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5807A1 -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 Google Patents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5807A1
WO2021235807A1 PCT/KR2021/006172 KR2021006172W WO2021235807A1 WO 2021235807 A1 WO2021235807 A1 WO 2021235807A1 KR 2021006172 W KR2021006172 W KR 2021006172W WO 2021235807 A1 WO2021235807 A1 WO 20212358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lth care
oral health
nipapam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1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한성
이숙영
이경제
문성용
안택경
김한주
소영호
이광재
박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
Publication of WO20212358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58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Definitions

  • the task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search result of a social-tailor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ading university (LINC+) fostering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LINC+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ading universit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containing phytosalt as an active ingredient,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 oral health care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nipapam
  • the plant bio-salt contained in the plant is converted into phyto-salt, and natural herbal extracts are blended here to improve gingival inflammation, suppress harmful oral bacteria, prevent premature aging of the gums, and improve bad breath.
  •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lex natural product derived from nipapam containing an improved phyto salt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oothach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n oral health care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 Oral disease is a chronic disease affecting 80% of Korean adults and about 90% of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 Gum disease ranks third among outpatient diseases, and is reported to have a high incidence rate and an increasing trend every year.
  • gingivitis which is limited to soft tissues by bacteria
  • periodontitis which is an inflammatory condition that has progressed to the gums and around the gums. leads to disappearance
  • This type of inflammatory gum disease occurs in 80 to 90% of the elderly over 40 years of age, so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herapeutic agents and oral products that can prevent and improve it.
  • Periodontal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ystemic chronic disease.
  • the oral cavit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oral diseases and systemic diseases caused by pathogenic infectious strains and resident bacteria, etc. by providing a very easy environment for various microorganisms to inhabit.
  • Halitosis lik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s mainly caused by the dental plaque formed by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 Halitosis caused by oral causes is primarily expressed by bacterial decay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 Proteins in saliva, proteins in food, and proteins in the gingival sulcus are broken down into peptides by bacteria and human proteolytic enzymes. It is classified into amino acids containing sulfur and amino acids containing nitrogen, such as arginine and lysine.
  •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are hydrogen sulfide (H 2 S), methyl mercaptan (CH 3 SH), dimethyl sulfide (CH 3 ) 2 by the decomposition of anaerobic Gram bacteria. S) and other volatile sulfur compounds and nitrogen-containing amino acids also generate bad breath-generating substances such as putrescine and cadaverine.
  • H 2 S The main causes of bad breath are H 2 S, CH 3 SH, and (CH 3 ) 2 S.
  • H 2 S and CH 3 SH account for about 92%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 CH 3 SH is the main component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periodontal patients and many patients with poor tongue care.
  • the best way to reduce bad breath is to physically remove the dental plaque that causes odor.
  • the most commonly used antibacterial agents include bisbiguanides (chlorhexidine), quaternary ammonium agents (cetylpyridium, benzalkonium chloride), and phenolic compounds (triclosan).
  • Chlorhexidine widely known as the main component of oral gargle, attacks bacterial cell membranes and causes leakage or precipitation of cell components. Also, it binds to mucin in saliva and reduces the formation of salivary pellicles, thereby interfering with plaque colonization. It binds to bacteria and prevents the bacteria from adsorbing to the tooth surface.
  • chlorhexidine has side effects such as bitter taste, coloration of the tongue and teeth, and burning of the mucous membrane. has been
  • periodontal disease has been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systemic chronic diseases
  •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and human-friendly natural materials is increasing day by day when developing health supplements and hygiene products related to medical and dental medicin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vegetable biosalt contained in the nipapam plant is converted into a phyto-salt, and a natural herbal extract Oral containing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containing improved phytosalt as an active ingredient to improve gingival inflammation, suppress oral harmful bacteria, prevent premature aging of the gum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bad breath and toothache.
  • the main object is to provide a health care compos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oral health care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sing nipa palm to improve gingival inflammation, suppress oral harmful bacteria, prevent premature aging of the gum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bad breath and toothache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is nipa palm complex extract 64% by weight, grapefruit seed extract 6% by weight, golden extract 6% by weight, green tea leaf extract 6% by weight, pine needle extract 6% by weight, yellow white extract 6% by weight and propolis 6% by weight It provides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containing phytosalt as an active ingredi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ixed in %.
  • the present invention is nipa palm (Nipa palm) complex extract obtaining step;
  • the obtained nipa palm complex extract 64% by weight, grapefruit seed extract 6% by weight, golden extract 6% by weight, green tea leaf extract 6% by weight, pine needle extract 6% by weight, yellow white extract 6% by weight and propolis 6% by weight are mixed
  • the step of obtaining the nipa palm complex extract is a first process in which young shoots of nipa palm collected from a tidal flat wetland are sliced to a length of 5 cm in diameter, and then washed with cold water (4 to 10° C.) immediately flowing within a short time (30 seconds); After removing the water from the washed nipapam sections, freeze-dried in a deepfreezer at -50°C for 12 hours, freeze-dried in a freeze dryer at -40°C for 72 hours, and stored
  • Step 5 of obtaining a powdery nipapam complex extract containing phytosalt by stirring alcohol:purified water:nipapam powder in a weight ratio of 6:3:1 to make a powder-flavoring mixture, and dry grinding this mixture
  • a method for preparing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containing phytosalt as an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n 6-12 wt%, purified water 9.2-9.6 wt%, shell-derived natural calcium carbonate 14-16 wt%, sodium fluoride 0.20-0.24 wt%, pyridoxine hydrochloride 0.050-0.060 wt%, hydrous silicic acid 6.0-7.0 wt%, colorant blue N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n 2-6 wt%, vegetable glycerin 2.0-3.0 wt%, sodium fluoride 0.20-0.24 wt%, enzyme-treated stevia 0.20-0.30 wt% and xylitol 0.01-0.02 as a sweetener % by weight, cocobetaine 4.5-5.5% by weight as a natural foaming agent, 1-2% by weight of aquamint flavor as a flavoring agent, 45-55% by weight of D-sorbitol solution as a wetting agent, and the rest of purified water to be used as a mouthwash
  • the vegetable biosalt contained in the nipapam plant is converted into phyto-salt, and natural herbal extract is blended here to improve gingival inflammation, suppress oral harmful bacteria, and An improved effect can be obtained to prevent premature aging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bad breath and toothache.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nipapam complex extract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SO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atalas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APX antioxidant activity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inhibition ability through the cytokine array analysis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ability of the inflammatory factor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comprising the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ask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search result of a social-tailor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ading university (LINC+) fostering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LINC+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ading univers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containing phyto-sal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nipa palm is a tropical plant belonging to the palm family, also called nipa palm, mangrove palm, nipa, water palm, and the scientific name of botanical taxonomy is Nypa fruticans Wurmb.
  • nipa palm The size of nipa palm is 9 to 10 m, and it is mainly distributed in tropical regions of Southeast Asia such as Malaysia, Sri, Indonesia, Cambodia,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 nipapam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folk medicine, and the leaves, stems, and roots have been mainly used to treat asthma, leprosy, tuberculosis, liver disease, dental inflammation, and toothache.
  • the edible parts of nipapam are fruits, shoots, and flowers, which are registered in the Food Raw Material DB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are a food material with no side effects. And the sap is prepared from vinegar and used to improve diabetes.
  • nipa palm flower stalks The main components of nipa palm flower stalks are that it grows in mineral-rich tidal flats, so the minerals contained are diverse, such as calcium, phosphorus, iron, potassium, magnesium, copper, zinc, selenium, manganese, chlorine, sulfur, and sodium. High in content, especially calcium (3 g/kg), phosphorus (2.5 g/kg), potassium (26 g/kg), magnesium (4.6 g/kg), chlorine (18.3 g/kg), sulfur (3.2 g/kg) , sodium (6.8g/kg) contains a large amount.
  • the main effective ingredients include polyphenol, flavonoid, saponin, chlorogenic acid, kaempferol, protocatechuic acid, terpenoid, anthranoid, etc. Among them, polyphenol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chlorogenic acid, kaempferol, protocatechuic acid, rutin, quercetin, cinnamic acid, and gallic acid were found. This is a tall plant.
  • arginine (302.53mg/kg), aspartic acid (269.01mg/kg), and glutamic acid (171.29mg/kg).
  • antioxidant activity has a much superior IC50 valu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0.017 mg/mL,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0.070 mg/mL) when compared with blueberry and 6-year-old red ginseng.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0.017 mg/mL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0.070 mg/mL
  •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IL-1 ⁇ , IL-6, and TNFFF- ⁇ are also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nipapam include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Nutrients, 2017 Sep; 9 Vol. 9); It ha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Korean Journal of Herbal Medicine 49, No. 2), anti-cholesterol, and pain suppression, and has been shown to have significant a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nipapam with such characteristics to the maximum to improve gingival inflammation, suppress oral harmful bacteria, prevent premature aging of the gum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bad breath and toothache.
  •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ipapam complex extract 64% by weight, grapefruit seed extract 6% by weight, golden extract 6% by weight, green tea leaf extract 6% by weight, pine needle extract 6% by weight, yellow white extract 6 It is composed of 6% by weight of propolis by weight.
  • Grapefruit seed extract refers only to extracts extracted from grapefruit seeds, not grapefruit fruits. This is because grapefruit contains specific ingredients that are not found in grapefruit.
