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40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401B1
KR102657401B1 KR1020180096976A KR20180096976A KR102657401B1 KR 102657401 B1 KR102657401 B1 KR 102657401B1 KR 1020180096976 A KR1020180096976 A KR 1020180096976A KR 20180096976 A KR20180096976 A KR 20180096976A KR 102657401 B1 KR102657401 B1 KR 10265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guide member
display panel
driving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580A (ko
Inventor
김태웅
구현우
김형식
김정호
최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01B1/ko
Priority to US16/382,811 priority patent/US11140790B2/en
Priority to JP2019127157A priority patent/JP7378236B2/ja
Priority to TW108124780A priority patent/TW202015016A/zh
Priority to CN201910653475.3A priority patent/CN110853505B/zh
Priority to EP19191886.1A priority patent/EP3623897A3/en
Publication of KR2020002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딩되거나 권취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회전하는 구동부에 의해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롤링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권출할 때, 표시 패널이 평평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권출된 표시 패널의 평탄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소정의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 상기 권출된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된 표시 패널과 분리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부분을 권취하는 제3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권출된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3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고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관절 유닛,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을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는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에 정의된 가이드 홈들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홈들에 의해 지지된 지지 부재는 노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권출된 표시 패널을 보다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의 정면도들이며,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노출 영역의 가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 및 가이드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한 화소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화소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구동 유닛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구동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 부재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에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기어부의 돌기들이 개구부들에 삽입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에 연결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지지 부재에 표시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부재 및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상면 및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기능성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하면과 관절 유닛들 각각의 표면 상에 배치된 자성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이드 홈들 및 관절 유닛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제3 구동 유닛의 다양한 배치 위치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을 수용하는 케이스(C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케이스(CS)에 정의된 영상 개구부(IOP)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플렉서블 표시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표시 모듈(DM)은 영상 개구부(IOP)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정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스(CS)는 제1 케이스(CS1), 제2 케이스(CS2), 및 제3 케이스(CS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케이스(CS1)에 수용되며, 제1 케이스(CS1)에 정의된 영상 개구부(IOP)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케이스(CS1)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CS2)는 제1 케이스(CS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케이스(CS3)는 제1 케이스(CS1)의 상단에서부터 제2 케이스(CS2)의 상단으로 연장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영상 표시 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자동차, 항공기, 또는 선박의 네비게이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자동차, 항공기, 또는 선박의 네비게이션에 사용될 때, 제2 및 제3 케이스들(CS2,CS3)은 자동차, 항공기, 또는 선박의 내장재에 매립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표시 장치의 정면도들이며, 도 1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노출 영역의 가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개구부(IOP)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 모듈(DM)의 영역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개구부(IOP)의 2/3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개구부(IOP)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은 제1 케이스(CS1)의 하부에 배치된 업 버튼(UB) 및 다운 버튼(DB)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업 버튼(UB)을 조작할 때,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또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여 축소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운 버튼(DB)을 조작할 때,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또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하여 확대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기본적인 노멀 모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업 버튼(UB) 및 다운 버튼(DB)에 의해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의 소정의 부분이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해 항상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모듈(DM)이 기본적으로 영상 개구부(IOP)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운 버튼(DB)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케이스(CS1)의 영상 개구부(IOP)에는 복수 개의 기능 버튼들(BT) 및 휴대폰 거치대(CC)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자동차에 사용될 경우, 기능 버튼들(BT)은 차량 내부 온도, 에어컨, 및 음향 기기 등을 조작하기 위한 기능 버튼들일 수 있다. 휴대폰 거치대(CC)는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능 버튼들(BT) 및 휴대폰 거치대(CC)는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에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거나 표시 모듈(DM)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노출될 경우, 기능 버튼들(BT) 및 휴대폰 거치대(CC)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노출될 경우, 기능 버튼들(BT)은 표시 모듈(DM)에 가려지고 휴대폰 거치대(CC)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이 노출될 경우, 기능 버튼들(BT) 및 휴대폰 거치대(CC)는 표시 모듈(DM)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표시 모듈 및 가이드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GM)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이하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이드 부재(GM)는 표시 모듈(DM)과 지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GM)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 부재(GM3) 및 제4 가이드 부재(GM4)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능 버튼들(BT) 및 휴대폰 거치대(CC)는 생략되었다.