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0829A1 -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0829A1
WO2021210829A1 PCT/KR2021/004195 KR2021004195W WO2021210829A1 WO 2021210829 A1 WO2021210829 A1 WO 2021210829A1 KR 2021004195 W KR2021004195 W KR 2021004195W WO 2021210829 A1 WO2021210829 A1 WO 20212108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welding
metal
electrode lea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41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창제
홍대지
이강일
배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JP202251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550524A/ja
Priority to CN202180005625.5A priority patent/CN114503354A/zh
Priority to EP21789000.3A priority patent/EP4020697A1/en
Priority to US17/765,593 priority patent/US20220344779A1/en
Publication of WO20212108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08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2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5Soldering by means of radiant energy
    • B23K1/0056Soldering by means of radiant energy soldering by means of beams, e.g. lasers, 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4Seam welding
    • B23K26/244Overlap seam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323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parts made of dissimilar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60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welding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Secondary batteries that are easy to apply according to product groups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universally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driven by an electric drive source, as well as portable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improving eco-friendliness and energy efficiency in that not only the primary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s but also the fact that no by-products are generated from the use of energy.
  •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first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to add other components to the battery pack.
  • connection portion may be welded to maintain such a connection state.
  • the battery module may have parallel and/or seri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electrode lead may be fixed to a bus ba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battery cells by welding or the like.
  •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is often configured by bonding the electrode leads to the bus bar.
  • the electrode leads of the same polarity are connected and bonded to each other, and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in series, the electrode leads of the different polarit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improved weld properties.
  • a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bus bar fram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and a first metal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 electrode leads and a bus bar overlapping the electrode lead and including a second metal, wherei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form a welding part by welding, the welding part comprising: a first region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located in the electrode lead and a second region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located in the bus bar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precipitate of the second metal are in the first region and in the second region.
  • the battery module further includes cell terraces each protruding from neighboring battery cells among th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electrode leads respectively protrude from the cell terraces, and include a plurality of cell terraces having the same polarity. It includes electrode leads, wherein the electrode leads may overlap one bus bar.
  • the batte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lating layer plated with a third metal on the bus bar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 the first metal may include aluminum, and the second metal may include copper.
  •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nickel.
  • the precipitates may be dispersed within the weld.
  •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module described above.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includes the steps of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form a battery cell stack, at least one of electrode leads each protruding from neighboring battery cells among the battery cells overlapping the same bus bar, and weld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wherein the welding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includes: preheating the electrode lead with a laser having a first energy; and welding the preheated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with a laser having a second energy, wherein the first energy is lower than the second energy.
  • the welding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may include inducing an eutectic reaction between a first metal included in the electrode lead and a second metal included in the bus bar. .
  • an alloy concentration of the second metal mixed with the first metal may be 22 wt% to 52 wt%.
  • a welding speed of the preheating of the electrode leads may be greater than a welding speed of the preheated electrode leads and the bus bar.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before the welding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 step of forming a plating layer plated with a third metal on the bus bar.
  • the laser may have a pattern in which a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 the laser may have a tornado welding beam.
  • a welding method in the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preheating the electrode lead with a laser having a first energy, and preheating the electrode lead with a laser having a second energy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wherein the first energy is lower than the second energy, and a eutectic reaction between a first metal included in the electrode lead and a second metal included in the bus bar; ⁇ anti ⁇ ), including the step of inducing.
  • the alloy concentration between dissimilar metals is controlled. Eutectic Reaction can be induced.
  • the melting point can be lowered, and the cooling time during which the intermetallic compound precipitation is suppressed becomes long, so that the precipitation control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is very advantageous.
  • the tensile strength may be increased by dispersing the precipitates with sufficient melt fluidity in the weld zone through the slow cooling process after welding by the preheating proces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of FIG. 1 .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lding structure of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5 and 6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weld formed by a we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FIG 10 is a view showing a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part is in between. . Conversely, when we say that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we mean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 the reference porti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ortion, and to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or “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no.
  • planar it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in cross-section” means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a cross-section of the target part is vertically cu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of FIG. 1 .
  • the battery module 100 includes a module frame 300 , a battery cell stack 120 inserted in the module frame 300 , and a module frame 300 . It is located on the open side and includes a bus bar frame 130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the battery cell stack 12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in one direction.