  • grapefruit seed extract contains a large amount of ascorbic acid and naringin, so it has a strong natural antibacterial property without toxicity that destroys the outer membrane of bacteria and kills them, thereby contributing to suppressing harmful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ts strong antioxidant ability enhances APX (Ascobate PeroXidase) activity, providing excellent effects in preventing tartar and periodontitis.
  • APX Ascobate PeroXidase
  • the golden extract has astringent and soothing effect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oothache and suppression of premature aging of the gums.
  • green tea leaf extract contributes to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the catechins contained, periodontitis, gingivitis improvement, and remission of choke.
  • the pine needle extract is rich in vitamins and essential amino acids, which makes the gums strong, inhibits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in the oral cavity, and contributes to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bad breath.
  • Hwangbaek extract relieves inflammation of the mouth, tongue, and gums, prevents dry mouth, and contains berberine, which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is excellent in inhibiting the activity of harmful bacteria in the oral cavity.
  • the extracts are all powdered by freeze-drying after extraction.
  • propolis contains nutrients such as various vitamins, amino acids, fats, organic acids, and flavonoids, so it is effective in anti-inflammatory, immunity enhancement, periodontal strengthening, and tartar prevention.
  • Such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undergoes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to generate phyto-salt, an active ingredient, by special processing of the nipapam complex extract.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 nipapam complex extract;
  • the obtained nipa palm complex extract 64% by weight, grapefruit seed extract 6% by weight, golden extract 6% by weight, green tea leaf extract 6% by weight, pine needle extract 6% by weight, yellow white extract 6% by weight and propolis 6% by weight are mixed and then stirring at 50 rpm for 30 minutes.
  •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nipapam complex extract. This is because it includes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vegetable biosalt contain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nipapam complex extract into phytosalt.
  • the young shoots of nipa palm collected from a tidal flat wetland are sliced to a length of 5 cm in diameter, and then washed with cold water (4 to 10 ° C) immediately flowing within a short time (30 seconds). 1 course; After removing the water from the washed nipapam sections, freeze-dried in a deepfreezer at -50°C for 12 hours, freeze-dried in a freeze dryer at -40°C for 72 hours, and stored in a low temperature room (4°C).
  • a flavoring solution containing nipapam’s unique aromatic substance is separately prepared by stirring the alcohol: purified water: nipapam fragments in a weight ratio of 6:3:1, and then mixed with a powdered natural product to make a powder-flavoring mixture, and this mixture and dry pulverizing to obtain a nipapam complex extract in powder form containing phytosalt.
  • the reason for the step-by-step cold water treatment (4-10°C), freezing (-50°C), freeze-drying (-40°C),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4°C) is that plant biosalt is In order to be completely converted to phyto-salt, the salinity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this state was confirmed to be 3.30%.
  • the reason for going through the fourth process is to prevent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young stems of nipapam from being destroyed or denatured.
  • the flavoring liquid is formulated to ensure safety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Nipapam freeze-dried powder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 triton X100, 1% PVP-40
  • extraction buffer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 triton X100, 1% PVP-40
  • extraction buffer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 triton X100, 1% PVP-40
  • extraction buffer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 triton X100, 1% PVP-40
  •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using a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 the reducing power of the sample was measured by the electron donating effect fo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by modifying the method of Blois.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ipapam extract i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positive control showed DPHH radical scavenging ability by treating BHT (2,6-Di-tert-butyl-4-methylphenol), known as a synthetic antioxidant, at the same concentration.
  • BHT 2,6-Di-tert-butyl-4-methylphenol
  • the nipapam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200ug/mL, 9.60 ⁇ 1.55, and showed an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the nipapam extract.
  • Sample Sample concentration 50 100 150 200 Nypa fruticans 6.70 ⁇ 0.08 7.11 ⁇ 1.47 8.19 ⁇ 2.04 9.60 ⁇ 1.55 BHT 6.51 ⁇ 2.53 5.29 ⁇ 2.89 5.87 ⁇ 2.08 7.30 ⁇ 3.22
  • superoxide anion O 2 -
  • hydrogen peroxide H 2 O 2
  • SOD superoxide dismutase
  • Catalase activ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Aebi,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substrate Hydrogen peroxide (H 2 O 2 ).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0mM H 2 O 2 2.5, 5, 12.5, 25 ⁇ g / ⁇ l nipapam protein 20uL in 0.2mL of solution was mixed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240nm.
  • 43.6 is 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H 2 O 2 at 240 nm
  • Pr is expressed as the sample protein concentration.
  • Ascobate peroxidase is known as an important enzyme that removes hydrogen peroxide (H 2 O 2 ) together with catalase.
  • APX activity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method of Nacano and Asada to oxidize ascorbate to measure the decrease in H 2 O 2 .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0.5mM ascorbate, 0.1mM EDTA solution 0.2mL 2.5, 5, 12.5, 25 ⁇ g / ⁇ l nipapam protein 20uL of the mixture was then reacted at 37 °C 5 minutes.
  • APX activity ((A-B)/2.8) ⁇ (Total volume/Sample volume/Pr(mg/ml)
  • Ascobate peroxidase (APX) activity of nipapam extract showed high APX activity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nipapam extract, similar to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FIG. 4).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determin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Folin-Denis. 80uL of Folin-Denis Regent (Fluka, Bucs, Swizerland) was mixed with 80uL of nipapam extract made at a concentration of 0.5mg/mL using 60% ethanol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 minutes, and then 10% sodium carbonate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80 uL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760 n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expressed by preparing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using tannic acid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 Total flavonoid content was determined by modifying the method of Nieva Moreno et al. 20uL of nipapam extract made to a concentration of 0.5mg/mL with 60% EtOH was mixed with 20uL of 10% aluminum nitrate, 20uL of 1M potassium acetate, and 0.94mL of 80% ethanol,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40 minutes,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415nm. .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calculated using quercetin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and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to represen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nipapam extract. Total polyphenols (mg/g) 245.5 ⁇ 3.23, Total flavonoids (mg/g) were 137.8 ⁇ 20.37.
  • Polyphenol compounds are secondary metabolites with a stabilized structure having a hydroxyl group,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antioxidant reaction, antibacterial ac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have been revealed.
  •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of nipapam was 245.5 ⁇ 3.23mg/g of polyphenols and 137.8 ⁇ 20.37mg/g of flavonoids. It is seen that the content of polyphenols is high as the components of flavonoids belong to polyphenols.
  • the strains used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test were Gram-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 Bacillus subtilis (KCCM 11316), Micrococcus luteus (KCCM 11326),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 35494),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KCCM 11234), Salmonella typhymurium (KCCM 40253), Vibrio parahaemdyticus (KCCM 11965), Pseudomonas aeruginosa (KCCM 11328), Proteus mirabilis (KCCM 40888), Propionibacterium acnes (KCCM 41747), and the oral harmful bacteria Candida snu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nus, Streptococcus mutans It was purchased from the Korea Microbial Conservation Center and used.
  •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MMC minimum killing concentration
  • Tabl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MIC and MBC for 4 types of gram-positive bacteria and 6 types of gram-negative bacteria for each concentration of nipapam extract.
  • Nipapam extract showed relative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t 0.313 mg/mL in S. aureus, M. luteus, and S. epidermidis among Gram-positive bacteria.
  • E. coli, S. typhymurium, V. parahaemdyticus, P. aeruginisa, and P. mirabilis showed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t 0.625 mg/mL.
  • the sterilizing power (MBC) of the composite material against 3 types of oral harmful bacteria is 0.425 mg/mL for C. albicans, 0.325 mg/mL for S. mutans, and 0.225 mg/mL for S. sobrinus, so it has significant inhibitory power. appeared to be
  • strains MIC (mg/mL) MBC (mg/mL) Gram positive S. aureus 0.313 0.625 B. subtilis 0.625 1.25 M. luteus 0.313 0.625 S. epidermidis 0.313 0.625 Gram negative E. coli 0.625 1.25 S. typhymurium 0.625 1.25 V. parahaemdyticus 0.625 1.25 P. aeruginisa 0.625 1.25 P. mirabilis 0.625 1.25 P. acnes 1.25 2.5 oral harmful bacteria MBC (mg/mL) C. albicans 0.425 S. mutans 0.325 S. sobrinus 0.225
  • the gingivitis improvement and preventive efficacy of the nipapam-derived complex material was verified agai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h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and results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mouse macrophages (RAW 264.7 cells).
  • nipapam-derived complex material did not show toxicity to cells in any concentration group and did not show a difference in cell viability by concentration. It is also non-toxic and experimentally proven to be very safe for the living body (cells) (see FIG. 5).
  • Mouse macrophages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complex substances according to concentration (0.2, 0.4, 0.8 mg/mL) and then treated with LPS (0.5ug/mL), an inflammation-inducing substance, 1 hour later, after 24 hours
  • LPS 0.5ug/mL
  • the culture medium was collected, mixed with Griess reagent 1:1, and the NO content was measured at 540 nm.
  • Cytokines are substances secreted by cells during phagocytic activity to defend and protect our body from pathogens or substances that exacerbate inflammation when oversecreted by excessive inflammation.
  • G-CSF, GM-CSF, SICAM-1, IL-1ra, IL-6, IL-27, IP-10, I-TAC, JE, MIP-2, RANTES, TNF- ⁇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 the nipapam-derived complex material effective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ll cytokin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groups (0.8, 0.4 mg/mL) of the treated complex material (see FIG. 7 ).
