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58716A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58716A1
WO2022158716A1 PCT/KR2021/018834 KR2021018834W WO2022158716A1 WO 2022158716 A1 WO2022158716 A1 WO 2022158716A1 KR 2021018834 W KR2021018834 W KR 2021018834W WO 2022158716 A1 WO2022158716 A1 WO 20221587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joints
support
joint
display module
support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8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동원
최진환
김범진
김태웅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75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420126A/zh
Publication of WO20221587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587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digital cameras, notebook computers, navigation systems, and smart televisions that provide images to users, includ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n image and provides the generated image to a user through a display screen.
  • a flexible display panel used in flexible display devic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varied in shape, but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flatness when unfold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maintaining flatness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maintaining flatness of a display module when the display module is unfolded.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a support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 support layer disposed in the support layer to extend outside the support layer, and first and second ends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layer,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support bars having, and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ed plurality of joints may be configured to rotate with each other.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a support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protruding from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layer and a plurality of joints arranged along and coupled to rotate with each other, wherein at least two support bars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defined in a k-th join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s.
  • the display module is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layer and the module support including the support bars disposed in the support layer, flatness of the display module can be easily maintained.
  • joints coupled to rotate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bars, and at least two support bars are connected to one joint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the display module can be supported more easi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lled up stat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module support shown in FIG. 6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A to 8D are sid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upport bar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some support bars and some joint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10B, and 10C are sid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groove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A and 11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k-th joint and the k+1-th joint connected by the k-th connection part among the connections and joint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and the module support unit shown in FIG. 6 are coupled to the joints and the suppo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s shown in FIG. 12 are rotated and the module support part and the display module are rolled 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A, 14B, and 14C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ars disposed in the gro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and 16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6 , module support parts, joints,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upport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the closed mode shown in FIG.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shown in FIG. 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odule, a module support part, a joint, and a connection part in a cross-section of the first sub extensions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the expansion mode shown in FIG.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rolled up stat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a display device DD has long si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1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R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R1 . 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short sid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In FIG. 1 ,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intersect each other, but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intersect at different angles.
  •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efined as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meaning when viewed in a plan view is defined as a state view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efined as the display surface DS and may have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images IM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surface DS.
  • the images IM may be one or more moving images and/or still images.
  • the display surface DS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round the display area DA.
  • the non-display area NDA may completel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
  • the display area DA may display an image, and the non-display area NDA may not display an image.
  • the non-display area NDA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nd define a border of the display device DD printed in a predetermined color.
  • one or more sides of the display area DA may define an edge of the display device DD and may not be surrounded by the non-display area NDA.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used in larg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elevision, a monitor, or an external billboard.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terminal, a car navigation system, a game machine, a smart phone, a tablet, or a camera.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rolled up.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scroll-type display device.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rolled into a circular shape. The user can roll up the display device DD and carry it, and if necessary, unfold the display device DD to view the image generated in the display area DA, so that the portability of the rollable display device DD is improved. can rise
  • FIG. 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DM. 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module support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support will be illustrated in FIG. 6 .
  • 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a display panel DP, an input sensing unit ISP, an anti-reflection layer RPL, a window WIN, and a panel protection film PF.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flexible display panel.
  •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 the emiss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 the emission layer of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quantum dots and quantum rods.
  • the display panel DP will be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sensing an external input in a capacitive manner.
  •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be directly manufactured on the display panel DP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manufact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panel from the display panel DP, and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an adhesive layer.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sposed on the input sensing unit ISP.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input sensing unit ISP or may be coupled to the input sensing unit ISP by an adhesive layer.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efined as an external light anti-reflection film.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reduc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top of the display device DD toward the display panel DP.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displaying the same color as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DP.
  • the color filters may filter external light to the same color as the pixels. In this case, external light may not be recognized by the user.
  •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include a polarizing film for reducing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 th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retarder and/or a polarizer.
  • the window WIN may be dispos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
  • the window WIN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or may be coupled to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by an adhesive layer.
  • the window WIN may protect the display panel DP, the input sensing unit ISP,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from external scratches and impacts.
  • the panel protection film PF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DP.
  • the panel protection film PF may be directly formed under the display panel DP or may b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an adhesive layer.
  • the panel protection film PF may protec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P.
  • the panel protection film PF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 FIG. 4 exemplari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
  • FIG. 4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the display panel DP a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substrate SUB, a circuit element layer DP-CL and a circuit element layer DP disposed on the substrate SUB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CL may include a display element layer DP-OLED, and a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disposed on the display element layer DP-OLED.
  • th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round the display area DA.
  • th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PI).
  • PI polyimide
  • the display device layer DP-OLED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DA.
  • a plurality of pixels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 Each of the pixel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layer DP-OLED connected to a transistor disposed on the circuit device layer DP-CL.
  •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DP-CL to cover the display element layer DP-OLED.
  •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may include inorganic layers and an organic layer between the inorganic layers.
  • the inorganic layers can protect the pixels from moisture/oxygen.
  • the organic layer may protect the pixels PX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articles.
  •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may include at least one organ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layer having a different number.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4 .
  • the display device DD includes a display panel DP, a scan driver (SDV), a data driver (DDV), an emission driver (EDV), and a plurality of The number of pads PD may be included.
  • the display panel DP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DA.
  • 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X, a plurality of scan lines SL1 to SLm,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ines EL1 to ELm, first and It may include second control lines CSL1 and CSL2 ,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1 and PL2 , and connection lines CNL.
  • m and n are natural numbers.
  • the pixels PX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 the scan driver SDV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adjacent to the long sides of the display panel DP, respectively.
  • the data driver DDV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adjacent to any one of the short sides of the display panel DP.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data driver DDV may be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can lines SL1 to SLm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and the scan driver SDV.
  • the scan lines SL1 to SLm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and the data driver DDV.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emission lines EL1 to ELm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and the emission driver EDV.
  • the light emitting lines EL1 to ELm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first power line PL1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 the first power line PL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scan driver SDV.
  • connection lines CNL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connection lines CNL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the pixels PX.
  • a firs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first power line PL1 and the connection lines CNL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extend along long sides of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display panel DP on which the data driver DDV is not disposed.
  • an upper side on which the second power line PL2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a short side of the display panel DP when viewed in a plan view.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can driver SDV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 the second power line PL2 may extend toward the display area DA and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 a second voltage having a level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second power line PL2 .
  • the first control line CSL1 may be connected to the scan driver SDV and may extend toward a lower end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of the display panel DP when viewed in a plan view.
  • the second control line CSL2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and may extend toward a lower end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of the display panel DP when viewed in a plan view.
  • the data driver DDV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rol line CSL1 and the second control line CSL2 (e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pads PD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 the pads PD may be closer to a lower end of the display panel DP (eg,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an to the data driver DDV.
  • the data driver DDV, the first power line PL1 , the second power line PL2 , the first control line CSL1 , and the second control line CSL2 may be connected to the pads PD.
  • the data lines DL1 to DLn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driver DDV, and the data driver DDV may be connected to the pads PD corresponding to the data lines DL1 to DLn.
  • the display device DD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can driver SDV, the data driver DDV, and the light emission driver EDV, and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voltages. may include more.
  •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voltage gen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ads PD through a printed circuit board.
  • the scan driver SDV may generate a plurality of scan signals, and the scan signal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scan lines SL1 to SLm.
  • the data driver DDV may generate a plurality of data voltages, and the data voltage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 the emission driver EDV may generate a plurality of emission signals, and the emission signals may be applied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emission lines EL1 to ELm.
  • the pixels PX may receive data voltages in response to scan signals.
  • the pixels PX may display an image by emitting light having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s in response to the emission signals.
