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7538A1 -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7538A1
WO2021177538A1 PCT/KR2020/014303 KR2020014303W WO2021177538A1 WO 2021177538 A1 WO2021177538 A1 WO 2021177538A1 KR 2020014303 W KR2020014303 W KR 2020014303W WO 2021177538 A1 WO2021177538 A1 WO 20211775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ju
soybean
fish
fermented
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영진
이호우
전재준
하누리
강유진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ublication of WO20211775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75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composition for health improvement containing a soybean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a health functional food effective for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cardiovascular disease, etc. by containing a soybean processed product such as fermented soybean or fish and shellfish powder-containing meju as a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a soybean processed product such as fermented soybean or fish and shellfish powder-containing meju
  • soybeans are widely used in food as a food rich in protein, and they are cooked into various foods and used in various kinds of dishes.
  • soybean is the main raw material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which are representative fermented foods in Korea.
  • Soy sauce made from soybeans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protein source in inland regions where some seafood is scarce in China and Korea, where rice-based diets are based.
  • the tradi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soybeans is a method of boiling soybeans between late autumn and winter, then pounding them with a mortar, making a lump of meju, tying the lump of meju with rice straw, and hanging it on a wall during winter to dry (Patent Document 1), such a process Bacillus subtilis of rice straw and mold in the air are inoculated naturally, and when ripening is completed, the mold on the surface is washed with water, dried, and used to soak the intestines.
  • Patent Document 2 a method for producing improved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 which is a kind of fungus as a pure single bacterium
  • Patent Document 3 a method for producing improved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 which is a kind of fungus as a pure single bacterium
  • the method is a soybean It is a method of artificially inoculating Hwangguk bacterium after boiling and culturing for 3 days at a temperature of about 30°C.
  • Patent Document 1 because it is ripened by natural inoculation without selection of superior strains, the yield of meju falls without strong proteolytic power, and the flavor of meju is not uniform due to frequent contamination of harmful bacteria There is this.
  • Patent Document 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4209
  • Patent Document 00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576
  • Patent Document 00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32217
  • processed soybean products such as meju are sensually excellent due to their unique savory flavor and polishing ingredients, and in particular, a specific process is applied in the processing process. By doing so, it was found that a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total nitrogen, amino acid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could be produc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ensory due to excellent proteolytic power, and as a new use of a soybean processed product produced without the generation of ammonia, while feeling the unique flavor of soybean,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or adult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To provide a func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health that is effective i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that is effective in one or more of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triglyceride improvement, cholesterol lowering, body fat improvement, obesity improvement, and hypertension improvement containing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yperlipidemia,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thrombosi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thrombosis, heart failure, fatty liver, obesity, gastric cancer at least one disease
  • hyperlipidemia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thrombosi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thrombosis, heart failure, fatty liver, obesity, gastric cancer at least one disease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composition for health improvement containing a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or alleviating one or more of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triglyceride improvement, cholesterol lowering, body fat improvement, obesity improvement, and hypertension improvement, containing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yperlipidemia,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thrombosi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thrombosis, heart failure, fatty liver, obesity, and gastric cancer containing soybean product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one or mor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mong them.
  • the soybean processed product is preferably a soybean fermented product, preferably at least one of soybean paste,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nd more preferably meju, particularly fish and shellfish-containing meju, is best. For the lo, fishbun meju is preferable.
  • the beans applied to the soybean produc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soybeans, kidney beans, mung beans, eastern beans, peanuts, lentils, lima beans, peas,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soybeans may be preferably used. have.
  • the processed soybean may be a natural fermentation product or a fermentation product using a fermented seed.
  • it may be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a fermented starter containing Bacillus as a fermented seed, and a seafood powder meju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 the processed soybean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reased content of total nitrogen, amino acid nitrogen and amino acids, in particular glutamic acid, citrulline and/or proline, especially when fer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has excellent sensory properties as well as ammonia od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eel the unique flavor of soybeans without the creation of
  • the soybean process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bio material used as a raw material for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meju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mong soybean products can exhibit very excellent health-improving functional efficacy when used as such a health functional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fish meal powder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fermentation of soybean powder added with fish and shellfish of the secondary selection strain.
  • Figure 4 shows the number of live cells of the secondary fermented soybeans added to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 Figure 5 show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 the case of fermenting the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10 days.
  • Figure 6 shows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 the case of fermenting the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20 days.
  • FIG. 8 is a fish meal powder in the case of fermenting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cillus velezensis as a fermentation starter and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tarter for 10 days. It shows the results of preparing the fish powder meju containing it.
  • FIG. 9 is a fish meal powder in the case of fermenting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cillus velezensis as a fermentation seed and fish 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eed for 20 days. It shows the results of preparing the fish powder meju containing it.
  • Figure 10 is a fish and shellfish powder in the case of fermenting fish meal powder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Bacillus velezensis as a fermentation seed and Heukgukgyun ( Aspergillus oryzae ) as a fermentation seed for 30 days. It shows the results of preparing the fish powder meju containing it.
  •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blood clotting inhibitory activity evaluation result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GS (gastric cancer) cells of fishbun meju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health containing a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for health improvement' refers to food or medicine that can be inges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ymptoms that negatively affect the human body or symptoms that may worsen health, or is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 Possible compositions include foods, pharmaceuticals, and the like.
  • the term 'processed soybean' may be used most broadly when cooked through a process such as roasting or steaming beans, or pulverizing uncooked soybeans.
  • soybean fermented products in particular fermented soybeans, may be included.
  • specific examples of the soybean fermented product may include fermented soybeans, soybean paste, soybean paste, soy sauce, and the like.
  • soybean paste or soy sauce derived from meju (fishbun meju)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or fishbun meju prepared using such fishbun meju may be included.
  • meju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is abbreviated as “fishbun meju”.
  • 'fishbun meju' refers to meju as a soybean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nd manufactured soybeans as the main raw material.
  • the processed soybea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fermented soybeans, fishbun meju, soybean paste, and soybean paste derived from fishbun meju or meju.
  • fishmeal meju may be preferably applied to include soybeans, steamed beans or fermented soybeans, a fermentation starter containing Bacillus bacteria as a fermented seed, and fish and shellfish powder.
  • the fishmeal soybea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1 to 5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starter and 0.1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oybeans, steamed beans or fermented soybeans. .
  • the beans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kidney beans, mung beans, soybeans, eastern beans, peanuts, lentils, lima beans, peas, etc., preferably soybeans, but It is not limited.
  • soybean is rich in high-quality vegetable protein and fat enough to be called 'meat of the field',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at we encounter every day, and is a source of essential foods such as tofu and bean sprouts.
  • It has a lot of high-quality protein that is comparable to meat, and isoflavones help calcium absorption to prevent osteoporosis, and saponins act as antioxidants.
  • the fermented soybean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fishbun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soaked in water for 1 to 10 hours, preferably 2 to 5 hours, and then boiled, and then boiled at 35 to 50° C., preferably 40 to 45 It can be obtained by fermentation at °C for 1 to 5 days, preferably for 1 to 3 d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ermentation starter is 0.1 to 5% (v/w), preferably 0.5 to 2% (v/w) of the weight of the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after inoculation of the fermented seed culture medium. , 25 to 35 °C, preferably 28 to 32 °C 1 to 5 days, more preferably, may be cultured for 2 to 4 days.
  • the fermentation starter when using the fermentation starter, it is most preferably inoculated with 0.1-5% (v/w) of the fermented seed culture medium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then 20-40 °C It may be cultured for 2-7 days in
  • the fermented strain in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ybean, steamed bean or fermented soybean, when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starter is included, the fermented strain can properly grow on the surface of the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of the soybean. It cannot be, and when it contain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starter, the fermented strain grows too much on the surface of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which has a problem affecting the quality of meju.
  • fish meal mej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case of ferment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eed for 20 to 30 days, total nitrogen , amino acid nitrogen and amino acids, in particular,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citrulline and / or proline, as well as excellent sensory, it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eel the unique flavor of conventional meju without the generation of ammona arch.
  • the fermentation microorganisms for example,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 Bacillus amyl Lowry Quebec Pacific Enschede (Bacillus amyloliquefaciens), Bacillus Belle Zen sheath (Bacillus velezensis), Bacillus piece you formate miss (Bacillus licheniformis ), Bacillus pumilus ( Bacillus pumilus ) and Bacillus sonorensis ( Bacillus sonorensis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Bacillus velezensis the strain is grown on the surface of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of the meju, and in that it produces a savory flavor without generating ammonia odor, Bacillus velezensis ( Bacillus velezensis ) L2 (KCCM 12498P) is preferab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sh meal included in the fish me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for example, by steaming whole or part of the fish or shellfish from which the shell has been removed, steaming and pressing to remove the juice, drying the solid part, and pulverizing the fish meal.
  • This fish and shellfish powder is a raw material with high digestibility, high energy value, and excellent nutrient content and components such as protein, fat, minerals, and vitamins.
  • fishmeal meju which is a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described above, can contain a high content of total nitrogen, amino acid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under conditions that are superior to those of general meju and the like.
  •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can be made from any fish or shellfish, but all commercially available fish and shellfish powders are manufactured from raw fish or aquatic product processing by-products that are not suitable for edible use, thereby efficiently using natural resources and waste resources. are doing
  •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that can be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chovy, octopus, squid, sardine, hairtail, herring, mackerel, mackerel, smelt, canary, yellowtail, skate, tuna, horse mackerel, saury, blackfish, baedorachi, gulbi, pollock , yangmi, mussels, clams, shrimp, and may be one or more seafood powder selected from blue crab,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ence is given to powder of herring fish, more preferably anchovy or herring fish.
  •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ay be prepared through raw material selection, boiling, compression, oil-water separation, drying, and grinding proces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oiling process is an important process and is a pre-treatment of the oil-water separation process of sterilizing the product and separating the water-soluble protein and the fat-soluble protein.
  • the mixture is separated again by a compression process, the remaining solids may be subjected to a solid compression process, and the water-soluble portion may be purified through centrifugation.
  • the refining process After the refining process, it may be used that has been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drying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shmeal soybean may contain 0.1 to 4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ybean, steamed bean or fermented soybean.
  • the powder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an exceptionally excellent singularity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rdinary meju, and when it contains more than 40 parts by weight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it is difficult to form fishmeal meju using it. It can easily break apart.
