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609A1 -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609A1
WO2022045609A1 PCT/KR2021/010059 KR2021010059W WO2022045609A1 WO 2022045609 A1 WO2022045609 A1 WO 2022045609A1 KR 2021010059 W KR2021010059 W KR 2021010059W WO 2022045609 A1 WO2022045609 A1 WO 20220456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element
unit
display device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0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진
신부건
정보라
황혜원
권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1861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37883A4/en
Priority to CN202180026806.6A priority patent/CN115398323A/zh
Priority to US18/022,828 priority patent/US20230305213A1/en
Priority to JP2022562865A priority patent/JP7471732B2/ja
Publication of WO20220456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6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9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the benefit of the filing dat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0-0107290, filed with the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August 25, 2020,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arts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scattering light output from a light output unit including a light scattering uni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by minimizing light loss caused by light diffraction. It relates to a component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eneral head-up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 a general head-up display (HUD) system 10 for a vehicle may be composed of a display 1 that generates and outputs an image, and an optical system 2 that directs the image to a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re is.
  • the optical system 2 uses a plurality of mirrors 3-4 as shown in FIG. 1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of the head-up display system 10 while securing an optical path between the display 1 and the windshield.
  • EMB Eye Motion Box
  • the light guide plate is used to one-dimensionally expand the light to solve this problem, the incident light does not exp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ye Motion Box (EMB) is not widely formed. .
  • EMB Eye Motion Box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diffraction for expanding the light by injecting the scatter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light guide unit that expands the light, thereby expanding the i-motion box (EB) and minimizing the light loss. It is to provide a component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cattering unit for scattering light, and a light guide unit for expanding the scatter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light guide unit includes: a light guide for guiding light; a first optical element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so that the scattered light can be input and guided on the light guide to diffract the inputted light; And disposed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to receive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guided through the light guide, the received light is partially diffracted and output from the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art
  • each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may be provided with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light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irst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light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 the light scattering unit may scatter light at a maximum scattering angle of 0.5° or more and 3° or les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may scatter light at a maximum scattering angle of 3° or more and 20° or less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scatters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of the light scatter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of the light scattere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 scattering unit may be 80% or more and 100% or less.
  • the second optical elemen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diffraction efficiency by the pattern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optical element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respectively.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the display device; and a ligh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light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 the light output unit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 the area of the light output portion of the light output unit may be 1 cm 2 or more and 10 cm 2 or less.
  • Components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light efficiency because additional diffraction of incident light does not occur, and at the same time expand the easily incident light to expand the i-motion box (EMB) of the display device can do.
  • EMB i-motion box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eneral head-up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of light with respect to an angl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without the light scattering unit and schematically showing the light.
  • FIG. 4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ower of light with respect to an angl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hanges in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and diffracted l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direction of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changes in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and diffracted l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direction of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and a main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optical path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and a main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optical path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light output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taken at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images of light output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aken at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 first optical element 153p diffraction grating pattern of first optical element
  • PB incident light
  • TB transmitted light
  • a and/or B means “A and B, or A or B.”
  • the term “light guide” may be defined as a structure that guides light from the inside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a condition for total internal reflection is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guide must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medium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the light guide may be formed of a glass and/or plastic material, and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layouts in the light guide plate type.
  • the term "plate” mean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it,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a substantially flat plane, but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It may be formed by being curved one-dimensionally or two-dimensionally.
  • the plate-type light guide may be one-dimensionally curved so that one surface and/or the other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ylinder.
  • the curvature formed by the curvature preferably has a sufficiently large radius of curvature to facilitate total internal reflection to guide light on the light guide.
  • optical element means that light reaching the optical element is diffracted so that the optical path can be changed.
  • the optical element is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to diffract light on the light guide and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for changing an optical path.
  • the term “diffractive optical element” means including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arts and low refractive part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diffracting light on the light guide to change the optical path It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for Here, the “diffraction optical element” may refer to a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grating lines oriented in one direction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light guide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while having a pattern.
  • the term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high refractive section and the low refractive sec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 the term “surface uneven grating pattern” means including a surface uneven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arts and low refractive part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light path is changed by diffracting light on the light guide It can be defined as a structure for
  • the “surface uneven optical element” may refer to a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urface uneven grid lines oriented in one direction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 the optical guide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while having a pattern.
  • surface uneven grid line refers to a protrusi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light guide surface (ie, embossed pattern) and/or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light guide surface (ie, engraved pattern). pattern) can be
  •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grating lines can be freely designed so that the optical path can be changed in an intended direction through diffraction by the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he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surface concavo-convex grating lines are arranged is “surface concavo-convex grating pattern” ” can mean
  • holographic optical element refers to a holographic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light reaching th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is diffracted to form an optical path. may be changed.