  • the module frame 300 may be in the form of a mono frame covering four surfaces except fo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In order to insert the battery cell stack 120 into the mono frame, it means a frame of a type that requires horizontal assembly. However, the module frame 300 is not limited to a mono frame, and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U-shaped frame with an open upper surfac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n upper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tack 120 .
  • a cell terrace 135 extending from the pouch covering the battery cell 110 is formed, and electrode leads 160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135 may meet and pass through one lead slot (not shown).
  •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cell terraces 135 may gradually become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battery cell 110 increases.
  • the electrode leads 160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135 may have the same polarity.
  • the distance between the cell terraces 135 from which the two electrode leads 160 protrude, respective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attery cell 110 increases. may become wider.
  • the compression pad 200 is formed between the outermost battery cell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frame 300 .
  • the compression pad 200 may be formed using a polyurethane-based material.
  • the compression pad 200 may absorb a thickness deformation due to swelling of the battery cell 110 and a change in the battery cell 110 due to an external impact.
  • At least one compression pad 200 may be formed not only between the outermost battery cell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odule frame 300 , but also between the neighboring battery cells 110 .
  • a pass guider 260 is formed on the bus bar frame 130 .
  • the bus bar frame 130 may include a pass guider 260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30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cells 110 .
  • the pass guider 260 forms a predetermined guide space at the rea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30 so that the three electrode leads 160 and the cell terraces 135 can come close to each other before passing through the lead slot. can do.
  • a plurality of pass guiders 26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path guiders 26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d slots. Accordingly, the adjacent electrode leads 160 amo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are paired three by one, and then the electrode leads 160 pass through the lead slot through each pass guider 260 to make the electrode leads. (160) groups can be formed.
  • the number of electrode leads 160 forming the electrode lead 160 group is not limited to thre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lead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battery cell 110 .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lding structure of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60 protrude from the cell terrace 135 extending from the pouch covering the battery cell 110 .
  • the electrode leads 160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135 may b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s bar 280 is positioned.
  • the bent electrode leads 160 may overlap the same bus bar 280 ,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60 and the bus bar 280 may be simultaneously welded to form one weld portion WP.
  •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are weld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welded portion are deteriorated due to precipita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s, and thus tensile strength, fatigue lif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 FIG. 3 shown as an example, the following restrictions occur in order to simultaneously weld a plurality of electrode leads 160 .
  • the specifications of the welding machine must be increased.
  • the electrode lead 160 layer closest to the welder may be overwelded, and the electrode lead 160 layer positioned farthest from the welder may be weakly welded.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eld cannot be secured, and intermetallic compounds are precipitated at a high concentration at the molten interface of the weld, so that the weld strength may be very low.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the electrode lead 16 made of aluminum and the bus bar 28 made of copper are laser-welded.
  • materials move along the flow direction, and CuAl 2 precipitates (PM) are precipitated at a high concentration as an intermetallic compound at the welding interface (FI).
  • PM CuAl 2 precipitates
  • FI welding interface
  • 5 and 6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leads 160 may be overlapped with the same bus bar 280 . Thereafter,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may be welded.
  • the welding of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includes preheating the electrode lead 160 with a laser having a first energy.
  • the first energy has a relatively lower magnitude than the energy of the weld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melt fluidity of the metals to be welded may be increa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heating portion formed in this step is formed only on the electrode lead 160 . This is because, when laser energy for preheating is transmitted to the bus bar 280 , precipitates start to be generated.
  • the cooling time is delayed by the preheating process to maximize the formation time of precipitates.
  • cleaning of the surface and absorption of the laser beam may be increased.
  •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preheated with a laser having a second energy may be welded.
  • the second energy is greater than the first energy.
  • an eutectic reaction between the first metal included in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second metal included in the bus bar 280 may be induced.
  • the first metal includes aluminum, and the second metal includes copper.
  • the process reaction of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is induced, welding is possible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existing weldable temperature.
  • the eutectic reaction of aluminum-copper occurs at approximately 548 degrees Celsius, and the viscosity of the weld WP is the lowest at the eutectic reaction temperature, so that the fluidity may be very high.
  • the fluidity of the molten metal is increased, so that the distribu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s precipitating at the welding interface can be lowered.
  • the welding speed of the preheating of the electrode leads 160 may be greater than the welding speed of the preheated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
  • FIG. 7 is a view showing a weld formed by a we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overlap each other, and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form a welding portion WP by welding.
