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03034A1 -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03034A1
WO2022103034A1 PCT/KR2021/015352 KR2021015352W WO2022103034A1 WO 2022103034 A1 WO2022103034 A1 WO 2022103034A1 KR 2021015352 W KR2021015352 W KR 2021015352W WO 2022103034 A1 WO2022103034 A1 WO 20221030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cuff
pulley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3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호열
손재범
정의성
정유수
박영상
송찬호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ublication of WO20221030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030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1Pneumatic massage by localized pressure, e.g. air streams or j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6Heartbeat rate
    • A61H2230/065Heartbeat rat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피기술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가해지는 압박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부에 상기 압박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구동부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시술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착용부와 압박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와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압박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으며 피시술자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부착부를 적용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을 이용한 사지압박순환장치는 공기압의 변화에 따른 커프(cuff,완대)의 반복적인 팽창과 수축을 통하여 혈관을 확대시켜 혈액 순환과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키며, 피부 깊이 자리한 피하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사람의 건강을 회복, 유지, 증진시킬 목적으로 고안된 장치이다.
이러한 사지압박순환장치는 주로 사람의 팔, 다리, 허리, 어깨 등에 커프를 둘러싸고 상기 커프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공기주머니에 압축공기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배기시켜 마사지를 수행하게 된다.
통상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사지압박순환장치는 공기압발생기의 구동으로 발생된 공기압이 내부에 구비된 공기 분배기에 의해 분배되어 공기호스를 통과하여 커프의 각 공기주머니로 공급되어 신체 접촉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사지 받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커프를 둘러싸고, 공기압발생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상기 공기압발생기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를 작동 모드로 전환시켜 사지압박순환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공기압을 이용한 사지 압박 장치는 공압 구동을 위한 컴프레셔를 침상의 인근에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압 구동을 위한 컴프레셔는 작동시 많은 소음이 발생할 뿐 아니라 규모가 크고 무거워 사지 압박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구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소형화를 위한 공압 방식을 사용하기 않고 모터를 사용하는 압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압박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착탈시키는 커넥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고 압박기 시스템을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착용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타입의 착용부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은 피시술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피기술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가해지는 압박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부에 상기 압박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구동부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착용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부와 결합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착용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로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일면이 오목하게 굴곡진 만곡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피시술자의 신체 수용 공간을 갖도록 상기 만곡면을 둘러싸는 커프;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의 끝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커프풀리; 상기 커프풀리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와이어풀리; 및 상기 와이어풀리에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프풀리는 상기 와이어풀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프풀리는 상기 커프의 일단이 감기는 제1커프풀리; 및 상기 커프의 타단이 감기는 제2커프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풀리는 상기 제1커프풀리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풀리; 및 상기 제2커프풀리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리트랙터블 릴(Retractable Reel); 상기 구동부에 체결 및 이탈되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연결핀; 및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구동모터; 및 사용자입력장치 또는 상기 압력측정장치에서 전송된 신호와 심전도 맥박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상기 피시술자의 심전도와 맥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커프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피시술자의 맥박과 반대되는 역박동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기 피시술자의 심장으로 향하는 혈류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는 타면에 상기 와이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와이어배출공; 및 상기 바디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가 외부로 배출되는 한 쌍의 커프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에 의하면, 동력전달부와 연결된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착용부를 구동부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피시술자에 적합한 타입의 착용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압박기의 착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착용부가 구동부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착용부를 