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24626A1 -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 Google Patents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24626A1
WO2022124626A1 PCT/KR2021/017083 KR2021017083W WO2022124626A1 WO 2022124626 A1 WO2022124626 A1 WO 2022124626A1 KR 2021017083 W KR2021017083 W KR 2021017083W WO 2022124626 A1 WO2022124626 A1 WO 20221246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senchymal stem
stem cells
msmf
aurka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70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종욱
전홍배
박상언
김선정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엔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엔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CN202180093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867909A/zh
Priority to JP2023534748A priority patent/JP2023552808A/ja
Priority to US18/256,352 priority patent/US20240018588A1/en
Priority to EP21903672.0A priority patent/EP4257703A1/en
Publication of WO20221246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246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1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tissue or cell typing, e.g. human leukocyte antigen [HLA]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7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method for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mproved self-maintenance.
  • Mesenchymal stem cells are multipotent cells, are isolated from various tissues such as bone marrow, adipose tissue, placenta, and umbilical cord blood, and can be differentiated into bone, cartilage, muscle, fat and fibroblast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em cells to regenerate tissues or cells that cannot be regenerated, studies to utilize mesenchymal stem cells as therapeutic agents for various diseas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mesenchymal stem cells as a cell therapy product have problems in that donor variation is large, production yield is low, production cost is high, and long-term therapeutic effect is not shown due to short survival period in the body.
  • mesenchymal stem cells with high proliferative capacity and good therapeutic efficacy in the production of stem cells for the development of stem cell therapeutics.
  • One aspe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mproved self-maintenance, comprising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after cultu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the mesenchymal stem cells selected by the method.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n apoptosis inhibitor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s or MSMF genetically engineered to reduce the expression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suppress the expression of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to overexpress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including MSMF.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uscle disease comprising self-maintenance factor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as an active ingredient.
  •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uscle diseases comprising self-maintenance factor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as an active ingredient.
  •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mesenchymal stem cell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to overexpress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a cell therapy product containing MSMF.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Another aspect is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a mesenchymal stem cell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overexpress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MSMF.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muscle disease comprising a.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Another aspect provides the use of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to overexpress MSN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a composition comprising MSMF for treating a muscle disease will do
  •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to overexpress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a composition comprising MSMF for the manufacture of a therapeutic agent for muscle disease is to provide
  • One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mproved self-maintenance, comprising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after cultu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mesenchymal stem cell refers to self-renewal (self-renewal) and stem cell ability (stemness) and various mesenchymal tissues, for example, bone, cartilage, fat, It is a multipotent stem cell with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mesodermal cells including muscle cells or ectodermal cells such as neurons.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derived from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blood, bone marrow, fat, muscle nerve, skin, amniotic membrane, chorion, decidua, placenta, and the like.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derived from humans, fetuses, or mammals other than humans.
  • the term “self-maintenance factor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refers to various regulators secreted by mesenchymal stem cells, which are essential for self-maintenance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are expressed in time-specific and cell-specific manner.
  • the MSMF may be various proteins or genes thereof involved in adhesion, differentiation, chemotaxis, or proliferation.
  • the MSMF is, for example, FBLN5, OLR1, TNFAIP6.
  • the protein involved in adhesion may be FBLN5, OLR1, TNFAIP6, ANXA3, etc.
  • the protein involved in differentiation is IL6, POU2F2, TNFAIP2, SERPINE2, INHBA, VEGFA, HMGB1, CSF2, GATA3, PCSK6, SYN1, F2RL1, DOCK2, SLC9A4, STX1B, RARRES2, etc.
  • the protein involved in chemotaxis is IL6, CXCL1, VEGFA, FGF7, PLAU, HMGB1 , SCG2, NR4A3, GATA3, DOCK2, COR01A, RARRES2, etc., and the protein involved in proliferation may be CXCL1, DOCK2, CHRM3, NPR3, NR4A3, F2RL1, BST2, GATA4, CREG1, FGF7, YPEL5, AURKA, etc. .
  •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treating MSMF expression or activity inhibitors after cultu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measur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MSMF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which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MSMF is suppressed;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isolating the MSMF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inhibitory MSMF mesenchymal stem cells.
  • Inhibitors of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the self-maintaining factor include small interference RNA (siRNA), short hairpin RNA (shRNA), miRNA (microRNA), ribozyme, DNAzyme, peptide nucleic acids (PNA),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bodies,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ptamer, a compound that directly binds to the MSMF protein and inhibits its activity, and a natural extract.
  • the expression or activity inhibitor of the self-maintaining factor may be a first primer set represented by SEQ ID NO: 5 and SEQ ID NO: 6, and a second primer set represented by SEQ ID NO: 9 and SEQ ID NO: 10.
  • the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or activity level of MSMF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reaction, 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reaction,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reaction, RNase protection assay, Northern blotting and DNA chip.
  • protein chip analysis immunoassay, ligand binding assay, MALDI-TOF (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nalysis, SELDI-TOF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nalysis, radioimmunity analysis, radioimmunodiffusion, octeroni immunodiffusion,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tissue immunostaining, complement fixation assa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alysi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LC-MS/MS), Western blotting, and enzyme linked immuno
  •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mproved self-maintenance in the medium can be selected.
  • the expression of MSMF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ability, colony formation ability, and cell proliferation abil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decreased.
  • the replication tim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was increased. Therefore, since the MSMF expression or activity is increased in the mesenchymal stem cells with improved self-maintenance, desired cells can be obtained by isolat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in which the MSMF expression or activity is maintain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reduce production cost by initially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high proliferative abilit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mesenchymal stem cells.
  • mesenchymal stem cells selected by the method Another aspect is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duce the expression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suppress the expression of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and / or an apoptosis inhibitor comprising MSMF. to provide.
  •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duce the expression of MSMF or inhibit the expression of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and/or MSMF are contacted with the cells in vitro , or in vivo ( It provides a method of inhibiting apoptosi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experimental animal in vivo ).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have increased expression of MSMF essential for self-maintenance.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have improved stemness, migration, colony formation, and/or cell proliferation.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have a shortened cell doubling time. That is, the expression and replication time of MSMF may indicate a negative correlation.
  • the term “genetic engineering” or “genetically engineered” refers to the act of introducing one or more genetic modifications into a cell or a cell made thereby.
  • the mesenchymal stem cell or host cell may be genetically engineered to increase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MSMF or an active fragment thereof, for example, one containing an exogenous gene encoding MSMF or an active fragment thereof. have.
  • the increased activity may mean that the activity of a protein or enzyme of the same type is higher than that of an endogenous protein or enzyme that a given non-genetically engineered parental cell (eg, wild-type) does not have or has. .
  • the exogenous gene may be expressed in an amount sufficient to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mentioned protein in the mesenchymal stem cell or host cell compared to its parent cell.
  • the exogenous gene may be introduced into a parent cell through an expression vector.
  • the exogenous gene may be introduced into a parent cell in the form of a linear polynucleotide.
  • the exogenous gene may be expressed from an expression vector (eg, a plasmid) in a cell.
  • the exogenous gene may be expressed by being inserted into a genetic material (eg, a chromosome) in a cell for stable expression.
  •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duce the expression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suppress the expression of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and / or prevention of muscle disease including MSMF or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muscle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and/or MSMF to a subject. Specific details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or MSMF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MF or to overexpress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are as described above.
  • AURKA and DCOCK2 mRNA or a protein thereof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uscle disease by inhibiting apoptosis of muscle cells.
  • the muscle disease is, for example, Charcot-Marie-Tooth disease (Charcot-Marie-Tooth disease), Spinal Muscular Atrophy (SMA), Lou Gehrig's diseas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Duchenne muscular atrophy (Duchenne) Muscular Dystrophy, Myotonic Dystrophy, sarcopenia, muscular atrophy, myasthenia, muscular dystrophy, myotonia, hypotonia, muscle weakness It may be muscular weakness, muscular dystrophy,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flammatory myopathy, etc.
  • Charcot-Marie-Tooth disease Charcot-Marie-Tooth disease
  • SMA Spinal Muscular Atrophy
  • Lou Gehrig's diseas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 Duchenne muscular atrophy Duchenne muscular atrophy (Duchenne) Muscular Dystrophy, Myotonic Dystrophy, sarcopenia, muscular atrophy, myasthenia, muscular dystrophy, myotonia
  • MSMF self-maintenance factor
  • the MSMF may be isolat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mesenchymal stem cells.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genetically engineered to secrete MSMF or an active fragment thereof, or to secrete MSMF or an active fragment thereof.
  •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modified by insertion or injection of DNA in cell culture through a method of changing, enhancing, or supplementing cell functions for structural or therapeutic induction. Therefore, the MSMF and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muscle disease is a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oral formulations such a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It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and may includ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formulation.
  • the carrier or excipient or diluent may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unknown.
  • various compounds or mixtures including vaginal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formulation it can be prepared using commonly us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weight agent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a solid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bean extract with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can also be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ing agent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may be included. .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ag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can be used.
  •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 suppository bas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l 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a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eight, disease severity,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perio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for a desirable effect, it may be administered at 0.0001 to 2,000 mg/kg per day, preferably 0.001 to 2,000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osag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 according to an aspect may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mice, mice, livestock, and humans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administered by, for example,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 mesenchymal stem cell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duce the expression of 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 or suppress the expression of MSMF compared to parental cells, 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uscle diseases including MSMF I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use. Specific details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or MSMF are as described above.
  • the compound when used as an additive in a health functional food, it can be adde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appropriat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can be use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purpose of use, such as prevention, health or treatment.
