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763A -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763A
KR20200094763A KR1020207018675A KR20207018675A KR20200094763A KR 20200094763 A KR20200094763 A KR 20200094763A KR 1020207018675 A KR1020207018675 A KR 1020207018675A KR 20207018675 A KR20207018675 A KR 20207018675A KR 20200094763 A KR20200094763 A KR 2020009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lexible screen
hinge
plat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042B1 (ko
Inventor
샤오제 리우
차이친 주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를 제공하며, 상기 힌지는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 우측 지지판, 좌측 지지 프레임, 우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을 포함하며; 중간 지지판은 승강이 가능한 판이고, 그 위치는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대응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은 하강 후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바닥부로 내려가며; 중간 지지판은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에 연결되지 않고, 힌지가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되는 전반 과정에서, 중간 지지판의 하강 거리는 후반 과정의 하강 거리보다 크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스크린이 내측에 구비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을 때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공간을 신속하게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힌지가 닫힌 후 중앙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힌지와 관련된다.
플렉서블 스크린은 새로운 스크린이다.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기계적 구조를 위해 현재 해결해야 할 것은, 플렉서블 스크린이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가 닫힐 때 플렉서블 스크린이 일정한 벤딩 특성에 적응하도록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플렉서블 스크린이 내측에 구비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접을 때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공간을 신속하게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한다.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는,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 우측 지지판, 좌측 지지 프레임, 우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을 포함하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단부는 동기화 기구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을 동기적으로 역회전하게 하고;
중간 지지판은 승강이 가능한 판이고, 그 위치는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대응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은 하강 후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바닥부로 내려가며; 중간 지지판은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과 중간 지지판 사이 및 상기 우측 지지 프레임과 중간 지지판 사이에는 각각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회전은 상기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를 통해 중간 지지판이 상응하는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하며, 또한 힌지가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되는 전반 과정에서, 중간 지지판의 하강 거리는 후반 과정의 하강 거리보다 크며;
상기 좌측 지지판은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우측 지지판은 우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힌지가 평탄 상태일 때 플렉서블 스크린의 중앙 지지면을 형성하고, 힌지가 접힌 후에는 구부러지는 형상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는 가이드 구동 홈 및 가이드 구동 홈과 협력하는 핀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신축 가능한 조립체이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의 회전 중심과 외측 단부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힌지의 평탄 및 접힘 과정 동안 가변적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단부의 회전 중심은 각각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상부의 플렉서블 스크린 위치 높이에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각각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 및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과 연결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의 일단은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연결판의 일단은 각각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플렉시블 스크린 지지판과 연결판 사이에는 스프링 기구가 연결되어, 힌지의 평탄에서 접힘 과정의 초기 단계 및 접힘에서 평탄 과정의 초기 단계가 스프링의 에너지 저장 단계가 되게 하며, 또한, 그 후의 단계에서 스프링은 에너지 저장에서 위치 에너지 해제로 전환되어 힌지가 에너지 해제 단계에서 자동으로 열리거나 접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힌지는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단부에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가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양단부는 각각 연결 구조를 통해 대응되는 단부의 동기화 기구의 외부 캡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는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 구조에 자리를 내주는 양보 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 문제는 전술한 힌지를 사용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사용한다: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술한 어느 하나의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힌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채택으로 인해, 본 발명의 구조는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지지하고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을 닫을 때의 벤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더 큰 공간을 제공하고, 힌지를 닫은 후 중앙 부분이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평탄 상태에서 닫힘의 초기 단계에서, 중간 지지판은 신속하게 하강하여 신속하게 회피 공간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을 회피시켜, 압출에 의해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힌지가 휴대 전화, 전자 책,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때, 힌지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플렉서블 스크린의 지지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 전화 및 컴퓨터가 열리고 닫힐 때, 플렉서블 스크린은 자유롭게 펼쳐지고 구부러질 수 있어, 플렉서블 스크린을 휴대 전화, 전자 책 및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는 작은 체적으로 대형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힌지의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2a 