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222A -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222A
KR20230094222A KR1020210182766A KR20210182766A KR20230094222A KR 20230094222 A KR20230094222 A KR 20230094222A KR 1020210182766 A KR1020210182766 A KR 1020210182766A KR 20210182766 A KR20210182766 A KR 20210182766A KR 20230094222 A KR20230094222 A KR 2023009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ement
floors
floor structur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우
최용욱
Original Assignee
(주)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시스 filed Critical (주)엔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222A/ko
Publication of KR2023009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음 및 방진 특성을 갖도록 고무성분과 섬유질을 갖는 폐타이어를 분쇄, 조각하여 시멘트와 최적의 크기 및 범위로 혼합하여 성형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폐타이어의 활용으로 인해 친환경적이고 그 처리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을 절감과, 완충재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의 역할을 단일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유명무실한 완충재의 역할을 대체,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층간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과 충돌을 방지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다.
일례로, 콘크리트 슬래브 층;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층 상에서 타설되고, 고무, 섬유질 및 시멘트가 포함된 시멘트 복합재 층을 포함하는 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COMPOSITE CONCRETE FLOOR STRUCTURE TO PREVENT NOISE AND IMPACT BETWEEN FLOO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특성과 동시에 방음 및 방진 특성을 갖도록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성분에 폐타이어 조각을 최적의 범위로 혼합 성형하여 제조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모르타르를 소정두께로 시공한다.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 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 층으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 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음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 소음이라 한다.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 소음 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어 정부에서는 층간 소음 유발 행위에 대해 경범죄 처벌법의 인근 소란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 소음으로 이웃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 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 배관과 마감용 모르타르 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 장식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위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바닥구조로 건물을 시공한 경우, 예컨대 위층에서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행위에 의해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장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이에 층간 소음 방지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층간 소음 방지재는, 수지, 고무 기타 제품이 콘크리트 구조체 위에 별도로 완충제로 추가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이 기대 이하임에도 불구 사실상 업계에 면죄부를 주는 표준구조체로 존재하는 현실을 타파하기 위한 것이다.
본래 강도가 강할수록 소리나 진동이 잘 전달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라브 자체의 두께 변화에 의해서는 벽식 구조가 대부분인 아파트의 층간 소음문제는 건축 단계에서 해결될 수 없다.
또한, 본래 단열재로 개발된 EPS 계열 완충재는 소음 진동 억제효과가 미미하고, 수지계열은 강도가 약해 슬라브구조에서 본연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특수 구조재의 경우 그 비용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벽체구조의 아파트에 적용하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00406호(등록일자: 2010년12월06일) 등록특허공보 제10-1754989호(등록일자: 2017년06월30일) 등록특허공보 제10-2261170호(등록일자: 2021년05월31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240호(공개일자: 2018년06월2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음 및 방진 특성을 갖도록 고무성분과 섬유질을 갖는 폐타이어를 분쇄, 조각하여 시멘트와 최적의 크기 및 범위로 혼합하여 성형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은, 콘크리트 슬래브 층;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층 상에서 타설되고, 고무, 섬유질 및 시멘트가 포함된 시멘트 복합재 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과 상기 바닥 마감재 층 사이에 접합된 완충재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재 층과 상기 바닥 마감재 층 사이에 타설된 마감 모르타르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최상부 층에 타설된 바닥 마감재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시멘트와 물에, 타이어 고무칩 재료를 첨가하여 타설되고, 상기 고무칩 재료는, 와이어가 제거된 폐타이어의 고무와 섬유질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시멘트, 물 및 기포제를 포함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생성 재료에, 타이어 고무칩 재료를 첨가하여 타설되고, 상기 타이어 고무칩 재료는, 와이어가 제거된 폐타이어의 고무와 섬유질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타이어 고무칩 재료 10~50 중량%, 시멘트 30~70 중량% 및 물 10~20 중량%로 배합되어 타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와 섬유질 조각의 길이는 1mm 내지 3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적어도 40mm 이상 두께로 타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 및 방진 특성을 갖도록 고무성분과 섬유질을 갖는 폐타이어를 분쇄, 조각하여 시멘트와 최적의 크기 및 범위로 혼합하여 성형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에 의하면, 타이어가 가지는 소음, 충격흡수력과 높은 인장강도 등의 장점을 콘크리트 구조체에 그대로 적용하고, 폐타이어의 활용으로 인해 친환경적이고 그 처리과정에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슬라브 구조 위에 직접 시멘트를 도포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밀착되고 완충재의 역할과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의 역할을 단일화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명무실한 완충재의 역할을 대체,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층간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과 충돌을 방지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변형예로 완충재 층과 마감 모르타르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다른 변형예로 완충재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또 다른 변형예로 마감 모르타르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1000)은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시멘트 복합재 층(200), 완충재 층(300), 마감 모르타르 층(400) 및 바닥 마감재 층(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층을 의미하며 주의가 들보로 둘러싸이고 이에 걸리는 하중은 주위의 들보에 분담되어 각 기둥으로 힘을 흘러가는 간다. 