  • the welding portion WP has a center in the first region WP1 and the bus bar 280 in which the center is located in the electrode lead 160 based on the interface BS between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 and a second region WP2 located therein.
  • the first metal forming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second metal forming the bus bar 280 may react to generate a precipitate PM.
  • the precipitates P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tributed in both the first area WP1 and the second area WP2 .
  • the precipitates PM may be formed in a small amount or may be hardly formed.
  • the concentration of the precipitates PM formed on the welding interface FI is very low, the precipitates PM are minimized, and even if the precipitates PM are generated, the wel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by dispersing it throughout the welding portion WP.
  • the alloy concentration of the second metal mixed with the first metal may be approximately 22 wt% to 52 wt%. Preferably it may be 30 to 40 wt%, more preferably 32 wt% to 35 wt%.
  • the above range is a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eutectic reaction occurs, and as the temperature range is narrowed, the eutectic reaction occurs more and the fluidity of the molten metal is increased, thereby lower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s at the welding interface.
  • the alloy concentration is less than the minimum value of 22 wt%, penetration itself during welding is difficult to occur, and if it exceeds the maximum value of 52 wt%, the metals cannot be alloyed with each other and are combined with a compound.
  • welding is a rapid cooling process, so there is a fear that theta phase is formed during solidification.
  • the first metal included in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second metal included in the bus bar 28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wel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even if a plating layer such as nickel is not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lead 160 and the bus bar 280 .
  • a third metal may be plated as a plating layer on the bus bar.
  • the third metal comprises nickel, which forms a complete solid solution with copper forming the bus bar.
  • different phases do not appear in the liquid and solid phases, and they do not form intermetallic compounds as they are completely dissolved in all composition ranges. Accordingly, by making the copper electrify the copper at the interface of the wel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termetallic compound precipitation reaction by aluminum-copper.
  • the nickel plating layer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f the nickel plating layer is added in addition to the weld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etter welding strength can be realized.
  • FIG. 9 is a view showing a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 10 is a view showing a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 9 it is a pattern in which a laser beam is concentrated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and in this case, energy is concentrated to the center, so that a penetration having a deep center and a narrow width may be formed.
  • a laser welding beam is applied to this embodiment, if a deep and narrow mel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s bar, laser plasma is emitted through the keyhole to prevent the alloy reaction of the electrode lead with the second meta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metal of the bus bar may b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metal increases at the interface of the weld, an intermetallic compound of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may be precipitated, so that the welding strength may be sharply decreased.
  • the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reases the radius of the center of the tornado, and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to lower the energy density of the center. Therefore,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laser welding part is flattened. As energy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welding part, a process reaction between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is easily induced. After the preheating process, the welding process using the laser weld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nd the first metal and the second metal can be well mixed due to sufficient melt fluidity during the slow cooling process.
  •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ckaged in a pack case to form a battery pack.
  •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ese devices can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electric bicycl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 셀 적층체,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된 버스 바 프레임,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되고, 제1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 리드들,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하고, 제2 금속을 포함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가 용접에 의해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 리드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버스 바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석출물(Precipitate)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모두 분포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04월 13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044829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향상된 용접부 물성을 갖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 셀들이 사용됨에 반해, 자동차 등과 같이 중대형 디바이스들에는 고출력 대용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모듈이 사용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전지 모듈 내부에서 전지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극 리드가 상호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분이 용접될 수 있다. 더욱이, 전지 모듈은 전지셀들 간의 병렬 및/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극 리드의 일단부는 각 전지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지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전지셀을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키고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시킨다.