및 2b는 각각 열린 평탄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힌지가 적용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도 및 중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3b는 각각 접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힌지가 적용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도 및 중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4b는 각각 열린 평탄한 상태 및 접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힌지가 적용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각각 도 4-1 A 부분 및 도 4-2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열린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까지 본 발명의 힌지가 적용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중간 지지판의 하강 거리를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열린 평탄 상태에서 반 열린 상태까지 본 발명의 힌지가 적용된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중간 지지판의 하강 거리를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동기화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좌측 지지판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좌측 지지판, 우측 지지판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조합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열린 평탄 상태에서 반 열린 상태로 그리고 다시 접힌 상태 까지의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힌지의 단면도로서,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팽창 및 수축 변화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 부분의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 부분의 확대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는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3), 우측 지지판, 좌측 지지 프레임(100), 우측 지지 프레임(200)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는 동기화 기구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을 동기적으로 역회전할 수 있게 하고,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회전 속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동기화 기구는 기어 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기어 기구는 순차적으로 맞물리는 기어(41, 42, 43, 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41)의 축(410) 및 기어(44)의 축(440)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고, 기어(41, 44)는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는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의 외측에 장착 캡(40)이 구비되고, 기어(41, 42, 43, 44)는 장착 캡(40) 내에 장착되고,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의 양단부는 각각 포지셔닝 핀(301)을 통해 대응되는 단부의 장착 캡(40)에 연결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에는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포지셔닝 핀(301)에 자리를 내주는 양보 홀(101, 201)이 구비된다.
기어(41)의 축(410)와 기어(44)의 축(440)도 동시에 장착 캡(40)의 내측판을 관통하여, 장착 캡(40)이 자연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결과를 얻는다. 내측판과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사이에는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회전 제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제한 구조는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회전 범위 제한 블록(45, 4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 상에는 제한 블록(45, 46)과 협력하는 제한 홈(105, 205)이 구비된다. 따라서,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이 열린 평탄 상태일 때, 제한되어 회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3) 및 우측 지지판은 힌지가 평탄 상태일 때 플렉서블 스크린의 중앙 지지면을 형성하고, 힌지가 접힌 후에는 구부러지는 형상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공간(400)을 제공한다.
중간 지지판(3)은 승강이 가능한 판이고, 그 위치는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에 대응되며, 중간 지지판(3)은 하강 후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의 바닥부로 내려간다. 본 발명에서, 중간 지지판(3)은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에 연결되지 않고,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과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과의 간섭없이 빠르게 하강하여, 플렉서블 스크린(500)이 구부러지는 공간(400)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과 중간 지지판(3) 사이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과 중간 지지판(3) 사이에는 각각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가 구비되어 중간 지지판(3)에 대한 상승과 하강의 구동 및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힌지가 열려 평탄할 때, 중간 지지판(3)은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회전은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를 통해 중간 지지판이 상응하는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한다. 또한, 힌지가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되는 전반 과정에서, 즉 180 ° 열린 상태에서 90 ° 열린 상태로 되는 과정에서, 중간 지지판(3)은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의 구동 및 가이드에 의해, 그 하강 거리는 후반 과정 즉, 90 ° 열린 상태에서 접힌 상태 까지의 하강 거리보다 크다.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대칭이 된다.
상기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는 가이드 구동 홈(51) 및 가이드 구동 홈(51)과 협력하는 핀(52)을 포함하며; 가이드 구동 홈(51)은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단부에 위치하고, 핀(52)은 중간 지지판(3)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가이드 구동 홈(51)은 회전 초기에 중간 지지판(3)의 급속한 하강을 실현하기 위해 큰 압력 각도로 설계되어,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압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힌지가 평탄한 상태인 것을 기준 위치로 하여, 가이드 구동 홈(51)은 실질적으로 가파른 경사 홈이고, 또한 경사 홈의 상단은 힌지의 중간 부분에 더 가깝고, 각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경사 홈의 상단의 반경은 각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하단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힌지가 열린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될 때, 중간 지지판(3)은 전반 과정에서 하강 속도가 빠르고 또한 거리가 크게 나타나고, 후반 과정에서는 하강 속도가 느리고 거리가 짧게 나타난다. 접힘 상태에서 열린 평탄 상태가 될 때, 중간 지지판(3)은 대칭적인 운동 규칙을 나타낸다. 즉, 초기 속도는 느리고 상승 거리는 짧은 반면, 후반 과정에서는 속도가 빠르며 상승 거리가 크다.
