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50181A1 -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 Google Patents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50181A1
WO2022250181A1 PCT/KR2021/006647 KR2021006647W WO2022250181A1 WO 2022250181 A1 WO2022250181 A1 WO 2022250181A1 KR 2021006647 W KR2021006647 W KR 2021006647W WO 2022250181 A1 WO2022250181 A1 WO 20222501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e
resin
capsule
hydrogen peroxide
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6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성호
김운중
안석찬
장동원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케이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케이엠텍(주)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2501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501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20After-treatment of capsule walls, e.g.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20After-treatment of capsule walls, e.g. hardening
    • B01J13/206Hardening;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re-shell expanding agent and a core-shell expanding agent prepared therefrom, and more particularly, to prepar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by mixing urea and hydrogen peroxide; forming an inner layer of the capsule by adding an emulsifier to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forming an outer layer of the capsule by adding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inner layer of the capsule; and curing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to produce a capsule.
  • Expansion agen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lastics, paper, and paints, and play a role in adjusting the density, porosity, insulation, dimensional st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properties of product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0206 discloses an expanding agent containing a fluorinated compound.
  • the expanding agent is environmentally harmful and has poor expansibility, heat insulation, thermal st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so that it cannot be effectiv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roducts such as plastics, paper, and paints.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0206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n eco-friendly material with excellent expandability, heat insulation, thermal stability, dimensional stability, etc.,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xpanding agent that can be stab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roducts such as plastics, paper, paints, etc.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xpanding agent prepar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by mixing urea and hydrogen peroxide;
  • thermosetting resin forming an outer layer of the capsule by adding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inner layer of the capsule
  • It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shell expanding agent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capsule by curing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 the emulsifier is made from polystyrene sulfonic acid,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and fatty acid ester of polyoxyethylene sorbitan.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are selected.
  • thermosetting resi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lamine resin, phenol resin, polyurethane, epoxy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phenol-formaldehyde resin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compris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and a shell surrounding the core, wherein the shell is formed by curing a thermosetting resin on the outside of the core.
  • thermosetting resi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melamine resin, phenol resin, polyurethane, epoxy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phenol-formaldehyde resin .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material and excellent in expandability, heat insulation, thermal stability, dimensional stability, etc., so that it can be stab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roducts such as plastic, paper, paint, and the like.
  • FIG 1 shows an optical microscope image of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SEM image of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e particle size of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by mixing urea and hydrogen peroxide;
  • thermosetting resin forming an outer layer of the capsule by adding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inner layer of the capsule
  •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e-shell expanding agent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capsule by curing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includes a core contain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And it has a nanocapsule form consisting of a shell surrounding the core.
  •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has a core-shell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apsule layer is formed in an emulsified form of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and an outer capsule layer formed by curing a thermosetting resin outside the nanocapsule.
  •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urea and hydrogen peroxide. At this time, 5 to 40 parts by weight of urea may be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hydrogen peroxide.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dispersibility and particle stability of the complex may be maximized.
  • the urea and hydrogen peroxide may be mixed by heating and then cooled to obtain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 An emulsifier may be added and emulsified to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to form an inner layer of the capsule.
  • the emulsifi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polystyrene sulfonic acid,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and fatty acid ester of polyoxyethylene sorbitan.
  • the emulsifier may be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that is an anionic surfactant.
  • the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may be polystyrene sulfonic acid,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etc.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100,000 to 1,000,000 g/mol in terms of viscosity and emulsification characteristics.
  • the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is sorbitan monolaurate, sorbitan monopalmitate, 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etc.
  • the fatty acid ester of polyoxyethylene sorbitan i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sorbitan fatty acid ester includes Span 80, and the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includes polysorbate 80.
  •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emulsifier solution, wherein the content of the emulsifier contained in the aqueous emulsifier solution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 the amount of the aqueous emulsifier solution is preferably 10 to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 a capsule may be manufactured by adding a thermosetting resin to the inner layer of the capsule and stirring to form an outer layer of the capsule, and then curing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 the outer layer of the nanocapsule is formed of a thermosetting resin, durability, heat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of the expanding agent may be improved, and thus the inner layer may be protected by temperature, pressure, solvent, or the like applied from the outside. If the outer layer of the nanocapsule is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the inner layer may be deformed or damaged by externally applied temperature, pressure, solvent, etc., and thus the expansion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 thermosetting resi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melamine resin, phenol resin, polyurethane, epoxy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phenol-formaldehyde resin.