  • the emission time of the pixels PX may be controlled by the emission signals.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roll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display panel DP may be rolled from a first side (eg, a short sid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n a plane) of the display panel DP adjacent to the data driver DDV.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panel DP is rolled from a second side of the display panel DP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panel DP (eg, a short sid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n a plane).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 the display device DD includes a display module DM, a module support part MSP, a plurality of joints JU,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SUP, and a plurality of It may include connection parts CP.
  • the display module DM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but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DM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extend long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short sid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include a support layer SPL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upport bars S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may be long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2 .
  •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module DM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have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having a flat surface.
  • the support bars SB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Each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layer SPL and may have first and second end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quadrangular pole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but the shape of the support bars SB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 the joints JU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joints JU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long both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joints JU may be disposed along long sides of the support layer SP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joints JU may be eq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but the spacing between the joints JU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 the support bars SB protruding from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inserted into the joints JU and connected to the joints JU.
  • a plurality of grooves GV may be defined in the joints JU.
  • the plurality of grooves GV may accommodat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upport bars SB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grooves GV may be defined on inner surfaces IS of the joints JU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GV and connected to the joints JU. Accordingly,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s JU by the support bars SB.
  • the joints JU may be coupled to rotate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on parts CP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s JU to couple the joints JU to rotate with each other.
  • the connection parts CP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s JU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connection parts CP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S of the joints JU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lateral surface OS of each of the joints JU is opposite to the medial surface IS of each of the joints JU (e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a coupling groove CG may be defin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S of each of the joints JU.
  • a pin PIN may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S of each of the joints JU.
  • the pin PI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joint JU,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S of the joint JU.
  • the coupling groove CG and the pin PI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dges of the joints JU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upling groove CG and the pin PIN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 a plurality of holes H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GH may be defined in each of the connection parts CP.
  • the holes H may be adjacent to upper ends of the connection parts CP, and the guide holes GH may be adjacent to lower ends of the connection parts CP.
  • the guide holes GH may have a curved shape.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upling pins CPN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CG of the joints JU and the holes H of the connection parts CP so that the connection parts CP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s JU.
  • four coupling pins (CPN) are shown,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6 .
  • coupling pins CPN to be inserted into both the coupling grooves CG and the holes H may be provided at the joints JU and the connection parts CP.
  • connection parts CP are coupled to the joints JU to move along the guide holes GH.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arts CP are coupled to the joints JU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1A and 11B .
  • the support parts SUP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support parts SUP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bu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arts SUP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 parts SUP may have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
  • the support parts SUP may be disposed below the joints JU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For example, lower surfaces of the joints JU may contact upper surfaces of the supports SUP.
  • the support parts SUP may be disposed under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joints JU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s SUP adjacent to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support parts SUP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each of the support parts SUP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long sid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short sid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joints JU are formed with short sides of the support parts SUP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be disposed on first and second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 a pair of joints JU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disposed on a corresponding support part SUP among the support parts SUP.
  •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s SUP may be of a rigid type.
  •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s SUP may include a metal such as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module support shown in FIG. 6 ;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include a support layer SPL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B disposed in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support bars SB may extend in the support layer SPL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extend more than the support layer SPL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be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layer SPL. .
  • the support bars SB disposed in the support layer SPL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 the support bars S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bu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bars SB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bars SB may be of a rigid type.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metal.
  •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aluminum, stainless steel, or inva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bars SB may include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lude an elastic polym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 the support layer (SPL) may include thermoplastic polyurethane, silicone, thermoplastic rubbers, elastolefin, thermoplastic olefin, polyamide, poly Ether block amide, synthetic polyisoprene, polybutadiene, chloroprene rubber, butyl rubber, styrene-butadiene, epi Among chlorohydrin rubber, polyacrylic rubber, silicone rubber, fluorosilicone rubber, fluoroelastomers, and ethylene-vinyl acetat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higher modulus (eg, a bending modulus) than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layer SPL may have a modulus of 20 kilo Pascals (KPa) to 20 mega Pascals (MPa).
  • the support bars SB may have a modulus of 1 gigapascal (GPa) to 200 gigapascals (GPa).
  •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may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 the display when the support layer SPL is not used and the support bars SB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the display is display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 the module DM may be modifie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module DM is repeatedly rolled and unrolled,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overlapp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may be stretched and hit downward. This deforma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externally as a wrinkle shape. That is, the surfac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eteriorated.
  • the support bars SB having more rigidity (high modulus)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layer SP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low modulus) forms a flat upper surface US. It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module DM. Since the display module DM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having a flat surface, th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overlapp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SB is not deformed, and a flat state is maintained. can keep That is, the surface quality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improved.
  • FIG. 8A to 8D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upport bars shown in FIG. 7 .
  • FIGS. 8A to 8D are side views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support bars SB when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DR2 ,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support bars SB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bars SB when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trapezoidal shape, a triangular shape, and a circular shape.
  • the shape of each of the support bars SB is maintained in the support layer SPL,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some support bars and some joints shown in FIG. 6 .
  • the display module DM disposed on the support layer SPL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support layer SPL.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SPL by an adhesiv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air of joints JU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with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interposed therebetween to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joints JU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upport bars SB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inserted into the pair of joints JU.
  •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GV of the pair of joints JU.
  • Portions of the support bars SB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GV.
  •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move along the grooves GV.
  • At least two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a pair of joints JU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number of support bars SB inserted into the pair of joints JU is not limited thereto.
  • At least two grooves GV may be defined in each of the joints JU.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two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the two grooves GV.
  • the grooves GV defined in each of the joints JU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pport bars SB inserted into the joints JU.
  •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two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GV defined in the pair of joints JU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ars SB may be supported by a pair of joints JU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efined as the short axis SS
  •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is defined as the long axis LS. do.
  • the support bars SB may easily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with respect to the short axis SS of the display module DM. However, since the support bars S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bars SB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LS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weak.
  • 10A, 10B, and 10C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grooves shown in FIG. 9 .
  • FIGS. 10A to 10C show the inner surface IS of the k-th joint JUk as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ends of the two support bars SB are shown together.
  • the first ends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ars SB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at least two grooves GV defined on the inner surface IS of the k-th joint JUk.
  • k is a natural number.
  • the grooves GV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may have a curved shape.
  • the grooves GV may have a curved shape convex downward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shapes of the grooves GV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 the shapes of the grooves GV may be the sa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rooves GV may have different shapes.
  • At least two grooves GV-1 defined on the inner surface IS of the k-th joint JUk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DR1 and are straight line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at least two grooves GB-1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s of the at least two grooves GB - 1 may vary.
  • the first ends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traight grooves GV-1.
  • a single groove GV-2 may be defined on the inner surface IS of the k-th joint JUk.
  • the single groove GV-2 may have a curved shape.
  • the groove GV - 2 may have a curved shape convex downward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illustrated in FIG. 10B , the groove GV - 2 may have a linear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First ends of the at least two support bars SB may be inserted into the single groove GV-2.
  • 11A and 11B are views illustrating a k-th joint and a k+1-th joint connected by a k-th connection among the connections and joints shown in FIG. 6 .
  • FIGS. 11A and 11B Exemplarily, side views of the k-th joint CPk,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are shown in FIGS. 11A and 11B , as view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k-th joint CPk is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rotate with each other.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have holes (H) defined in the k-th connection part (CPk) and coupling grooves defined in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 CG k+1-th joint
  • one coupling pin (CPN) has a k-th joint (JUk) and a k+1-th joint (JUk+) overlapping one hole (H) and one hole (H)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It may extend to the coupling groove CG of 1) (e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k-th connection part CPk may be connected to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by the coupling pins CPN. Accordingly,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k-th connection part CPk.
  • the coupling pins CP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Portions of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on which the coupling pins CPN are disposed may be defined as a first point P1 and a second point P2, respectively.
  • the k-th connection part CPk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 and each of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may define a rotation axis.