본 실시예를 예로 들면, 180 ° 열린 평탄 상태에서 90 °로 닫히는 과정 동안, 중간 지지판(3)의 하강 높이는 2.6mm로, 총 하강 높이의 약 3/4을 차지하고, 후면 90 °에서 나머지 1/4 하강 회전을 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 빠른 하강은 공간(400)을 빠르게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을 회피하게 할 수 있어, 압착에 의해 스크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측 지지판은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3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우측 지지판(2)은 우측 지지 프레임(200)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3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신축 가능한 조립체이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의 회전 중심과 외측 단부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힌지의 평탄 및 접힘 과정 동안 가변적이다.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각각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 2) 및 연결판(10, 20)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과 연결판(1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2)과 연결판(20)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의 일단은 좌측 지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2)의 일단은 우측 지지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판(10)의 일단은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판(20)의 일단은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판(10) 및 연결판(20)의 개수는 2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11, 21은 연결판(10)과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의 회전축, 연결판(20)과 중앙 U 자형 하우징(300)의 회전축이다. 좌측 지지판의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 및 우측 지지판의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2)의 회전 중심(12, 22)은 각각 가상 중심인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상부의 플렉서블 스크린 위치 높이에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는 각각 원호 홈(102, 202)이 구비되며, 원호 홈의 중심은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 외측의 상부에 있으며,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 및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2)에는 각각 원호 홈(102, 202)과 협력하는 가이드 키(13, 23)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렉서블 스크린(500)은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 2)에 점착되므로,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 2)이 회전할 때, 플렉서블 스크린은 신장되거나 압축되기 어렵고, 플렉서블 스크린의 사용 수명이 개선된다.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1)과 연결판(10) 사이 및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2)과 연결판(20) 사이에는 스프링 기구가 연결되어, 힌지의 평탄에서 접힘 과정의 초기 단계 및 접힘에서 평탄 과정의 초기 단계가 스프링의 에너지 저장 단계가 되게 하며, 또한, 그 후의 단계에서 스프링은 에너지 저장에서 위치 에너지 해제로 전환되어 힌지가 에너지 해제 단계에서 자동으로 열리거나 접히게 하여,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에 반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하게 하거나, 또는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질 때의 탄성력을 상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 기구는 토션 스프링(6)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2 개의 스프링 프레임과 연결되고, 2 개의 스프링 프레임은 각각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 및 연결판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6)의 양단부는 각각 연결편을 통해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 및 연결판에 회전 연결된다. 토션 스프링(6)의 양단은 링 형상 또는 개방 링 형상이며, 상기 연결편은 리벳(60)을 사용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6)은 C 형, 물결 형, W 형 등일 수 있다.
그림 12, 13 및 14를 참조한다. 힌지는 상술한 반자동 힌지가 아닐 수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에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힌지의 조작감을 제공하고 언제든지 정지 및 위치 결정을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구조는 회전하지 않는 캠 부재(7)를 포함하고, 캠 부재(7)의 내측면에 좌측 지지 프레임(100)을 위한 좌측 캠면(71)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을 위한 우측 캠면(72)이 구비된다.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 외표면에는 좌측 캠면(71) 및 우측 캠면(72)과 협력하는 캠면(104, 204)이 구비된다. 제1 기어축(410) 및 제4 기어축(440)는 각각 캠 부재(7)를 관통하여, 캠 부재(7)가 회전하지 않고 위치되도록 하며, 캠 부재(7)와 기어 박스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8)이 구비되고, 좌측 및 우측의 디스크 스프링(8)은 각각 제1 기어축(410) 및 제4 기어축(440) 상에 슬리브되어, 좌측 캠면(71)과 캠면(104)을 가압하고, 우측 캠면(72)과 캠면(204)을 가압하여, 양자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여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좌측 캠면(71)과 캠면(104)의 협력 및 우측 캠면(72)과 캠면(204)의 협력은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한 상태에서 접는 과정까지의 초기 단계와 종료 단계는 경사면 협력(73)이고(디스크 스프링에 대한 압축 및 해제가 발생됨), 나머지 주요 부분은 평면 협력(74)이다(디스크 스프링에 대한 압축 및 해제가 없음). 