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2278A1 - 테이핑 의류 - Google Patents

테이핑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2278A1
WO2023022278A1 PCT/KR2021/011487 KR2021011487W WO2023022278A1 WO 2023022278 A1 WO2023022278 A1 WO 2023022278A1 KR 2021011487 W KR2021011487 W KR 2021011487W WO 2023022278 A1 WO2023022278 A1 WO 20230222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ttern
patterns
taping
pair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14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경수
이경렬
권정숙
Original Assignee
(주)라쉬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쉬반코리아 filed Critical (주)라쉬반코리아
Publication of WO20230222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22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retchable clothing worn on the upper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taping clothing having functions of posture correction and body shape correction.
  • the sports taping technique is a sports medicine technique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to protect the muscles of athletes. This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sports field in taping clothing, and resin such as silicone is coated in a certain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lothing fabric along the muscle texture or for certain purposes such as protecting shoulder muscles, improving mobility, and maintaining balance.
  • Korean Patent No. 0228724 proposed a taping pattern for protecting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shoulder region
  • Korean Patent No. 1314139 proposed a method for flexibility of the shoulder part and right-left balance alignment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 a taping pattern to help with this has been propos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7-0044920 proposes a taping pattern with functions of shoulder muscle protection, posture correction, and tummy tuck correc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ped garment that corrects the posture of the upper body when worn and at the same time has a function of correcting the overall body shape of the upper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tchable taped garmen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worn on the upper body.
  •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loop patterns returning to;
  • In the front part a pair of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that meet the shoulder loop pattern at the outer end of the clavicle, wrap arou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 and meet the shoulder loop pattern again at the armpit;
  • an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 in which both end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meet the left and right pair of shoulder loop patterns at the outer end of the clavicle;
  • a lower and transverse pulling pattern in which both end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ear part meet the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loop patterns in the armpit;
  • a pair of left and right shaping patterns starting from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and transverse pulling patterns at the rear part, passing through the
  • the pair of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part.
  • the taped garmen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ridge patterns forme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around the vertical pattern on the back side and connecting the situational pulling pattern and the bottom-lateral pulling pattern.
  • the chest pattern preferably covers the nipple through a path surrounding the pectoralis major muscle.
  • the shaping pattern is convex downward in an upper section starting from the lower and lateral traction patterns on the rear side to the side, and upward in the lower section from the front side to the lower line along the abdomen. It may be formed convexly.
  • the taped clothing further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erector muscle patterns starting from the lower transverse traction pattern on the back side and reaching the lower end line along the erector spinae muscle, and the shaping pattern is formed by meeting the upper end of the erector spinae muscle pattern. Through this, it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horizontal pulling pattern.
  • the taped clothing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pattern connecting the pair of erector muscle patterns to each other.
  • the intermediate pattern may be a mesh pattern formed in left and right oblique directions.
  • the shaping patterns may cross each other at the navel of the front surface.
  • the taped clothing is formed under the shaping pattern, starting from the erect muscle pattern on the rear part, passing through the side flank part of the abdome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flank patterns meeting the shaping pattern on the front part. may further include.
  • the taped clothing is formed under the flank meat patter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waistband patterns that meet each other starting from the erect muscle pattern on the rear side, passing through the side waist area, and passing through the shaping pattern on the front side. may further include.
  • the wearer's chest and shoulders are pulled backward by the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s of the rear part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and shoulder loop patterns of the front part.
  • a pair of left and right shaping patterns extending from the lower and side traction patterns press the side of the wearer inward and press the abdomen at the front, thereby obtaining a body shape correction effect that makes the wearer look slimmer.
  • 1 to 3 are front, side and rear views of taped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human body for explaining the wearing effect of taped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7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taped gar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aped clothin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tchable clothing worn on the upper body, and the front part (1a in FIG. 1 ) and the rear part (1b in FIG. 3 )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a connected structure.
