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697B1 -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697B1
KR100879697B1 KR1020077006227A KR20077006227A KR100879697B1 KR 100879697 B1 KR100879697 B1 KR 100879697B1 KR 1020077006227 A KR1020077006227 A KR 1020077006227A KR 20077006227 A KR20077006227 A KR 20077006227A KR 100879697 B1 KR100879697 B1 KR 10087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uscle
contact
dough
w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104A (ko
Inventor
료꼬 무로타니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함으로써 근육 처짐이나 피부 주름 발생 등을 경감할 수 있고, 착용시에 육체적 부담이 거의 없는 쾌적한 장착감을 갖는 브래지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2), 몸쪽에서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를 갖는 여성용 의류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가,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고,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6)이,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가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 (2)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 여성용 의류, 광배근, 대흉근

Description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Women's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착용시에 압박감이나 갑갑함이 적고, 착용함으로써 혈행이 촉진되어 근육이나 피부 처짐을 개선할 수 있는, 브래지어로 대표되는 여성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브래지어는 여성의 유방을 유지하여 흉부의 바디 라인을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속옷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착용시의 바디 라인의 보정 기능이 우선시된 나머지, 압박감이나 갑갑함이 크고, 착용하는 것 자체가 여성에게 과대한 육체적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이 바디 라인의 보정 기능을 유지하면서, 착용시의 과대한 육체적 부담을 경감 내지 해소할 수 있는 브래지어 등의 여성용 의류가 존재한다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나이를 먹음에 따라 인체의 대사 기능이 저하되면, 근육 처짐이나 피부 주름 발생 등이 현저해진다. 여성의 입장에서 처짐이나 주름 발생을 조금이라도 억제하여 아름다운 외관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러한 처짐이나 주름 발생을 일상적인 의류 착용 등의 간편한 방법 으로 경감 내지 해소할 수 있다면, 매우 의의가 클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함으로써 근육 처짐이나 피부 주름 발생 등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착용시에 육체적 부담이 거의 없는 쾌적한 착용감을 갖는 브래지어 등의 여성용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여성의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2), 몸쪽에서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를 갖는 여성용 의류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가, 상기 여성용 의류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6)이, 상기 여성용 의류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가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가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가 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한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상기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으며, 또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의 밑변이 상기 토대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2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는 여성용 의류.
5. 상기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 정도이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 정도이며, 또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 정도이고, 상기 제2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 정도인 여성용 의류.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소재가 마키젯(marquisette)인 여성용 의류.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토대부의 일부인 여성용 의류.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의류가 브래지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및 수영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여성용 의류.
9.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가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
10.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11. 상기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13. 상기 12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상기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는 여성용 의류.
14. 상기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 정도이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 정도인 여성용 의류.
15. 상기 10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소재가 마키젯인 여성용 의류.
16. 상기 10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의류가 브래지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및 수영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여성용 의류.
17.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여성용 의류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의류의 종류는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2),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브래지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수영복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여성용 의류의 전형적인 예인 브래지어의 형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형태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1 형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1 형태는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2),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로 구성되는 브래지어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이하, 「제1 부재」라고도 표기함)가 브래지어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고, 또한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2 부재 (6)(이하, 「제2 부재」라고도 표기함)이, 브래지어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가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 (2)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지어이다.
제1 부재 (5)의 소재로서는 비신축성 생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강도, 통기성 등의 점에서 예를 들면 마키젯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부재 (5)의 형상은 브래지어 착용시에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촉하고, 광배근 (10)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략 삼각형인 것을 들 수 있다. 대략 삼각형이란, 삼각형 내지 그에 가까운 형상(각 변이 완만한 곡선을 갖는 삼각 형상 등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그 중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각 삼각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각 삼각형이다.