  • nipapam-derived complex material had an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iNOS, COX-2 and TNF-a expression (see FIG. 8).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ral health care product using the above-described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 a cream-type toothpaste may be exemplified.
  • the cream toothp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6-12% by weight of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9.2-9.6% by weight of purified water, 14-16% by weight of shell-derived natural calcium carbonate, 0.20-0.24% by weight of sodium fluoride, 0.050-% by weight of pyridoxine hydrochloride 0.060% by weight, hydrated silicic acid 6.0-7.0% by weight, blue No.
  • the shell-derived natural calcium carbonate is for plaque removal and tartar removal,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ne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 the shell-derived natural calcium carbonate is immersed in a 15% hydrogen peroxide (H 2 O 2 ) solution after washing the petrified (oyster) shells with sterile water and then immersed in an ultrasonic cleaner for 90 minut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hell surface.
  • a first step of removing a second process of complete drying at 65° C. for 72 hours after the first process; a third step of synthesizing about 50 g of calcium oxide by heating at 100° C./hr per 100 g of shell after the second step and sintering at 900° C.
  • a fourth step of selecting and recovering the synthesized calcium oxide with a uniform particle size of 50 ⁇ m or less using a strainer a fourth step of selecting and recovering the synthesized calcium oxide with a uniform particle size of 50 ⁇ m or less using a strainer; a fifth step of preparing an aqueous calcium hydroxide solution by adding 100 mL of sterile water per 5 g of recovered calcium oxide and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50 minutes; A sixth step of injecting carbon dioxide (CO 2 ) after the fifth step and stirring until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calcium hydroxide solution becomes pH 7.4 at room temperature; A seventh step of recovering the calcium carbonate precipitated through the sixth step and then completely drying it in a dryer at 50° C. for 72 hours to obtain a calcium carbonate powder is included.
  • CO 2 carbon dioxide
  • the sodium fluoride is added to prevent caries disease;
  • the pyridoxine hydrochloride is added to prevent stomatitis, stomatitis, stomatitis and glossitis;
  • the hydrous silicic acid is added for thickening action;
  • the hydroxyapatite is added to aid the ingrowth of teeth;
  • D-sorbitol solution functions as a wetting agent.
  • 0.4-0.6 parts by weight of sodium pyrophosphate may be further add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eam-type toothpaste composition.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the CMC prevents periodontitis and contributes to the prevention of premature aging of the gums.
  • PEG Polyethylene Glycol
  • the PEG should use a molecular weight of 1500 or less in order to maintain lubricity, hygroscopicity and wettability.
  • the toothpaste was applied to a toothbrush certified by the Dental Association and left for 1-10 days, and it was checked whether the color of the bristles was changed every day.
  • oral health care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mplified by mouthwashes.
  • the mouthw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2-6% by weight of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2.0-3.0% by weight of vegetable glycerin, 0.20-0.24% by weight of sodium fluoride, 0.20-0.30% by weight of enzyme-treated stevia as a sweetener and 0.01-0.02% by weight of xylitol % by weight, cocobetaine 4.5-5.5% by weight as a natural foaming agent, 1-2% by weight of aquamint flavor as a flavoring agent, 45-55% by weight of D-sorbitol solution as a wetting agent, and the rest of purified water.
  • These mouthwashes are mainly used for improving bad breath, suppressing toothache, and suppressing harmful bacteria in the mouth.
  • FIG. 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comprising the nipapam-derived complex natural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 a rotating frame 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frame 30 is installed, the vertical operation unit 20 for elevating the rotation frame 30, and the rotation frame 30 and the vertical operation unit 20 installed in the rotation frame ( 3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 for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installed in the rotation frame 30 to stir the composition material in the container 1 at high speed, and the rotation frame 30 and a low-speed mixing unit 60 for stirring the composition material in the vessel 1 at low speed, and the vessel 1 is seated and the vessel 1 is rotated in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and the low-speed mixing unit 60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for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nstalled on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to sens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1 seated on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and put into the container (1)
  • the support unit 10 includes a base 11 on which the vertical operation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90 are seated, and a wheel 12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se 1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ase 11 . is made of
  • the vertical operation unit 20 is composed of a vertical operation cylinder 21 whose lower end is seated on the base 11 of the support unit 10 and the upper end of the rod 2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frame 30 .
  • the rotating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od 22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 includes a horizontal rotation motor 41 fixed to the vertical operation unit 20 , a driving gear 42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1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and a rotation frame 30 . It is fixed to the drive gear 42 and meshed with the drive gear 42 and is interlocked when the drive gear 42 rotates and consists of an electric gear 43 for rotating the rotation frame 30 .
  • the low-speed mixing unit 60 is coupled to a low-speed rotating motor 61 installed in the rotating frame 30 , a low-speed shaft 62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speed rotating motor 61 , and a lower end of the low-speed shaft 62 . It consists of a low-speed blade part 63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low-speed shaft 62 and stirs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
  • a plurality of low-speed wing parts 63 are radially formed around a coupling boss 64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speed shaft 62 and the coupling boss 64, and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is stirred during rotation.
  •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includes a high-speed rotation motor 51 installed in the rotation frame 30 , a high-speed shaft 55 connected to the high-speed rotation motor 51 to receive rotational power, and a high-speed shaft 55 .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igh-speed blade unit 56 that rotates with it and stirs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at high speed, and the drive pulley 52 connected to and rotated with the high-speed rotation motor 51, and the high-speed shaft
  • the electric belt connected to the electric pulley 53 connected to (55)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pulley 52 and the electric pulley 53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pulley 52 to the electric pulley 53. (54).
  • the high-speed wing portion 56 is radial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57 and the rotating plate 57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igh-speed shaft 55, and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rotating plate 57
  • the high-speed blade 58 and the rotating plate 57 which are erected to achieve high-speed rotation and agitate while transferring the material on the outside of the high-speed blade part 56 lifted by the low-speed blade part 63 to the inside of the high-speed blade part 56 during high-speed rotation.
  • And connected to the high-speed blade (58) consists of a reinforcing piece (59) for reinforcing the high-speed blade (58).
  •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the case 76 buried in the ground, is installed to rot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76, is exposed to the ground, the rotation plate 79 on which the container 1 is seated, and the case ( Built in 76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79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driving motor 71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79,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driving motor 71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driving motor 71 rotational speed A speed reducer 75 for decelerating the speed, a rotary plate drive pulley 72 connected to the rotary plate drive motor 71, a rotary plate drive pulley 73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75, a rotary plate drive pulley 72 and The rotating plate driving belt 74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driving pulley 73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ating plate driving pulley 72 to the rotating plate driving pulley 73, and the rotating plate 79 being fixed to the lower part. It consists of a ring gear 77 and a rotation plate electric gear 78 connected to the reducer 75 and me
  • the measurement unit 80 is made of a load cell.
  • the low-speed wing portion 63 of the low-speed mixing unit 60 and the high-speed blade 56 of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rotating plate 79 of the vessel reverse rotating means 70 is the low-speed blade It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t 63 and the high-speed wing part 56 .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ortion 10 provided to be movable, a rotating frame 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 and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ng frame 30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operation part 20 for elevating the rotation frame 30, and the rotation frame 30 and the vertical operation part 20 are installed in the rotation frame 30
  • a horizontal rotating unit 40 for rotating th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high-speed mixing unit 50 installed in the rotating frame 30 to stir the composition in the vessel 1 at high speed
  • a rotating frame 30 installed in the vessel ( 1)
  • a low-speed mixing unit 60 that stirs the composition at low speed, the container 1 is seated, and the container 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and the low-speed mixing unit 60
  • It consists of a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to a required place, and the low-speed mixing unit 60 and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container 1 while horizontally rotating and elevating.
  • the oral health care composition mixing device can be used conveniently.
  • the low-speed mixing unit 60 of the present invention floats upward while mixing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speed mixing unit 60 while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is mixed secondarily, and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rotates the container 1 whil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w-speed mixing part 60 and the high-speed mixing part 50, so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It is mixed again by the low-speed mixing unit 60 and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
  • the composition in the container 1 is reliably mixed by the low-speed mixing unit 60, the high-speed mixing unit 50, and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rotated opposite to them, so that the quality of the composition can be improved.
  • the measuring unit 8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container 1 seated on the container reverse rotation means 70 is sensed, and the composition injected into the container 1 is measured. measure the amount
  • the load cell of the measuring unit 80 immediately measures the input amount, so the measurement of the mixed material becomes very simple, and thus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 the low-speed wing portion 6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adially around the coupling boss 64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speed shaft 62, and the coupling boss 64, when rotating the container (1) )
  • the low-speed wing part 63 when the low-speed wing part 63 is rotated, the composition inside the container 1 is floated upward by the inclined wings 65 arranged to be mixed, and the materials sprea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are scraper 66 It is mixed while being scraped up by the protective ring 67, and the low-speed wing part 63 is moved freely in the container 1 and even if it collides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 the impact is minimized so that the container 1 is prevent damage.
  • the high-speed wing portion 5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dial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57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igh-speed shaft 55, and the rotating plate 57, and the rotating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57) and high-speed blades 58 that are erected to form a right angle and agitate while transferring the material outside the high-speed blades 56, which is lifted by the low-speed blades 63, to the inside of the high-speed blades 56 during high-speed rotation; It consists of a reinforcing piece 59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57 and the high-speed blade 58 to reinforce the high-speed blade 58 . Since the high-speed blade portion 56 has a curved circumference around the high-speed blade 58 , it is not damaged even when the particles of the material collide with the high-speed blade 58 during high-speed rotation.
