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08627A1 -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08627A1
WO2023008627A1 PCT/KR2021/010572 KR2021010572W WO2023008627A1 WO 2023008627 A1 WO2023008627 A1 WO 2023008627A1 KR 2021010572 W KR2021010572 W KR 2021010572W WO 2023008627 A1 WO2023008627 A1 WO 20230086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tem
information
store
storage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5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보라
김소희
이태화
홍선숙
오정석
김민서
정현엽
오혜진
양여주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086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086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은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의 개시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작업자가 아이템을 공급 업체(벤더) 또는 일부 물류 센터로부터 전달 받아 스토어에 입고 및 수납함에 있어, 수납 위치를 결정하고 입고 및 수납 절차를 간소화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상거래의 증가는 개별 가정에 전달되는 소포들의 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가정 전달"에서의 상승은 항상 개인이나 물류 회사들에 대한 편리한 것은 아니다. 소포들을 대안적인 전달 장소(예를 들면, 개인의 가정 또는 사업장 이외의 장소)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관련하여 선행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1029 (2016.04.15) 가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은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입고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발주 정보,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날짜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생산 시기 및 만료 시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필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필드를 통해 상기 생산 시기 또는 상기 만료 시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와 상기 발주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 정보가 다를 경우,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출고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의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토어 내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특정 높이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템이 진열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빈 섹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빈 섹터들 중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빈 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제1섹터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1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량이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섹터와 인접하게 위치한 제2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을 나타내는 수납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이 상기 아이템의 주문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수납 위치와 다른 제2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토어에 대응하는 아이템 진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진열 정보는 상기 스토어 내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및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진열 수량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을 스토어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입고(receiving) 및 수납(stowing)을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아이템의 재고 관리 및 업데이트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 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의 진열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가공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아이템의 잔여 수량 정보를 계산함으로써 각 섹터에 포함된 아이템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진열 정보를 바탕으로 수납될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자의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자의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한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하여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아이템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아이템의 주문량에 따라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트랜시버(120), 및 메모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은 특정 아이템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에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상품에 대한 제1페이지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이템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아이템 배송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템의 주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벤더에 대응하는 단말에 송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은 송장 정보에 기초하여 벤더와 관련된 아이템 보관 장소에서 아이템 배송을 위한 허브로 이동될 수 있으며, 벤더와 관련된 아이템 보관 장소에서 아이템이 발송되는 발송 마감 시각은 벤더와 관련된 아이템 보관 장소에서 아이템 배송을 위한 허브 사이의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트랜시버(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구성으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스토어(store)들의 아이템들의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어는 예를 들어, 아이템 판매 서비스의 이용자가 주문한 아이템들을 해당 이용자에게 배송하기 위하여 아이템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작업자는 아이템의 공급 업체로부터 아이템(들)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작업자의 단말로 해당 아이템을 보관할 스토어의 위치를 제1작업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제1작업자는 안내 받은 스토어로 전달 받은 아이템(들)을 배달할 수 있다. 제1작업자가 스토어에 도착하면, 제1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스토어가 배달하는 아이템들을 입고(receive)하였음을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알릴 수 있다. 제1작업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를 통하여 배달하는 아이템들을 입고(receive)하였음을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알릴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하는 아이템들이 입고되었음을 검증 및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스토어가 배달하는 아이템들을 입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아이템에 대한 발주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들의 입고가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들의 입고를 확인하면 입고한 아이템들을 수납(stow)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고한 아이템들이 수납될 스토어 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고한 아이템들이 수납될 스토어 내 하나 이상의 섹터(sector)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작업자는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를 통하여 배달하는 아이템들이 수납되었음을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알릴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하는 아이템들이 수납되었음을 검증 및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해당 아이템을 주문하여 배송을 요청한 경우, 해당 아이템이 서비스의 이용자와 가까운 스토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아이템을 출고하여 이용자에게 배송하도록 제2작업자를 확인(매칭)할 수 있다. 제2작업자는 단말 장치를 통하여 스토어의 위치 및 이용자의 위치를 확인한 후, 스토어로 가서 해당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여 이용자의 위치로 배달할 수 있다.