대략 삼각형의 제1 부재 (5)는,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는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경사변 (X3)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된다.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의 직각을 끼는 한쪽 변, 즉 제1 부재 (5)의 밑변 (X1)은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 (3a)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부재 (5)의 밑변 (X1)의 길이는 4 내지 8 cm 정도(특히, 6 내지 8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부재 (5)의 밑변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밑변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사이드 밴드부 (3)의 신축 영역이 감소하여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는 효과가 감소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의 직각을 끼는 다른쪽 변, 즉 제1 부재 (5)의 수직변 (X2)는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접합부 (8)과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의 수직변 (X2)는 5 내지 10 cm 정도(특히, 7 내지 8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부재 (5)의 수직변을 접합부 (8)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것이 브래지어의 구성상 필요하기 때문이며, 수직변이 지나치게 길면 접합부 (8)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어떻든, 제1 부재 (5)는 그 경사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하는 범위에서 브래지어의 형태(사이드 밴드부 (3)의 형상 등)에 따라, 제1 부재 (5)의 대략 직각 삼각 형상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사이드 밴드부 (3)은, 통상 파워 네트, 트리코트 등의 신축성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축성 제1 부재 (5)는 봉제, 접착 등에 의해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된다. 제1 부재 (5)는 사이드 밴드부 (3)의 표면 또는 뒷면 중 어디에나 배치할 수 있지만, 뒷면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부재 (5)의 수직변부 (X2)는,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과의 경계 봉합부(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1 부재 (5)의 밑변 (X1)은,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 (3a)를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1 부재 (5)의 경사변 (X3)은, 단부를 되접어 사이드 밴드부 (3)의 생지에 직접 꿰맬 수 있다.
또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을 편성할 때, 비신축성 편성사로 제1 부재 (5)를 편성하는 등으로 하여, 사이드 밴드부 (3)의 일부에 제1 부재 (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2 부재 (6)의 소재로서는 비신축성 생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강도, 통기성 등의 점에서, 예를 들면 마키젯이 바람직하다. 제2 부재 (6)은 제1 부재 (5)와 동일한 소재일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부재 (6)의 형상은, 브래지어 착용시에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촉하고, 대흉근 (11)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제1 부재 (5)와 동일하게 대략 삼각형,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각 삼각형,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각 삼각형이다.
대략 삼각형의 제2 부재 (6)은,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한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토대부 (2)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2 부재 (6)은,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경사변 (Y3)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토대부 (2)에 배치된다.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2 부재 (6)의 직각을 끼는 한쪽 변, 즉 제2 부재 (6)의 밑변 (Y1)은 토대부의 밑변 (2a)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부재 (6)의 밑변 (Y1)은 4 내지 8 cm 정도(특히, 6 내지 8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2 부재 (6)의 밑변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밑변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사이드 밴드부 (3)의 신축 영역이 감소하여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는 효과가 감소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2 부재 (6)의 직각을 끼는 다른쪽 변, 즉 제2 부재 (6)의 수직변 (Y2)는,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접합부 (8)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재 (6)의 수직변 (Y2)는 5 내지 10 cm 정도(특히, 7 내지 8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2 부재 (6)의 수직변을 접합부 (8)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것이 브래지어의 구성상 필요하기 때문이며, 수직변이 지나치게 길면 접합부 (8)로부터 비어져 나와 버리기 때문이다.
어떻든, 제2 부재 (6)은 그 경사변 (Y3)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토대부 (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브래지어의 형태(토대부 형상 등)에 따라, 제2 부재 (6)의 대략 직각 삼각 형상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토대부 (2)는, 신축성 생지 또는 비신축성 생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통상,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의 형태 망가짐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편지에 마키젯을 접착한 생지 등의 비신축성 생지가 바람직하다. 제2 부재 (6)은 봉제, 접착 등에 의해 상기 토대부 (2)에 배치된다. 제2 부재 (6)은, 토대부 (2)의 표면 또는 뒷면 중 어디에나 배치할 수 있지만, 뒷면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2 부재 (6)의 수직변 (Y2)는, 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2 부재 (6)의 밑변 (Y1)은, 토대부 밑변 (2a)를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2 부재 (6)의 경사변 (Y3)은, 단부를 되접어 토대부 (2)의 생지에 직접 꿰맬 수 있다.
