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45B1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6945B1 KR100866945B1 KR1020080002278A KR20080002278A KR100866945B1 KR 100866945 B1 KR100866945 B1 KR 100866945B1 KR 1020080002278 A KR1020080002278 A KR 1020080002278A KR 20080002278 A KR20080002278 A KR 20080002278A KR 100866945 B1 KR100866945 B1 KR 100866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ans
- fixture
- portable terminal
- type portable
- fixed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곡선 형상의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가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은,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수단은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힌지모듈, 폐곡선, 링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곡선 형상의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가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기기, 대표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단순한 무선통신의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부가적인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들은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등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 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단말기는, 메인 보디 상에서 커버에 해당하는 서브 보디가 슬라이딩 동작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새로운 동작으로 개폐된다는 부가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식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식 휴대단말기는, 커버체(C)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0)에 샤프트(21)와, 샤프트(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10)과, 슬라이드 블록(10)과 고정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S) 한 쌍을 고정리벳(R)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슬라이드 블록(10)이 스프링(S)에 의해 상·하 반자동으로 이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21)의 상·하 양끝단 부분에 댐퍼(23)를 구성하여 고정플레이트(20)에 부착된 커버체(C)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슬라이드 블록(10)이 고정플레이트(20)의 샤프트(2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커버체(C)가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커버체(C)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중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S)은 압축상태가 되고, 최대 압축지점을 지나면 압축된 스프링(S)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10)은 자 동으로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은 호(弧) 형상을 이루어져 있고, 일단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10)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플레이트(20)에 결합되어 있다.
호(弧) 형상을 갖는 스프링(S)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스프링(S)만으로는 탄성력이 약하기 때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프링(S)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두 개의 스프링(S)을 장착할 경우 결합위치가 많아져 그에 따른 조립공정 및 시간이 두 배로 소요되고, 부품의 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S)의 양측을 리벳 결합하기 위해 원형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이 필요로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개의 스프링을 사용한 것과 같은 탄성 효과를 가지면서 조립이 용이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은,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수단은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구는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이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구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연결하는 가상선은 상기 탄성수단의 중심점을 통과한다.
상기 제1고정구 또는 제2고정구에는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성회로(FPC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성회로는 상기 탄성수단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 본체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 커버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수단은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회로는 상기 탄성수단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성회로는 상기 탄성수단의 내부 중 상기 탄성수단이 이동하지 않는 영역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폐곡선 즉 링 형상의 탄성수단을 이용하고, 상기 탄성수단의 양측을 고정구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보다 탄성력을 두배로 강화시키면서 조립은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두배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두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했고, 각각의 스프링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해야 했는바, 총 4군데를 체결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폐곡선을 이루는 링 형상의 탄성수단의 양측 즉 총 2군데를 고정하면, 두배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바, 동일한 탄성력을 필요로 할 경우 스프링을 두개 조립하는 것보다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각각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가 회전하여 상기 탄성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탄성수단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연성회로가 폐곡선을 이루는 탄성수단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수단의 이동시 연성회로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가 상기 탄성수단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하이동거리가 길어도 상기 연성회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고정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닫혔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열리는 도중의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열렸을 때의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은, 고정플레이트(20)와, 이동플레이트(160)와,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와, 탄성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키패드 등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본체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써, LCD창 등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의 커버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1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고, 이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기 커버는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1고정구(140) 및 제2고정구(150)는 리벳과 유사한 체결수단으로써, 상기 제1고정구(14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구(15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60)에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구(140) 및 제2고정구(15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및 이동플레이트(16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탄성수단(13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체로써, 상기 제1고정구(140)아 제2고정구(15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탄성수단(130)은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수단(130)을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탄성수단(130)은 상기 제1고정구(140) 및 제2고정구(150)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30)에 대한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의 결합위치는,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탄성수단(130)의 중심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위치에 결합한다.
