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645A -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645A
KR20140116645A KR1020130031475A KR20130031475A KR20140116645A KR 20140116645 A KR20140116645 A KR 20140116645A KR 1020130031475 A KR1020130031475 A KR 1020130031475A KR 20130031475 A KR20130031475 A KR 20130031475A KR 20140116645 A KR20140116645 A KR 20140116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istics
list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원
하병용
이은미
박재용
하요나
박성욱
김창현
염화진
박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히다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히다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히다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645A/ko
Publication of KR2014011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기반의 물류 공급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물정보와 거래정보 사이의 오류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계망을 통해 거래 처리 시스템과 EPCIS 시스템으로부터 물류정보에 해당하는 거래정보와 실물정보(EPC목록)를 수집하기 위한 물류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와; 상기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불일치시 사전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에 기초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와;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에 따라 자율보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자율보정 요청정보 혹은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와; 상기 생성된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상기 EPCIS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하기 위한 보정요청 전파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Logistics Information Synchronous Error Detection Correction System}
본 발명은 RFID 기반의 물류 공급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물정보와 거래정보 사이의 오류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물류 공급망 체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를 위해 물류 현장에서는 통상적으로 바코드나 RFID 기술에 기반한 자동인식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급망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운영되고 있는 물류 공급망 시스템에서는 실물정보(물류현장의 정보)와 거래정보(데이터베이스 상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물류 기업에서는 물류정보 내의 실물정보와 거래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할 경우 과잉공급, 과잉보관 및 과잉유통 등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판매 기회 박탈 등과 같은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개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0116호 및 제10-2012-0070813호에 각각 게시된 "물류정보 오류검출 방법 및 시스템"과 "물류정보 오류보정 방법 및 시스템"이 있다. 예시한 시스템들에서는 거래정보와 물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를 비교하여 물류정보 오류를 검출하거나 보정함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예시한 시스템들에서는 물류정보와 거래정보가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비교되어 일치하는지 혹은 불일치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러한 각각의 불일치 방식에 따라 어떻게 보정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참고적으로 하기에서는 이하 실물정보와 거래정보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물류정보 동기오류"라 명명하기로 한다.
실제 물류정보 동기오류의 유형은 여러 원인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사람에 의한 실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자동인식장치의 오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류정보 동기오류의 근본적인 유형의 분석 없이는 상기 예시한 시스템에서와 같이 추상적으로밖에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검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구조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다가오는 미래에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공급망 관리를 위해서 자동화 설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기에, 현장에서 실물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인식 시스템과 상위 공급망 관리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거래정보 사이의 불일치, 즉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더 나아가 단순히 동기오류를 검출하는 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검출된 동기오류 유형을 자율 보정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자율 보정 가능하다면 그만큼 시스템 관리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050116 공개특허공보 10-2012-0070813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기반 물류 공급망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동기오류 유형들을 정의하고, 그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에 기초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자율 보정은 물론 수동 보정 유도할 수 있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ID기반 물류 공급망 시스템을 관리함에 있어 물류정보의 불일치를 동기화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에 따른 물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물류 공급망 관리자에게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류 거점에서 자동 인식 시스템은 물론 사람 실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초과 입고, 초과 출고, 미입고, 미출고 등을 방지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물류시설 운영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은,
연계망을 통해 거래 처리 시스템과 EPCIS 시스템으로부터 물류정보에 해당하는 거래정보와 실물정보(EPC목록)를 수집하기 위한 물류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와;
상기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불일치시 사전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에 기초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와;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에 따라 자율보정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자율보정 요청정보 혹은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와;
상기 생성된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상기 EPCIS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하기 위한 보정요청 전파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파하여 수동보정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수동보정정보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로 전달하여 동기오류 재분석 요청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에 의해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유형이 각각 결정되면,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이 자율보정 가능한 것인지 수동보정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이면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함으로써, 결국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류 공급망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물류 거점에서 자동 인식 시스템은 물론 사람 실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초과 입고, 초과 출고, 미입고, 미출고 등을 방지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물류시설 운영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이 자율보정 불가한 것이면 이를 관리자가 접근 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 후, 그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차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여 자율보정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검출된 오류를 시스템이 최대한 자율보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현장에서 실물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인식 시스템과 상위 공급망 관리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거래정보 사이의 불일치, 즉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며, 시스템 관리상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물류 공급망 시스템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의 동기오류 분석방법에 따른 동기오류 유형 결정 흐름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를 들면 "실물정보"는 물류 센터 등에 입고, 보유 또는 출고할 물품들에 부착된 RF 태그들을 RF리더로 읽어들여 자동으로 파악한 물품과 수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거래정보"는 실제 거래예정 내역에 따른 물품과 수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물류 공급망 시스템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인식 시스템(100)은 각 물류 현장의 거점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서, 입고, 보유 또는 출고할 물품들에 부착된 바코드 혹은 RF 태그들을 바코드 리더기나 RFID 리더기로 읽어들여 자동으로 물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즉, 자동 인식 시스템(100)은 물류 현장의 거점에서 실물정보를 자동 인식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EPCIS(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 시스템(200)은 자동 인식 시스템(100)에서 인식된 실물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며, 다른 시스템이 요청하는 경우에 저장된 실물정보를 제공해 줌은 물론,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요청에 따라 실물정보를 보정한다. 