  • the holographic grating pattern may be recorded by interfering with a plurality of lasers on a photosensitive material such as a photopolymer.
  • th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for changing a light path by diffracting light on the light guide by being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ographic grid pattern”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high refractive portion and the low refractive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 the term "diffraction efficiency" refers to the light that is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on the light guide is partially diffracted by the optical element to change the optical path and the rest can be totally reflected along the optical path before being diffracted. may mea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light amount of the changed diffracted light by the light amount immediately before being diffracted.
  •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cattering unit 130 for scattering light, and a light guiding unit 150 for expanding the scatter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rein the light guiding unit includes light for guiding the light. guide 151; a first optical element 153 disposed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so that the scattered light is input and guided on the light guide 151 to diffract the inputted light; And disposed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to receive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guided through the light guide 151, the received light is partially diffracted to the light guide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configured to be output from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151); provides a component for a display device (100 ′) that includes,.
  • the component 100 ′ for a display device does not cause additional diffraction of the incident light to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to easily expand the incident light, the i-motion box (EMB, Eye Motion Box) can be expanded.
  • EMB Eye Motion Box
  •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light output unit 110 , a light scattering unit 130 , and a light guide unit 150 , and is an exemplary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nent 100 ′ includes a light scattering unit 130 and a light guide unit 150 .
  • the light guide unit 150 includes a light guide 151 , a first optical element 153 ,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155 .
  • the efficiency of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improved and the i-motion box EMB can be expanded.
  •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100 ′ includes a light scattering unit 130 for scattering light.
  •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100 ′ includes a light scattering unit 130 for scattering the light output by the light output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power of light with respect to an angl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without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and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light.
  •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does not pass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as shown in FIG.
  • the light output decreases sharply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er.
  • the graph of FIG. 3(b) it can be expected that the light output rapid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light increases.
  • FIG. 4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ower of light with respect to an angl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and passing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passes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and is scatter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light output is maintained to a position out of the center.
  • it can be expected that the light output is maintained even if it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ght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4( b ).
  •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100 ′ includes a light guide unit 150 for expanding the scatter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light guide unit 150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scattered by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is incident and diffracted to expand the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widen the i-motion box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the light guide unit 150 includes a light guide 151 for guiding light; a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a second optical element 155 .
  • the scattered light is incident and the incident light is directed to a predetermined value. direction, and a portion of the diffracted light is diffracted to be outputted out of the light guide 151 and a portion passed through to exp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
  • the light guide unit 150 includes a first optical element 153 .
  •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is formed of the light guide 151 so that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is input after passing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and guided on the light guide 151 . It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to diffract the input light PB. As described above, by including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 the input light may be totally reflected and guided by the light guide 151 .
  •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may include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high refractive portion and the low refractive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re alternately disposed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FIG. 2 .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may be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of FIG. 2 .
  • the light guide unit 150 includes a second optical element 155 .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receives the light guided from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 diffracts a portion of the received light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151 , and transmits a portion of the non-diffracted light
  •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xpanded, and the i-motion box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widely implemented.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receives the light L1 that is diffracted from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guided through the light guide 151, and a portion of the light L1 is diffract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151 by diffraction. and the rest are configured to be guided by total reflection on the existing optical path light guide 151 . More specifically, the light L1 initially receiv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s partially diffracted at each point spaced a plurality of time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ffracted light ( L2)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151, and the remaining light is totally reflected and guided inside the light guide 151 along the first direction, so that one-dimensional expansion can be achieved.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include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5p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high-refractive portion and the low-refractive portio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are alternately disposed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may be the x-axis direction of FIG. 2 .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5p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be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of FIG. 2 .
  • each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ncludes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155p) may be provided.
  • the incident light output is not reduce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output light is improved, and the clarity of the image reproduced by the display device 100 is increased. can be improved
  • each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ncludes diffraction grating patterns 153p and 155p in which high refractive portions and low refractive port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is provided with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arts and low refractive parts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 155p) is implemented as being provided with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which high refractive parts and low refractive parts ar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optical output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hanges in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TB and diffracted light DB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light PB and the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 the incident light PB is irradiated with light polariz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amount of light dif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o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s high.
  •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is low. Accordingly, by setting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s 153p and 155p of bot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n the first direction,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can be maintained high. there is.
  •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changes in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and diffracted l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the direction of a diffraction grating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 the incident light PB is irradiated with light polariz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amount of light dif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o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153p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s high.
  •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is low.