이러한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위에는 난방 배관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상에서 고무, 섬유질 및 시멘트가 혼합되어 성형된 층으로, 시멘트와 물에, 타이어 고무칩 재료를 첨가하여 타설되고, 고무칩 재료는 와이어가 제거된 폐타이어의 고무와 섬유질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최적의 방음, 방진 효과와 단열, 내열, 축열성을 갖도록 한 복합층으로서, 승용 폐타이어를 1, 2차 분쇄하여 1~30mm 크기(길이)로 만든 후, 그 중 금속 성분을 자석으로 걸러낸 조각(이하 타이어 고무칩 재료)만을 시멘트, 물, 기포제와 혼합하여 성형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1~30mm 타이어 고무칩 재료 10~50 중량%, 시멘트 30~70 중량% 및 물 10~20 중량%을 기포제와 혼합한 복합 재료를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상에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소음 억제 층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층(100)을 완성한 후에 바로 도포하여 바닥 층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포제는 용매(물)에 녹아서 거품(기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전체 복합 재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중량%)에서 미미하므로, 별도로 한정하지 않았으나, 기존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제조 시와 동일한 수준의 비중(또는 함량)을 첨가하여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적어도 40mm 이상 두께로 타설될 수 있으며, 그 두께의 상한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일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설 두께의 상한 수준으로 제작되거나 조금 더 두껍게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시멘트 복합재 층(200)에 혼합된 타이어 조각 재료의 크기(길이)에 의해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전체 두께가 최소 40mm 이상으로 제작되어 타이어 조각 재료가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표면으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섭씨 500℃ 이상까지도 내열성이 있고 유독기체를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해당 표면에 위치한 타이어 조각의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연소도 최소한 국소적인 것으로 제한되며, 전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거나 거의 없다. 이러한 시멘트 복합재 층(200) 위에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층이 타설될 수 있으므로, 미세하게 노출된 타이어 조각을 존재한다고 가정하여도 해당 타이어 조각에 의한 냄새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고무칩 재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층간 소음 억제를 위한 시멘트 복합재 층(200)이 높은 탄성력, 흡음력과 충격 억제력을 가지지만, 구조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과도할 경우 그 자체로는 난(불)연성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닥층의 높이를 확보하고, 최적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시멘트 복합재 층(200)을 제작하기 위한 도포 두께와 타이어 조각 재료의 구성 비율 즉 타이어 고무칩 재료에 대한 함량 또는 비중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이와 같이 최적의 크기(1~30mm)로 제작된 타이어 조각 재료와 시멘트, 물, 기포제를 혼합하여 최적의 두께로 제조된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의도한 보온, 항온, 층간 소음 저감 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충분한 난(불)연 특성과 강도, 내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경량기포콘크리트에 타이어 조각 재료 및 물을 혼합한 형태가 아닌 일반 콘크리트(시멘트)에 타이어 조각 재료 및 물을 혼합한 형태로도 제작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 완충재 층(300)은 시멘트 복합재 층(200) 상에 접합되어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기능 즉, 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방음패널, 섬유시트, 단열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재 층(300)의 구성을 상기한 요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일 뿐 다양한 변형과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재 층(300)은 생략 가능하며, 생략 시 시멘트 복합재 층(200)이 이를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시멘트 복합재 층(200)은 일반 콘크리트(시멘트)에 타이어 조각 재료 및 물을 혼합한 형태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기포제 포함)에 타이어 조각 재료 및 물을 혼합한 형태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마감 모르타르 층(400)은 완충재 층(300)과 바닥 마감재 층(500) 사이에 타설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도록 완충재 층(300)의 상부에 마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재 층(500)은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1000)의 최상부 층에 타설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마감재 층(500)은 바닥 표면을 특정 재료로 마감하는 것으로, 마감 재료에는 목재, 석재, 탄성재 등 다양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변형예로 완충재 층과 마감 모르타르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1000)은 도 1과 비교했을 때 완충재 층(300)과 마감 모르타르 층(400)을 생략한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시멘트 복합재 층(200) 및 마감 바닥재 층(500)으로 구성되어 시멘트 복합재 층(200)이 완충재 층(300)을 대체하여 방음, 방진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마감 모르타르 층(400)을 대체하여 난방용 배관이 매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마감 모르타르 층(400)을 생략한 두께만큼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다른 변형예로 완충재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1000)은 도 1과 비교했을 때 완충재 층(300)을 생략한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시멘트 복합재 층(200), 마감 모르타르 층(400) 및 마감 바닥재 층(500)으로 구성되어 시멘트 복합재 층(200)이 완충재 층(300)을 대체하여 방음, 방진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완충재 층(300)을 생략한 두께만큼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또 다른 변형예로 마감 모르타르 층이 생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1000)은 도 1과 비교했을 때 마감 모르타르 층(400)을 생략한 콘크리트 슬래브 층(100), 시멘트 복합재 층(200), 완충재 층(300) 및 마감 바닥재 층(50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마감 모르타르 층(400)을 생략한 두께만큼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난방용 배관이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 제품의 예처럼 충격흡수만을 위한 별도 층으로 구성되지 않고,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올려진 동일 성질의 시멘트 층으로서 완충재와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되, 구조적으로 밀착되어 자체의 흡음 및 충격완화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임으로써 층간 소음 법률기준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폐타이어 재활용을 통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경량, 단열, 축열, 내열성 등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직접 결합된 단일 구조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적용이 용이하며, 우수한 소음, 진동 저감 효과로 인해 기존 표준 구조에 사용되는 완충재와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역할을 대체 및 보완할 수 있다.