참고적으로 EPCIS 시스템(200)은 각 제품마다 고유의 일련 번호를 부여하는 새로운 제품 번호 표준인 차세대 바코드(EPC) 글로벌이 제정한 전파식별(RFID) 기술을 통해 수집한 상품 데이터를 거래 기업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을 말하는바, 거래 당사자들에게 상품에 대한 추적이나 진위성 여부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모델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업들이 이러한 EPCIS 시스템(200)을 도입할 경우 표준 기반으로 안전하게 상품의 이동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공급 사슬의 가시성과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거래처리 시스템(400) 물류 공급 기업 및 관리 기업에서 발생되는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다른 시스템이 요청하는 경우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은 EPCIS 시스템(200)과 거래 처리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집한 이전 물류단계정보와 현재 물류 단계의 거래정보 및 실물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불일치할 경우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하고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에 따라 자율보정 혹은 수동보정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자율보정 가능하면 자율보정 요청정보(예를 들면 불일치되는 EPC목록)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반면 자율보정이 불가하면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파하여 수동보정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수동보정정보를 이용해 다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 후 자율보정이 재차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하였기에 후술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과 필요한 정보를 상호 송수신하되 기본적으로 물류 프로세스 단계를 관리하며, 물류 공급망 관리자나 물류 거점 관리자가 현재의 물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시스템(3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물류정보 수집부(310)는 외부 시스템, 예를 들면 EPCIS 시스템(200)과 거래 처리 시스템(400)으로부터 연계망을 통해 물류정보에 해당하는 거래정보와 실물정보를 수집하여 후술할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에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는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일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가 일치하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데 반하여, 불일치할 경우, 즉 물류정보의 동기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동기오류의 분석을 요구한다. 참고적으로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에 의해 정보 저장부(370)에 저장된다.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상기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불일치시 사전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에 기초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한다. 이러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이전 물류단계정보 및 이전 물류단계의 실물정보와 현재 물류단계의 실물정보 및 거래정보를 수집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한다. 이러한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에 따라 자율보정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자율보정 요청정보 혹은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며,
보정요청 전파부(350)는 상기 생성된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수정을 요청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울러 보정요청 전파부(350)는 EPCIS 시스템(200),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와 같은 외부장치와 기타 정보(예를 들면 정상처리정보)를 인터페이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성 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은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에서 생성된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파하여 수동보정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수동보정정보를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전달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재분석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재분석에 의해 최초 자율보정이 불가했던 동기오류 유형들은 자율보정 가능한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됨으로써, 결국 모든 동기오류 유형은 관리자의 간단한 개입만으로도 자율보정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와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가 이원화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 저장부(370)는 이전 물류단계정보, 이전 물류단계의 실물정보, 현재 물류단계의 실물정보 및 거래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스토리지로서, 이러한 스토리지의 일부 영역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각종 동기오류 검출 유형 데이터와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및 보정하는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동작을 간단히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물류 공급 기업의 거래 처리 시스템(400)에서, 예를 들어 발주가 이루어지면 정해진 물류 공급망에 따라 납품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거래정보(입/출고에 대한 예정정보)는 거래 처리 시스템(400)을 통해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물류정보 수집부(310)로 전송(S2단계)된다. 한편, 실물정보인 상품은 바코드나 RFID 태그가 부착된 채로 팔레트에 순차적으로 적재된 후 공급망 거점 창고로 입고된다. 이렇게 입고되는 실물정보인 상품은 각 물류 현장 거점에 설치/운영되는 자동 인식 시스템(100)에서 자동 인식됨으로써, 생성된 실물정보(물류 현장 정보)는 실물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EPCIS 시스템(200)으로 전송(S5단계)된 후 다시 물류정보 수집부(310)로 전송(S7단계)된다.
물류정보 수집부(310)는 전송받은 실물정보와 거래정보를 연계시켜서 물류정보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이렇게 통합된 물류정보를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로 전달한다.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 내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검출을 위한 기준 수립을 위해 현재 물류 단계를 기초로 이전 물류단계정보를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에 요청(S9단계)한다. 요청받은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는 이전 물류단계정보를 조회(S10단계)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전송(S11단계)한다. 이전 물류단계정보를 전달받은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이전 물류 단계의 실물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물류정보 수집부(310)에 실물정보 연계를 요청한다. 이에 물류정보 수집부(310)는 실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EPCIS 시스템(200)에 실물정보 전송을 요청(S13단계)한다.
EPCIS 시스템(200)은 요청받은 이전 물류단계정보를 실물정보 저장소에서 조회(S14단계)하여 물류정보 수집부(310)에 전송(S15단계)하면, 물류정보 수집부(310)는 EPCIS 시스템(200)에서 전송받은 이전 물류 단계의 실물정보를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연계하게 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전송받은 이전 물류 단계의 실물정보와 현재 물류 단계의 실물정보 및 거래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동기오류 검출을 수행(S17단계)하고, 동기오류가 검출(S18단계)되면 그에 따른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S19단계)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로 전달한다.
그러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 내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결정된 물류정보 동기오류의 유형이 자율보정 가능한 것인지 수동보정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S20단계)한다. 판단결과 자율보정 가능한 것이면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S21단계)되도록 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하고, 자율보정 불가한 것이면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시스템(300) 내의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로 전달한다. 참고적으로 자율보정 가능여부의 판단은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입고", "초과 출고", "태그 오인식", "미입고", "태그 오류", "인식 실패"로 판명되면 자율보정 가능한 것이고, 그 외 "태그 오류/인식 실패/미입고", "인식실패/미출고", "태그 오류/인식 실패/미출고"와 같이 동기오류가 복수 개로 불분명한 경우에는 자율보정 불가(즉, 수동보정이 요구되는 경우)한 것으로 정의한다. 아울러 자율보정 요청정보에는 불일치되는 EPC 목록이 추가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자율보정요청정보를 전달받은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보정처리(S24단계)할 수 있다.
한편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전달받은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파하여 수동보정 요청(S22단계)한다. 이에 작업자 혹은 관리자 등은 자신의 단말 혹은 통합관제장치에 표시된 바에 따라 수량 입력 혹은 태그 추가 인식, 실물확인 후 입력과 같은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성되는 수동보정정보가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로 전달(S23단계)되도록 한다. 이에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전달받은 수동보정정보를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전달하여 동기오류의 재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예를 들어 "태그 오류/인식 실패/미입고"와 같은 최초 동기오류 유형은 "태그 오류", "인식 실패" 혹은 "미입고"와 같은 하나의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되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에 의해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고, 이후 S21 단계와 S24 단계가 순차 수행되어 실물정보의 자율 보정이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S18단계에서 동기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실물정보와 거래정보가 일치하면 물류프로세스 처리장치(500)로 현재 물류 단계 처리완료를 통지하여 물류 공급망 관리자 또는 물류 거점 관리자가 그 즉시 물류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300)의 동작 중 물류정보 동기오류를 상세 분석하여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1은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검출유형 및 자율보정을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 표이다.
구분 동기 오류 유형 정의