  • the formul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pills, tablets, and capsules, as well as in the form of general food or beverages.
  • the type of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of food to which the substance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and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 various soups, beverages, teas, drinks,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etc., and may include al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the compound when preparing food or beverage,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 the amount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in terms of using a fraction from a natural product. can also be used.
  • Beverages among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n aspect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muscle diseases are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nd carbonate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 the 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uit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not limited,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aspect provides a cell therapy product compris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as an active ingredient. Specific details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are as described above.
  • cell therapy agent refers to cells and tissues manufactured through isolation, culture, and special manipulation from an individual, and as pharmaceuticals (US FDA regulation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diagnosis and prophylaxis, and functions of cells or tissues. It refers to a drug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diagnosis, and prevention through a series of actions such as proliferating and selecting living autologous, allogeneic or xenogeneic cells in vitro or changing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cells in other ways to restore them.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the symptoms of a disease are improved or beneficial by administration of the cell therapy agent.
  • the mesenchymal stem cells have increased expression of MSMF, and FBLN5, TNFAIP6, ANXA3, IL6, POU2F2, TNFAIP2, INHBA, VEGFA, CSF2, GATA3, CXCL1, HMGB1, BST2, AURKA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disease, immune disease, or cancer.
  • the expression may be increased.
  • the cell therapy agent may be for treating a muscle disease, an inflammatory disease, an immune disease, or cancer.
  • the inflammatory disease is, for example, atopic dermatitis, psoriasis, dermatitis, allergy, arthritis, rhinitis, otitis media, pharyngitis, tonsillitis, cystitis, nephritis, pelvic inflammation,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ankylosing spondyliti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LE), asthma, edema, delayed allergy (type IV allergy), transplant rejection, graft-versus-host disease,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multiple scleros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cystic fibrosis, diabetic retinopathy, ischemic-reperfusion injury, vascular It may be restenosis, glomerulonephritis, or gastrointestinal allergy.
  • the immune disease is, for example, rheumatoid arthritis, type I diabetes, autoimmune diseases such as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sthma, encephalitis, inflammatory enterit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llergies, septic shock. , pulmonary fibrosis, undifferentiated spondyloarthropathies, undifferentiated arthropathy, arthritis, inflammatory osteolysis,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chronic inflammation caused by chronic viral or bacterial infections, and the like.
  • autoimmune diseases such as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sthma, encephalitis, inflammatory enterit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llergies, septic shock.
  • pulmonary fibrosis undifferentiated spondyloarthropathies, undifferentiated arthropathy, arthritis, inflammatory osteolysis,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chronic inflammation caused by chronic viral or bacterial infections, and the like.
  • the cancer is, for example, multiple myeloma, lung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colon cancer, skin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thyroid cancer, kidney cancer, fibrosarcoma, melanoma, blood cancer, etc. it could be
  • the cell therapy agent may be formulated and administered in a unit dosage form suitable for administration in the body of a pati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pharmaceutical field, and the formulation may be administered in an effective dosage by one or several administrations.
  • Formulations suitable for this purpose include, as parenteral administration formulations, injections such as ampoules for injection, injections such as infusion bags, and sprays such as aerosol formulations.
  • the injection ampoule may be prepared by mixing with an injection solution immediately before use, and physiological saline, glucose, mannitol, Ringer's solution, etc. may be used as the injection solution.
  • the infusion bag may be made of polyvinyl chloride or polyethylene, and may be manufactured by Baxter, Becton Dickinson, Medcep, National Hospital Products, or Terumo. The company's infusion bag can be exemplified.
  •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nventional inert carriers for example, preservatives, analgesics, solubilizers or stabilizers in the case of injection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formula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may further include excipients, lubricants or preservatives.
  • the cell therapy 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prepared can be administered together with other stem cells used for transplantation and other uses or in the form of a mixture with such stem cells using administration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 administration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art.
  • direct engraftment or transplantation to the disease site of the patient in need of treatment, or direct transplantation or inject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is possi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dministration can be both non-surgical administration using a catheter and surgical administration methods such as injection or transplantation after incision of the diseased site, but the non-surgical administration method using a catheter is more preferable.
  • parente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directly to a lesion, transplantation by intravascular injection, which is a general method, is also possible.
  • the daily dos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may be administered by dividing 1.0 ⁇ 10 4 to 1.0 ⁇ 10 10 cells/kg body weight, preferably 2.5 ⁇ 10 5 to 5 ⁇ 10 7 cells/kg body weight, once or several times.
  • the actual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should be determined in light of several related factors such as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patient's weight, age, and sex, and therefore, the dosage may be any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mesenchymal stem cells can be used in various types of treatment protocols in which tissues or organs of the body are enriched, treated, or replaced by engraftment, transplantation, or injection of a desired cell population.
  • the cell therapy composition may be used unfrozen or frozen for later use. If frozen, standard cryopreservatives (eg DMSO, glycerol, Epilife® Cell Freezing Medium (Cascade Biologics)) can be added to the cell population prior to freezing.
  • standard cryopreservatives eg DMSO, glycerol, Epilife® Cell Freezing Medium (Cascade Biologics)
  • the mesenchymal stem cells or MSMF inhibits apoptosis of muscle cells, and thus can be used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various muscle diseases, including sprains, strains, and careers.
  • the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can reduce donor variation by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with excellent self-renewal ability, and since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amount of mesenchymal stem cells, it can be used for cell therapy development.
  • the mesenchymal stem cells select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have an advantage in that the survival period in the body increases, thereby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 FIG. 1A is a graph showing the doubling time of a P-high group and a P-low group.
  • 1b is a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self-maintenance in the P-low group and the P-high group.
  • 1c is a graph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selected as MSMF gene candidates in the P-low group and the P-high group.
  • Figure 2a is a graph comparing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by the selected siRNA sequence.
  • Figure 2b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protein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2c is a graph confirming stem cell ability through FAC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Figure 3a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igration ability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knock-down of the MSMF gene by transfecting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 FIG. 3b is a graph confirming whether colonies of mesenchymal stem cells are formed after the MSMF gene is knocked down by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 Figure 3c is a graph measuring the replication time (doubling time) of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Figure 3d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ell proliferative abil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3e and 3f ar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on phosphorylation of AKT and ERK, which are kinas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and FAK and JNK, which are kinases involved in mobility.
  • Figure 4a is a graph comparing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mRNA in 10 lots of mesenchymal stem cells.
  • Figure 4b is a graph sequentially listing the replication times of 10 lots of mesenchymal stem cells.
  • Figure 4c is a graph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and DOCK2 mRNA and replication time in mesenchymal stem cells.
  • 4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proteins in mesenchymal stem cells.
  • 4e and 4f are results of confirming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AKT, ERK, FAK, and JNK in mesenchymal stem cells.
  • Figure 5a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Figure 5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apoptosis reduction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Figure 6a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knocked down AURKA and DOCK2 gene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Figure 6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reduction in apoptosis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knocked down AURKA and DOCK2 gene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Figure 6c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XCL1 protein in mesenchymal stem cells knock-dawn AURKA gene.
  • 7a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of inhibiting apopt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 Figure 7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the inhibitory efficacy on apopt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the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 8A is a graph confirming the degree of cell survival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 Figure 8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of inhibiting muscle tissue fibrosi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 Figure 8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fibr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 Example 1 The mesenchymal stem cells isolated and cultured in Example 1 were conver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hat passed the standards and mesenchymal stem cells that did not pass according to the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at Samsung Seoul Hospital. classifi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plication time of each mesenchymal stem cel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bove criteria,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enchymal stem cells that passed the criteria had a faster replication time than the mesenchymal stem cells that did not pass. Based on these results, each was classified into a Proliferation-high (P-high) group and a Proliferation-low (P-low) group according to the duplication time, and then the duplication time was confirmed.
  • P-high Proliferation-high
  • P-low Proliferation-low
  • genes highly expressed in the P-high group compared to the P-low group were comparatively analyzed. Specifically, after each RNA was extracted from the P-low group and the P-high group, RNA quality was measured using an Agilent 2100 Bioanalyzer, and migration and peak pattern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microarray using Illumina Hiseq 2500, genes having a log2 fold change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in the P-high group compared to the P-low group were comparatively analyzed.
  • FIG. 1A is a graph showing the doubling time of a P-high group and a P-low group.
  • the replication tim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of the P-high group was 28.4 ⁇ 1.2 hours, but the replication time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of the P-low group was 47.9 ⁇ 1.6 hours. It was 1.6 times longer than the P-high group.
  • AURKA and DOCK2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mpared with MSMF by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genes involved in adhesion, differentiation, chemotaxis, or proliferation. It was selected as a final candidate for the gene.
  • Figure 2a is a graph comparing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by the selected siRNA sequence.
  • si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iAURKA-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siNC and siDOCK2 treated groups, and in the case of DOCK2, the siDOCK2 treated group compared to siNC and siAURKA treated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t is, the selected siRNA sequence may have sequence specificity for each MSAF gene.
  • siAURKA (candidate 3) and siDOCK2 (candidate 2) were transfected into mesenchymal stem cells, respectively, and cultured for 72 hours, and then the mesenchymal stem cells were washed with PBS. Thereafter, the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mresco, Solon, OH, USA) was dissolved in RIPA buffer (BIOSESANG, Sungnam, Gyeonggi, Korea),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4 °C, 15,000 g for 30 minutes to obtain a supernatant.