  • the taping patterns formed on the taped clothing 1 include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loop patterns (10 in FIGS. 1 to 3), a pair of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20 in FIG. 30 and 40), a depth pattern (50 in FIG. 3),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haping patterns (60 in FIGS. 1 to 3).
  •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has a front loop pattern portion 11 starting from the outer end 10a of the wearer's clavicle and extending to the armpit 10b on the front portion 1a, and FIG. 3 As shown in, the rear ring pattern portion 12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1b starting from the outer end portion 10a of the clavicle and extending to the armpit 10b.
  • the front loop pattern portion 11 and the rear loop pattern portion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uter end portion 10a of the clavicle and the armpit 10b to form one ring, that is,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as a whole.
  • the chest pattern 20 is formed only on the front portion 1a, and is formed to protrude convexly inward to have a shape that wraps around the wearer's pectoralis major muscle. ) meets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and the lower end meets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again in the armpit 10b.
  • the chest pattern 20 is formed to cover the wearer's nipple at the portion 21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exposure.
  • the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 30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wearer's shoulder from the rear part 1b to the left and right,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the outer end of the clavicle of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10a) ) and meet
  • the lower transverse pulling pattern 40 is formed to extend in a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wearer's armpit height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rear portion 1b, and both ends meet at the armpits 10b of the shoulder loop pattern 10, respectively.
  • the wearer of the taped clothing 1 Due to the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s 30 and 40, the wearer of the taped clothing 1 has a shoulder area by the left and right shoulder loop patterns 10 and a chest area by the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20.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in which the part is bent backward, and thus, as shown in (a) of FIG. 4, the posture bent forward is corrected to the correct posture as shown in (b).
  • the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20 and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 the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s 30 and the lower and lateral traction patterns 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enters by the vertical pattern 50, which serves to pull up and support the shaping pattern 60 to be described later .
  • the upper and lower transverse pulling patterns 30 and 40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bridge patterns 70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shaping pattern 60 has an upper end 60a connec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lower lateral pulling pattern 40 on the rear part 1b, starting therefrom and passing through the side 60b (FIG. 2). And, as shown in FIG. 1, in the front part 1a, the pattern passing through the side 60b reaches the bottom line 1c along one side of the wearer's abdomen.
  • the side of the wearer is pressed inward by the shaping pattern 60, and the abdomen of the wearer is also pressed by the shaping pattern 60 on the front portion 1a, so that the wearer's side and abdomen are slim as a whole.
  • the effect of forming a true line can be obtained.
  • this shaping pattern 60 is due to its own elasticity, bu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60a is connected to the lower lateral pulling pattern 40, and the central pattern 50 and the bridge pattern ( 70), it is also due to the effect of being support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s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s 30, not a little.
  • the taped clothing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tchable clothing worn on the upper body, and the front part (2a in FIG. 5 ) and the rear part (2b in FIG. 7 ) are mutually connected. have a connected structure.
  •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 the taping patterns formed on the taped clothing 2 include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loop patterns 110, a pair of left and right chest patterns 120, upper and lower traction patterns 130 and 140, a center pattern 150, and a left and right chest pattern 120. It is divided into a pair of shaping patterns 160 and the like.
  • the taping patte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erector muscle patterns (starting from the lower transverse traction pattern 140 on the rear surface 2b and reaching the bottom line 2d along the erector spinae muscle) 180) is further included.
  • the upper end of the shaping pattern 160 meets the upper end of the erect muscle pattern 18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lateral pulling pattern 140 through this medium.
  • the taping patte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lank patterns 190 and a waistband pattern 200 connected to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together with a shaping pattern 160 in which left and right sides intersect each o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
  •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holds the patterns 160, 190, and 200 to correctly perform abdominal movements, especially abdominal rotation or extension movements by holding the abdomen as well as the shaping function of the abdomen. plays a holding role.
  • the upper end of the erect muscle pattern 180 is connected to the lower lateral traction pattern 14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ateral traction patterns 130 and 140 can also supplement the function of straightening the bent posture of the wearer. .
  • an intermediate pattern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erect muscle patterns 180 to each other is formed.