  • the content of amino acids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of ferment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the fermentation seed for 20 to 30 days. have.
  •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may be carried out at 30 ⁇ 35 °C.
  •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ill increase 2 to 5 times compared to the case of ferment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the fermentation seed for 20 to 30 days. can At this time, the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at 30 ⁇ 35 °C.
  • the content of citrulline will be increased by 1.3 to 3.5 times compared to the case of ferment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the fermentation seed for 20 to 30 days. can At this time, the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at 30 ⁇ 35 °C.
  • the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ermented for 20 to 30 days, compared to the case of fermenting fishmeal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the fermentation seed for 20 to 30 days, the content of proline will be increased 3 to 7 times. can At this time, the fermentation may be carried out at 30 ⁇ 35 °C.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composition for health improvement, specifically, a health functional food applicable to the improvement, alleviation, prevention, etc. of problems such as the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and the above-listed diseases, or prevention of one or more of the diseases listed above;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oybean product, particularly a fish meal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used as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method for producing fishbun meju may include adding and mixing a fermentation starter and seafood powder to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shmeal meju comprises the steps of (a) immersing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in water, (b) steaming the immersed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c) the steam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oybeans, steamed beans or fermented soybeans, 0.1 to 5 parts by weight of a fermentation starter and 0.1 to 40 parts by weight of fish and shellfish powder are added and mixed, and (d) forming the mixed soybean. have.
  • steps (a) and (b)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or example, soybean
  •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or example, soybean
  • water 2.5 to 3 times the weight of the beans or fermented soybeans is hydrolyzed, immersed for 3 to 24 hours, and steamed at 110 to 130° C. for 5 to 25 minutes. can be done in this way.
  • the step (c) preferably adds 1-2 parts by weight of a fermentation starter and 5-20 parts by weight of a fish and shellfish powd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eamed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 may be a step of mixing.
  • the fermentation starter in step (c), is 0.1 to 5% (v/w), preferably 0.5 to 2% (v/w) relative to the weight of soybean or fermented soybean.
  • the fermentation seed culture medium 25 ⁇ 35 °C, preferably 28 ⁇ 32 °C 1 to 5 days, more preferably 2 to 4 days may be cultured.
  • the fermentation starter is more preferably inoculated with a fermented seed culture medium of 0.1-5% (v/w) relative to the weight of soybeans or fermented soybeans, and then at 20-40° C. for 2-7 days. It may be cultured.
  • the above-listed bacteria may be used as the fermentation starter inoculated into the fermentation starter.
  • Bacillus velezensis Bacillus velezensis
  • Bacillus velezensis L2 Bacillus velezensis L2 (KCCM 12498P).
  • step (c)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fishbun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used in step (c)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fishbun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shbun meju,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step (d)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be molded.
  • the weight of the molded meju may be preferably 2.5 to 4 kg, preferably 3 to 3.5 kg, per 1 mass of meju,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shbun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rying the molded meju at 35 to 45 °C, preferably 38 to 42 °C for 1 to 48 hours, preferably for 20 to 30 hours after step (d). may further include.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shbun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dryness of the meju by going through the drying step.
  • soybean paste, soy sauce, etc. which are conventionally prepared without us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can be used.
  • soybean paste and soy sauce may be prepared using the fishbun meju.
  •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ocessed soybean as an active ingredient.
  •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supplement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using raw materials having useful functions in the human body. .
  • “improvement” or “alleviation” may mean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a parameter related to the condition to be treated, for example, the degree of symptom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functional effects such as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triglyceride improvement, cholesterol lowering, body fat improvement, obesity improvement, hypertension improvement, and the lik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nutrients, vitamin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etc.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It is not limited.
  • the dosage form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after drying with a carrier, it may be encapsulated or formulated in the form of other tablets, granules, powders, beverages, porridg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0.01% by weight or more of the soybean processed product, preferably 0.1 to 95%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ocessed soybea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treats one or more diseases from hyperlipidemia, dyslipidemia,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thrombosis, heart failure, obesity, fatty liver, gastric cancer can be applied for
  • prevention may mean any action that pharmacologically inhibits or delays the onset of various diseases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 treatment may refer to any action for improving or benefit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suspected of developing various diseas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rombolytic, blood triglyceride suppression, blood cholesterol suppressi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suppression, heart failure treatment and/or anticancer activity.
  • the heart failure is a structural or functional abnormality of the heart due to a decrease in the filling function (relaxation function) or squeezing pump function (contraction function) for the heart to take in blood, thereby causing damage to body tissues. It refers to a group of diseases caused by an inadequate blood supply.
  • the heart failure is hypertension, left ventricular insufficiency an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diabetic cardiomyopathy, supraventricular and ventricular arrhythmias, atrial fibrillation, atrial flutter, deleterious vascular deformation, myocardial infarction and its sequels, atherosclerosis, Renal failure, angina pectoris, diabetes, secondary aldosteronism, primary and secondary pulmonary hypertension, glomerulonephritis, scleroderma, glomerulosclerosis, proteinuria in primary kidney disease, neovascular hypertension, diabetic retinopathy, migraine, peripheral vascular disease, ray It may be due to one or more diseases selected from, but not limited to, Raynaud's disease, luminal hyperplasia, cognitive impairment, glaucoma and encephalopathy.
  • Heart failure includes all symptoms of heart failure, including chronic heart failure or acute heart failur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y suitable form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depending on a given purpose.
  •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suitable for administration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by or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r injection administration (including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etc.), but is limited thereto n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n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at will not adversely affect the desired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 such as a soy protein fermentation product.
  • suitable carriers include water, saline, dextrose, glycerol, ethanol or analogs thereof, oils (eg, olive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oil, germ oil), starch, polyethylene glycol, kaolinite, bentonite, citric acid sodium, gelatin, agar, carboxymethylcellulose, gum arabic, algin and its salts, glyceryl monostearate, calcium stearate, mineral oil, hyaluronic acid, and combinations of one or more thereof.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suitable form for oral administration by any suitable method, such as tablets (eg, sugar-coated tablets), pills, capsules, granules, granules, powders, liquid extracts, solutions. , syrup, suspension, tincture,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y suitable form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by any suitable method, such as a patch (eg, a microneedle patch),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atch eg, a microneedle patch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n injection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device suitable for administration by injection, including an isotonic solution, salt-buffered saline (eg, phosphate buffered saline or citrate buffered saline), a hydrotropic agent, an emulsifier, 5 % sugar solution and one or more components such as other carriers for provid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an intravenous infusion, emulsifying intravenous infusion, powder for injection, suspension for injection or powder suspension for injection.
  • salt-buffered saline eg, phosphate buffered saline or citrate buffered salin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various administration frequencies, for example, once a day, several times a day, or once every several days, etc. according to the needs, age, weight and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 concentration of the protein fermentation produc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ctual application requiremen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ptionally further enhances its effect, or one or more other active ingredients (such as antihypertensive agents, lipid-lowering agents, hypoglycemic agents, etc.) to further enhance the application flexibility and application suitability of the provided formulation.
  • active ingredients such as antihypertensive agents, lipid-lowering agents, hypoglycemic agents, etc.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rrier,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excipients, diluents, adjuvants, stabilizers, absorption delaying agents, disintegrants, hydrotropic agents, emulsifiers, antioxidants, adhesives, binders, tackifiers agents, dispersants, suspending agents, lubricants, moisture absorbent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arrier include excipients, diluents, adjuvants, stabilizers, absorption delaying agents, disintegrants, hydrotropic agents, emulsifiers, antioxidants, adhesives, binders, tackifiers agents, dispersants, suspending agents, lubricants, moisture absorbent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1 mg/kg to 1000 mg/kg per day based on an adult weighing 60 kg, preferably 10-100 mg/kg, but limited thereto not necessarily, and the optimal dosage to be administered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and oth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ormulation, and the age, weight, general health status, sex and diet of the patient, administration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ime, administration route and se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and concurrently used drugs.
  • proteolytic enzyme activity was first evaluated on 26 strains selected amo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such as doenjang, cheonggukjang, and fish sauce.
  • the activity (unit/ml) of the proteas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 the azocasein method was partially modified and used.
  • the isolated microorganism was inoculated in trypticase soy broth (TSB) medium and cultured at 37° C. for 24 hours, and then the culture medium was centrifuged (12,000 rpm, 5 minutes). The obtained supernatant was used as a crude enzyme solution for measuring enzyme activity.
  • TTB trypticase soy broth
  • 1 unit of enzymatic activity was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amount to increase the absorbance at 432 nm by 0.01 by an azo group released by the enzymatic reaction at 30° C. for 1 hour.
  • the protease activity of the candidate strains was analyzed at a level of 39 to 1,855 unit/mL, the GG2 strain show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at 1,855 unit/mL, and the GG1 strain was 39 units /mL showed the lowest enzyme activity.
  • strains selected for their excellent activity in the primary protease activity evaluation were applied to soybeans to evaluate fermentation.
  • Eight candidate strains were inoculated in TSB medium and cultured at 37° C. for 24 hours.
  • 20 g of steamed soybeans were inoculated with 1% (0.2 mL) of a culture medium and fermented at 30° C. for 3 days and then used for analysis.
  • Fermented soybeans using YSD and GG2 strains produced weak fermented soybean flavor and weak ammonia odor. Fermented soybeans using TSD and L2 strains did not produce ammonia odor and produced fermented soybean flavor.
  • Table 4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rotease activity of fermented soybeans to which the primary candidate strain was applied.
  • the protease activity evaluation was prepared by taking 1 g of fermented soybeans, adding 1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sonicating for 30 minutes.
  • the enzyme activity evaluation of the crude enzyme solution prepared above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strains (TSD, YSD, GG2, L2) with excellent soybean fermentation evaluation results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candidate strains were applied to soybeans with added fish and shellfish powder and fermented.
  • strains selected secondarily through evaluation of flavor and protease activity were applied to soybeans to which fish and shellfish powder was added, and fermentation was evaluated.
  • a strain suitable as a starter for the fermentation of fishmeal meal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was finally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the flavor description of soybeans with added fish and shellfish powder fermented by inoculating the second selected strain, evaluation of proteolytic enzyme activity, and confirmation of the number of viable cells.