1



수량초과

초과 입고
입고 예정 상품 수량 및 EPC기준으로 예정 외의 상품이 초과로 입고되는 경우 발생되는 오류

2

초과 출고
출고 예정 상품 수량 및 EPC기준으로 예정 외의 상품이 초과로 출고되는 경우 발생되는 오류

3

Tag오인식
입/출고 시, 예정 상품 수량 및 EPC기준 외의 상품이 추가로 인식되어 발생되는 오류

4




수량부족

미입고
입고 예정 상품 수량 및 EPC기준으로 분실, 누락, 미배송 되어 입고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오류

5

Tag오류
Tag의 훼손 및 미부착으로 인해 Tag이벤트가 발생할 수 없는 오류

6

인식실패
Tag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어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하지만 각종 요소로 인해 리더기가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

7
Tag오류/인식실패/
미입고
수동 보정의 경우로, Tag 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입고 중 하나의 동기 오류

8

인식실패/미출고
수동 보정의 경우로, 인식실패 혹은 미출고 중 하나의 동기오류

9
Tag오류/인식실패/
미출고
수동 보정의 경우로, Tag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출고 중 하나의 동기오류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의 동기오류 분석방법에 따른 동기오류 유형 결정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는 물류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된 거래정보 수량을 기준으로 실물정보 수량과 일치 여부를 비교(S40단계)한다. 비교 결과 실물정보와 거래정보의 수량은 일치하지만 EPC목록이 불일치할 수 있으므로 재차 EPC목록의 일치 여부를 판단(S41단계)한다.
판단결과 EPC 목록이 일치하면 수량과 EPC목록이 일치하는 것이므로,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는 정상(물류정보 동기오류 없음)으로 판단하여 정상 완료 처리(S52단계)가 되도록 보정요청 전파부(350)를 통해 정상처리정보가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로 전달되도록 하여 현재 물류 단계가 정상적으로 종료 처리되도록 한다.
만약 EPC목록이 불일치한다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를 통해 동기오류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EPC 목록이 불일치할 경우 차이 EPC목록(상품코드별 차이 태그목록)을 도출(S42단계)하고, 이어서 실물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판단(S43단계)한다.
만약 현재의 물류 단계가 입고단계라면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판단(S44단계)하여 정상 입고 유형이라면 기준 EPC목록 대비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을 도출(S45단계)한다. 그리고 초과된 EPC목록(초과 태그 기준)을 가지고 입고 확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S46단계)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Tag)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S47단계)한다. 반면 S45 단계에서 도출된 목록이 누락된 EPC목록이라면 태그 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입고라는 복수 개의 오류 유형으로 결정(S57단계)한다.
이와 같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의해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그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이 자율보정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S47단계에서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인식"이라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상기 표 1에 기초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 후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인식"이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아울러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서 전달받은 불일치 EPC목록을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아 보정요청 전파부(350)를 통해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받은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상기 보정 요청에 맞춰 보정함으로서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제거한다.
한편 S57 단계에서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이 "미입고/인식실패/태그 오류"라면, 상기 표 1에 근거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자율보정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동기오류 유형은 "미입고" 혹은 "인식실패" 혹은 "태그 오류"라는 동기오류 유형 중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세 가지 동기오류 유형 중 최종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수동적 보정이 필요하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수동보정을 요청함으로써,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수동보정을 요청(도 3의 S22단계)한다.
이러한 수동보정요청은 예를 들어 실물 수량 입력을 관리자에게 요청함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 수량을 통합관제장치 혹은 테블릿 PC(관리자 단말)를 통해 입력하면, 이러한 수동보정정보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를 통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다시 전달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입력받은 수량을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통해 올라온 실물정보 수량(EPC이벤트)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을 "미입고"로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미입고"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상기 표 1에 기초하여 자율보정인 것으로 판단하고 미입고 자율보정 처리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되기 때문에 후술하기로 한다.
만약 관리자가 상기 수동보정요청 정보, 예를 들면 태그 추가 리딩 메시지를 확인하면, 관리자는 테블릿 PC(관리자 단말)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제어하여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정보가 추가적으로 리딩되도록 한다. 이러한 추가 리딩에 의해 새로운 목록이 생성되었다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동기오류의 유형을 "인식 실패"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인식 실패"는 자율 보정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추가로 인식(리딩)된 상품의 EPC 목록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자율보정을 요청한다.
만약 추가 리딩된 목록이 없다면 최초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과 추가로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 합이 실물수량과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하면 "미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실물정보의 보정 요청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최초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과 추가로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 합이 실물수량과 불일치하면, 물류 거점의 현장 작업자(관리자)가 직접 상품의 EPC를 확인하여 존재하는지 체크하도록 수동보정요청 한다. 만약 존재한다면 그 실물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입력한다. 그러한 입력정보는 수동보정정보로 입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와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에 의해 자율보정 가능한 "태그 오류"로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된다. "태그 오류"의 경우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태그를 재발행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태그 목록인 EPC목록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물류 거점의 현장 작업자가 직접 상품의 EPC를 확인하여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그러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 혹은 통합관제장치를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동기오류 유형을 최종적으로 "미입고"로 결정한 후 일련의 보정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로써 S57 단계에서 "태그 오류/인식 실패/미입고"로 1차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은 수동보정요청에 의한 수량입력, 재인식, 실물확인 과정을 통해 재차 단일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되어 자율보정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4의 S46 단계를 참조하면, 만약 초과된 EPC목록을 가지고 입고 확정 정보를 도출할 수 없다면, 초과된 ECP목록을 가지고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S49단계)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S51단계)하고, 불가능하면 초과 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S50단계)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입고"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입고"라는 사실을 전달하고 불일치되는 EPC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한편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인식"으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인식"이라는 사실을 전달하고 불일치되는 EPC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도 4의 S44 단계에서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입고 실물정보의 발주번호(입고 ASN)를 가지고 EPCIS 시스템(200)에서 과거 출고된 EPC목록(출고 DO)을 조회(S53단계)한다. 조회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EPCIS 시스템(200)에서 조회한 출고 EPC목록(출고 DO)을 기준으로 현재 실물정보의 EPC목록(EPC 이벤트)을 비교하여 차이 EPC목록을 도출(S54단계)한다.