  •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resin is preferably 10 to 1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If the content of the thermosetting resin exceeds 100 parts by weight, the expansion properties are lowered, and if it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heat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of the nanocapsules are lowered.
  • the thermosetting resin may use a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a phenol-formaldehyde resin at the same time, and in this case, the weight ratio of the melamine-formaldehyde resin and the phenol-formaldehyde resin is preferably 60 to 80:20 to 40. When the weight ratio satisfies the above numerical range,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may be maximized.
  • thermosetting resin may be cured while stirring at 50 to 150° C. for 1 to 10 hours to form an outer layer of the capsule.
  •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of an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nd an acrylic acid monomer.
  • the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s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 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ethacryloxymeth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methyl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 the acrylic acid monomer i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arboxyl ethyl acrylate, carboxyl ethyl methacrylate, carboxyl pentyl acrylate, carboxyl pentyl meth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methyl acrylic acid, ethyl acrylic acid, butyl acrylic acid, 2-ethylhexyl acrylic acid, decyl acrylic acid, methyl methacrylic acid, ethyl methacrylic acid, butyl methacrylic acid, 2-ethylhexyl methacrylic acid, decyl methacrylic acid and the like.
  • the weight ratio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the acrylic acid monomer is preferably 10 to 30:70 to 90.
  • the copolym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can be maximized in the above numerical range.
  •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weight ratio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is preferably 20 to 40:60 to 80.
  • the copolymer is us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can be maximized in the above numerical range.
  •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may further include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 acrylic acid monomer
  • 2-hydroxyethyl acrylate (HEA) 2-hydroxyethyl acrylate
  •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is preferably 2 to 10:100:20 to 50, and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can be maximized within the above range.
  • the copolymer is us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resin,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are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comprising a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and a shell surrounding the core, wherein the shell is formed by curing a thermosetting resin on the outside of the core.
  •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constituting the core can be gasified as hydrogen peroxide is dissocia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used as an expanding agent, and the hydrogen peroxide can impart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properties to the product.
  • thermosetting resin constituting the shell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can play a role in controlling expansion characteristics.
  • the particle size of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is preferably 50 to 500 nm in terms of expansion characteristics,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 the core-shell expanding agent may be surface-treated with a copolymer of an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nd an acrylic acid monomer.
  • the copolym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expanding agent can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mposition to improve the expansion characteristics.
  • the weight ratio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the acrylic acid monomer is preferably 10 to 30:70 to 90.
  • the copolym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panding agent, and when the conten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bonding strength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expansion property is reduced.
  • the surface of the expand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treated with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may be additionally treated with a copolymer of a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the weight ratio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ing an acrylate group and 2-hydroxyethyl acrylate is preferably 20 to 40:60 to 80.
  • the copolymer is us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panding agent,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expansion properties are deteriorated.
  • the surface of the expanding agent may be additionally treated with a copolymer of an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n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a copolymer of an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n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may be additionally treated with a copolymer of an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n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HEA).
  •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acrylic acid monomer and 2-hydroxyethyl acrylate is preferably 2 to 10:100:20 to 50.
  • the copolymer is used in an amount of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panding agent, and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expansion properties are deteriorated.
  • a 5% by weight aqueous emulsifier solution was prepared by adding a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to water.
  • Example 1 100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fier aqueous solution prepared in Example 1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rea-hydrogen peroxide complex, and emulsified at 70 ° C. at 8,000 rpm for 5 minutes to form an inner layer of the capsule.
  • a core-shell expanding agent was prepared by adding 50 parts by weight of a melamine-formaldehyde resin to the inner layer of the capsule and reacting at 80° C. for 2 hours.
  • 1 to 3 show optical microscope images, SEM images, and particle sizes of the prepared core-shell expanding agent.
  • An expanding ag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50 parts by weight of a melamine-formaldehyde resin was used.
  • An expanding ag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120 parts by weight of the melamine-formaldehyde resin was used.
  • a copolymer was prepared by reacting 20 parts by weight of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80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 An expanding ag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2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was additionally used in the outer layer of the capsule.
  • An expanding ag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polyvinyl alcohol was used instead of the melamine-formaldehyde resin.
  • the expanding agent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dispersed in water, placed in a container, and allowed to stand at 25° C. for 12 hours, and then disper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 change in particle size.