피시술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착용부의 소모품화에 따른 압박기의 단가가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압박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부를 침상 아래 또는 임의의 장소에 배치가 가능하여 압박기의 효율적인 배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외장 하우징의 크기 및 무게의 제약을 받지 않아 구동부 내부에 충분한 차폐부재의 충전이 가능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전자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1)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100), 구동부(200), 동력전달부(300) 및 커넥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용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부(100)는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을 전달 받아 피시술자의 신체부위에 압박력이 가해지도록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용부(100)는 상기 구동부(200)와 분리하여 피시술자가 위치한 침상 위에 배치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치료 또는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착용부(100)는 바디(110), 커프(120), 커프풀리(130), 와이어풀리(140) 및 탄성부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일면이 오목하게 굴곡진 만곡면을 갖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10)는 상기 착용부(100)의 외장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함체로 구성되며, 피시술자의 사지에 접합하는 상기 바디(110)의 일면은 사지의 형상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내부에 상기 커프풀리(130), 와이어풀리(140) 및 탄성부재(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는 상기 바디(110)의 일면에 와이어(31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공된 와이어배출공(111)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의 다른쪽 일면에는 상기 커프(120)가 외부로 배출되는 커프배출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프배출홀(112)은 상기 커프풀리(130)와 결합된 커프(120)가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홀로써, 상기 바디(110) 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프배출홀(112)은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는 커프(120)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커프(120)의 양단이 상기 커프풀리(13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프(120)는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고,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프(120)는 상기 커프배출홀(112)을 통해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커프가 커프풀리(130)에 의해서 감겨지게 될 때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를 조여서 압박력을 가하도록 늘어짐이 없는 재질의 밴드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프(120)는 일단이 후술할 제1커프풀리(131)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2커프풀리(13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커프풀리(131) 및 제2커프풀리(1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프의 양단이 감겨지고 풀어지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프풀리(130)는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120)의 양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커프(120)에 압박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프풀리(130)는 상기 커프(120)의 일단이 감기는 제1커프풀리(131) 및 상기 제1커프풀리(131)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120)의 타단이 감기는 제2커프풀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프풀리(130)는 상기 와이어풀리(14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프풀리(130)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받은 와이어(310)에 의해 감겨지는 와이어풀리(140)와 연동되어 감겨지면서 상기 커프(120)의 양단을 당겨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압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풀리(140)는 상기 커프풀리(130)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10)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풀리(140)는 상기 제1커프풀리(131)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1와이어(311)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풀리(141) 및 상기 제2커프풀리(132)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2와이어(312)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풀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풀리(140)는 상기 커프풀리(13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풀리(140)는 상기 커프풀리(130)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310)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에서 생성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310)가 감겨지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1와이어(311)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풀리(141) 및 제2와이어(312)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풀리(14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310)는 한 쌍이 와이어(310)로 구성되고, 각각의 와이어(310) 일단이 상기 와이어풀리(140)에 연결되어 감겨지며 상기 와이어(31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배출공(111)을 통해 상기 커넥터부(400)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착용부(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풀리(140)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압박 동력을 받은 와이어(310)가 감겨지고, 감겨진 와이어풀리(140)와 연동된 커프풀리(130)가 감겨지면서 피시술자에게 압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풀리(140)는 상기 커프(120)의 일단이 연결된 제1커프풀리(1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1와이어(311)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풀리(142)는 상기 커프(120)의 타단이 연결된 제2커프풀리(132)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제2와이어(312)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311)와 제2와이어(312)는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풀리(141) 및 제2와이어풀리(142)에 각각 연결된 후 모아져 상기 와이어배출공(111)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커넥터부(400)로 