즉, 상기 탄성수단(130)이 원형인 경우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를 연결한 가상선은 상기 탄성수단(130)의 지름과 같도록 한다.
상기 탄성수단(130)과 제1고정구(140) 및 제2고정구(150)의 결합방법은, 인서트사출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제1고정구(140) 및/또는 제2고정구(150)에 끼움공(141,151)을 형성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구(140) 및/또는 제2고정구(150)에 상기 탄성수단(130)이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끼움공(141,151)을 형성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공(141,151)은 외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공(141,151)에 외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142,152)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수단(130)은 상기 제1고정구(140) 및/또는 제2고정구(150)에 용이 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공(141,151)은 상기 끼움공(141,151)에 삽입되는 상기 탄성수단(130)의 일부분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끼움공(141,151)에 삽입되는 상기 탄성수단(130)의 일부분이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끼움공(141,151)도 곡선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탄성수단(130)이 상기 끼움공(141,151)에 용이하게 끼워지고 후에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폐곡선 즉 링 형상의 상기 탄성수단(130)을 이용하고, 상기 탄성수단(130)의 양측을 고정구(140,150)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보다 탄성력을 두배로 강화시키면서 조립은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두배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두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했고, 각각의 스프링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해야 했는바, 총 4군데를 체결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폐곡선을 이루는 링 형상의 탄성수단(130)의 양측 즉 총 2군데를 고정하면, 두 배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바, 동일한 탄성력을 필요로 할 경우 스프링을 두개 조립하는 것보다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과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6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에 상기 탄성수단(130)은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는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상기 제1고정구(14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60)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150)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 커버 및 이동플레이트(1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수단(130)은 휘어진다.
상기 탄성수단(130)이 휘어지는 것은, 상기 제2고정구(15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고정구(140)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 사이의 이격거리가 도 5에서보다 짧아져 상기 탄성수단(130)이 타원형상으로 휘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구(140)와 제2고정구(150)가 최대로 인접한 시점에서 상기 탄성수단(130)은 최대로 압축된다.
상기 제2고정구(150)가 상기 제1고정구(140)의 동일한 높이에서 약간 더 이동하면, 압축된 상기 탄성수단(1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수단(130)은 상기 제2고정구(150)를 상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구(150)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60) 및 휴대단말기 커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휴대단말기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30)은 완전히 이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60)가 하방향으로 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170)는, 상기 탄성수단(130)의 이동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탄성수단(13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도록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성회로(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수단(130)의 내부 중 상기 탄성수단(130)이 이동하지 않는 영역(S)을 통과하도록 한다.
즉,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탄성수단(130) 내부영역 중 상기 탄성수단(130)이 이동하지 않는 교집합 영역(S)에 상기 연성회로(170)를 관통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탄성수단(130)의 이동시 상기 연성회로(170)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수단(130)의 이동을 중복하여 표시한 것이고,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170)가 상기 탄성수단(13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플레이트(160)의 상하이동거리가 길어도 상기 연성회로(17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성회로(170)의 겹쳐진 중간부분은 상기 탄성수단(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수단(230)의 양측에 상기 제1고정구(240) 및 제2고정구(250)를 인서트 사출하였다.
이외 다른 구성 및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수단(330,335)을 복수개 사용한 것이다.
상기 탄성수단(330,335)을 복수개 사용할 경우, 각각의 탄성수단(330,335)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탄성수단(330,335)의 일측은 하나의 제1고정구(340)에 체결되고, 타측은 하나의 제2고정구(350)에 체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고정구(340)와 제2고정구(350)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구(340)와 제2고정구(350)에 복수개의 탄성수단(330,335)이 모두 체결되도록 한다.