  • the high-speed blade portion 56 rotated at high speed, the grains of the composition are not damaged. And, since the high-speed blade 58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piece 59, the high-speed blade 58 is prevented from being bent or damaged even when it rotates at a high speed for a long period of time.
  • an anti-corrosion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igh-speed blade 58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etal surface.
  • the coating material of this anti-corrosion coating layer is 20% by weight of mercaptotriazole, 15% by weight of petroleum sulfonate, 10% by weight of mercaptobenzothiazole, 15% by weight of hafnium, 10% by weight of molybdenum emulsification (MoS2), 10% by weight of oxide It is composed of 30% by weight of aluminum, and the coating thickness can be formed to 8 ⁇ m.
  • Mecaptotriazole, petroleum sulfonate and mercaptobenzothiazole act as corrosion protection and discoloration protection.
  • Hafnium is a transition metal element with corrosion resistance, and serves to have excellent waterproof and corrosion resistance.
  • Molybdenum emulsified plays a role in imparting lubricity and lubricity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 Aluminum oxide is added for the purpose of fire resistance and chemical stability.
  • an anti-contamination coating layer made of an anti-contamination coating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speed shaft 55 to effectively prevent adhesion of and remove pollutants.
  •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contains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taine in a molar ratio of 1:0.01 to 1:2, and the total content of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taine is 1 to 10 based on the total aqueous solution. % by weight.
  • the molar ratio of the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taine is preferably 1:0.01 to 1:2.
  • the alkylate polyglucoside and aminoalkyl slovetaine preferably contain 1 to 10% by weight in the entire aqueous solution of the composition, and when i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ating property of the substrate is reduced, and when it exceeds 10% by weigh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ncreases. Crystal precipita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 the thickness of the final coating film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00 to 2000 ⁇ ,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 . I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00 ⁇ ,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eteriorated in the case of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and if it exceeds 2000 ⁇ ,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rystal precipitation on the coated surface is easy to occur.
  • the present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ng 0.1 mol of alkylate polyglucoside and 0.05 mol of aminoalkyl slovetaine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stirring.
  • control unit 90 may be coated with a fragrance material mixed with functional oil, thereby sterilizing the control unit 90, and has the effect of relieving the stress of the operator.
  • Functional oil may be mixed with the perfume material, and the mixing ratio is 95 to 97% by weight of the functional oil mixed with 3 to 5% by weight of the functional oil, and the functional oil is, Acacia dealbata oil 50 Weight %, Valeriana fauriei oil (Valeriana fauriei oil) consists of 50% by weight.
  • the functional oil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3 to 5% by weight based on the fragrance material.
  •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exceeds 3 to 5% by weight, the function is not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 the main chemical components of Acacia dealbata oil are palmic aldehyde and enanthic acid.
  • Valeriana fauriei oil (Valeriana fauriei oil) is a major chemical component of bornyl acetate, pinene, etc., along with a blood pressure lowering action, calming and calming the mind, so it has excellent effects on anxiety and tension relief.
  • control unit 90 Since this functional oil is coated on the control unit 90 ,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control unit 90 , as well as help recover from fatigue of the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파팜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바이오솔트가 파이토솔트(phyto-salt)로 전환되게 하고, 여기에 천연 생약추출물을 배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본 발명의 과제(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결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니파팜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바이오솔트가 파이토솔트(phyto-salt)로 전환되게 하고, 여기에 천연 생약추출물을 배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에 관한 것이다.
구강질환은 우리나라 성인의 80%가 앓고 있으며, 60대 이상 노령 인구의 약 90%가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다.
잇몸질환이 외래 다빈도 질환 중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병률이 높고 매년 증가추세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내 대표적인 염증성 질환을 살펴보면 세균에 의해 연조직에 국한적으로 나타나는 치은염과 염증상태가 잇몸과 잇몸 뼈 주변까지 진행된 치주염으로 구분할수 있으며, 치주염이 악화될 경우 치주인대 조직이 손상되어 치주낭으로 발전하면서 치조골 소실로 이어진다. 이와같은 잇몸염증질환은 40세 이상의 장년층이나 노년층의 경우, 80~90%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예방하고 개선할수 있는 치료제, 구강용품 등의 개발이 절실하다.
치주질환은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 및 치의약 분야 관련 건강보조식품과 위생용품 개발시 친환경 및 인체친화적 천연소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치주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용품 소재에서 파이토-물질(phyto-materia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성인의 80%, 그리고 실버세대 연령의 90%가 만성적으로 구강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나 사전에 예방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보조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판매중인 기능성 세치제의 경우, 프라그 저해, 구강내 유해균 억제, 구취개선, 미백효과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어 있으나 연령별 개인의 구강체질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제품들이 대다수로 사용시 잇몸질환과 구내염증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제품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구강은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매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성 감염균주 및 상주균 등에 의한 구강질환 및 전신질환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구강 내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구강보건을 향상시키려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약물의 오용 및 남용과 원내 감염균에 대한 약제내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새로운 대체약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취발생은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과 마찬가지로 구강 내 미생물들이 형성한 치면세균막에 의해서 주로 발생한다.
구강 내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취는 일차적으로 세균성 부패 및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에 의해 발현된다.
타액 내 단백질, 음식물 내 단백질, 치은열구 내 단백질이 세균과 사람의 단백분해효소에 의해서 펩티드로 분해되는데 펩티드는 황을 함유하지 않는 아미노산(amino acid)과 시스테인(cystein), 메티오닌(methionine)과 같은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 그리고 아르기닌(arginine), 리신(lysine)과 같은 질소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은 혐기성 그람(gram) 균의 분해작용에 의해서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와 메틸 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CH3)2S) 등의 휘발성 황화합물을 발생시키고 질소를 함유하는 아미노산 또한 푸트레신(putrescine), 카다베린(cadaverine)과 같은 구취발생물질을 발생시킨다.
구취의 가장 주된 원인물질은 H2S와 CH3SH, (CH3)2S다. 이 중 H2S와 CH3SH은 휘발성 황화합물의 약 92%를 차지하고, CH3SH은 치주환자와 혀관리가 불량한 많은 환자에서 휘발성 황화합물의 주된 구성성분이다.
구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냄새를 유발하는 치면세균막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여건상 잇솔질과 같은 물리적 제거방법을 시행할 수 없을 경우 양치액과 같은 화학적인 치면 세균막 조절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양치액에 함유되는 항균물질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정유(essential oil), cetylpyridinium chloride(CPC) 등의 인공화합성물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장기간 사용해도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균물질을 이용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항균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들로서는 bisbiguanides 제제(chlorhexidine)와 4급 암모늄제제(cetylpyridium, benzalkonium chloride) 및 페놀 화합물(triclosan) 등이 있다.
구강 양치액의 주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은 세균의 세포막을 공격하여 세포구성물의 누출이나 침전을 일으키고, 또한 타액의 뮤신(mucin)에 결합하여 salivary pellicle 형성을 감소시켜 치태의 군집을 방해하며 세균에 결합하여 세균이 치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해한다.
하지만, 클로르헥시딘은 맛이 쓰고, 혀와 치아에 착색을 일으키며, 점막의 작열감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유기물이 있는 경우 그 효과가 크게 감소하고, 치아우식 유발균에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들도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학제재의 과도한 사용의 문제점은 구강 내 미생물총 뿐 아니라 장관 미생물총에도 혼란을 초래하여 다른 세균에 의한 감염, 구토나 설사 등의 원치 않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최근들어 치주질환이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의료 및 치의약 분야 관련 건강보조식품과 위생용품 개발시 친환경 및 인체친화적 천연소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치주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용품 소재에서 phyto-materia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판매중인 기능성 세치제의 경우, 프라그 저해, 구강내 유해균 억제, 구취개선, 미백효과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어 있으나 연령별, 개인의 구강체질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제품들이 대다수로 사용시 염증성 잇몸질환과 구내염증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제품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니파팜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바이오솔트가 파이토솔트(phyto-salt)로 전환되게 하고, 여기에 천연 생약추출물을 배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니파팜(Nipa palm)을 활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하도록 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은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및 프로폴리스 6중량%로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파팜(Nipa palm) 복합추출물 획득단계; 획득된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와,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및 프로폴리스 6중량%를 혼합한 후 5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파팜 복합추출물 획득단계는 갯벌 습지에서 채취한 니파팜의 어린순을 직경 5cm의 길이로 절편화시킨 후 바로 흐르는 냉수(4~10℃)로 단시간(30초)내로 수세하는 제1과정; 수세된 니파팜 절편의 물기를 제거하고, -50℃ 초저온냉동고(Deepfreezer)에서 12시간 동결시킨 후 -40℃의 동결건조기(Freeze dryer)에서 72시간 동결건조하고 저온실(4℃)에서 저장하는 제2과정; 동결건조된 니파팜의 어린순을 3~5cm 길이로 절단한 후 절편에 4℃ 냉수를 스프레이하여 30분 방치하고 스크류 가압방식의 스테인레스 유념기에 어린순 절편을 올린후 55rpm의 회전속도로 처리하여 어린순의 식물체 조직을 파쇄하는 제3과정; 파쇄된 어린순 2kg당 10L의 70% 주정알콜에 침지하여 10℃ 저온실에서 1주일 동안 50rpm으로 교반하면서 추출 건조하여 니파팜 분말을 만드는 제4과정; 주정알콜:정제수:니파팜 분말을 6:3:1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분말-착향액 혼합물을 만들고, 이 혼합물을 건조분쇄하여 파이토솔트가 함유된 파우더 형태의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얻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6-12중량%, 정제수 9.2-9.6중량%, 패각 유래 천연 탄산칼슘 14-16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0-0.060중량%, 함수규산 6.0-7.0중량%, 착색제로 청색1호 0.0001-0.0002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05-0.06중량%, 감미제로 자일리톨 0.01-0.02중량%, 발포제로 SLS(sodium lauryl sulfate) 1.5-2.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및 나머지 D-소르비톨액으로 이루어져 크림형 치약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2-6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0-3.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감미제로 효소처리스테비아 0.20-0.30중량%와 자일리톨 0.01-0.02중량%, 천연기포제로 코코베타인 4.5-5.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습윤제로 D-소르비톨액 45-55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로 이루어져 구강청결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파팜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바이오솔트가 파이토솔트(phyto-salt)로 전환되게 하고, 여기에 천연 생약추출물을 배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 제조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SOD 항산화 활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카탈라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APX 항산화 활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항염활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cytokine array 분석을 통한 발현억제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니파팜 복합추출물의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염증인자의 단백질 발현억제능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연구 결과이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파이토솔트(phyto-salt)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니파팜(Nipa palm)은 야자나무과에 속하는 열대성 식물로 니파팜, 맹그로브 야자, 니파, 워터야자라고도 불리며, 식물분류학상의 학명은 Nypa fruticans Wurmb이다.