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GM3) 및 제4 가이드 부재(GM4)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GM3)는 제1 가이드 부재(GM1)의 일단과 제2 가이드 부재(GM2)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 부재(GM1)의 일단과 제2 가이드 부재(GM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부재(GM4)는 제1 가이드 부재(GM1)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1 가이드 부재(GM1)의 타단과 제2 가이드 부재(GM2)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2 가이드 부재(GM2)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가이드 부재(GM4)는 제1 가이드 부재(GM1)의 타단과 제2 가이드 부재(GM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구동 유닛들(DU1,DU2,DU3) 및 결합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구동 유닛들(DU1,DU2,DU3)이 가이드 부재(GM)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DM)의 일단은 구동 유닛들(DU1,DU2,DU3) 중 일부 구동 유닛들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유닛들(DU1,DU2,DU3)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구동 유닛들(DU1,DU2,DU3)의 회전에 따라 표시 모듈(DM)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모듈(DM)의 노출 영역이 축소 및 확대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일단의 반대단인 표시 모듈(DM)의 타단은 결합부(CP)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CP)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가이드 부재(GM1)와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CP)는 표시 모듈(DM)의 타단에 인접한 제1 가이드 부재(GM1) 상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이동에 따라서 결합부(CP)는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윈도우(WIN), 및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표시 패널(DP)의 일부분과과 접촉하고 다른 부분과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에는 서로 접촉된 윈도우(WIN)와 표시 패널(DP)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DM)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SUB), 베이스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베이스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플렉서블 기판으로서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과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한 박막 봉지층(TFE)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해 봉지 기판(예를 들어, Encap Glass)이 사용될 수도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 상에 배치되고,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과 기판(SU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통해 기판(SUB)에 합착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합성 수지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플릿과 같은 무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부재는 유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 및 실링 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발광 소자의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도우(WIN) 및 표시 패널(DP) 사이에 터치 감지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유닛은 외부의 터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 펜 등)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한 화소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화소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연결된 i번째 화소(PXi)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등가 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1)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등가 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6 트랜지스터(T6),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i번째 화소(PXi)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7개의 트랜지스터들(T1~T7)은 N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인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7개의 트랜지스터들(T1~T7)은 P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2 트랜지스터(T2)일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와 직접 접촉하거나, 다른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번째 화소(PXi)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i-1번째 주사 신호(Si-1), i번째 주사 신호(Si), i+1번째 주사 신호(Si+1), 데이터 신호(Dk), 및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3~T7)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출력 전극과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 사이의 노드는 제1 노드(N1)로 정의되고, 제7 트랜지스터(T7)와 커패시터(Cst) 사이의 노드는 제2 노드(N2)로 정의될 수 있다. 전원 라인(PL)은 제1 전압(ELVDD)을 수신하여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압(ELVDD)을 수신하는 입력 전극, 제1 노드(N1)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제1 전압(ELVDD)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 전극은 제3 트랜지스터(T3)를 경유하여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1 노드(N1)의 전위에 대응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주사 신호(Si, 이하 i번째 주사 신호)에 의해 턴-온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 전극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주사 신호(Si)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2 트랜지스터(T2)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3 트랜지스터(T3) 사이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3 트랜지스터(T3)를 경유하여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k번째 데이터 라인(DLk)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Dk)가 커패시터(Cst)에 제공될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인가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전원 라인(PL)에 접속된 입력 전극, i-1번째 주사 신호(Si-1)를 수신하는 제어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주사 신호(Si-1)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어 전극은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i-1번째 주사 신호(Si-1)가 인가되는 신호라인은 더미 신호라인 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전원 라인(PL)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발광 라인(E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 전극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에 접속된 입력 전극, i번째 발광 라인(ELi)에 접속된 제어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i번째 발광 라인(ELi)으로부터 공급되는 i번째 발광 제어 신호(Ei)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의 동작에 따라 전원 라인(PL)과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라인(RL)에 접속된 입력 전극, i+1번째 주사 신호(Si+1)를 수신하는 제어 전극,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에 접속된 출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 전극은 i+1번째 주사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i+1번째 주사 신호(Si+1)가 인가되는 신호라인은 더미 신호라인 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면, 제1 노드(N1)는 제1 전압(ELVDD)에 의해 리셋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제2 노드(N2)는 초기화 전압(Vint)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는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될 때 초기화 전압(Vint)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초기화 전압(Vint)과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에 인가된 제2 전압(ELVSS) 사이의 전위차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발광 문턱전압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제1 트랜지스터(T1)의 구성이 설명되고, 제2 및 제6 트랜지스터들(T2,T6)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베이스 기판(SUB)의 상면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입력 전극(DE1), 제1 출력 전극(SE1), 제1 제어 전극(GE1), 및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의 상면에 버퍼층(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아연 산화물(ZnO), 인듐-아연 산화물(IZn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도체 패턴(OSP1)은 제1 영역(또는 입력 영역), 제2 영역(또는 출력 영역), 및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 상에 제1 절연층(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 상에 제1 제어 전극(GE1)이 배치되고, 제1 절연층(10) 상에 제1 제어 전극(G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2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이 제1 및 제2 절연층들(10,20)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 각각은 제1 절연층(10)과 제2 절연층(2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은 제2 절연층(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은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1 산화물 반도체 패턴(OSP1)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접속될 수 잇다.
제2 절연층(20)상에 제1 입력 전극(DE1)과 제1 출력 전극(SE1)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평탄한 상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절연층(30)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제2 트랜지스터(T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제6 트랜지스터(T6)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입력 전극(DE6)은 제2 절연층(20) 상에서 제2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SE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 상에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30)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30)을 관통하는 제7 컨택홀(CH7)을 통해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6 출력 전극(SE6)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화소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의 화소 개구부(PX_OP)는 애노드(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PX)는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평면상에서 화소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영역은 발광 영역(PXA)과 발광 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AE)의 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 있다.