  • the particle size change rat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article size after 12 hours of standing with the initial particle size.
  • Examples 2 to 5 have excellent dispersibility, expansion characteristics and heat resistance of the expansion agent. In particular, Examples 2 and 5 have the most excellent properties.
  • Comparative Example 1 can confirm that the properties are inferior to those of Exampl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material and excellent in expandability, heat insulation, thermal stability, dimensional stability, etc., so that it can be stab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roducts such as plastic, paper, paint, and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어-쉘 팽창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어-쉘 팽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본 발명은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어-쉘 팽창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어-쉘 팽창제에 관한 것이다.
팽창제는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어, 제품의 밀도, 기공도, 단열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특성, 화학적 특성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0206호는 플루오르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팽창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팽창제는 환경적으로 유해하고, 팽창성, 단열성, 열안정성, 치수안정성 등이 불량하여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제품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친환경 소재이면서 팽창성, 단열성, 열안정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제품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제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02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 소재이면서 팽창성, 단열성, 열안정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제품 제조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팽창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스티렌 술폰산(polystyrene sulfonic acid), 스티렌-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은 코어의 외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이면서 팽창성, 단열성, 열안정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제품 제조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팽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어-쉘 팽창제의 광학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어-쉘 팽창제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어-쉘 팽창제의 입자크기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어-쉘 팽창제는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는 나노캡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코어-쉘 팽창제는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이 유화된 형태로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고, 나노캡슐 외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캡슐 외부층을 갖는 코어-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과산화수소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소 5~40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착물의 분산성 및 입자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가열하여 혼합한 후 냉각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고 유화시켜 캡슐 내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스티렌 술폰산(polystyrene sulfonic acid), 스티렌-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스티렌 술폰산, 스티렌-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화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1,000,000g/mol 인 것이 점도 및 유화특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스판 80이 있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유화제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유화제 수용액에 포함된 유화제의 함량은 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 수용액의 함량은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 100중량부에 대해 10~4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한 후,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캡슐 외부층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팽창제의 내구성, 내열성 및 내용매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온도, 압력, 용매 등에 의해 내부층을 보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나노캡슐 외부층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경우, 외부에서 인가되는 온도, 압력, 용매 등에 의하여 내부층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팽창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함량은 요소-과산화수소 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부 인 것이 좋다. 열경화성 수지의 함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팽창특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 미만이면 나노캡슐의 내열성과 내용매성이 저하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50~150℃에서 1~10시간 교반하면서 경화시켜 캡슐 외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외부층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실 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복실 펜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 펜틸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중량비는 10~30:7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범위에서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외부층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0~40: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 사용되며, 상기 수치범위에서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외부층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10:100:20~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은 코어의 외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은 고온에서 과산화수소가 해리되면서 가스화되어 팽창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과산화수소는 제품에 항균성, 살균성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요소는 고온에서도 분해되지 않아 팽창제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쉘을 구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내열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팽창특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팽창제의 입자크기는 50~500nm인 것이 팽창특성, 내열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쉘 팽창제는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팽창제의 표면에 코팅되는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팽창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중량비는 10~30:7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팽창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결합력 향상이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팽창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팽창제의 표면을,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로 추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0~40:6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팽창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팽창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팽창제의 표면을,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로 추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10:100:2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팽창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 사용되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팽창특성이 저하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화제 수용액의 제조
물에 스티렌-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5중량%의 유화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90℃에서 10시간 교반한 후 40℃에서 필터로 여과하여 유화제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과산화수소 100중량부 및 요소 20중량부를 70℃에서 1시간 혼합한 후 냉각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 100중량부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화제 수용액 100중량부를 투입하여 70℃에서 8,000rpm으로 5분간 유화시켜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캡슐 내부층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50중량부를 투입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코어-쉘 팽창제를 제조하였다.
도 1 내지 3은 제조된 코어-쉘 팽창제의 광학현미경 이미지, SEM 이미지 및 입자크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5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팽창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12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팽창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0중량부 및 아크릴산 80중량부를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캡슐 외부층에 상기 공중합체 2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팽창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대신에,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팽창제를 제조하였다.
(분산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팽창제를 물에 분산시켜 용기에 넣고 25℃에서 12시간동안 정치시킨 후 입자의 크기변화를 통해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초기 입자의 크기 대비 12시간 정치 후의 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입자 크기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팽창특성)
탠덤 발포 압출기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 탈크 1중량부 및 팽창제 3중량부를 혼합한 후 가공하여 폴리프로필렌 발포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발포시트의 독립 기포율을 측정하였다.
