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362A -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362A
KR20170078362A KR1020150188809A KR20150188809A KR20170078362A KR 20170078362 A KR20170078362 A KR 20170078362A KR 1020150188809 A KR1020150188809 A KR 1020150188809A KR 20150188809 A KR20150188809 A KR 20150188809A KR 20170078362 A KR20170078362 A KR 2017007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ed
welding
materials
pedestal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바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362A/ko
Publication of KR2017007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6Workpiece support, i.e. backing 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리드 접합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종 금속의 두 모재를 맞대기 혹은 겹치기 방식으로 위치를 고정시킨 후 특수 장치를 이용하여 예열환경을 조성하고 압력과 회전에 의한 마찰열에 의해 두 모재에서 혼합과 교반 작용을 유도하여 접합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Friction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by heating thin metal}
더 상세하게는 이종 금속의 두 모재를 맞대기 혹은 겹치기 방식으로 위치를 고정시킨 후 특수 장치를 이용하여 예열환경을 조성하고 압력과 회전에 의한 마찰열에 의해 두 모재에서 혼합과 교반 작용을 유도하여 접합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친환경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팩(battery module/pack)에는 파우치 형태의 셀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파우치 셀간 연결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가 구성된다.
파우치 셀은 양극의 알루미늄 박판과 음극의 구리 박판이 전극(리드) 역할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두 전극을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전극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그 방법으로 전극 간 볼트 체결을 통해 전극을 연결하는 기계적 방법과 대표적인 초음파 및 레이저 용접 기술의 야금적 방법으로 구분된다.
배터리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터리 셀의 전극이 얇은 박판 형태이고 소재가 다른 이종금속이므로 용접 후 제품에 요구되는 적절하고 안정된 물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용접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두 소재를 접합하는 방법 중 마찰 교반 용접 기술이 있다. 이 용접 기술은 초음파 용접 및 레이저 용접과 같이 소재가 고상 상태에서 진행이 되어 변형이 적고 이종금속 접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용접법과 달리 소재의 맞대기/겹치기 용접이 가능하다. 이중 맞대기 용접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접합재(111,112)를 받침대(101)상에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용접 툴(130)을 하방으로 가압력(160)을 주면서 반시계 방향 회전(150)을 통해 이송 방향(170)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접한다.
따라서, 표면상태에 대해 영향이 없고 용가재 및/또는 레이저 용접에 필요한 분위기 가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도 단순하여 경제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접의 경우, 키홀(Key-hole) 및/또는 찢김(소재가 얇을 경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터리 셀 리드와 같이 얇은 박판에 쉽게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92042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셀 리드처럼 얇은 박형 이종금속을 용접하여 배터리 모듈/팩 구성에 적용가능한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배터리 셀 리드처럼 얇은 박형 이종금속을 용접하여 배터리 모듈/팩 구성에 적용가능한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는,
열받침대(201);
상기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열받침대(201)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놓이는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예열하는 전원 공급부(280); 및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접합하는 용접 툴(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는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 시간은 2초 이상 용접 진행전까지 이며, 상기 예열 온도는 재결정 온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받침대(201)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은 2개의 피접합재를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피접합재의 일부가 다른 하나의 피접합재의 일부에 놓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받침대(201)를 용접중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받침대(201)는 용접 이후, 상기 용접툴(230)이 이탈된 후에도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에 대한 불림 현상을 유도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 현재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다수의 피접합(211,212)가 표면상에 놓이도록 열받침대(201)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원 공급부(280)를 통해 상기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을 예열하는 단계; 및 용접 툴(230)을 통해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일반적인 마찰 용접법에 열원을 추가적으로 인가하여 배터리 셀 리드와 같은 박형 이종금속에 용접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결과물이 안정되고 우수한 물적 특성을 갖추며,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일반적인 마찰용접과 달리 공정 전 온도가 상승하여 반응성(교반, 혼합작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압 조건에서도 가능하므로, 박판 금속 적용 시 강점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모재 내부에서 고온의 환경이 조성 및/또는 유지되어 온도 변화가 줄어들기 때문에 열 축척을 통한 소성 유동(영역) 