피킹이란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어에 수납된 아이템을 아이템 구매자에게 배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아이템을 수납된 위치에서 아이템을 가져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결정하는 수납될 위치는, 예를 들어 해당 스토어 내 존재하는 섹터들 중 하나 이상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해당 스토어 내 존재하는 섹터들 중 하나 이상을 임의로 선택할 경우, 해당 아이템을 주문자에게 배달하기 위해 아이템을 출고 시 출고를 담당하는 제2작업자가 해당 아이템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입고한 아이템이 스토어 근처에 거주하는 고객들으로부터 빈번하게 주문을 받아 자주 출고가 이루어지는 아이템인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을 스토어 내 출고 위치로부터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입고한 아이템의 중량이 매우 크지만 해당 아이템이 높은 섹터에 위치할 경우 제2작업자가 해당 아이템을 출고하는 과정에서 아이템이 파손될 수도 있고 제2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들을 입고한 후 수납하는 위치를 아이템에 대한 정보,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동적이고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입고한 아이템들을 특정 스토어에 수납하는 방법 및 수납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자의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한 제1페이지(200)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아이템 재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입고(receive)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제1페이지(200)는 예를 들어, 아이템 입고 페이지, 리시빙 페이지(receiving page), 언로딩 페이지(unloading page)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작업자가 작업할 업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사이드 바(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페이지(200)는 예를 들어, 제1페이지(200) 내 특정 영역에서 슬라이드 또는 특정 버튼을 클릭함에 대응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 바(200a)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 바(200a)는 작업자가 작업할 업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200a)는 작업자가 도착한 스토어에 아이템을 배달하여 스토어가 해당 아이템을 입고하였음을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바(200a)는 예를 들어, 입고한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코드(바코드 등) 또는 작업자가 아이템을 입고할 스토어에 대한 인식 코드(바코드 등)를 인식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1인터페이스(201)를 클릭하면 작업자의 단말 장치는 입고한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코드(바코드 등) 또는 작업자가 아이템을 입고할 스토어에 대한 인식 코드(바코드 등)를 스캔하기 위한 페이지를 통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스캔한 바코드로부터 입고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입고한 아이템의 명칭, 해당 아이템과 연관된 발주 주문(Purchase Order) 정보, 해당 아이템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해당 아이템과 연관된 날짜 정보(예를 들어, 제조 날짜, 유통 기한 등), 입고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인터페이스(201)에서 작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인식 코드에 기초하여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 입고되는 아이템을 식별하는 아이템 식별 정보,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 바(200a)는 작업자가 아이템을 수납하였음을 전자 장치로 알리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202), 작업자가 스토어에 있는 아이템을 출고 또는 피킹(picking)하였음을 전자 장치로 알리기 위한 제3인터페이스(203), 스토어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 일부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ventory Management), 스토어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전자 장치로 보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ventory Problem) 및 스토어에 포함된 아이템들 중 일부에 폐기 사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전자 장치로 보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ventory Scra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인터페이스(201)를 통하여, 작업자의 단말 장치가 작업자가 입고한 아이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획득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고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해당 아이템과 연관된 발주(Purchase Order) 즉, 공급 업체에 대한 주문 정보(204), 해당 아이템의 명칭 또는 아이템을 기술하는 정보(205), 해당 아이템과 연관된 날짜(예를 들어, 제조 날짜, 유통 기한 등)(206)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발주 정보(204), 아이템 명칭 또는 기술 정보(205), 및 아이템과 연관된 날짜 정보(206) 각각에 대하여 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를 시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는 스토어가 입고하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작업자가 입고한 아이템의 수량을 작업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4인터페이스(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인터페이스(207)는 예를 들어, 작업자로부터 수량 또는 분량을 입력받을 수 있는 카운터(counter) 또는 슬라이더(slider) 위젯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작업자가 204 내지 207에 나타난 정보의 확인을 완료하면, 스토어가 해당 아이템의 입고를 완료하였음을 전자 장치로 알리기 위한 완료 인터페이스(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단말 장치를 통하여 완료 인터페이스(208)를 클릭한 경우, 204 내지 207에 나타난 정보를 포함한 입고 완료 정보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고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발주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아이템의 입고 완료를 검증할 수 있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작업자가 완료 인터페이스(208)를 클릭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입고 완료 정보를 전송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스토어가 해당 아이템을 입고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토스트 메시지(209)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실시예들에 따른 발주 정보에 따른 아이템의 수량 정보와 실제 입고한 아이템들의 수량이 다른 경우, 이를 전자 장치로 보고하기 위한 제5인터페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자의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한 제2페이지(300)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아이템 재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입고(receive) 이후 수행되는 수납(stow) 절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제2페이지(300)는 예를 들어, 아이템 수납 페이지 또는 스토잉 페이지(stowing