이외 다른 구성 및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본 발명인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식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고정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닫혔을 때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열리는 도중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열렸을 때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의 배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고정플레이트, 130,230,330,335 : 탄성수단, 140,240,340 : 제1고정구, 141,151 : 끼움공, 142,152 : 경사면, 150,250,350 : 제2고정구, 160 : 이동플레이트, 170 : 연성회로, S : 탄성수단이 이동하지 않는 교집합 영역
Claims (7)
-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는 링 형상의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되,상기 제1고정구 또는 제2고정구에는 상기 탄성수단이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끼움공에는 외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고정플레이트와;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플레이트와;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 본체와;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 커버와;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고정구와;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고정구와;상기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수단과;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상기 탄성수단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연성회로는 링 형상의 상기 탄성수단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와 커버를 연결하며,상기 연성회로는 상기 탄성수단의 내부 중 상기 탄성수단이 이동하지 않는 영역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278A KR100866945B1 (ko) | 2008-01-08 | 2008-01-08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2278A KR100866945B1 (ko) | 2008-01-08 | 2008-01-08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0599A Division KR20090076751A (ko) | 2008-05-30 | 2008-05-30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6945B1 true KR100866945B1 (ko) | 2008-11-05 |
Family
ID=4028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2278A KR100866945B1 (ko) | 2008-01-08 | 2008-01-08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94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201B1 (ko) | 2008-01-16 | 2009-05-11 |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 휴대폰의 슬라이딩 개폐용 스프링힌지장치 |
KR100912632B1 (ko) * | 2009-03-04 | 2009-08-17 | 성명기 |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
KR100940903B1 (ko) * | 2008-12-31 | 2010-02-08 | 이신우 |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
KR20100120979A (ko) * | 2009-05-07 | 201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200457463Y1 (ko) * | 2009-08-11 | 2011-12-22 | (주)보광하이텍 |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8670A (ko) * | 2004-05-12 | 2005-11-17 | (주)지엔씨 | 스프링 압축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 |
KR20060085886A (ko) * | 2005-01-25 | 2006-07-28 | (주)케이제이 프리테크 |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
-
2008
- 2008-01-08 KR KR1020080002278A patent/KR1008669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8670A (ko) * | 2004-05-12 | 2005-11-17 | (주)지엔씨 | 스프링 압축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 |
KR20060085886A (ko) * | 2005-01-25 | 2006-07-28 | (주)케이제이 프리테크 |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6201B1 (ko) | 2008-01-16 | 2009-05-11 |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 휴대폰의 슬라이딩 개폐용 스프링힌지장치 |
KR100940903B1 (ko) * | 2008-12-31 | 2010-02-08 | 이신우 |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
KR100912632B1 (ko) * | 2009-03-04 | 2009-08-17 | 성명기 |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
KR20100120979A (ko) * | 2009-05-07 | 201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101641224B1 (ko) | 2009-05-07 | 2016-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200457463Y1 (ko) * | 2009-08-11 | 2011-12-22 | (주)보광하이텍 |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43817B2 (ja) | 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タイプ携帯端末機の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ヒンジ装置 | |
KR100685388B1 (ko) | 곡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 |
US7967346B2 (en) | Slider mechanisms for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 |
JP4020910B2 (ja) |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 |
KR100866945B1 (ko)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
US20100137041A1 (en) | Sliding rotating apparatus | |
EP2180669A1 (en) |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with built-in keybad | |
KR100661992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 |
WO2007136224A1 (en) | Hinge device for cellular phone | |
KR100844434B1 (ko) |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 |
US8134844B2 (en) | Portable terminal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 |
KR200416094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 |
KR20060058587A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 |
EP2020804A1 (en) |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 |
KR20090076751A (ko) |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 |
KR100899741B1 (ko) |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 |
KR10075126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 |
KR100862844B1 (ko) | 소정의 각도로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90104401A (ko) |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 | |
JP2010103998A (ja) | キーパッド内蔵型携帯電話機用スライドヒンジモジュール | |
KR20090047416A (ko) |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 |
KR101419692B1 (ko) |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 |
KR20100022375A (ko) |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힌지 장치 | |
KR200211427Y1 (ko) |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KR10102441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29 Effective date: 20080924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