특히, 완충재의 경우 스티로폼 단열재에 불과하여 실제 충격흡수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복합재 층(200)의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100: 콘크리트 슬래브 층
200: 시멘트 복합재 층
300: 완충재 층
400: 마감 모르타르 층
500: 바닥 마감재 층

Claims (9)

  1. 콘크리트 슬래브 층;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층 상에서 타설되고, 고무, 섬유질 및 시멘트가 포함된 시멘트 복합재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과 상기 바닥 마감재 층 사이에 접합된 완충재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 층과 상기 바닥 마감재 층 사이에 타설된 마감 모르타르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의 최상부 층에 타설된 바닥 마감재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시멘트와 물에, 타이어 고무칩 재료를 첨가하여 타설되고,
    상기 고무칩 재료는, 와이어가 제거된 폐타이어의 고무와 섬유질 조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시멘트, 물 및 기포제를 포함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생성 재료에, 타이어 고무칩 재료를 첨가하여 타설되고,
    상기 타이어 고무칩 재료는, 와이어가 제거된 폐타이어의 고무와 섬유질 조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타이어 고무칩 재료 10~50 중량%, 시멘트 30~70 중량% 및 물 10~20 중량%로 배합되어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8.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와 섬유질 조각의 길이는 1mm 내지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복합재 층은 적어도 40mm 이상 두께로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KR1020210182766A 2021-12-20 2021-12-20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KR20230094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66A KR20230094222A (ko) 2021-12-20 2021-12-20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66A KR20230094222A (ko) 2021-12-20 2021-12-20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222A true KR20230094222A (ko) 2023-06-28

Family

ID=8699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766A KR20230094222A (ko) 2021-12-20 2021-12-20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22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06B1 (ko) 2010-09-08 2010-12-1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101754989B1 (ko) 2017-03-29 2017-07-06 주식회사 하은산업 건축물 바닥 단열 방음용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7240A (ko) 2016-12-12 2018-06-20 한형우 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2261170B1 (ko) 2020-03-02 2021-06-07 주식회사 엔알비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06B1 (ko) 2010-09-08 2010-12-13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20180067240A (ko) 2016-12-12 2018-06-20 한형우 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1754989B1 (ko) 2017-03-29 2017-07-06 주식회사 하은산업 건축물 바닥 단열 방음용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1170B1 (ko) 2020-03-02 2021-06-07 주식회사 엔알비 이동 가능한 건축물 모듈의 바닥판 구조 및 그의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1723976B1 (ko)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1903938B1 (ko) 3중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 구조체
KR20190079758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KR10077000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230094222A (ko) 층간 소음 및 충격 방지를 위한 복합 콘크리트 바닥 구조물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090117498A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JPH08105192A (ja) 床部の防振兼遮音装置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190140745A (ko) 소음저감형 철근콘크리트슬래브 구조체 및 그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KR100758599B1 (ko) 건축바닥 층간 소음차단 시설구조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102184551B1 (ko) 카고메 트러스부재를 포함하는 소음저감형 철근콘크리트슬래브 구조체 및 그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KR200322187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진동흡음판넬
KR100732469B1 (ko)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42937B1 (ko) 트레이형 층간 소음 저감 구조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20010084754A (ko) 다층 건물의 바닥 시공방법
KR100883058B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