  • TSD strains selected through primary soybean fermentation were inoculated in TSB medium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inoculated with 1% (0.2 mL) of soybeans with 10% of fish and shellfish powder added. and incubated at 30°C for 3 days, and then used for analysis.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fermentation of soybean powder added with fish and shellfish of the secondary selection strain.
  •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of fermented soybeans added with fish and shellfish powder to which the secondary-selected candidate strain was applied. At this time, the descriptive analysis was indicated by observing whether coloni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eans and the flavor.
  • the sample to which the TSD strain was applied did not have an ammonia odor, but a unique cum-cum smell of meju was produced, and the sample to which the L2 strain was applied produced a fermented flavor with good flavor.
  • Table 6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roteolytic enzyme activity of fermented soybeans added with secondary fish and shellfish powder.
  • the enzyme activity evaluation of the prepared crude enzyme solution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the sample using the L2 strain among the candidate strains showed the best number of viable cells and protease activity.
  • the L2 strain was applied, there was no putrefactive odor, and the flavor of fermented fish meat and meju was generated, so that the L2 strain was finally selected as a fermentation starter for the production of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 the L2 strain In order to develop a seed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the L2 strain with excellent fermentation flavor characteristics, proteolytic enzyme activity and growth rate among 26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finally selected.
  • L2 strain is a strain isolated from anchovy fish sauce and was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through 16S-rRNA sequencing in a previous study.
  • B. velezensis has been reported to be isolated from soy sauce in food, and is known to have excellent protease and amylase activities.
  • the growth rate and protease activity according to the culture temperature, time, salt concentration and pH were evaluated.
  •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train was evaluated to suppress harmful microorganisms derived from raw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and to check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take an advantage in the fermentation process.
  • Bacillus cereus KCCM 11204 Streptococcus faecalis ATCC 19433, Listeria monocytogenes KCTC 40307,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and gram-negative bacteria were used.
  • Escherichia coli KCTC 12119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ATCC 19430 and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were used.
  • the indicator bacteria were cultured in Streptococcus faecalis , Listeria monocytogenes in brain heart infusion (BHI) broth, and the rest of the strains were cultured in LB broth at 37° C. for 16 hours.
  • the L2 strain culture solution for the measurement of antibacterial activity was prepared by inoculating the L2 strain in TSB medium and culturing at 30° C. for 24 hours.
  • the culture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0.45 ⁇ m filter, and 10 mL of the filtrate was freeze-dried.
  • the dried sample was dissolved in 1 mL sterile water to prepare antibacterial substances, and then diluted twice and us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ion.
  • the indicator For antibacterial activity, 100 ⁇ L of the indicator was diluted to 1 ⁇ 10 6 cfu/mL and spread on LB or BHI solid medium, and 10 ⁇ L of the double-diluted sample solution was loaded on the plate and dried. After culturing the medium at 37° C. for 24 hours, the growth inhibition of the indicator bacteria was observed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titer was calculated.
  • the antibacterial activity titer was expressed as AU (activity unit) / mL by multiplying the inverse of the maximum dilution factor to form an inhibitory ring by sequentially diluting the antibacterial substance by two times, and multiplying this value by a conversion factor that converts to 1 mL.
  • Table 7 show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 velezensis L2 strain.
  •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ll indicator bacteria.
  •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 cereus was the best, and the activity unit (AU) was 6,400 AU/mL.
  • the AU of other indicator bacteria was evaluated in the range of 200-800 AU/mL, and as a result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evaluation, the B. velezensis L2 strain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l the evaluated bacteria,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range was quite wide.
  •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were determined to be cultured at 30° C. for 24 hours in a medium supplemented with 5% NaCl.
  • the B. velezensis L2 strain showed relatively stable results to changes in temperature, salt, and pH, so it was judged to be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starter with industrial durability.
  • the B. velezensis L2 strain which has a wide range of antimicrobial activity, is used as a fermentation starter, it will be advantageous to take an advantage in the fermentation process from microorganisms derived from raw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and maintain fermentation quality by suppressing putrefactive bacteria problematic in the fermentation process was judged to be possible.
  • soybean soybean
  • a fermentation starter 20 parts by weight of fish and shellfish powder were added and mixed to prepare fishbun meju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above.
  • soybean soybean (soybean)
  • 4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ation starter and 30 parts by weight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were added and mixed to prepare fishbun meju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above.
  • a fish meal meju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Aspergillus oryzae was used as the fermentation seed.
  • Example 3 While the fishmeal meju prepared in Example 3 and the fishmeal meju prepared in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fermented at 30-35° C. for 30 days, water content, total nitrogen (TN), amino acid nitrogen (AN), The results of quality analysis such as pH, acidity, pathogenic bacteria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 coli group), toxin, histamine, enzymatic activity, number of seed bacteria, and color are shown in Table 8 below.
  • TN total nitrogen
  • AN amino acid nitrogen
  • Table 8 The results of quality analysis such as pH, acidity, pathogenic bacteria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 coli group), toxin, histamine, enzymatic activity, number of seed bacteria, and color are shown in Table 8 below.
  •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of Example 3 increased about 1.1 times in total nitrogen content compared to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of Comparative Example using Heukgukgyun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tarte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amino acid nitrogen increases about 1.1 to 1.4 times.
  • the fish meal meju of Example 3 was fermented at 30 to 35 ° C. for 20 to 30 days compared to the seafood powder meju of Comparative Example using Heukgukgyun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eed, Except for some amino acids,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of most amino acids is increased.
  • Heukgukgyun Aspergillus oryzae
  • the fishmeal meju of Example 3 has 2 to 5 times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1.3 to 3.5 times the content of citrulline, and 3 times the content of proline compared to the fishmeal meju of Comparative Example using Heukgukbacterium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eed.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is ⁇ 7 times.
  •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 7-point scale method (7 points: very good, 5: boton, 1: very bad) for 10 trained panelists, color, aroma, savory taste, salty taste, umami, sweet and The overall preference was evaluated, and the evaluation score was obtained by averaging the scores of 10 panelists.
  • the fishmeal meju of Example 3 has improved sensory, particularly savory taste, compared to the fishbun meju of Comparative Example using Heukgukgyun ( Aspergillus oryzae ) as a fermented seed. It can be seen that the sensory quality is excellent in items such as , umami, and overall preference.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inase peptidyldipeptide hydrolase, EC 34151) cleaves the C-terminal dipeptide (His-Leu) of angiotensin, an inactive decapeptide, resulting in strong blood pressure through the action of smooth muscle contraction of the vessel wall. It is known that it plays a role in raising blood pressure by generating angiotensin, an octapeptide that exhibits a synergistic action, and inactivating bradykinin, a nonapeptide having a strong vasodilator action.
  • ACE is an enzyme involved in the last step of synthesizing angiotensin, an octapeptide that has a vasoconstrictive action by hydrolyzing the dipeptide at the C-terminus from the decapeptide angiotensin produced by renin.
  • the generated angiotensin promotes the secretion of aldosterone from the adrenal cortex, suppresses the excretion of water and sodium, and inhibits bradykinin, a nonapeptide having a vasodilatory action, and consequently increases blood pressure.
  • the ACE inhibitory action prevents vasoconstriction and prevents water retention in the body, thereby lowering blood pressure and improving blood circulation.
  • the ACE inhibitory activ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 Equation 1 A is the absorbance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added portion, B is the absorbance of the fishbun meju-free portion, and A and B are values excluding the absorbance of the control.
  • IC 50 ( ⁇ g/mL) Developed product 1 289.06 ⁇ 1.90 Developed product 2 556.21 ⁇ 3.38 Developed product 3 713.58 ⁇ 2.26 control 1003.35 ⁇ 3.04 IC 50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ACE inhibition value by the sample
  • vasoconstriction uses phenylephrine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raction induced by the cumulative dose, and vasoconstriction uses phenylephrine to induce the same degree of constriction in the vessels of each treatment group with phenylephrine. Afterwards, it was induced by additionally adding acetylcholine, and the relaxation result was calculated as the relaxation rate for the contraction of phenylephrine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control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fish meal powder containing fish m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dded.
  • a normal control group In order to measure blood triglycerides, a normal control group, a negative control group (hyperlipidemia induction group), Experimental Example 1 (hyperlipidemia induction + liver), Experimental Example 2 (hyperlipidemia induction + fish sauce) and experiments that provided basic feed as autonomous feeding ICR mouse blood according to Example 3 (hyperlipidemia induction +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was centrifuged at 1,500 X g (Sorvall TM Legend 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to separate plasma gave out
  • Plasma separated from the blood cells was transferred to a sterile tube and used to measure blood triglycerides.
  • the blood triglyceride was measured using a Triglyceride colorImetric assay kit (Cayman, Ann Arbor, MI, USA), and each absorbance was measured with a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7 below.
  • the hyperlipidemia induction was carried out b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od and drinking water with a 5-week-old ICR mouse (25 ⁇ 2g) / 45% fat content, and each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constant temperature (25 ⁇ 2°C), constant humidity (50 ⁇ 5%) and negative / positive 12 hours conditions were maintained.
  • Example 3 hyperlipidemia induction +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was centrifuged at 1,500 X g (Sorvall TM Legend 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to separate plasma. .
  • Plasma separated from the blood cells was transferred to a sterile tube and used to measure blood cholesterol.
  • the blood cholesterol was measured using an EnzyChrom HDL and LDL/VLDL assay kit (Bioassay system, Hayward, CA, USA), and each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a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The measured results are shown in Table 18 below.
  • the hyperlipidemia induction was carried out by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od and drinking water with a 5-week-old ICR mouse (25 ⁇ 2g) / 45% fat content, and each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constant temperature (25 ⁇ 2°C), constant humidity (50 ⁇ 5%) and negative / positive 12 hours conditions were maintained.
  • the cancer cell lin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HT-1080 human sarcoma cells, and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It was purchased from the Korean cell line bank (Seoul Medical University) and cultur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 AGS, HT-1080, and MCF-7 human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RPMI 1640 containing 100 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 and 10% FBS in an incubator (Forma Scientific, Japan) at 37 °C, 5% CO 2 cultured.
  • Each cultured cancer cell was re-feeding 2-3 times a week, washed with PBS after 6-7 days, and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and centrifuge the adhered cells with 0.05% trypsin-0.02% EDTA, and then to the accumulated cancer cells.