page)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제1페이지(200)에서, 완료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입고 절차가 완료된 후 해당 작업자의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페이지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작업자가 완료 인터페이스(208)의 클릭에 따라 입고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입고한 해당 아이템을 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 내 어디에 수납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고 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아이템이 스토어 내 수납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입고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또는 외부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아이템 또는 스토어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예를 들어, 고객들의 해당 아이템의 주문량 정보, 해당 아이템의 중량 정보, 크기 정보, 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 내 아이템들의 진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등)를 이용하여 해당 아이템이 스토어 내 수납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결정된 수납 위치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아이템 명칭 또는 기술 정보(301)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입고한 아이템이 수납될 위치 즉, 전자 장치에 의해 결정된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30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주문자가 수납 위치(302)에 수납한 아이템의 수량을 입력하기 위한 제6인터페이스(30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실시예들에 따른 발주 정보에 따른 아이템의 수량 정보와 실제 입고한 아이템들의 수량이 다른 경우, 이를 전자 장치로 보고하기 위한 제5인터페이스(30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작업자가 해당 아이템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아이템에 폐기 사유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거나, 이미 아이템의 수납 위치에 수납된 아이템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폐기 사유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한 경우, 이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30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0)는 작업자가 301 내지 303에 나타난 정보에 맞게 입고한 아이템들을 스토어 내 수납 위치에 수납을 완료한 경우 이를 전자 장치로 보고하기 위한 제6인터페이스(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인터페이스(305)를 작업자가 클릭하면, 301 내지 303에 나타난 정보를 포함한 수납 완료 정보를 작업자의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납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발주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아이템의 수납 완료를 검증할 수 있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작업자가 완료 인터페이스(208)를 클릭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수납 완료 정보를 전송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스토어가 해당 아이템을 수납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토스트 메시지(306)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을 스토어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입고(receiving) 및 수납(stowing)을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아이템의 재고 관리 및 업데이트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를 위하여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400 단계 내지 405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입고 완료 정보(또는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 정보 등을 확인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스토어 내 해당 아이템을 수납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발주 (Purchase order) 정보, 아이템과 연관된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 아이템의 입고 수량(quantity)를 포함하는 입고 완료 정보를 수신(400)할 수 있다. 도 4의 400 단계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주 (Purchase order, PO) 정보는 예를 들어, 도 2의 발주 정보(204), 아이템과 연관된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도 2의 날짜 정보(206), 아이템의 입고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2의 입고 수량 정보(2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입고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입고된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401)할 수 있다. 입고된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아이템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 해당 아이템의 공급 업체 즉, 벤더를 식별하기 위한 벤더 식별 정보, 해당 아이템의 중량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아이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해당 아이템의 판매량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아이템의 가격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아이템의 배송 관련 정보, 해당 아이템의 스토어 별로 보관된 스토어 정보, 해당 아이템에 각 스토어 내 위치하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작업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1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토어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작업자의 위치 정보 또는 제1작업자가 전송한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토어 내 아이템을 보관하는 섹터(들)에 대한 정보, 각 섹터 내 포함된 동종 또는 이종의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 각 섹터 내 보관된 동종 또는 이종의 아이템들의 수량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스토어 내에서 출고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해당 스토어의 출고 위치에서 각 섹터까지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각 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 용량, 각 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 중량, 각 섹터의 잔여 아이템 보관 가능량, 각 섹터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지, 각 섹터가 위치한 높이 정보(즉, 작업자가 딛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확인된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제1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 및 제1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입고 완료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어 내 해당 입고한 아이템을 수납할 위치를 결정(402)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결정한 수납할 위치를 제1페이지(40) 내 40a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결정되는 수납할 위치는 예를 들어, 스토어 내 존재하는 섹터(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납할 위치는 하나의 섹터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섹터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수납할 위치는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고한 아이템들을 하나의 섹터에 모두 수납하도록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입고한 아이템들 중 일부만을 하나의 섹터로, 다른 일부는 다른 섹터로 분할하여 수납하도록 수납 위치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작업자로부터 상기 제1작업자에 의해 수납된 아이템의 피킹(picking)을 위한 요청을 수신(403)할 수 있다. 