  • RIPA buffer BIOOSESANG, Sungnam, Gyeonggi, Korea
  •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 the membrane was washed 3 times for 10 minutes with TBST, treated with ECL solution (Advansta, USA), and then the image of the band was confirmed in a gel imaging system (Amersham Imager 600,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
  • the expression level of the protein was measured using image J and corrected with ⁇ -actin.
  • AURKA Invitrogen, CA
  • DOCK2 Distrachloride
  • Beta-actin Sur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 Figure 2b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protein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the AURKA protein expression level and the DOCK2 protein expression level in the siAURKA and siDOCK2 treatment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to 0.51 ⁇ 0.06 times and 0.76 ⁇ 0.04 times, respectively. .
  • Mesenchymal stem cells were transfected with siAURKA and siDOCK2 using the sequence selected in Example 3-1, knocked down, and then FACS was performed to confirm stem cell ability.
  •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xpression of CD44, CD73, CD90, CD105, and CD166, and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s were CD14, CD11b, HLA-DR (MHCII), CD34, CD45, CD19 (BD Biosciences, USA). ) was used to compare the stem cell capacity with the MSAF siNC-treated control group. At this time, 10000 events were acquired and analyzed using a BD FACS Verse flow cytometer.
  • 2c is a graph confirming stem cell ability through FAC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the cells all express the positive markers CD44, CD73, CD90, CD105, and CD166, but the negative markers CD14, CD11b, HLA-DR (MHCII), CD34, CD45, CD19 did not manifest That is, it can be seen that even if AURKA and DOCK2 are knocked down by si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there is no change in stem cell ability.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FBS FBS for siNC
  • mitomycin C Sigma-Aldrich, St.Louis, MO
  • scratches were given using 200 pipette tips.
  • images were taken at 40 magnification through a microscope after 0 and 24 hours. The captured imag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Java's Image J software, and the cell mobility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wound closure.
  • Figure 3a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igration ability of the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knock-down of the MSMF gene by transfecting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 the mobility of the siNC-treated control group was 61.02 ⁇ 1.0%, whereas the mobility of the siAURKA-treated group and the siDOCK2 treated group was 44.06 ⁇ 1.87%, and 47.18 ⁇ 2.93%, respectively. . That is, as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abil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FBS FBS for siNC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FIG. 3b is a graph confirming whether colonies of mesenchymal stem cells are formed after the MSMF gene is knocked down by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 the number of colonies of the siNC-treated control group was 30.7 ⁇ 4.0, whereas the number of colonies in the siRNA-treated group and siDOCK2 treated group decreased to 13.0 ⁇ 2.7 and 11.0 ⁇ 1.4, respectively. That is, as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FBS FBS for siNC
  • Figure 3c is a graph measuring the replication time (doubling time) of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the replication time of the siNC-treated control group was 31.1 ⁇ 0.4 hours, whereas the siAURKA-treated group and siDOCK2 treated group showed 55.3 ⁇ 0.8 hours, the treatment group and 59.2 ⁇ 0.8 hours, respectively. .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plication time of mesenchymal stem cells was greatly increased as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was decreased.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FBS FBS for siNC
  • Figure 3d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cell proliferative abil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after transfection of siAURKA and siDOCK2 into mesenchymal stem cells to knock-down the MSMF gene.
  • the siAURKA and siDOCK2 treated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ell proliferative capacity compared to the siNC-treated control group.
  • the cell proliferative capacity decreased in the siAURKA and siDOCK2 treated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over time.
  • AKT, p-AKT, p-ERK R&D, Minneapolis, MN, USA
  • ERK, FAK, p-FAK, JNK, p-JNK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 Beta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was used.
  • 3e and 3f ar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 of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on phosphorylation of AKT and ERK, which are kinas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and FAK and JNK, which are kinases involved in mobility.
  • FIGS. 3e and 3f it was confirmed that phosphorylation of AKT and FAK was suppressed by suppression of AURKA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AKT, ERK and JNK was suppressed by suppression of DOCK2 expression. That is, it can be seen that AURKA affects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bility through AKT and FAK, and DOCK2 affects cell proliferation through AKT, ERK and JNK.
  • Example 4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Example 4, it can be seen that the AURKA and DOCK2 genes are involved in self-maintenance by affecting the migration ability, colony formation ability, and cell prolifer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 mesenchymal stem cells have a problem of large donor variation
  • mesenchymal stem cells have a problem of large donor variation
  • mesenchymal stem cells have a problem of large donor variation
  • 10 mesenchymal stem cells obtained from 10 different donors were transferred to 3 ⁇ 10 3 cells in a 25T flask using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 cm 2
  • MEM Alpha 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 RNA was extracted and qRT-PCR was performed, and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were compared.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genes and the replication time of the cells was confirmed through Pearson
  • Figure 4a is a graph comparing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mRNA in 10 different mesenchymal stem cells.
  • MSC_A had the highest expression of AURKA mRNA among 10 stem cells
  • MSC_C had the highest expression of DOCK mRNA among 10 stem cells.
  • MSC_J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were the lowest.
  • Figure 4b is a graph sequentially listing the replication times of 10 different mesenchymal stem cells.
  • the replication time of MSC_A was the shortest at 20.9 ⁇ 0.6 hours, and the replication time of MSC_J was the longest at 41.9 ⁇ 0.6 hours.
  • the replication time of the 10 mesenchymal stem cells was 27.6 ⁇ 1.8 hours on average.
  • Figure 4c is a graph measu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and DOCK2 mRNA and replication time in mesenchymal stem cells.
  • mesenchymal stem cells with high self-renewal ability can be easily selected by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URKA and DOCK2 genes.
  • AURKA and DOCK2 mRNA expression levels in mesenchymal stem cells and AURKA and DOCK2 protein expression levels was confirmed. Specifically,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mesenchymal stem cells cultured at about 80% in the growth medium were used. Thereafter, MSC_A with the highest mRNA expression level of AURKA, MSC_C with the highest mRNA expression level of DOCK2, and MSC_J with relatively low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were selected (refer to FIG. 4a)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protein expression levels between AURKA and DOCK2 was confirmed.
  • 4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proteins in mesenchymal stem cells.
  • MSC_J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by 0.31 ⁇ 0.05 fold and 0.59 ⁇ 0.02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MSC_A and MSC_C.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senchymal stem cells with low mRNA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indicating their functions.
  • 4e and 4f are results of confirming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AKT, ERK, FAK, and JNK in mesenchymal stem cells.
  • AURKA and DOCK2 the difference in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in mesenchymal stem cells affects the phosphorylation of kinas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and mobility, and mesenchymal stem cells with high expression levels of these genes are AKT and/or ERK It can promote cell proliferation through phosphorylation of FAK and/or JNK and promote mobility through phosphorylation of JNK.
  •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were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using insert.
  • Western blotting using cleaved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cleaved Caspase 3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and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as primary antibodies was performed, and the degree of apoptosis was compared.
  • Figure 5a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the expression level of cleaved caspase3 in the experimental group co-cultured with MSC_J was 0.66 ⁇ 0.07 times, and the expression level of cleaved PARP was 0.78 ⁇ 0.01 times, indicating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apoptosis-induced control group.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AURKA and DOCK2 in mesenchymal stem cells, the lower the ability to inhibit apoptosis of muscle cells.
  • Live/dead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the Apoptosis/Necrosis Detection Kit (Abcam, Cambridge, Ma, USA) to confirm the degree of reduction in apoptosis of C2C12 cells of Example 6-1.
  • the Apopxin Green Indicator and living cells that can confirm apoptosis after washing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muscle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co-cul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1 were washed twice with PBS CytoCalcein Violet 450 that can confirm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 hour while blocking the light. Thereafter, the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and images were obtained by photographing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among all cells was measured using image J.
  • Figure 5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apoptosis reduction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apoptosis was inhibited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compared to the apoptosis-induced control group.
  • the percentage of cells in which apoptosis occurred was 52.04 ⁇ 1.93%
  • the experimental group co-cultured with MSC_A, MSC_C, or MSC_J 22.50 ⁇ 2.17%, 25.72 ⁇ 1.53%, and decreased to 31.87 ⁇ 1.99% (p ⁇ 0.001).
  • mesenchymal stem cells with low mRNA expression levels of AURKA and DOCK2 have lower efficacy in inhibiting apoptosis when co-cultured with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mesenchymal stem cells, siNC, and siAURKA selected in Example 3-1 were assessed for knock-down of AURKA and DOCK2 genes affects the apoptosis inhibitory efficacy.
  • mesenchymal stem cells, siNC, and siAURKA selected in Example 3-1 or After co-cultu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treated with siDOCK2, respectively,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1.
  • Figure 6a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knocked down AURKA and DOCK2 gene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the experimental group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AR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the expression levels of cleaved caspase3 in muscle cells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NC-treated group, siAURKA-treated group, and siDOCK2-treated group were 0.34 ⁇ 0.04, 0.30 ⁇ 0.02, and 0.5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apoptosis-induced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duced by ⁇ 0.05, and 0.40 ⁇ 0.04 times (p ⁇ 0.001).
  • the expression levels of cleaved PARP in muscle cells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NC-treated group, siAURKA-treated group, and siDOCK2-treated group were 0.39 ⁇ 0.07, 0.45 ⁇ 0.04, and 0.72 ⁇ 0.04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apoptosis-induced control group. , and 0.54 ⁇ 0.045 fold (MSC, siNC, siDOCK2, p ⁇ 0.001; siAURKA, p ⁇ 0.01).
  • MSC, siNC, siDOCK2, p ⁇ 0.001; siAURKA, p ⁇ 0.0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AR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iAURKA-treated group co-cultured with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p ⁇ 0.01).