화소 개구부(PX_OP)에서 애노드(AE) 상에 유기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EM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EML) 상에 캐소드(CE)가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CE)는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CE) 상에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캐소드(CE)를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막 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 구동 유닛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구동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여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제3 가이드 부재(GM3)보다 제4 가이드 부재(GM4)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동 유닛(DU3)은 제1 및 제2 구동 유닛들(DU1,DU2)보다 제4 가이드 부재(GM4)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은 제1 구동 유닛(DU1)보다 제4 가이드 부재(GM4)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은 제1 구동 유닛(DU1) 및 제3 구동 유닛(DU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회전축들(RX1,RX2,RX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유닛(DU1)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제1 회전축(R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제2 회전축(R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3 구동 유닛(DU3)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제3 회전축(RX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내측면(IS2) 각각에 가이드 홈(GG)이 정의될 수 있다. 사시도에 따라, 도 10에는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에 정의된 가이드 홈(GG)이 정의되었으나, 제2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2)에도 가이드 홈(GG)이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홈(GG)은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내측면(IS2) 각각에서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각각의 내부로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홈(GG)은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제3 가이드 부재(GM3)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GG)은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한 제1 가이드 부재(DM1)의 부분에서부터 제3 가이드 부재(GM3)에 인접한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부분까지 정의될 수 있다. 가이드 홈(GG)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 구동 유닛(DU2) 및 제3 구동 유닛(DU3)은 가이드 홈(GG)과 제4 가이드 부재(GM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유닛(RU) 및 회전축 유닛(RU)의 소정의 부분에 배치된 기어부(GAR)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유닛(RU)은 제1 회전축(RX1)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축 유닛(RU)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GAR)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 각각에 인접한 회전축 유닛(RU)의 소정의 부분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된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2,DU3)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 유닛(RU)의 지름은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에 배치된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2,DU3) 각각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제1 가이드 부재(GM1)와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DT1)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되겠으나, 표시 모듈(DM)은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2,DU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는 제1 구동 유닛(DU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가이드 부재(GM2)의 내측면(IS2)도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GG)은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 제1 곡선부(CVP1), 및 제2 곡선부(CV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곡선부(CVP1), 및 제2 곡선부(CVP2)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장부(EX1)의 일단, 제2 연장부(EX2)의 일단, 및 제3 연장부(EX3)의 일단은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한 부분들로 정의되 수 있다. 제1 연장부(EX1)의 타단은 제1 연장부(EX1)의 일단의 반대단이고, 제2 연장부(EX2)의 타단은 제2 연장부(EX2)의 일단의 반대단이고, 제3 연장부(EX3)의 타단은 제3 연장부(EX3)의 일단의 반대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제2 연장부(EX2) 및 제3 연장부(EX3) 각각의 길이는 제1 연장부(EX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제3 연장부(EX3)의 길이는 제2 연장부(EX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연장부(EX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장부(EX3)는 제1 연장부(EX1)와 제2 연장부(EX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곡선부(CVP1)는 제1 연장부(EX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연장부(EX1)의 일단에 인접한 제2 연장부(EX2)의 일단까지 곡선(curve)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제1 곡선부(CVP1)의 곡선 형상은 제2 구동 유닛(DU2)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은 제1 곡선부(CVP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는 제2 연장부(EX2)의 타단으로부터 제2 연장부(EX2)의 타단에 인접한 제3 연장부(EX3)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곡선부들(CVP1,CVP2) 각각은 반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곡선 형상을 갖는다면, 반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곡선부(CVP1)의 굴곡의 방향은 제2 곡선부(CVP2)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4에는 하나의 관절 유닛(JU)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SM)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며,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관절 유닛들(JU)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6개의 관절 유닛들(JU)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지지 부재(SM)는 이보다 많은 관절 유닛들(JU)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 하나의 관절 유닛(JU)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제2 방향(DR2)으로 관절 유닛(JU)은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1)이는 제1 거리(DT1)보다 길 수 있다. 관절 유닛(JU)의 양측들 각각에 인접한 관절 유닛(JU)의 소정의 부분은 삽입부(INP)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삽입부들(INP) 각각은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제1 길이(L1)는 제1 거리(DT1) 및 2개의 제2 길이(L2)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지지 부재(SM)의 양측들을 정의하는 관절 유닛들(JU) 각각의 양측들은 가이드 홈들(GG)에 각각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절 유닛(JU)의 삽입부들(INP)이 가이드 홈들(GG)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관절 유닛(JU)은 몸체부(BDP), 제1 돌출부(PRT1), 제2 돌출부(PRT2), 및 제3 돌출부(PRT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BDP)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돌출부(PRT1)는 제1 방향(DR1)으로 몸체부(BDP)의 일단에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PRT2)는 제1 방향(DR1)으로 몸체부(BDP)의 일단의 반대단인 몸체부(BDP)의 타단의 상단에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3 돌출부(PRT3)는 제1 방향(DR1)으로 몸체부(BDP)의 타단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될 수 있다.
h 번째 관절 유닛(JU)의 제1 돌출부(PRT1)는 h+1 번째 관절 유닛(JU)의 제2 돌출부(PRT2) 및 제3 돌출부(PRT3) 사이에 정의된 홈부(CG)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h 번째 관절 유닛(JU) 및 h+1 번째 관절 유닛(JU)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h는 자연수이다. 홈부(CG)의 입구는 홈부(CG)의 내부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몸체부(BDP)의 상면 및 하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몸체부(BDP)의 두께(TH)는 1.4 내지 1.6mm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몸체부(BDP)의 일단에서부터 제2 돌출부(PRT2)의 끝단까지의 거리(DT)는 1.8 내지 2.0mm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2 돌출부(PRT2)의 제1 폭(W1)은 제3 돌출부(PRT3)의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h+1번째 관절 유닛(JU)의 제3 돌출부(PRT3)의 끝단과 h 번째 관절 유닛(JU)의 몸체부의 하단 사이의 제1 간격(GP1)은 h+1번째 관절 유닛(JU)의 제2 돌출부(PRT2)의 끝단과 h 번째 관절 유닛(JU)의 몸체부(BDP)의 상단 사이의 제2 간격(GP2)보다 클 수 있다.