  • the first point P1 is the upper end of the k-th joint JUk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one side of the k-th joint JUk adjacent to the k+1-th joint JUk+1. can be adjacent 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 the first point P1 is the top of the k-th joint JUk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k+1-th joint JUk+1. ) may be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k-th joint JUk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point P2 may be adjacent to the top of the k+1-th joint JUk+1 and one side of the k+1-th joint JUk+1 adjacent to the k-th joint JUk.
  • the second point P2 is the upper end of the k+1-th joint JUk+1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k-th joint JUk. ) may be adjacent to the left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k+1-th joint JUk+1.
  •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rotate arou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respectively.
  • the k-th connection part CPk can control the folding angles of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through guide holes GH that limit the folding angle to a predetermined folding angle range.
  • the pins PIN protrude from the first pin PIN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S of the k-th joint JUk and the outer surface OS of the k+1-th joint JUk+1.
  • a second pin PIN2 may be included.
  • the first pin PIN1 is at the lower end of the k-th joint JUk (for example,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at one side of the k-th joint JUk adjacent to the k+1-th joint JUk+1. can be adjacent.
  • the first pin PIN1 is the lower end of the k-th joint JUk and the right side (eg, the k-th joint JUk) adjacent to the k+1-th joint JUk+1.
  • the first direction DR1 is the lower end of the k-th joint JUk and the right side (eg, the k-th joint JUk) adjacent to the k+1-th joint JUk+1.
  • the second pin PIN2 is the lower end of the k+1-th joint JUk+1 (for example,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 k+1-th joint JUk+1 adjacent to the k-th joint JUk. ) may be adjacent to one side of
  • the second pin PIN2 is the lower end of the k+1-th joint JUk+1 and the k+1-th joint JUk+1 adjacent to the k-th joint JUk. may be adjacent to the left side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ns PIN1 and PIN2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guide holes GH defined in the k-th connection part CPk may include a first guide hole GH1 and a second guide hole GH2 having a curved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 the first guide hole GH1 may overlap the k-th joint JUk
  • the second guide hole GH2 may overlap the k+1-th joint JUk+1. have.
  • each of the first guide hole GH1 and the second guide hole GH2 may hav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a circumference of a 1/N circle.
  • the first guide hole GH1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to the upper left side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can be curved and extended toward
  • the second guide hole GH2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to the upper right side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can be curved and extended toward
  • the first pin PIN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GH1 .
  • the first pin PIN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hole GH1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 the second pin PIN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GH2 .
  • the second pin PIN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guide hole GH2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k-th joint CPk.
  •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be rotated arou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to be folded into each other.
  • the k-th joint JUk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first point P1
  • the k+1-th joint JUk+1 rotates around the second point P2. It can rotate counterclockwise.
  • the range of the folding angle between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is the first and second pins (PIN1, PIN2) mov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GH1, GH2). ) can be determined by The folding angle range may be determined by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GH1 and GH2.
  • the k-th joint JUk is rotated in a folding angle range determined from 0 degrees to 45 degrees around the first point P1 by the first pin PIN1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hole GH1.
  • the k+1-th joint (JUk+1) has a folding angle determined from 0 degrees to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int P2 by the second pin PIN2 moving along the second guide hole GH2. It can be rotated in range.
  •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rotate at a maximum angle of up to 45 degrees, respectively.
  • the folding angle ⁇ c of may be maximum.
  • the folding angle ⁇ c between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be up to 90 degrees.
  • the maximum folding angle between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is set to 90 degrees,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GH1 and GH2 may have a curved shape having a length smaller than the curved shape shown in FIGS. 11A and 11B .
  •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GH1 and GH2 may have a longer curved shape than the curved shape shown in FIGS. 11A and 11B .
  • the maximum folding angle between the k th joint (JUk) and the k+1 th joint (JUk+1) is 90 may be smaller than
  • the end of the first guide hole GH1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k-th connection part CPk and the second guide hole GH2 A first pin PIN1 and a second pin PIN2 may be disposed at the ends. Accordingly, the k-th joint JUk and the k+1-th joint JUk+1 may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example, the k-th joint JUk may not rotate counterclockwise, and the k+1-th joint JUk+1 may not rotate clockwise.
  •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and the module support shown in FIG. 6 are coupled to the joints and the supports.
  • the display module DM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US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bars SB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GV to support the module support part.
  • MSP may be connected to joints (JU).
  • a support layer SPL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s SUP (eg, disposed directly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ccommodated in a space defined between the support parts SUP and the joints JU. For example,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joints JU (e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upport layer SPL and the support module DM ar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s SUP (e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joints JU.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joints JU.
  •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layer SPL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support bars SB,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upport parts SUP.
  • the support parts SUP and the joints JU may serve as a cas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layer SPL, the support bars SB, and the display module DM.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rolled while the joints JU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rts CP rotate.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3 .
  •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s shown in FIG. 12 are rotated and the module support part and the display module are rolled up.
  • connection parts CP are omitted in FIG. 13 .
  • the joints JU may be roll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points P1 and P2 , so that the joints JU are rolled up.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rolled up.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rolled, and the front surface D-FS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ront surface D-FS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a display surface for displaying the image IM.
  • the user may carry the display device DD.
  • the user may unfold the display module DM by unfolding the joints JU as needed, and view an image through the front surface D-FS of the display module DM. Accordingly, port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creased.
  • 14A, 14B, and 14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ars disposed in the grooves.
  • FIG. 13 will be described together.
  •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the display module DM are shown together with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 bars SB, and the connection parts CP are omitted.
  • 14c shows two support bars SB inserted into any one joint JU.
  • the support bars SB may move along the grooves GV. As the joints JU rotat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rolled up.
  • a tensile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module support part MSP.
  • a tensile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elastic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move along the grooves GV, so that the tensile force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decrease.
  •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grooves GV when the joints JU are unfolded to spread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layer SPL.
  • the support bars SB are formed in the grooves GV at the center of the grooves GV. ) to move to the lef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bars SB may move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grooves GV.
  •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bars SB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upport bars SB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grooves GV.
  • the support bars SB when the joints JU are unfolded, the support bars SB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grooves GV, and when the joints JU are folded, the support bars SB are the grooves GV. ) may move to the left along the grooves GV from the center.
  • the support bars SB may move from lower ends of the grooves GV to the left of the grooves GV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r ends of the grooves GV. As the grooves GV have a curved shape, the support bars SB may freely mov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ccordingly, the mobility of the support bars SB may be increased.
  • the tensile force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reduced during a rolling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re rolled. have.
  • 15 and 16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shown in FIG. 6 , module supports, joints,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upports.
  • the display device DD-1 includes a housing HS, a display module DM accommodated in the housing HS, a handle HND connected to the display module DM, and a display module ( DM) may include extensions EXP adjacent to both sides.
  • the housing HS may have a hexahedr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H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 the housing HS has long side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first direction ( 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short sides extending to DR1).
  • An opening OP may be defined at a firs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housing H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opening OP may b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S rather tha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HS.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wound on a roller disposed in the housing HS to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OP.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play module DM is wound around the rol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OP.
  • the handle H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HS to be adjacent to the opening OP.
  • the handle HND may be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S (eg, in the third direction DR3 ).
  • the handle HND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rawn out of the housing HS through the opening OP.
  • the handle HND may be manipulated by a user.
  • the extension EXP may be disposed on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display module DM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extension EXP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EXP1 adjacent to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a second extension EXP2 adjacent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DM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HS may be defined as a closed mode.
  •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DM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may be defined as an extended mode.
  •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the closed mode shown in FIG. 15 .
  • FIG. 17 the outer surfaces OS of the joints JU and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parts CP are illustrated in FIG. 17 .
  • a cross-s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EXP is shown to show the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EXP on which the joints JU are disposed.
  • the display device DD-1 includes a roller ROL, a display module DM, a module support part MSP, joints JU, support parts SUP, and connection parts CP.
  • the roller ROL, the display module DM, the module support part MSP, the joints JU, the support parts SUP, and the connection parts CP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HS.