  • the medium was added and mixed well so that the cancer cells were evenly dispersed with a pipette, divided and injected into a 75 ml cell culture flask by a certain number of 10 ml, and subcultures were continued every 6-7 days for use in the experiment.
  • the MTT assay is an experimental method using the principle that MTT, a yellow water-soluble substance, is reduced by the enzymatic action of dehydrogenase in the mitochondria of living cancer cells to produce dark blue formazan crystals. By measur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cancer cell death or proliferation is inhibited by an anticancer agent (Hansen et al. 1989).
  • the cultured cancer cells were dispensed into a 96-well plate so that 2 ⁇ 10 4 cells/ml per well were incubated for 24 hours at 37° C., 5% CO 2 incubator, the medium used for the pre-culture was removed, and 180 ⁇ l of the medium was mixed with a certain concentration. 20 ⁇ l of the sample (10% aq. DMSO) was added and cultured at 37° C., 5% CO 2 in an incubator for 48 hours.
  • the inhibitory activity on gastric cancer cells is shown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or mor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is the best. You can tell it's active.
  • Ketamine (95 mg/kg) and xylazine (5 mg/kg)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B6C3F1 mice aged 8 to 10 weeks, anesthetized, and surgery was performed. Ischemia was induced by placing a 1 mm diameter PE10 tubing (polyethylene 10 tubing) on the upper end of the blood vessel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nd bundling it. After 30 minutes, the bundle was released and the PE10 tubing was removed to induce reperfusion. After 4 weeks, myocardial function measurement and tissue analysis were performed.
  • PE10 tubing polyethylene 10 tubing
  • Example 3 Compared with the infarct area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ize of the infarct area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obtained in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 FS fractional shortening
  • ESPVR end-sy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ship
  • EDPVR end-dia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ship
  • fishmeal meal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improves blood circulation, improves blood triglycerides, improves blood cholesterol, inhib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ti-cancer effect and / Or it is confirmed to have a heart failure therapeutic effect.
  • the fishmeal powder-containing fishmeal meju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above-described effects without side effects such as hepatotoxicity,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carcinogenicity by using natural fish and shellfish resources and soybeans used as daily food.
  • the functional composition for health improvement including the soybean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various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o exert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reby increasing national health and reducing social and economic expenses resulting therefrom.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 the fishmeal meal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ermented for 20-30 days, the fishmeal meal contain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ase of fermenting fish and shellfish powder meju using Aspergillus oryzae as a fermentation seed for 20-30 days, amino acids, especially glutamic acid, citrulline, and / or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proline, not only the sensory is excellent, but also becaus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feel the unique flavor of conventional meju without the generation of ammona arch, health functional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etc. can be usefully applied.
  • amino acids especially glutamic acid, citrulline, and / or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pro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 콩이나 어패류 분말 함유 메주 등의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혈행개선,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로서, 이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적용이 가능한 건강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도} 도2

Description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본 발명은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효 콩이나 어패류 분말 함유 메주 등의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혈행개선, 심혈관 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콩은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 널리 식품에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음식으로 조리되어 여러 종류의 요리에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콩을 이용한 가공물로 제조되는 메주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 식품인 간장과 된장의 주원료이다. 메주를 이용한 장류는 쌀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중국이나 한국에서 일부 해산물이 귀한 내륙지방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메주의 제조방법은, 늦은 가을에서 겨울 사이에 콩를 삶은 다음 절구로 찧고, 메주 덩어리를 만들어서 그 메주 덩어리를 볏짚으로 묶은 후 겨우내 벽에 매달아 말리는 방법으로서(특허문헌 1), 이러한 과정에서 볏짚의 고초균과 공기 중의 곰팡이들이 자연적으로 접종되고, 숙성이 완료되면 표면의 곰팡이를 물로 씻은 후 말려서 장을 담그는데 사용한다.
최근에 공장에서 대량으로 메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순수한 단일균으로서 곰팡이의 일종인 황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하는 개량식 메주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는데(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상기 방법은 콩을 삶은 후 황국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하여 30℃ 정도의 온도에서 3일간 배양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우량한 균주의 선택이 없이 자연 접종에 의한 숙성이므로, 강력한 단백질 분해력이 없이 메주의 수율이 떨어지며, 유해한 잡균의 오염이 빈번하여 메주의 풍미가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등과 같은 개량식 방법에서는 곰팡이의 일종인 황국균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백질 분해력은 우수하나, 재래식 메주의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메주는 콩 가공물로 널리 사용되면서도 아직 연구가 부족하여 대부분 장류 제조에 사용되고 일반 음식에 일부 적용되고 있을 뿐이고, 콩 가공물로서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4209호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2576호
(특허문헌 00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2217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한 결과, 메주와 같은 콩 가공물은 특유의 구수한 향미와 정미 성분으로 인해 관능적으로 우수하며, 특히 가공과정에서 특정 공정을 적용하게 되면 높은 함량의 총질소, 아미노산성 질소와 유리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가공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 분해력이 우수하여 관능이 개선되고, 암모나아취의 생성 없이 제조되는 콩 가공물의 새로운 용도로서, 콩이 가지는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면서도 혈행개선이나 심혈관 질환 등의 성인병에 효과가 있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중성지방개선, 콜레스테롤 저하, 체지방 개선, 비만 개선, 고혈압 개선 중에서 하나이상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혈전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심부전, 지방간, 비만, 위암 중에서 하나 이상의 질환에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중성지방개선, 콜레스테롤 저하, 체지방 개선, 비만 개선, 고혈압 개선 중에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혈전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심부전, 지방간, 비만, 위암 중에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콩 가공물은 콩 발효산물이 바람직하고, 좋기로는 메주, 간장, 된장 중에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좋기로는 메주, 특히 어패류 함유 메주가 좋으며, 가장 좋기로는 어분메주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콩 가공물에 적용되는 콩은 대두, 강낭콩, 녹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대두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콩 가공물은 자연발효물 또는 발효 종균을 이용한 발효산물일 수 있다. 그 예로 콩 또는 발효콩,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발효 스타터 및 어패류 분말을 포함하는 어패류 분말 메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콩 가공물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발효처리하는 경우, 총질소, 아미노산성 질소 및 아미노산, 특히 글루타민산, 시트룰린 및/또는 프롤린의 함량이 증가됨으로써, 관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모나아취의 생성 없이 콩의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콩 가공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되는 바이오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콩 가공물 중에서 어패류 분말 함유 메주는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이나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매우 우수한 건강개선용 기능성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1차 선별 균주의 콩 발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2차 선별 균주의 어패류 분말 첨가 콩 발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2차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콩의 생균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1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2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3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을 사용한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와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1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대비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을 사용한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와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2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대비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을 사용한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와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30일간 발효시킨 경우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대비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혈행 개선과 관련된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AGS(위암) 세포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이라 함은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증세나 건강이 나빠질 수 있는 증세를 개선, 완화, 예방, 치료 등의 목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이나 의약품 또는 인체에 투여 가능한 조성물로서, 식품, 의약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콩 가공물’이라 함은 가장 넓게는 콩을 볶거나, 증자하는 등의 과정으로 익히거나, 또는 익히지 않은 콩을 분말화한 경우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특히 콩을 발효시킨 콩 발효산물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콩 발효산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발효콩, 메주, 된장, 간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어패류 분말이 함유된 메주(어분메주)나 이러한 어분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어분메주 유래의 된장 또는 간장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패류 분말이 함유된 메주는 “어분메주”라 약칭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어분메주’라 함은 어패류 분말이 함유되고 제조된 콩을 주원료로 하는 콩 가공물로서의 메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콩 가공물은 발효 콩, 어분메주, 메주, 어분메주나 메주로부터 유래된 된장 및 간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분메주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는, 콩, 증자 콩 또는 발효콩과,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발효 스타터 및 어패류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는 콩, 증자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 스타터 0.1~5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0.1~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콩(beans)으로는 예컨대 강낭콩, 녹두, 대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두(soybea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콩 중에서 특히 대두(soybean)는 ‘밭의 고기’라고 불릴 정도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우리가 매일 접하는 간장, 된장의 원료로 이용되며, 두부, 콩나물과 같은 필수 식품의 원천으로서, 육류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양질의 단백질이 많고, 이소플라본 성분이 칼슘 흡수를 도와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주며 사포닌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비교적 원료 확보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발효콩은 예컨대, 상기 콩을 1∼10시간, 바람직하게는 2~5시간 동안 물에 담근 뒤 삶아주고, 35∼50℃, 바람직하게는 40∼45℃에서 1~5일간, 바람직하게는 1~3일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서, 상기 발효 스타터는 상기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 대비 0.1~5%(v/w), 바람직하게는 0.5~2%(v/w)의 발효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25~35℃, 바람직하게는 28~32℃에서 1~5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4일간 배양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서, 상기 발효 스타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 대비 0.1-5%(v/w)의 발효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20-40℃에서 2-7일간 배양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패류 분말 메주에서, 상기 콩, 증자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 스타터를 0.1 중량부 미만 포함하는 경우에는 메주의 콩 또는 발효콩 표면에 상기 발효 균주가 제대로 생육할 수 없고, 상기 발효 스타터를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메주의 콩 또는 발효콩 표면에 상기 발효 균주가 너무 많이 생육하게 되어, 메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분메주는 하나의 예로서, 바람직하게는 20~30일간 발효시킬 경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총질소, 아미노산성 질소 및 아미노산, 특히 글루타민산, 시트룰린 및/또는 프롤린의 함량이 증가됨으로써, 관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모나아취의 생성 없이 재래식 메주의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서, 상기 발효 종균은 예컨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및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서,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로는 메주의 콩 또는 발효콩 표면에 균주가 생육되고, 암모니아취를 생성하지 않으면서 구수한 향미를 생성시킨다는 점에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L2 (KCCM 12498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에 포함되는 상기 어패류 분말(fish meal)은 예컨대, 어류 또는 패각을 제거한 패류를 전체 또는 일부를 증기로 찌고 압착하여 액즙을 제거하고 고형 부분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패류 분말은 가소화율이 높고 에너지가가 높으며, 단백질, 지방, 광물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 함량 및 구성성분이 뛰어난 원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콩 가공물인 어분메주는 일반 메주 등에 비해 높은 함량의 총질소, 아미노산성 질소와 유리 아미노산을 월등하게 유리한 조건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어패류 분말은 모든 어류 또는 패류로 만들 수 있지만, 시판되는 모든 어패류 분말은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잡어 또는 수산물 가공부산물로 제조되어 부존자원 및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한 상기 어패류 분말로서는 예컨대 멸치, 문어, 오징어, 정어리, 갈치, 청어, 전어, 고등어, 빙어, 까나리, 방어, 홍어, 참치, 전갱이, 꽁치, 곤쟁이, 배도라치, 굴비, 명태, 양미리, 홍합, 바지락, 새우 및 꽃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어패류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청어목 어류, 더 좋기로는 멸치과 또는 청어과 어류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어패류 분말은 원료선별, 삶기, 압착, 유수분리, 건조, 분쇄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삶는 공정은 중요한 과정으로 제품을 소독하고 수용성 단백질과 지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 과정의 전처리가 된다. 