  • the diffracted light diffract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o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has a high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and a low amount of the diffracted ligh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is can be lowered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light in a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light in a second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in an elliptical shape.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a diffuser that scatters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 scattering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may mean that light is scattered in a specific directio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ed direction.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is incident on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and the incident light is scattered by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 the extended direc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may be defined as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scattered light, and is scattered while forming an angle with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scattered light to the light guide 151, that is, the first optical A specific direction in which scattering occurs on the plane of the device 153 may be defined as “scattering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 light scattering in the specific direction may mean that scattering is performed in the maximum direction in the specific direction and scattering is weakly performed in other directions to be scattering in an area.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scatter light at a maximum scattering angle of 0.5° or more and 3° or les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maximum scattering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and irradiated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in the first direction of 0.7 ° or more and 2.7 ° or less, 1.0 ° or more and 2.5 ° or less, or 1.5 ° or more and 2.0 ° or less. It may be scattering at an angle.
  • maximum scattering angle means that when light is scattered by forming an angl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he light scattered at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irradiated direction among the scattered light and the irradiated direction are It may mean an angle formed.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scatter light at a maximum scattering angle of 3° or more and 20° or less in the second direction. Specifically, in the second direction, 4° or more and 19° or less, 5° or more and 18° or less, 6° or more and 17° or less, 7° or more and 16° or less, 8° or more and 15° or less, 9° or more and 14° or less, 10 It may be to scatter light with a maximum scattering angle of not less than 13° or not more than 11° and not more than 12°.
  •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above range and irradiated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the size of the image to be expanded can be adjusted and the sharpness can be improved.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scatters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scatter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aximum scattered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scattering angle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scatters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irradiated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is scatter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and the maximum scattering angle scattered in the second direction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 Equation 1 may be 4 or more and 9 or less, 5 or more and 8 or less, or 6 or more and 7 or less.
  •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80% or more and 100% or less. Specifically,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may be 82% or more and 98% or less, 84% or more and 96% or less, 86% or more and 94% or less, or 88% or more and 92% or less.
  • the luminance of the light reproduced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improved.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diffraction efficiency by the pattern along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rease the diffraction efficiency by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 the efficiency by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in the second optical element may be configured to gradually increase between 10 and 100%.
  • the light L1 receiv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from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is totally reflected with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s are arranged on the light guide 151 as the main direction, some of the light L2 .
  • Silver is branched along with diffraction on the total reflection path by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and the optical path is formed in a direction outputted from the light guide 151 .
  • the amount of light decreases as the total reflection path with the first direction as the main direction is followed. Accordingly, even if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diffraction grating pattern decreases along the total reflection path, i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diffraction efficiency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diffraction grating of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is Lights L2 diffracted through the pattern 155p and output from the light guide 151 may have similar amounts of light.
  • each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a surface concave-convex optical element.
  • bot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be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or a surface uneven optical element.
  • one of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and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may be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the other may be a surface uneven optical element.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light output unit 110 for outputting the light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100 ′.
  • the display apparatus 100 does not cause additional diffraction of the incident light to improve light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to easily expand the incident light to expand the i-motion box (EMB)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
  • EMB i-motion box
  • the light output unit 110 is to irradiate the output light to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is irradiated by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it is possible to remove an additional optical element for expanding the light in the specific direction.
  •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light output unit 110 for outputting light.
  • a predetermined image may be irradiated with light to output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 th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HUD)
  • the image may be reproduced on a windshield.
  • HUD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 the light output unit 11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 the light output unit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or a display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laser beam scanning projector.
  • the optical output unit 110 means a means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having image information and outputting image display light for the image information.
  • the light output unit 110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not only a fixed image but also a moving picture can be reproduced,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reproduced image can be improved.
  • the area of the light output portion of the light output unit 110 may be 1 cm 2 or more and 10 cm 2 or less.
  • the area of the light output unit 110 from which light is output is 2 cm 2 or more and 9 cm 2 or less, 3 cm 2 or more and 8 cm 2 or less, 4 cm 2 or more and 7 cm 2 or less, or 5 cm 2 or more 6 cm 2 or less.
  • the image quality of the reproduced image may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area of the portion from which the light is output in the above-described range.
  •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and a main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optical path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the light L is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without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 the light L is incident throug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 and total refle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ight guide 151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
  • the received light L1 is diffract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and the light is expanded one-dimensionally, so that the light L2 is output from the light guide 151 .