이처럼,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용접할 때, 금속간 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 석출로 인해 용접부의 물성이 악화되어 인장 강도, 피로수명, 전기 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상된 용접부 물성을 갖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 셀 적층체,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된 버스 바 프레임,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되고, 제1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 리드들,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하고, 제2 금속을 포함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가 용접에 의해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 리드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버스 바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석출물(Precipitate)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모두 분포한다.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포함된 전지 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 셀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셀 테라스들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동일한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리드들은 하나의 버스 바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 사이에서, 상기 버스 바 상에 제3 금속으로 도금(plating)되어 있는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은 구리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도금층은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출물은 상기 용접부 내에서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제조 방법은 복수의 전지 셀을 적층하여 전지 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 셀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전극 리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일한 버스 바에 중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는, 제1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전극 리드를 예열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예열된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너지는 상기 제2 에너지보다 낮다.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극 리드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상기 버스 바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의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금속에 혼합되는 상기 제2 금속의 합금 농도는 22wt% 내지 52wt%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들을 예열하는 단계의 용접 속도는, 예열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속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 제조 방법은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스 바 상에 제3 금속으로 도금(plating)되어 있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중심에서 외곽으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토네이도 용접 빔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은 전극 리드와 버스 바를 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전극 리드를 예열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예열된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너지는 상기 제2 에너지보다 낮고, 상기 전극 리드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상기 버스 바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의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저 에너지 입력으로 전극 리드를 예열하는 단계와, 예열된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버스바와 전극 리드 용접시, 이종 금속간의 합금 농도를 제어하여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점을 낮출 수 있고, 금속간 화합물 석출이 억제되는 냉각 시간이 길어져서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 제어가 매우 유리해진다.
또, 예열 공정에 의해 용접 이후 서냉 과정을 거치면서 충분한 용융 유동성으로 석출물이 용접부 내에서 분산됨으로써 인장 강도가 커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전극 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알루미늄과 구리의 2원계 상태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모듈 프레임(300), 모듈 프레임(30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120) 및 모듈 프레임(300)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고, 전지셀 적층체(120)와 연결되는 버스 바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전지셀 적층체(120)는 복수의 전지 셀(110)이 일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모듈 프레임(300)은 전지셀 적층체(120)의 전면과 후면을 제외하고 4개의 면을 덮고 있는 모노 프레임 형태일 수 있다. 모노 프레임 내부로 전지셀 적층체(120)를 삽입하기 위해서 수평 조립이 필요한 형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다만, 모듈 프레임(300)은 모노 프레임에 제한되지 않고, 상부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U자형 프레임과, 전지셀 적층체(120)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전지 셀(110)을 덮는 파우치로부터 연장된 셀 테라스(135)가 형성되고, 셀 테라스(135)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160)들이 만나서 하나의 리드 슬롯(미도시)을 통과할 수 있다. 이웃하는 셀 테라스(135)들 사이의 간격이 전지 셀(11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때, 셀 테라스(135)로부터 돌출되는 전극 리드(160)들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전극 리드(160)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전극 리드(160)가 각각 돌출되는 셀 테라스(135) 사이의 간격은 오히려 전지 셀(11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넓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외각 전지 셀(110)과 모듈 프레임(300)의 측면부 사이에 압축 패드(200)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 패드(200)는 폴리 우레탄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압축 패드(200)는 전지 셀(110)의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전지 셀(110)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압축 패드(200)는 최외각 전지 셀(110)과 모듈 프레임(300)의 측면부 사이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전지 셀(110) 사이에도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버스 바 프레임(130)에는 패스 가이더(260)가 형성된다. 인접하는 세 개의 전지 셀들(110) 각각의 전극 리드들(160)이 연장되도록 하는 셀 테라스(135)를 형성하기 전에, 전극 리드들(160)이 리드 슬롯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 바 프레임(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 바 프레임(130)은, 전지 셀들(11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버스 바 프레임(130)의 후면 안쪽에 패스 가이더(2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패스 가이더(260)는, 리드 슬롯을 통과하기 전에 세 개의 전극 리드들(160) 및 셀 테라스들(135)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버스 바 프레임(130)의 후면에서 소정의 가이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패스 가이더(26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패스 가이더(260)는 복수개의 리드 슬롯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전지 셀(110) 중 인접하는 전극 리드들(160)은, 세 개씩 짝을 이룬 후 각각의 패스 가이더(260)를 통해 전극 리드들(160)이 리드 슬롯을 통과하여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하는 전극 리드들(160)의 개수는 세 개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 셀(110)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리드의 배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지 셀(110)을 덮는 파우치에서 연장된 셀 테라스(135)로부터 복수의 전극 리드(160)가 돌출되어 있다. 셀 테라스(135)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들(160)은 버스 바(28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벤딩된 전극 리드(160)들은 동일한 버스 바(280)에 중첩하고, 복수의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가 동시에 용접되어 하나의 용접부(WP)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를 용접할 때, 금속간 화합물 석출로 인해 용접부의 물성이 악화되어 인장 강도, 피로수명, 전기 전도도가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일례로 도시한 도 3과 같이, 여러 장의 전극 리드(160)를 동시에 용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약들이 발생한다. 첫째, 전극 리드(160)가 중첩됨으로써 두꺼워진 전극 리드(160)를 용접하기 위해 용접기의 사양이 높아져야 한다. 둘째, 서로 중첩하는 전극 리드(160) 개수가 많아질수록 용접기 사양이 높아져야 한다. 셋째, 서로 중첩되는 전극 리드(16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각 전극 리드(160) 층의 용접 편차가 커짐으로써 용접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용접기에 가장 인접한 전극 리드(160) 층은 과용접되고, 용접기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전극 리드(160) 층은 약용접될 수 있다. 결국은 무도금의 버스 바의 경우 용접부의 물성을 확보할 수 없고, 용접부의 용융 계면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석출되어 용접 강도가 매우 떨어질 수 있다.