  • a pair of left and right shaping patterns 160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t the navel portion 161 of the front portion 2a, as shown in FIG. 5 .
  • the flank meat pattern 190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haping pattern 160 start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in the rear part 2b of FIG. It meets the shaping pattern 160 at the front part 2a of the . Accordingly, it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abdominal extension movement along with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but also achieves an aesthetic effect of saving the waistline by holding the wearer's side.
  • the waistband pattern 200 located below the flank meat pattern 190 starts from the lower part of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in the rear part 2b of FIG. 7 and passes through the waist part 200a on the side to the front of FIG. In part 2a, a belt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both of the pair of shaping patterns 160 and meeting each oth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tterns 190. Accordingly, along with the erector muscle pattern 180, it not only performs the function of correcting the abdominal extension movement, but also achieves an aesthetic effect of saving the abdominal line by compressing the wearer's abdomen like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반신에 착용되는 신축성 테이핑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쇄골의 외측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겨드랑이를 통과하여 복귀하는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의류의 전면부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만나고 대흉근을 감싸돌아 상기 겨드랑이에서 다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과; 의류의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상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겨드랑이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하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상,하횡 견인 패턴을 연결하는 종심 패턴; 및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옆구리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복부를 따라 하단선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구부정한 자세를 똑바르게 펴주는 자세교정 효과 및 옆구리 부위와 복부를 눌러줌으로써 날씬하게 보이도록 해주는 몸매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핑 의류
본 발명은 상반신에 착용되는 신축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세교정 및 몸매보정의 기능이 있는 테이핑 의류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테이핑 기법은 운동선수의 근육보호를 위해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던 스포츠 의학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이 스포츠 분야에 적용된 것이 테이핑 의류이며, 근육의 결을 따라 또는 어깨근육 보호, 운동성 향상, 밸런스 유지 등의 일정한 목적에 따라 의류원단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실리콘 등의 수지가 코팅된 것이다.
종래 제안된 테이핑 의류로서 한국특허 제0228724호에는 어깨부위의 관절 및 근육을 보호하기 위한 테이핑 패턴이 제안된 바 있고, 한국특허 제1314139호에는 운동 퍼포먼스의 향상을 위해 어깨 부분의 유연성 및 좌우 밸런스 맞춤에 도움을 주는 테이핑 패턴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44920호에는 어깨근육 보호와 자세교정, 그리고 배나옴 교정의 기능이 있는 테이핑 패턴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제안된 테이핑 패턴은 주로 어깨 부위의 관절과 근육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상체의 전체적인 자세교정에 관하여 테이핑 패턴이 제안된 선행기술은 찾아볼 수 없으며, 이와 더불어 상체의 전체적인 몸매보정의 기능까지 겸비한 테이핑 패턴에 대한 선행기술은 더더욱 사례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시 상체의 자세를 바로 잡아주며, 이와 동시에 상체의 전체적인 몸매보정 기능까지 겸비한 테이핑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반신에 착용되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의 신축성 테이핑 의류로서, 상기 전면부에서 쇄골의 외측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겨드랑이를 통과하여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로 복귀하는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고 대흉근을 감싸돌아 상기 겨드랑이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다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상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단부가 상기 겨드랑이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하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상횡 견인 패턴과 상기 하횡 견인 패턴의 각 중심 간을 연결하는 종심 패턴; 및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옆구리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복부를 따라 하단선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 의류는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종심 패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황 견인 패턴과 상기 하횡 견인 패턴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흉부 패턴은 상기 대흉근을 감싸도는 경로를 통해 