  •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path and a main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optical path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light L is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10 and passed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 Thereafter, the light L is incident through the first optical element 153 , and total refle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ight guide 151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
  • the received light L1 is diffracted by the second optical element 155 and the light is expanded one-dimensionally, so that the light L2 is output from the light guide.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light output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taken at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Referring to FIG. 9 ,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taken in the middle position was clear, but in the photo taken in the upper or lower 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ight did not expan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nconfirmed image.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images of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t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Referring to FIG. 10 , the image could be checked at all position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ight output to the light output unit 110 was expand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display device component 100 ′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same expand the light of the light output unit 110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unit 130 without lowering the amount of light.
  • the light expans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요약]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산란부를 포함하여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산란시킴으로써, 광회절에 의하여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2020년 08월 25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20-0107290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산란부를 포함하여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산란시킴으로써, 광회절에 의하여 발생하는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y, HUD) 시스템(10)은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와, 해당 영상을 차량의 윈드쉴드(windshield)로 지향시키는 광학계(2)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2)는 디스플레이(1)와 윈드쉴드 간 광경로를 확보하면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미러(mirror, 3-4)를 이용하게 된다.
다만, 이렇게 다수의 미러를 사용하더라도 디스플레이(1), 다수의 미러들(3-4) 간의 상호 확보해야하는 거리로 인해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전체 부피를 10 L 수준으로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운전자 입장에서 윈드쉴드를 통해 영상이 시인될 수 있는 영역인 아이모션박스(Eye Motion Box, EMB)를 넓게 형성하기 어려워, 운전자의 동공의 시축 및 영상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영상이 윈드쉴드의 제한된 범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러들(3, 4) 각도를 운전자가 직접 조절해야하는 불편이 따르기도 한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광판을 사용하여 광을 일차원적으로 확장하고는 있지만, 입사시키는 광은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으므로 아이모션박스(Eye Motion Box, EMB)가 넓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확장을 통하여 아이모션박스를 넓게 구현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을 확장시키는 광도광부에 소정의 방향으로 산란된 광을 입사시킴으로써 상기 광을 확장하기 위한 회절을 최소화함으로써 아이모션박스(EB)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광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광산란부, 및 상기 산란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광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광부는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 상기 산란된 광이 입력되어 상기 광가이드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된 광을 회절시키도록 구성된 제1 광학 소자; 및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부분적으로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부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된 제2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상기 제2 광학 소자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광을 산란시키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광학 소자의 일면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회절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 ° 이상 3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3 ° 이상 20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산란된 광의 최대 산란 각도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산란된 광의 최대 산란 각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3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10.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의 광투과율은 8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패턴에 의한 회절 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는 각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또는 회절 광학 소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의 광산란부에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은 1 cm2 이상 10 cm2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사된 광의 추가적인 회절이 일어나지 않아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입사된 광을 확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이모션박스(EMB)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광산란부 없이 광출력부에서 출력된 광의 중심에서 벗어난 각에 대하여 광의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 및 상기 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광출력부에서 출력되어 광산란부를 통과한 광의 중심에서 벗어난 각에 대하여 광의 파워를 그래프 및 상기 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입사광의 방향과 회절 격자 패턴의 방향에 따라 투과광 및 회절광의 강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발명에 따른 입사광의 방향과 회절 격자 패턴의 방향에 따라 투과광 및 회절광의 강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경로 및 광경로 상에서의 주된 편광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경로 및 광경로 상에서의 주된 편광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된 광을 상, 중 및 하의 위치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된 광을 상, 중 및 하의 위치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110: 광출력부 130: 광산란부
150: 광도광부 151: 광가이드
153: 제1 광학 소자 153p: 제1 광학 소자의 회절 격자 패턴
155: 제2 광학 소자 155p: 제2 광학 소자의 회절 격자 패턴
PB: 입사광 TB: 투과광