금속간 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석출되어 용접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에 대해서는 도 4의 비교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전극 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전극 리드(16)와 구리를 포함하는 버스 바(28)를 레이저 용접한다. 레이저 용접 과정에서 유동 방향(Flow direction)을 따라 물질들이 이동하다가 용접 계면(FI)에서 금속간 화합물로서 CuAl 2 석출물(PM)이 높은 농도로 석출된다. 이러한 석출물(PM)은 용접 강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려 작은 충격에도 전극 리드(16)와 버스 바(28)가 분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들(16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일한 버스 바(280)에 중첩시킬 수 있다. 이후,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를 용접시킬 수 있다.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를 용접시키는 단계는, 제1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전극 리드(160)를 예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에너지는, 후술하는 용접 단계의 에너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예열 공정을 통해 후술하는 용접 단계에서 합금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용접되는 금속들의 용융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형성되는 예열부(Preheating portion)는 전극 리드(16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버스 바(280)에 예열을 위한 레이저 에너지가 전달되게 되면, 석출물이 생성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레이저 용접을 하면 급속 냉각에 의해 석출물이 쉽게 생성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열 공정에 의해 냉각 시간을 지연시켜 석출물의 생성 시간을 최대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전극 리드들(160)을 예열하는 단계를 통해 표면의 클리닝 및 레이저 빔의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예열된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를 용접할 수 있다. 이때, 제2 에너지는 상기 제1 에너지보다 크다. 본 단계에서 전극 리드(160)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버스 바(280)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의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은 구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공정 반응이 유도되면, 기존의 용접 가능한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용접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구리의 공정 반응이 대략 섭씨 548도에서 일어나고, 공정 반응 온도에서 용접부(WP)의 점도가 가장 낮아져서 유동성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알루미늄-구리 공정 반응 농도에서는 용융 금속의 유동성이 높아져 용접 계면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는 분포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들(160)을 예열하는 단계의 용접 속도는, 예열된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를 용접하는 속도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용접부에서 일어나는 석출물의 분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방법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극 리드(160)과 버스 바(280)가 중첩되어 있고,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가 용접에 의해 용접부(WP)를 형성한다. 용접부(WP)는,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의 경계면(BS)을 기준으로 전극 리드(160)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1 영역(WP1) 및 버스 바(280)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WP2)을 포함한다. 용접 과정 중에 전극 리드(160)를 형성하는 제1 금속과, 버스 바(280)를 형성하는 제2 금속이 반응하여 석출물(PM)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출물(PM)은, 제1 영역(WP1)과 제2 영역(WP2)에 모두 분포한다. 종래에는 용접부(WP) 내의 물질 유동성이 낮아 대부분의 석출물이 용접 계면(FI)에 높은 농도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부(WP) 내에서 유동 방향(Flow Direction)을 따라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합금이 크게 분산되어 석출물(PM)이 소량으로 형성되거나 거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용접 계면(FI)에 형성된 석출물(PM) 농도가 매우 낮고, 석출물(PM)을 최소화하며, 석출물(PM)이 생성되더라도 용접부(WP) 전체에 분산시킴으로써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알루미늄과 구리의 2원계 상태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 과정에서, 제1 금속에 혼합되는 제2 금속의 합금 농도는 대략 22wt% 내지 52w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wt%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2wt% 내지 35wt%일 수 있다. 상기 범위는 공정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 범위이며, 온도 범위를 좁혀갈수록 공정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나게 되어 용융 금속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용접 계면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는 분포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합금 농도가 최소값 22wt%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 시 용입 자체가 일어나기 어렵고, 최대값 52wt%를 넘으면 금속끼리 합금되지 못하고, 화합물로 결합이 된다. 최대값 52wt%를 넘는 대략 54wt%의 경우, 일반적인 서냉 응고 과정과 달리, 용접은 급냉 과정이므로 응고시 theta상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전극 리드(160)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버스 바(280)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은 접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160)와 버스 바(280) 사이에 니켈과 같은 도금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전극 리드와 버스 바 사이에서, 버스 바 상에 도금층으로 제3 금속이 도금될 수 있다. 