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921A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층간 차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7921A KR20110137921A KR1020100057936A KR20100057936A KR20110137921A KR 20110137921 A KR20110137921 A KR 20110137921A KR 1020100057936 A KR1020100057936 A KR 1020100057936A KR 20100057936 A KR20100057936 A KR 20100057936A KR 20110137921 A KR20110137921 A KR 201101379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absorbing
- sound insulation
- buffer
- buffer medium
- insulatio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遮音)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등을 완충 및 분산시키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완충매체; 상기 제1완충매체의 하부에 적어도 복수 개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되, 좌우대칭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완충매체; 상기 제1완충매체의 하부에 적어도 복수 개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되, 좌우대칭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 건물의 층간 슬래브에 설치하여 상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충격 등이 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 및 충격 등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건축용 층간 차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은 다층으로 건축이 되면서 다세대가 입주하지만, 이러한 다세대 건물은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발생시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층간의 경계를 이루는 바닥 콘크리트(슬래브)의 간격을 두껍게 하여 소음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 한정된 높이 내에서 건축이 되는 공동주택의 층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어 현실적으로 무조건적인 층 간격의 두께 확장은 당해 업계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동주택을 건축할 때에는 상층의 충격과 소음 등을 차단할 목적으로 차음(遮音) 설비로써, 건물의 층간 바닥면 슬래브에 단열과 층간 방음 역할을 하는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온돌파이프를 설치하고 미장하여 마감하여 왔다.
상기 기포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제품으로 강도는 매우 높고, 비중이 매우 낮아 물에 뜨는 재질이며,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단열제품으로 매우 우수하고 소리에 대한 방음효과도 뛰어난 편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하부에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저면에 흡음부재가 장착된 흡음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판상의 몸체의 저면에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흡음부재가 내설되는 내설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흡음판이 전후좌우로 서로 밀착되어 건축물의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흡음판의 상부에 기포성 시멘트몰탈층이 도포되며, 그 상부로 배관층과 시멘트몰탈층 및 마감재가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층간 소음방지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멘트의 세밀한 구조와 높은 강도로 인하여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진동을 기포 콘크리트 층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층간 슬래브에 그대로 전달하여 상층부에서 발생된 충격 및 진동 등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의 흡음판은 소재가 고가이고, 설치공정이 까다로워 시공비가 많이 들고, 공사기간이 길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 건물의 층간에 설치하여 소음 및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흡수완화시켜 층간 소음 방지효과를 크게 향상시킨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를 크게 절감시킴으로써 시공비를 줄이고,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킨 건축용 층간 차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건축용 층간 차음재는, 제1완충매체; 상기 제1완충매체의 하부에 적어도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되, 좌우대칭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수단과 격자를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완충매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층간 바닥면에 설치하여 상층부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을 완화시킴으로써 충격시 발생하는 소음 등을 차단하고 충격 및 진동 등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제거하여 더욱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가 크게 절감되어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아도 되어 공사기간 단축 및 시공비를 크게 절감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도 8의 제1완충매체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11은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15는 도 13의 제1완충매체를 상부에서 낼려다본 도면,
도 16은 도 13의 사용상태도,
도 17은 도 13의 단면 확대도.
도 2는 도 1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도 8의 제1완충매체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11은 도 8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15는 도 13의 제1완충매체를 상부에서 낼려다본 도면,
도 16은 도 13의 사용상태도,
도 17은 도 13의 단면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충매체; 상기 제1완충매체의 하부에 상기 제1완충매체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적어도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되, 좌우대칭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은 하부로 경사지게 계단형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로 하중이 가해지면 최초 상기 완충수단의 ①번 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1차적으로 소음 및 충격이 감쇄된다.
상기 ①번 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소음 및 충격을 감쇄하게 되고, 다음으로 상기 완충수단의 ②번 부위에서 2차적으로 소음 및 충격이 감쇄된다.
또한, 동일한 원리로 상기 ②번 부위에서 소음 및 충격이 감쇄된 후에는 상기 완충수단의 ③번 부위에서 3차적으로 소음 및 충격이 감쇄된다.
계단형으로 형성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제1완충매체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도면상에는 3단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완충수단의 계단 수는 상기 제1완충매체의 재질 및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완충수단을 상기 제1완충매체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구성하지 않고, 이 역시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구성하였다.