제1 간격(GP1)은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하단들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간격(GP2)은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상단들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간격(GP1)은 0.3 내지 0.8mm일 수 있다. 제2 간격(GP2)은 0mm 보다 크고 0.1m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돌출부(PRT1)는 몸체부(BDP)의 일단에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오목부(CNC) 및 오목부(CNC)에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볼록부(CNV)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오목부(CNC)의 상면 및 하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볼록부(CNV)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BDP)의 일단에서부터 멀어질수록 제1 돌출부(PRT1)의 두께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증가하고, 제1 돌출부(PRT1)의 끝단은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CG)은 오목부(CNC) 및 볼록부(CNV)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절 유닛(JU)의 양측들에 인접한 관절 유닛(JU)의 소정의 부분들에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관절 유닛(JU)의 소정의 부분들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구부들(OP)은 모든 관절 유닛들(JU)에 정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구부들(OP)은 관절 유닛들(JU) 중 일부 관절 유닛들(JU)에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몸체부(BDP)의 소정의 부분들에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제1 돌출부(PRT1)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정의될 수 있다. 즉, 개구부들(OP)은 제1 방향(DR1)으로 제1 돌출부(PRT1)의 소정의 부분들에서부터 몸체부(BDP)의 소정의 부분들까지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의 폭(OW)은 제1 방향(DR1)으로, 개구부(OP)가 정의된 몸체부(BDP)의 내측면에서부터 제1 돌출부(PRT1)의 끝단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실질적으로, 기어부(GAR)의 돌기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 부재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에 배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기어부의 돌기들이 개구부들에 삽입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SM)의 양측들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의 가이드 홈들(GG)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관절 유닛들(JU) 각각의 삽입부들(INP)이 가이드 홈들(GG)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이 가이드 홈들(GG)에 삽입되므로, 관절 유닛들(JU)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에 인접한 관절 유닛들(JU) 각각의 소정의 부분들에 정의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은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한 제1 연장부(EX1)의 소정의 부분,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 및 제1 및 제2 곡선부들(CVP1,CVP2)에 배치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배치 및 이동 상태는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유닛(DU1)의 기어부(GAR)의 돌기들은 관절 유닛들(JU) 중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의 개구부들(OP)에 삽입될 수 있다. 기어부(GAR)의 돌기들 각각의 양측들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돌기들 각각의 폭(SW)은 개구부들(OP) 각각의 폭(OW)보다 작을 수 있다. 돌기들과 개구부들(OP)의 폭들(SW,OW)은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절 유닛들(JU)이 평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하단들 사이는 제1 간격(GP1)만큼 이격되고,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상단들 사이는 제1 간격(GP1)보다 작은 제2 간격(GP2)만큼 이격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이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하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좁아지고,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상단들 사이가 제2 간격(GP2)보다 벌어지면서, 관절 유닛들(JU)이 제1 곡선부(CVP1)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이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될 때, 관절 유닛들(JU)은 제1 곡선부(CVP1)를 따라 곡선 궤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이 제2 곡선부(CVP2)에 배치될 때도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하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좁아지고,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의 상단들 사이가 제2 간격(GP2)보다 벌어지면서, 관절 유닛들(JU)이 제2 곡선부(CVP2)를 따라 곡선 궤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이 회전하고, 기어부(GAR)의 돌기들이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의 개구부들(OP)에 배치되면서 회전하여 관절 유닛들(JU)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동 유닛(DU1)은 지지 부재(SM)에 결합되어 지지 부재(SM)를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의 가이드 홈들(GG)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에 연결된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표시 패널(DP)의 일단은 제2 구동 유닛(DU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은 표시 패널(DP)을 권취(rolling) 및 권출(unrolling)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권출되어 평평한 상태로 펼쳐진 제1 부분(PT1) 및 제1 부분(PT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2 구동 유닛(DU2)에 권취된 제2 부분(PT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일단은 제2 부분(PT2)의 끝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제2 구동 유닛(DU2)에 권취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제2 구동 유닛(DU2)의 회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2 부분(PT2) 역시 제2 구동 유닛(DU2)의 회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 유닛(DU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부분(PT1)은 감소하고, 제2 부분(PT2)은 증가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이 반 시계 반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부분(PT1)은 증가하고, 제2 부분(PT2)은 감소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윈도우(WIN)의 일단은 제3 구동 유닛(DU3)에 연결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제1 부분(PT1)과 접촉하고 제2 부분(PT2)과 분리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제1 부분(PT1) 상에 배치되어 제1 부분(PT1)에 접촉된 제1 윈도우(WIN1) 및 제2 부분(PT2)과 분리되어 제3 구동 유닛(DU3)에 연결된 제2 윈도우(WIN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WIN1)는 권출된 윈도우(WIN)의 부분으로 정의되고 제2 윈도우(WIN2)는 제3 구동 유닛(DU3)에 권취된 윈도우(WIN)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윈도우(WIN2)는 제1 윈도우(WIN1)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여 제3 구동 유닛(DU3)에 권취될 수 있다. 