이후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차이 EPC목록을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으로 분리(S55단계)하고, 초과된 EPC목록은 태그 오인식(S56단계)으로, 누락된 EPC목록은 태그 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입고라는 복수 개의 오류 유형으로 결정(S57단계)한다. S56, S57단계서 각각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의해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주변 장치 혹은 구성으로 각 동기오류 결정유형에 맞게 자율보정요청하거나 수동보정요청 처리함으로써, 물류정보 동기오류가 종국적으로는 자율보정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의해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상기 표 1에 근거하여 자율보정 여부를 판단하고, 자율보정 가능한 것이면 자율보정하기 위한 EPC목록을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동기오류가 발생한 정보가 자율보정 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율보정 불가한 것이면 관리자에게 수동보정 요청을 하여 올바른 수량의 입력 혹은 재인식 과정 혹은 실물확인 과정 등을 통해 올바른 수동보정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고, 이후 동기오류 유형을 재차 결정하는 방식을 통해 자율보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기오류를 자율 보정한다.
한편 도 4의 S43단계의 판단결과 입고 단계가 아닌 출고 단계로 판단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도 5의 S60단계로 진행하여 실물정보를 가지고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에서 정보를 조회(BPM 업무 프로세스 정보 조회)한다. 조회결과 현재 실물정보의 이전 물류 단계가 피킹(picking) 단계(S61단계)라면, 피킹 단계에서의 EPC목록을 조회하기 위해 물류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EPCIS 시스템(200)에 정보 조회를 요청(S62단계)한다.
이후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63단계로 진행하여 상품코드별 출고 예정정보(거래정보에 해당)와 피킹 단계의 수량 및 EPC목록이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비교결과 불일치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64단계로 진행하여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이 분리 가능한지 판단하여 불가능하다면 S65단계로 진행하여 피킹 수량을 기준으로 현재 실물정보의 EPC수량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한다. 만약 S65단계의 판단결과 적으면 인식 실패(S66단계)로, 많으면 태그 오인식(S70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도 5의 S66 단계에서 동기오류 유형이 "인식 실패"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인식 실패"라는 사실을 전달하고 불일치되는 EPC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S70 단계에서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된 경우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의 후처리 수행과정은 이미 앞서 설명하였기에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S64단계의 판단결과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이 동시 존재하여 분리 가능하다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67단계로 진행하여 누락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하여 누락된 EPC 목록은 인식 실패(S68단계), 초과된 EPC목록은 태그 오인식(S69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인식 실패", "태그 오인식"으로 결정된 후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의 후처리 수행과정 역시 앞서 설명하였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63단계의 비교결과 일치하면 누락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S71단계)하여 누락된 EPC목록은 "미출고/인식실패(S72단계)"라는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하고, 초과된 EPC목록은 피킹 이력이 존재하는지 재차 판단(S73단계)하여 존재할 경우 태그 오인식(S74단계)으로, 미존재 할 경우에는 초과 출고(S75단계)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우선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출고"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출고"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이러한 "초과 출고"의 경우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초과 출고되는 상품에 대해 제시된 EPC 코드 목록을 정상적으로 삭제하였다는 전제조건에 따라 차이 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만약 동기오류 유형이 S72 단계에서와 같이 "미출고/인식실패"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수동보정을 요청함으로써,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동기오류 유형이 "미출고/인식실패"라는 사실을 전달하여 수동보정이 이루어지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수동보정요청은 실물 수량 입력, 추가 리딩, 실물확인과 같은 메시지 표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관리자는 표출된 메시지를 보고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 수량을 통합관제장치 혹은 테블릿 PC(관리자 단말)를 통해 입력하면, 이러한 수동보정정보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를 통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다시 전달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입력받은 수량을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통해 저장된 실물정보 수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을 "미출고"로 결정하고,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미출고된 상품의 EPC목록을 출고시킨다는 전제조건에 따라 차이 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만약 관리자가 상기 수동보정요청 정보를 보고 실물정보를 추가적으로 리딩(인식)해야 한다면, 관리자는 테블릿 PC(관리자 단말)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제어하여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정보가 추가적으로 리딩되도록 한다. 이러한 추가 리딩에 의해 새로운 목록이 생성되었다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동기오류의 유형을 "인식 실패"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인식 실패"는 자율 보정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추가로 인식(리딩)된 상품의 EPC 목록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자율보정을 요청한다.
만약 추가 인식(리딩)된 목록이 없다면 "미출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고,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미출고"된 EPC목록의 상품을 함께 출고시킨다는 것을 전제로 EPCIS 시스템(200)에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 후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오류 검출 및 보정과정을 종료한다.
다시 도 5에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61단계의 판단결과 이전 단계가 피킹 단계가 아니라면 S76단계로 진행하여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만약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면(즉 분리가능) S77 단계로 진행하여 누락과 초과 EPC 목록을 분리한다. 이후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78단계에서 현재 실물정보의 발주번호(입고 ASN)를 기준으로 물류 처리 프로세스를 조회하여 이전 물류 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전 물류 단계가 존재하지 않으면 S79단계로 진행하여 초과 EPC 목록을 기준으로 패킹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초과 출고(S80단계),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S81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초과 출고", "태그 오인식" 동기오류 유형 각각에 대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의 후처리 과정 역시 앞서 설명하였기에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의 S76단계에서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지 않으면 누락 혹은 초과만 존재하는 것이므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누락 EPC목록 혹은 초과 EPC목록만 존재하는 정보를 가지고 누락 EPC목록만 있는지를 판단(S82단계)한다.
누락 EPC 목록만 있을 경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도 9의 S8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물류 단계가 출고 단계인지 판단하여 입고이면 "태그 오류/미입고/인식실패(S84단계)"로, 출고이면 "태그 오류/미출고/인식실패"로 동기오류(S85단계) 유형을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미입고/인식실패"인 경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의 후처리 과정은 앞서 설명하였기에, 이하에서는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미출고/인식실패"인 경우를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미출고/인식실패"라면, 상기 표 1에 근거하여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자율보정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동기오류 유형은 "태그 오류" 혹은 "미출고" 혹은 "인식 실패"라는 동기오류 유형 중 하나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세 가지 동기오류 유형 중 최종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수동적 보정이 필요하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수동보정을 요청함으로써,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는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수동보정을 요청한다.