  •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were treat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NC, and siAURKA selected in Example 3-1, or siDOCK2 After co-culturing each mesenchymal stem cell, it was confi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2.
  • Figure 6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reduction in apoptosis according to the suppression of the expression of AURKA and DOCK2 genes by co-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knocked down AURKA and DOCK2 genes and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the experimental group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gnificantly inhibited apoptosi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 the apoptosis rate was 41.73 ⁇ 1.03%, whereas in the case of muscle cells co-cultured with mesenchymal stem cells, siNC-treated group, siAURKA-treated group, and siDOCK2-treated group, 17.93 ⁇ 1.03%, respectively. 1.40%, 17.79 ⁇ 2.06%, 32.75 ⁇ 2.24%, and 25.62 ⁇ 2.29% (p ⁇ 0.001).
  • the apoptosis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iAURKA-treated group co-cultured with the apoptosis-induced muscle cells compared to the siNC-treated group (p ⁇ 0.001).
  • Figure 6c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XCL1 protein in mesenchymal stem cells knock-dawn AURKA gene.
  • the expression level of XCL1 a protein involved in apoptosis inhibition
  • the siAURKA-treated group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XCL1 by 0.44 ⁇ 0.07-fold compared to the siNC-treated group (p ⁇ 0.01). That is, the AURKA gene directly affects the expression of XCL1, and thus can exhibit the apoptosis inhibitory effect of mesenchymal stem cells on muscle cells.
  • Example 8 Confirmation of correlation between AURKA mRNA expression level in mesenchymal stem cells and apoptosis in muscle tissue
  • the effect of inhibiting muscle apoptosis of mesenchymal stem cells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AURKA was confirmed through Annexin V staining. Specifically, 1 ⁇ 10 5 cells/100 ⁇ l of mesenchymal stem cells were administered to the tail vein of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Mdx) once. At this time, MCS_A with the highest mRNA expression level, MCS_E with the median value of AURKA mRNA expression level, and MCS_J with the lowest mRNA expression level of AURKA, which were determin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apoptosis inhibition through the results of Example 7 was used. After one week, mice were sacrificed and calf muscle was isolated to obtain tissue. Thereafter,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3-2, except that annexin V (Abcam, Cambridge, Ma, USA) and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 7a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of inhibiting apopt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 the degree of inhibition of apoptosis in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AURKA was confirmed through Annexin V staining. Specifically, after separating the thigh and calf muscles of the Mdx mouse mod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1, the tissue cut with a paraffin tissue section was washed and reacted with a 5% blocking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Then, it was reacted with Annexin antibody (Abcam, Cambridge, UK) diluted to 1/500 concentration at 4°C for 18 hours.
  • Annexin antibody Abcam, Cambridge, UK
  • Figure 7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the inhibitory efficacy on apopt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the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 Example 9 AURKA mRNA expression level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fibrosis inhibitory efficacy of muscle tissue
  • the efficacy of inhibiting muscle tissue fibro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senchymal stem cells remaining in the leg muscles of the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Mdx) was confirmed. Specifically, after separating the thigh and calf muscles of the Mdx mouse mod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1, DNA was extracted using the Gentra Puregene Tissue kit (Qiagen Inc.), and real using human Alu primers. -time PCR was performed.
  • 8A is a graph confirming the degree of cell survival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 the number of mesenchymal stem cells remaining in the leg muscles of the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administered with MSC_A, MSC_F and MSC_J was 41.23 ⁇ 5.60, 42.68 ⁇ 8.71, and 16.96 ⁇ 8.44, respectively.
  • MSC_J with the lowest AURKA mRNA expression level was administe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mesenchymal stem cells remaining in the leg muscles of the muscular dystrophy mouse model was the lowest. That is, mesenchymal stem cells with high AURKA mRNA expression migrate to damaged muscle cells, and a greater number of cells remain in the damaged area, thereby helping muscle recovery.
  • the efficacy of inhibiting muscle tissue fibrosi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ression of fibronectin. Specificall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8-2, except that Fibronectin (Abcam, Cambridge, Ma, USA) and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 Figure 8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efficacy of inhibiting muscle tissue fibrosi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 the efficacy of inhibiting muscle tissue fibrosi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was confirmed through collagen accumulation. Specifically, after washing the thigh muscle tissue of the Mdx mouse mode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8-1, it was reacted with picro-sirius red (Solution A)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hen, it was washed twice with acidified water (Solution B), and after mounting, images were acquired using a Scanscope. The captured image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Java's Image J software to obtain a relative value to the Mdx control group.
  • Figure 8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fibrosis of muscle tissu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level of AURKA mRNA i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ouse model of muscular dystro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가증식능이 우수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여 공여자 편차(donor variation)를 줄일 수 있고, 자가증식능이 우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대량 확보를 통하여 세포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본 출원은 2020년 12월 7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20-016983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는 다능성(multipotent) 세포로서, 골수, 지방조직, 태반, 제대혈 등 다양한 조직에서 분리되며 뼈, 연골, 근육, 지방 및 섬유아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특성을 이용하여 재생이 불가능한 조직이나 세포를 재생함으로써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써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세포치료제로써 중간엽줄기세포는 공여자 편차(donor variation)가 크고 생산 수율이 낮으며, 생산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생존기간이 짧아 장기적 치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줄기세포의 생산에 있어 증식능이 높고, 치료 효능이 좋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의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이 감소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의 발현이 억제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세포사멸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근육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N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근육 질환을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의 선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는 자기재생능력(self-renewal)과 줄기세포능(stemness)을 유지하고 다양한 간엽 조직, 예를 들어 뼈, 연골, 지방, 근육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중배엽성 세포 또는 신경세포와 같은 외배엽성 세포로도 분화하는 능력을 가진 다분화능 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이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융모막, 탈락막, 태반 등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인간, 태아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는 중간엽줄기세포가 분비하는 다양한 조절인자로서 중간엽줄기세포의 자가유지에 필수적이며 시기 특이적, 세포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상기 MSMF는 유착(adhesion), 분화(differentiation), 주화성(chemotaxis), 또는 증식(proliferation)에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 또는 그의 유전자일 수 있다. 상기 MSMF는 예를 들어, FBLN5, OLR1, TNFAIP6, ANXA3, IL6, POU2F2, TNFAIP2, SERPINE2, INHBA, VEGFA, HMGB1, CSF2, GATA3, PCSK6, SYN1, F2RL1, DOCK2, SLC9A4, STX1B, RARRES2, CXCL1, FGF7, PLAU, SCG2, NR4A3, COR01A, CHRM3, NPR3, BST2, GATA4, CREG1, FGF7, YPEL5, AURKA 등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착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FBLN5, OLR1, TNFAIP6, ANXA3 등인 것일 수 있고, 분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IL6, POU2F2, TNFAIP2, SERPINE2, INHBA, VEGFA, HMGB1, CSF2, GATA3, PCSK6, SYN1, F2RL1, DOCK2, SLC9A4, STX1B, RARRES2 등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주화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IL6, CXCL1, VEGFA, FGF7, PLAU, HMGB1, SCG2, NR4A3, GATA3, DOCK2, COR01A, RARRES2 등인 것일 수 있으며, 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CXCL1, DOCK2, CHRM3, NPR3, NR4A3, F2RL1, BST2, GATA4, CREG1, FGF7, YPEL5, AURKA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MSMF의 발현 또는 활성이 억제된 중간엽줄기세포에서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감소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유지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항체, 앱타머 및 상기 MSMF 단백질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그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자가유지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제1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제2 프라이머 세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의 측정은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Nase 보호 분석법, 노던 블랏팅 및 DNA 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칩 분석, 면역 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 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 전기영동, 조직 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팅, 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감소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함으로써, 배지에서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MSMF의 발현이 감소함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 콜로니 형성능, 및 세포 증식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는 MSMF의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하는 바, 상기 MSMF의 발현 또는 활성이 유지 또는 감소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함으로써 원하는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증식능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초기에 선별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이 감소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의 발현이 억제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및/또는 MSMF를 포함하는 세포사멸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MSMF의 발현이 감소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의 발현이 억제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및/또는 MSMF를 인 비트로(in vitro) 상에서 세포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인 비보(in vivo)상에서 실험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자가유지에 필수적인 MSMF의 발현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줄기세포능(stemness), 이동능, 콜로니 형성능, 및/또는 세포 증식능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세포 복제 시간(doubling time)이 짧아진 것일 수 있다. 