젖꼭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옆구리에 이르는 상부구간에서는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옆구리로부터 상기 복부를 따라 상기 하단선에 이르는 하부구간에서는 위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이핑 의류는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척추기립근을 따라 상기 하단선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기립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단이 상기 기립근 패턴의 상단부와 만남으로써 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횡 견인 패턴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테이핑 의류는 상기 한 쌍의 기립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매개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매개 패턴은 좌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물망 패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기 전면부의 배꼽부위에서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테이핑 의류는, 상기 쉐이핑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복부의 측면 옆구리살 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과 만나는 좌우 한 쌍의 옆구리살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테이핑 의류는, 상기 옆구리살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측면 허리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을 통과하여 서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허리띠 패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의류에 의하면 착용자의 흉부와 어깨가 전면부의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과 어깨고리 패턴을 통해 이와 연결되는 후면부의 상횡 및 하횡 견인 패턴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당겨지게 되므로 구부정한 자세를 똑바르게 편 자세로 바로잡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횡 견인 패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에 의해 착용자의 옆구리 부위를 내측으로 눌러주고 전면부에서는 복부를 눌러줌으로써 날씬하게 보이도록 해주는 몸매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의 착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인체의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신에 착용되는 신축성 의류로서 전면부(도 1의 1a)와 후면부(도 3의 1b)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테이핑 의류(1)에 형성되는 테이핑 패턴은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도 1 내지 도 3의 10),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도 1의 20), 상횡 및 하횡 견인 패턴(도 3의 30, 40), 종심 패턴(도 3의 50),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도 1 내지 도 3의 60) 등으로 구분된다.
어깨고리 패턴(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a)에서 착용자의 쇄골 외측단부(10a)에서 시작하여 겨드랑이(10b)에 이르는 전방고리 패턴부(11)가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b)에서는 상기 쇄골 외측단부(10a)에서 시작하여 겨드랑이(10b)에 이르는 후방고리 패턴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고리 패턴부(11)와 후방고리 패턴부(12)는 상기 쇄골 외측단부(10a)와 겨드랑이(10b)에서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고리, 즉 어깨고리 패턴(10)을 형성하게 된다.
흉부 패턴(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a)에만 형성되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대흉근을 감싸되는 모양을 가지며, 이때 상단은 상기한 쇄골 외측단부(10a)에서 어깨고리 패턴(10)과 만나고 하단은 상기 겨드랑이(10b)에서 다시 어깨고리 패턴(10)과 만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흉부 패턴(20)이 대흉근의 하부를 통과하는 부위(21)에서 착용자의 젖꼭지를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횡 견인 패턴(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b)에서 착용자의 어깨 부위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각기 어깨고리 패턴(10)의 쇄골 외측단부(10a)와 만난다.
하횡 견인 패턴(40)은 후면부(1b)에서 착용자의 겨드랑이 높이에서 좌우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각기 어깨고리 패턴(10)의 겨드랑이(10b)에서 만난다.
이와 같은 상횡 및 하횡 견인 패턴(30, 40)으로 인해, 테이핑 의류(1)의 착용자는 좌,우의 어깨고리 패턴(10)에 의해 어깨 부위가, 그리고 좌,우의 흉부 패턴(20)에 의해 가슴 부위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이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굽은 자세가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른 자세로 바로잡혀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굽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가슴 부위를 후방으로 확실하게 젖혀주기 위해서는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20, 20') 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상횡 견인 패턴(30)과 하횡 견인 패턴(40)은 종심 패턴(50)에 의해 각 중심 간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쉐이핑 패턴(60)을 위로 잡아당겨 지지하는 역할을 해준다. 이러한 역할을 포함하여 종심 패턴(50)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그 좌우측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70)을 통해 상,하횡 견인 패턴(30, 40)을 추가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쉐이핑 패턴(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1b)에서 하횡 견인 패턴(40)의 중심에 인접한 위치에 상단(60a)이 연결되어 이로부터 시작하여 옆구리(60b)를 통과한다(도 2 참조).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a)에서는 옆구리(60b)를 통과한 패턴이 착용자의 일측 복부를 따라 하단선(1c)에 이른다.