상기 삶기 공정이 끝나면, 압착 공정으로 또 한 번 분리되고, 남은 고형물들은 고형압착 과정을 거치고, 수용성 부분은 원심분리를 통한 정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정제 과정이 끝나면 건조 과정을 거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어분메주는 상기 콩, 증자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어패류 분말 0.1~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어패류 분말을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일반 메주와의 특성과 비교시 월등하게 우수한 특이점을 기대할 수 없고, 상기 어패류 분말을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한 어분메주의 성형이 어려워지고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되는 상기 어분메주는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상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발효온도는 30~3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상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2~5배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발효는 30~3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상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시트룰린의 함량이 1.3~3.5배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발효는 30~3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상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분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프롤린의 함량이 3~7배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발효는 30~35℃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상기 혈행개선 등 문제와 상기 열거된 질환 등의 개선, 완화, 예방 등에 적용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상기 열거된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한 약제 조성물로 사용되는 콩 가공물, 특히 어패류 분말이 함유된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은 콩 또는 발효콩에 발효 스타터 및 어패류 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전형적인 예로서,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은 (a) 콩 또는 발효콩을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b) 상기 침지시킨 콩 또는 발효콩을 증자하는 단계, (c) 상기 증자된 콩, 증자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스타터 0.1~5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0.1~4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된 메주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콩 가공물 제조의 일예로서 예시된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 및 (b)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컨대, 콩 또는 발효콩을 물에 2~3회 세척한 후, 상기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 대비 2.5~3배 중량의 물을 가수하여 3~24시간 동안 침지하고, 110~130℃에서 5~25분간 증자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자된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스타터 1~2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5~20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효 스타터는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 대비0.1~5%(v/w), 바람직하게는 0.5~2%(v/w)의 발효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25~35℃, 바람직하게는 28~32℃에서 1~5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4일간 배양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 스타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 대비 0.1-5%(v/w)의 발효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20-40℃에서 2-7일간 배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효 스타터에 접종되는 발효 종균은 상기 열거한 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로는 메주의 콩 또는 발효콩 표면에 균주가 생육되고, 암모니아취를 생성하지 않으면서 구수한 향미를 생성시킨다는 점에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L2 (KCCM 12498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의 (c) 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어패류 분말에 대해서는 상기 어분메주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d)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혼합된 메주를 직육면체, 원기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성형된 메주의 무게는 바람직하게는 메주 1 덩어리당 2.5~4kg, 바람직하게는 3~3.5k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은 상기 (d) 단계 후에, 성형된 메주를 35~45℃, 바람직하게는 38~42℃에서 1~48시간, 바람직하게는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어분메주의 제조방법은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침으로써, 메주의 겉마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로 적용 가능한 콩 가공물로서, 어패류 분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메주, 된장, 간장 등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된장, 간장은 상기 어분메주를 이용한 것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구현예는 상기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갖는 원료를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가공된 보조 식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개선" 또는 “완화”라 함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혈행개선, 중성지방개선, 콜레스테롤 저하, 체지방 개선, 비만 개선, 고혈압 개선 등에 기능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영양제, 비타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보존제 등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며, 담체와 함께 건조한 후 캡슐화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콩 가공물을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4 구현예는 상기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심부전, 비만, 지방간, 위암 중에서 하나 이상의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예방"이라 함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각종 질환의 발병을 약리적으로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치료"라 함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각종 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당해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전용해, 혈중 중성지방 억제,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심부전 치료 및/또는 항암 활성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심부전(heart failure)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심부전은 고혈압, 좌심실 부전 및 비대성 심근증, 당뇨병성 심근증, 상심실성 및 심실성 부정맥, 심방 세동, 심방 조동, 유해한 혈관 변형, 심근 경색 및 그의 속발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신부전증, 협심증, 당뇨병, 2차 알도스테론증, 1차 및 2차 폐고혈압, 사구체신염, 공피증, 사구체 경화증, 1차 신장 질병의 단백뇨증, 신혈관성 고혈압, 당뇨병성 망막증, 편두통, 말초 혈관 질병, 레이노병(Raynaud's disease), 구경 과형성(luminal hyperplasia), 인지 장애, 녹내장 및 뇌줄종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병에 기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심부전은 만성심부전이나 급성 심부전 등 모든 심부전 증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소정의 목적에 따라,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주사 투여(정맥 내 주사, 근육 내 주사, 피하 주사 등을 포함)에 의해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 예컨대 콩 단백질 발효산물의 목적하는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물, 염수,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그의 유사체, 오일(예: 올리브유, 피마자유,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전분,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시트르산나트륨, 젤라틴, 한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알긴 및 그 염,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칼슘, 광유, 히알루론산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경구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정제(예를 들어, 당-코팅 정제), 환제, 캡슐, 과립, 그래뉼, 가루약, 유동 엑스제, 용액, 시럽, 현탁액, 팅크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경피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패치(예: 미세바늘 패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주사 투여에 적합한 주사 또는 정맥내 투여기의 형태로서, 등장성 용액, 염-완충 염수(예: 인산염 완충 염수 또는 시트르산염 완충 염수), 하이드로트로픽제, 유화제, 5% 당 용액 및 정맥내 주입, 유화 정맥내 주입, 주사용 분말, 주사용 현탁액 또는 주사용 분말 현탁액으로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담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대상의 요구, 연령, 체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한 투여 빈도, 예를 들어 1일 1회, 1일 수회 또는 수일에 한번씩 등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 중 단백질 발효산물의 농도는 실제 적용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그 효과를 추가로 증진시키거나, 또는 제공된 제제의 적용 유연성 및 적용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예컨대 항고혈압제, 지질강하제, 혈당저하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담체의 예로는 부형제, 희석제, 보조제, 안정제, 흡수 지연제, 붕해제, 하이드로트로픽제, 유화제, 항산화제, 접착제, 결합제, 점착부여제, 분산제, 현탁제, 윤활제, 흡습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체중 60kg 성인 기준으로 1일 1mg/kg ~ 1000mg/kg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00mg/k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스타터 균주의 선정
1. 후보 균주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
어패류 분말을 이용한 어분메주 발효를 위한 유용 스타터를 선정하기 위하여, 된장, 청국장, 액젓 등 전통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 선별된 26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1차로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단백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후보 균주들에 대하여 콩(대두) 및 어패류 분말 첨가 콩(대두)에 대한 발효 적용 시험을 통해 어분메주 제조시 발효 스타터로서의 유용성 여부를 평가하고, 발효 특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최종 스타터로 선정하기 위하여, 메주의 주요 원료인 콩 단백질의 분해 능력이 우수한 종균을 선별하기 위한 단백분해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후보 균주 26종에 대한 정보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후보 균주를 대상으로 단백분해효소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1
이 때, 상기 단백분해효소의 활성(unit/㎖)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아조카제인(azocasein)법을 일부 변형하여 사용하였는데, 분리된 미생물을 trypticase soy broth(TSB)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12,000 rpm, 5분)하여 얻은 상등액을 효소활성 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인산나트륨 버퍼(100 mM, pH 7.0)에 카제인의 농도가 0.5%(w/v)가 되도록 용해한 것을 기질 용액으로 사용하였는데, 150 μL의 기질용액에 50 μL의 조효소액을 혼합하여 3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00 μL의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원심분리(12,000 rpm, 10분)한 후 상등액 500 μL를 취하고, 525 mM NaOH 700 μL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혼합액 1 mL를 4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때, 효소 활성도 1 unit은 30℃에서 1시간 동안 효소반응에 의하여 유리되는 아조(azo)기에 의해 432 nm에서의 흡광도를 0.01 증가시키는 양으로 정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보 균주들의 단백분해효소 활성은 39~1,855 unit/mL의 수준으로 분석되었는데, GG2 균주가 1,855 unit/mL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G1 균주는 39 unit/mL로 가장 낮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후보 균주들 중 단백분해효소 활성이 1,000 unit/mL 이상으로 우수한 균주 8종(TSD, HJD, SKD, KMD, YSD, J4, GG2, L2)을 1차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후보 균주들을 대상으로 콩에 적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2. 1차 콩 발효 평가
1차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에서 활성이 우수하여 선정된 균주 8종(TSD, HJD, SKD, KMD, YSD, J4, GG2, L2)을 콩에 적용하여 발효 평가를 진행하였다.
1차로 선정된 균주를 적용하여 발효시킨 콩(대두)의 향 묘사 분석과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를 통해 어분메주 발효를 위한 종균으로 적합한 균주를 2차로 선별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1). 콩 발효
후보 균주 8종을 TSB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증자콩 20 g에 균 배양액 1%(0.2 mL)를 접종하여 30℃에서 3일간 발효시킨 후 분석에 이용하였는데, 도 2는 1차 선별 균주의 콩 발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향 묘사 분석
1차 선별 균주를 활용한 발효콩의 묘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묘사 분석은 균주의 집락 형성 여부와 발효 향을 관찰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8종의 후보 균주를 적용하여 증자 콩을 발효한 결과, J4 균주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이 콩 표면에 하얀 집락을 형성한 것이 관찰되었다.
균주를 적용하여 발효한 콩의 향 묘사 분석 결과 콩 표면에 균주의 생육이 관찰되지 않았던 J4의 경우 강한 암모니아취가 생성되었고, HJD, SKD 및 KMD 균주를 활용한 발효콩 역시 암모니아취가 생성되었다.