각각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커프풀리(130) 및 상기 와이어풀리(140)에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와이어풀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부(2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 상기 와이어풀리(140)가 동력 해제 시 원래 상태로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와이어(310)가 당겨질 경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와이어(310)의 당김 해제시 탄성 복원력을 상기 와이어풀리(140)에 전달하여 상기 와이어풀리(14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풀리(140) 및 상기 커프풀리(130)가 감겨지고 풀어지는 반복적인 작동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와이어(310)를 당긴 후 당김을 해제하는 동작만으로도 피시술자의 착용부(100)가 착용된 신체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프(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프(120a) 및 제2커프(12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프(120a)와 상기 제2커프(120b)는 탈착부재(1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프(120)는 상기 제1커프(120a)의 일단이 상기 제1커프풀리(13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커프(120b)의 일단이 상기 제2커프풀리(132)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커프(120a)의 타단 및 상기 제2커프(120b)의 타단에 상기 탈착부재(121)가 장착되어 상기 탈착부재(121)에 의해 상기 제1커프(120a) 및 상기 제2커프(120b)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재(121)는 밸크로 또는 스냅단추 등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착용부(100)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와이어(310)에 작용하는 당김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200)는 커넥터(400)와 상기 동력전달부(300)에 의해 상기 착용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착용부(100)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침상 아래 또는 임의의 장소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200)를 수용하는 컨트롤 박스의 외장의 크기 및 무게의 제약을 받지 않아 상기 컨트롤박스 내부에 충분한 차폐부재의 충전이 가능하여 전자파 및 소음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모터(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와이어(310)를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와이어(310)에 당김 동력을 작용한 후 당김 동력이 해제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310)의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커프(120)가 피시술자의 신체에 압박 및 압박 해제 작용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커넥터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장치(230) 또는 압력측정장치(440)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210)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20)는 후술할 압력측정장치(440)에서 측정된 압박 강도 값을 전송받아 사용자입력장치(230)에서 설정된 압박 강도에 맞춰 상기 구동모터(2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입력장치(230)에서 설정된 압박 강도, 타이밍, 반복 횟수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 역 회전을 반복하여 상기 와이어(310)를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사지를 압박 또는 압박 해제를 반복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0)는 심전도, 맥박 감지장치(260)로부터 피시술자의 심전도, 맥박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피시술자의 맥박 파동에 반대되는 역박동 압박력을 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210)의 정, 역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심장이완기에 심장으로 향하는 혈류를 인위적으로 상승시켜 혈관, 심장질환 시 수술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착용부(100)와 구동부(200)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부(100)에 상기 압박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분리된 상기 착용부(100)와 상기 구동부(200)를 와이어(310)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착용부(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착용부(100)와 상기 구동부(20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210)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착용부(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피시술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와이어(310) 및 와이어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커넥터부(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와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310)는 일단이 상기 착용부(100)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부(4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착용부(1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400)로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310)는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풀리(14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부(400)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311) 및 일단이 상기 제2와이어풀리(14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부(400)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3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311) 및 상기 제2와이어(312)는 상기 와이어배출공(111)으로 배출되어 상기 와이어가이드(320)를 지나 후술할 커넥터부(400)의 리트랙터블 릴(410)에 감겨진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210)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 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311)는 상기 제1커프풀리(131)와 연결된 상기 커프(120)의 일단에 장력을 작용하고, 상기 제2와이어(312)는 상기 제2커프풀리(132)와 연결된 상기 커프(120)의 타단에 장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310)는 상기 구동부(200)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전달 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20)는 상기 와이어(310)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20)은 상기 구동부(200)와 착용부(100)의 위치/배치에 상관업이 상기 구동부(200)의 와이어(310)의 당기는 힘을 착용부(200)에 전달하게 한다.
만약 상기 와이어가이드(320)가 없으면 상기 구동부(200)과 착용부(100)가 특정 위치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310)가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만 동력이 전달 된다.