니파팜의 크기는 9~10m로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갯벌이나 염분 습지 속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미얀마 등에서는 전통적으로 니파팜을 민간약재로 사용해 왔는데, 주로 잎, 줄기, 뿌리는 천식과 나병, 결핵, 간질환 치료와 치아염증치료, 그리고 치통치료에 이용해 왔다.
니파팜의 식용부위는 열매, 순, 꽃이며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원재료 DB에 등재되어 있어 부작용이 없는 식품소재이다, 그리고, 미성숙 열매는 디저트용 과일로 사용하고, 어린순은 차나 식재료로 이용하고, 수액은 식초로 제조하여 당뇨병 개선에 사용하고 있다.
니파팜 꽃대의 주요성분으로는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습지에서 자라고 있어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종류가 칼슘, 인, 철, 칼륨, 마그네슘, 구리, 아연, 셀레늄, 망간, 염소, 황, 나트륨 등으로 다양하고, 함량이 높으며, 특히 칼슘(3g/kg), 인(2.5g/kg), 칼륨(26g/kg), 마그네슘(4.6g/kg), 염소(18.3g/kg), 황(3.2g/kg), 나트륨(6.8g/kg)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조단백, 조지방, 탄수화물, 과당, 포도당, 자당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 효능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saponin, chlorogenic acid, kaempferol, protocatechuic acid, terpenoid, anthranoid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폴리페놀을 구성하는 주요성분이 chlorogenic acid, kaempferol, protocatechuic acid, rutin, quercetin, cinnamic acid, gallic acid 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조사포닌도 110g/k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삼이나 홈삼의 대체식품소재로도 활용성이 높은 식물이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꽃대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15종으로 아르기닌(302.53mg/kg)과 아스파스트산(269.01mg/kg), 글루탐산(171.29mg/kg)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니파팜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100대 폴리페놀 식품 1위인 '정향' 보다 높은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어 탁월한 진통효과와 항산화능이 있으며,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당뇨, 치주염 개선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0).
또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7; 30권 5호에 따르면, 항산화활성은 블루베리, 6년근 홍삼과 비교분석했을 때 훨씬 탁월한 IC50값(DPPH 라디컬 소거능:0.017mg/mL, ABTS 라디컬 소거능:0.070mg/mL)을 가지고 있으며, The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16; 31권 5호에 따르면, IL-1β, IL-6, TNFFF-α와 같은 염증인자들에 대해서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나아가, 니파팜의 대표적인 약리효능연구는 항산화, 항당뇨(Nutrients, 2017 Sep; 9권9호); 항염증, 항균(한국생약학회지 49권2호) 및 항 콜레스테롤, 통증 억제 등이며, 유의할만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아울러, 니파팜의 구강보건효능에 대한 연구결과는 치주염 유발에 관여하는 Porphyromonas gingivalis(P. gingivalis)와 Acto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comitans)을 꽃대 추출물(2mg/mL)로 처리했을 때 80% 이상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니파팜을 최대한 활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은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프로폴리스 6중량%로 조성된다.
이때, 상기 나파팜의 효능과 특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은염증을 개선하고 구강내 유해균을 분해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잇몸의 조기노화를 예방하며 구취 및 치통 개선에 기여하고; 자몽종자 추출물은 자몽열매가 아닌 자몽씨에서 추출된 추출물만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몽에는 없는 특이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자몽종자 추출물은 아스코르빈산과 나린진(Naringin)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세균의 외막을 분해하여 자살시켜 제거하는 독성없는 강력한 천연항균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구강내 유해균을 억제하는데 기여하고, 특히 강력한 항산화능력은 APX(Ascobate PeroXidase) 활성을 크게 하여 치석 억제, 치주염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황금 추출물은 수렴 및 진정효과가 있어 치통 개선 및 잇몸조기노화 억제에 기여한다.
또한, 녹차잎 추출물은 함유된 카테킨의 항암성, 치주염, 치은염 개선 및 쿠취해소에 기여한다.
아울러, 솔잎 추출물은 비타민과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잇몸을 튼튼하게 하고, 구강내 유해균 번식 억제, 이를 통한 구취 발생 억제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황백 추출물은 입과 혀 및 잇몸의 염증을 해소하고, 구강건조를 방지하며, 베르베린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성, 소염성이 뛰어나 구강내 유해세균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여기에서, 상기 추출물들은 모두 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시킨 것이다.
나아가, 프로폴리스는 각종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항염, 면역력 증강, 치주 강화, 치석예방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은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특수가공하여 유효성분인 파이토솔트(phyto-salt)를 발생시키도록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을 거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제조방법은 니파팜 복합추출물 획득단계; 획득된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와,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및 프로폴리스 6중량%를 혼합한 후 5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의 추출물은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방식으로 수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함유된 식물성 바이오솔트를 파이토솔트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파팜 복합추출물 획득단계는 갯벌 습지에서 채취한 니파팜의 어린순을 직경 5cm의 길이로 절편화시킨 후 바로 흐르는 냉수(4~10℃)로 단시간(30초)내로 수세하는 제1과정; 수세된 니파팜 절편의 물기를 제거하고, -50℃ 초저온냉동고(Deepfreezer)에서 12시간 동결시킨 후 -40℃의 동결건조기(Freeze dryer)에서 72시간 동결건조하고 저온실(4℃)에서 저장하는 제2과정; 동결건조된 니파팜의 어린순을 3~5cm 길이로 절단한 후 절편에 4℃ 냉수를 스프레이하여 30분 방치하고 스크류 가압방식의 스테인레스 유념기에 어린순 절편을 올린후 55rpm의 회전속도로 처리하여 어린순의 식물체 조직을 파쇄하는 제3과정; 파쇄된 어린순 2kg당 10L의 70% 주정알콜에 침지하여 10℃ 저온실에서 1주일 동안 50rpm으로 교반하면서 용출, 여과, 농축, 냉동화(-50℃), 동결건조화(-40℃)하여 분말형 천연물을 만드는 제4과정; 주정알콜:정제수:니파팜 절편을 6:3:1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니파팜 특유 방향성물질이 함유된 착향액을 별도로 제조한 다음 분말형 천연물과 혼합하여 분말-착향액 혼합물을 만들고, 이 혼합물을 건조분쇄하여 파이토솔트가 함유된 파우더 형태의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얻는 제5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니파팜 복합추출물 획득단계에서 절편을 단계별로 냉수처리(4-10℃), 냉동(-50℃), 동결건조(-40℃), 저온처리(4℃)하는 이유는 식물성 바이오솔트가 파이토솔트(phyto-salt)로 완전히 전환되게 하기 위함이며, 이 상태에서 복합물질의 염도는 3.30%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4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니파팜의 어린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이 파괴되거나 변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착향액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성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니파팜의 어린 순의 유효성분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사포닌,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등 12종의 미네랄 등이 복합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천연물이며, 니파팜의 지용성물질과 수용성물질을 통합적으로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온에 민감한 생리활성물질과 조효소, 조단백, 조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는 복합물질이 그대로 추출되어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니파팜 유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분석을 통한 잇몸조기노화 예방 및 억제능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1) 시료의 정량
니파팜 동결 건조 분말을(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 triton X100, 1% PVP-40) extraction buffer에 1:5의 비율로 혼합한 후 균질화하였으며, 12000 rpm, 4℃ 에서 20분 원심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이때, 단백질 농도는 BCA protein assay kit(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2)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및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에 대한 전자공여 효과로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5×10-4M DPPH(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용액(95% ethanol에 용해) 0.2mL에 2.5, 5, 12.5, 25㎍/㎕의 니파팜 단백질 20uL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T(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 (1-(A/B))×100
(A: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니파팜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이때, Positive control는 합성항산화제로 알려진 BHT(2,6-Di-tert-butyl-4-methylphenol)를 같은 농도로 처리하여 DPH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니파팜 추출물은 200ug/mL의 농도에서 9.60±1.55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니파팜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Sample Sample concetration (ug/mL)
50 100 150 200
Nypa fruticans 6.70±0.08 7.11±1.47 8.19±2.04 9.60±1.55
BHT 6.51±2.53 5.29±2.89 5.87±2.08 7.30±3.22
(3) SOD activity 측정 및 결과SOD activity는 Beauchamp and Fridovich의 방법을 응용해 Xanthine/Xanthine oxidase 반응으로 생성된 superoxide anion를 이용해 Nitroblue tetrazolium(NBT)의 환원 정도를 측정하였다.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0.1mM EDTA, 0.1mM Xanthine, 0.025mM Nitroblue tetrazolium(NBT) 용액 0.2mL에 각각 2.5, 5, 12.5, 25㎍/㎕의 니파팜 단백질 20uL를 혼합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하였다. 그 다음 3.3×10-6mM Xanthine oxidase를 첨가한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효소 활성은 다음 계산식에 의해 환산하였다.
