C57BL/6 male mice were prepared, and CCl 4 was diluted in corn oil at a concentration of 1 ml/kg.
  •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wice a week with diluted CCl 4 .
  •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the same amount of corn oil.
  • a polypeptide comprising a KAI1 fragment (Human CD82/ KAI-1 Protein (His Tag), Sino Biological Inc.) was used.
  • KAI1 protein Human CD82/ KAI-1 Protein (His Tag), Sino Biological Inc.
  • 4 ⁇ g of KAI1 protein per mouse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and on the 11th day,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liver tissue was removed.
  • Example 2.2 Inhibition of fibrosis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an acute liver fibrosis model
  • liver tissue excised in Example 2.1. was fixed in a 10% (v/v) formalin solution. Thereafter, the liver tissue was embedded in paraffin, and sliced to a thickness of 4 ⁇ m to prepare tissue sections. After deparaffinization and overhydration, H&E (hematoxylin & eosin) staining was performed and observ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 H&E hematoxylin & eosin
  • Example 2.3 Inhibition of fibrosis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an acute liver fibrosis model
  • RNA was obtained from liver tissue excised in Example 2.1. RNA from liver tissue was obtained using Favorgen® Trizol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RNA was reverse transcribed into cDNA using a cDNA synthesis kit (Bioneer corp.). Thereafter, real-time PCR (qPCR) was performed to confirm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fibrosis-related genes Col1a1 (collagen type 1), fibronectin, and TGF ⁇ 1 (transforming growth factor- ⁇ 1). At this time, the primer information used is shown in Table 2 below.
  • qPCR real-time PCR
  • Example 3.1 Fibrosis related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liver fibrotic cell model Inhibition of gene expression
  • liver fibrosis was induced by treatment with TGF- ⁇ 1.
  • the liver cell line (AML12) was treated with KAI1 protein to confirm changes in fibrosis-related gene expression.
  • AML12 cells were treated with 10% (v/v) fetal bovine serum (FBS), 1% (w/v) penicillin-streptomycin, 10 ⁇ g/ml insulin, 5.5 ⁇ g/ml transferrin, 5 ng It was cultured in DMEM/F12 medium containing /ml selenium and 40 ng/ml dexamethasone.
  • the AML12 cells were treated with 200 ng/ml or 500 ng/ml of KAI1 protein, respectively, and allowed to react for 2 hours. Thereafte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GF- ⁇ 1, a fibrosis-inducing cytokine, to a concentration of 2 ng/ml, and the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24 hours and collected.
  • RNA of the collected cells was extracted with Trizol, cDNA was synthesized, and expression changes of fibrosis-related genes ( ⁇ -SMA, Col1a1, TIMP1, and MMP9) were confirmed through qPCR analysis.
  • the primer information used for qPCR is shown in Table 3 below.
  • mice ⁇ -SMA forward 5′-TGCTGACAGAGGCACCACTGAA-3′ (SEQ ID NO: 13) reverse 5'-CAGTTGTACGTCCAGAGGCATAG-3' (SEQ ID NO: 14) mouse Col1a1 forward 5'-CCTCAGGGTATTGCTGGACAAC-3' (SEQ ID NO: 9) reverse 5'-CAGAAGGACCTTGTTTGCCAGG-3' (SEQ ID NO: 10)
  • Mouse TIMP1 forward 5'-GATATGCCCACAAGTCCCAGAACC-3' (SEQ ID NO: 15) reverse 5′-GCACACCCCACAGCCAGCACTAT-3′ (SEQ ID NO: 16) mouse MMP9 forward 5′-GCTGACTACGATAAGGACGGCA-3′ (SEQ ID NO: 17) reverse 5′-TAGTGGTGCAGGCAGAGTAGGA-3′ (SEQ ID NO: 18) mouse GAPDH forward 5'-CATCACTGCCACCCAGAAGACTG-3' (SEQ ID NO: 11) reverse 5′-
  • Example 3.2 Inhibition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related protein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liver fibrosis cell model
  •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 AML12 cells were treated with 500 ng/ml of KAI1 protein and allowed to react for 2 hours, then treated with TGF- ⁇ 1 and further cultured for 24 or 48 hours to collect the cells.
  • the collected cells were lysed in RIPA buffer containing a protease inhibitor to extract proteins, and immunoblotting was performed by loading the same amount of proteins.
  • the antibody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of ZO-1 was confirmed using an antibody (anti-ZO antibody, 13663, Abcam) of ZO-1, which is an epithelial biomarker during the EMT process.
  • an anti-tubulin antibody (T5168, Sigma-Aldrich)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and an HRP-conjugated anti-rabbit antibody (ADI-SAB-300-J, Enzo Life Sciences) was used as a secondary antibody was used.