구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용접 후 강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마찰용접이 상온에서 진행되는 공정 특성상 용접이 진행되면서 특수 열받침대를 통해 열처리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용접 후 접합부가 연성과 강도를 고르게 갖출 수 있게 되어, 추후에 제품의 안전성 시험에서 강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추가적으로 불량 발생률(기공 등)이 저조한 마찰용접의 특성상 기존의 레이저 및/또는 초음파 용접에 비해 생산 효율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맞대기 용접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를 이용한 맞대기 용접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를 이용한 겹치기 용접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겹치기 용접에 따른 공정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의 가열 마찰 용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를 이용한 맞대기 용접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200)는, 열받침대(201), 이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80), 열받침대(201)상에 놓이는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용접하는 용접 툴(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받침대(201)는 히팅 플레이트로서 제 1 피접합재(211)와 제 2 피접합재(212)가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에 배치된다. 열받침대(201)는 내부에 열원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받침대(201)로서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열받침대(201)의 발열(290)을 통해 열적 반응을 활성화하며, 소성영역 범위를 확대하고 빠르게 교반 작용을 유도하여 접합 부위의 강성 및/또는 연성이 향상되는 용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열받침대(201)는 용접 중 흔들리지 않도록 다수의 지그(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접합 종료후, 지그 및 용접 툴(230)은 탈거될 수 있다.
제 1 피접합재(211)와 제 2 피접합재(212)는 서로 맞대어 접합이 이루어진다. 즉, 도 2에서는 제 1 피접합재(211)의 우측면과 제 2 피접합재(212)의 좌측면이 서로 맞닿아 배치되며,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 동안 예열 온도로 예열된 후 용접 툴(230)의 동작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진다.
제 1 피접합재(211)와 제 2 피접합재(212)는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이 사용된다. 재질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황동, 구리 등이 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80)는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열받침대(201)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놓이는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가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예열된다.
용접 툴(230)은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력(260)을 가하고 이와 동시에 반시계 회전 방향(250)으로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270)으로 이송된다.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가 서로 접합된다. 즉, 고상 상태인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에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압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에서 혼합과 교반 작용이 유도되어 접합된다.
이러한 접합에 의해 열적 반응에 의한 소성영역 범위가 확대 되어, 도 1에 따른 일반적인 접합 면적 (220)보다 확대된 소성영역의 접합 면적(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받침대(201)는 용접 이후, 상기 용접툴(230)이 이탈된 후에도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에 대한 불림 현상을 유도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 현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를 이용한 겹치기 용접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은 제 1 피접합재(211)의 하단면 일부가 제 2 피접합재(212)의 상단면 일부에 겹치게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한다.
즉, 열받침대(201)의 발열(390)을 통해 제 1 피접합재(211)와 제 2 피접합재(212)를 예열한 후, 용접 툴(230)을 제 1 피접합재(211)의 상단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용접 툴(230)이 제 1 피접합재(211)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력(360)을 가하고 이와 동시에 반시계 방향(350)으로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370)으로 이송된다.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가 서로 접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겹치기 용접에 따른 공정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를 겹치게 여러 개 배치하고, 순서상으로 앞쪽 2개에 열받침대(201)를 미리 배치한다. 예열 시간 동안 예열 온도로 1차 예열후 용접하고, 용접 툴(230)을 탈거하여 다음 피접합재로 이동시킨다.
예열 시간은 2초 이상 용접 진행전까지이며, 예열 온도는 재결정 온도 이하(예를 들면 약 0.5 ~ 0.7 Tm)로 선정한다. 이는 마찰열로 인한 재결정 온도의 시간 단축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열을 통해 모재인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를 미리 연질화시키며 동시에 교반 효과의 극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용접 툴(230)이 탈거되어 이동하더라도 첫 번째에 있는 열받침대(201)는 일정시간 동안 현상태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불림(열처리) 현상을 유도하여 접합이 더 강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첫 번째에 있는 열받침대(201)를 세 번째에 있는 제 1 및 제 2 피접합재(211,212)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복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의 가열 마찰 용접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배치한다(단계 S510). 이후, 배치된 다수의 피접합(211,212)가 표면상에 놓이도록 열받침대(201)를 위치시킨다(단계 S520).