이러한 수동보정요청에 응답하여 관리자가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 수량을 통합관제장치 혹은 테블릿 PC(관리자 단말)를 통해 입력하면, 이러한 수동보정정보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를 통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로 다시 전달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입력받은 수량을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통해 올라온 실물정보 수량(EPC이벤트)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을 "미출고"로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미출고"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미출고된 EPC목록의 상품을 함께 출고시킨다는 것을 전제로 EPCIS 시스템(200)으로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만약 관리자가 상기 수동보정요청 정보를 보고 실물정보를 추가적으로 리딩(인식)해야 한다면, 관리자는 테블릿 PC(관리자 단말)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자동인식 시스템(100)을 제어하여 해당 발주에 대한 실물정보가 추가적으로 리딩되도록 한다. 이러한 추가 리딩에 의해 새로운 목록이 생성되었다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동기오류의 유형을 "인식 실패"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인식 실패"는 자율 보정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추가로 인식(리딩)된 상품의 EPC 목록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자율보정을 요청한다.
만약 추가 리딩된 목록이 없다면 최초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과 추가로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 합이 실물수량과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하면 "미출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미출고된 EPC목록의 상품을 함께 출고시킨다는 것을 전제로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EPCIS 시스템(200)으로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최초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과 추가로 자동 인식된 상품들의 수량 합이 실물수량과 불일치하면, 물류 거점의 현장 작업자(관리자)가 직접 상품의 EPC를 확인하여 존재하는지 체크한다. 만약 존재(태그 오류에 해당)한다면 그 실물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입력한다. 그러한 입력정보는 수동보정정보로 입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와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에 의해 자율보정 가능한 "태그 오류"로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된다. "태그 오류"의 경우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태그를 재발행하여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태그 목록인 EPC목록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물류 거점의 현장 작업자가 직접 상품의 EPC를 확인하여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동기오류 유형을 "미출고"로 결정하고 물류 거점의 작업자가 미출고된 EPC 목록의 상품을 함께 출고시킨다는 것을 전제로 EPCIS 시스템(200)에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이로써 "태그 오류/인식 실패/미출고"로 1차 결정된 동기오류 유형은 수동보정요청에 의한 수량입력, 재인식, 실물확인 과정을 통해 재차 단일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되어 EPCIS 시스템(200)에서 자율보정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만약 S40단계에서 거래정보 수량과 실물정보 수량이 일치하지 않으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320)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를 통해 동기오류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부(330)는 거래정보 수량과 실물정보 수량이 불일치하면 도 6의 S90단계로 진행하여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를 통해 이전 물류 단계가 피킹 단계인지 조회를 하고 피킹 단계의 물류정보와 현재 물류 단계의 물류정보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일치하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S102단계)하고 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비교결과 불일치하면 S40단계에서의 불일치 결과가 기준인 거래정보에 비해 실물정보의 수량이 많거나 적은지를 비교(S91단계)한다. 만약 실물정보의 수량이 많다면 기준 EPC 목록을 바탕으로 실물정보 EPC목록과의 차이 EPC목록을 도출(S92단계)한다. 이어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실물정보를 가지고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비교(S93단계)하여 입고 단계이면,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거래정보 저장소에서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비교(S94단계)한다.
S94 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 아니라 정상 입고로 판명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95 단계로 진행하여 반품 및 교환이 아닌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이전 물류 단계에 대한 정보를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에 요청하여 정보를 전달받아 이전 물류 단계의 EPC목록을 조회하기 위해 물류정보 수집부(310)에 요청하고, 물류정보 수집부(310)는 EPCIS 시스템(200)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 요청한다.
이로써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96단계로 진행하여 기준이 되는 거래(예정)정보 EPC목록과 실물정보 EPC목록을 비교하여 거래(예정)정보 EPC목록이 모두 존재하는지 분석하게 된다. 만약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97단계로 진행하여 도출된 차이 EPC목록을 가지고 입고 확정된 정보를 도출 가능한지 판단하여 입고 확정된 정보가 있으면 태그 오인식(S101단계)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태그 오인식" 동기오류 유형 결정 후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의 후처리 과정 역시 설명하였기에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S97단계의 판단결과 도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면 S98단계로 진행하여 출고예정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S99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고, 도출할 수 없다면 초과 입고(S100단계)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더 나아가 S94 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도 4의 S53단계로 되돌아가 S53 단계 내지 S57 단계를 순차 수행하여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후 그 결과를 전파한다.
만약 S91단계의 비교결과 물류정보의 불일치 결과가 기준인 거래(예정)정보에 비해 실물정보의 수량이 적다면 S92단계와 마찬가지로 도 7의 S110단계로 진행하여 차이 EPC목록을 도출한다. 이어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111단계로 진행하여 실물정보를 가지고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판단하여 출고 단계이면 도 5로 진행하는 한편, 입고 단계이면 S112단계로 진행하여 실물정보의 EPC목록(EPC 이벤트)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EPC 목록이 미존재이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거래(예정)정보 저장소에서 입고 유형을 조회하여 반품 혹은 교환여부를 판단(S113단계)하고 그 결과가 반품 혹은 교환이면 태그 오류(S116단계)로, 정상 입고이면 미입고(S114단계)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라는 사실을 전달한다. 이러한 "태그 오류"의 경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불일치하는 EPC 목록이 담긴 자율보정요청정보를 EPCIS 시스템(200)으로 전달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EPCIS 시스템(200)은 실물정보 저장부의 실물정보를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긴 EPC 목록에 맞춰 자율보정한다.
이에 반하여 동기오류 유형이 "미입고"로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표 1에 의거하여 자율보정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360)에 동기오류 유형이 "미입고"라는 사실을 전달하고 EPCIS 시스템(200) 측으로는 자율보정요청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도 7의 S112 단계의 판단결과 EPC 목록이 존재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115단계로 진행하여 물류 프로레스 처리장치(500)를 통해 BPM 업무 프로세스 정보를 조회한후, 조회된 정보를 가지고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S117단계)한다. 판단결과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면 후술할 도 8로 진행하고 미존재한다면 S118 단계로 진행한다.