  • Example 3.3 Suppression of fibrosis gene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liver fibrosis cell model
  • pepKAI1 WT wild-type KAI1 peptide
  • pepKAI1 Mut mutant KAI1 peptide
  • AML12 cells were treated with recombinant human KAI1 protein (rhKAI1), wild-type KAI1 peptide (pepKAI1 WT), and mutant KAI1 peptide (pepKAI1 Mut) at a concentration of 200 ng/ml or 500 ng/ml, respectively, and allowed to react for 2 hours. Thereafte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GF- ⁇ 1 at a concentration of 2 ng/ml,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cells were collected.
  • rhKAI1 recombinant human KAI1 protein
  • pepKAI1 WT wild-type KAI1 peptide
  • pepKAI1 Mut mutant KAI1 peptide
  • RNA of the collected cells was extracted with Trizol, cDNA was synthesized,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 ⁇ -SMA, Col1a1, TIMP1, Vimentin, TGF- ⁇ , and fibronectin) were confirmed through qPCR analysis.
  • the primer information used for qPCR is shown in Table 4 below.
  • mice ⁇ -SMA forward 5′-TGCTGACAGAGGCACCACTGAA-3′ (SEQ ID NO: 13) reverse 5'-CAGTTGTACGTCCAGAGGCATAG-3' (SEQ ID NO: 14) mouse Col1a1 forward 5'-CCTCAGGGTATTGCTGGACAAC-3' (SEQ ID NO: 9) reverse 5'-CAGAAGGACCTTGTTTGCCAGG-3' (SEQ ID NO: 10)
  • Mouse TIMP1 forward 5'-GATATGCCCACAAGTCCCAGAACC-3' (SEQ ID NO: 15) reverse 5′-GCACACCCCACAGCCAGCACTAT-3′ (SEQ ID NO: 16) Mouse Vimentin forward 5′-CGGAAAGTGGAATCCTTGCAGG-3′ (SEQ ID NO: 19) reverse 5′-AGCAGTGAGGTCAGGCTTGGAA-3′ (SEQ ID NO: 20) mouse TGF ⁇ forward 5′-TGATACGCCTGAGTGGCTGTCT-3′ (SEQ ID NO: 5 reverse 5'-C
  •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which were increased by TGF- ⁇ 1 treatment, was decreased by wild-type KAI1 peptide (pepKAI1 WT) treatment.
  • the gene expression of the wild-type KAI1 peptide (pepKAI1 WT)-treated group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the rhKAI1 protein-treated group.
  • the KAI1 protein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inhibiting liver fibrosis.
  • Example 4.1 Confirmation of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fibrosis-related gene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 the LX2 cell line was treated with recombinant human KAI1 protein (rhKAI1) at a concentration of 200 ng/ml or 500 ng/ml, respectively. Then, it was cultured for 24 hours or 48 hours and collected to confirm cell proliferation and intracellular fibrosis-related gene expression.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using the MTS assay. RNA of the collected cells was extracted with Trizol, cDNA was synthesized,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 ⁇ -SMA, Col1a1, Vimentin, TGF- ⁇ , and GFAP) were confirmed through qPCR analysis. At this time, the primer information used for qPCR is shown in Table 5 below.
  • cell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KAI1 protein treatment.
  •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Vimentin, Col1 ⁇ 1, TGF- ⁇ and ⁇ -SMA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 the expression of GFAP a marker gene for resting astrocyt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 Example 4.2 Confirmation of inhibition of fibro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 fibrosis-related proteins was confirmed in the human hepatic stellate cell line (LX2) treated with KAI1 protei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 anti-Vimentin antibody sc-5565, Santa Cruz Biotech.
  • anti-Col1 ⁇ 1 antibody NBP1-30054, Novus Biological
  • anti- ⁇ -SMA antibody A5228, Sigma-Aldrich
  • anti-GFAP antibody Z0334, Dako
  • anti-GAPDH antibody MCA4739, AbD Serptec
  • HRP-conjugated anti-rabbit antibody ADI-SAB-300-J, Enzo Life Sciences
  • anti- A mouse antibody ADI-SAB-100-J
  • Example 4.3 Confirmation of the suppression of senescence-related gene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 hepatic stellate cells can inhibit liver fibrosis by inducing senescence in the liver. Therefore, the expression of aging-related genes (HGMA1, p16, p21 and p53, SIRT1) was confirmed in the human hepatic stellate cell line (LX2) treated with KAI1 protein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At this time, the primer information used for qPCR is shown in Table 6 below.