또는, 제2 부재 (6)이 토대부 (2)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형태
상기 제1 형태의 토대부 (2)가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고, 제2 부재 (6)의 특성을 겸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2 형태로서, 상기 제1 형태로부터 제2 부재 (6)을 생략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2 형태는,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토대부 (2),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로 구성되는 브래지어이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제1 부재)가, 브래지어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가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지어이다.
제1 부재 (5)의 소재나 형상은, 상기 제1 형태에서 기재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대략 삼각형의 제1 부재 (5)는,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지어 착용시에 그 경사변 (X3)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어 있다.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의 밑변 (X1)은,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 (3a)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부재 (5)의 밑변 (X1)의 길이는 4 내지 8 cm 정도(특히, 6 내지 8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부재 (5)의 밑변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밑변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사이드 밴드부 (3)의 신축 영역이 감소하여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는 효과가 감소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략 직각 삼각형의 제1 부재 (5)의 수직변 (X2)는,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접합부 (8)과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부재 (5)의 수직변 (X2)는 5 내지 10 cm 정도(특히, 7 내지 8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부재 (5)의 수직변을 접합부 (8)의 길이에 일치시키는 것이 브래지어의 구성상 필요하기 때문이며, 수직변이 지나치게 길면 접합부 (8)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어떻든, 제1 부재 (5)는 그 경사변 (X3)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브래지어의 형태(사이드 밴드부 (3)의 형상 등)에 따라, 제1 부재 (5)의 대략 직각 삼각 형상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사이드 밴드부 (3)은, 통상적으로 파워네트, 트리코트 등의 신축성 생지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축성의 제1 부재 (5)는, 봉제, 접착 등에 의해 사이드 밴드부 (3)에 배치된다. 제1 부재 (5)는, 사이드 밴드부 (3)의 표면 또는 뒷면 중 어디에나 배치할 수 있지만, 뒷면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부재 (5)의 수직변 (X2)는,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1 부재 (5)의 밑변 (X1)은,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 (3a)를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출 수 있다. 제1 부재 (5)의 경사변 (X3)은 단부를 되접어 사이드 밴드부 (3)의 생지에 직접 꿰맬 수 있다.
또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3)을 편성할 때, 비신축성 편성사로 제1 부재 (5)를 편성하는 등으로 하여, 사이드 밴드부 (3)의 일부에 제1 부재 (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를 구성하는 컵부 (1), 토대부 (2),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는 모두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예시된다.
컵부 (1)은 볼륨감 있는 유방을 보기 좋게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봉제된 부재이며, 대략 원호상의 밑변 연부(컵부와 토대부의 접합부)에 와이어 (7) 등의 형상 보정용 심재가 봉입된 테이프가 봉착(縫着)되어 있는 것이 예시된다. 컵부 (1)은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토대부 (2)는, 상기 컵부 (1)의 위치를 규정함과 동시에, 브래지어 장착자의 언더바스트 부분의 정면 및 측면(양사이드)에 밀접하여 상기 컵부 (1)과 함께 유방을 지지하는 부재이며, 도 1, 3 및 7과 같이 상기 컵부 (1)의 밑변 연부에 봉착되어 있다. 이 토대부 (2)에는 비신축성 직물, 또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에 비신축성 직물을 봉착하는 등으로 하여 신축성을 적게 한 직물이 사용된다. 또한, 토대부 (2)에는, 필요에 따라 프론트 훅 등의 걸림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사이드 밴드부 (3)은 토대부 (2)의 양단에 설치되며,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형상을 갖고 있다. 사이드 밴드부 (3)은, 토대부 (2)의 양단을 연결하는 것이면 되며, 뒷면에 걸림구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좌우 각각의 사이드 밴드부 (3)의 선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걸림구 (9)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구 (9)는, 공지된 바와 같이 자웅이 결합하는 금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한쪽 사이드 밴드부 (3)에는 숫 금구가, 또한 다른쪽 사이드 밴드부 (3)에는 암 금구가 부착되어 있다. 사이드 밴드부 (3)의 소재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경계는 봉합되어 접합부 (8)을 형성한다.
