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7601A1 -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7601A1
WO2021177601A1 PCT/KR2021/001113 KR2021001113W WO2021177601A1 WO 2021177601 A1 WO2021177601 A1 WO 2021177601A1 KR 2021001113 W KR2021001113 W KR 2021001113W WO 2021177601 A1 WO2021177601 A1 WO 20211776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steel plate
concrete panel
welding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1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알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알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알비
Publication of WO20211776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76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4Floors composed of stones, mortar, and reinforcing elements

Definitions

  • a space that can be used until the new building is completed may be required.
  • a temporary building is constructed and used.
  • Modular system refers to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by combining or stacking these modules after production in a factory with standardized modules, transporting them to the site.
  •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panel 210 has a weak surface strength, and when it is used as a floor plate, not only the edge beams must be poured, but also floor plastering is required to maintain smoothnes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건축물을 모듈화시켜 조립식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 구조는 보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놓여지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에 의해 보부재에 고정 설치되되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은 보부재와 강판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온도신축에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강판과 비합성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a) 보부재의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을 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용접홀이 구비된 강판을 적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접홀과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하여 보부재에 나사체결되면서 머리부를 포함한 상단이 용접홀 내에 돌출되도록 체결부재를 보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체결부재의 상단을 강판과 용접시켜 체결부재를 강판에 고정시키는 단계; e) 강판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본 발명은 일정기간 임시 사용하는 가건축물의 모듈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건축물을 모듈화시켜 조립식으로 구축하여 일정 기간 사용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용중인 노후화된 건축물을 철거하고 새로이 건축하는 경우, 새로운 건축물이 완공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임시 가건축물을 축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전국에는 구조적으로 안전에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D등급과 E등급의 학교 건물이 수십 곳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 건물은 재건축이나 보수기간 중에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임시의 가건축물을 구축하여 부족한 교육공간을 대체하게 된다.
이러한 가건축물은 시공성과 철거의 용이성 및 반복사용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모듈러 시스템이 주로 사용된다.
모듈러 시스템은 규격화된 모듈로 공장에서 생산하여, 이를 현장으로 운반한 후 이들 모듈을 조합 또는 적층함으로써 건축물의 건축을 완료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최근 학교 건물의 재건축 기간 중 모듈화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임시 가건축물을 구축하고 이를 임시 교실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공사 관계자들은 재건축하는 학교의 본건물에 대한 품질을 최우선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임시 교실로 사용하기 위한 가건축물에 대하여는 시공 및 철거의 용이성 위주로 고려할 뿐, 이용자의 편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컨테이너 모듈은 현장에서의 습식공사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벽체와 바닥 등의 대부분 구성을 공장에서 완료시킨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으로 운송되고 양중과정을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운송과 양중 등의 현장 작업성을 고려하여 모듈의 경량화가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를 위하여 임시 교실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모듈은 바닥구조를 합판구조로 구성시켜 경량화를 도모한다. 그런에 이러한 합판구조의 바닥구조는 학생들의 보행시 울렁거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보행성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이러한 보행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기도 하나, 이러한 바닥콘크리트 타설은 공사 기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뿐 아니라 모듈 재활용의 범위가 줄어드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경량성을 도모하면서 보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58930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번호 10-1558930호의 바닥판 구조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부(311)와 요부(312)의 요철부(310)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0)와 콘크리트부재(400)를 일체화시키고, 그 테두리를 보형식으로 일체화시킨 합성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부재의 합성구조로 이루어진 바닥판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공장에서 제작된 모듈은 현장으로의 운송되기 전까지 야적장에 적치될 뿐 아니라, 현장으로 운송된 후에도 공사 일정에 따라 일정기간 야외에 적치될 수 있다. 그런데 여름철의 고온에 직접 노출되는 강판의 데크플레이트와 내부쪽 콘크리트부재 사이에는 큰 온도차이가 발생하고, 여기에 두 부재간의 신축률 차이가 더해져 콘크리트부재의 표면에는 균열이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합성구조로 인하여 바닥판 구조는 자체가 뻣뻣해져 변위에 쉽게 대응할 수 없게 되는바, 차량의 운반 과정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크레인의 양중과정 중에 바닥판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에서의 습식공법의 적용없이 표면강도를 향상시켜 보행성을 향상시키면서, 경량화를 유시키며, 혹독한 온도에서도 야적성이 양호하고, 운반 및 양중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일시적인 편심하중에 의한 변위에도 충분이 대응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보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놓여지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에 의해 보부재에 고정 설치되되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은 보부재와 강판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온도신축에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강판과 비합성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보부재에 대한 상기한 바닥판의 설치구조는 체결부재의 상단을 강판에 용접 고정시키고 하단을 보부재에 나사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닥판 구조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에 형성되는 체결부재의 관통홀에,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면서 종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보호밀착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닥판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a) 보부재의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을 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용접홀이 구비된 강판을 적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접홀과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을 관통하여 보부재에 나사체결되면서 머리부를 포함한 상단이 용접홀 내에 돌출되도록 체결부재를 보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체결부재의 상단을 강판과 용접시켜 체결부재를 강판에 고정시키는 단계; e) 강판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강판에 형성시키는 용접홀의 형상을 체결부재의 머리부 단면보다 크게 형성시켜 체결부재의 머리부가 용접홀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고, 용접홀의 형상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시키되, 단축은 체결부재의 머리부 폭보다 작고 장축은 체결부재의 머리부 폭보다 크게 형성시켜, 체결부재의 머리부가 강판의 상면에 걸쳐지면서 장축부분에 용접개구가 형성되게 하고, 용접은 상기 용접개구를 통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강판 상면의 평탄화는 전자의 경우 돌출된 용접비드 또는 체결부재의 머리부를 그라인딩으로 제거시킨다.