  • the outer surfaces OS of the joints JU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parts CP are shown, so that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re not visible in FIG. 17 , but as shown in FIG. 12 , the joint
  •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disposed inside the JU.
  • the roller ROL is disposed in the housing HS and is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HS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HS where the opening OP is defined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Can be adjacent to two sides.
  • the roller ROL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roller ROL can rotat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 the display device DD-1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oller ROL.
  • the joint JU disposed on one side of the joints JU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ROL.
  • a pair of joints JU dispos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ward the roller ROL on the support layer SPL may be connected to the roller ROL.
  • the first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first side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roller ROL together with the joint JU disposed on the first side.
  • the joints JU,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MSP may be wound on or unwound from the roller ROL.
  • a part of the joints JU,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a part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wound around the roller ROL.
  • the other part of the joints JU, the other part of the indication module DM, and the other part (unwound part)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re not wound on the roller ROL and overlap the extension part EXP. can be placed.
  •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second side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the other-most joint JU adjacent to the second side of the display module DM are connected to the handle HND, and the opening OP ) can be adjacent to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sion shown in FIG. 17 .
  • 19 is a view showing cross-sections of the display module, the module support part, the joint, and the connection part together in a cross-section of the first sub extensions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18 .
  • the extension part EXP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EXP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EXP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Guide grooves GG may be defi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EXP1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EXP2 .
  • the joints JU,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s SUP, and the connection parts CP may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s GG. Since the support bars SB are connected to the joints JU, both sides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extension part EXP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EXP2.
  •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s SUP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long the guide grooves GG. Accordingly,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als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gether with the joints JU.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EXP1 and EXP2 includes a first sub extension SEP1 , a second sub extension SEP2 , and A third sub extension SEP3 may be included.
  • the second sub-extension part SEP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extension part SEP1 and the third sub-extension part SEP3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second sub-extension part SEP2 may be drawn in and out of the first sub-extension part SEP1 , and the third sub-extension part SEP3 may enter the second sub-extension part SEP2 . and can be withdrawn.
  • the third sub extension SEP3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HND.
  • the guide grooves GG may be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extensions SEP1 , SEP2 SEP3 .
  • the guide grooves GG defin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extensions SEP1 , SEP2 SEP3 may be defined as continuous spaces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first sub-extensions SEP1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s EXP1 and EXP2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HS.
  • the first sub-extension parts SEP1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HS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 the first sub-extension parts SEP1 are disposed in the housing HS, and the second and third sub-extension parts SEP2 and SEP3 ar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HS (e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can be moved to ).
  • FIG. 2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the extended mode shown in FIG. 16 .
  • the side surfaces OS of the joints JU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parts CP are shown, indicating The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MSP may not be visible. However, as shown in FIG. 12 ,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may be disposed inside the joints JU.
  • the handle HND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away from the housing HS. As the handle HND moves,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module support part MSP connected to the handle HND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s SUP may als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the second sub-extension part SEP2 is withdrawn from the first sub-extension part SEP1
  • the third sub-extension part SEP3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sub-extension part SEP2 .
  • the display module DM, the module support part MSP,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 parts SUP may be unwound from the roller ROL. Accordingly,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DM, a part of the module support part MSP, a part of the joints JU, and a part of the support parts SUP are drawn out of the housing HS through the opening OP to the outside. can be exposed as The image IM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DM exposed to the outside like the front surface D-FS of the display module DM of FIG. 13 .
  • the handle H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R1 to be closer to the housing HS, as shown in FIGS. 15 and 17 , the handle H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OP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HS. may b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As the handle HND moves, the display module DM, the module support part MSP, the joints JU, and the support parts SUP may be drawn into the housing HS and wound around the roller ROL. .
  • the flatness of the display module can be easily maintained, so that a produc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층의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층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끝단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은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장점이 있으나, 펼쳤을 때 평탄도가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평탄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모듈이 펼쳐졌을 때, 표시 모듈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층의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층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끝단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은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제1 및 제2 측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층의 상기 제1 및 제2 측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 중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은 상기 복수개의 관절 중 k 번째 관절에 정의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층 및 지지층 내에 배치된 지지바들을 포함하는 모듈 지지부를 통해 표시 모듈이 지지되므로, 표시 모듈의 평탄도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관절들이 지지바들에 연결되며,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이 하나의 관절에 연결되어 장축에 대해 표시 모듈을 지지하므로, 표시 모듈이 보다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말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모듈 지지부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지지바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일부 지지바들 및 일부 관절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홈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연결부들 및 관절들 중 k 번째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k 번째 관절 및 k+1 번째 관절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모듈 지지부가 관절들 및 지지부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2에 도시된 관절들이 회전하여 모듈 지지부 및 표시 모듈이 말려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들에 배치된 지지바들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표시 모듈, 모듈 지지부, 관절들, 및 지지부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5에 도시된 닫힘 모드에서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7에 도시된 확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8에 도시된 I-I'선의 제1 서브 연장부들의 단면에, 표시 모듈, 모듈 지지부, 관절, 및 연결부의 단면들을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6에 도시된 확장 모드에서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말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다른 각도로 교차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평면상에서 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로 정의된다.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들(IM)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및/또는 정지 영상일 수 있다.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처럼, 비표시 영역(NDA)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로 표시 영역(DA)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표시 영역(DA)의 하나 이상의 변은 표시 장치(DD)의 가장 자리를 정의하고,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말려질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두리마리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에 대해 말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D)는 원형 형상으로 말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DD)를 말아서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표시 장치(DD)를 펼쳐서 표시 영역(DA)에서 생성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므로, 롤러블 표시 장치(DD)의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DD)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된 모듈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 지지부의 구성은 이하 도 6에 도시될 것이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반사 방지층(RPL), 윈도우(WIN), 및 패널 보호 필름(PF)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장치(DD)의 제조 시,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패널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부(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입력 감지부(ISP)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입력 감지부(ISP)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향해 진행된 외부광이 표시 패널(DP)에서 반사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경우, 거울과 같이, 사용자가 반사된 광을 시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의 화소들과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은 외부광을 화소들과 동일한 색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광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 방지층(RPL)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 윈도우(WIN)는 반사 방지층(RPL)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반사 방지층(RPL)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및 반사 방지층(RPL)을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직접 형성되거나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 필름(PF)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4에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표시 패널(DP)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polyimid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PX)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 및 서로 다른 개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주사 구동부(SDV)(scan driver), 데이터 구동부(DDV)(data driver), 발광 구동부(EDV)(emission driver), 및 복수개의 패드들(PD)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개의 화소들(PX), 복수개의 주사 라인들(SL1~SLm),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n), 복수개의 발광 라인들(EL1~ELm), 제1 및 제2 제어 라인들(CSL1,CSL2), 제1 및 제2 전원 라인들(PL1, PL2), 및 연결 라인들(CNL)을 포함할 수 있다. m 및 n은 자연수이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는 표시 패널(DP)의 장변들에 각각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표시 패널(DP)의 단변들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봤을 때,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방향(DR1)으로 표시 패널(DP)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라인들(SL1~SLm)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어 화소들(PX) 및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라인들(EL1~ELm)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PL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PL1)은 표시 영역(DA)과 발광 구동부(EDV)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영역(DA)과 주사 구동부(SDV)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 라인들(CNL)은 제1 전원 라인(PL1) 및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압이 서로 연결된 제1 전원 라인(PL1) 및 연결 라인들(CNL)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표시 패널(DP)의 장변들 및 데이터 구동부(DDV)가 배치되지 않은 표시 패널(DP)의 다른 하나의 단변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방향(DR1)으로 제2 전원 라인(PL2)이 배치된 상측은 표시 패널(DP)의 단변일 수 있다. 제2 전원 라인(PL2)은 주사 구동부(SDV) 및 발광 구동부(EDV)보다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전원 라인(PL2)은 표시 영역(DA)을 향해 연장되어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제2 전압이 제2 전원 라인(PL2)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제어 라인(CSL1)은 주사 구동부(SDV)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표시 패널(DP)의 하단(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 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제어 라인(CSL2)은 발광 구동부(EDV)에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표시 패널(DP)의 하단(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 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 사이(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들(PD)은 데이터 구동부(DDV)보다 표시 패널(DP)의 하단(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 표시 패널(DP)의 하측) 에 더 인접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 제1 전원 라인(PL1), 제2 전원 라인(PL2), 제1 제어 라인(CSL1), 및 제2 제어 라인(CSL2)은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n)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부(DDV)는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주사 구동부(SDV), 데이터 구동부(DDV), 및 발광 구동부(EDV)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제1 및 제2 전압들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압 생성부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대응하는 패드들(PD)에 연결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SDV)는 복수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주사 신호들은 주사 라인들(SL1~S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V)는 복수개의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고, 데이터 전압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DV)는 복수개의 발광 신호들을 생성하고, 발광 신호들은 발광 라인들(EL1~ELm)을 통해 화소들(PX)에 인가될 수 있다.