하지만 상기 와이어 가이드(320)이 착용부와 구동부를 연결해주기 때문에 착용부와 구동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즉, 착용부와 구동부가 고정될 필요없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가이드(320)는 길이방향으로는 수축이 되지 않는 재질 및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320)의 측 방향(가이드의 길이방향이 아닌)으로는 플랙시블해서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에(300)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부(400)는 상기 구동부(200)에 장착 및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와이어(310)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결된 와이어(310)에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400)는 상기 착용부(100)와 동력전달부(300)를 상기 구동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피시술자에 따른 상이한 규격의 착용부(100), 즉 피시술사의 신체부위에 적합하도록 각각 다양한 형상의 바디(110) 를 포함하는 착용부(100)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피시술자의 착용감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커넥터부(400)는 리트랙터블 릴(410), 연결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트랙터블 릴(410)은 상기 연결핀(420)과 같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310)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트랙터블 릴(410)은 상기 와이어(31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310)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착용부(100)에 당김 또는 당김 해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핀(420)은 상기 구동부(200)의 삽입공(430)을 통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모터와 체결 및 분리되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410)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와이어(310)에 전달하여 상기 와이어(310)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트랙터블 릴(41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와이어(3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센서(440)가 상기 커넥터(4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와이어(3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 측정 센서(440)가 상기 구동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0)의 장력을 측정하면 상기 커프(120)에 의하여 피시술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220)는 기설정된 압박 강도에 따라 상기 커프(120)가 상기 피시술자에게 압박력을 피드백 제어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심전도 맥박 감지장치(260)로부터 측정된 피시술자의 심전도 맥박 정보로부터 이와 반대되는 역박동을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압박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심장으로 가는 혈류를 상승시켜 피시술자의 혈관,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박기 시스템(1)은 치료에 요구되는 압박 강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압박 강도를 필요로 하는 심부정맥혈전증, 협심증, 심부전, 심근경색 등 혈액 순환에 따른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압박 강도, 타이밍, 반복 횟수를 조절하여 마사지 및 안마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에 의하면, 동력전달부와 연결된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착용부를 구동부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피시술자에 적합한 타입의 착용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압박기의 착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착용부가 구동부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착용부를 피시술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착용부의 소모품화에 따른 압박기의 단가가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압박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를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동부를 침상 아래 또는 임의의 장소에 배치가 가능하여 압박기의 효율적인 배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착용부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외장 하우징의 크기 및 무게의 제약을 받지 않아 구동부 내부에 충분한 차폐부재의 충전이 가능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전자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공압 방식이 아닌 와이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압박 동력을 커프에 전달하는 구동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공압 컴프레셔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협심증, 심부전,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의 재활 치료(ECP-외부역박동술)의 목적으로 하는 압박기 시스템을 소형, 경량, 이동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와 연결된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착용부를 구동부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피시술자에 적합한 타입의 착용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압박기의 착용성을 증대시키고, 착용부를 피시술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착용부의 소모품화에 따른 압박기의 단가가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줄 뿐 아니라 압박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구동부를 침상 아래 또는 임의의 장소에 배치가 가능하여 압박기의 효율적인 배치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며, 구동부 외장 하우징의 크기 및 무게의 제약을 받지 않아 구동부 내부에 충분한 차폐부재의 충전이 가능하여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전자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피시술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피기술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 및 압박 해제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가해지는 압박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