  • Example 4.4 Confirmation of the inhibition of senescence-related protein expression by KAI1 protein treatment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 the KAI1 protein can inhibit liver fibrosis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hepatic stellate cells closely related to the liver fibrosis process and inducing 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은 CCl4에 의해 급성 간 섬유화가 유도된 마우스에서 간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상기 KAI1 단백질은 TGF-β1을 처리한 간 세포의 섬유화를 억제하고 간 성상세포의 노화를 촉진함으로써 간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KAI1 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간 섬유화를 유효하게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AI1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불리며, 간에서 질환이 발병하더라도 조기발견이 어려워 초기 발견과 치료가 어렵다. 간암은 남성 암 사망률 2위로 매우 위험한 암이다. 간암은 상당수 간경변증(간의 섬유증 및 경화)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암으로 발전한 경우이다. 간 섬유화는 간경변증, 간암으로 발전하고 결국 간 기능 부전으로 사망하게 된다.
아직까지 간 섬유증의 표준 치료는 없으며, 뚜렷한 효과가 있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전임상을 통해 연구되어진 염증 및 섬유화 기전에 대한 기본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임상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항산화제, 인터페론 등 간 성상 세포 활성화 억제 약물과 TGF-β 사이토카인 억제, COX2 억제 등의 간 내 염증 감소 및 면역 반응의 조절을 목표로 시험 중에 있다(Zui Tan et al., Front Cell Dev Biol, 2021, 9:730176).
따라서, 만성 간염에서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며, 간염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되는 과정인 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 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이 세포 및 동물 수준에서 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KAI1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은 CCl4에 의해 급성 간 섬유화가 유도된 마우스에서 간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상기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은 TGF-β1을 처리한 간 세포의 섬유화를 억제하고 간 성상세포의 노화를 촉진함으로써 간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KAI1 펩타이드 모식도; 및 KAI1 펩타이드 단편과 VEGF(혈관 내피 세포 성장인자) 또는 PDGF(혈소판 유래 성장인자)와의 결합 가능 부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KAI1 단백질에 의한 간 섬유화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스케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급성 간 섬유화 모델 마우스에 KAI1 단백질 처리 후, 간 조직을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급성 간 섬유화 모델 마우스에 KAI1 단백질 처리 후, 간 조직 내 Col1a1, 피브로넥틴(fibronectin) 및 TGFβ1의 유전자 발현을 qPCR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vs. veh, #, p<0.05; ##, p<0.01 vs. CCl4
도 5는 간 세포주에 TGF-β1을 처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 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α-SMA, Col1a1, TIMP1 및 MMP9의 유전자 발현을 qPCR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vs. veh, #, p<0.05; ##, p<0.01 vs. TGFβ
도 6은 간 세포주에 TGF-β1을 처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 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ZO-1의 단백질 발현을 면역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간 세포주에 TGF-β1을 처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 시, 재조합 인간 KAI1 단백질(rhKAI1), 야생형 KAI1 펩타이드(pepKAI1 WT) 또는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pepKAI1 Mut) 처리에 따른 α-SMA, Col1a1, TIMP1, Vimentin, TGF-β 및 피브로넥틴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qPCR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vs. veh, #, p<0.05; ##, p<0.01 vs. TGFβ
도 8은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을 확인한 결과, 및 Vimentin, Col1a1, TGF-β1, α-SMA 및 GFAP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qPCR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Vimentin, Col1a1, α-SMA 및 GFAP의 단백질 발현을 면역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Vimentin, Col1a1, α-SMA 및 GFAP의 단백질 발현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 p<0.01 vs. veh(24h), #, p<0.05; ##, p<0.01 vs. veh(48h)
도 11은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HGMA1, p16, p21, p53 및 SIRT1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qPCR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 p<0.01 vs. veh(24h), #, p<0.05; ##, p<0.01 vs. veh(48h)
도 12는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SIRT1 및 p16의 단백질 발현을 면역블로팅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따른 SIRT1 및 p16의 단백질 발현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 p<0.05; **, p<0.01 vs. veh(24h), #, p<0.05; ##, p<0.01 vs. veh(48h)
본 발명의 일 측면은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KAI1" 단백질은 CD82, CD82 항원, 4F9, C33, GR15, IA4, 유도성 막 단백질 R2, SAR2, ST6(Suppressor of tumorigenicity 6) 또는 테트라스파닌-27(tetraspanin-27, TSPAN27)으로도 불릴 수 있다. 상기 KAI1 단백질은 UniProt Accession No. P27701(사람) 또는 P40237(마우스)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KAI1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KAI1 단백질의 일부로서, KAI1 단백질의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KAI1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일 수 있다.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서, N 말단으로부터 33 내지 53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서, N 말단으로부터 101 내지 228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서, N 말단으로부터 111 내지 228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서, N 말단으로부터 166 내지 185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KAI1 단편의 활성은 Y*C 모티프(motif)와 EED 모티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2개의 모티프를 포함하는 한 다양한 형태의 KAI1 단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KAI1 단편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가지는 펩타이드 일 수 있다:
[구조식 1]
Tyr Xaa1 Cys Xaa2 Xaa3 Xaa4 Xaa5 Xaa6 Xaa7 Glu Glu Asp(서열번호 43)
Xaa1은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1은 Pro 일 수 있다.