이러한 방식으로, 접힌 상태에서 열리거나 평탄한 상태에서 접히는 초기 단계에서의 자동 리셋 기능(즉, 그 상태에서 자동 잠금 기능)을 힌지에 제공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종료 단계에서 자동 위치 도착 기능(즉, 그 상태에서 자동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마찰 구조에 추가하여,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는 비틀림 구조를 채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튜브 형태로 축을 감싸서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는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이들은 전체 장치에서 회전 각도 범위가 가장 큰 부품이므로 이러한 방식은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감도를 높이고 작동 느낌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는 상대 회전 및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다른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 번호는 실시예 1의 도면과 동일하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기 힌지를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휴대 전화를 예로 들면, 플렉서블 스크린(500)은 힌지의 내측과 플렉서블 스크린의 좌측 메인 지지판(601) 및 우측 메인 지지판(602) 내측에 구비되고, 좌측 지지 프레임(100) 및 우측 지지 프레임(200)은 각각 모바일 단말기의 플렉서블 스크린의 좌측 메인 지지판(601) 및 우측 메인 지지판(602)과 통합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변경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 2: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 3: 중간 지지판, 6: 토션 스프링, 7: 캠부재, 8: 디스크 스프링, 10, 20: 연결판, 40: 장착 캡, 60: 리벳, 11, 21: 회전축, 13, 23: 가이드 키, 41, 42, 43, 44: 기어, 45, 46: 제한 블록, 51: 가이드 구동 홈, 52: 핀, 71, 72: 캠면, 100: 좌측 지지 프레임, 200: 우측 지지 프레임, 300: 중앙 U 자형 하우징, 400: 공간, 500: 플렉서블 스크린, 101, 201: 양보 홀, 102, 202: 원호 홈, 104, 204: 캠면, 105, 205: 제한 홈, 301: 포지셔닝 핀, 410, 440: 기어 축.

Claims (9)

  1.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 우측 지지판, 좌측 지지 프레임, 우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을 포함하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단부는 동기화 기구에 연결되어,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을 동기적으로 역회전하게 하고;
    중간 지지판은 승강이 가능한 판이고, 그 위치는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대응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은 하강 후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바닥부로 내려가며; 중간 지지판은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과 중간 지지판 사이 및 상기 우측 지지 프레임과 중간 지지판 사이에는 각각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회전은 상기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를 통해 중간 지지판이 상응하는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하게 하며, 또한 힌지가 평탄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되는 전반 과정에서, 중간 지지판의 하강 거리는 후반 과정의 하강 거리보다 크며;
    상기 좌측 지지판은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우측 지지판은 우측 지지 프레임 및 중앙 U 자형 하우징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측 지지판, 중간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힌지가 평탄 상태일 때 플렉서블 스크린의 중앙 지지면을 형성하고, 힌지가 접힌 후에는 구부러지는 형상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스크린이 구부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가이드 구동 기구 및 우측 가이드 구동 기구는 가이드 구동 홈 및 가이드 구동 홈과 협력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신축 가능한 조립체이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는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내측 단부의 회전 중심과 외측 단부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힌지의 평탄 및 접힘 과정 동안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외측 단부의 회전 중심은 각각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상부의 플렉서블 스크린 위치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은 각각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 및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과 연결판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판의 일단은 각각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연결판의 일단은 각각 중앙 U 자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 및 우측 지지판의 플렉시블 스크린 지지판과 연결판 사이에는 스프링 기구가 연결되어, 힌지의 평탄에서 접힘 과정의 초기 단계 및 접힘에서 평탄 과정의 초기 단계가 스프링의 에너지 저장 단계가 되게 하며, 또한, 그 후의 단계에서 스프링은 에너지 저장에서 위치 에너지 해제로 전환되어 힌지가 에너지 해제 단계에서 자동으로 열리거나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의 내측 단부에 언제든지 회전을 정지하고 언제든지 위치를 결정하는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U 자형 하우징의 양단부는 각각 연결 구조를 통해 대응되는 단부의 동기화 기구의 외부 캡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에는 좌측 지지 프레임 및 우측 지지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 구조에 자리를 내주는 양보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렉서블 스크린은 상기 힌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KR1020207018675A 2018-02-01 2019-01-31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KR102311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01720.5A CN108322567B (zh) 2018-02-01 2018-02-01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01810101720.5 2018-02-01
PCT/CN2019/074081 WO2019149238A1 (zh) 2018-02-01 2019-01-31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763A true KR20200094763A (ko) 2020-08-07
KR102311042B1 KR102311042B1 (ko) 2021-10-07

Family

ID=6288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75A KR102311042B1 (ko) 2018-02-01 2019-01-31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32402B2 (ko)
JP (1) JP6953104B2 (ko)
KR (1) KR102311042B1 (ko)
CN (1) CN108322567B (ko)