화소들(PX)은 주사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화소들(PX)은 발광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에 대응하는 휘도의 광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의 발광 시간은 발광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에 대해 말려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데이터 구동부(DDV)에 인접한 표시 패널(DP)의 제1 측(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하측 상에 배치된 단변)부터 말려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은 표시 패널(DP)의 제1 측에 반대하는 표시 패널(DP)의 제2 측(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상측 상에 배치된 단변)부터 말려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모듈 지지부(MSP), 복수개의 관절들(JU), 복수개의 지지부들(SUP), 및 복수개의 연결부들(C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표시 모듈(DM)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듈 지지부(MSP)는 제2 방향(DR2)보다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지지부(MS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듈 지지부(MSP)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듈 지지부(MSP)는 표시 모듈(DM)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지지부(MSP)는 지지층(SPL) 및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층(SPL)의 양측들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의 제1 및 제2 측들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제1 및 제2 측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고, 제1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지지층(SPL)의 장변들일 수 있다.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지지층(SPL)의 상면(U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모듈(DM)은 지지층(SPL)의 상면(US) 상(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상면(US)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평평한 면을 갖는 지지층(SPL)의 상면(US)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제1 및 제2 측들 각각에서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바들(SB) 각각은 지지층(SPL) 외곽에 배치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및 제2 끝단들을 가질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지지바들(S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관절들(JU)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되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관절들(JU)은 지지층(SPL)의 양측들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들(JU)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지지층(SPL)의 장변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관절들(JU)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으나, 관절들(JU) 사이의 간격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층(SPL)에서 돌출된 지지바들(SB)은 관절들(JU)에 삽입되어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절들(JU)에는 복수개의 홈들(GV)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홈들(GV)은 지지층(SPL)의 외곽으로 연장하는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을 수용할 수 있다. 홈들(GV)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절들(JU)의 내측면들(IS)에 정의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이 홈들(GV)에 삽입되어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들(SB)에 의해 모듈 지지부(MSP)가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절들(JU)은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들(CP)이 관절들(JU)에 연결되어 관절들(JU)을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부들(CP)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들(CP)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관절들(JU)의 외측면들(OS)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들(JU) 각각의 외측면(OS)은 관절들(JU) 각각의 내측면(IS)에 반대하는 면(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일 수 있다.
관절들(JU) 각각의 외측면(OS)의 상단에 결합홈(CG)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들(JU) 각각의 외측면(OS)의 하단으로부터 핀(PIN)이 돌출될 수 있다. 핀(PIN)은 관절(JU)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관절(JU)의 외측면(OS)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홈(CG) 및 핀(PIN)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웃하는 관절들(JU)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홈(CG) 및 핀(PIN)은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들(CP) 각각에는 복수개의 홀들(H) 및 복수개의 가이드홀들(GH)이 정의될 수 있다. 홀들(H)은 연결부들(CP)의 상단에 인접하고, 가이드홀들(GH)은 연결부들(CP)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홀들(GH)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절들(JU)의 결합홈들(CG) 및 연결부들(CP)의 홀들(H)에 결합핀들(CPN)이 삽입되어 연결부들(CP)이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4개의 결합핀들(CPN)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결합홈들(CG) 및 홀들(H) 모두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핀들(CPN)이 관절들(JU) 및 연결부들(CP)에 제공될 수 있다.
핀들(PIN)은 가이드홀들(GH)에 삽입되어 가이드홀들(GH)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들(CP)이 관절들(JU)에 결합되는 구성은 이하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부들(SUP)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들(SUP)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으나, 지지부들(SUP) 사이의 간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들(SUP)의 상면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들(SUP)은 관절들(JU)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곤절들(JU)의 하면은 지지부들(SUP)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들(SUP)은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관절들(JU)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부들(SUP)의 제1 및 제2 측들에 인접하여 지지부들(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들(SUP)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절들(JU)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지지부들(SUP)의 단변들로 형성되어 서로 반대하는 제1 및 제2 측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관절들(JU)은 지지부들(SUP) 중 대응하는 지지부(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은 리지드(rigid) 타입일 수 있다.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듈 지지부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듈 지지부(MSP)는 지지층(SPL) 및 지지층(SPL) 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바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 내에서 지지층(SPL)의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바들(SB) 각각의 제1 및 제2 끝단들은 제2 방향(DR2)으로 지지층(SPL)보다 더 연장하여 지지층(SPL)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에서 지지층(SPL) 내에 배치된 지지바들(SB)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으나, 지지바들(SB) 사이의 간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바들(SB)은 리지드(rigid)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들(SB)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인바(inva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SPL)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L)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실리콘(silicone),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s), 엘라스톨레핀(elastolefin), 열가소성 올레핀(Thermoplastic olefin),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테르 블록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합성 폴리이소프렌(synthetic polyisopren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크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부틸 고무(butyl rubber), 스타이렌-부타디엔(Styrene-butadiene),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epichlorohydrin rubber), 폴리아크릴 고무(polyacrylic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불소실리콘고무(fluorosilicone Rubber), 불소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s),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지지층(SPL)보다 큰 모듈러스(예를 들어, 벤딩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지지층(SPL)은 20킬로 파스칼(KPa) 내지 20메가 파스칼(M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지지바들(SB)은 1 기가 파스칼(GPa) 내지 200 기가 파스칼(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비교 실시 예에서, 지지층(SPL)이 사용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이 표시 모듈(DM)의 하면에 부착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경우, 지지바들(SB) 사이의 공간에서 표시 모듈(DM)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이 반복적으로 롤링 및 언롤링될 경우, 지지바들(SB) 사이의 공간에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부분이 늘어나 하부로 쳐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주름 형상으로서 외부에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surface quality)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다 강성(고 모듈러스)을 갖는 지지바들(SB)이 표시 모듈(DM)을 지지하고, 소정의 탄성(저 모듈러스)을 갖는 지지층(SPL)은 평평한 상면(US)을 표시 모듈(DM)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평평한 면을 갖는 지지층(SPL)의 상면(US)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지바들(SB) 사이의 공간에 중첩하는 표시 모듈(DM)의 부분이 변형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면 품위(surface quality)가 향상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에 도시된 지지바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측면도로 도시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지지바들(SB)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지지바들(SB)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b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지지바들(SB)은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b 내지 도 8d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층(SPL) 내에서 지지바들(SB) 각각의 형상은 유지되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일부 지지바들 및 일부 관절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9에서, 지지층(SPL) 상에 배치된 표시 모듈(DM)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층(SPL) 상에 표시 모듈(DM)이 배치되고, 표시 모듈(DM)은 지지층(SPL)의 상면(US)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접착제에 의해 지지층(SPL)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쌍의 관절들(JU)은 제2 방향(DR2)으로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층(SPL) 및 지지바들(SB)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된 한쌍의 관절들(J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한쌍의 관절들(JU)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은 한쌍의 관절들(JU)의 홈들(GV)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층(SPL)의 외부에 배치된 지지바들(SB)의 부분들이 홈들(GV)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은 홈들(GV)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SB)이 제2 방향(DR2)으로 배치된 한쌍의 관절들(JU)에 삽입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2개의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한쌍의 관절들(JU)에 삽입되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한쌍의 관절들(JU)에 삽입되는 지지바들(SB)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절들(JU) 각각에 적어도 2개의 홈들(GV)이 정의될 수 있다. 2개의 홈들(GV)에 2개의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삽입될 수 있다. 관절들(JU) 각각에 정의된 홈들(GV)은 관절들(JU)에 삽입되는 지지바들(SB)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2개의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제2 방향(DR2)으로 배치된 한쌍의 관절들(JU)에 정의된 홈들(GV)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SB)의 제1 및 제2 끝단들이 제2 방향(DR2)으로 배치된 한쌍의 관절들(JU)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하,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표시 모듈(DM)의 일측은 단축(SS)으로 정의되고,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표시 모듈(DM)의 일측은 장축(LS)으로 정의된다.