Xaa2는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2는 Ser 일 수 있다.
Xaa3은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3은 Cys 일 수 있다.
Xaa4는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4는 Glu 일 수 있다.
Xaa5는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5는 Val 일 수 있다.
Xaa6은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6은 Lys 일 수 있다.
Xaa7은 Ala, Asp, Glu, Gly, Phe, Leu, Ser, Tyr, Cys, Trp, Pro, His, Gln, Arg, Ile, Met, Asn, Lys, Ser 또는 Val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Xaa7은 Gly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간 섬유화(liver fibrosis)"는 간의 손상으로 섬유 조직이 증식하는 증상을 말한다. 간 섬유화는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간 섬유화는 간경변증(liver cirrhosis)일 수 있다. 간경변증은 말랑말랑했던 간이 돌덩이와 같은 딱딱한 간으로 변화되어 원래의 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병을 말한다. 상기 간경변증은 바이러스성 간 섬유화, 알코올성 간경변증, 비알코올성 간경변증, 윌슨병 관련 간경변증, 혈색소증 관련 간경변증, 문맥성 간경변증, 괴사 후 간경변증, 영양 결핍 관련 간경변증 및 심장성 간경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 섬유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치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 섬유화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유효한 양"은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유효한 양은 당업자가 선택되는 세포 또는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상기 약학 조성물 당 약 0.5 ㎍ 내지 약 2 g, 약 1 ㎍ 내지 약 1 g, 약 10 ㎍ 내지 약 500 mg, 약 100 ㎍ 내지 약 100 mg 또는 약 1 mg 내지 약 50 mg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항염증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염"은 화합물의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금속염의 부가염을 말한다.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염일 수 있다. 상기 무기산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이황산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염은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프로피온산염, 젖산염, 옥살산염, 주석산염, 말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베실산염, 캠실산염, 에디실염,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벤조산염, 글루콘산염, 메탄술폰산염, 글리콜산염, 숙신산염, 4-톨루엔술폰산염, 갈락투론산염, 엠본산염, 글루탐산염,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염일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칼슘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또는 칼륨염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희석제 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생리식염수, PBS와 같은 완충액,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풍미제, 유화제, 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개체 내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1일 1회,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에 1회 내지 6회, 2주일에 1회 내지 10회, 3주일에 1회 내지 15회, 4주일에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에 1회 내지 6회, 2주일에 1회 내지 10회, 3주일에 1회 내지 15회, 4주일에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개체는 간 섬유화가 생기거나 간 섬유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임의의 제형으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면, 비경구 제형(예를 들면, 주사제)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제는 전신 제형, 또는 국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하투여, 근육투여, 또는 정맥 투여를 위한 주사제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질 캡슐, 연질 캡슐, 겔제, 액상제제, 또는 분무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간 섬유화, 예방, 치료, KAI1 단백질 및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KAI1 단백질, KAI1 단백질의 단편, 약학 조성물, 간 섬유화, 예방, 치료 및 투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개체는 간 섬유화가 생기거나 간 섬유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투여경로,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환자의 상태 및 부작용의 유무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고, 최적의 투여방법,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간 섬유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구조식 1의 KAI1 단백질 단편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혈관신생 억제기능을 갖는 KAI1 펩타이드의 디자인 및 기능 부위 서열의 탐색
KAI1(서열번호 1)의 세포외 거대 루프(large extracellular loop); 및 PDGFR와 VEGFR 사이의 보존된 모티프(consensus motif)를 상동성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동성 분석을 통해, KAI1 단백질 내 보존된 모티프 중 Y*C 모티프(motif)와 EED 모티프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또는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와 직접적으로 결합 가능한 부위임을 확인하였다(도 1).