SOD units/mg= ((A-B)/B)×50)/Sample volume×Total volume/Pr(mg/ml)
(A: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SOD acitivity는 Superoxide anion(O2 -)는 superoxide dismutase(SOD)에 의해 hydrogen peroxide(H2O2)로 분해되는데, Xanthine/Xanthine oxidase 반응으로 생성된 superoxide anion를 이용해 니파팜의 SOD activity를 측정하였다.
2.5, 5, 12.5, 25ug/uL 니파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활성이 증가하였다(도 2). 니파팜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OD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 Catalase(CAT) activity 측정 및 결과
Catalase activity는 Aebi의 방법에 따라 기질인 Hydrogen peroxide(H2O2)의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10mM H2O2 용액 0.2mL에 2.5, 5, 12.5, 25㎍/㎕의 니파팜 단백질 20uL를 혼합한 다음 2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43.6은 240nm에서 H2O2 의 extinction coefficient이며, Pr은 sample 단백질 농도로 나타내었다.
CAT activity=((A-B)/43.6)×Total Volume/Sample Volume/Pr(mg/ml)
(A: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니파팜 추출물의 Catalase(CAT)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니파팜를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5, 5, 12.5ug/uL 농도에서는 CAT 활성이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보였고, 특히 25ug/uL의 농도에서 5.778 Unit/mg으로 다른 농도에 비해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도 3).
(5) APX activity 측정 및 결과
Ascobate peroxidase는 catalase와 더불어 Hydrogen peroxide(H2O2)를 제거하는 중요한 효소로 알려져있다. APX activity는 Nacano and Asada의 방법을 응용하여 ascorbate를 산화시켜 H2O2의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50mM potassium phosphate pH7.0, 0.5mM ascorbate, 0.1mM EDTA 용액 0.2mL에 2.5, 5, 12.5, 25㎍/㎕의 니파팜 단백질 20uL를 혼합한 다음 37℃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290nm에서 혼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2.8은 290nm에서 ascorbate의 extinction coefficient이고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APX activity=((A-B)/2.8)×(Total volume/Sample volume/Pr(mg/ml)
(A: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B: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니파팜 추출물의 Ascobate peroxidase(APX) activity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유사하게 니파팜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높은 APX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4).
(6)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측정 및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60% ethanol을 이용해 0.5mg/mL 의 농도로 만든 니파팜 추출물 80uL에 Folin-Denis Regent(Fluka, Bucs, Swizerland) 80u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10% sodium carbonate (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 80uL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tannic acid(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ieva Moren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60% EtOH을 이용해 0.5mg/mL 의 농도로 만든 니파팜 추출물 20uL에 10% aluminum nitrate 20uL와 1M potassium acetate 20uL 그리고 80% ethanol 0.94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가지고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니파팜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Total polyphenols(mg/g) 245.5±3.23, Total flavonoids(mg/g) 137.8±20.37 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화합물은 hydroxyl기를 갖는 안정화된 구조를 보이는 이차대사산물로 항산화 반응, 항균작용, 항염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져 있고, 플라보노이드 역시 활성산소 제거와 항염증,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니파팜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245.5±3.23mg/g의 폴리페놀과, 137.8±20.37mg/g의 플라보노이드가 검출되었다. 이는 플라보노이드의 성분이 폴리페놀에 속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7)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의 항미생물 활성 분석
①사용균주 및 배양 조건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KCCM 11764), Bacillus subtilis(KCCM 11316), Micrococcus luteus(KCCM 11326), Staphylococcus epidermidis(KCCM 35494)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KCCM 11234), Salmonella typhymurium(KCCM 40253), Vibrio parahaemdyticus(KCCM 11965), Pseudomonas aeruginosa(KCCM 11328), Proteus mirabilis(KCCM 40888), Propionibacterium acnes(KCCM 41747), 그리고 구강내 대표적인 유해균인 Candida albican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을 한국 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각 균은 사용하기 전 3회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각 균주들을 배양하는데 필요한 배지 및 배양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Strains Media Temperature (℃)
Gram positive
(그람양성균)
S. aureus Nutrient 37
B. subtilis Nutrient 30
M. luteus Nutrient 30
S. epidermidis Nutrient 37
Gram negative
(그람음성균)
E. coli Nutrient 37
S. typhymurium Nutrient 30
V. parahaemdyticus Nutrient+3% NaCl 37
P. aeruginisa Nutrient 37
P. mirabilis Nutrient 37
P. acnes Actinomyces 37
구강유해균 C. albicans LB 37
S. mutans BHI 37
S. sobrinus BHI 37
②미생물에 대한 복합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와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니파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96 well plate에 연속적으로 2배 희석하여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를 측정하였다. 균주는 각각 1.5×106 CFU/mL로 현탁하였고 균주 50uL 와 3차 증류수 50uL를 첨가한 후 니파팜 추출물은 60% ethanol에 녹여 2배 희석법을 이용해 최종 농도가 2.5, 1.25, 0.625, 0.313, 0.16, 0.078mg/mL이 되도록 하였다.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탁도를 확인하고 Nutrient agar배지에 각 40uL씩 도말해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균의 생장이 저해되는 농도를 MIC, 균의 생장이 보이지 않은 최소 농도를 MBC로 결정하였다.
니파팜 추출물의 농도별 4종의 그람 양성균과 6종의 그람 음성균에 대한 MIC와 MBC를 측정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니파팜 추출물은 그람양성균 중에서 S. aureus, M. luteus, S. epidermidis 에서 0.313mg/mL 으로 비교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그람 음성균 중에서는 E. coli, S. typhymurium, V. parahaemdyticus, P. aeruginisa, P. mirabilis 에서 0.625mg/mL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구강유해균 3종에 대한 복합물질의 살균력(MBC)은 C. albicans가 0.425 mg/mL, S. mutans가 0.325 mg/mL , S. sobrinus가 0.225 mg/mL을 나타내므로서 상당한 억제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ains MIC (mg/mL) MBC (mg/mL)
Gram
positive
S. aureus 0.313 0.625
B. subtilis 0.625 1.25
M. luteus 0.313 0.625
S. epidermidis 0.313 0.625
Gram negative E. coli 0.625 1.25
S. typhymurium 0.625 1.25
V. parahaemdyticus 0.625 1.25
P. aeruginisa 0.625 1.25
P. mirabilis 0.625 1.25
P. acnes 1.25 2.5
구강유해균 MBC (mg/mL)
C. albicans 0.425
S. mutans 0.325
S. sobrinus 0.225
(8)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의 항염활성 분석을 통한 염증개선능 검증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의 항염활성 분석을 통한 치은염 개선 및 예방효능을 재차 검증하였는 바, 검증은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cell) 내에서의 항염활성 분석 및 결과를 통해 진행하였다.
① 세포생존율 분석 및 결과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cell)를 H-DMEM, 10% 륜, 1% 항생제(penicillin, streptomycin)으로 조성된 배양액에 배양하면서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 100mg을 PBS 1mL에 용해하여 여과 (filter 0.45um)후 사용하였다. 세포에 복합물질의 농도를 다양하게 처리하여(0.625, 0.125, 0.25, 0.50. 1.00 mg/mL) 37℃ CO2 배양기내에서 24시간 배양한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은 모든 농도군에서 세포에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농도별로 세포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동일한 안전성(세포생존율 100% 이상)을 나타내므로서 복합물질이 고농도에서도 무독하며, 생체(세포)에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도 5 참조).
② 세포수준에서 질산염(NO, nitrate) 분석을 통한 항염활성 검증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cell)에 복합물질을 농도별(0.2, 0.4, 0.8 mg/mL)로 처리한 후 1시간 뒤에 염증유도물질인 LPS(0.5ug/mL)를 처리한후,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수거하여 Griess reagent와 1:1로 믹스한 후 540nm에서 NO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만 처리한 군에서는 질산염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와같이 염증이 유도된 세포에 복합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모든 농도군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염증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염활성능도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도 6 참조).
③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 발현억제 분석 (cytokine array)을 통한 항염활성 검증
사이토카인류는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고 보호하기 위해 식세포 활동시에 세포가 분비하는 물질들이나 과도한 염증에 의해 과분비될 경우, 염증을 악화시키는 물질이며, 본 실험에서는 복합물질이 12종류의 사이토카인(G-CSF, GM-CSF, SICAM-1, IL-1ra, IL-6, IL-27, IP-10, I-TAC, JE, MIP-2, RANTES, TNF-α)에 대하여 발현억제능이 있는지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은 모든 사이토카인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처리한 복합물질의 농도군(0.8, 0.4mg/mL)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도 7 참조).