윈도우(WIN)의 일단은 제2 윈도우(WIN2)의 끝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투명한 윈도우(WIN)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부분(PT2)은 실질적으로 케이스(CS) 내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윈도우(WIN1)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제2 윈도우(WIN2)는 실질적으로 케이스(CS) 내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윈도우(WIN1) 및 제2 윈도우(WIN2)는 제3 구동 유닛(DU3)의 회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동 유닛(DU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윈도우(WIN1)는 감소하고, 제2 윈도우(WIN2)는 증가할 수 있다. 제3 구동 유닛(DU3)이 반 시계 반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윈도우(WIN1)는 증가하고, 제2 윈도우(WIN2)는 감소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 각각의 길이는 제1 가이드 부재(GM1)와 제2 가이드 부재(GM2) 사이의 제1 거리(DT1)와 같을 수 있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지지 부재에 표시 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는 지지 부재 및 표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을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었으나, 제2 가이드 부재(GM2)의 내측면(IS2)을 바라본 단면도도 제1 가이드 부재(GM1)의 내측면(IS1)을 바라본 단면도와 동일할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은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한 제1 연장부(EX1)의 소정의 부분,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 및 제1 및 제2 곡선부들(CVP1,CVP2)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연장부(EX1)의 소정의 부분은 제2 연장부(EX2)에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CP)는 표시 패널(DP)의 일단의 반대단인 표시 패널(DP)의 타단, 윈도우(WIN)의 일단의 반대단인 윈도우(WIN)의 타단, 및 표시 패널(DP)의 타단에 중첩하는 지지 부재(SM)의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CP)는 표시 패널(DP)의 타단, 윈도우(WIN)의 타단, 및 표시 패널(DP)의 타단에 중첩하는 지지 부재(SM)의 끝단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2,DU3)에 연결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는 제3 가이드 부재(GM3)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1 부분(PT1) 및 윈도우(WIN)의 제1 윈도우(WIN1)가 제3 가이드 부재(GM3)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권출된 표시 패널(DP)의 제1 부분(PT1)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부분(PT1)의 하부에 접촉하고, 제1 부분(PT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제2 부분(PT2)과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부재(SM)는 표시 패널(DP)의 일부인 제1 부분(PT1)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절 유닛들(JU)의 삽입부들(INP)이 가이드 홈(GG)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DU1)의 기어부(GAR)의 돌기들은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의 개구부들(OP)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어부(GAR)의 돌기가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의 개구부들(OP)에 삽입되면서 회전하여 관절 유닛들(JU)을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CP)에 지지 부재(SM),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가 연결되어 있고, 관절 유닛들(JU)이 제1 구동 유닛(DU1)의 회전에 따라서 제1 연장부(EX1)를 따라 제3 가이드 부재(GM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의 노출 영역이 확대되도록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가 권출되어 이동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는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를 따라 이동하고, 제3 가이드 부재(GM3)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관절 유닛들(JU)이 이동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유닛들(JU)이 가이드 홈(GG)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가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2,DU3)에 권취되어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의 노출 영역이 축소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는 제1 가이드 부재(GM1) 및 제2 가이드 부재(GM2)를 따라 이동하고, 제3 가이드 부재(GM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의 양측들이 가이드 홈(GG)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들(GM1,GM2)에 의해 지지되므로, 관절 유닛들(JU)은 노출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권출된 표시 패널(DP)을 보다 평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 중 적어도 두 개가 제3 방향(DR3)으로 배열될 경우, 구동 유닛들을 배치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GM)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들(DU1,DU2,DU3)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므로, 가이드 부재(GM)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대로, 개구부들(OP)이 관절 유닛들(JU) 중 일부 관절 유닛들(JU)에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노멀 모드에서 표시 모듈(DM)의 일부가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은 개구부들(OP)을 포함하지 않고, 나머지 관절 유닛들(JU)은 개구부들(O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모드에서 제1 부분(PT1)은 표시 패널(D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일 수 있고, 항상 기본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PT1)은 표시 패널(D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더 이상 줄어들지 않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멀 모드에서 영상 개구부(IOP)의 1/3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된 관절 유닛들(JU)은 기어부(GAR)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구부들(OP)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상면 및 윈도우의 하면 상에 배치된 기능성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하면과 관절 유닛들 각각의 표면 상에 배치된 자성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에는 권출된 표시 패널(DP)의 소정의 부분 및 권출된 윈도우(WIN)의 소정의 부분이 도시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윈도우(WIN)는 표시 패널과 이격되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권출된 윈도우(WIN) 및 권출된 표시 패널(DP)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1에는 권출된 표시 패널(DP)의 소정의 부분 및 관절 유닛들(JU) 중 소정의 개수가 도시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절 유닛들(JU)은 표시 패널(DP)과 이격되어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유닛들(JU)은 권출된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접촉하여 표시 패널(DP)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상면 및 표시 패널(DP)의 상면과 마주보는 윈도우(WIN)의 하면 상에 기능성층(AF)이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층(AF)은 안티 핑커 기능성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능성층(AF)은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층(AF)은 표시 패널(DP)의 상면 및 윈도우(WIN)의 하면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기능성층(AF)은 수십 옹스트롱(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상면과 윈도우(WIN)의 하면에 기능성층(AF)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표시 패널(DP)의 상면 또는 윈도우(WIN)의 하면에 입자들이 흡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상면 또는 윈도우(WIN)의 하면에 흡착된 입자들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상면 및 윈도우(WIN)의 하면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 패널(DP)의 상면과 윈도우(WIN)의 하면에 배치된 기능성층(AF)에 의해, 입자들이 표시 패널(DP)의 상면 또는 윈도우(WIN)의 하면에 흡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입자들에 의한 표시 패널(DP)의 상면 및 윈도우(WIN)의 하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자성 물질(MC)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관절 유닛들(JU) 각각의 표면상에 자성 물질(MC)이 코팅될 수 있다. 