Y*C 모티프와 EED 모티프를 포함하는 20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기능성 KAI1 펩타이드(야생형 펩타이드, pepKAI1 WT), Y*C 및 EED를 모두 알라닌(A)으로 치환시킨 돌연변이 펩타이드(pepKAI1 Mut)를 제작하였다. 펩타이드 서열 정보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야생형 KAI1 펩타이드 서열과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 서열 간에 차이가 있는 아미노산 서열은 언더라인으로 표시하였다.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N 말단 -> C 말단)
야생형 KAI1 펩타이드 서열 NRPEVTYPCSCEVKGEEDNS (서열번호 2)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 서열 NRPEVTAPASCEVKGAAANS (서열번호 3)
실시예 2. 급성 간 섬유화 동물 모델에서 KAI1 단백질의 간 섬유화 억제 활성 확인
실시예 2.1. 급성 간 섬유화 동물모델 실험
KAI1 단백질에 의한 간 섬유화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도 2).
구체적으로, 7주령의 C57BL/6 수컷 마우스를 준비하고, CCl4를 1 ㎖/kg의 농도로 옥수수유에 희석하였다.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마우스에 희석된 CCl4를 1주일에 2회 복강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마우스에 같은 양의 옥수수유를 복강 주사하였다.
KAI1 단백질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에서 N 말단으로부터 111 내지 228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세포외 도메인, 서열번호 4)를 포함하는 KAI1 단편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Human CD82/ KAI-1 Protein(His Tag), Sino Biological Inc.)를 사용하였다. 실험 시작 후 8일째 마우스 한 마리 당 4 ㎍의 KAI1 단백질을 복강 주사하고, 11일째 마우스를 희생하여 간 조직을 적출하였다.
실시예 2.2. 급성 간 섬유화 모델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억제
실시예 2.1.에서 적출된 간 조직을 10%(v/v)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다. 그 후 간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의 두께로 박절하여 조직 절편을 준비하였다. 탈파라핀 및 과수화한 뒤, H&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수행하여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Veh)에서는 세포의 손상과 염증성 세포의 침투 정도가 증가하였으나, KAI1 단백질 처리군(CCl4+KAI1)에서 그 정도가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 단백질에 의해 급성 간 섬유화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급성 간 섬유화 모델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억제
간 조직에서 CCl4에 의해 증가한 섬유화를 KAI1이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화 관련 유전자에 대한 발현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1.에서 적출된 간 조직으로부터 RNA를 수득하였다. 간 조직의 RNA는 Favorgen® Trizol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수득하였다. 상기 RNA를 다시 cDNA 합성 키트(Bioneer corp.)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켰다. 그 후 Real-Time PCR(qPCR)을 수행하여, 섬유화 관련 유전자인 Col1a1(collagen type 1), 피브로넥틴(fibronectin) 및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의 발현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이머 서열
마우스 TGFβ1 정방향 5'-TGATACGCCTGAGTGGCTGTCT-3' (서열번호 5)
역방향 5'-CACAAGAGCAGTGAGCGCTGAA-3' (서열번호 6)
마우스 피브로넥틴 정방향 5'-CCCTATCTCTGATACCGTTGTCC-3' (서열번호 7)
역방향 5'-TGCCGCAACTACTGTGATTCGG-3' (서열번호 8)
마우스 Col1a1 정방향 5'-CCTCAGGGTATTGCTGGACAAC-3' (서열번호 9)
역방향 5'-CAGAAGGACCTTGTTTGCCAGG-3' (서열번호 10)
마우스 GAPDH 정방향 5'-CATCACTGCCACCCAGAAGACTG-3' (서열번호 11)
역방향 5'-ATGCCAGTGAGCTTCCCGTTCAG-3' (서열번호 12)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GF-β1, 피브로넥틴 및 Col1a1의 유전자 발현은 CCl4 처리에서 의해 증가한 반면, KAI1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 단백질이 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KAI1 단백질의 간 섬유화 억제 활성 확인
실시예 3.1. 간 섬유화 세포 모델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의 억제
KAI1 단백질의 세포수준에서의 간 섬유화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GF-β1을 처리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한 간 세포주(AML12)에 KAI1 단백질을 처리하여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ML12 세포는 10%(v/v)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 1%(w/v)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 ㎍/㎖ 인슐린, 5.5 μg/㎖ 트랜스페린, 5 ng/㎖ 셀레늄 및 40 ng/㎖ 덱사메타손이 포함된 DMEM/F12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AML12 세포에 각각 200 ng/㎖ 또는 500 ng/㎖의 KAI1 단백질을 처리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세포에 섬유화 유도 사이토카인인 TGF-β1을 2 ng/㎖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추가 배양한 뒤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세포의 RNA는 Trizol로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뒤, qPCR 분석을 통해 섬유화 관련 유전자(α-SMA, Col1a1, TIMP1, MMP9)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이머 서열
마우스 α-SMA 정방향 5'-TGCTGACAGAGGCACCACTGAA-3' (서열번호 13)
역방향 5'-CAGTTGTACGTCCAGAGGCATAG-3' (서열번호 14)
마우스 Col1a1 정방향 5'-CCTCAGGGTATTGCTGGACAAC-3' (서열번호 9)
역방향 5'-CAGAAGGACCTTGTTTGCCAGG-3' (서열번호 10)
마우스 TIMP1 정방향 5'-GATATGCCCACAAGTCCCAGAACC-3' (서열번호 15)
역방향 5'-GCACACCCCACAGCCAGCACTAT-3' (서열번호 16)