즉, MSMF의 발현과 복제 시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전적 조작(genetic engineering)" 또는 "유전적으로 조작된(genetically engineered)"은 세포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유전적 변형(genetic modification)을 도입하는 행위 또는 그에 의하여 만들어진 세포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숙주 세포는 MSMF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의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 예를 들면, MSMF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코딩하는 외인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증가는 주어진 유전적으로 조작되지 않은 모세포(예, 야생형)가 갖지 않는 또는 갖는 내재적 단백질 또는 효소의 활성에 비해, 동일한 타입의 단백질 또는 효소의 활성이 보다 더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숙주 세포에서 그 모세포에 비하여 언급된 단백질의 활성이 증가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발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발현 벡터를 통하여 모세포 내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선형 폴리뉴클레오티드 형태로 모세포 내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세포 내에서 발현 벡터 (예, 플라스미드)로부터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인성 유전자는 안정적인 발현을 위하여 세포 내의 유전물질 (예, 염색체)에 삽입되어 발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이 감소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 의 발현이 억제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및/또는 MSMF 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및/또는 MSMF 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는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 세포를 siAURKA 및 siDOCK2가 처리된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함으로써 세포사멸이 억제되고, 세포 증식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URKA 및 DCOCK2 mRNA 또는 이의 단백질은 근육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함으로써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육 질환은 예를 들어, 샤르코-마리-투스 질환(Charcot-Marie-Tooth disease),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뒤시엔느 근위축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근긴장성 위축증(Myotonic Dystrophy), 근감소증(sarcopenia),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근무력증(myasthenia),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긴장증(myotonia), 근긴장 저하(hypotonia), 근력 약화(muscular weakness),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염증성 근육병(inflammatory myopathy) 등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MSMF 는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MSMF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분비하거나, MSMF 또는 그의 활성 단편을 분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구조적 또는 치료적 목적으로의 유도를 위해 세포 기능을 변화, 강화 또는 보충하는 방법을 통하여 세포 배양에서의 DNA의 삽입 또는 주입에 의해 변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SMF와 중간엽줄기세포가 병용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제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두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양상에 따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서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이 감소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의 발현이 억제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양상에 따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건강기능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화합물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천연물로부터의 분획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일 양상에 따른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수면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치료제"는 개체로부터 분리, 배양 및 특수한 조작을 통해 제조된 세포 및 조직으로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미국 FDA 규정)으로서, 세포 또는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동종 또는 이종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선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또한 "치료"는 상기 세포치료제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MSMF의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염증 질환, 면역질환 또는 암과 관련된 FBLN5, TNFAIP6, ANXA3, IL6, POU2F2, TNFAIP2, INHBA, VEGFA, CSF2, GATA3, CXCL1, HMGB1, BST2, AURKA 등의 발현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치료제는 근육 질환, 염증 질환, 면역 질환 또는 암 등을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예를 들어, 아토피, 건선, 피부염, 알레르기, 관절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방광염, 신장염, 골반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전신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천식, 부종, 지연성 알레르기(IV형 알레르기), 이식거부, 이식편 대 숙주 질환, 자가면역 뇌척수염,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낭포성 섬유증, 당뇨성 망막증, 허혈성-재관류 손상, 혈관 재협착, 사구체신염, 위장관 알레르기 등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면역 질환은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타입 I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및 전신성 홍반 루푸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천식, 엔세필리티스(encephalitis), 염증성 장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알러지, 폐혈 병성 쇼크증, 폐섬유증, 미분화 척추관절증, 미분화 관절병증, 관절염, 염증성 골용해, 만성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과 같은 염증성 질환 등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암은 예를 들어, 다발성 골수종,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혈액암 등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치료제는 약학적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약학적 제제로 제형화시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제는 1회 또는 수회 투여에 의해 효과적인 투여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형으로는 비경구 투여 제제로서 주사용 앰플과 같은 주사제, 주입 백과 같은 주입제, 및 에어로졸 제제와 같은 분무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용 앰플은 사용 직전에 주사액과 혼합 조제할 수 있으며, 주사액으로는 생리 식염수, 포도당, 만니톨, 링거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입 백은 염화 폴리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박스터(Baxter), 벡톤 디킨슨(Becton Dickinson), 메드셉(Medcep), 내셔날 호스피탈 프로덕츠(National Hospital Products) 또는 테루모(Terumo) 사의 주입 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제제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불활성 담체, 예를 들어,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국소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윤활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세포치료제 또는 약학적 제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투여 방법을 이용하여 이식 및 기타 용도에 사용되는 다른 줄기세포와 함께 또는 그러한 줄기세포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질환 부위에 직접 생착 또는 이식하거나 복강에 직접 이식 또는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투여는 카테터를 이용한 비외과적 투여 및 질환 부위 절개 후 주입 또는 이식 등 외과적 투여 방법 모두 가능하나 카테터를 이용한 비외과적 투여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직접 병변에 투여하는 것 외에 일반적 방법인 혈관 내 주입에 의한 이식도 가능하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의 1일 투여량은 1.0Х104 내지 1.0Х1010 세포/kg 체중, 바람직하게는 2.5Х105 내지 5Х107 세포/kg 체중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질환의 중증도, 투여 경로, 환자의 체중, 연령 및 성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신체의 조직 또는 기관이 목적하는 세포 군집의 생착, 이식 또는 주입에 의해 강화, 치료 또는 대체되는 다양한 종류의 치료 프로토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동결되지 않은 채 사용되거나 차후 사용을 위해 동결될 수 있다. 동결되어야 할 경우, 표준 냉동보존제 (예를 들어 DMSO, 글리세롤, 에피라이프(Epilife®) 세포 동결 배지(Cascade Biologics))가 동결 전 세포 집단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는 근육세포의 세포사멸을 저해함으로써, 염좌, 좌상, 경력 등을 포함한 다양한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법은 자가증식능이 우수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여 공여자 편차(donor variation)를 줄일 수 있는바, 중간엽줄기세포의 대량 확보가 가능하므로 세포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는 체내에서 생존 기간이 증가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P-high 그룹과 P-low 그룹의 복제 시간(doubling tim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P-low 그룹 및 P-high 그룹에서 자가유지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1c는 P-low 그룹 및 P-high 그룹에서 MSMF 유전자 후보로 선정된 AURKA와 DOCK2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선정된 siRNA 서열에 의한 AURKA 및 DOCK2의 상대적 mRNA 발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AURKA와 DOCK2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c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FACS를 통해 줄기세포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b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여부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c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doubling tim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d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e 및 도 3f는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가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kinase인 AKT 및 ERK과 이동능에 관여하는 kinase인 FAK 및 JNK의 인산화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는 10개 lot의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의 mRNA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10개 lot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그래프이다.
도 4c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의 mRNA의 발현량과 복제 시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d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e 및 도 4f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KT, ERK, FAK, 및 JNK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a는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b는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a는 AURKA 및 DOCK2 유전자를 knock-down시킨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b는 AURKA 및 DOCK2 유전자를 knock-down시킨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c는 AURKA 유전자가 knock-dawn된 중간엽줄기세포의 XCL1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a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의 차이에 따른 근육조직의 세포사멸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b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의 차이에 따라 근육 조직의 세포사멸에 대한 억제 효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8a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 잔존 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c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중간엽줄기세포의 분리 및 배양
삼성서울병원의 연구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2011-10-134)을 받았으며, 모든 샘플은 사전 동의를 얻어 수집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종래 알려진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Invitrogen-Gibco) 및 50 ㎍/mL 젠타마이신(Invitrogen-Gibco)이 포함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에 분리된 세포를 3 Х103 cells/㎝2의 밀도로 분주하여 37℃ 및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중간엽줄기세포의 형태와 복제 시간 확인 및 유전자 발현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를 삼성서울병원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에 따라 기준을 통과한 중간엽줄기세포와 통과하지 못한 중간엽줄기세포로 분류하였다. 상기 기준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을 확인한 결과, 기준을 통과한 중간엽줄기세포의 경우 통과하지 못한 중간엽줄기세포에 비해 복제 시간이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제 시간에 따라 각각 Proliferation-high (P-high) 그룹과 Proliferation-low (P-low) 그룹으로 분류한 후, 복제 시간(doubling time)을 확인하였다. 이후,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low 그룹과 P―high 그룹에서 각각의 RNA를 추출한 후, Agilent 2100 Bioanalyzer를 이용하여 RNA quality를 측정하고, Migration, Peak 패턴을 분석하였다. Illumina Hiseq 2500를 이용하여 microarray를 수행하여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log2 fold change가 3배 이상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 1a는 P-high 그룹과 P-low 그룹의 복제 시간(doubling tim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igh 그룹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은 28.4 ± 1.2 시간으로 나타났으나, P-low 그룹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은 47.9 ± 1.6 시간으로 P-high 그룹 대비 1.6배 길게 나타났다.
도 1b는 P-low 그룹 및 P-high 그룹에서 자가유지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녹색은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더 낮은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를 나타내고,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붉은색은 더 높은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를 나타낸다. 도 1c는 P-low 그룹 및 P-high 그룹에서 MSMF 유전자 후보로 선정된 AURKA와 DOCK2의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log2 fold change 값의 평균이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유전자 중에 유착(adhesion), 분화(differentiation), 주화성(chemotaxis), 또는 증식(prolifer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33개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33개 유전자 중에서도 P-low 그룹 대비 P-high 그룹에서 높게 발현되는 유전자는 CORO1A, STX1B, HMGB1, DOCK2, AURKA, SLC9A4, CHRM3, NPR3, RARRES2, ANXA3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RKA 및 DOCK2는 P-low 그룹과 비교하여 P-high 그룹에서 약 4배 이상 높게 발현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유착(adhesion), 분화(differentiation), 주화성(chemotaxis), 또는 증식(prolifer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AURKA와 DOCK2를 MSMF 유전자의 최종 후보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3. 넉다운(knock-down) 효능 검증을 통한 최적의 서열 선정
3-1. AURKA 및 DOCK2의 siRNA 서열 후보 선정 및 mRNA 발현량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MSMF 유전자로 선정된 AURKA와 DOCK2의 siRNA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knock-down 효능 검증을 한 후, 최적의 서열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장 배지에서 50% 정도 배양된 중간엽줄기세포를 무혈청 배지로 옮긴 뒤 siRNA 라이브러리에서 AURKA와 DOCK2에 대한 각각 3가지 후보 서열(bioneer 사)(하기 표 1 참조)을 Lipofectamine RNAiMax (invitrogen)를 이용하여 25nM의 농도로 형질주입하였다. 48시간 후, AccuPrep® Universal RNA Extraction Kit을 이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였고, 2X Power SYBR Green Master Mix (AB)를 사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이후, 상대적 mRNA 발현을 비교하여 가장 크게 knock-down 효과를 보이는 시퀀스를 AURKA 및 DOCK2의 발현을 저해하기 위한 최적의 시퀀스로 선정하였다.