이후, 전원 공급부(280)를 통해 상기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상기 다수의 피접합(211,212)을 예열한다(단계 S530).
이후, 용접 툴(230)을 통해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접합한다(단계 S540,S550).
200: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201: 열받침대
211: 제 1 피접합재 212: 제 2 피접합재
230: 용접 툴
280: 전원 공급부
250,350: 회전 방향
260,360: 가압력
270,370: 특정 방향

Claims (8)

  1. 열받침대(201);
    상기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열받침대(201)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놓이는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예열하는 전원 공급부(280); 및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접합하는 용접 툴(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는 배터리 셀 리드용 박형 이종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시간은 2초 이상 용접 진행전까지 이며, 상기 예열 온도는 재결정 온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받침대(201)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은 2개의 피접합재를 서로 맞대어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피접합재의 일부가 다른 하나의 피접합재의 일부에 놓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받침대(201)를 용접중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받침대(201)는 용접 이후, 상기 용접툴(230)이 이탈된 후에도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접합에 대한 불림 현상을 유도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 현재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8.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배치하는 단계;
    배치된 다수의 피접합(211,212)가 표면상에 놓이도록 열받침대(201)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원 공급부(280)를 통해 상기 열받침대(201)에 전원을 공급하여 미리 설정되는 예열 시간동안 상기 열받침대(201)의 예열 온도로 상기 다수의 피접합(211,212)을 예열하는 단계; 및
    용접 툴(230)을 통해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의 상단면에 하방으로 가압하고 회전하면서 특정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피접합재(211,212)를 접합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가열 마찰 용접 방법.
KR1020150188809A 2015-12-29 2015-12-29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KR20170078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09A KR20170078362A (ko) 2015-12-29 2015-12-29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09A KR20170078362A (ko) 2015-12-29 2015-12-29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62A true KR20170078362A (ko) 2017-07-07

Family

ID=5935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09A KR20170078362A (ko) 2015-12-29 2015-12-29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3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879A (ko) 2018-12-07 2020-06-17 정승혜 마찰용접을 이용한 고장력 니켈합금의 맞대기 용접
WO2021210829A1 (ko)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879A (ko) 2018-12-07 2020-06-17 정승혜 마찰용접을 이용한 고장력 니켈합금의 맞대기 용접
WO2021210829A1 (ko)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1513B2 (ja) 金属箔の重ね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体
US103991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weld strength
US20150099084A1 (en) Compound component
KR20170078362A (ko) 금속 가열 마찰 용접 장치 및 방법
JP6900692B2 (ja) リベットを用いた接合方法とその実施に使用する装置
KR101867255B1 (ko) 접합부재의 제조방법 및 접합부재 제조장치
JP2011067830A (ja) 銅板と鋼板のレーザ接合方法
JP5191629B2 (ja) 溶接方法
JP2009095881A (ja) 溶接構造部材の製造方法
KR100765843B1 (ko) 알루미늄 패널의 접합방법
JP2014166646A (ja) 金属製ワークの固相接合方法
JPH08109359A (ja) 金属板の接着方法
KR20190070050A (ko) 이종 소재 접합체, 이종 소재 접합 장치 및 방법
JP7255119B2 (ja) インダイレクトスポット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WO2020138468A1 (ja) 鋼部材の製造方法
KR20170102114A (ko) 이종 금속의 레이저 용접장치
JPH01317687A (ja) 積層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
JP2020075265A (ja) 抵抗溶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抵抗溶接方法
CN113993656B (zh) 接合系统及其运行方法
Wisner et al. Adhesively Bonded Blanks for local reinforcements in body-in-white manufacturing
WO2021230350A1 (ja) リベット接合方法及び接合処理装置
KR20170057080A (ko) 판재 접합용 리벳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접합방법
JP6367580B2 (ja) シーム溶接方法
Kim et al. Review on Ultrasonic and Laser Welding Technologies of Multi-Layer Thin Foils for the Lithium-Ion Pouch Cell Manufacturing
KR101595187B1 (ko) 일면 압흔 방지용 점용접장치 및 일면 압흔 방지용 점용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