지지바들(SB)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므로,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의 단축(SS)에 대해 표시 모듈(DM)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들(S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표시 모듈(DM)의 장축(LS)에 대한 지지바들(SB)의 지지력이 약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SB)이 한쌍의 관절들(JU)에 연결되어 한쌍의 관절들(JU)과 함께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므로, 표시 모듈(DM)의 장축(LS)에 대한 지지력이 강해질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9에 도시된 홈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k 번째 관절(JUk)의 내측면(IS)이 도시되었으며, 2개의 지지바들(SB)의 일단들이 함께 도시되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SB)이 제1 끝단들은 k 번째 관절(JUk)의 내측면(IS)에 정의된 적어도 2개의 홈들(GV)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k는 자연수이다.
홈들(GV)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들(GV)은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홈들(GV)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홈들(GV)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들(GV)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k 번째 관절(JUk)의 내측면(IS)에 정의된 적어도 2개의 홈들(GV-1)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홈들(GB-1)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의 홈들(GB-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지지바들(SB)의 제1 끝단들은 직선 형상을 갖는 홈들(GV-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k 번째 관절(JUk)의 내측면(IS)에 단일홈(GV-2)이 정의될 수 있다. 단일홈(GV-2)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홈(GV-2)은 아래(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로 볼록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GV-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SB)의 제1 끝단들은 단일홈(GV-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부들 및 관절들 중 k 번째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k 번째 관절 및 k+1 번째 관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11a 및 도 11b에는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k 번째 연결부(CPk),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의 측면들이 도시되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k 번째 연결부(CPk)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서로 회전하도록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결합핀들(CPN)이 k 번째 연결부(CPk)에 정의된 홀들(H) 및 k 번째 관절(JUk)과 k+1 번째 관절(JUk+1)에 정의된 결합홈들(CG)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결합핀(CPN)은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나의 홀(H) 및 하나의 홀(H)에 중첩하는 k 번째 관절(JUk)과 k+1 번째 관절(JUk+1)의 결합홈(CG)으로 연장(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할 수 있다. 결합핀들(CPN)에 의해 k 번째 연결부(CPk)가 k 번째 관절(JUk)과 k+1 번째 관절(JUk+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k 번째 연결부(CPk)에 의해 k 번째 관절(JUk)과 k+1 번째 관절(JUk+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핀들(CPN)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핀들(CPN)이 배치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의 부분들은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으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k 번째 연결부(CPk)는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에 연결되고,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각각은 회전축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지점(P1)은 k 번째 관절(JUk)의 상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과 k+1 번째 관절(JUk+1)과 이웃하는 k 번째 관절(JUk)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P1)은 k 번째 관절(JUk)의 상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및 k+1 번째 관절(JUk+1)에 인접한 k 번째 관절(JUk)의 우측(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지점(P2)은 k+1 번째 관절(JUk+1)의 상단과 k 번째 관절(JUk)과 이웃하는 k+1 번째 관절(JUk+1)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점(P2)은 k+1 번째 관절(JUk+1)의 상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및 k 번째 관절(JUk)에 인접한 k+1 번째 관절(JUk+1)의 좌측(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에 인접할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은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k 번째 연결부(CPk)는 소정의 접힘 각도 범위로 접힘 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홀들(GH)을 통해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의 접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들(PIN)은 k 번째 관절(JUk)의 외측면(OS)에서 돌출된 제1 핀(PIN1) 및 k+1 번째 관절(JUk+1)의 외측면(OS)에서 돌출된 제2 핀(PIN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PIN1)은 k 번째 관절(JUk)의 하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및 k+1 번째 관절(JUk+1)과 이웃하는 k 번째 관절(JUk)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PIN1)은 k 번째 관절(JUk)의 하단 및 k+1 번째 관절(JUk+1)에 인접한 k 번째 관절(JUk)의 우측(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핀(PIN2)은 k+1 번째 관절(JUk+1)의 하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및 k 번째 관절(JUk)과 이웃하는 k+1 번째 관절(JUk+1)의 일측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핀(PIN2)은 k+1 번째 관절(JUk+1)의 하단 및 k 번째 관절(JUk)에 인접한 k+1 번째 관절(JUk+1)의 좌측(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핀들(PIN1,PIN2)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k 번째 연결부(CPk)에 정의된 가이드홀들(GH)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대칭되는 곡선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홀(GH1) 및 제2 가이드홀(G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봤을 때, 제1 가이드홀(GH1)은 k 번째 관절(JUk)에 중첩하고, 제2 가이드홀(GH2)은 k+1 번째 관절(JUk+1)에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가이드홀(GH1) 및 제2 가이드홀(GH2)은 각각 1/N원의 원주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홀(GH1)은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서 k 번째 연결부(CPk)의 좌측 상단(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을 향해 곡선을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홀(GH2)은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단(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에서 k 번째 연결부(CPk)의 우측 상단(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을 향해 곡선을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1 핀(PIN1)은 제1 가이드홀(GH1)에 삽입될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핀(PIN1)은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단에 인접한 제1 가이드홀(GH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핀(PIN2)은 제2 가이드홀(GH2)에 삽입될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핀(PIN2)은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단에 인접한 제2 가이드홀(GH2)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을 중심으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회전하여 서로 접혀질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k 번째 관절(JUk)은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k+1 번째 관절(JUk+1)은 제2 지점(P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접힘 각도 범위는 제1 및 제2 가이드홀들(GH1,GH2)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핀들(PIN1,PIN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접힘 각도 범위는 제1 및 제2 가이드홀들(GH1,GH2)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은, 제1 가이드홀(GH1)을 따라 이동하는 제1 핀(PIN1)에 의해, 제1 지점(P1)을 중심으로, 0도부터 45도로 결정된 접힘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k+1 번째 관절(JUk+1)은, 제2 가이드홀(GH2)을 따라 이동하는 제2 핀(PIN2)에 의해, 제2 지점(P2)을 중심으로, 0도부터 45도로 결정된 접힘 각도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핀들(PIN1,PIN2)의 이동에 따라,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은 각각 최대 45도까지 최대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핀들(PIN1,PIN2)이 제1 및 제2 가이드홀들(GH1,GH2)의 상단들까지 이동할 경우,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접힘 각도(θc)가 최대일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접힘 각도(θc)는 최대 90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최대 접힘 각도가 90도로 설정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이드홀들(GH1,GH2)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곡선 형상보다 작은 길이의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보다 덜 회전하므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최대 접힘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홀들(GH1,GH2)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곡선 형상보다 긴 길이의 곡선 형상을 가질수 있다. 이러한 경우,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보다 더 회전하므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 사이의 최대 접힘 각도는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이 펼쳐졌을 때, k 번째 연결부(CPk)의 하단에 인접한 제1 가이드홀(GH1)의 끝단 및 제2 가이드홀(GH2)의 끝단에 제1 핀(PIN1) 및 제2 핀(PIN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k 번째 관절(JUk) 및 k+1 번째 관절(JUk+1)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k 번째 관절(JUk)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k+1 번째 관절(JUk+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표시 모듈 및 모듈 지지부가 관절들 및 지지부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6, 도 9, 도 11a, 및 도 11b가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6,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이 모듈 지지부(MSP)의 상면(US)에 부착되고, 지지바들(SB)의 양단들이 홈들(GV)에 삽입되어 모듈 지지부(MSP)가 관절들(JU)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들(SUP) 상(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직접 배치됨)에 지지층(SPL)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SPL) 및 표시 모듈(DM)은 지지부들(SUP) 및 관절들(JU) 사이에 정의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관절들(JU) 사이의 공간(예를 들어, 제2 방향(DR2)으로) 내에서 지지층(SPL) 및 지지 모듈(DM)은 지지부들(SUP) 상(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상면의 높이는 관절들(JU)의 상면들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모듈(DM)의 상면의 높이는 관절들(JU)의 상면들의 높이와 같을 수도 있다.