어깨끈(스트랩) (4)는 공지된 신축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어깨끈은, 본 발명의 제1 부재(및 제2 부재)를 구비한 사이드 밴드부 (3)(및 토대부 (2))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광배근 사이드부가 바람직하게 들어올려진다.
브래지어의 특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브래지어는 사이드 밴드부 (3)에 제1 부재 (5)를 배치(또는, 토대부 (2)에 제2 부재 (6)을 더 배치)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브래지어를 장착함으로써, 근육이나 피부에 땡땡함이 생기고, 주름이나 처짐이 감소 내지 해소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예를 들면, (1) 얼굴 부분에 대해서는 눈 밑의 주름이 얕아져 눈에 띄지 않게 됨(안륜근), 귀의 위치가 올라감(측두근), 눈썹이 올라가고 이마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됨(전두근), 구각이 올라감(구륜근), 페이스 라인이 좁혀짐(광경근), 볼의 위치가 올라가고 처짐이 없어짐(대볼골근, 소볼골근) 등의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2) 상반신에 대해서는, 쇄골 라인의 주름ㆍ오목부가 감소하여 눈에 띄지 않게 됨(흉쇄유돌근), 어깨 라인이 올라감(흉쇄유돌근), 견갑골 라인이 확실해짐(승모근, 광배근), 상박에 탄력감이 생기고 가늘어짐(삼각근), 옆에서 보아 손의 위치가 전방으로 나옴(승모근, 광배근), 유방의 위치가 위로 올라감(승모근, 광배근), 언더바스트와 허리의 거리가 길어짐(승모근, 광배근), 장(하복부)의 궂은살이 적어짐(복직근), 배 전체 라인이 확실해짐(복직근) 등의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3) 하반신에 대해서는 힙 라인(대둔부근 하부 라인)이 올라감(대둔근), 피망상의 힙이 둥글어짐(외복사근, 광배근), 아킬레스건이 확실해짐(하지 근육), 창경의 위치가 올라감(하지 근육), 양발이 내측 중심이 됨(하지 근육) 등의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브래지어는, 브래지어 컵 윗변의 느슨함이 없어지고, 밑의 컵 공간이 없어지고, 브래지어의 언더 테이프가 안에 들어가지 않고, 컵 사이드의 와이어 부식이 감소되고, 와이어 라인 중에 유방이 수납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브래지어 착용시, 압박감이나 갑갑함은 거의 없다.
이제까지, 이러한 제1 부재 (5)(및 제2 부재 (6))를 브래지어에 적용한 선행 기술은 존재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브래지어는 전혀 새로운 사실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가 이러한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는, 이제까지 명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심장을 향하여 흐르는 정맥과 근육의 모식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측피정맥 (13)은 심장 (19)에 가까운 정맥이기 때문에, 이 혈관의 혈류량의 저해는 전신의 혈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이 요측피정맥 (13)은 대흉근 (11)과 삼각근 (12)의 경계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노화 등에 의해 근육이 이완되면, 이들 근육의 하수 이동에 의해 요측피정맥 (13)은 비틀려져 신장, 압축 등의 변형을 일으키고, 이 때문에 압착이 생겨 혈류가 저해된다(도 5). 즉, 노화 등으로 삼각근 (12)의 이완에 의해 요측피정맥 (13)이 압박되어 심장 (19)로 유입되는 혈류량이 감소하고, 이것이 주름이나 처짐 발생의 한 원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브래지어를 착용하면, 제1 부재 (5)(및 제2 부재 (6))에 의해, 하수한 광배근 (10)(및 대흉근 (11))이 들여올려지고, 또한 삼각근 (12)가 들여올려진다. 이에 따라, 광배근 (10), 삼각근 (12), 및 대흉근 (11)이 세트로 들어올려져 하수 전의 상태로 복귀된다(도 6). 이에 따라, 요측피정맥 (13)의 협착이 방지되고, 혈류량이 회복되어 혈행이 촉진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브래지어 이외의 여성용 의류(예를 들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수영복 등)도, 본 발명에 나타낸 컵부 (1),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2), 신축성 사이드 밴드부 (3) 및 어깨끈 (4)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상기한 브래지어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브래지어로 대표되는 여성용 의류는, 착용시에 혈행이 촉진된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근육 처짐이나 피부 주름을 감소 내지 해소하거나, 또는 이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여성용 의류에 비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제1 형태)를 착용했을 때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래지어에서의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래지어(제2 형태)를 착용했을 때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심장을 향하여 흐르는 정맥과 근육의 모식도이다.