마우스 MMP9 정방향 5'-GCTGACTACGATAAGGACGGCA-3' (서열번호 17)
역방향 5'-TAGTGGTGCAGGCAGAGTAGGA-3' (서열번호 18)
마우스 GAPDH 정방향 5'-CATCACTGCCACCCAGAAGACTG-3' (서열번호 11)
역방향 5'-ATGCCAGTGAGCTTCCCGTTCAG-3' (서열번호 12)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TGF-β1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던 섬유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 단백질이 간 세포 수준에서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간 섬유화 세포 모델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상피-간엽이행 관련 단백질 발현의 억제
상피-간엽이행(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과정은 섬유화 기전의 하나로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마우스 간 세포주(AML12)에서 TGF-β1에 의해 유도되는 EMT 과정에 대하여 KAI1 단백질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ML12 세포에 500 ng/㎖의 KAI1 단백질을 처리하고 2시간 반응시킨 후, TGF-β1을 처리하고 24시간 또는 48시간 추가 배양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세포를 프로테아제 저해제가 포함된 RIPA 완충액에서 용해시켜 단백질을 추출하고, 동량의 단백질을 로딩하여 면역블로팅을 수행하였다. 항체는 EMT 과정 중 상피 바이오마커인 ZO-1의 항체(항-ZO 항체, 13663, Abcam)를 사용하여 ZO-1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이때, 항-tubulin 항체(T5168, Sigma-Aldrich)는 인터널 컨트롤(internal control)로 사용하였으며, 2차 항체로는 HRP-conjugated 항-토끼 항체(ADI-SAB-300-J, Enzo Life Science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TGF-β1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던 ZO-1 단백질의 발현이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해 회복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이 EMT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간 세포에서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3. 간 섬유화 세포 모델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유전자 발현의 억제
마우스 간 세포주(AML12)에서 야생형 KAI1 펩타이드(pepKAI1 WT) 또는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pepKAI1 Mut)의 TGF-β1 처리에 의해 유도된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ML12 세포에 재조합 인간 KAI1 단백질(rhKAI1), 야생형 KAI1 펩타이드(pepKAI1 WT) 및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pepKAI1 Mut)를 각각 200 ng/㎖ 또는 500 ng/㎖의 농도로 처리하고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세포에 TGF-β1을 2 ng/㎖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추가 배양한 뒤 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세포의 RNA는 Trizol로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뒤, qPCR 분석을 통해 섬유화 관련 유전자(α-SMA, Col1a1, TIMP1, Vimentin, TGF-β, 피브로넥틴)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이머 서열
마우스 α-SMA 정방향 5'-TGCTGACAGAGGCACCACTGAA-3' (서열번호 13)
역방향 5'-CAGTTGTACGTCCAGAGGCATAG-3' (서열번호 14)
마우스 Col1a1 정방향 5'-CCTCAGGGTATTGCTGGACAAC-3' (서열번호 9)
역방향 5'-CAGAAGGACCTTGTTTGCCAGG-3' (서열번호 10)
마우스 TIMP1 정방향 5'-GATATGCCCACAAGTCCCAGAACC-3' (서열번호 15)
역방향 5'-GCACACCCCACAGCCAGCACTAT-3' (서열번호 16)
마우스 Vimentin 정방향 5'-CGGAAAGTGGAATCCTTGCAGG-3' (서열번호 19)
역방향 5'-AGCAGTGAGGTCAGGCTTGGAA-3' (서열번호 20)
마우스 TGFβ 정방향 5'-TGATACGCCTGAGTGGCTGTCT-3' (서열번호 5
역방향 5'-CACAAGAGCAGTGAGCGCTGAA-3' (서열번호 6)
마우스 피브로넥틴 정방향 5'-CCCTATCTCTGATACCGTTGTCC-3' (서열번호 7)
역방향 5'-TGCCGCAACTACTGTGATTCGG-3' (서열번호 8)
마우스 GAPDH 정방향 5'-CATCACTGCCACCCAGAAGACTG-3' (서열번호 11)
역방향 5'-ATGCCAGTGAGCTTCCCGTTCAG-3' (서열번호 12)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TGF-β1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던 섬유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야생형 KAI1 펩타이드(pepKAI1 WT)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상기 야생형 KAI1 펩타이드(pepKAI1 WT) 처리군의 유전자 발현은 rhKAI1 단백질 처리군보다 더욱 감소하였다. 반면, 돌연변이 KAI1 펩타이드(pepKAI1 Mut) 처리군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 단백질이 간 섬유화를 억제하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4.1.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확인
과도한 간 성상세포의 증식과 활성화로 인해 섬유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간 간 성상세포주(LX2)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LX2 세포주에 재조합 인간 KAI1 단백질(rhKAI1)을 각각 200 ng/㎖ 또는 500 ng/㎖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수집하여 세포 증식 및 세포 내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은 MTS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세포의 RNA는 Trizol로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뒤, qPCR 분석을 통해 섬유화 관련 유전자(α-SMA, Col1a1, Vimentin, TGF-β, GFAP)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이머 서열
인간 Vimentin 정방향 5’-TTGTGGCAGGGTTGATGTTA-3’(서열번호 21)
역방향 5’-CACCCACTCCAACTCCAACT-3' (서열번호 22)
인간 Col1a1 정방향 5’-TTATAGAGCGATACAAGGGGGAG-3’(서열번호 23)
역방향 5’-CGCCGTCTGATTATCTTGATGAG-3’(서열번호 24)