S118단계에서는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판단하여 정상 입고 유형일 경우 기준 EPC목록을 만들기 위한 이전 물류 단계인 태그발행된 EPC목록을 EPCIS 시스템(200)을 통해 조회(S119단계)한 후 도 9로 진행하지만, S118 단계의 판단 결과 ASN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도 4의 S53단계로 되돌아가 S53 단계 내지 S57 단계를 순차 수행하여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 후 그 결과를 전파한다.
도 9의 S120단계에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함께 존재할(분리 가능) 경우 S121단계로 진행하여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하고,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S122단계)하여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S123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고, 존재하지 않는다면 S124단계로 진행하여 초과 태그 목록을 기준으로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재차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S126단계)으로, 불가능하면 초과 입고(S125단계)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동기오류 유형 결정 후의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의 후처리 과정은 앞서서 모두 설명되었기에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미 설명된 도 8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우선 도 7의 S117단계에서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S117단계)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S130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면서 차이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이 아닌 다른 거점에 입고된 적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다른 거점에 입고된 적이 있다고 판단되면 미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S131단계)한다. 반면 미존재인 것으로 판단되면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500)에 정보(BPM 업무 프로세스 정보) 조회하고 S13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물정보의 공급망에 피킹 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존재하면 도 4의 S55단계로 진행하고 미존재하면 도 9의 S120단계로 진행한다.
도 9의 S120 단계에서는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함께 존재할 경우(즉 분리 가능할 경우), S121단계로 진행하여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한다. 이후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는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S122단계)하여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S123단계)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고, 미존재하면 S124단계로 진행한다.
S124단계에서 초과 태그 목록을 기준으로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면 태그 오인식(S126단계)으로, 불가능하면 초과 입고(S125단계)로 각각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330)에 의해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유형이 결정되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340)는 상기 표 1에 근거하여 자율보정 여부를 판단하고, 자율보정 가능한 것이면 자율보정하기 위한 EPC목록을 자율보정요청정보에 담아 EPCIS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동기오류가 발생한 정보가 자율보정 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율보정 불가한 것이면 관리자에게 수동보정 요청을 하여 올바른 수량의 입력 혹은 재인식 과정 혹은 실물확인 과정 등을 통해 올바른 수동보정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고, 이후 동기오류 유형을 재차 결정하는 방식을 통해 자율보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물류정보의 동기오류에 대해 자율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류 공급망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물류 거점에서 자동 인식 시스템은 물론 사람 실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초과 입고, 초과 출고, 미입고, 미출고 등을 방지하여 저비용 고효율의 물류시설 운영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이 자율보정 불가한 것이면 이를 관리자가 접근 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 후, 그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차 물류정보의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여 자율보정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검출된 오류를 시스템이 최대한 자율보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현장에서 실물정보를 생성하는 자동인식 시스템과 상위 공급망 관리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거래정보 사이의 불일치, 즉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효율적으로 검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며, 시스템 관리상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와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 및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를 별개의 독립된 실행모듈로 분리하여 도시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행모듈들은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로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로직 모듈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실행모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의 집합체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연계망을 통해 거래 처리 시스템과 EPCIS 시스템으로부터 물류정보에 해당하는 거래정보와 실물정보(EPC목록)를 수집하기 위한 물류정보 수집부와;
    수집된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와;
    상기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불일치시 사전 정의된 동기오류 유형에 기초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와;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에 따라 자율보정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자율보정 요청정보 혹은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와;
    상기 생성된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상기 EPCIS 시스템으로 전파하여 실물정보의 보정을 요청하기 위한 보정요청 전파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통합관제장치 혹은 관리자 단말로 전파하여 수동보정 요청하고, 그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수동보정정보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로 전달하여 동기오류 재분석 요청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는,
    상기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이 "태그 오류와 인식실패와 미입고" 복수 개중 어느 하나일 경우와 "인식실패와 미출고" 복수 개중 어느 하나일 경우와 "태그 오류와 인식실패와 미출고" 복수 개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 수동보정으로 판단하여 수동보정 요청정보를 상기 의사결정 지원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적어도 발주에 대한 실물수량정보 혹은 상품부착 태그에 대한 추가 리딩정보 혹은 실물존재 확인정보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수동보정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수 개의 동기오류 유형 중 하나의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는,
    상기 분석된 물류정보 동기오류 유형이 "초과 입고", "초과 출고", "태그 오인식", "미입고", "태그 오류", "인식 실패"중 어느 하나일 때 자율보정으로 판단하고 불일치되는 EPC 목록이 담긴 자율보정 요청정보를 상기 보정요청 전파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거래정보와 실물정보의 불일치시 상기 EPCIS 시스템과 거래 처리 시스템 및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로부터 수집한 이전 물류 단계의 실물정보와 현재 물류 단계의 거래정보 및 실물정보, 이전 물류단계정보를 비교하여 물류정보의 동기오류를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부는,
    수집된 상기 거래정보 수량을 기준으로 실물정보 수량과 일치 여부를 비교하하고 일치하면 EPC목록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상기 보정 요청 전파부를 통해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로 정상처리정보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EPC목록이 불일치하면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품코드별 차이 EPC목록을 도출하는 a 단계와;
    실물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판단하는 b 단계와;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입고단계이면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판단하여 정상 입고 유형이면 기준 EPC목록 대비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을 도출하는 c 단계와;
    상기 초과된 EPC목록을 가지고 입고 확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d-1 단계와;
    도출된 목록이 누락 EPC 목록이면 태그 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입고라는 복수 개의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d-2 단계와;