지지부들(SUP)에 의해 지지층(SPL)의 하부(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지지바들(SB), 및 표시 모듈(DM)의 하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들(SUP) 및 관절들(JU)은 지지층(SPL), 지지바들(SB), 및 표시 모듈(DM)을 수용하는 케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부들(CP)에 의해 서로 결합된 관절들(JU)이 회전하면서, 모듈 지지부(MSP) 및 표시 모듈(DM)이 말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13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관절들이 회전하여 모듈 지지부 및 표시 모듈이 말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관절들(JU), 모듈 지지부(MSP), 및 표시 모듈(DM)이 말려진 상태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도 13에서 연결부들(CP)은 생략되었다.
도 13을 참조하면, 관절들(JU)이 제1 및 제2 지점들(P1,P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관절들(JU)이 말려질 수 있다.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이 말려지면서, 모듈 지지부(MSP) 및 표시 모듈(DM)이 말려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말려지고, 표시 모듈(DM)의 전면(D-F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전면(D-FS)은 영상(IM)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말려진 상태로 사용자는 표시 장치(DD)를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관절들(JU)을 펼침으로써, 표시 모듈(DM)을 펼치고, 표시 모듈(DM)의 전면(D-FS)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의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홈들에 배치된 지지바들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13이 함께 설명될 것이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14a, 및 도 14b에서 모듈 지지부(MSP) 및 표시 모듈(DM)이 관절들(JU) 및 지지바들(SB)과 함께 도시되었으며 연결부들(CP)은 생략되었다. 도 14c에는 어느 하나의 관절(JU)에 삽입된 2개의 지지바들(SB)이 도시되었다.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지지바들(SB)은 홈들(GV)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관절들(JU)이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히면서,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말려질 수 있다.
비교 실시 예에서, 지지바들(SB)이 이동되지 않도록 관절들(JU)에 고정된다면, 관절들(JU)이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힐 때, 보다 외곽에 배치된 모듈 지지부(MSP)가 당겨져서, 모듈 지지부(MSP)에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지지층(SPL)에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관절들(JU)이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힐 때, 지지바들(SB)이 홈들(GV)을 따라 이동하므로, 모듈 지지부(MSP)의 인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바들(SB)은, 표시 모듈(DM) 및 지지층(SPL)을 펼치기 위해 관절들(JU)이 펼쳐졌을 때, 홈들(GV)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 및 지지층(SPL)이 말려지기 위해, 관절들(JU)이 회전하여 소정의 최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힐 때,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중심부에서 홈들(GV)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중심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지지바들(SB)의 위치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다양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관절들(JU)이 펼쳐졌을 때,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관절들(JU)이 접힐 때,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중심부에서 홈들(GV)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홈들(GV)이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지지바들(SB)은 홈들(GV)의 하단에서 홈들(GV)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된 홈들(GV)의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홈들(GV)이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지지바들(SB)은 좌우 및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들(SB)의 이동도가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홈들(GV)에 의해 지지바들(SB)의 이동도가 높아짐으로써,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말려지는 롤링 동작 시, 모듈 지지부(MSP)의 인장력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6에 도시된 표시 모듈, 모듈 지지부, 관절들, 및 지지부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1)는 하우징(HS), 하우징(HS) 내에 수용된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에 연결된 손잡이(HND), 및 표시 모듈(DM)의 양측들에 인접한 확장부(EXP)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하우징(HS)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우징(HS)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장변들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하우징(HS)의 제1 및 제2 측들 중 제1 측에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하우징(HS)의 상부보다 하우징(HS)의 하부에 인접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 내에 배치된 롤러에 권취되어 개구부(OP)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이 롤러에 권취되는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표시 모듈(DM)은 개구부(OP)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손잡이(HND)는 하우징(HS)의 외측에 배치되어 개구부(OP)에 인접할 수 있다. 손잡이(HND)는 하우징(HS)의 하부(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에 인접할 수 있다. 손잡이(HND)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HND)가 하우징(HS)과 멀어지도록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표시 모듈(DM)은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손잡이(HND)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확장부(EXP)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표시 모듈(DM)의 제1 및 제2 측들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확장부(EXP)는 표시 모듈(DM)의 제1 측에 인접한 제1 확장부(EXP1) 및 표시 모듈(DM)의 제2 측에 인접한 제2 확장부(EXP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내부에 수용된 상태는 닫힘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된 상태는 확장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닫힘 모드에서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17에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관절들(JU)의 외측면들(OS) 및 연결부들(CP)의 측면들이 도시되었다. 또한, 관절들(JU)이 배치된 확장부(EXP)의 부분을 도시하기 위해 확장부(EXP)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12 및 도 15가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12,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1)는 롤러(ROL), 표시 모듈(DM), 모듈 지지부(MSP), 관절들(JU), 지지부들(SUP), 및 연결부들(CP)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ROL), 표시 모듈(DM), 모듈 지지부(MSP), 관절들(JU), 지지부들(SUP), 및 연결부들(CP)은 하우징(HS)에 수용될 수 있다.
관절들(JU)의 외측면들(OS) 및 연결부들(CP)의 측면들이 도시되어,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도 17에 보이지 않으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들(JU) 내측으로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ROL)는 하우징(HS) 내에 배치되고, 개구부(OP)가 정의된 하우징(HS)의 제1 측의 반대측(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인 하우징(HS)의 제2 측에 인접할 수 있다. 롤러(ROL)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ROL)는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DD-1)는 롤러(ROL)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절들(JU) 중 최일측에 배치된 관절(JU)은 롤러(ROL)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L) 상에 롤러(ROL)를 향하는 제1 방향(DR1)으로 가정 멀리 배치된 한쌍의 관절들(JU)이 롤러(ROL)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제1 측 및 모듈 지지부(MSP)의 제1 측도 최일측에 배치된 관절(JU)과 함께 롤러(ROL)에 연결될 수 있다. 관절들(JU),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는 롤러(ROL)에 권취 또는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관절들(JU)의 일부, 표시 모듈(DM)의 일부, 및 모듈 지지부(MSP)의 일부가 롤러(ROL)에 권취될 수 있다. 관절들(JU)의 다른 일부, 표시 모듈(DM)의 다른 일부, 및 모듈 지지부(MSP)의 다른 일부(권취되지 않은 부분)는 롤러(ROL)에 권취되지 않고 확장부(EXP)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제2 측, 모듈 지지부(MSP)의 제2 측, 및 표시 모듈(DM)의 제2 측에 인접한 최타측 관절(JU)은 손잡이(HND)에 연결되고, 개구부(OP)에 인접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확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I-I'선의 제1 서브 연장부들의 단면에, 표시 모듈, 모듈 지지부, 관절, 및 연결부의 단면들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확장부(EX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된 제1 확장부(EXP1) 및 제2 확장부(EX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장부(EXP1)의 내측면 및 제2 확장부(EXP2)의 내측면에 가이드홈들(GG)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들(JU), 지지부들(SUP)의 양측들, 및 연결부들(CP)이 가이드홈들(GG)에 배치될 수 있다. 관절들(JU)에 지지바들(SB)이 연결되므로, 모듈 지지부(MSP)의 양측들은 제1 확장부(EXP1) 및 제2 확장부(EXP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은 가이드홈들(GG)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지지부(MSP) 및 표시 모듈(DM)도 관절들(JU)과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확장부들(EXP1,EXP2) 각각은 하우징(HS) 외부로 확장되기 위해 제1 서브 확장부(SEP1), 제2 서브 확장부(SEP2), 및 제3 서브 확장부(SE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확장부(SEP2)는 제1 서브 확장부(SEP1)와 제3 서브 확장부(SEP3) 사이(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에 배치될 수 있다.