WO (1) WO2019149238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16A1 (ko) * 2021-01-25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3033335A1 (ko) * 2021-09-01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3439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파인엠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5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7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6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40008417A (ko) * 2021-06-29 2024-01-18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2567B (zh) 2018-02-01 2019-11-0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08705766U (zh) * 2018-08-14 2019-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终端
CN209724948U (zh) * 2018-12-12 2019-12-03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CN111343303A (zh) 2018-12-19 2020-06-2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外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外柔性屏移动终端
CN111416890A (zh) * 2019-01-04 2020-07-1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111435954A (zh) * 2019-01-15 2020-07-2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JP7223402B2 (ja) * 2019-02-06 2023-02-1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111583787B (zh) 2019-02-19 2022-04-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1613131B (zh) 2019-02-25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转动装置、壳体及电子装置
CN109973514B (zh) * 2019-03-04 2021-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链节、铰链以及移动终端
CN111696432B (zh) * 2019-03-11 2022-05-2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折叠机构及折叠显示装置
CN111692196B (zh) 2019-03-15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KR20200138948A (ko) * 2019-06-03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힌지 구조물
CN112153174A (zh) * 2019-06-26 2020-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CN110273916A (zh) * 2019-07-12 2019-09-24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基于两轴转五轴的柔性屏外折同步转动机构
CN110259816A (zh) * 2019-07-16 2019-09-20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满足柔性屏外折的单轴式铰链组合机构
CN112243053A (zh) * 2019-07-17 2021-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CN110410413B (zh) * 2019-08-23 2024-05-14 东莞市环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折叠铰链
CN112524142B (zh) * 2019-09-19 2023-07-21 富世达股份有限公司 软性显示屏幕的折收转轴结构
CN110958337B (zh) * 2019-11-30 2021-08-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折叠屏的转轴机构、折叠屏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CN112995368B (zh) 2019-12-13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铰链和移动终端
CN113883156A (zh) 2020-07-01 2022-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EP4063674B1 (en) 2019-12-13 2024-04-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tary shaf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N113014696B (zh) * 2019-12-20 2023-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折叠终端结构
BR112022012734A2 (pt) 2019-12-27 2022-09-06 Huawei Tech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CN111240413B (zh) * 2020-01-16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250762B1 (ko) * 2020-02-06 2021-05-10 윤남호 자동힌지구조를 구비한 접이식 구조물
KR102641514B1 (ko) * 2020-02-10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416893B (zh) * 2020-03-13 2021-03-16 西安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可折叠屏幕和终端设备
CN114962433B (zh) 2020-04-30 2023-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电子设备
CN113873059B (zh) * 2020-06-30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可折叠移动终端
CN111885235B (zh) * 2020-07-25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壳体组件及可折叠电子设备
WO2022041114A1 (zh) * 2020-08-28 2022-03-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调节边框和可折叠显示装置
CN111968513B (zh) * 2020-08-28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346022B1 (ko) * 2020-09-29 2022-01-0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CN112309258B (zh) * 2020-11-02 2022-08-0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支撑结构件以及显示设备
TWI768530B (zh) 2020-11-04 2022-06-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WO2022134075A1 (zh) 2020-12-25 2022-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弯折装置及显示装置
EP4216520A4 (en) * 2021-01-05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HINGE STRUCTURE
US11909899B2 (en) * 2021-02-03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CN216162735U (zh) * 2021-02-09 2022-04-0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带升降驱动控制功能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TWI767591B (zh) * 2021-03-03 2022-06-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CN113890911B (zh) * 2021-03-17 2022-11-08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机构和移动终端
CN113067926B (zh) * 2021-03-19 2023-1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支架结构和电子设备