YSD와 GG2 균주를 활용한 발효콩는 약한 발효 메주향과 약한 암모니아취가 생성되었으며, TSD와 L2 균주를 활용한 발효콩는 암모니아취가 생성되지 않고, 발효 메주 향이 생성되었다.
발효 콩에 대한 묘사 분석 결과, TSD, YSD, GG2, L2 균주를 활용하여 콩의 발효를 진행할 경우 균주의 생육이 좋고, 부패취가 적으며, 구수한 발효 메주 향이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단백분해효소 활성
1차 후보 균주를 적용한 발효 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는 발효콩 1g을 취하고, 증류수 1mL을 가한 후 30분간 소니케이션하여 준비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다시 12,000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효소 활성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조효소액의 효소활성 평가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4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후보 균주를 적용한 발효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 결과, YSD 균주를 적용한 발효 콩이 8,345 unit/g으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콩 표면에 균주가 제대로 생육되지 않았던 J4 균주를 적용한 발효콩는 2,585 unit/g으로 가장 낮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J4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를 활용한 발효 콩의 효소 활성은 6,875 ~ 8,345 unit/g으로 대부분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1차 선별 후보 균주를 활용한 발효 콩의 묘사 분석과 단백분해효소 활성을 평가한 결과, 후보 균주들 중 TSD, YSD, GG2, L2 균주를 활용하여 콩의 발효를 진행할 경우 단백분해효소 활성과 향 묘사 분석 결과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콩 발효 평가 결과가 우수한 균주 4종(TSD, YSD, GG2, L2)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후보 균주들을 대상으로 어패류 분말 첨가 콩에 적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3. 2차 어패류 분말 첨가 콩 발효 평가
1차 콩 발효에서 향과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를 통해 2차로 선정된 균주 4종(TSD, YSD, GG2, L2)을 어패류 분말이 첨가된 콩에 적용하여 발효 평가를 진행하였다.
2차로 선정된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어패류 분말첨가 콩의 향 묘사 분석,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 및 생균수 확인을 통해 어패류 분말을 함유한 어분메주 발효를 위한 스타터로 적합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1) 어패류 분말첨가 콩 발효
1차 콩 발효를 통해 선정된 균주 4종(TSD, YSD, GG2, L2)을 TSB 배지에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어패류 분말 10%가 첨가된 콩 20g에 1%(0.2 mL)을 접종하고, 30℃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도 3은 2차 선별 균주의 어패류 분말 첨가 콩 발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향 묘사 분석
2차 선별된 후보 균주를 적용한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 콩의 묘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묘사 분석은 콩 표면의 집락 형성 여부와 향을 관찰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5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후보 균주 4종을 활용하여 어패류 분말 첨가 콩를 발효한 결과, 모든 균주들이 콩 표면에 흰색의 집락을 형성한 것이 관찰되었다.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 콩의 향 묘사 분석 결과, YSD 및 GG2 균주를 활용한 시료는 약한 어육 및 메주 발효향과 약한 암모니아취가 생성되어 어패류 분말 메주 제조에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SD 균주를 적용한 시료는 암모니아취는 없었으나, 메주 특유의 쿰쿰한 향이 생성되었으며, L2 균주를 적용한 시료에서는 풍미가 좋은 발효 향이 생성되었다.
(3) 단백분해효소 활성
2차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 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이때, 상기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 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는 시료 1g을 취한 후 증류수 4mL을 가하여 30분간 소니케이션 처리하여 준비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3,000rpm에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다시 12,000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효소활성 측정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한 조효소액의 효소활성 평가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6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선별 균주를 활용한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 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평가 결과, 4,370 ~ 5,990 unit/g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L2 균주를 적용한 시료가 5,990 unit/g으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4) 생균수
후보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어패류 분말 첨가 콩에서의 생균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료 1g을 취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10배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희석액을 Luria-Bertani broth(LB) 고체 배지에 100μL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집락수를 측정하여 Log cfu/g을 계산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된 어패류 분말 첨가 콩의 생균수를 분석한 결과, 단백분해효소 활성과 유사하게 L2 균주를 적용했을 때 가장 높은 생균수(9.8 log cfu/g)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2차 선별 후보 균주 4종을 활용한 어패류 분말 첨가 발효콩의 단백분해효소 활성 및 생균수를 평가한 결과, 후보 균주들 중 L2 균주를 활용한 시료에서 생균수와 단백분해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묘사 분석 결과에서도 L2 균주를 적용할 경우 부패취가 없고, 어육 및 메주 발효 풍미가 생성되어 L2 균주를 어패류 분말 메주 제조를 위한 발효스타터로 최종 선정하였다.
4. 발효스타터 균주의 특성 분석
어패류 분말메주 발효를 위한 종균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통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26종의 미생물 중 발효 향미 특성, 단백분해효소 활성 및 생육도가 우수한 L2 균주를 최종 선정하였다.
L2 균주는 멸치 액젓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로 이전의 연구에서 16S-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B. velezensis 균은 식품에서는 간장에서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으며, 프로테아제 및 아밀라아제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스타터로 선정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L2의 산업적 활용을 위한 균주 특성을 평가하여 어분메주 제조 공정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B. velezensis L2 균주의 최적 생육 조건 및 향후 산업적 활용에 따른 균주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배양 온도, 시간, 염 농도 및 pH에 따른 생육도와 단백분해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발효스타터로 사용시 원재료 및 환경으로부터 유래되는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고, 발효 과정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균주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5. 발효스타터 균주의 항균 스펙트럼 평가
B. velezensis L2 균주의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균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지시균은 식품 유해균 및 부패를 일으키는 다양한 세균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는데, 그람 양성균으로는 Bacillus cereus KCCM 11204, Streptococcus faecalis ATCC 19433, Listeria monocytogenes KCTC 40307,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를, 그리고 그람 음성균으로는 Escherichia coli KCTC 12119,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ATCC 19430,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를 사용하였다.
상기 지시균의 배양은 Streptococcus faecalis, Listeria monocytogenes는 brain heart infusion(BHI)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고, 나머지 균주는 LB 액체배지에서 37℃로 16시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측정을 위한 L2 균주 배양액은 TSB 배지에 L2 균주를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배양액을 0.45㎛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 10 mL를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를 1 mL 멸균수에 녹여 조항균 물질을 준비한 후 2배로 희석하여 항균활성 평가에 사용하였다.
항균활성은 지시균을 1×106 cfu/mL로 희석하여 LB 혹은 BHI 고체 배지에 100 μL를 도말하고, 플레이트 위에 2배로 희석된 시료액 10μL를 로딩하고 건조시켰다. 배지를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지시균에 대한 생육저해 여부를 관찰하고 항균활성 역가를 계산하였다.
상기 항균활성 역가는 항균 물질을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여 저해환을 형성하는 최대 희석배수의 역을 취하고, 이 값에 1mL에 대해서 환산해 주는 환산계수를 곱하여 AU(activity unit)/mL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7은 B. velezensis L2 균주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7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균에 대한 저해 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지시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B. cereus 균에 대한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활성 유니트(AU)가 6,400 AU/mL로 나타났다.
다른 지시균들의 AU는 200~800 AU/mL 범위로 평가되었으며, 항균활성 평가 결과 B. velezensis L2 균주는 평가한 모든 세균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균활성 범위가 상당히 넓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와 같이, 발효 스타터로 선정된 B. velezensis L2 균주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적 생육 조건은 5%의 NaCl를 첨가한 배지에서 30℃, 24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안정성 평가에서는 B. velezensis L2 균주가 온도, 염, pH 변화에 비교적 안정한 결과를 보여 산업적 내구성을 가진 스타터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항균활성 범위가 넓은 B. velezensis L2 균주를 발효 스타터로 사용할 경우, 원재료 및 환경으로부터 유래되는 미생물로부터 발효 과정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유리할 것이며, 발효 과정에서 문제되는 부패균을 억제하여 발효 품질의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발효 스타터로 선정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L2를 2019년 4월 18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수탁번호 KCCM 12498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제조(1)
콩(대두)을 물에 3회 세척한 후, 상기 콩의 중량 대비 3배의 물을 가수하여 15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물을 배출하여 얻은 콩를 120℃에서 15분간 증자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스타터(발효종균: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L2) 1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직육면체 모양으로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된 메주를 4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어분메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제조(2)
콩(대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스타터 2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어분메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제조(3)
콩(대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스타터 4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어분메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제조(4)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어분메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어분메주의 발효 일수별 품질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어분메주 및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분메주를 30~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면서, 매 10일 단위로 수분함량, 총질소(TN), 아미노산성 질소(AN), pH, 산도, 병원성균(바실러스 세레우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젠스, 대장균군), 독소, 히스타민, 효소활성, 종균수, 색도 등과 같은 품질 분석을 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T000008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20일차 내지 30일차에 실시예 3의 어패류 분말 메주는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비교예의 어패류 분말 메주에 비하여, 총질소 함량이 약 1.1배 증가하고,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이 약 1.1~1.4배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어패류 분말 메주에 일반 세균과 L2균이 얼마나 우점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10일차부터는 증가하였고 30일차에는 71% 이하로 떨어지지 않아, 우점율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어분메주의 발효 일수별 유리 아미노산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어분메주 및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분메주를 30~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면서, 매 10일 단위로 타우린(taurine),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쓰레오닌(threonin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시트룰린(citruline), 프롤린(proline) 등 총 30종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표 12(단위: mg%)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자동아미노산 분석기(Hitach L-8900, Japan)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 1g을 취하여 70% 에탄올 15mL을 가해 혼합한 후 30분 동안 소니케이션 처리한 다음, 상기 소니케이션 처리한 시료를 원심분리한(3,500 xg, 5분) 후, 상등액을 취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시료를 0.45μ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다음,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0일 비교실시예 실시예