④ 염증성 사이토카인 mediator (iNOS, COX-2)와 염증인자 (TNF-α)의 단백질 발현분석 (Western blot)을 통한 항염효과 검증
inflammatory cytokine mediator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COX-2(cyclooxygenase-2)의 단백발현이 LPS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에 의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inflammatory cytokines 중 염증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진 TNF-a의 단백질 발현 역시 LPS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복합물질에 의해 그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니파팜 유래 복합물질이 iNOS, COX-2 및 TNF-a 발현억제를 통해 탁월한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도 8 참조).
덧붙여, 생약추출물인 자몽종자, 프로폴리스, 황금, 녹차, 솔잎, 황백 등에 대한 구강보건 효능을 분석한 결과, 아래 표 4와 같이 구강유해균 억제 및 구취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1006172-appb-T000001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강헬스케어 제품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헬스케어 제품으로는 크림형 치약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형 치약은 상기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6-12중량%, 정제수 9.2-9.6중량%, 패각 유래 천연 탄산칼슘 14-16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0-0.060중량%, 함수규산 6.0-7.0중량%, 착색제로 청색1호 0.0001-0.0002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05-0.06중량%, 감미제로 자일리톨 0.01-0.02중량%, 발포제로 SLS(sodium lauryl sulfate) 1.5-2.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및 나머지 D-소르비톨액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각 유래 천연 탄산칼슘은 치태 제거 및 치석 제거를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각 유래 천연 탄산칼슘은 석화(굴) 패각을 멸균수로 세척한 후 15% 과산화수소(H2O2) 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세척기 내에서 90분간 침지하여 패각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을 제거하는 제1공정; 제1공정 후 65℃ 에서 72시간 완전 건조하는 제2공정; 제2공정 후 패각 100g 당 100℃/hr로 승온하고, 900℃에서 4시간 소결하여 약 50g의 산화칼슘을 합성하는 제3공정; 합성된 산화칼슘을 거름채를 이용하여 50㎛ 이하의 균일한 입도로 선별하여 회수하는 제4공정; 회수된 산화칼슘 5g 당 100 mL의 멸균수를 가한 후 5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수산화칼슘 수용액을 제조하는 제5공정; 제5공정 후 이산화탄소(CO2)를 주입하여 수산화칼슘 수용액의 수소이온농도가 상온에서 pH7.4가 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을 통해 침전된 탄산칼슘을 회수한 다음 50℃ 건조기 내에서 72시간 동안 완전 건조하여 탄산칼슘 분말을 수득하는 제7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루오르화나트륨은 충치 질환 예방을 위해 첨가되고; 상기 피리독신염산염은 구각염, 구순염, 구내염, 설염을 예방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함수규산은 점증 작용을 위해 첨가되고;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치아의 내성장을 조력하기 위해 첨가되며; D-소르비톨액은 습윤제로써 기능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피로인산나트륨 0.4-0.6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것은 치석침착을 예방하여 매끈하고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CMC(carboxymethyl cellulose) 0.6-0.8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CMC는 치주염을 예방하고, 잇몸조기노화 방지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PEG(Polyethylene Glycol) 1.5-2.5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PEG는 윤활성과 흡습성 및 습윤성을 유지하기 위해 분자량이 1500 이하인 것을 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크림형 치약의 칫솔모 착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협회 공인인증 칫솔에 상기 치약을 도포하고 1-10일 동안 방치한 상태로 매일 칫솔모의 색상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10일 경과 후에도 칫솔모의 변색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착색현상이 생기지 않아 치약으로서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강헬스케어 제품으로는 구강청결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제는 상기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2-6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0-3.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감미제로 효소처리스테비아 0.20-0.30중량%와 자일리톨 0.01-0.02중량%, 천연기포제로 코코베타인 4.5-5.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습윤제로 D-소르비톨액 45-55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강청결제는 주로 구취개선, 치통억제 및 구강유해균 억제를 위해 사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는, 받침부(10)와, 받침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부(10)와 함께 이송되는 회전프레임(30)과, 하부가 받침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전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전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수직작동부(20)와, 회전프레임(30) 및 수직작동부(20)에 설치되어서 회전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4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용기(1) 내의 조성물 재료를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5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고 용기(1) 내의 조성물 재료를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60)와, 용기(1)가 안착되고 용기(1)를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용기역회전수단(70)과, 용기역회전수단(70)에 설치되어서 용기역회전수단(70)에 안착된 용기(1)의 중량을 감지하고 용기(1)에 투입되는 조성물의 양을 계측하는 계측부(80)와, 수직작동부(20), 수평회전부(40), 고속혼합부(50), 저속혼합부(60), 용기역회전수단(70), 계측부(8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부(90)로 이루어진다.
받침부(10)는, 수직작동부(20) 및 컨트롤부(90)가 안착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바닥에 설치되어서 베이스(11)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12)로 이루어진다.
수직작동부(20)는, 하단이 받침부(10)의 베이스(11)에 안착되고 로드(22)의 상단이 회전프레임(30)에 연결되는 수직작동실린더(21)로 이루어진다.
회전프레임(30)은, 로드(2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수평회전부(40)는, 수직작동부(20)에 고정되는 수평회전모터(41)와, 수평회전모터(4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42)와, 회전프레임(30)에 고정되고 구동기어(42)에 치합되어서 구동기어(42)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전프레임(30)을 회전시키는 전동기어(43)로 이루어진다.
저속혼합부(60)는,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된 저속회전모터(61)와, 상단이 저속회전모터(61)에 연결되는 저속샤프트(62)와,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저속샤프트(62)와 함께 회전되고 용기(1) 내의 조성물을 교반하는 저속날개부(63)로 이루어진다.
저속날개부(63)는,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용기(1) 내의 조성물을 교반 및 부양시키는 날개(65)와, 날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날개(65)를 지지하고 날개(65)를 보호하는 보호링(67)과, 날개(65)에 결합되어서 용기(1) 바닥의 재료를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66)와, 스크래퍼(66) 및 브레이드(65)에 체결되는 고정나사(68) 이루어진다.
고속혼합부(50)는,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고속회전모터(51)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고속샤프트(55)와,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며 용기(1) 내의 조성물을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날개부(56)와, 고속회전모터(51)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풀리(52)와, 고속샤프트(55)에 연결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전동풀리(53)와, 구동풀리(52) 및 전동풀리(53)에 연결되어서 구동풀리(52)의 회전동력을 전동풀리(53)에 전달하는 전동벨트(54)로 이루어진다.
고속날개부(56)는,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동판(57)과, 회동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동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날개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날개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날개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날개(58)와, 회동판(57)과 고속날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날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용기역회전수단(70)은,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스(76)와, 케이스(76)의 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지면에 노출되며 용기(1)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79)과, 케이스(76)에 내장되고 회전플레이트(79)에 연결되어서 회전플레이트(79)을 회전시키는 회전플레이트구동모터(71)와, 회전플레이트구동모터(71)에 연결되어서 회전플레이트구동모터(7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75)와, 회전플레이트구동모터(71)에 연결된 회전플레이트구동풀리(72)와, 감속기(75)에 연결된 회전플레이트전동풀리(73)와, 회전플레이트구동풀리(72) 및 회전플레이트전동풀리(73)에 연결되어서 회전플레이트구동풀리(72)의 회전동력을 회전플레이트전동풀리(73)에 전달하는 회전플레이트전동벨트(74)와, 회전플레이트(79)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기어(77)와, 감속기(75)에 연결되고 링기어(77)에 치합되어서 감속기(75)의 회전동력을 링기어(77)에 전달하는 회전플레이트전동기어(78)로 이루어진다.
계측부(80)는 로드셀로 이루어진다.
저속혼합부(60)의 저속날개부(63)와 고속혼합부(50)의 고속날개부(5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용기역회전수단(70)의 회전플레이트(79)은 저속날개부(63) 및 고속날개부(5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받침부(10)와, 받침부(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받침부(10)와 함께 이송되는 회전프레임(30)과, 하부가 받침부(10) 상에 설치되고 상부에 회전프레임(30)이 설치되며 회전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수직작동부(20)와, 회전프레임(30) 및 수직작동부(20)에 설치되어서 회전프레임(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4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어서 용기(1) 내의 조성물을 고속으로 교반하는 고속혼합부(50)와, 회전프레임(30)에 설치되고 용기(1) 내의 조성물을 저속으로 교반하는 저속혼합부(60)와, 용기(1)가 안착되고 용기(1)를 고속혼합부(50) 및 저속혼합부(6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용기역회전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를 필요한 곳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를 수평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용기(1) 내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혼합장치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저속혼합부(6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1) 내의 조성물을 혼합시키면서 상측으로 부양시키고, 고속혼합부(50)가 저속혼합부(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부양되는 조성물을 2차로 혼합시키며, 용기역회전수단(70)은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1)를 회전시키므로 용기(1) 내의 조성물이 저속혼합부(60) 및 고속혼합부(50)에 의해 다시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속혼합부(60), 고속혼합부(50) 및 이들과 반대로 회전되는 용기역회전수단(70)에 의해 용기(1) 내의 조성물이 확실하게 혼합되므로 조성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용기역회전수단(70)에는 계측부(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용기역회전수단(70)에 안착된 용기(1)의 중량을 감지하고 용기(1)에 투입되는 조성물의 양을 계측한다.