(내열성)
상기 팽창제를 60℃에서 10시간 방치한 후의 색상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입자크기의 변화율
(%)
독립 기포율
(%)
내열성
실시예 2 3.2 88 우수
실시예 3 4.8 65 보통
실시예 4 5.0 68 보통
실시예 5 2.7 91 탁월
비교예 1 8.4 52 불량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5는 팽창제의 분산성, 팽창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 및 5는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
반면 비교예 1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이면서 팽창성, 단열성, 열안정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하여 플라스틱, 제지, 도료 등의 제품 제조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팽창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팽창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요소 및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캡슐 내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캡슐 내부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첨가하여 캡슐 외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슐 외부층을 경화시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스티렌 술폰산(polystyrene sulfonic acid), 스티렌-말레인 무수물 공중합체(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의 제조방법.
  4. 요소-과산화수소 착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로 이루어지며,
    상기 쉘은 코어의 외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팽창제.
PCT/KR2021/006647 2021-05-28 2021-05-28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WO20222501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33A KR102575627B1 (ko) 2021-05-28 2021-05-28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KR10-2021-0068733 2021-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181A1 true WO2022250181A1 (ko) 2022-12-01

Family

ID=8422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647 WO2022250181A1 (ko) 2021-05-28 2021-05-28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5627B1 (ko)
WO (1) WO20222501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1482A1 (en) * 1996-04-12 2001-10-18 James William M.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ormaldehyde fixation by delayed quenching
KR20080084938A (ko) * 2005-12-19 2008-09-22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열발포성 마이크로스페어, 그리고 그 제조 방법과 용도
CN104529831A (zh) * 2014-12-18 2015-04-22 西南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活性氧含量高稳定性好抗潮性强的过氧化尿素制备方法
KR20160010055A (ko) * 2014-07-18 2016-01-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pg 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균일한 입경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KR20200050965A (ko) * 2017-09-06 2020-05-12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그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827B1 (ko) * 2005-06-20 2006-02-10 석성기업주식회사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웰빙패널
CN110662797A (zh) 2017-05-19 2020-01-07 科慕埃弗西有限公司 可用作泡沫膨胀剂的氟化化合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1482A1 (en) * 1996-04-12 2001-10-18 James William M.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ormaldehyde fixation by delayed quenching
KR20080084938A (ko) * 2005-12-19 2008-09-22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열발포성 마이크로스페어, 그리고 그 제조 방법과 용도
KR20160010055A (ko) * 2014-07-18 2016-01-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pg 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균일한 입경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열팽창 마이크로캡슐
CN104529831A (zh) * 2014-12-18 2015-04-22 西南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活性氧含量高稳定性好抗潮性强的过氧化尿素制备方法
KR20200050965A (ko) * 2017-09-06 2020-05-12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그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627B1 (ko) 2023-09-06
KR20220160730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8654A1 (ko) 입자 균일성과 열 안정성이 뛰어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WO2014030782A1 (ko) 탄화규소가 코팅된 탄소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5088170A1 (ko)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WO2012053698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6052919A1 (ko)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50181A1 (ko) 코어-쉘 구조를 갖는 기능성 팽창제
WO2020130255A1 (ko)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9156312A1 (ko) 친환경 락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54513A1 (ko) 폴리이미드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이미드 분말
WO2019132575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2091295A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913237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5147359A1 (ko) 피비이씨 시트용 수성 그라비어 수성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브이씨 데코시트
WO2019212080A1 (ko) 에어로겔 기반의 유연 단열재 및 제조 방법
WO2017159914A9 (ko) 저광택 블랙 폴리이미드 전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603A1 (ko)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WO2023282592A2 (ko) 고밀도 방열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열 복합체
WO202110754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WO2021040253A1 (ko) 수성 난연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3282590A1 (ko) 방열 복합체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열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0139007A1 (ko) 금속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막이 형성된 고분자 사출물의 제조방법
WO2020184792A1 (ko) Pcm 칼라강판용 불연성 도료 조성물
WO2023177255A1 (ko) 저탄소 배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친환경 점착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
WO2024005466A1 (ko) 하드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27138A1 (ko) 엔지니어드 스톤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엔지니어드 스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431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