피킹을 위한 요청은 예를 들어, 아이템 구매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매자(이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아이템 구매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매자(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아이템이 수납된 위치를 제2작업자의 단말로 제공(404)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 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0), 및 제1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501)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토어 내 해당 입고한 아이템을 수납할 위치(502)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예를 들어 아이템이 작업자에 의해 입고된 아이템 수량 정보, 아이템의 중량 정보, 아이템의 크기 정보(또는 모양 정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이 충격에 취약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판매량(예를 들어, 해당 스토어 내에서 아이템이 출고되는 빈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어에 대한 정보는 해당 스토어 내 존재하는 섹터(sector)들의 수, 각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ID, 각 섹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각 섹터가 작업자가 서 있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 정보, 각 섹터가 보관할 수 있는 아이템의 보관 가용량 정보, 각 섹터가 현재 수용하고 있는 아이템 정보 및 해당 아이템의 수용량 정보 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0), 및 제1작업자가 위치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501)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토어 내 해당 입고한 아이템을 수납할 위치(502)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 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해당 스토어 내에 존재하는 각 섹터의 아이템 수용량 또는 아이템의 보유량을 결정 및 저장하기 위하여 아이템의 크기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상세 정보에 포함된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가공된 크기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아이템의 가공된 크기는 예를 들어 아이템을 스토어에 수납할 때 아이템의 수납 형태(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아이템이 수납 섹터에 차지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공간의 범위를 고려한 크기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을 보관하는 섹터의 부피가 10이고 아이템의 부피가 1인 경우 이상적으로는 10개의 아이템들을 보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아이템이 이상적으로 배열 및 배치된 경우에 보관할 수 있는 아이템의 양으로, 만약 아이템을 이상적으로 배치해야 할 경우 이는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킴과 동시에 아이템이 제대로 수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부피에 여유 공간을 고려한 가공된 아이템의 크기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가공된 아이템의 크기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먼저 아이템(503)의 모든 부분을 감쌀 수 있는 제1입체적 형상(예를 들어, 정육면체, 정팔면체 등)(503a)을 설정 및 확인한다. 다음으로, 해당 입체적 형상이 회전되거나 일부 움직일 수 있음에 감안하여 해당 입체적 형상으로부터 고려되는 패딩(padding)(503b)을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패딩(503b)는 예를 들어, 입체적 형상의 크기에 특정 비율에 해당하는 크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해당 입체적 형상(503a) 및 계산된 패딩(503b)를 감싸는 제2입체적 형상(503c)을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입체젹 형상(503c)를 실시예들에 따른 가공된 크기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가공된 크기에 기반하여, 섹터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아이템 및 해당 아이템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된 아이템의 크기가 2이고 특정 섹터의 크기가 10인 경우, 해당 특정 섹터는 해당 아이템을 5개 보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스토어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토어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들의 섹터 및 각 섹터의 진열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진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진열 정보는 상기 스토어 내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및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진열 수량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진열 정보 각 섹터를 식별하는 맵(map) 정보를 하나의 엘리먼트로 하는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를 식별하는 맵(map) 정보는, 해당 섹터에서 보유하는 아이템, 해당 아이템의 보유 수량, 해당 아이템의 가공된 크기 정보, 해당 아이템이 더 보관될 수 있는 잔여 수량 정보를 하위 리스트 형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의 진열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하고, 가공된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아이템의 잔여 수량 정보를 계산함으로써 각 섹터에 포함된 아이템의 재고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진열 정보를 바탕으로 수납될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아이템의 중량 및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에 포함될 수 있고,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확인(600)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중량 정보, 및/또는 크기 정보를 확인 및 계산(601)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중량 정보 및 크기 정보는 예를 들어, 도 5A에 나타난 아이템의 중량 정보 및 크기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크기 정보는 예를 들어 도 5B에 나타난 아이템의 가공된 크기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602)할 수 있다. 만약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 내 섹터들 중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낮은 섹터(들)가 수납 섹터로 결정될 수 있도록 높이가 높은 섹터(들)을 선택에서 제외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 경우,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특정 값 이하인 섹터(들)을 필터링(603)할 수 있다.