    상기 착용부와 구동부를 연결하여, 상기 착용부에 상기 압박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구동부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착용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부와 결합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와이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착용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부로 연결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일면이 오목하게 굴곡진 만곡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피시술자의 신체 수용 공간을 갖도록 상기 만곡면을 둘러싸는 커프;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의 끝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커프풀리;
    상기 커프풀리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와이어풀리; 및
    상기 와이어풀리에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프풀리는,
    상기 와이어풀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풀리는,
    상기 커프의 일단이 감기는 제1커프풀리; 및
    상기 커프의 타단이 감기는 제2커프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풀리는,
    상기 제1커프풀리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와이어풀리; 및
    상기 제2커프풀리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제2와이어풀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리트랙터블 릴(Retractable Reel);
    상기 구동부에 체결 및 이탈되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연결핀; 및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당김 또는 당김 해제하는 구동모터; 및
    사용자입력장치 또는 상기 압력측정장치에서 전송된 신호와 심전도 맥박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상기 피시술자의 심전도와 맥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커프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상기 피시술자의 맥박과 반대되는 역박동 압박을 가함으로써 상기 피시술자의 심장으로 향하는 혈류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타면에 상기 와이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와이어배출공; 및
    상기 바디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커프가 외부로 배출되는 한 쌍의 커프배출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PCT/KR2021/015352 2020-11-13 2021-10-28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WO20221030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07 2020-11-13
KR1020200152207A KR102470608B1 (ko) 2020-11-13 2020-11-13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3034A1 true WO2022103034A1 (ko) 2022-05-19

Family

ID=8160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352 WO2022103034A1 (ko) 2020-11-13 2021-10-28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0608B1 (ko)
WO (1) WO202210303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74Y1 (ko) * 2001-10-17 2002-02-25 백옥선 다리 교정기구
KR20030040588A (ko) * 2001-11-15 2003-05-23 주식회사 지인텍 마사지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4215847A (ja) * 2003-01-14 2004-08-05 Technocrats Corp 血圧測定用カフ自動巻付装置
JP2007519464A (ja) * 2004-02-02 2007-07-19 フロウメディック リミテッド 四肢における血流およびリンパ液流の循環を促進する携帯装置
KR100783468B1 (ko) * 2007-02-15 2007-12-11 대경엔터프라이즈(주)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US7331977B2 (en) * 2001-08-14 2008-02-19 Mcewen James A Adaptive tourniquet cuff system
JP2019514653A (ja) * 2016-04-27 2019-06-06 ラディアル メディカル, インク.Radial Medical, Inc. 適応型圧迫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433B1 (ko) * 2009-01-1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압장치
KR101888920B1 (ko) 2017-12-21 2018-09-21 (주)세븐라이너 사지압박 순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1977B2 (en) * 2001-08-14 2008-02-19 Mcewen James A Adaptive tourniquet cuff system
KR200265374Y1 (ko) * 2001-10-17 2002-02-25 백옥선 다리 교정기구
KR20030040588A (ko) * 2001-11-15 2003-05-23 주식회사 지인텍 마사지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4215847A (ja) * 2003-01-14 2004-08-05 Technocrats Corp 血圧測定用カフ自動巻付装置
JP2007519464A (ja) * 2004-02-02 2007-07-19 フロウメディック リミテッド 四肢における血流およびリンパ液流の循環を促進する携帯装置
KR100783468B1 (ko) * 2007-02-15 2007-12-11 대경엔터프라이즈(주)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JP2019514653A (ja) * 2016-04-27 2019-06-06 ラディアル メディカル, インク.Radial Medical, Inc. 適応型圧迫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966A (ko) 2022-05-23
KR102470608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839A1 (ko) 손목 혈압계
WO2019059723A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WO2019039853A1 (en) MOVEMENT ASSISTING APPARATUS
WO2012124912A2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WO2019054621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03033A1 (ko) 와이어 구동 방식을 적용한 압박기 시스템
WO2022114554A1 (ko)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WO2022103034A1 (ko) 와이어 구동 방식을 갖는 교체용 압박기 시스템
WO2020184880A1 (ko) 이동형 사지 압박 순환장치
WO2021182673A1 (ko) 종아리 압박 보호대
WO2023048313A1 (ko) 내시경 시스템
WO2022114621A1 (ko) 부정맥 치료 장치 및 상기 부정맥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
WO2023063699A1 (ko) 재구성 가능한 운동 보조 장치
WO2021075715A1 (ko) 어깨 재활 치료 기구
WO2020263033A1 (ko) 비고정식 어깨 보조기
WO2020175714A1 (ko) 벨트형 전자기 치료 장치
WO2020162700A1 (ko) 손 재활 운동장치
WO2016021940A1 (ko) 플렉서블 소재가 적용된 관절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71143B1 (ko) 교체형 와이어 구동 방식을 적용한 경량화 압박기 시스템
WO2014065609A1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WO2023063574A1 (ko) 마그넷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2131412A1 (ko) 손가락 운동 보조 장치
WO2022255772A1 (ko) 볼 마운트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1049726A1 (ko) 인공관절 수술환자의 관절운동장치
WO2022191463A1 (ko) 착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2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22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