이로부터, 착용자의 옆구리 부위가 쉐이핑 패턴(60)에 의해 내측으로 눌러지게 되고, 착용자의 복부 또한 전면부(1a)에서의 쉐이핑 패턴(60)에 의해 눌러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옆구리와 복부가 날씬해진 라인이 형성되게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쉐이핑 패턴(60)의 기능 내지 작용은 그 자체의 탄력성에 기인한 점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상단(60a)이 하횡 견인 패턴(40)과, 그리고 종심 패턴(50)과 브릿지 패턴(70)에 의해 상횡 견인 패턴(30)에도 연결됨으로써 이들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되는 효과에 기인한 바도 적지 않다.
상기한 몸매보정의 기능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쉐이핑 패턴(60)의 모양에 관하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횡 견인 패턴(40)에 연결되는 상단(60a)으로부터 옆구리(60b)에 이르는 상부구간(61)에서는 아래로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구리(60b)로부터 일측 복부를 따라 하단선(1c)에 이르는 하부구간(62)에서는 위로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신에 착용되는 신축성 의류로서 전면부(도 5의 2a)와 후면부(도 7의 2b)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테이핑 의류(2)에 형성되는 테이핑 패턴은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110),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120), 상횡 및 하횡 견인 패턴(130, 140), 종심 패턴(150),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160) 등으로 구분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패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2b)에서 하횡 견인 패턴(140)으로부터 시작하여 척추기립근을 따라 하단선(2d)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기립근 패턴(180)을 더 포함한다.
이때의 쉐이핑 패턴(160)은 상단이 상기 기립근 패턴(180)의 상단부와 만남으로써 이를 매개로 하여 하횡 견인 패턴(140)과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패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가 서로 교차하는 쉐이핑 패턴(160)과 함께 상기 기립근 패턴(180)과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옆구리살 패턴(190)과 허리띠 패턴(200)을 더 포함하는바, 이때 상기 기립근 패턴(180)은 이들 패턴(160, 190, 200)을 잡아줌으로써 복부의 쉐이핑 기능은 물론 복부를 잡아줌으로써 복부운동, 특히 복부의 회전운동 내지 신전운동을 올바르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이에 더하여 기립근 패턴(180)은 상단이 하횡 견인 패턴(140)과 연결됨으로써 이를 통해 상,하횡 견인 패턴(130, 140)이 의류 착용자의 구부정한 자세를 똑바르게 펴주는 기능도 보완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기립근 패턴(180)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매개 패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물망 패턴(210)이 그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a)의 배꼽부위(161)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쉐이핑 패턴(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옆구리살 패턴(190)은 도 7의 후면부(2b)에서 기립근 패턴(180)의 중간부위로부터 시작하여 복부의 측면 옆구리살 부위(190a)를 통과하여 도 5의 전면부(2a)에서 쉐이핑 패턴(160)과 만난다. 이에 의해 상기 기립근 패턴(180)과 함께 복부의 신전운동을 바로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착용자의 옆구리살을 잡아주어 허리라인을 살려주는 미적 효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옆구리살 패턴(190)의 하부에 위치하는 허리띠 패턴(200)은 도 7의 후면부(2b)에서 기립근 패턴(180)의 하측부위로부터 시작하여 측면의 허리부위(200a)를 통과하여 도 5의 전면부(2a)에서 한 쌍의 쉐이핑 패턴(160)을 모두을 통과하여 좌우 패턴(190) 간 서로 만남으로써 벨트(belt)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상기 기립근 패턴(180)과 함께 복부의 신전운동을 바로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착용자의 복부를 벨트처럼 압박하여 복부라인을 살려주는 미적 효과 또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테이핑 의류들(1, 2)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결코 상기 설명된 바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4)

  1. 상반신에 착용되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의 신축성 테이핑 의류로서,
    상기 전면부에서 쇄골의 외측단부로부터 시작하여 겨드랑이를 통과하여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로 복귀하는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고 대흉근을 감싸돌아 상기 겨드랑이에서 상기 어깨고리 패턴과 다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단부가 상기 쇄골의 외측단부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상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단부가 상기 겨드랑이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어깨고리 패턴과 만나는 하횡 견인 패턴과;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상횡 견인 패턴과 상기 하횡 견인 패턴의 각 중심 간을 연결하는 종심 패턴; 및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옆구리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복부를 따라 하단선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쉐이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흉부 패턴은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종심 패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황 견인 패턴과 상기 하횡 견인 패턴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패턴은 상기 대흉근을 감싸도는 경로를 통해 