자성 물질(MC)이 코팅된 층은 자성층(M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성층(MC)은 페라이트(ferrite) 또는 네오디뮴(neodymium)과 같은 희토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하면과 관절 유닛들(JU)의 표면에 배치된 자성층(MC)에 의해 발생된 인력에 따라, 표시 패널(DP)이 관절 유닛들(JU)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이 관절 유닛들(JU)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 유닛들(JU)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절 유닛들(JU)에 제공된 자성층(MC)은 생략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에 제공된 자성층(MC)이 생략되더라도,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관절 유닛들(JU)은 표시 패널(DP)의 하면 상에 배치된 자성층(MC)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이드 홈들 및 관절 유닛들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제3 구동 유닛의 다양한 배치 위치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2, 도 23, 도 27, 도 28, 및 도 29는 도 12에 대응하는 내측면도로 도시되었다. 가이드 홈들(GG_1,GG_2)의 구성, 관절 유닛들(JU_1,JU_2)의 구성, 및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 장치(DD)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도 22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가이드 홈들(GG_1,GG_2)의 구성, 관절 유닛들(JU_1,JU_2)의 구성, 및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가 주로 설명될 것이며, 표시 장치(DD)의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구동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3 구동 유닛(DU3)은 제2 곡선부(CVP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제2 구동 유닛(DU2)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3 구동 유닛(DU3)이 도 22에서 제2 곡선부(CVP2)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곡선부들(CVP1,CVP2) 및 제1 구동 유닛(DU1)은 제2 구동 유닛(DU2)과 제3 구동 유닛(DU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구동 유닛(DU3)에 연결되어 권취된 윈도우(WIN)는 가이드 홈(GG)의 제3 연장부(EX3) 하부를 지나고, 제2 구동 유닛(DU2)의 우측을 지나,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이드 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관절 유닛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4 내지 도 26에는 관절 유닛들(JU_1)의 측면들이 도시되었으며, 개구부들(OP)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23을 참조하면, 가이드 홈(GG_1)은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 제4 연장부(EX4), 제1 곡선부(CVP1), 제2 곡선부(CVP2'), 및 제3 곡선부(CV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및 제1 곡선부(CVP1)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및 제1 곡선부(CVP1)와 같을 수 있다.
제3 연장부(EX3')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연장부(EX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2 연장부(EX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는 제2 연장부(EX2)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2 연장부(EX2)의 타단으로부터 제3 연장부(EX3')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3 연장부(EX3')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의 굴곡의 방향은 제1 연장부(CVP1)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제3 연장부(EX3')의 타단은 제2 연장부(EX2)의 타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연장부(EX3)의 일단은 제3 연장부(EX3)의 타단보다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연장부(EX4)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연장부(EX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3 연장부(EX3')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곡선부(CVP3)는 제3 연장부(EX3')의 일단으로부터 제3 연장부(EX3')의 일단에 인접한 제4 연장부(EX4)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제3 곡선부(CVP3)의 굴곡의 방향은 제1 연장부(CVP1)의 굴곡의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제4 연장부(EX4)의 일단은 제4 연장부(EX4)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4 연장부(EX4)의 타단보다 제1 구동 유닛(DU1)에 인접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관절 유닛들(JU_1) 각각은 제1, 제2, 및 제3 돌출부들(PRT1,PRT2',PRT3) 및 몸체부(BD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돌출부들(PRT1,PRT3) 및 몸체부(BDP)는 관절 유닛(JU)의 제1 및 제3 돌출부들(PRT1,PRT3) 및 몸체부(BDP)와 같을 수 있다.
제2 돌출부(PRT2')는 제3 돌출부(PRT3)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h+1번째 관절 유닛(JU)의 제2 돌출부(PRT2')의 끝단과 h 번째 관절 유닛(JU)의 몸체부(BDP)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1 간격(GP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DR1)으로 제2 돌출부(PRT2')는 제3 돌출부(PRT3)와 동일한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관절 유닛들(JU_1)의 양측들이 제1 곡선부(CVP1) 및 제3 곡선부(CVP3)에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_1)의 하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좁아지고,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_1)의 상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관절 유닛들(JU_1)이 제1 곡선부(CVP1) 및 제3 곡선부(CVP3) 각각을 따라 곡선 궤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관절 유닛들(JU_1)의 양측들이 제2 곡선부(CVP2')에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_1)의 상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좁아지고, 서로 인접한 관절 유닛들(JU_1)의 하단들 사이가 제1 간격(GP1)보다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관절 유닛들(JU_1)이 제2 곡선부(CVP2')를 따라 곡선 궤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_1)이 가이드 홈(GG_1)에 배치된 구성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관절 유닛들(JU_1)은 도 12에 도시된 가이드 홈(GG)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구동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 홈(GG_1)은 실질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가이드 홈(GG_1)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구동 유닛(DU3)은 제2 곡선부(CVP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곡선부들(CVP1,CVP2',CVP3) 및 제1 구동 유닛(DU1)은 제2 구동 유닛(DU2)과 제3 구동 유닛(DU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가이드 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가이드 홈(GG_2)은 제1 연장부(EX1), 제2 연장부(EX2'), 제3 연장부(EX3''), 제1 곡선부(CVP1), 및 제2 곡선부(CV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EX1) 및 제1 곡선부(CVP1)는 도 12에 도시된 제1 연장부(EX1) 및 제1 곡선부(CVP1)와 같을 수 있다.