DB: 회절광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는 "A 및 B, 또는 A 또는 B"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광가이드"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광을 안내하는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내부 전반사를 위한 조건은 광가이드의 굴절률이 광가이드의 표면에 인접한 주변 매체의 굴절률보다 커야 한다. 광가이드는 유리 및/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 플레이트 타입에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플레이트"는 일면 및 그 반대측인 타면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3차원 구조체를 의미하며, 그 일면 및 타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평면일 수도 있지만, 그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타입의 광가이드는 1차원적으로 만곡되어 그 일면 및/또는 타면이 원기둥의 측면 중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 만곡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은 광가이드 상에서 광을 안내하기 위해 내부 전반사가 용이하도록 충분히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광학 소자"는 광학 소자에 도달하는 광이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광학 소자는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광가이드 상에서 광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회절 광학 소자"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광가이드 상에서 광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절 광학 소자"는 광가이드 상에 일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격자선이 미리 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패턴을 가지면서 소정의 면적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회절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은 회절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은 고굴절부와 저굴절부의 서로 교번하여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표면 요철 격자 패턴”은 소정의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표면 요철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광가이드 상에서 광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요철 광학 소자”는 광가이드 상에 일방향으로 배향된 복수 표면 요철 격자선이 미리 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패턴을 가지면서 소정의 면적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표면 요철 격자선"은 광가이드 표면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돌기 형태(즉, 양각 패턴) 및/또는 광가이드 표면 상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즉, 음각 패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격자선의 배향 방향은 회절 광학 소자에 의한 회절을 통해 의도한 방향으로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표면 요철 격자선이 배열되어 있는 패턴은 “표면 요철 격자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홀로그래픽 격자 패턴을 의미하며,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도달하는 광은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격자 패턴은 포토폴리머(photopolymer)와 같은 감광 재료에 복수의 레이저가 간섭되어 기록될 수 있다.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는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광가이드 상에서 광을 회절시켜 광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홀로그래픽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은 고굴절부와 저굴절부의 서로 교번하여 나열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회절 효율"은, 광가이드 상에서 내부 전반사되는 광이 광학 소자에 의해 일부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되고 나머지는 회절되기 전의 광경로를 따라 전반사될 수 있는데, 회절되어 광경로가 변경된 회절광의 광량을 회절되기 직전의 광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광산란부(130), 및 상기 산란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광도광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광부는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151); 상기 산란된 광이 입력되어 상기 광가이드(151)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된 광을 회절시키도록 구성된 제1 광학 소자(153); 및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로부터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151)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부분적으로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151)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된 제2 광학 소자(155);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은 입사된 광의 추가적인 회절이 일어나지 않아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입사된 광을 확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모션박스(EMB, Eye Motion Box)를 확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출력부(110), 광산란부(130) 및 광도광부(15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은 광산란부(130) 및 광도광부(150)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광도광부(150)는 광가이드(151),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이 상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이모션박스(EMB)를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은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광산란부(130)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이 후술할 광출력부(110)에 의하여 출력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산란부(1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저하없이 소정의 방향으로 산란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모션박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회절을 최소화함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광산란부(130) 없이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된 광의 중심에서 벗어난 각에 대하여 광의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 및 상기 광을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a)와 같이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된 광은 광산란부(130)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출력된 광은 어떠한 방향으로도 산란되지 않고 중심부에서 가장 강한 출력을 갖고 중심부에서 벗어날수록 광출력은 급격히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도 3(b)의 그래프와 같이 광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광출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도 4는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되어 광산란부(130)를 통과한 광의 중심에서 벗어난 각에 대하여 광의 파워를 그래프 및 상기 광을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a)와 같이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된 광은 광산란부(130)를 통과하여 소정의 방향으로도 산란되고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까지 광출력이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도 4(b)의 그래프와 같이 광의 중심으로 멀어지더라도 광출력이 유지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은 상기 산란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광도광부(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광도광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산란부(130)에서 산란된 광이 입사되고 회절되어 상기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모션박스를 넓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도광부(150)는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151);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광도광부(150)가 광가이드(151),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산란된 광을 입사시키고, 입사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절시키며, 상기 회절된 광을 일부는 회절시켜 광가이드(151) 밖으로 출력하고 일부는 통과하여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된 광을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도광부(150)는 제1 광학 소자(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는 후술할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광산란부(130)를 통과한 후 입력되어 광가이드(151)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광가이드(151)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입력된 입력광(PB)을 회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를 