망원경 구조를 같기 위해, 제2 서브 확장부(SEP2)는 제1 서브 확장부(SEP1)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고, 제3 서브 확장부(SEP3)는 제2 서브 확장부(SEP2)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제3 서브 확장부(SEP3)는 손잡이(HND)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홈들(GG)은 제1, 제2, 및 제3 서브 확장부들(SEP1,SEP2 SEP3) 각각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서브 확장부들(SEP1,SEP2 SEP3)에 정의된 가이드홈들(GG)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중첩하는 연속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확장부들(EXP1,EXP2)의 제1 서브 확장부들(SEP1)은 하우징(HS)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확장부들(SEP1)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는 하우징(HS)의 내측면들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확장 모드에서, 제1 서브 확장부들(SEP1)은 하우징(HS) 내에 배치되고, 제2 및 제3 서브 확장부들(SEP2,SEP3)은 하우징(HS) 외부(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확장 모드에서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12 및 도 16이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12, 도 16, 및 도 20을 참조하면, 앞서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0에서도, 관절들(JU)의 외측면들(OS) 및 연결부들(CP)의 측면들이 도시되어,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들(JU) 내측으로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HND)는 하우징(HS)과 멀어지도록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손잡이(HND)에 연결된 표시 모듈(DM) 및 모듈 지지부(MSP)는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도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제2 서브 확장부(SEP2)는 제1 서브 확장부(SEP1)에 인출되고, 제3 서브 확장부(SEP3)는 제2 서브 확장부(SEP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표시 모듈(DM), 모듈 지지부(MSP),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은 롤러(ROL)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의 일부, 모듈 지지부(MSP)의 일부, 관절들(JU)의 일부, 및 지지부들(SUP)의 일부는 개구부(OP)를 통해 하우징(HS) 외부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3의 표시 모듈(DM)의 전면(D-FS)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표시 모듈(DM)을 통해 영상(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손잡이(HND)가 하우징(HS)과 가까워지도록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경우,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HND)는 하우징(HS)의 외측에서 개구부(OP)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HND)의 이동에 따라, 표시 모듈(DM), 모듈 지지부(MSP), 관절들(JU), 및 지지부들(SUP)은 하우징(HS) 내로 인입되어 롤러(ROL)에 권취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표시 모듈이 펼쳐졌을 때, 표시 모듈의 평탄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제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20)

  1.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층의 외부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층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끝단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은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에 홈이 정의되고,
    상기 홈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층이 말려지거나 펼쳐질 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관절쌍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관절쌍은 상기 지지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관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및 제2 관절들의 내측면에 정의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 및 상기 지지층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의 제1 및 제2 측에 인접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 및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관절 사이에 정의된 공간에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복수개의 관절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표시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절을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k 번째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k 번째 관절 및 k+1 번째 관절을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시키고, 상기 k 번째 관절 및 상기 k+1 번째 관절의 접힘 각도를 소정의 접힘 각도 범위로 제한하며, k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k 번째 연결부는, 상기 k 번째 관절의 상단과 상기 k+1 번째 관절과 이웃하는 상기 k 번째 관절의 제1 측에 인접한 제1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k 번째 연결부는 상기 k 번째 관절의 상기 제1 측에 인접한 상기 k+1 번째 관절의 제1 측과 상기 k+1 번째 관절의 상단에 인접한 제2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k 및 k+1 번째 관절들은 상기 제1 및 제2 지점들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k 번째 관절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제1 핀; 및
    상기 k+1 번째 관절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제2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k 번째 연결부에는 제1 가이드 홀 및 제2 가이드 홀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핀은 제1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 핀은 제2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홀 및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서로 대칭되는 곡선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홈들이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홈들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는 표시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곡선 및 직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 각각에는 단일 홈이 정의되고,
    상기 단일 홈에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의 상기 제1 및 제2 끝단 중 적어도 두 개가 삽입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는 상기 지지층보다 큰 모듈러스를 갖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이 권취 및 귄출되는 롤러; 및
    상기 표시 모듈, 상기 지지층,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 상기 복수개의 관절, 및 상기 롤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은 상기 롤러로부터 권출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표시 장치.
  18.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제1 및 제2 측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층의 상기 제1 및 제2 측을 따라 배열되어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 중 적어도 2개의 지지바들은 상기 복수개의 관절 중 k 번째 관절에 정의된 홈에 삽입되고, k는 자연수인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절 및 상기 지지층 아래에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 및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말려지는 표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지지층이 말려지거나 펼쳐질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들은 상기 복수개의 관절의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표시 장치.
PCT/KR2021/018834 2021-01-25 2021-12-13 표시 장치 WO20221587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75895.3A CN116420126A (zh) 2021-01-25 2021-12-13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64 2021-01-25
KR1020210010164A KR20220108244A (ko) 2021-01-25 2021-01-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716A1 true WO2022158716A1 (ko) 2022-07-28

Family

ID=8249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834 WO2022158716A1 (ko) 2021-01-25 2021-12-1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38626A1 (ko)
KR (1) KR20220108244A (ko)
CN (1) CN116420126A (ko)
WO (1) WO202215871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530A (ko) * 2015-04-09 201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90101605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79616A1 (en) * 2018-03-21 2019-09-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1477116A (zh) * 2020-06-06 2020-07-31 李萌 柔性化折叠边、支撑组件及显示装置
KR20200094763A (ko) * 2018-02-01 2020-08-07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12B1 (ko) * 2017-07-2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57401B1 (ko) * 2018-08-20 202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8319A (ko) * 2019-05-03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69182A (ko) * 2019-12-02 2021-06-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530A (ko) * 2015-04-09 2019-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200094763A (ko) * 2018-02-01 2020-08-07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KR20190101605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79616A1 (en) * 2018-03-21 2019-09-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1477116A (zh) * 2020-06-06 2020-07-31 李萌 柔性化折叠边、支撑组件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244A (ko) 2022-08-03
CN116420126A (zh) 2023-07-11
US20220238626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57786A1 (ko) 표시 장치
WO2018044033A1 (en) Display device
WO2018044031A1 (en) Display device
WO2021221180A1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10694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WO2013129846A1 (en) Display device
WO201714211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09501A1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3782191A1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212304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camera
WO2022124712A1 (ko) 표시 장치
WO202102956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22005124A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44979A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243A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33364A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054923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9132194A1 (en) Display device
WO2021177697A1 (ko) 디스플레이의 주름 방지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2173101A1 (ko) 표시 장치
WO2022158716A1 (ko) 표시 장치
WO2020218674A1 (ko) 표시 장치
WO2022265313A1 (ko) 표시장치 제조 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1066256A1 (ko) 표시 장치
WO2022030830A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1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21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