제2 연장부(EX2')는 제1 연장부(EX1)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제1 방향(DR1)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고 연장할 수 있다. 제3 연장부(EX3'')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1 연장부(EX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제2 연장부(EX2')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는 제2 연장부(EX2)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2 연장부(EX2)의 타단으로부터 제3 연장부(EX3'')의 일단의 반대단인 제3 연장부(EX3'')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을 갖고 연장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의 굴곡의 방향은 제1 곡선부(CVP1)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곡선부(CVP1) 및 제2 곡선부(CVP2'')에 배치되는 관절 유닛들은 도 24에 도시된 관절 유닛들(JU_1)일 수 있다. 제1 곡선부(CVP1)에 배치되는 관절 유닛들(JU_1)은 도 25에 도시된 관절 유닛들(JU_1)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제2 곡선부(CVP2'')에 배치되는 관절 유닛들(JU_1)은 도 26에 도시된 관절 유닛들(JU_1)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3 구동 유닛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GG_2)은 실질적으로, 도 28에 도시된 가이드 홈(GG_2)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제3 구동 유닛(DU3)의 배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구동 유닛(DU3)은 제2 곡선부(CVP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곡선부들(CVP1,CVP2'') 및 제1 구동 유닛(DU1)은 제2 구동 유닛(DU2)과 제3 구동 유닛(DU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관절 유닛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관절 유닛들(JU_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과 같이 관절 유닛들(JU_2)에도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관절 유닛들(JU_2)의 양측면들 상에 복수 개의 연결부들(CNP)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들(CNP)에 의해 관절 유닛들(JU_2)은 서로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들(CNP)은 복수 개의 연결 유닛들(CU) 및 복수 개의 핀 유닛들(PIN)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들(CU) 각각에는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이 정의될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양측면들 각각에서 돌출된 돌출부(PRT)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RT)는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양측면들 각각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PRT)는 생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0 및 도 31에는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일측면만 도시되었으나,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일측면의 반대면인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타측면도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일측면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관절 유닛들(JU_2) 각각의 양측면들 각각에는 복수 개의 제2 홀들(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홀들(H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홀들(H2)은 돌출부(PRT)를 사이에 두고 각각 1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들(H1)이 제2 홀들(H2)에 중첩하도록 연결 유닛들(CU)이 관절 유닛들(JU_2)의 양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관절 유닛들(JU_2)의 측면들 상에 1개의 연결 유닛(CU)이 배치될 수 있다. 핀 유닛들(PIN)이 제1 및 제2 홀들(H1,H2)에 삽입되어, 관절 유닛들(JU_2)이 서로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DP: 표시 패널 WIN: 윈도우
CS: 케이스 GM: 가이드 부재
GM1,GM2,GM3,GM4: 제1, 제2, 제3, 및 제4 가이드 부재
DU1,DU2,DU3: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
GG: 가이드 홈 EX1,EX2,EX3: 제1, 제2, 제3 연장부
CVP1,CVP2: 제1 및 제2 곡면부 RU: 회전축 유닛
GAR: 기어 JU: 관절 유닛
PRT1: 제1 돌출부 PRT2: 제2 돌출부
PRT3: 제3 돌출부 BDP: 몸체부
OP: 오픈부 CG: 가이드 홈

Claims (32)

  1.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와 이격된 제3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3 연장부의 일단의 반대단인 상기 제3 연장부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제3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제4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구동 유닛보다 상기 제4 가이드 부재에 더 인접하고, 상기 제2 구동 유닛에 연결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3 가이드 부재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인접한 영역에서부터 상기 제3 가이드 부재를 향해 연장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 노출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구동 유닛에 권취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부분과 분리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부분과 분리된 윈도우; 및
    상기 제2 부분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부분을 권취하는 제3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구동 유닛보다 상기 제4 가이드 부재에 더 인접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타단, 상기 윈도우의 타단,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타단에 중첩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끝단을 상호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윈도우의 하면에 각각 배치된 기능성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층은 불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은 상기 제2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이고,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곡선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및 상기 관절 유닛의 표면에 배치된 자성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페라이트(ferrite) 또는 희토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유닛; 및
    상기 회전축 유닛의 소정의 부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 중 일부는 상기 제1 곡선부에서 상기 기어부의 돌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기어부의 상기 돌기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상단 및 하단에서부터 각각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에 정의된 홈부를 포함하고,
    h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제1 돌출부는 h+1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정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3 돌출부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h+1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제3 돌출부의 끝단과 상기 h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몸체부의 하단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h+1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과 상기 h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몸체부의 상단 사이의 제2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단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면 및 하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타원 형상을 갖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같은 폭을 갖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의 양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을 회전하도록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다른 부분과 분리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부분을 권취하는 제3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곡선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곡선부 및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구동 유닛과 상기 제3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에 인접한 상기 제4 연장부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3 곡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은 상기 제2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이고, 상기 제3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은 상기 제1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과 같고,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곡선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고 연장하며,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은 상기 제2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이고,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곡선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25.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소정의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
    상기 권출된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된 표시 패널과 분리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분리된 상기 윈도우의 부분을 권취하는 제3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권출된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구동 유닛과 상기 제3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와 이격된 제3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3 연장부의 일단의 반대단인 상기 제3 연장부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제3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타단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제4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4 가이드 부재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및 제3 구동 유닛에 연결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3 가이드 부재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보다 상기 제4 가이드 부재에 더 인접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표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장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에 인접하고, 상기 제1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은 상기 제2 곡선부의 굴곡의 방향과 반대이고,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1 곡선부에 인접한 표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 유닛; 및
    상기 회전축 유닛의 소정의 부분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 중 일부는 상기 제1 곡선부에서 상기 기어부의 돌기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기어부의 상기 돌기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상단 및 하단에서부터 각각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3 돌출부 사이에 정의된 홈부를 포함하고,
    h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제1 돌출부는 h+1 번째 관절 유닛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정의되는 표시 장치.