본 발명은 내화성과 단열성 및 경량성이 우수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단점인 약한 표면강도 및 평활도 부족성을 얇은 강판으로 보완하고, 상기한 얇은 강판의 부족한 보행성을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이 보완함으로써 고품질의 바닥판 구조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과 강판을 비합성 구조로 구성시킴으로써, 야외 야적정에서의 혹독한 온도 및 각 부재에 노출되는 온도의 차이, 차량 운반중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진동이나 갑작스러운 충격, 양중작업과정 중 발생하는 편심하중 등에 의한 변위발생에도 쉽게 대응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에 대한 균열 등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아 건축물 모듈의 보관성과 운반성 및 현장의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물 모듈의 사시도 및 바닥판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가 적용된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바닥판 구조의 거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바닥판 구조에 사용되는 보호밀착관에 관한 사시도 및 이를 적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키는 과정에 관한 제1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키는 과정에 관한 제1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는 보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과,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놓여지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에 의해 보부재에 고정 설치되되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은 보부재와 강판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온도신축에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강판과 비합성구조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가 적용된 일 실시예의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M)의 바닥판 구조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 가능한 건축물의 모듈(M)은 구축하고자 하는 공간을 가지는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2분할 또는 3분할한 것의 하나로서, 내외 마감이 모두 완성된 상태로 공장에서 제작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공장에서 운송된 모듈(M)을 조립한 후 이를 인양하여 정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건축물의 구축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M)은, 상하부에 위치한 가로보(10a)와 세로보(10b)의 보부재(10)(바닥판 스팬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중간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와, 모듈(M)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기둥부재(20)에 의해 외곽 뼈대가 구성되며, 본 발명의 바닥판은 상기 보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보부재(10)는 사각강관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한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는 구성의 일부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이 사용되어 모듈(M)의 경량화와 더불어 내화성능과 단열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은 표면강도가 약하고, 이를 바닥판으로 사용하게 되면 테두리보를 타설해야 할 뿐 아니라 평활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바닥미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부재(10) 상면에 놓여진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상면에 얇고 평탄한 강판(230)을 적층시킴으로써 바닥판의 표면강도를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의 바닥판 구조는 얇은 강판(230)으로 하여금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문제점인 약한 표면강도와 부족한 평활도의 문제를 해결하게 하고,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은 강판(230)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보행시 울렁거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하는 등의 상호 보완적인 작용을 통해 고품질의 경제적인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혹독한 온도변화 내지 이에 노출된 상황의 차이 등에 의해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과 강판(230)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상호간에 구속됨이 없도록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과 강판(230)을 비합성구조로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과 강판(230)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은 체결부재(240)에 의해 보부재(10)에 고정 설치되나, 외부에 노출되는 강판(230)과 보부재(10)는 체결부재(24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반면, 그 내부에 위치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은 보부재(10)와 강판(230)에 구속되지 않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신축에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할 여지는 없게 된다.