포함함으로써, 입력된 광을 광가이드(151)에서 전반사되어 안내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1 광학 소자(153)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153p)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학 소자(153)의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방향은 제1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하며, 도 2 기준 x 축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학 소자(153)의 회절 격자 패턴(153p)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 즉 도 2 기준 z 축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도광부(150)는 제2 광학 소자(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광학 소자(155)는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로부터 안내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의 일부는 회절시켜 상기 광가이드(151)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회절되지 않은 광 일부는 투과시켜 상기 수광된 광을 일차원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후술할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된 광을 확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모션박스를 넓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광학 소자(155)는 제1 광학 소자(153)로부터 회절되어 광가이드(151)를 통해 안내되는 광(L1)을 수광하여 일부는 회절에 의해 광가이드(151)의 타면을 향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기존 광경로로 광가이드(151) 상에서 전반사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광학 소자(155)에 최초 수광된 광(L1)은 특정 방향, 예를 들어,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복수회 이격된 지점마다 부분적으로 회절되어 그 회절광(L2)은 광가이드(151) 외부로 출력되고, 나머지 광은 제1 방향을 따라 광가이드(151)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안내되므로, 결국 1차원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2 광학 소자(155)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155p)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학 소자(155)의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방향은 제1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하며, 도 2 기준 x 축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학소자(155)의 회절 격자 패턴(155p)의 길이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 즉 도 2 기준 z 축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소자(153) 및 상기 제2 광학 소자(155)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153p, 155p)을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회절 격자 패턴(153p, 155p)을 동일한 방향으로 구현함으로써, 입사된 광출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출력되는 광의 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여 재생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학 소자 (153) 및 상기 제2 광학 소자(155) 각각 모두는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153p, 155p)을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광학 소자의 회절 격자 패턴(153p)이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을 구비되고, 상기 제2 광학 소자의 회절 격자 패턴(155p)이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을 구비되는 것으로 구현됨으로써, 후술할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입사광(PB)의 방향과 회절 격자 패턴의 방향에 따라 투과광(TB) 및 회절광(DB)의 강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입사광(PB)으로 제1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제1 방향으로 회절 격자 패턴(153p)이 형성된 제1 광학 소자(153)를 통과하면서 회절되는 광량은 높게 구현되지만 투과광의 광량은 낮게 구현된다. 따라서,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 모두의 회절 격자 패턴(153p, 155p)을 제1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발명에 따른 입사광의 방향과 회절 격자 패턴의 방향에 따라 투과광 및 회절광의 강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입사광(PB)으로 제1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제1 방향으로 회절 격자 패턴(153p)이 형성된 제1 광학 소자(153)를 통과하면서 회절되는 광량은 높게 구현되지만 투과광의 광량은 낮게 구현된다. 이후 제2 방향으로 회절 격자 패턴이 형성된 제2 광학 소자에 의하여 회절되는 상기 회절광은 투과광의 강도가 높게 구현되며 회절광은 광량이 낮게 구현됨으로써, 광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광량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130)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부(130)는 광을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산란되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부(130)는 타원형으로 산란되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부(130)는 상기 제1 광학 소자의 일면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회절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산란되는 디퓨저인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광산란부(130)가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되는 디퓨저인 것으로 선택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여 재생되는 이미지의 아이모션박스를 넓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은 광이 조사된 방향과 수직한 면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산란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조사된 광이 광산란부(130)로 입사되고,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광산란부(130)에 의하여 광이 산란된다.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조사된 광의 연장된 방향을 상기 산란된 광의 조사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산란된 광의 조사방향과 각을 이루면서 산란되어 상기 광가이드(151), 즉 제1 광학 소자(153)의 면에서 산란이 이루어지는 특정한 방향을 “특정한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기 특정한 방향으로 광산란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특정한 방향으로 최대로 산란이 이루어지고 이외 방향은 약하게 산란이 이루어져 면적으로 산란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13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 ° 이상 3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어 광산란부(130)에 조사된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0.7 ° 이상 2.7 ° 이하, 1.0 ° 이상 2.5 ° 이하 또는 1.5 ° 이상 2.0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로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어 광산란부(130)에 조사된 광의 최대 산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확장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며,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최대 산란 각도”는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따라 각을 형성하여 광이 산란되는 경우, 상기 산란되는 광 중에서 상기 조사되는 방향과 최대 이격되어 산란되는 광과 상기 조사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13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3 ° 이상 20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4 ° 이상 19 ° 이하, 5 ° 이상 18 ° 이하, 6 ° 이상 17 ° 이하, 7 ° 이상 16 ° 이하, 8 ° 이상 15 ° 이하, 9 ° 이상 14 ° 이하, 10 ° 이상 13 ° 이하 또는 11 ° 이상 12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후술할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어 광산란부(130)에 조사된 광의 최대 산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확장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며,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130)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부(130)는 후술할 광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되어 광산란부(130)에 조사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산란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3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10