제3 금속은 니켈을 포함하며, 니켈은 버스 바를 형성하는 구리와 전율 고용체(complete solid solution)를 형성한다. 전율 고용체는 액상과 고상에서 다른 상이 나타나지 않고, 모든 조성 범위에서 완전 고용됨으로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접부 계면에서 니켈이 구리를 전율 고용함으로써, 알루미늄-구리에 의한 금속간 화합물 석출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니켈 도금층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앞에서 설명한 용접 방법과 더불어 니켈 도금층이 추가된다면 더욱 우수한 용접 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외곽에서 중앙으로 레이저 빔이 집중되는 패턴이고, 이 경우 중심부로 에너지가 집중되어 중앙이 깊고 폭이 좁은 용입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레이저 용접 빔을 본 실시예에 적용한다면, 버스 바 중앙에 깊고 폭이 좁은 용용부가 형성되면, 키홀로 레이저 플라즈마가 방출되면서 전극 리드의 제2 금속과의 합금 반응을 방해하고, 용접부 하단에 버스 바의 제1 금속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용접부 계면에서 제1 금속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어 용접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은 토네이도 중심부의 반경을 크게 하고 중심에서 외곽으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중심부의 에너지 밀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용접부의 용입 깊이를 평탄하게 한다. 용접부에 고르게 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공정 반응이 유도되기 쉬워진다. 예열 공정 이후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용접 빔을 사용한 용접 공정을 하고, 서냉 과정을 거치면서 충분한 용융 유동성으로 인해 제1 금속과 제2 금속이 잘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팩을 형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60: 전극 리드
280: 버스 바
FI: 용접 계면
WP: 용접부

Claims (15)

  1.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 셀 적층체,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된 버스 바 프레임,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연결되고, 제1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 리드들,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중첩하고, 제2 금속을 포함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가 용접에 의해 용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부는,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 리드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버스 바 내에 중심부가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석출물(Precipitate)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모두 분포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전지 셀 적층체에 포함된 전지 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 셀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셀 테라스들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동일한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리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리드들은 하나의 버스 바와 중첩하고 있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 사이에서, 상기 버스 바 상에 제3 금속으로 도금(plating)되어 있는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제1 금속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은 구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5. 제4항에서,
    상기 도금층은 니켈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서,
    상기 석출물은 상기 용접부 내에서 분산되어 있는 전지 모듈.
  7. 복수의 전지 셀을 적층하여 전지 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 셀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전극 리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일한 버스 바에 중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는,
    제1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전극 리드를 예열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예열된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너지는 상기 제2 에너지보다 낮은 전지 모듈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극 리드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상기 버스 바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의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금속에 혼합되는 상기 제2 금속의 합금 농도는 22wt% 내지 52wt%인 전지 모듈 제조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들을 예열하는 단계의 용접 속도는, 예열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속도보다 큰 전지 모듈 제조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스 바 상에 제3 금속으로 도금(plating)되어 있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제조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레이저는 중심에서 외곽으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패턴을 갖는 전지 모듈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레이저는 토네이도 용접 빔을 갖는 전지 모듈 제조 방법.
  14. 전극 리드와 버스 바를 용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전극 리드를 예열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로 상기 예열된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 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너지는 상기 제2 에너지보다 낮고, 상기 전극 리드에 포함되는 제1 금속과 상기 버스 바에 포함되는 제2 금속의 공정 반응(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 방법.