서열번호 siRNA 서열
human AURKA 후보 1 서열번호 1 GAGUCAUAGCAUGUGUGUA
서열번호 2 UACACACAUGCUAUGACUC
후보 2 서열번호 3 CUGUCAUUCGAAGAGAGUU
서열번호 4 AACUCUCUUCGAAUGACAG
후보 3 서열번호 5 GUGCAAUAACCUUCCUAGU
서열번호 6 ACUAGGAAGGUUAUUGCAC
human DOCK2 후보 1 서열번호 7 CAGAACAAAAUCUGCUUCA
서열번호 8 UGAAGCAGAUUUUGUUCUG
후보 2 서열번호 9 CUGAGAAUGACUUCCUAC
서열번호 10 UGUAGGAAGUCAUUCUCAG
후보 3 서열번호 11 CAGAUGAGAGCAAAGACAA
서열번호 12 UUGUCUUUGCUCUCAUCUG
그 결과, siAURKA의 경우, 후보 3의 서열에서 가장 큰 knock-down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iDOCK2의 경우, 후보 2의 서열에서 가장 큰 knock-down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iAURKA의 후보 3 서열 및, siDOCK2의 후보 2 서열을 사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한 후, 선정된 후보에 의한 AURKA 및 DOCK2의 상대적 mRNA 발현율을 비교하여 서열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도 2a는 선정된 siRNA 서열에 의한 AURKA 및 DOCK2의 상대적 mRNA 발현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RKA의 경우, siNC 및 siDOCK2 처리군과 비교하여 siAURKA 처리군에서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DOCK2의 경우, siNC 및 siAURKA 처리군과 비교하여 siDOCK2 처리군에서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선정된 siRNA 서열은 각각의 MSAF 유전자에 대하여 서열 특이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3-2. AURKA 및 DOCK2 단백질의 발현량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RNA 서열에 의해 AURKA와 DOCK2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siAURKA(후보 3)와 siDOCK2(후보 2)을 중간엽줄기세포에 각각 형질주입하여 72 시간동안 배양한 후 중간엽줄기세포를 PBS로 씻어 내었다. 이후, protease inhibitor cocktail (Amresco, Solon, OH, USA)을 넣은 RIPA 버퍼(BIOSESANG, Sungnam, Gyeonggi, Korea)로 용해시킨 뒤, 4℃, 15,000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30 ㎍의 단백질을 SDS-PAGE를 통해 크기 별로 분리되도록 전기영동한 뒤,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에 옮겼다. 상기 멤브레인을 5% skim milk가 포함된 TBST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을 수행하고, 5% skim milk가 포함된 TBST에 1차 항체를 희석하여 4℃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이후, 멤브레인을 TBST로 10분간 3회 씻어낸 뒤 다시 5% skim milk가 포함된 TBST에 2차 항체를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멤브레인을 TBST로 10분씩 3회 씻어내고 ECL solution (Advansta, USA)을 처리한 뒤 gel imaging system (Amersham Imager 600, GE Healthcare, Buckinghamshire, UK)에서 밴드의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단백질의 발현 정도는 이미지 J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β-actin으로 보정하였다. 1차 항체는 AURKA (Invitrogen, CA), DOCK2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을 사용하였다.
도 2b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AURKA와 DOCK2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C 처리 대조군에 비해 siAURK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에서 AURKA의 단백질 발현량 및 DOCK2의 단백질 발현량이 각각 0.51 ± 0.06배 및 0.76 ± 0.04 배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3. 줄기세포능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시퀀스를 이용해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knock-down 시킨 후 FACS를 수행하여 줄기세포능을 확인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마커는 CD44, CD73, CD90, CD105, CD166의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고, 조혈모세포 계통의 마커는 CD14, CD11b, HLA-DR (MHCII), CD34, CD45, CD19 (BD Biosciences, USA)을 사용하여 MSAF siNC 처리 대조군과 줄기세포능을 비교하였다. 이때 BD FACS Verse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10000 event를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도 2c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FACS를 통해 줄기세포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포들은 모두 positive marker인 CD44, CD73, CD90, CD105, CD166은 발현하지만, negative marker인 CD14, CD11b, HLA-DR (MHCII), CD34, CD45, CD19는 발현하지 않았다. 즉, 중간엽줄기세포에서 siRNA에 의해 AURKA와 DOCK2가 knock-down되더라도 줄기세포능에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AURKA 및 DOCK2 발현 억제와 이동능, 콜로니 형성능, 복제 시간, 세포증식 및 키나아제(kinase) 인산화의 상관관계 확인
4-1.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이동능의 상관관계
AURKA 및 DOCK2 발현 억제와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wound healing assa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siDOCK2를 형질주입시킨 중간엽줄기세포를 10% FBS가 첨가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를 이용해 12-웰 플레이트에 1 Х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FBS를 제외한 MEM Alpha 배지로 2회 헹구어 내고, MEM Alpha 배지에 10 ㎍/㎖의 mitomycin C(Sigma-Aldrich, St.Louis, MO)를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200 파이펫 팁을 이용하여 scratch를 내주었다. 배양액으로 5회 헹구어 준 후, 0시간과 24시간 후에 현미경을 통해 40배율로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Java의 Image J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량분석을 하였고, wound closure의 백분율로 세포의 이동능을 표현하였다.
도 3a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C 처리 대조군의 이동능은 61.02 ± 1.0%를 나타내는 반면, siAURK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의 이동능은 각각 44.06 ± 1.87%, 및 47.18 ± 2.93%를 나타내었다. 즉,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됨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콜로니 형성능의 상관관계
AURKA 및 DOCK2 발현 억제와 중간엽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siDOCK2를 형질주입시킨 중간엽줄기세포를 10% FBS가 첨가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를 이용해 6-웰 플레이트에 1 Х103 cells/well로 분주하여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들을 PBS를 이용하여 헹구고 차가운 100% methanol로 20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1% Crystal violet solution (Sigma-Aldrich, St.Louis, MO)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염색한 후, 증류수로 3회 이상 헹구었고 50개 이상의 세포로 구성된 콜로니만 수를 세었다.
도 3b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여부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C 처리 대조군의 콜로니 수는 30.7 ± 4.0인 것에 비해 siRN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의 콜로니 수는 각각 13.0 ± 2.7개 및 11.0 ± 1.4개로 감소하였다. 즉,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됨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의 형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복제 시간의 상관관계
AURKA 및 DOCK2 발현 억제와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siDOCK2를 형질주입시킨 중간엽줄기세포를 10% FBS가 첨가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를 이용해 12-웰 플레이트에 3 Х103 cells/cm2 의 밀도로 분주하고, 분주 후 0, 24, 72, 144시간에 각각 cell 수를 측정하여 복제 시간을 확인하였다.
도 3c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doubling time)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NC 처리 대조군의 복제 시간은 31.1 ± 0.4 시간으로 나타난 반면, siAURK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은 각각 55.3 ± 0.8 시간, 처리군은 및 59.2 ± 0.8 시간을 나타내었다. 즉,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됨에 따라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이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4.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세포증식능의 상관관계
AURKA 및 DOCK2 발현 억제와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증식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siDOCK2를 형질주입시킨 중간엽줄기세포를 10% FBS가 첨가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를 이용해 96-웰 플레이트에 2 Х103 cells/well로 분주하고, 분주 후 0, 24, 72, 144시간에 cell counting kit-8 (CCK-8, Dojindo, Japan, Tokyo)을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d는 siAURKA와 siDOCK2를 중간엽줄기세포에 형질주입하여 MSMF 유전자를 knock-down 시킨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배양 24시간 후, siAURKA 및 siDOCK2의 처리군은 siNC 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증식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8시간 이후부터 siNC 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siAURKA 및 siDOCK2의 처리군에서 세포증식능이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의 증식이 더 큰 폭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5.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키나아제(kinase) 인산화의 상관관계
AURKA 및 DOCK2의 발현 억제와 AKT, ERK, FAK 및 JNK의 인산화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항체로 AKT, p-AKT, p-ERK (R&D, Minneapolis, MN, USA), ERK, FAK, p-FAK, JNK, p-JNK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및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였다.
도 3e 및 도 3f는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가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kinase인 AKT 및 ERK과 이동능에 관여하는 kinase인 FAK 및 JNK의 인산화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3e 및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RKA의 발현이 억제됨으로써 AKT 및 FAK의 인산화가 억제되고, DOCK2의 발현이 억제됨으로써 AKT, ERK 및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AURKA는 AKT 및 FAK를 통해 세포 증식 및 이동능에 영향을 미치고, DOCK2는 AKT, ERK 및 JNK를 통해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4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AURKA 및 DOCK2 유전자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능, 콜로니 형성능, 세포 증식에 영향을 줌으로써 자가유지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AURKA와 DOCK2의 발현량과 복제시간, 및 키나아제(kinase) 인산화의 상관관계 확인
5-1.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복제시간의 상관관계
중간엽줄기세포는 공여자 편차(Donor variation)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복제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공여자 편차를 줄인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10명의 기증자로부터 획득한 10개의 중간엽줄기세포를 10% FBS가 첨가되어 있는 MEM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Gibco, Rockville, MD) 배지를 이용해 25T 플라스크에 3 Х103 cells/ cm2 의 밀도로 분주하고, 80% 정도 자랐을 때 RNA를 추출하여 qRT-PCR을 수행한 후, AURKA와 DOCK2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상기 10개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을 확인한 후,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량과 세포의 복제 시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도 4a는 서로 다른 10개의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의 mRNA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_A는 10개의 줄기세포 중에서 AURKA mRNA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으며, MSC_C는 10개의 줄기세포 중에서 DOCK mRNA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반면, MSC_J의 경우,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낮았다.