구체적으로 하기의 수학식 1의 값은 4 이상 9 이하, 5 이상 8 이하 또는 6 이상 7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수학식 1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확장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며,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부(130)의 광투과율은 8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부(130)의 광투과율은 82 % 이상 98 % 이하, 84 % 이상 96 % 이하, 86 % 이상 94 % 이하 또는 88 % 이상 92 %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광산란부(130)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광학 소자(155)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패턴에 의한 회절 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2 광학 소자(155)는 제1 방향을 따라 갈수록 회절 격자 패턴에 의한 회절 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광학 소자에서의 회절 격자 패턴에 의한 효율은 10 내지 100 % 사이에서 점차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광학 소자(155)가 제1 광학 소자(153)로부터 수광한 광(L1)은 광가이드(151) 상에서 회절 격자 패턴이 나열된 제1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여 전반사되는데, 일부 광(L2)은 회절 격자 패턴에 의해 전반사 경로 상에서 회절과 함께 분기되어 광경로가 광가이드(151)로부터 출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국, 제1 방향을 주된 방향으로 하는 전반사 경로를 따라갈수록 광량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회절 격자 패턴에 도달하는 광량이 상기 전반사 경로를 따라갈수록 줄어들게 되더라도, 제2 광학 소자(155)가 제1 방향을 따라 회절 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면, 제2 광학 소자(155)의 회절 격자 패턴(155p)을 통해 회절되어 광가이드(151)로부터 출력되는 광들(L2)은 서로간 광량이 비슷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는 각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또는 표면 요철 광학 소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는 모두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이거나 표면 요철 광학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는 하나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표면 요철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상기 제1 광학 소자(153) 및 제2 광학 소자(155)를 선택함으로써,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회절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의 광산란부(130)에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110)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사된 광의 추가적인 회절이 일어나지 않아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이하게 입사된 광을 확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아이모션박스(EMB)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출력부(110)는 출력된 광이 상기 광산란부(130)에 조사되는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조사된 광이 광산란부(130)에 의하여 조사됨으로써, 상기 특정방향으로 광을 확장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광학 소자를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110)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광출력부(110)를 포함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이미지를 광으로 조사하여 소정의 위치에 상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UD)에 해당하는 경우 윈드쉴드(windshield)에 상기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출력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출력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레이저 빔 스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출력부(110)는 화상 정보를 가진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화상 정보에 대한 화상 표시광을 출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광출력부(110)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선택함으로써, 고정된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광이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은 1 cm2 이상 10 cm2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출력부(110)에서 광이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은 2 cm2 이상 9 cm2 이하, 3 cm2 이상 8 cm2 이하, 4 cm2 이상 7 cm2 이하 또는 5 cm2 이상 6 cm2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상기 광이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재생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경로 및 광경로 상에서의 주된 편광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광산란부(130)를 구비하지 않고 광출력부(110)에서 광(L)을 출력하였다. 이후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를 통하여 상기 광(L)이 입사되고 광가이드(151)를 통하여 전반사가 이루어져 제2 광학 소자(155)에 수광된다. 상기 수광된 광(L1)은 상기 제2 광학 소자(155)에서 회절되어 광이 일차원적으로 확장되어 광가이드(151)로부터 광(L2)이 출력되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경로 및 광경로 상에서의 주된 편광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광출력부(110)에서 광(L)을 출력하여 광산란부(130)를 통과시켰다. 이후 상기 제1 광학 소자(153)를 통하여 상기 광(L)이 입사되고 광가이드(151)를 통하여 전반사가 이루어져 제2 광학 소자(155)에 수광된다. 상기 수광된 광(L1)은 상기 제2 광학 소자(155)에서 회절되어 광이 일차원적으로 확장되어 광가이드로부터 광(L2)이 출력되었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된 광을 상, 중 및 하의 위치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중의 위치에서 쵤영된 사진은 이미지가 선명한 것을 확인하였지만, 상이나 하의 위치에서 쵤영한 사진은 이미지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광의 확장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0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된 광을 상, 중 및 하의 위치에서 촬영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 중 및 하의 모든 위치에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광출력부(110)로 출력된 광이 제1 방향으로 확장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100`)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광산란부(130)를 통하여 광출력부(110)의 광을 제1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광량의 저하없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 확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광산란부, 및 상기 산란된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광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도광부는
    광을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
    상기 산란된 광이 입력되어 상기 광가이드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된 광을 회절시키도록 구성된 제1 광학 소자; 및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이 부분적으로 회절되어 상기 광가이드의 일면 또는 타면으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된 제2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상기 제2 광학 소자 각각은 제1 방향을 따라 고굴절부와 저굴절부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회절 격자 패턴이 구비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광을 산란시키는 디퓨저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광학 소자의 일면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회절 격자 패턴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는 디퓨저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 ° 이상 3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3 ° 이상 20 ° 이하의 최대 산란 각도에서 광을 산란시키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광을 산란시키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수학식 1]