따라서, 용기(1)에 조성물을 투입하면 계측부(80)의 로드셀이 투입된 양을 곧바로 계측하므로, 혼합재료의 계측이 매우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넷째, 본 발명의 저속날개부(63)는, 저속샤프트(6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보스(64)와, 결합보스(64)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회전시 용기(1) 내의 조성물을 교반 및 부양시키는 날개(65)와, 날개(65) 둘레에 결합되어서 날개(65)를 지지하고 날개(65)를 보호하는 보호링(67)과, 날개(65)에 결합되어서 용기(1) 바닥의 조성물을 상측으로 긁어서 올리는 스크래퍼(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저속날개부(63)가 회전되면 경사지게 배열된 날개(65)들에 의해 용기(1) 내부의 조성물을 상측으로 부양되면서 혼합되고, 용기(1)의 바닥에 깔린 재료들은 스크래퍼(66)에 의해 긁어 올려지면서 혼합되며, 보호링(67)에 의해 저속날개부(63)가 용기(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용기(1)의 내주면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어 용기(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의 고속날개부(56)는, 고속샤프트(55)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동판(57)과, 회동판(57)의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수평방향의 회동판(57)과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있으며 고속 회전시 저속날개부(63)에 의해 부양된 고속날개부(56) 외측의 재료를 고속날개부(56) 내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하는 고속날개(58)와, 회동판(57)과 고속날개(58)에 연결되어서 고속날개(58)를 보강하는 보강편(59)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날개부(56)는 고속날개(58)의 둘레가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고속회전시 재료의 알갱이들이 고속날개(58)에 부딪혀도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료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고속날개부(56)에 의해 혼합되어도 조성물의 알갱이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속날개(58)는 보강편(59)으로 지지되므로 장기간 고속회전되어도 고속날개(58)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고속날개(58)의 표면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속샤프트(55)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부(90)의 둘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부(9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컨트롤부(90)에 코팅되므로 컨트롤부(90)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Claims (8)

  1. 니파팜(Nipa palm)을 활용하여 치은 염증을 개선하고, 구강유해균을 억제하며, 잇몸의 조기 노화를 막고, 구취개선 및 치통개선에 기여하도록 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은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및 프로폴리스 6중량%로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2. 니파팜(Nipa palm) 복합추출물 획득단계; 획득된 니파팜 복합추출물 64중량%와, 자몽종자 추출물 6중량%, 황금 추출물 6중량%, 녹차잎 추출물 6중량%, 솔잎 추출물 6중량%, 황백 추출물 6중량% 및 프로폴리스 6중량%를 혼합한 후 50rpm으로 3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파팜 복합추출물 획득단계는 갯벌 습지에서 채취한 니파팜의 어린순을 직경 5cm의 길이로 절편화시킨 후 바로 흐르는 냉수(4~10℃)로 단시간(30초)내로 수세하는 제1과정; 수세된 니파팜 절편의 물기를 제거하고, -50℃ 초저온냉동고(Deepfreezer)에서 12시간 동결시킨 후 -40℃의 동결건조기(Freeze dryer)에서 72시간 동결건조하고 저온실(4℃)에서 저장하는 제2과정; 동결건조된 니파팜의 어린순을 3~5cm 길이로 절단한 후 절편에 4℃ 냉수를 스프레이하여 30분 방치하고 스크류 가압방식의 스테인레스 유념기에 어린순 절편을 올린후 55rpm의 회전속도로 처리하여 어린순의 식물체 조직을 파쇄하는 제3과정; 파쇄된 어린순 2kg당 10L의 70% 주정알콜에 침지하여 10℃ 저온실에서 1주일 동안 50rpm으로 교반하면서 용출, 여과, 농축, 냉동화(-50℃), 동결건조화(-40℃)하여 분말형 천연물을 만드는 제4과정; 주정알콜:정제수:니파팜 절편을 6:3:1의 중량비로 교반하여 니파팜 특유 방향성물질이 함유된 착향액을 별도로 제조한 다음 분말형 천연물과 혼합하여 분말-착향액 혼합물을 만들고, 이 혼합물을 건조분쇄하여 파이토솔트가 함유된 파우더 형태의 니파팜 복합추출물을 얻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기재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6-12중량%, 정제수 9.2-9.6중량%, 패각 유래 천연 탄산칼슘 14-16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0-0.060중량%, 함수규산 6.0-7.0중량%, 착색제로 청색1호 0.0001-0.0002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05-0.06중량%, 감미제로 자일리톨 0.01-0.02중량%, 발포제로 SLS(sodium lauryl sulfate) 1.5-2.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및 나머지 D-소르비톨액으로 이루어져 크림형 치약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각 유리 천연 탄산칼슘은 석화(굴) 패각을 멸균수로 세척한 후 15% 과산화수소(H2O2) 용액에 침지한 후 초음파 세척기 내에서 90분간 침지하여 패각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을 제거하는 제1공정; 제1공정 후 65℃ 에서 72시간 완전 건조하는 제2공정; 제2공정 후 패각 100g 당 100℃/hr로 승온하고, 900℃에서 4시간 소결하여 약 50g의 산화칼슘을 합성하는 제3공정; 합성된 산화칼슘을 거름채를 이용하여 50㎛ 이하의 균일한 입도로 선별하여 회수하는 제4공정; 회수된 산화칼슘 5g 당 100 mL의 멸균수를 가한 후 5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수산화칼슘 수용액을 제조하는 제5공정; 제5공정 후 이산화탄소(CO2)를 주입하여 수산화칼슘 수용액의 수소이온농도가 상온에서 pH7.4가 될 때까지 교반하는 제6공정; 제6공정을 통해 침전된 탄산칼슘을 회수한 다음 50℃ 건조기 내에서 72시간 동안 완전 건조하여 탄산칼슘 분말을 수득하는 제7공정을 통해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피로인산나트륨 0.4-0.6중량부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CMC(carboxymethyl cellulose) 0.6-0.8중량부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치약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PEG(Polyethylene Glycol) 1.5-2.5중량부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8. 청구항 1에 기재된 구강헬스케어 조성물 2-6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0-3.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0-0.24중량%, 감미제로 효소처리스테비아 0.20-0.30중량%와 자일리톨 0.01-0.02중량%, 천연기포제로 코코베타인 4.5-5.5중량%, 착향제로 아쿠아민트향 1-2중량%, 습윤제로 D-소르비톨액 45-55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로 이루어져 구강청결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PCT/KR2021/006172 2020-05-22 2021-05-18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WO202123580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286A KR102216382B1 (ko) 2020-05-22 2020-05-22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KR10-2020-0061286 2020-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807A1 true WO2021235807A1 (ko) 2021-11-25

Family

ID=7473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172 WO2021235807A1 (ko) 2020-05-22 2021-05-18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6382B1 (ko)
WO (1) WO2021235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82B1 (ko) * 2020-05-22 2021-02-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036A (ko) * 2000-02-22 2001-08-31 김원대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KR100447428B1 (ko) * 1996-08-05 2005-06-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액체조성물
KR20090051588A (ko) * 2007-11-19 2009-05-22 (주)비.앤.비 굴패각을 이용하여 탄산칼슘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KR20180089003A (ko) *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백련동 편백농원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464B1 (ko) *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2216382B1 (ko) * 2020-05-22 2021-02-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0161B1 (en) * 2009-08-26 2015-10-07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KR20200030230A (ko)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죽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28B1 (ko) * 1996-08-05 2005-06-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액체조성물
KR20010083036A (ko) * 2000-02-22 2001-08-31 김원대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KR20090051588A (ko) * 2007-11-19 2009-05-22 (주)비.앤.비 굴패각을 이용하여 탄산칼슘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KR20180089003A (ko) *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백련동 편백농원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464B1 (ko) *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2216382B1 (ko) * 2020-05-22 2021-02-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382B1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ezes et al. Punica granatum (pomegranate) extract is active against dental plaque
JP3159509B2 (ja) プロテアーゼ阻害剤
WO2016117933A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948044B2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JP6514684B2 (ja) 口腔内細菌増殖抑制剤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WO2021235807A1 (ko)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Almas et al. Miswak (salvadora persica chewing stick) and its role in oral health; an update
KR101637973B1 (ko) 항산화용 및 황사에 의한 피부 유해영향 완화용 조성물
JP2848688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6348A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5191B1 (ko) 등차를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
JPH05271085A (ja) 歯周病予防剤
WO2020060277A1 (ko) 구강질환 또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002267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利用
WO2018105803A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항산화, 주름개선, 항균 및 항염증을 위한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90124073A (ko)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634210B1 (ko) 캠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14931A1 (ko) 구취제거, 치석제거, 구내염 및 치주염 개선 효과를 갖는 동물용 구강붕해필름 조성물
SAGAR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FORMULATION (FICUS BENGHALENIS, AZADIRACHTA INDICA AND MENTHA PIPERITA) BASED MOUTHWASH.
KR102343906B1 (ko) 세리신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10019487A (ko)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으로 된 충치항균제와 알파-망고스틴 및 감마-망고스틴을 함유하는 항충치용 조성물
KR2024005453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염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09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9/04/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09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