도 5는 근육의 하수 이동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요측피정맥과 근육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정상 요측피정맥과 근육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브래지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컵부 2: 토대부
2a: 토대부의 밑변 3: 사이드 밴드부
3a: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 4: 어깨끈
5: 제1 부재(광배근을 들어올리는 직물)
6: 제2 부재(대흉근을 들어올리는 직물)
7: 와이어 8: 접합부
9: 걸림구 10: 광배근
11: 대흉근 12: 삼각근
13: 요측피정맥 14: 액와정맥
15: 척측피정맥 16: 외경정맥
17: 내경정맥 18: 쇄골하정맥
19: 심장 20: 대흉근 전개 절편
X1: 제1 부재의 밑변(4 내지 8 cm) X2: 제1 부재의 수직변(5 내지 10 cm)
X3: 제1 부재의 경사변 Y1: 제2 부재의 밑변(4 내지 8 cm)
Y2: 제2 부재의 수직변(5 내지 10 cm)
Y3: 제2 부재의 경사변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1 형태를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도 1, 2 및 7 참조). 파워네트 생지(신축성이 있는 세로 편성 생지)를 포함하는 사이드 밴드부 (3), 장식성이 있는 레이스 생지를 포함하는 겉감 및 마키젯을 포함하는 안감으로 구성되는 토대부 (2), 컵부 (1) 및 어깨끈 (4)를 구비한 브래지어와, 마키젯 생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 및 제2 부재 (6)을 사용하였다. 제1 부재 (5) 및 제2 부재 (6)의 형상은 모두 직각 삼각형으로 하고, 그 크기는 제1 부재 (5) 및 제2 부재 (6) 모두 세로(수직변) 8 cm, 가로(밑변) 5 cm로 하였다(예를 들면 도 2 참조). 상기 크기는 C(컵)-75(언더바스트 치수)의 경우를 상정하였다.
제1 부재 (5) 및 제2 부재 (6)을 각각 다음과 같이 하여 사이드 밴드부 (3)의 뒷면측 및 토대부 (2)의 뒷면측에 봉착하였다.
제1 부재 (5)의 세로(수직변) 방향은,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경계 봉합부(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1 부재 (5)의 밑변은, 사이드 밴드부 (3)의 밑변을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1 부재 (5)의 경사변은 단부를 되접어 사이드 밴드부 (3)의 생지에 직접 꿰매었다.
또한, 제2 부재 (6)의 세로(수직변) 방향은, 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토대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2 부재 (6)의 밑변은 토대부 (2)의 밑변을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토대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2 부재 (6)의 경사변은 단부를 되접어 토대부 (2)의 생지에 직접 꿰매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1 형태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2 형태를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도 3 참조).
파워네트 생지(신축성이 있는 세로 편성 생지)를 포함하는 사이드 밴드부 (3), 레이스 생지, 편지 등의 안쪽에 마키젯 생지를 덧붙인 토대부 (2), 컵부 (1) 및 어깨끈 (4)를 구비한 브래지어와, 마키젯 소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 (5)를 사용하였다. 제1 부재 (5)의 형상은 직각 삼각형으로 하고, 그 크기는 세로(수직변) 8 cm, 가로(밑변) 5 cm로 하였다. 상기 크기는 C(컵)-75(언더바스트 치수)의 경우를 상정하였다.