  15.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PCT/KR2021/004195 2020-04-13 2021-04-0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1082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19037A JP2022550524A (ja) 2020-04-13 2021-04-05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2180005625.5A CN114503354A (zh) 2020-04-13 2021-04-05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EP21789000.3A EP4020697A1 (en) 2020-04-13 2021-04-05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7/765,593 US20220344779A1 (en) 2020-04-13 2021-04-05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829 2020-04-13
KR1020200044829A KR20210127009A (ko) 2020-04-13 2020-04-13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829A1 true WO2021210829A1 (ko) 2021-10-21

Family

ID=7808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4195 WO2021210829A1 (ko) 2020-04-13 2021-04-05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44779A1 (ko)
EP (1) EP4020697A1 (ko)
JP (1) JP2022550524A (ko)
KR (1) KR20210127009A (ko)
CN (1) CN114503354A (ko)
WO (1) WO20212108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50B1 (ko) * 2011-07-25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2014121723A (ja) * 2012-12-21 2014-07-03 Toyota Industries Corp 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CN106229456A (zh) * 2016-08-22 2016-12-14 长兴大宇科机电有限公司 蓄电池汇流排烧焊工艺、蓄电池汇流排自动化烧焊设备
KR20170078362A (ko) * 2015-12-29 2017-07-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KR20190008135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2395B2 (ja) * 1996-05-14 2006-05-10 スズキ株式会社 レーザ溶接方法
JP4961532B2 (ja) * 2006-07-25 2012-06-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異種金属の接合方法及び装置
JP5570383B2 (ja) * 2010-10-15 2014-08-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導電性連結部材、導電性連結部材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連結部材が電極とされたバッテリ
CN102140036B (zh) * 2011-01-27 2013-01-30 长春理工大学 陶瓷与金属双激光束部分瞬间液相焊接方法
JP5800677B2 (ja) * 2011-10-27 2015-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部材の接合方法
FR3004369B1 (fr) * 2013-04-12 2015-08-21 Thales Sa Procede d'etablissement d'une liaison permanente entre un alliage ferreux et un aluminium ou un alliage d'aluminium
JP5982652B2 (ja) * 2014-04-15 2016-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異材金属接合体
JP6380043B2 (ja) * 2014-11-21 2018-08-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CN105215550A (zh) * 2015-08-12 2016-01-06 上海航天精密机械研究所 双焦点激光束焊接异种材料界面反应调控方法
CN107949454B (zh) * 2015-09-15 2020-04-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金属构件的焊接构造以及焊接方法
JP6624510B2 (ja) * 2016-02-19 2019-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1543B2 (ja) * 2016-07-21 2020-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溶接金属部材とその溶接金属部材を有する電池
CN108890128B (zh) * 2018-06-29 2021-04-09 中国航空制造技术研究院 一种激光多束流复合温度场焊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50B1 (ko) * 2011-07-25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2014121723A (ja) * 2012-12-21 2014-07-03 Toyota Industries Corp 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KR20170078362A (ko) * 2015-12-29 2017-07-07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CN106229456A (zh) * 2016-08-22 2016-12-14 长兴大宇科机电有限公司 蓄电池汇流排烧焊工艺、蓄电池汇流排自动化烧焊设备
KR20190008135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0697A1 (en) 2022-06-29
KR20210127009A (ko) 2021-10-21
US20220344779A1 (en) 2022-10-27
CN114503354A (zh) 2022-05-13
JP2022550524A (ja)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15336A1 (zh) 电芯模组及其连接方法、电芯总成及激光焊接工装
EP3166158B1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11177530B2 (en) Battery pack
WO2017043889A1 (ko) 냉각 성능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EP3561906B1 (en) Battery module
BR102016003739B1 (pt) Conjunto de baterias
KR102301196B1 (ko)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팩
WO2020060039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153570A1 (ko) 혼 및 용접 장치
WO2021125659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EP3780154B1 (en) Battery module
WO2021210829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15527894U (zh) 极耳连接结构、电池模组以及电池包
WO2020184813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96021A1 (ko) 전지 모듈, 전지 모듈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0054997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071056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080126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0060048A1 (ko) 전지 모듈
JP2023501827A (ja) 電極リードと電圧センシング部材との接続を単純化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WO2021101300A1 (ko) 배터리 모듈
WO2021096071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06493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80345A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패키지
CN217215017U (zh) 一种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890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903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890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2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