CN113163030B (zh) * 2021-03-19 2023-05-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支架结构和电子设备
CN113067922B (zh) * 2021-03-19 2023-1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支架结构和电子设备
CN113176812B (zh) * 2021-04-15 2024-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315860A (zh) * 2021-06-11 2021-08-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N113411423B (zh) * 2021-06-18 2024-04-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202857B (zh) * 2021-07-05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铰链、柔性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5643324A (zh) * 2021-07-20 2023-01-24 深圳市富世达通讯有限公司 铰链
CN115388085B (zh) * 2021-08-0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和折叠装置
CN115811565A (zh) * 2021-09-16 2023-03-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终端
CN116123207A (zh) * 2021-11-12 2023-05-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铰链和电子设备
CN114263676A (zh) * 2021-12-16 2022-04-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CN115388084B (zh) * 2022-08-02 2023-1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KR20170044622A (ko) * 2014-02-21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3428774A1 (en) *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9164A (ko) * 2015-01-19 2016-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
CN105491193B (zh) * 2015-12-29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CN205510132U (zh) * 2016-02-03 2016-08-2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支撑机构及移动终端
CN206100081U (zh) * 2016-06-07 2017-04-12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5978043U (zh) * 2016-07-26 2017-02-22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具有容纳内柔性屏空间的铰链及内柔性屏移动终端
CN106601130B (zh) * 2016-12-12 2019-03-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折叠式柔性显示装置
CN107277197B (zh) * 2017-05-26 2020-09-1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铰链结构及移动终端
US10054990B1 (en) * 2017-05-31 2018-08-2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N108322567B (zh) 2018-02-01 2019-11-0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CN207977991U (zh) * 2018-02-01 2018-10-16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4622A (ko) * 2014-02-21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N205847346U (zh) * 2016-06-07 2016-12-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铰链装置及柔性屏移动终端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16A1 (ko) * 2021-01-25 2022-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40008417A (ko) * 2021-06-29 2024-01-18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힌지 및 인폴딩 플렉서블 스크린 이동 단말기
WO2023033335A1 (ko) * 2021-09-01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3439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파인엠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5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7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230053436A (ko) * 2021-10-14 2023-04-21 주식회사 이엠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폴딩식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3237A (ja) 2021-05-20
US11032402B2 (en) 2021-06-08
WO2019149238A1 (zh) 2019-08-08
US20210044682A1 (en) 2021-02-11
CN108322567B (zh) 2019-11-08
KR102311042B1 (ko) 2021-10-07
JP6953104B2 (ja) 2021-10-27
CN108322567A (zh) 201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042B1 (ko)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측으로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WO2020119498A1 (zh) 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WO2021115462A1 (zh) 一种转轴机构和电子设备
US11914433B2 (en) Hinge and mobile terminal
US11223710B2 (en) Hing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nward-foldable flexible screen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nward-foldable flexible screen
KR20200054258A (ko)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US759972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n elevating keyboard mechanism
TWI791137B (zh) 電子裝置
CN210122988U (zh) 内柔性屏移动终端的铰链及内柔性屏移动终端
CN115076218B (zh) 电子设备和折叠装置
CN101170884B (zh) 滑动组件和具有该滑动组件的便携终端
WO2018157729A1 (zh) 折叠终端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866945B1 (ko)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100973299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CN209881842U (zh) 一种用于可折叠屏产品的屏幕可折叠构造
KR100669990B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WO2024027423A1 (zh) 一种转轴机构及电子设备
CN105448566A (zh) 双跷板型支撑机构及薄型化字键
CN213418801U (zh) 一种具有门体定位功能的液压装置
KR20039901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구조체
CN209924686U (zh) 滑撑
TWI812240B (zh) 電子裝置
CN110139527B (zh) 弹出装置和具有弹出装置的终端设备
KR200411611Y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