이러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비합성 구조는, 체결부재(240)를 강판(230)과 보부재(10)에 대하여만 일체화를 위한 체결구조를 가지게 할 뿐 체결부재(240)와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 사이에는 일체화를 위한 체결구조를 가지지 않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 체결구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체결부재(240)의 상단을 강판(230)에 용접(w) 고정시키고, 체결부재(240)의 하단은 보부재(10)에 나사체결(s) 고정되게 한다.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과 체결부재(240) 사이에는 보호밀착관(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보호밀착관(220)의 구조 및 보호밀착관(220)이 구비된 실시예의 바닥판 구조를 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보호밀착관(2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변화에 따른 변위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변위의 발생이 없는 평상시에는 보부재(10)와 강판(230) 사이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이 미끄럼이동 없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밀착관(22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짐으로써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체결부재(240)가 통과하는 관통홀(211)에 삽입되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체결부재(240)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함께 보호밀착관(220)은 종방향(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면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탄성부(221)가 구비됨으로써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이 체결부재(240)에 대하여 안정적인 밀착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수평변위에 대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진동이나 갑작스러운 충격에 대하여도 이를 흡수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보호밀착관(220)은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관통홀(211)에 대한 삽입이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탄성부(221)의 내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는 단단한 경질부(222)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도 5는 보호밀착관(220)이 탄성부(221)와 그 내면의 경질부(222)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한 것이다.
바닥판의 상면은 벽체나 강화마루 등의 타부재와의 접합 용이성을 위하여 평탄면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240)의 상단이 강판(230)에 용접(w)되는 경우, 그 용접(w) 고정된 강판(230)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은, a) 보부재(10)의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을 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상면에 용접홀(231)이 구비된 강판(230)을 적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접홀(231)과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을 관통하여 보부재(10)에 나사체결(s)되면서 머리부(241)를 포함한 상단이 용접홀(231) 내에 돌출되도록 체결부재(240)를 보부재(10)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체결부재(240)의 상단을 강판(230)과 용접(w)시켜 체결부재(240)를 강판(230)에 고정시키는 단계, e) 강판(230)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에 구비되는 관통홀(211)은, c)단계의 진행 중 체결부재(240)가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을 관통하는 과정중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에 보호밀착관(220)을 설치할 있도록 c)단계를 진행하기 전에 미리 형성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230)에 구비되는 용접홀(231)의 형상에 따라 c)단계에 의한 체결부재(240)의 고정상태 및 e)단계에서의 평탄화 작업에 다소 차이가 있다.
도 6은 이에 관한 제1실시예로서, 강판(230)에 구비되는 용접홀(231)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단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c)단계에 의해 체결부재(240)가 보부재(10)에 고정 완료되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용접홀(231)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d)단계에 의한 용접(w)이 이루어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강판(230)이 일체로 용접(w)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e)단계에서의 평탄화 작업은 도 6의 (c)에서와 같이 용접(w)후 형성된 용접비드(b)의 돌출부분을 그라인딩으로 제거함으로써 완료된다.
도 7은 용접홀(231) 형상과 관련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강판(230)에 구비되는 용접홀(231)은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타원의 단축(231b)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폭보다 작게 구성시켜 c)단계에서 체결부재(240)를 보부재(10)에 고정시키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강판(230)의 상면에 걸쳐져지면서 이를 가압하여 강판(230)이 작업과정 중에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된다.
이에 반하여 타원의 장축(231a)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폭보다 크게 구성시킴으로써, c)단계에서 체결부재(240)를 보부재(10)에 고정시키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강판(230)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그 장축(231a)부분에 용접개구(232)가 형성되는 바, d)단계에서의 체결부재(240) 상단과 강판(230)과의 용접(w)은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용접개구(232)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e)단계에서의 평탄화 작업은 도 7의 (c)에서와 같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를 그라인딩으로 제거함으로써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건축물을 모듈화시켜 조립식으로 구축하여 일정 기간 사용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7)

  1. 건축물의 실내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보부재(10)의 상면에 놓여지는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과,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상면에 놓여지는 강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은 체결부재(240)에 의해 보부재(10)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은 보부재(10)와 강판(230)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온도신축에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강판(230)과 비합성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40)의 상단은 강판(230)에 용접(w) 고정되고 하단은 보부재(10)에 나사체결(s)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40)가 용접(w) 고정된 강판(230)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체결부재(240)가 통과하는 관통홀(211)에는 체결부재(240)를 감싸는 보호밀착관(220)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밀착관(220)은 종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의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보부재(10)의 상면에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을 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의 상면에 용접홀(231)이 구비된 강판(230)을 적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접홀(231)과 경량기포콘크리트 패널(210)을 관통하여 보부재(10)에 나사체결(s)되면서 머리부(241)를 포함한 상단이 용접홀(231) 내에 돌출되도록 체결부재(240)를 보부재(10)에 고정시키는 단계;
    d) 체결부재(240)의 상단을 강판(230)과 용접(w)시켜 체결부재(240)를 강판(230)에 고정시키는 단계;
    e) 강판(230)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용접홀(231)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d) 단계에서의 용접(w)은 상기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용접홀(231)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용접홀(231)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단축(231b)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폭보다 작고 장축(231a)은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c)단계에서 체결부재(240)를 보부재(10)에 고정시키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강판(230)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용접홀(231)의 장축(231a)부분에 용접개구(232)가 형성되고, d)단계에서의 체결부재(240) 상단과 강판(230)과의 용접(w)은 상기 용접개구(232)를 통해 이루어지며, e)단계에서의 평탄화에 의해 체결부재(240)의 머리부(241)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의 형성방법.