인간 TGFβ 정방향 5’-GAGGCTACCCTAGACACAAGG-3’(서열번호 25)
역방향 5’-GGGTGCCGTTGCTCATCATA-3’(서열번호 26)
인간 α-SMA 정방향 5’-TGAACTCCAACGTCAAGCGG-3’(서열번호 27)
역방향 5’-CGCCGTCTGATTATCTTGATGAG-3’(서열번호 28)
인간 GFAP 정방향 5’-CTGGAGGTTGAGAGGGACAA-3’(서열번호 29)
역방향 5’-CAGCCTCAGGT GGTTTCAT-3’(서열번호 30)
인간 9S 정방향 5’-GACTCCGGAACAAACGTGAGGT-3’(서열번호 31)
역방향 5’-CTTCATCTTGCCCTCGTCCA-3’(서열번호 32)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해 세포 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섬유화 관련 유전자인 Vimentin, Col1α1, TGF-β 및 α-SMA의 발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휴지기 성상세포의 마커 유전자인 GFAP의 발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시예 4.2.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섬유화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KAI1 단백질을 처리한 인간 간 성상세포주(LX2)에서 섬유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때, 1차 항체로 항-Vimentin 항체(sc-5565, Santa Cruz Biotech.), 항-Col1α1 항체(NBP1-30054, Novus Biological), 항-α-SMA 항체(A5228, Sigma-Aldrich), 항-GFAP 항체(Z0334, Dako) 및 항-GAPDH 항체(MCA4739, AbD Serptec)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HRP-conjugated 항-토끼 항체(ADI-SAB-300-J, Enzo Life Sciences)와 항-마우스 항체(ADI-SAB-100-J)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 성상세포주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해 섬유화 관련 단백질(Vimentin, Col1α1, α-SMA)의 발현이 감소한 반면, 휴지기 간 성상세포의 마커 유전자인 GFAP의 발현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4.1.의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실시예 4.3.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 확인
간 성상세포가 간에서 노화(senescence)를 유도하여 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KAI1 단백질을 처리한 인간 간 성상세포주(LX2)에서 노화 관련 유전자(HGMA1, p16, p21 및 p53, SIRT1)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때,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이머 서열
인간 HGMA1 정방향 5’-CAACTCCAGGAAGGAAACCA-3’(서열번호 33)
역방향 5’-AGGACTCCTGCGAGATGC-3’(서열번호 34)
인간 p16 정방향 5’-CACCGAATAGTTACGGTCGG-3’(서열번호 35)
역방향 5’-GCACGGGTCGGGTGAGAGTG-3’(서열번호 36)
인간 p21 정방향 5’-CATGTGGACCTGTCACTGTCTTGTA-3’(서열번호 37)
역방향 5’-GAAGATCAGCCGGCGTTTG-3’(서열번호 38)
인간 p53 정방향 5’-CCTCAGCATCTTATCCGAGTGG-3’(서열번호 39)
역방향 5’-TGGATGGTGGTACAGTCAGFGC-3’(서열번호 40)
인간 SIRT1 정방향 5’-TGCTGGCCTAATAGAGTGGCA-3’(서열번호 41)
역방향 5’-CTCAGCGCCATGGAAAATGT-3’(서열번호 42)
인간 9S 정방향 5’-GACTCCGGAACAAACGTGAGGT-3’(서열번호 31)
역방향 5’-CTTCATCTTGCCCTCGTCCA-3’ (서열번호 32)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KAI1 단백질 처리군에서 노화 마커 유전자인 HGMA1, p16, p21 및 p53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노화 억제 마커인 SIRT1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4. 간 성상세포주에서 KAI1 단백질 처리에 의한 노화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KAI1 단백질을 처리한 인간 간 성상세포주(LX2)에서 노화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때, 1차 항체로 항-SIRT1 항체(ab32441, Abcam), 항-p16 항체(10883-1-ap, Protein tech.) 및 항-GAPDH 항체(MCA4739, AbD Serptec)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HRP-conjugated 항-토끼 항체(ADI-SAB-300-J, Enzo Life Sciences)와 항-마우스 항체(ADI-SAB-100-J)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2 및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KAI1 단백질 처리군에서 노화 마커 단백질인 p16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노화 억제 마커 단백질인 SIRT1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4.3.의 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KAI1 단백질이 간 섬유화 과정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간 성상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고, 노화를 유도하여 간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AI1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AI1 단백질의 단편은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 섬유화는 간경변증인 것인,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경변증은 바이러스성 간 섬유화, 알코올성 간경변증, 비알코올성 간경변증, 윌슨병 관련 간경변증, 혈색소증 관련 간경변증, 문맥성 간경변증, 괴사 후 간경변증, 영양 결핍 관련 간경변증 및 심장성 간경변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의 간 섬유화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용도.
  7. KAI1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22/013013 2021-08-31 2022-08-31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30335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891 2021-08-31
KR20210115891 2021-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534A1 true WO2023033534A1 (ko) 2023-03-09

Family

ID=8541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013 WO2023033534A1 (ko) 2021-08-31 2022-08-31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4167A (ko)