  30.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고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복수 개의 관절 유닛;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을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관절 유닛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된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연장부와 이격된 제3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일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3 연장부의 일단의 반대단인 상기 제3 연장부의 타단까지 곡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1.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권취 및 권출하는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양측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정의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평평한 부분의 일측은 상기 표시 패널의 권취된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평한 부분의 상기 일측 아래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평한 부분에 중첩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평평한 부분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제2 구동 유닛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적어도 두번 접혀지는 표시 장치.
  32. 삭제
KR1020180096976A 2018-08-20 2018-08-20 표시 장치 KR10265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976A KR102657401B1 (ko) 2018-08-20 2018-08-20 표시 장치
US16/382,811 US11140790B2 (en) 2018-08-20 2019-04-12 Display device
JP2019127157A JP7378236B2 (ja) 2018-08-20 2019-07-08 表示装置
TW108124780A TW202015016A (zh) 2018-08-20 2019-07-12 顯示裝置
CN201910653475.3A CN110853505B (zh) 2018-08-20 2019-07-19 显示装置
EP19191886.1A EP3623897A3 (en) 2018-08-20 2019-08-1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976A KR102657401B1 (ko) 2018-08-20 2018-08-2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580A KR20200021580A (ko) 2020-03-02
KR102657401B1 true KR102657401B1 (ko) 2024-04-17

Family

ID=6765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976A KR102657401B1 (ko) 2018-08-20 2018-08-2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0790B2 (ko)
EP (1) EP3623897A3 (ko)
JP (1) JP7378236B2 (ko)
KR (1) KR102657401B1 (ko)
CN (1) CN110853505B (ko)
TW (1) TW2020150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801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WO2021049785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동작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1665A (ko) * 2019-10-07 2021-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듈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모듈 지지부의 제조 방법
JP2020103913A (ja) * 2020-02-26 2020-07-09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KR20210111398A (ko) * 2020-03-0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4562B1 (ko) * 2020-05-07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2742A (ko) * 2020-09-08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68185B2 (en) * 2021-01-20 2024-01-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Suppor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KR20220108244A (ko) * 2021-01-25 2022-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6457B2 (ja) * 2003-03-18 2006-08-30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TWI396031B (zh) 2009-10-02 2013-05-11 Inventec Appliances Corp 可收納電子紙之可攜式電子裝置
JP5471582B2 (ja) * 2010-02-24 2014-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装置
EP2546721B1 (en)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8811032B2 (en) 2011-08-05 2014-08-1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9007350B2 (en) * 2011-08-10 2015-04-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ndant display assembly
US8711566B2 (en)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20160155965A1 (en) * 2013-06-11 2016-06-0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940892B2 (en) 2014-05-20 2018-04-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13109B1 (ko) 2014-05-20 2022-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829925B2 (en) 2014-05-21 2017-11-28 Youseob Lim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roller that rotates by unfolding operation-force of user
KR102269135B1 (ko)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185365B2 (en) 2014-10-28 2019-01-22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screen
KR102342761B1 (ko)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1500B1 (ko) * 2015-01-22 2021-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EP3761293B1 (en) * 2015-07-07 2023-01-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025924B1 (ko) *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627279B1 (en) 2015-11-27 2023-05-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92731B1 (ko) 2016-06-09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492732B1 (ko) * 2016-06-10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4505B1 (ko) 2016-06-20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30108B1 (ko) * 2016-10-04 2024-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8222B1 (ko) * 2016-10-17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1916198B1 (ko) 2017-02-22 2018-11-07 (주)우리리서치 전자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8236B2 (ja) 2023-11-13
EP3623897A2 (en) 2020-03-18
JP2020030404A (ja) 2020-02-27
US20200060028A1 (en) 2020-02-20
KR20200021580A (ko) 2020-03-02
EP3623897A3 (en) 2020-05-27
CN110853505B (zh) 2023-08-01
CN110853505A (zh) 2020-02-28
TW202015016A (zh) 2020-04-16
US11140790B2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401B1 (ko) 표시 장치
US11102339B2 (en) Display device
KR20220002775A (ko) 표시 장치
JP6817040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975454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06340243B (zh) 显示设备
US20220418126A1 (en) Display device
US11037471B2 (en) Display device having stress-relieving members
TWI776787B (zh) 半導體裝置
CN107633768B (zh) 显示装置
KR102624839B1 (ko) 표시 장치
KR20180020091A (ko) 표시 장치
TWI730018B (zh) 顯示裝置、輸入輸出裝置、半導體裝置
US1156947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reliability
US115220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30162687A1 (en) Electronic device
KR20210109086A (ko) 표시 장치
CN113937135A (zh) 显示面板
WO2023158003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80294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31370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