상기 도 4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이 슬래브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하중 및 충격에 대한 감쇄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접면 부위가 많으면 충격 및 소음에 대한 감쇄 효과는 떨어지며, 접면 부위가 적을수록 감쇄 효과는 상승되나, 접면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완충수단 간의 간격을 너무 이격시켜도 충격에 의해 상기 제1완충매체가 파쇄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고려하여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완충매체가 파쇄되는 것을 고려하여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상기 파쇄방지수단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 부착시켜 구성하게 되며, 상기 파쇄방지수단은 본 발명인 건축용 층간 차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수단과 격자를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제2완충매체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도 상기 제1완충매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 형성된 요철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제2완충매체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가 형섬됨으로써,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층간 소음을 감쇄시켜 준다.
이때, 상기 제2완충매체가 없을 경우 상기 요철부에 몰탈층이 형성되면서, 상기 요철부의 오목부 사이에 몰탈층이 충진되어 상기 요철부가 사라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완충매체가 상기 요철부 상부로 더 결합되며, 상기 제2완충매체의 상부로 몰탈층이 형성된다.
또한, 하중으로 인한 상기 제2완충매체의 파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완충매체의 상부면에도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파쇄방지수단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는 상기 완충수단과 격자 형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교차되는 지점마다 완충역할을 수행하여 하중으로 인한 충격 및 소음을 감쇄시켜 준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구조는 도 4의 구조에 상기 요철부 및 상기 제2완충매체가 더 결합된 구조로써, 접면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상에는 상기 완충수단 간의 가로 또는 세로 간격이 일정치 않게 배열되었으나, 이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등 간격으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작업 환경 및 상기 제1완충매체 및 상기 제2완충매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완충매체 및 상기 제2완충매체는 탄성을 갖고, 충격 및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EPS나 네오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PS로 구성할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 및 충격흡수가 탁월해진다.
10 : 슬래브 20 : 몰탈층
30 : 배관
100 : 제1완충매체 110 : 완충수단
120 : 요철부
200 : 파쇄방지수단
300 : 제2완충매체
30 : 배관
100 : 제1완충매체 110 : 완충수단
120 : 요철부
200 : 파쇄방지수단
300 : 제2완충매체
Claims (4)
- 제1완충매체;
상기 제1완충매체의 하부에 적어도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되, 좌우대칭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완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매체의 상부에는,
상기 완충수단과 격자를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완충매체;
가 더 구비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매체의 상부에는,
파쇄방지수단이 더 부착된 건축용 층간 차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936A KR20110137921A (ko) | 2010-06-18 | 2010-06-18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7936A KR20110137921A (ko) | 2010-06-18 | 2010-06-18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7921A true KR20110137921A (ko) | 2011-12-26 |
Family
ID=4550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7936A KR20110137921A (ko) | 2010-06-18 | 2010-06-18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792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800B1 (ko) * | 2019-07-30 | 2020-08-19 | (주)태봉산업 | 안티노이즈 패드 |
KR20210136640A (ko) * | 2020-05-08 | 2021-11-17 |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
KR20220169313A (ko) | 2021-06-18 | 2022-12-27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102661149B1 (ko) * | 2023-07-04 | 2024-04-25 | 이완섭 | 층간소음 및 수맥차단이 가능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2010
- 2010-06-18 KR KR1020100057936A patent/KR201101379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5800B1 (ko) * | 2019-07-30 | 2020-08-19 | (주)태봉산업 | 안티노이즈 패드 |
KR20210136640A (ko) * | 2020-05-08 | 2021-11-17 |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
KR20220169313A (ko) | 2021-06-18 | 2022-12-27 | 김석규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KR102661149B1 (ko) * | 2023-07-04 | 2024-04-25 | 이완섭 | 층간소음 및 수맥차단이 가능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23976B1 (ko) | 소음 차단 이중 슬라브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 |
CN107002404B (zh) | 建筑材料 | |
KR2017008714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190079758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방법 | |
KR100987212B1 (ko) |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 |
KR20110137921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1435993B1 (ko) |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101526541B1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0931511B1 (ko) | 건물용 방음 및 단열 조립체 | |
KR101479167B1 (ko) |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20130031967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0728519B1 (ko) | 건물의 층간 소음 저감용 난방 배관 패널 및 이를 이용한건물의 바닥 난방 구조 | |
KR2010008622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10609Y1 (ko)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 |
KR2015011117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130104145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160099823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0705845B1 (ko) |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 |
KR20120008155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101011949B1 (ko) | 보일러배관이 일체화된 건축물의 소음 저감 층간 바닥 구조 | |
KR102409190B1 (ko) |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 | |
KR20120089016A (ko) | 건축용 층간 차음재 | |
KR200391127Y1 (ko) | 아파트의 층간방음구조 | |
KR20160109653A (ko) |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