제1 부재 (5)를 다음과 같이 하여 사이드 밴드부 (3)의 뒷면측에 봉착하였다.
제1 부재 (5)의 세로(수직변) 방향은, 토대부 (2)와 사이드 밴드부 (3)의 경계 봉합부(접합부) (8)을 덮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1 부재 (5)의 밑변은, 사이드 밴드부 (3)의 밑변을 피복하는 스판 테이프 생지의 하측(테이프 생지와 사이드 밴드부 생지의 사이)에 끼워 테이프와 함께 꿰매어 맞추었다. 제1 부재 (5)의 경사변은 단부를 되접어 사이드 밴드부 (3)의 생지에 직접 꿰매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브래지어의 제2 형태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브래지어를 모니터(40대 내지 50대의 여성 6명)에게 착용시켰더니, 하기 표 1과 같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결과는, 다음 A 내지 C에 해당한다는 모니터 인원수로 평가하였다.
A: 그렇다
B: 그렇지 않다.
C: 모르겠다
평가 A B C
(1)눈 밑의 주름이 얕아져 눈에 띄지 않게 됨 3 0 3
(2)귀의 위치가 올라감 3 0 3
(3)눈썹이 올라가고 이마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됨 3 0 3
(4)구각이 올라감 3 1 2
(5)페이스 라인이 좁혀짐 5 0 1
(6)볼의 위치가 올라가고 처짐이 없어짐 5 0 1
(7)쇄골 라인의 주름ㆍ오목부가 감소하여 눈에 띄지 않게 됨 4 0 2
(8)어깨 라인이 올라감 5 0 1
(9)견갑골 라인이 확실해짐 5 0 1
(10)상박에 탄력감이 생기고 가늘어짐 3 0 3
(l1)옆에서 보아 손의 위치가 전방으로 나옴 5 0 1
(12)유방의 위치가 위로 올라감 6 0 0
(13)언더바스트와 허리의 거리가 길어짐 4 0 2
(14)장(하복부)의 궂은살이 적어짐 3 0 3
(15)배 전체 라인이 확실해짐 4 0 2
(16)힙 라인(대둔부근 하부 라인)이 올라감 3 0 3
(17)피망상의 힙이 둥글어짐 3 0 3
(18)아킬레스건이 확실해짐 4 0 2
(19)창경의 위치가 올라감 4 0 2
(20)양발이 내측 중심이 됨 4 0 2
(21)브래지어 컵 윗변의 느슨함이 없어짐 6 0 0
(22)밑의 컵 공간이 없음 6 0 0
(23)브래지어의 언더 테이프가 안에 들어가지 않음 6 0 0
(24)컵 사이드의 와이어 부식이 감소됨 6 0 0
(25)와이어 라인 중에 유방이 수납됨 6 0 0
상기한 바와 같이, 전신(특히, 얼굴 부분, 상반신, 하반신 등)에 있어서 근육이나 피부에 탄력감이 생기고, 주름이나 처짐이 감소 내지 해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의 압박감이나 조임감이 없고, 어깨나 팔이 가벼워지고, 호흡하기 쉬워지는 등의 쾌적한 착용감을 갖는 것도 명확해졌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브래지어에 대해서도 동일한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Claims (17)

  1.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가지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의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의 한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토대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상기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으며, 또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의 밑변이 상기 토대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2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는 여성용 의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이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이며, 또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이고, 상기 제2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인 여성용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소재가 마키젯인 여성용 의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가 토대부의 일부인 여성용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의류가 브래지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및 수영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여성용 의류.
  9.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의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대흉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제2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2 부재의 한변이 대흉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토대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
  10.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가지며,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가,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의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고, 착용시에 그 경사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상기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여성용 의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상기 사이드 밴드부의 밑변에 접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상기 토대부와 사이드 밴드부의 접합부에 접해 있는 여성용 의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제1 부재의 밑변이 4 내지 8 cm이고, 상기 제1 부재의 수직변이 5 내지 10 cm인 여성용 의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소재가 마키젯인 여성용 의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의류가 브래지어, 바디슈츠, 브라슬립, 캐미숄 및 수영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여성용 의류.