    상기 d-1 단계에서 입고 확정 정보를 도출할 수 없다면, 초과된 ECP목록을 가지고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고, 불가능하면 초과 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e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c 단계에서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입고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외부 시스템인 EPCIS 시스템에서 과거 출고된 EPC목록을 조회하되, 조회한 출고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실물 정보의 EPC목록과 비교하여 차이 EPC목록을 도출하는 f 단계와;
    도출된 차이 EPC목록을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으로 분리하여, 초과된 EPC목록은 태그 오인식으로, 누락된 EPC목록은 태그 오류 혹은 인식실패, 혹은 미입고라는 복수 개의 동기오류 유형으로 결정하는 g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출고 단계이면, 실물정보를 가지고 외부 시스템인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에 정보 조회하여 현재 실물정보의 이전 물류 단계가 피킹 단계인지 체크하는 b-1 단계와;
    피킹 단계이면 EPC목록을 조회하기 위해 상기 EPCIS 시스템에 정보 조회 요청하는 b-2단계와;
    상품코드별 출고 예정정보와 피킹 단계의 수량 및 EPC목록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불일치하면, 누락된 EPC목록과 초과된 EPC목록이 분리 가능한지 판단하여 불가능하다면 피킹 수량을 기준으로 현재 실물정보의 EPC수량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고 적으면 인식실패로, 많으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b-3 단계와;
    상기 b-3 단계에서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이 동시 존재하여 분리 가능하다면, 누락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하여 누락된 EPC 목록은 인식실패로, 초과된 EPC목록은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b-4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상품코드별 출고 예정정보와 피킹 단계의 수량 및 EPC목록이 일치하면 누락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하여 누락된 EPC목록은 미출고 혹은 인식실패로 동기오류 유형 결정하고, 초과된 EPC목록은 피킹 이력이 존재하는지 재차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태그 오인식으로, 미존재 할 경우에는 초과 출고로 동기오류 유형 결정하는 b-5 단계와;
    상기 b-1 단계의 체크 결과 이전 단계가 피킹 단계가 아니라면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면 누락과 초과 EPC 목록을 분리하는 b-6 단계와;
    현재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기준으로 물류 처리 프로세스를 조회하여 이전 물류 단계가 존재하지 않으면 초과 EPC 목록을 기준으로 패킹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초과 출고로,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b-7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b-6 단계에서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지 않으면 누락 EPC목록 혹은 초과 EPC목록만 존재하는 정보를 가지고 누락 EPC목록만 있는지를 판단하는 b-8 단계와;
    상기 b-8 단계의 판단결과 누락 EPC 목록만 있을 경우 현재 물류 단계가 출고 단계인지 판단하여 입고이면 태그 오류 혹은 미입고 혹인 인식실패로, 출고이면 태그 오류, 미출고, 인식실패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b-9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3.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거래정보 수량과 실물정보 수량이 불일치할 경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연결 가능한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에게 이전 물류 단계가 피킹 단계인지 조회하고 피킹 단계의 물류정보와 현재 물류 단계의 물류정보를 비교하는 h 단계와;
    상기 h 단계의 비교결과 불일치하면 불일치 결과가 기준인 거래정보에 비해 실물정보의 수량이 많거나 적은지를 비교하여 실물정보의 수량이 많다면 기준 EPC 목록을 바탕으로 실물정보 EPC목록과의 차이 EPC목록을 도출하는 i 단계와;
    실물정보를 가지고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비교하여 입고 단계이면,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비교하는 j 단계와;
    j 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 아니라 정상 입고로 판명되면, 반품 및 교환이 아닌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이전 물류 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에 요청하여 정보를 전달받아 이전 물류 단계의 EPC목록을 EPCIS 시스템으로 조회 요청하는 k 단계와;
    기준이 되는 거래예정정보 EPC목록과 실물정보 EPC목록을 비교하여 거래예정정보 EPC목록이 모두 존재하면, 도출된 차이 EPC목록을 가지고 입고 확정된 정보를 도출 가능한지 판단하여 입고 확정된 정보가 있으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l 단계와;
    상기 l 단계에서 도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면 출고예정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도출할 수 없다면 초과 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m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j 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실물정보의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상기 f 단계와 g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i 단계에서 물류정보의 불일치 결과가 기준인 거래예정정보에 비해 실물정보의 수량이 적다면 차이 EPC목록을 도출하는 i-1 단계와;
    실물정보를 가지고 현재 물류 단계가 입고 단계인지 판단하여 출고 단계이면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입고 단계이면 실물정보의 EPC목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미존재이면 실물정보의 발주번호를 가지고 입고 유형을 조회하여 반품 혹은 교환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가 반품 혹은 교환이면 태그 오류로, 정상 입고이면 미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i-2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i-2 단계의 판단결과 EPC 목록이 존재하면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를 통해 BPM 업무 프로세스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정보를 가지고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미존재하면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인지 판단하는 i-2-1 단계와;
    상기 i-2-1 단계의 판단결과 정상 입고 유형일 경우 기준 EPC목록을 만들기 위해 이전 물류 단계인 태그 발행된 EPC목록을 EPCIS 시스템으로 조회하는 i-2-2 단계와;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함께 존재할 경우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하고,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 결정하는 i-2-3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i-2-1 단계의 판단결과 입고 유형이 반품 혹은 교환이면 상기 f 단계와 g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i-2-3 단계의 판단결과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초과 태그 목록을 기준으로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지 재차 판단하여 도출 가능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불가능하면 초과 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i-2-4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분석부는,
    상기 i-2-1 단계에서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전 거점에 출고 단계가 존재하면서 차이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이 아닌 다른 거점에 입고된 적이 있는지 판단하여 다른 거점에 입고된 적이 있으면 미입고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i-2-1-1 단계와;
    미존재인 것으로 판단되면 물류 프로세스 처리장치에 정보 조회하여 현재 실물정보의 공급망에 피킹 단계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g 단계로 진행하고 미존재하면 누락과 초과 EPC목록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i-2-1-2 단계와;
    상기 i-2-1-2 단계에서 누락과 초과 EPC 목록이 함께 존재하면 누락 EPC목록과 초과 EPC목록을 분리한 후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면 태그 오인식으로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i-2-1-3 단계와;
    상기 i-2-1-3 단계에서 상기 초과된 EPC목록을 기준으로 현재 거점에 입고 확정 정보가 미존재하면 초과 태그 목록을 기준으로 출고 예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면 태그 오인식으로, 도출할 수 없다면 초과 입고로 각각 동기오류 유형을 결정하는 i-2-1-4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된 동기오류 결과를 상기 물류정보 동기오류 보정 요청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KR1020130031475A 2013-03-25 2013-03-25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KR20140116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75A KR20140116645A (ko) 2013-03-25 2013-03-25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75A KR20140116645A (ko) 2013-03-25 2013-03-25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45A true KR20140116645A (ko) 2014-10-06