만약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 내 섹터들 중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높은 섹터(들)가 수납 섹터로 결정될 수 있도록 높이가 높은 섹터(들)을 선택에서 제외(602a)하거나, 스토어 내 섹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선택(602b)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 경우,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특정 값 이상인 섹터(들)을 필터링(602a)하거나, 임의의 섹터(들)을 필터링(602b)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음으로 필터링된 섹터(들) 중 수납할 아이템의 수량 및 수납할 아이템의 크기(예를 들어, 가공된 크기)에 기초하여, 수납할 아이템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선택 또는 필터링(604)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난 방법과 같이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방법에 따라 (또는 다른 정보를 더 고려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상세 정보에 포함된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취급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상세 정보로부터 해당 아이템이 깨지기 쉬운 아이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관 높이가 낮은 섹터에 보관하도록 섹터 위치를 필터링 및 선택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특정 환경에서 상하기 쉬운 아이템(예를 들어, 자외선을 받으면 상할 수 있는 물건, 음식 등)은 특정 아이템과 인접하지 않도록(예를 들어, 음식의 경우 의약품이나 살충제와 같은 위험한 화학 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는 섹터와 인접하지 않도록)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전자장치는 아이템의 보관 위치 필터링을 통해 필터링 된 위치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가 해당 아이템을 수납할 수 있는 위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깨지기 쉬운 아이템에 대하여 스토어의 출고 위치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특정 섹터에만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보관함으로써,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피킹(picking)을 담당하는 작업자가 특정 섹터에 포함된 깨지기 쉬운 아이템을 피킹해야 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가 피킹하는 다른 아이템을 먼저 피킹하고 깨지기 쉬운 아이템을 나중에 피킹하도록 피킹 동선을 조정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깨지기 쉬운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에 의해 압력을 받거나 깔리지 않도록 피킹을 도와줄 수 있다. 일 예로 피킹 순서에 따라 먼저 피킹된 물품이 배달 물품의 포장 안에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먼저 피킹되는 물품은 다른 물품의 아래에 깔려도 깨질 위험이 적은 물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킹 동선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마지막에 피킹되는 물품의 경우 피킹된 물품을 배송원에게 전달하기 위한 위치와 인접하는 것이 좋고 따라서 수납 단계에서 이와 같은 물품의 특성에 따라 수납 위치를 제안할 수 있다.