  17. 광배근 사이드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며 대략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제1 부재를, 착용시에 상기 제1 부재의 한변이 광배근 사이드부에 접하도록 사이드 밴드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유방을 수납하는 컵부, 상기 컵부를 고정하는 비신축성 생지를 포함하는 토대부, 몸쪽으로부터 뒷면을 덮는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밴드부, 및 어깨끈을 갖는 여성용 의류의 제조 방법.
KR1020077006227A 2004-08-20 2005-05-13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79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1287 2004-08-20
JP2004241287 2004-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104A KR20070059104A (ko) 2007-06-11
KR100879697B1 true KR100879697B1 (ko) 2009-01-21

Family

ID=3590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227A KR100879697B1 (ko) 2004-08-20 2005-05-13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87536A4 (ko)
JP (1) JPWO2006018919A1 (ko)
KR (1) KR100879697B1 (ko)
CN (1) CN1993063B (ko)
HK (1) HK1103603A1 (ko)
WO (1) WO2006018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4502B (zh) * 2010-09-27 2015-07-01 株式会社华歌尔 具有罩杯部的衣物
JP6333114B2 (ja) * 2014-08-21 2018-05-30 グンゼ株式会社 ブラジャ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916U (ja) * 2000-05-01 2000-11-07 株式会社ワコール ブラジャー
JP2003313702A (ja) * 2002-04-22 2003-11-06 Wacoal Corp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9554A (en) * 1956-10-22 1959-01-20 Resista Corset Co Brassiere
US3094991A (en) * 1961-07-14 1963-06-25 Resista Corset Co Brassiere
JP3205524B2 (ja) * 1997-04-15 2001-09-04 株式会社ワコール ブラジャー
JPH11315404A (ja) * 1998-04-28 1999-11-16 Gunze Ltd ブラジャー
US6422917B1 (en) * 2000-03-31 2002-07-23 E'lan Vital Designs Llc Therapeutic brassiere
WO2004014166A1 (ja) * 2002-08-09 2004-02-19 Wacoal Corp. 上半身衣類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916U (ja) * 2000-05-01 2000-11-07 株式会社ワコール ブラジャー
JP2003313702A (ja) * 2002-04-22 2003-11-06 Wacoal Corp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104A (ko) 2007-06-11
EP1787536A4 (en) 2009-02-25
JPWO2006018919A1 (ja) 2008-05-01
HK1103603A1 (en) 2007-12-28
EP1787536A1 (en) 2007-05-23
CN1993063B (zh) 2010-04-21
CN1993063A (zh) 2007-07-04
WO2006018919A1 (ja)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6217B1 (en) Garment with interior bra structure with side supports
US5478278A (en) Inner breast cup insert for women&#39;s garment
US9022833B2 (en) Garment for a patient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or other uses
US9320305B1 (en) Garment having integrated breast support
US20230248083A1 (en) Body sculpting garment
US20210153573A1 (en) Body sculpting garment
US20110067162A1 (en) Torso top outer garment
US20100035513A1 (en) Brassiere
US20220256955A1 (en) Body Sculpting Garment
KR200474107Y1 (ko) 원피스형 보정속옷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100879697B1 (ko) 여성용 의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00262U (ko) 기능성 보정속옷
JP4673720B2 (ja) 女性用衣料
US20100035512A1 (en) Brassiere
US11992067B2 (en) Supportive bra
JPS6220402Y2 (ko)
US7654882B2 (en) Bra and body shaper garment
KR20220010956A (ko) 쾌적한 착용감을 갖는 여성용 의류
JP3072320B2 (ja) ブラジャー及びブラジャーカップ用芯材
JPH09217206A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被服
CN207428437U (zh) 长文胸及内衣组件
KR200366768Y1 (ko) 브래지어 구조
CN218999579U (zh) 一种新型美体塑形康体衣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