Family

ID=5199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475A KR20140116645A (ko) 2013-03-25 2013-03-25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6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53B1 (ko) * 2021-07-30 2022-07-2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589706B1 (ko) * 2023-04-07 2023-10-16 주식회사 써머스플랫폼 사물인터넷 기반 사물 추적 관리 시스템
CN117010806A (zh) * 2023-07-11 2023-11-07 智威士(天津)技术有限公司 货物验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53B1 (ko) * 2021-07-30 2022-07-2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08627A1 (ko) * 2021-07-30 2023-02-02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TWI819387B (zh) * 2021-07-30 2023-10-21 韓商韓領有限公司 管理與一電子設備中之一物品遞送服務相關之物品庫存資訊之方法、與一物品遞送服務相關之電子設備、及非暫時性電腦可讀儲存媒體
KR102589706B1 (ko) * 2023-04-07 2023-10-16 주식회사 써머스플랫폼 사물인터넷 기반 사물 추적 관리 시스템
CN117010806A (zh) * 2023-07-11 2023-11-07 智威士(天津)技术有限公司 货物验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010806B (zh) * 2023-07-11 2024-04-30 智威士(天津)技术有限公司 货物验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4638B (zh) 一种基于rfid的立体仓储管理系统及管理方法
US111516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ckaging quality issues
TWI771047B (zh) 自動包裝追蹤的電腦實施方法及電腦實施系統
CN111661551B (zh) 仓储盘点方法和仓储系统
US20150088780A1 (en) Dynamic route planning
KR20070114277A (ko) 태그 판독의 데이터 구조체를 사용하는 id 태그 추적시스템 및 방법
JP724306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KR20120017262A (ko) 재고 물품의 수량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238575A (zh) 仓储盘点巡检方法和系统、控制设备、无人机和存储设备
KR20140116645A (ko)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보정 시스템
CN111080196A (zh) 处理仓库到货差异的方法及系统
CN113506055A (zh) 物品入库方法及装置
KR101962948B1 (ko) 운송화물의 상태 확인 시스템
KR20140116273A (ko) 물류정보 동기오류 검출 시스템
CN110979853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自动化包装方法及系统
CN113344495A (zh) 一种基于rfid与工业视觉的卷烟出入库系统
JP2006036389A (ja) 棚在庫物品管理プログラム
KR20130046258A (ko) 운송용기 기반 물류관리시스템
JP4694366B2 (ja) プレカット加工システム
CN115512453A (zh) 一种货物验收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WO201809806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ckaging quality issues
CN114626780A (zh) 出库操作方法、电子设备、介质及产品
CN114386867A (zh) 应用于物联网扫描枪的二维码识别系统及方法
CN113962628A (zh) 适用于进口家具的仓储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5875909B2 (ja) 住所認識装置、及び住所認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