Taurine 18.68 17.42
Aspartic acid 3.70 3.55
Threonine 3.76 2.77
Serine 3.39 2.51
Glutamic acid 13.01 8.50
Sarcosine 0.00 0.00
α-amino adipic acid 1.21 0.86
Glycine 4.62 4.43
Alanine 0.00 0.00
Citrulline 22.93 18.13
α-amino-n-butyric acid 2.54 1.01
Valine 4.04 2.80
Cystine 10.26 9.61
Methionine 2.20 1.56
Cystathionine 0.31 0.00
Isoleucine 2.46 2.09
Leucine 6.88 4.09
Tyrosine 0.00 3.61
Phenylalanine 6.68 5.03
β 4.60 1.62
βisobutyric aicd 1.51 0.57
γacid 10.46 10.33
Ornithine 7.58 0.17
Lysine 7.51 4.24
1-Methylhistidine 0.00 0.00
Histidine 28.83 29.08
3-Methylhistidine 0.00 0.00
Carnosine 0.00 0.00
Arginine 0.00 10.42
prorine 4.33 2.78
Total 171.5 147.2
10일 비교실시예 실시예
Taurine 31.76 21.57
Aspartic acid 69.94 24.13
Threonine 35.60 20.77
Serine 53.24 28.70
Glutamic acid 218.90 128.67
Sarcosine 2.64 0.00
α-amino adipic acid 9.14 9.58
Glycine 41.76 21.40
Alanine 0.00 0.00
Citrulline 267.74 165.21
α-amino-n-butyric acid 19.86 14.07
Valine 76.19 41.62
Cystine 0.00 0.00
Methionine 22.39 11.85
Cystathionine 5.58 2.20
Isoleucine 53.14 27.50
Leucine 90.00 44.33
Tyrosine 39.03 17.72
Phenylalanine 46.32 24.22
β 27.50 13.05
βisobutyric aicd 19.57 8.22
γacid 46.42 17.78
Ornithine 28.13 10.48
Lysine 73.76 37.02
1-Methylhistidine 0.00 0.00
Histidine 22.07 32.95
3-Methylhistidine 0.00 0.00
Carnosine 0.00 0.00
Arginine 0.00 1.85
prorine 168.94 204.64
Total 1469.6 929.5
20일 비교실시예 실시예
Taurine 28.6 29.4
Aspartic acid 21.9 18.1
Threonine 8.4 9.5
Serine 12.2 12.6
Glutamic acid 85.5 184.4
Sarcosine 6.2 22.4
α-amino adipic acid 5.7 13.8
Glycine 18.4 21.7
Alanine 0.0 0.0
Citrulline 131.5 175.4
α-amino-n-butyric acid 4.1 16.8
Valine 30.4 33.5
Cystine 0.0 0.0
Methionine 5.8 10.1
Cystathionine 2.4 3.1
Isoleucine 16.2 16.2
Leucine 22.1 22.7
Tyrosine 10.4 20.0
Phenylalanine 10.9 17.2
β 7.0 5.8
βisobutyric aicd 3.5 1.0
γacid 11.8 5.6
Ornithine 2.6 2.9
Lysine 4.9 22.0
1-Methylhistidine 0.0 0.0
Histidine 2.3 18.1
3-Methylhistidine 0.0 0.0
Carnosine 0.0 0.0
Arginine 0.0 0.0
prorine 87.2 268.1
Total 540.1 950.6
30일 비교실시예 실시예
Taurine 23.34 30.60
Aspartic acid 16.96 26.79
Threonine 4.20 8.09
Serine 5.00 10.97
Glutamic acid 49.69 224.02
Sarcosine 5.95 26.06
α-amino adipic acid 5.72 19.02
Glycine 10.63 23.89
Alanine 0.00 0.00
Citrulline 47.16 153.49
α-amino-n-butyric acid 3.22 14.82
Valine 21.23 17.96
Cystine 0.00 25.76
Methionine 5.97 10.61
Cystathionine 2.56 3.62
Isoleucine 8.02 13.64
Leucine 10.64 21.23
Tyrosine 4.13 21.85
Phenylalanine 5.14 19.63
β 3.60 2.92
βisobutyric aicd 0.00 0.00
γacid 6.85 4.31
Ornithine 1.40 3.07
Lysine 2.75 27.72
1-Methylhistidine 0.00 0.00
Histidine 4.62 23.98
3-Methylhistidine 0.00 0.00
Carnosine 0.00 0.00
Arginine 0.00 3.01
prorine 39.36 278.61
Total 288.1 1015.7
상기 표 9 내지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어분메주는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비교예의 어패류 분말 메주에 비하여, 30~35℃에서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일부 아미노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아미노산 힘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의 어분메주는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비교예의 어분메주에 비하여, 글루타민산의 함량은 2~5배, 시트룰린의 함량은 1.3~3.5배, 프롤린의 함량은 3~7배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어분메주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어분메주 및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분메주를 30~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면서, 매 10일 단위로 관능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3(10일차), 표 14(20일차), 표 15(30일차)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관능 평가는 훈련받은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7점 척도법(7점: 매우 좋음, 5: 보톤, 1: 매우 나쁨)에 의해, 색, 향, 구수한 맛, 짠맛, 감칠맛, 단맛 및 종합기호도를 평가하였고, 평가 점수는 10명의 패널의 점수를 평균하여 얻었다.
평균 구수한맛 짠맛 감칠맛 단맛 종합기호도
비교실시예 4.7 3.2 3.2 5.1 3.6 3 3.9
실시예 1 4.9 4 4.4 5.7 4.5 3.5 4.8
평균 구수한맛 짠맛 감칠맛 단맛 종합기호도
비교실시예 5.6 5.3 4.7 4.6 4.5 3.4 4.6
실시예 1 6.2 6.2 6.4 5.1 6.1 4.7 6
평균 구수한맛 짠맛 감칠맛 단맛 종합기호도
비교실시예 3.3 2.9 2.6 2.5 1.7 2.1 2.5
실시예 1 3.8 3.2 3.7 2.6 2.8 2.8 3.5
상기 표 13 내지 표 15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어분메주는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비교예의 어분메주에 비하여, 관능이 향상되고, 특히 구수한 맛, 감칠맛, 종합기호도 등의 항목에서 관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어분메주의 발효 일수별 특성 변화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어분메주 및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분메주를 30~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면서, 매 10일 단위로 관능을 평가한 결과를 도 8(10일차), 도 9(20일차) 및 도 10(30일차)에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일차 발효가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나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2 균주가 우점하게 되어, 항균성을 가지며 곰팡이 균이 자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혈행개선 효과
(1) ACE 저해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어분메주의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inase peptidyldipeptide hydrolase, EC 34151)은 불활성 데카펩타이드(decapeptide)인 안지오텐신(Angiotensin)의 C 말단 디펩타이드(His-Leu)를 절단하여 혈관벽 평활근 수축 등의 작용에 의하여 강한 혈압 상승 작용을 나타내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을 생성하는 한편, 강한 혈관 확장 작용을 가지는 노나펩타이드인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혈압 발생 기작에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enin-angiotensin system)은 혈압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ACE는 레닌(renin)에 의하여 생성된 데카펩타이드 안지오텐신으로부터 C 말단의 디펩타이드를 가수분해시켜 혈관 수축 작용을 하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을 합성하는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생성된 안지오텐신은 부신 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여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하며, 혈관 이완작용을 갖는 노나펩타이드인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억제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CE 저해 작용은 혈관 수축을 막고 체내 수분 잔류를 막아 혈압을 낮추며 혈행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ACE 저해 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M0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어패류 분말 메주 첨가구의 흡광도이고, B는 어분메주 무 첨가구의 흡광도이며, 상기 A, B는 대조구의 흡광도를 제외한 수치이다.
시료 IC50 (㎍/mL)
개발제품 1 289.06±1.90
개발제품 2 556.21±3.38
개발제품 3 713.58±2.26
대조구 1003.35±3.04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시료에 의한 ACE 저해값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n=3)으로 나타내었다.상기 표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발제품 1(어분메주), 개발제품 2(멸치액젓) 및 개발제품 3(일반 메주를 이용한 간장)의 IC50은 상기 개발제품을 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상술한 혈관수축 방지 및 이에 따른 혈행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혈관수축 이완기능 평가
이와 관련하여 Rat의 하행 흉부 대동맥(descending thoracic aorta)을 적출하여 organ bath system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발제품에 의한 혈관의 수축/이완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때, 혈관의 수축은 페닐레프린(phenylephrine)을 사용하여, 누적적인 용량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정도를 파악하며, 혈관의 이완은 페닐레프린으로 각 처리 그룹의 혈관에 동일한 정도의 수축을 유발한 후,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추가적으로 가함으로서 유발하였고, 이완의 결과는 페닐레프린의 수축에 대한 이완율로 계산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때, 상기 대조구는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를 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발제품(어분메주)을 가했을 때, 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 수축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혈중 중성지방 개선 효과
혈중 중성지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사료를 자율급식으로 제공한 정상 대조군, 음성 대조군(고지혈증 유도군), 실험 실시예 1(고지혈증 유도+간장), 실험 실시예 2(고지혈증 유도+액젓) 및 실험 실시예 3(고지혈증 유도+어패류 분말 메주)에 의한 ICR 마우스의 혈액을 1,500 X g에서 원심분리(SorvallTM Legend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하여 혈장을 분리해 내었다.
상기 혈구와 분리된 혈장을 멸균된 튜브에 옮기고, 혈중 중성지방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중 중성지방의 측정은 Triglyceride colorImetric assay kit(Cayman, Ann Arbor, MI, USA)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흡광도는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고지혈증 유도는 5주령의 ICR 마우스 (25±2g) / 45% 지방 함량을 가지는 식이 일정량과 식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수행하였고, 상기 각 실험군은 항온(25±2℃), 항습(50±5%) 및 음/양 12시간 조건을 유지시켰다.
구분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정상대조군 90.18±4.22
음성대조군 137.80±5.86
실험실시예 1 135.88±6.02
실험실시예 2 127.5±5.24
실험실시예 3 88.69±4.62
상기 표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실시예 3의 시료는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중성 지방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 사료를 자율급식으로 제공한 정상 대조군, 음성 대조군(고지혈증 유도군), 실험 실시예 1(고지혈증 유도+간장), 실험 실시예 2(고지혈증 유도+액젓) 및 실험 실시예 3(고지혈증 유도+어패류 분말 메주)에 의한 ICR 마우스의 혈액을 1,500 X g에서 원심분리(SorvallTM Legend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하여 혈장을 분리해 내었다.
상기 혈구와 분리된 혈장을 멸균된 튜브에 옮기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중 콜레스테롤의 측정은 EnzyChrom HDL and LDL/VLDL assay kit(Bioassay system, Hayward, CA, USA)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흡광도는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고지혈증 유도는 5주령의 ICR 마우스 (25±2g) / 45% 지방 함량을 가지는 식이 일정량과 식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수행하였고, 상기 각 실험군은 항온(25±2℃), 항습(50±5%) 및 음/양 12시간 조건을 유지시켰다.