도 4b는 서로 다른 10개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_A의 복제 시간은 20.9 ± 0.6 시간으로 가장 짧았고, MSC_J의 복제 시간은 41.9 ± 0.6 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상기 10개의 중간엽줄기세포의 복제 시간은 평균적으로 27.6 ± 1.8시간을 나타내었다.
도 4c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의 mRNA의 발현량과 복제 시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RKA mRNA의 발현량과 복제시간과의 상관관계는 r = -0.757로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DOCK2 mRNA의 발현량과 복제 시간과의 상관관계는 r = -0.536으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 0.01)
따라서,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량이 높을수록 복제 시간이 짧아지는 바,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자가증식능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다.
5-2.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AURKA 및 DOCK2 단백질 발현량과의 상관관계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AURKA 및 DOCK2 단백질 발현량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장 배지에서 80% 정도 배양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였다. 이후, AURKA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높은 MSC_A, DOCK2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높은 MSC_C, 및 AURKA와 DOCK2의 mRNA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모두 낮은 MSC_J를 선별(도 4a 참조)하여 AURKA와 DOCK2의 단백질 발현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도 4d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_J는 MSC_A, 및 MSC_C에 비해 AURKA 및 DOCK2의 단백질 발현이 각각 0.31 ± 0.05 배, 및 0.59 ±0.02배로 감소하였다. 즉,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이 낮은 중간엽줄기세포는 그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백질 발현 역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3.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키나아제(kinase) 인산화의 상관관계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mRNA 발현량과 AKT, ERK, FAK, 및 JNK 인산화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5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였다.
도 4e 및 도 4f는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KT, ERK, FAK, 및 JNK의 인산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4e 및 도 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_A 및 MSC_C의 경우,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kinase인 AKT 및 ERK와 이동능에 관여하는 kinase인 FAK 및 JNK의 인산화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MSC_J의 경우, MSC_A 및 MSC_C에 비해 AKT는 0.46 ± 0.08배, ERK는 0.37 ± 0.07배로 인산화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AK는 0.79 ± 0.03배, JNK는 0.56 ± 0.05배로 인산화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와 DOCK2의 mRNA와 단백질 발현량의 차이는 세포 증식과 이동능에 관여하는 kinase의 인산화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유전자의 발현량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는 AKT 및/또는 ERK의 인산화를 통해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고, FAK 및/또는 JNK의 인산화를 통해 이동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발현량과 세포사멸의 상관관계 확인
6-1.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 확인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사멸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AURKA및 DOCK2의 발현량과 cleaved PARP 및 cleaved Caspase 3의 발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0% FBS 및 1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BRL, Grand Island, NY)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Biowest SAS, Nuaille, France) 배지를 이용하여 6-웰 플레이트에 근육세포 C2C12를 8 Х103 cells/ cm2 의 밀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다시 24시간 동안 FBS를 starvation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이후,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insert를 이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하였다. 1차 항체로 cleaved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 (Cell Signalling Technology, Danvers, MA), cleaved Caspase 3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및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고, 세포사멸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5a는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한 실험군에서 cleaved PARP 및 cleaved Caspase 3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해 MSC_A 또는 MSC_C와 공배양한 실험군에서는 cleaved caspase3 발현량이 각각 0.41 ± 0.07 및 0.38 ± 0.07배로 감소하였고, cleaved PARP 발현량은 각각 0.37 ± 0.06 및 0.35 ± 0.05배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01). 그러나 MSC_J와 공배양한 실험군에서의 cleaved caspase3 발현량은 0.66 ± 0.07배, cleaved PARP 발현량은 0.78 ± 0.01배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과 경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이 낮을수록 근육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6-2.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6-1의 C2C12 세포의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poptosis/Necrosis Detection Kit (Abcam,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여 Live/dead staining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한 근육세포와 중간엽줄기세포를 공배양한 실험군을 PBS로 2번 씻어낸 후 세포사멸을 확인할 수 있는 Apopxin Green Indicator와 살아있는 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CytoCalcein Violet 450으로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를 PBS로 2 번 씻어내고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전체 세포 중에 세포사멸이 된 세포의 비율은 이미지 J를 이용하여 수치를 측정하였다.
도 5b는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한 실험군에서 모두 세포사멸이 억제되었다. 구체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서는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백분율이 52.04 ± 1.93 %로 나타난 반면, MSC_A, MSC_C, 또는 MSC_J와 공배양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22.50 ± 2.17 %, 25.72 ± 1.53 %, 및 31.87 ± 1.99 %로 감소하였다 (p<0.001). 특히, AURKA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높은 MSC_A와 공배양한 실험군의 경우, MSC_J와 공배양한 실험군에 비해 세포사멸된 세포의 비율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p<0.001).
따라서, AURKA 및 DOCK2의 mRNA 발현량이 낮은 중간엽줄기세포는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와 공배양 시, 세포사멸을 억제해주는 효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 억제와 세포사멸의 상관관계 확인
7-1.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 확인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knock-down이 세포사멸 억제 효능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에 중간엽줄기세포,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또는 siDOCK2를 처리한 중간엽줄기세포를 각각 공배양한 뒤,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6a는 AURKA 및 DOCK2 유전자를 knock-down시킨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한 실험군은 대조군(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과 비교하여 cleaved caspase3, 및 cleaved PARP의 단백질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 siNC 처리군, siAURK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과 공배양한 근육세포에서 cleaved caspase3의 발현량이 각각 0.34± 0.04, 0.30 ± 0.02, 0.52 ± 0.05, 및 0.40 ± 0.04 배만큼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01). 또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 siNC 처리군, siAURKA 처리군, 및 siDOCK2 처리군과 공배양한 근육세포에서 cleaved PARP의 발현량이 각각 0.39 ± 0.07, 0.45 ± 0.04, 0.72 ± 0.043, 및 0.54 ± 0.045배만큼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SC, siNC, siDOCK2, p<0.001; siAURKA, p<0.01). 특히,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 세포와 공배양한 siAURKA 처리군은 siNC 처리군보다 cleaved caspase3, 및 cleaved PARP의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1).
7-2.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 확인
AURKA 및 DOCK2 유전자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에 중간엽줄기세포, siNC, 및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정된 siAURKA, 또는 siDOCK2를 처리한 중간엽줄기세포를 각각 공배양한 뒤, 상기 실시예 6-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6b는 AURKA 및 DOCK2 유전자를 knock-down시킨 중간엽줄기세포와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를 공배양하여, AURKA 및 DOCK2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소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엽줄기세포와 공배양한 실험군은 대조군(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과 비교하여 세포사멸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대조군에서는 세포사멸율이 41.73 ± 1.03 %로 나타난 반면, 중간엽줄기세포, siNC 처리군, siAURKA 처리군, siDOCK2 처리군과 공배양한 근육세포의 경우, 각각 17.93 ± 1.40 %, 17.79 ± 2.06 %, 32.75 ± 2.24 %, 및 25.62 ± 2.29 %로 감소하였다 (p<0.001). 특히, 세포사멸이 유도된 근육세포와 공배양을 한 siAURKA 처리군은 siNC 처리군에 비해 세포사멸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01).
따라서, AURKA가 knock-down이 되면 세포사멸 억제 효능이 더 크게 감소하므로, 중간엽줄기세포의 근육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 효능은 DOCK2 보다는 AURKA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7-3. AURKA 유전자 발현 억제에 따른 XCL1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확인
근육세포에 대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사멸 억제 효능이 AURKA 유전자의 발현량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1에서 선별된 siRNA를 이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에서 AURKA 유전자를 knock-down한 후, 세포사멸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1차 항체로 XCL1 (R&D, Minneapolis, MN, USA),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USA)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랏팅을 수행하였다.
도 6c는 AURKA 유전자가 knock-dawn된 중간엽줄기세포의 XCL1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AUKRA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됨에 따라 세포사멸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XCL1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siAURKA 처리군은 siNC 처리군과 비교하여 XCL1의 발현량이 0.44 ± 0.07배만큼 감소하였다(p<0.01). 즉, AURKA 유전자는 XCL1의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중간엽줄기세포의 근육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억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8.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과 근육조직의 세포사멸의 상관관계 확인
8-1.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세포의 세포사멸 억제 확인
AURKA의 mRNA 발현량에 따른 중간엽줄기세포의 근육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Annexin V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Mdx)의 꼬리 정맥에 중간엽줄기세포를 1 ×105 cells/100 ㎕로 단 회 투여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7의 결과를 통해 세포사멸 억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한 AURKA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높은 MCS_A, AURKA mRNA 발현량의 중간 값을 보이는 MCS_E, 및 AURKA의 mRNA 발현량이 가장 낮은 MCS_J를 사용하였다. 1 주일 후 마우스를 희생시켜 종아리 근육 분리하여 조직을 획득하였다. 이후, 1차 항체로 annexin V (Abcam, Cambridge, Ma, USA),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7a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의 차이에 따른 근육조직의 세포사멸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S_A 및 MCS_E를 투여한 경우, Mdx 대조군과 비교하여 Annexin V의 발현량이 각각 0.58 ± 0.05, 0.67 ± 0.04 배만큼 감소하였으나, MCS_J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AURKA의 mRNA 발현량이 낮을수록 세포사멸 억제 효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2.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세포의 세포사멸 정도 확인
AURKA의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 조직의 세포사멸 억제 정도를 Annexin V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Mdx 마우스 모델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분리한 후, paraffin tissue section으로 절단한 조직을 씻어내어 5% 블로킹 용액으로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4℃에서 18시간 동안 1/500 농도로 희석한 Annexin antibody (Abcam, Cambridge, UK)과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된 조직을 씻어낸 후 Alexa Fluor® 594 AffiniPure Goat Anti-rabbit IgG (H+L) secondary antibody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Hoechst 33342 (Thermo fisher scientific, Rockford, IL)으로 counter-stain하여 Carl Zeiss LSM 700 confocal microscopy system을 이용해 조직으로부터 형광 이미지를 얻었다. 촬영된 이미지는 Java의 Image J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량분석을 하여 Mdx 대조군에 상대적인 값을 구하였다.