또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납되는 아이템과 동일한(또는 동종의) 아이템이 이미 스토어 내 특정 섹터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위하여 수납되는 아이템을 동종의 아이템이 위치하는 섹터 또는 해당 섹터와 인접하는 섹터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아이템과 동일한(또는 동종의) 아이템이 해당 스토어 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위하여 아이템이 진열되지 않은 빈 섹터에 보관할 수 있고, 빈 섹터가 없을 경우 해당 아이템과 유사한 아이템이 위치한 섹터 (또는 해당 섹터와 인접한 섹터)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템이 진열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빈 섹터들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빈 섹터들 중 해당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빈 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만약,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제1섹터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제1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량이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섹터와 인접하게 위치한 제2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더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스토어 내 빈 섹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납되는 아이템과 유사한 아이템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유사한 아이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아이템(들)이 수납된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섹터(들)에 또는 해당 섹터와 인접한 섹터(들)의 위치를 수납되는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한 아이템의 수납을 아이템의 주문량에 따라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에 포함될 수 있고,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작업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스토어와 관련된 아이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600)할 수 있다. 스토어와 관련된 아이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아이템이 해당 스토어에서 출고되거나 주문되는 빈도수 또는 주문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스토리 정보는 해당 아이템이 해당 스토어에서 빈번하게 출고되는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이 빈번하게 출고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당 스토어에서 자주 출고되는 아이템은, 작업자의 출고 위치에서 가까이 위치하는 수납 위치에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스토어에서 자주 출고되는 아이템을 확인하고, 해당 아이템이 입고될 때 출고되는 위치와 가까운 스토어 내 섹터에 해당 아이템을 수납하도록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더 확인(700a)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로부터 스토어 내 각 섹터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이격 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이격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저장하는 (또는 외부 저장 장치가 저장하는)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고객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701)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값은 예를 들어 고정된(fixed) 값일 수도 있고, 해당 스토어 내 존재하는 아이템(들)의 (고객의) 주문 수량 내 상위 특정 비율 이내(예를 들어, 상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주문량일 수도 있다. 즉, 특정 값은 고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특정 주기(예를 들어, 하루, 1주일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값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고객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출고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의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수납 위치로 필터링(702)할 수 있다. 즉,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이 많은 경우, 작업자가 자주 해당 수납 위치로 이동하여 피킹(picking)해야 하므로 출고 위치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도록 수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고객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미만인 경우, 출고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수납 위치로 필터링(703a)하거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수납 위치로 필터링(703b)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702, 703a 및 703b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필터링된 섹터(들) 중 아이템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실시예들에 따른 수납 위치로 결정(704)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서는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개별적인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동작은 그 순서에 관계없이 조합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7에 나타난 동작들에 기초하여 스토어 내 섹터(들) 중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먼저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고, 1차적으로 필터링된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다시 도 6에 나타난 동작들에 기초하여 2차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필터링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800 단계 내지 804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스토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800)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생산 시기 및 만료 시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필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필드를 통해 상기 생산 시기 또는 상기 만료 시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와 상기 발주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 정보가 다를 경우,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 및 스토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801)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입고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발주 정보,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날짜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802)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803)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출고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의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토어 내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특정 높이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템이 진열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빈 섹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빈 섹터들 중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빈 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제1섹터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량이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섹터와 인접하게 위치한 제2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더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토어에 대응하는 아이템 진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 진열 정보는 상기 스토어 내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및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진열 수량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804)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을 나타내는 수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이 상기 아이템의 주문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수납 위치와 다른 제2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을 스토어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입고(receiving) 및 수납(stowing)을 간소화된 절차에 따라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아이템의 재고 관리 및 업데이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을 수납하는 작업자의 부담을 덜어 주고, 아이템을 피킹(picking)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의 발생과 사고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세부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와 스토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수납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아이템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손쉽게 아이템을 수납 및 피킹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아이템 배송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고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발주 정보,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날짜 정보 