    3 ≤제2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제1 방향으로 산란된 최대 산란 각도 ≤ 1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의 광투과율은 8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패턴에 의한 회절 효율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는 각각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또는 회절 광학 소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의 광산란부에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에서 광이 출력되는 부분의 면적은 1 cm2 이상 10 cm2 이하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10059 2020-08-25 2021-08-02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4560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61907.0A EP4137883A4 (en) 2020-08-25 2021-08-02 COMPONENT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FOR
CN202180026806.6A CN115398323A (zh) 2020-08-25 2021-08-02 显示装置用部件和使用其的显示装置
US18/022,828 US20230305213A1 (en) 2020-08-25 2021-08-02 Component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22562865A JP7471732B2 (ja) 2020-08-25 2021-08-02 ディスプレイ装置用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7290 2020-08-25
KR10-2020-0107290 2020-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609A1 true WO2022045609A1 (ko) 2022-03-03

Family

ID=8035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059 WO2022045609A1 (ko) 2020-08-25 2021-08-02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05213A1 (ko)
EP (1) EP4137883A4 (ko)
JP (1) JP7471732B2 (ko)
KR (1) KR20220026489A (ko)
CN (1) CN115398323A (ko)
TW (1) TWI786758B (ko)
WO (1) WO202204560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8548B1 (en) * 1998-04-02 2003-11-12 Elop Electro-Optics Industries Ltd. Holographic optical devices
US20170052374A1 (en) * 2009-04-27 2017-02-23 Jonathan David Waldern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KR2019010842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모듈
KR20200007965A (ko) * 2017-05-19 2020-01-22 시리얼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00963A1 (en) * 2018-09-09 2020-06-25 Lumus Ltd. Optical systems including light-guide optical elements with two-dimensional expansion
KR20200107290A (ko) 2019-03-07 2020-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스 및 그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9120B (en) * 2004-11-19 2011-09-2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having same
IL171820A (en) * 2005-11-08 2014-04-30 Lumus Ltd A polarizing optical component for light coupling within a conductive substrate
EP2225601A1 (en) * 2007-12-18 2010-09-0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jection displays
GB2464916B (en) * 2008-10-21 2013-07-31 Iti Scotland Ltd Light Guides
JP6187045B2 (ja) 2013-08-30 2017-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JP6439453B2 (ja) * 2015-01-09 2018-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025093B2 (en) * 2016-04-13 2018-07-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based displays with exit pupil expander
WO2019139440A1 (ko) * 2018-01-12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64239A (ja) * 2018-03-19 2019-09-26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及び機器
JP7293593B2 (ja) 2018-09-19 2023-06-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瞳拡張素子
US10701326B1 (en) 2019-07-10 2020-06-30 Lightspace Technologies, SIA Image display system, method of operating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proje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8548B1 (en) * 1998-04-02 2003-11-12 Elop Electro-Optics Industries Ltd. Holographic optical devices
US20170052374A1 (en) * 2009-04-27 2017-02-23 Jonathan David Waldern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KR20200007965A (ko) * 2017-05-19 2020-01-22 시리얼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08420A (ko) *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도광판 모듈
US20200200963A1 (en) * 2018-09-09 2020-06-25 Lumus Ltd. Optical systems including light-guide optical elements with two-dimensional expansion
KR20200107290A (ko) 2019-03-07 2020-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스 및 그 지지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37883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8323A (zh) 2022-11-25
EP4137883A4 (en) 2023-11-08
US20230305213A1 (en) 2023-09-28
JP2023521907A (ja) 2023-05-25
JP7471732B2 (ja) 2024-04-22
KR20220026489A (ko) 2022-03-04
TW202210910A (zh) 2022-03-16
TWI786758B (zh) 2022-12-11
EP4137883A1 (en)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4368C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virtual content display with a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apparatus
KR101901082B1 (ko) 육안 3d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US6061179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two-/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witching function
CN101543066B (zh) 图像传送装置
WO2020184885A1 (ko) 회절 도광판
WO2004102226A2 (en) Switchable viewfinder display
WO2019139440A1 (ko) 회절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82892A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H10268230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114026468A (zh) 导光板及其制造方法、导光板模块以及图像显示装置
WO2011111990A2 (ko) 다중렌즈를 이용한 차량용 허드장치
WO2021010603A1 (ko)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한 증강 현실 안경 및 그 작동 방법
US10191198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directional backlight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apparatus
WO2017142156A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방법
WO2022045609A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부품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71210A1 (ko) 홀로그래픽 도광판
KR100501789B1 (ko) 콤팩트형 조명 장치
WO2021066335A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23055157A1 (ko) 도파관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22270A1 (ko) 증강현실 장치
JP3056581B2 (ja) 投写型立体表示装置
WO2024063396A1 (ko) 광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이미지 형성 방법
WO2016125959A1 (ko) 초점심도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노광법 기반 미세패턴 제조장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시스템에 의해 제조된 회절소자
WO201519929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25958A1 (ko) 초점심도 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노광법 기반 미세패턴 제조방법, 초점심도 조절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회절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19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6286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619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11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