젖꼭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테이핑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옆구리에 이르는 상부구간에서는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옆구리로부터 상기 복부를 따라 상기 하단선에 이르는 하부구간에서는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횡 견인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척추기립근을 따라 상기 하단선에 이르는 좌우 한 쌍의 기립근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단이 상기 기립근 패턴의 상단부와 만남으로써 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횡 견인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립근 패턴을 서로 연결하는 매개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패턴은 좌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물망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기 전면부의 배꼽부위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복부의 측면 옆구리살 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과 만나는 좌우 한 쌍의 옆구리살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옆구리살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측면 허리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을 통과하여 서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허리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패턴은 상기 전면부의 배꼽부위에서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핑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복부의 측면 옆구리살 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과 만나는 좌우 한 쌍의 옆구리살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옆구리살 패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기립근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측면 허리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쉐이핑 패턴을 통과하여 서로 만나는 좌우 한 쌍의 허리띠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
PCT/KR2021/011487 2021-08-18 2021-08-26 테이핑 의류 WO20230222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11A KR102358142B1 (ko) 2021-08-18 2021-08-18 테이핑 의류
KR10-2021-0108611 2021-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278A1 true WO2023022278A1 (ko) 2023-02-23

Family

ID=8025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1487 WO2023022278A1 (ko) 2021-08-18 2021-08-26 테이핑 의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8142B1 (ko)
WO (1) WO202302227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391A (ja) * 2004-03-05 2005-09-15 Kanebo Ltd アンダーシャツ
JP2009293145A (ja) *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KR101723920B1 (ko) * 2015-11-12 2017-04-06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KR200493255Y1 (ko) * 2020-07-21 2021-03-02 (주)마스터피스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102259774B1 (ko) * 2020-10-28 2021-06-02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391A (ja) * 2004-03-05 2005-09-15 Kanebo Ltd アンダーシャツ
JP2009293145A (ja) *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KR101723920B1 (ko) * 2015-11-12 2017-04-06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KR200493255Y1 (ko) * 2020-07-21 2021-03-02 (주)마스터피스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102259774B1 (ko) * 2020-10-28 2021-06-02 (주)라쉬반코리아 테이핑 타이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142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572B2 (ja) 水着
CA2542654C (en) Garment with compression zones
CN201094294Y (zh) 衣服
US20130111646A1 (en) Sportswear
CA2629459C (en)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US4412357A (en) Shirt
WO2013157676A1 (ko) 올인원
WO2023022278A1 (ko) 테이핑 의류
KR200474107Y1 (ko) 원피스형 보정속옷
WO2020153599A1 (ko) 신축성 허리벨트가 구비된 의류 및 그 제조방법
WO2022092417A1 (ko) 테이핑 타이즈
WO2018139831A1 (ko) 평상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임부복
WO2014051286A1 (ko) 체형보정기능 및 인체보온기능을 갖는 의류
JP2019019422A (ja) 女性用上衣
WO2003103423B1 (en) CLOTHING WITH A MINIMUM OF SEWING
WO2024010178A1 (ko) 레깅스 올인원
KR100879697B1 (ko)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JPS6220402Y2 (ko)
JP2021038482A (ja) 上半身用衣類
KR20230127054A (ko) 입는 스포츠 테이핑을 활용한 기능성 운동복 제조 방법
US2024005769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eding movement of biological structure
CN220735954U (zh) 一种下身可穿戴功能性肌肉刺激装置
CN215013684U (zh) 一种吊带式连体瑜伽服
CN212931170U (zh) 一种军警用防暴防弹盔甲服
WO2017188768A1 (ko) 스윙 교정용 골프 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43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