도 7b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의 차이에 따라 근육 조직의 세포사멸에 대한 억제 효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S_A, MCS_F, 및 MCS_L을 투여한 경우, Mdx 대조군과 비교하여각각 0.41 ± 0.05, 0.43 ± 0.07, 및 0.64 ± 0.06 배만큼 Annexin V의 상대적인 강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AURKA의 발현이 가장 높은 MCS_A를 투여한 경우, AURKA 발현이 가장 낮은 MCS_J를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Annexin V의 상대적인 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즉, AURKA mRNA의 발현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는 손상된 근육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능이 더 큰 바,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를 근육 질환의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9.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과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 확인
9-1.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잔존 정도 확인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Mdx)의 다리 근육에 잔존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수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으로 Mdx 마우스모델의 허벅지와 종아리 근육을 분리한 후, Gentra Puregene Tissue kit (Qiagen Inc.)을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고, human Alu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도 8a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세포 잔존 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C_A, MSC_F 및 MSC_J를 투여한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의 다리 근육에서 잔존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수는 각각 41.23 ± 5.60, 42.68 ± 8.71, 및 16.96 ± 8.44로 나타났다. 특히, AURKA mRNA 발현량이 가장 낮은 MSC_J를 투여한 경우,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의 다리 근육에 잔존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가장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AURKA mRNA 발현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는 손상된 근육세포로 이동하여 더 많은 수의 세포가 손상된 부위에 잔존함으로써 근육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9-2.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세포의 섬유화 억제 확인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을 피브로넥틴 발현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항체로 Fibronectin (Abcam, Cambridge, Ma, USA), Beta-actin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2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8b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S_A, MCS_E, 및 MCS_J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0.54 ± 0.04, 0.60 ± 0.03, 및 0.71 ± 0.05 배만큼 피브로넥틴의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즉, AURKA mRNA의 발현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는 피브로넥틴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손상된 근육세포의 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9-3.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 발현량에 따른 근육세포의 섬유화 확인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억제 효능을 콜라겐 축적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8-1와 동일한 방법으로 Mdx 마우스모델의 허벅지 근육 조직을 씻어낸 후, picro-sirius red (Solution A)로 실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Acidified water (Solution B)로 2회 세척하고, mounting한 후 Scanscop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촬영된 이미지는 Java의 Image J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량분석을 하여 Mdx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값을 구하였다.
도 8c는 근이영양증 마우스모델에서 중간엽줄기세포의 AURKA mRNA의 발현량에 따른 근육조직의 섬유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S_A, MCS_E, 및 MCS_J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0.26 ± 0.04, 0.27 ± 0.03, 및 0.73 ± 0.04 배만큼 콜라겐의 축적이 감소하였다. 즉, AURKA mRNA의 발현이 높은 중간엽줄기세포는 콜라겐의 축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손상된 근육세포의 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의 선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융모막, 탈락막 또는 태반에서 유래된 것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SMF는 유착(adhesion), 분화(differentiation), 주화성(chemotaxis), 또는 증식(porolifer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것인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FBKN4, OLR1, TNFAIP6, ANXA3, ILO6, POU2F2, TNFAIP2, SERPINE2, INHBA, VEGRA, HMGB1, CSF2, GATA3, PCSK6, SYN1, F2RL1, DOCK2, SLCOQ4, STX1B, RARRES2, CXCL1, FGF7, PLAU, SCG2, NR4A3, CORD01A, CHRM3, NPR3, BST2M, GATA4M, CREG1M, FGF7M, TPEL5, 및 AURK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5.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는 MSMF의 발현이 증가된 것인 중간엽줄기세포.
  7.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8.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중간엽줄기세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MSMF는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근육 질환, 염증 질환, 면역 질환 또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세포치료제.
  15.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6. 근육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17. 근육 질환을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자가유지인자(MSCs self-maintenance Factor, MSMF)를 분비하거나 모세포에 비하여 MSMF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된 중간엽줄기세포, 또는 MSMF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PCT/KR2021/017083 2020-12-07 2021-11-19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WO20221246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93114.3A CN116867909A (zh) 2020-12-07 2021-11-19 自我维持能力提高的间充质干细胞的筛选方法及由此筛选出的间充质干细胞
JP2023534748A JP2023552808A (ja) 2020-12-07 2021-11-19 自己維持能が向上された間葉系幹細胞を選別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選別された間葉系幹細胞
US18/256,352 US20240018588A1 (en) 2020-12-07 2021-11-19 Method for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having improved self-maintenance ability, and mesenchymal stem cells selected thereby
EP21903672.0A EP4257703A1 (en) 2020-12-07 2021-11-19 Method for selecting mesenchymal stem cells having improved self-maintenance ability, and mesenchymal stem cells select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69835 2020-12-07
KR10-2020-0169835 2020-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626A1 true WO2022124626A1 (ko) 2022-06-16

Family

ID=8197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7083 WO2022124626A1 (ko) 2020-12-07 2021-11-19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8588A1 (ko)
EP (1) EP4257703A1 (ko)
JP (1) JP2023552808A (ko)
KR (2) KR102580518B1 (ko)
CN (1) CN116867909A (ko)
WO (1) WO202212462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8304A (ko) * 2006-10-30 2009-07-17 가부시키가이샤 제노믹스 손상 조직의 기능적 재생 촉진용 의약
US20110020291A1 (en) * 2007-11-17 2011-01-27 Debrabrata Banerjee Use of stem cells for wound healing
US9234897B2 (en) * 2005-03-31 2016-01-12 Two Cells Co., Ltd Method for distinguishing mesenchymal stem cell using molecular marker and use thereof
CN106957821A (zh) * 2017-04-26 2017-07-18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调控间充质干细胞定向分化的方法
KR20190073610A (ko) * 2011-04-26 2019-06-26 가부시키가이샤 스템림 조직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펩티드 및 그의 이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971B1 (ko) * 2016-02-19 2018-03-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xcl1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4897B2 (en) * 2005-03-31 2016-01-12 Two Cells Co., Ltd Method for distinguishing mesenchymal stem cell using molecular marker and use thereof
KR20090078304A (ko) * 2006-10-30 2009-07-17 가부시키가이샤 제노믹스 손상 조직의 기능적 재생 촉진용 의약
US20110020291A1 (en) * 2007-11-17 2011-01-27 Debrabrata Banerjee Use of stem cells for wound healing
KR20190073610A (ko) * 2011-04-26 2019-06-26 가부시키가이샤 스템림 조직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펩티드 및 그의 이용
CN106957821A (zh) * 2017-04-26 2017-07-18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调控间充质干细胞定向分化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518B1 (ko) 2023-09-21
KR20230095040A (ko) 2023-06-28
EP4257703A1 (en) 2023-10-11
US20240018588A1 (en) 2024-01-18
KR20220080700A (ko) 2022-06-14
JP2023552808A (ja) 2023-12-19
CN116867909A (zh)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4758A2 (ko) 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고효능 줄기세포 선별방법
WO2019050071A1 (ko) 엑소좀 또는 엑소좀 유래 리보핵산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26712A2 (ko) Nod2의 아고니스트를 처리한 줄기세포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6048107A1 (ko) 인터페론-감마 또는 인터류킨-1베타를 처리한 줄기세포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14182051A1 (ko) Asm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17633A1 (ko)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19198995A1 (ko) 엑소좀 기반의 면역세포의 교차분화 방법
WO2018056706A1 (ko) 티오레독신 결합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줄기세포의 역노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7146538A1 (ko) 조절 t 세포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03300A1 (ko) Mirna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124626A1 (ko) 자가유지능이 향상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선별된 중간엽줄기세포
WO2021137674A1 (ko) 조직 재생용 조성물
WO2020091463A1 (ko)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건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2131742A1 (ko) 소포체 스트레스 유발 물질로 처리된 세포 유래 엑소좀 및 이의 용도
WO2021002664A1 (ko)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78519A1 (ko) 근육 노화 억제용 또는 근육 노화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2133992A1 (ko)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WO2015056970A1 (ko) 프로그래뉼린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76475A1 (ko) Hgf 단백질 또는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21225214A1 (ko) 태반 유래의 세포외 소포의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과 조성물
WO2021145675A1 (ko) 표적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유래 베시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8277A (ko) 중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28429A1 (ko) 이노시톨 다인산 멀티키나아제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39922A1 (ko)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분비 단백체를 포함하는 루푸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220211766A1 (en) Selection of fibroblast donors for optimization of allogeneic fibroblast-mediated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3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4748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1825635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03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07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93114.3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