및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관련된 생산 시기 및 만료 시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필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 필드를 통해 상기 생산 시기 또는 상기 만료 시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입고 수량 정보와 상기 발주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 정보가 다를 경우, 오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히스토리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와 관련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수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출고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의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중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토어 내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중량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보관 높이가 특정 높이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섹터의 위치로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취급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아이템이 진열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빈 섹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빈 섹터들 중 상기 스토어에서 고객에게 배송을 위한 출고 위치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빈 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이 상기 스토어 내 제1섹터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제1섹터의 아이템 수용 가능량이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섹터와 인접하게 위치한 제2섹터의 위치를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로 더 결정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을 나타내는 수납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재고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수납량이 상기 아이템의 주문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수납 위치와 다른 제2수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수납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스토어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스토어에 대응하는 아이템 진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 진열 정보는 상기 스토어 내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및 각 섹터에 진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진열 수량을 포함하는 리스트(list)를 포함하는,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14.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아이템 배송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스토어를 식별하는 스토어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입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입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수납(stowing)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에 상기 아이템이 수납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PCT/KR2021/010572 2021-07-30 2021-08-10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0862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996 2021-07-30
KR1020210100996 2021-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627A1 true WO2023008627A1 (ko) 2023-02-02

Family

ID=8260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572 WO2023008627A1 (ko) 2021-07-30 2021-08-10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53700B2 (ko)
KR (1) KR102422553B1 (ko)
TW (2) TWI819387B (ko)
WO (1) WO2023008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52A (ko) * 2022-07-22 2024-01-30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45A (ko) * 2013-03-25 2014-10-06 엘지히다찌 주식회사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KR101953069B1 (ko) * 2018-08-31 2019-02-27 마영모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101983018B1 (ko) *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KR102216641B1 (ko) * 2020-02-24 2021-02-17 쿠팡 주식회사 로케이션 추천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53078B1 (ko) *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851B2 (ja) 2002-06-28 2006-03-15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保管場所管理システム及び保管場所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972047B2 (ja) 2012-05-24 2016-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支援装置、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991548A (zh) 2016-01-21 2017-07-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仓库货位规划方法、装置及电子装置
WO2018154722A1 (ja) 2017-02-24 2018-08-30 株式会社日立物流 倉庫管理システム及び倉庫管理方法
JP6323787B1 (ja) 2017-04-10 2018-05-16 株式会社オープンロジ 倉庫管理サーバ及び倉庫管理方法
JP6389994B1 (ja) 2017-04-10 2018-09-19 株式会社オープンロジ 倉庫管理サーバ、倉庫管理方法及び倉庫管理プログラム
JP7281121B2 (ja) 2018-02-02 2023-05-25 株式会社エムティアール 入出庫予約システム、入出庫予約装置、入出庫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19487B2 (en) * 2018-12-31 2021-09-14 Staples, Inc. Automated preparation of deliveries in delivery vehicles using automated guided vehicles
US10504061B1 (en) * 2019-04-10 2019-12-10 Coupa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learning assisted inventory placement
CN112633788A (zh) 2019-10-09 2021-04-09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确定入库储位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101620A (zh) * 2020-08-12 2020-12-18 久恒理树 一种物流线路规划方法
CN112101854A (zh) * 2020-08-12 2020-12-18 久恒理树 一种物流系统及货物监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645A (ko) * 2013-03-25 2014-10-06 엘지히다찌 주식회사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KR101953069B1 (ko) * 2018-08-31 2019-02-27 마영모 스마트 창고 관리 시스템
KR101983018B1 (ko) *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KR102216641B1 (ko) * 2020-02-24 2021-02-17 쿠팡 주식회사 로케이션 추천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53078B1 (ko) *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3700B2 (ja) 2023-10-02
TW202403624A (zh) 2024-01-16
TWI819387B (zh) 2023-10-21
TW202305683A (zh) 2023-02-01
JP2023020797A (ja) 2023-02-09
KR102422553B1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31434A1 (ko)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WO2022131435A1 (ko) 물품 이관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정보 관리 방법
WO2022050465A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WO2022119035A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7542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tative item identification based on facility operations
US20100005003A1 (en) Automated dry cleaning assembly system
WO2023008627A1 (ko)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2119036A1 (ko) 물류 창고의 반출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08636A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US11061380B2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JP2023062026A5 (ko)
JP2021151917A (ja) 作業監視システム
JP2009070010A (ja) 衣装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衣装情報管理方法
EP180669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ventory Management
WO2023054781A1 (ko) 배달원 미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22255530A1 (ko) 아이템의 배송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3503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ticle inventory transfer
KR102245753B1 (ko) 아이템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30671A1 (ko) 아이템 수거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A3212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ventory management
JP4671578B2 (ja) 販売装置および販売プログラム
JP201505282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4503251B2 (ja) 検品システム
JP2020042430A (ja) 梱包作業装置、及び、梱包作業管理方法
WO2023195558A1 (ko) 아이템 피킹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19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