PCT/KR2021/001113 2020-03-02 2021-01-28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WO20211776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83 2020-03-02
KR1020200025783A KR102261170B1 (ko) 2020-03-02 2020-03-02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601A1 true WO2021177601A1 (ko) 2021-09-10

Family

ID=7637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113 WO2021177601A1 (ko) 2020-03-02 2021-01-28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1170B1 (ko)
WO (1) WO2021177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222A (ko) 2021-12-20 2023-06-28 (주)엔시스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33U (ja) * 1992-10-09 1994-05-13 小野田エー・エル・シ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床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54422A (ja) * 1993-08-17 1995-02-28 Sekisui Chem Co Ltd 耐火区画を構成する建物の床・壁構造
JPH1113185A (ja) * 1997-06-24 1999-01-19 Nitto:Kk 木構造用床パネル固定金具
JP2012122282A (ja) * 2010-12-09 2012-06-28 Takenaka Komuten Co Ltd 床構造
US20180274254A1 (en) * 2015-12-16 2018-09-27 Taikong Intelligent Construction Co., Ltd. Container type combin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930B1 (ko) 2013-12-05 2015-10-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33U (ja) * 1992-10-09 1994-05-13 小野田エー・エル・シ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床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54422A (ja) * 1993-08-17 1995-02-28 Sekisui Chem Co Ltd 耐火区画を構成する建物の床・壁構造
JPH1113185A (ja) * 1997-06-24 1999-01-19 Nitto:Kk 木構造用床パネル固定金具
JP2012122282A (ja) * 2010-12-09 2012-06-28 Takenaka Komuten Co Ltd 床構造
US20180274254A1 (en) * 2015-12-16 2018-09-27 Taikong Intelligent Construction Co., Ltd. Container type combin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70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87708A1 (ko) 모듈을 이용한 이동가능 건축물의 시공방법
WO2016133291A2 (ko) 조립트러스 매립형 합성보
US20160319534A1 (en) Reversible module co-ordination system for buildings
JPH102018A (ja) 建物ユニットとユニット建物とその構築方法
WO2009131398A2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JP4318397B2 (ja) 建築構造の建設に使用する建築パネル
WO2021177601A1 (ko)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JP2011202439A (ja) 建物ユニット
US11339562B2 (en) Area-covering structure module
WO2013081408A1 (ko)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의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의 연속화 방법 및, 그 제작 및 조립방법
CN112854438A (zh) 一种外露平板网架楼板和外露桁架梁的装配式混凝土框架体系
KR100863592B1 (ko) 자동화건축의 가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화 건축방법
KR20160075965A (ko) 브래킷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JP3871756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屋根構造
WO2022025432A1 (ko) 중공 합성벽체용 선조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중공 합성벽체
KR101503139B1 (ko) 다수의 솔라셀 모듈 지지용 블록 시스템 및 그의 축조 방법
KR101311191B1 (ko) 천문 관측소 모듈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7328687B (zh) 一种钢结构-混凝土组合结构的安装方法
CN112538896A (zh) 一种由六面组成的结构模块单元体及其连接方式
CN201276758Y (zh) 一种组合式房屋的梁架结构
CN219752962U (zh) 一种钢-混凝土组合桥梁
CN211257323U (zh) 一种框架柱与斜支撑连接节点结构
CN212801266U (zh) 一种装配式地铁车站站台
CN113047628B (zh) 一种适用于承载金属柱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WO2023200047A1 (ko) 탄소섬유패널과 보강철물 및 석고보드를 조립한 필로티 rc 기둥의 자가 휨 보강 공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3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63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