구분 총콜레스테롤
(mg/dL)
HDL-콜레스테롤
(mg/dL)
LDL/VLDL 콜레스테롤
(mg/dL)
정상대조군 113.85±1.45 82.78±1.04 23.86±0.49
음성대조군 149.08±0.69 114.35±1.46 40.39±1.49
실험실시예 1 145.65±1.13 109.96±1.25 38.88±0.73
실험실시예 2 140.39±2.35 94.59±1.30 37.22±0.72
실험실시예 3 114.77±1.94 81.77±1.37 25.24±0.39
상기 표 18을 참조하면, 실험 실시예 3의 시료가 적용된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 저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항암 효과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분메주의 항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GS(위암) 세포에 대한 저해 활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1). 암세포 배양
본 실험에 사용한 암세포주인 AGS 인체 위암세포(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와 HT-1080 인체 섬유육종 세포(HT-1080 human sarcoma cell), MCF-7 인체 유방암 세포(MCF-7 human breast cancer cell)는 한국 세포주 은행(서울 의대)으로부터 분양받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AGS와 HT-1080, MCF-7 인체 암세포는 100 units/ml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과 10%의 FBS가 함유된 RPMI 1640을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Forma Scientific, Japa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각각의 암세포는 일주일에 2-3회 리피딩하고 6-7일 만에 PBS로 세척한 후, 0.05% 트립신-0.02% EDTA로 부착된 세포를 분리하여 원심분리한 다음, 집적된 암세포에 배지를 넣고 피펫으로 암세포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잘 혼합하여 75 ml 세포배양 플라스크에 10 ml씩 일정 수 분할하여 주입하고, 계속 6-7일마다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MTT 어세이
MTT 어세이는 생존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의 효소작용에 의해 황색의 수용성 물질인 MTT가 환원되어 dark blue formazan crystal로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 실험법으로, formazan 결정이 침전되는 정도를 흡광도로 측정함으로써 항암제에 의해 암세포가 사멸 또는 증식 억제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Hansen et al. 1989).
배양된 암세포는 웰당 2×104 cells/ml가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배지 180 μl와 일정 농도의 시료 20 μl(10% aq. DMSO)를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mg/ml의 농도로 제조한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용액 20 μl를 첨가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Park et al. 1990).
이때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DMSO에 녹여서 ELISA reader(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억제율(%)을 구하였다.
Figure PCTKR2020014303-appb-M000002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암 세포에 대한 억제 활성은 1mg/mL 이상의 농도에서 나타나며, 상기 어패류 분말 메주의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의 상기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가 항암 활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심부전 치료 효과
8주령 내지 10주령의 B6C3F1 마우스에 Ketamine(95 ㎎/㎏)과 자일라진(5mg/kg)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키고 수술을 진행하였다. 좌전하행 관상동맥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에 1㎜ 직경의 PE10 튜빙(polyethylene 10 tubing)을 혈관 상단에 두고 묶음으로써 허혈을 유도하였다. 30분 후 묶음을 풀고 PE10 튜빙을 제거하여 재관류를 유도하였다. 4주 후에 심근기능 측정 및 조직분석을 실시하였다.
(1). 심장 경색부위 감소 효과 확인
허혈-재관류 손상 심부전 유도 마우스의 심장을 적출하여 심장사진 촬영 및 조직을 염색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투여군의 경색부위(Infarct Area)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패류 분말 메주 투여군의 경색부위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체 심장부위에서 경색부위의 비율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에서도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패류 분말 메주 투여군에서 경색부위의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2). 심장 수축력 증가효과 확인
실제로 심장조직의 형태학적인 변화가 심장의 수축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심초음파 분석실험(Echocardiography) 및 혈류역학분석(Hemodynamics)을 진행하였다.
심장 수축력의 바로미터인 수축분율(Fractional shortening, FS)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초음파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허혈-재관류 손상으로 인해 감소된 수축분율이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패류 분말 메주 투여군에서 각각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장 수축력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혈류역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축기 심근력의 척도인 ESPVR(end-sy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ship)의 경우 허혈-재관류 손상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패류 분말 메주 투여군에서 유의미하게 ESPVR가 증가하였다.
또한, 이완기 심근력의 척도인 EDPVR(end-diastolic pressure volume relationship)의 경우 허혈-재관류 손상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어패류 분말 메주 투여군에서는 EDPVR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콩 가공물의 일 예로서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는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하여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능, 항암 효과 및/또는 심부전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독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 메주는 일상적인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 어패류 자원과 콩을 이용함으로써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과 같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콩 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은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로 첨가되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국민건강증대 및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패류 분말 함유 어분메주는 20~30일간 발효시킬 경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아미노산, 특히 글루타민산, 시트룰린 및/또는 프롤린의 함량이 증가됨으로써, 관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모나아취의 생성 없이 재래식 메주의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건강기능식품이나 약학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CCM12498P
수탁일자 : 20190418

Figure WO-DOC-FIGURE-ro134

Claims (14)

  1.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가공물은 콩 발효산물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콩 가공물에 적용되는 콩은 대두, 강낭콩, 녹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콩 가공물은 어패류 분말이 함유된 어분메주, 메주, 어분메주나 메주로부터 유래된 된장 또는 간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어분메주는 콩 또는 발효콩,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발효 스타터 및 어패류 분말을 포함하는 것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의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중성지방개선, 콜레스테롤 저하, 체지방 개선, 비만 개선, 고혈압 개선 중에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의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혈전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심부전, 지방간, 비만, 위암 중에서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콩 또는 발효콩, 발효 종균으로 바실러스균을 함유하는 발효 스타터 및 어패류 분말을 포함하는 어분메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 스타터 0.1~5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0.1~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분메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종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및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분메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패류 분말 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 상기 발효 종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oryzae)을 사용한 어패류 분말 메주를 20~30일간 발효시킨 경우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되거나, 글루타민산의 함량이 2~5배 증가되거나, 시트룰린의 함량이 1.3~3.5배 증가되거나, 또는 프롤린의 함량이 3~7배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분메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패류는 멸치, 문어, 오징어, 정어리, 갈치, 청어, 전어, 고등어, 빙어, 까나리, 방어, 홍어, 참치, 전갱이, 꽁치, 곤쟁이, 배도라치, 굴비, 명태, 양미리, 홍합, 바지락, 새우 및 꽃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분메주.
  13. (a) 콩 또는 발효콩을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b) 상기 침지시킨 콩 또는 발효콩을 증자하는 단계;
    (c) 상기 증자된 콩 또는 발효콩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스타터 0.1~5 중량부 및 어패류 분말 0.1~40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된 콩으로 메주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분메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스타터는 콩 또는 발효콩의 중량에 대하여 0.1~5 %(v/w)의 발효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25~35℃에서 1~5일간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분메주의 제조방법.
PCT/KR2020/014303 2020-03-05 2020-10-20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WO20211775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60 2020-03-05
KR20200027760 2020-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38A1 true WO2021177538A1 (ko) 2021-09-10

Family

ID=7761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303 WO2021177538A1 (ko) 2020-03-05 2020-10-20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3003A (ko)
WO (1) WO2021177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57B1 (ko) * 2022-12-08 2023-12-05 김분순 고성분, 고효능의 인삼이 함유된 기능성 간장의 제조방법
KR102577648B1 (ko) * 2023-05-31 2023-09-12 이아름 바실러스 서틸리스 sb051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834A (ko) * 2004-08-02 2004-09-07 강성국 다시마, 미역 및 멸치분말과 추출물이 함유된 된장의제조방법과 그제품
KR20050116850A (ko) * 2004-06-08 2005-12-13 학교법인 영광학원 신규 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된장
KR20150089321A (ko) * 2014-01-27 2015-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기능성 균주, 이를 이용한 기능성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된장
KR20170103471A (ko) * 2016-03-04 2017-09-13 김서영 검정콩 메주, 개똥쑥 또는 녹차 및 죽염을 포함하는 된장, 된장분말, 된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4395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냄새 없는 발아콩 청국장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58B1 (ko) 2009-12-21 2014-02-03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메주를 만드는 방법
KR101932217B1 (ko) 2018-03-21 2018-12-31 용현농업협동조합 메주 제조방법
KR102002576B1 (ko) 2019-01-15 2019-07-22 주식회사 네이처셀 원지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발아콩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850A (ko) * 2004-06-08 2005-12-13 학교법인 영광학원 신규 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된장
KR20040077834A (ko) * 2004-08-02 2004-09-07 강성국 다시마, 미역 및 멸치분말과 추출물이 함유된 된장의제조방법과 그제품
KR20150089321A (ko) * 2014-01-27 2015-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기능성 균주, 이를 이용한 기능성 된장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된장
KR20170103471A (ko) * 2016-03-04 2017-09-13 김서영 검정콩 메주, 개똥쑥 또는 녹차 및 죽염을 포함하는 된장, 된장분말, 된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4395A (ko) *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자연건강 그 신비를 캐는 사람들 냄새 없는 발아콩 청국장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03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2717A1 (ko)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21177538A1 (ko)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WO2018124508A1 (ko) 3,5-디카페오일퀴닉에시드 또는 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Nakajima et al. Comparison of ACE inhibitor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ish muscle hydrolysates
WO2019226003A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kbl697 균주 및 그 용도
WO2017074037A1 (ko)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WO2017204415A1 (ko) 혈당 조절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19226002A1 (ko)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kbl693 균주 및 그 용도
WO2015174747A1 (ko) 신규한 항균성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1136573A2 (ko) 비만 치료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효모 가수분해물
WO2021045554A1 (ko)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087577A2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여름세이보리 추출물 또는 카바크롤의 대사성 질환 치료를 위한 용도
WO2020071667A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37778A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62777A1 (ko) 풋귤수로 처리한 발아콩 유래의 두즙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근력 및 근육량 향상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8062820A1 (ko) 피토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22240224A1 (ko) 젤란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45719A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익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6190689A2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09151236A2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WO2015046743A1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2043A1 (ko) 작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또는 β-젠티오비오실 패오니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0071867A1 (ko) 멸치 가공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23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23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