WO (1) WO20230335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4000B1 (en) * 1995-04-28 2001-03-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iagnostic methods and gene therapy using reagents derived from the human metastasis suppressor gene KAI1
KR20160131259A (ko) * 2015-05-06 2016-1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혈모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kai1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20160131258A (ko) * 2015-05-06 2016-1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Kai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092137A1 (en) * 2016-11-17 2018-05-24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Modulators of human kai1 metastasis suppressor gene, methods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4000B1 (en) * 1995-04-28 2001-03-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iagnostic methods and gene therapy using reagents derived from the human metastasis suppressor gene KAI1
KR20160131259A (ko) * 2015-05-06 2016-1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조혈모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kai1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20160131258A (ko) * 2015-05-06 2016-1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Kai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092137A1 (en) * 2016-11-17 2018-05-24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Modulators of human kai1 metastasis suppressor gene, methods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ANG WU, ZHAO CHENG-GUANG, SUN HONG-YU, ZHENG WEI-E, CHEN HUA: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AI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Their Diagnostic Valu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GUT AND LIVER, GUT AND LIVER, EDITORIAL OFFICE, KR, vol. 8, no. 5, 15 September 2014 (2014-09-15), KR , pages 536 - 542, XP093042288, ISSN: 1976-2283, DOI: 10.5009/gnl133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167A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nes Endothelins and pulmonary diseases
US20100222280A1 (en) PEPTIDES WITH THE CAPACITY TO BIND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beta 1)
WO2015156649A1 (ko) 섬유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3169060A1 (ko)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60673A1 (ko) 전립선 비대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5093854A1 (ko) 전립선 암 치료용 조성물
WO2018169282A2 (ko) Atpif1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010621A1 (ko)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질환 펩타이드 치료제
WO2018074682A1 (ko)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0116810A1 (ko) Fas 신호전달 억제용 펩티드를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77518A1 (ko)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심혈관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항염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33534A1 (ko) Kai1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간 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7423019B2 (en) Agent for inducing conversion of intestinal cells into insulin-producing cells and antidiabetic drug
AU2020234373B9 (en) Novel peptide and use thereof
WO2020091463A1 (ko)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건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40664A1 (ko) 리포칼린 2 또는 이의 수용체의 발현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지방간염에 의해 유도된 간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6018090A1 (ko)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1246755A1 (ko) 포스포리파아제 d2 억제제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0841A (ko) Gas6 단백질 또는 이의 수용체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21771A1 (ko) TIF1γ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강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11971A1 (ko) Gpr119 리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48046A2 (ko) mTOR 저해제를 함유하는 황반변성 치료용 의약조성물
WO2021118298A1 (ko) 페오포르바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16256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s using ssu72
WO2021187895A1 (ko) 심장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5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