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2289A1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2289A1
WO2021162289A1 PCT/KR2021/001114 KR2021001114W WO2021162289A1 WO 2021162289 A1 WO2021162289 A1 WO 2021162289A1 KR 2021001114 W KR2021001114 W KR 2021001114W WO 2021162289 A1 WO2021162289 A1 WO 20211622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floor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1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탁효원
박민경
최태이
전주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340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139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211622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22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finitions

  • This application relates to flooring.
  • Flooring can be divided into residential flooring and commercial flooring. Unlike residential flooring, commercial flooring wears shoes, so scratch resistance is very important.
  • the coating layer is easily broken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through the coating layer and at the same time securing cold resistance to the extent that the coating layer does not break during transportation, excellent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and additionally excellent iodine resistance. .
  •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 the flooring material includes a base layer and a coating layer
  • the coating layer includes alumina particles
  • the area ratio of the alumina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may be 0.9% to 9%.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coating.
  •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75 parts by weight of the trifunctional monomer and 8 to 250 parts by weight of alumina particle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 FIG. 1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3 is an image of a cross-section of a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efers to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btained by averaging the molecular weight of component molecular species of a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s a weight fractio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standard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It may be a measurement of a converted value for polystyrene.
  • the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lumina (Al 2 O 3 ) particles, which are spherical particles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lumina beads.
  • alumina particles which are spherical particles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lumina beads.
  • scratch resistance can be greatly improved. This is because alumina exhibits excellent hardness and is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as a filler.
  • specific features of the flooring material including a coating layer composed of such alumina and a urethane acrylate-based resin will be described.
  • composition for flooring and coat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composition for flooring and coat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floor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base layer and a coating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balance layer, an intermediate layer, a dimensional stability layer, a printing layer, and an abrasion resistance layer.
  • an additional layer may be included, and the above-described layer may be omitted.
  • the flooring material is a balance layer 110, an intermediate layer 120, a dimensional stability layer 130, a printing layer 140, an abrasion resistance layer 150, and a coating layer ( 160).
  • the flooring laminated in this order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some layers may be excluded or added as needed, and the order of each layer may be changed.
  • the flooring material is form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composition to one surface of any one layer and then photocuring or thermal curing, or forming each layer as a film or sheet, and then forming them using a plywood process known in the art. c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alance layer is a layer for securing structural balance of the product, and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looring material.
  • the balance layer may be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balanc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 m to about 20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a foam layer or a non-foam layer.
  • a foam layer For residential u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oam lay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mercial u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on-foam layer.
  • the foam layer is a layer for improving the walking feeling of pedestrians, and may be located on the balance layer.
  • the foam layer may be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foam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10t in terms of improving walking feeling.
  • the non-foam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4t.
  • the dimensionally stable layer may be a glass fiber film, and may be located on the intermediate layer. Since the dimensionally stable layer exhibits white color, the white paper layer generally includ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xcluded.
  • the dimensionally stable layer may be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printed layer is a layer for imparting design, and may be located on the white paper layer.
  • the print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pattern in various ways, such as transfer printing, gravure printing, screen printing, offset printing, rotary printing, or flexographic printing.
  • the printed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 ⁇ m to about 1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brasion-resistant layer is a layer for minimizing abrasion during impact or use as a flooring material, and may be located on the printed layer.
  • the wear-resistant layer may be prepared by a method known in the art.
  • the wear-resistant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about 0.05 mm to about 2.0 mm, and by having a thickness within the above range, the pattern or pattern of the printed layer laminated underneath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 the pattern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 it may be a PVC layer, a film or a sheet.
  • the coating layer may be included to provide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intend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coating layer may include a resin and alumina particles.
  • the component ratio of the resin and the alumina particles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rea fraction occupied by the alumina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secure scratch resistance.
  • the alumina beads are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as a filler, and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for example, the size or shape is maintained even in the process of curing after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may be 5 to 50 ⁇ m, and may be 10 to 25, thereby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coating layer.
  • the alumina particles may slightly protrude on the surface or improve scratch resistance, particularly when they exist exposed on the surface. Therefore, when it is too thick or too thin, it is difficult to apply it as a coating layer of a flooring material, especially a coating layer for providing scratch resistance.
  •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may be preferably larg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alumina beads, and may be at least twice as thick a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alumina beads. Howeve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thin due to embossing or the like.
  • the alumina particles have a spherical bead shape.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may be 5 ⁇ m to 15 ⁇ m.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is less than 5 ⁇ m, the alumina particles are too small to be exposed on the surface, making it difficult to achieve the scratch resistance intend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particles are too large, there may be a problem in coating properties,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storage of the coating solution, and the alumina may be detached from the coating layer.
  • scratch res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alumina particles an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 3 is an image of a cross-section of a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4 is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alumina particles can be identified in each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 the area ratio of the alumina particles is preferably 0.9% to 9%.
  • the alumina particles are agglomerated and hardened in the roll, or in the spray coating method, the alumina particles are excessively injected into the spray hole. There is a problem with coating properties such as clogging, so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upper limit to 9%.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scratch resistance (Micro Scratch Resistanc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N16094:2012 of MSR-B2 grade or higher.
  • the scratch resistance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N16094:2012 is a predetermined size (eg, For example, after applying a 4 N load to the sample surface of 15x15 cm), the surface is rotated 160 times with a brush (Scoth Brite TM Product number.7440 (brown) of 3M) and judged visually.
  • a grade of B2 or higher through a test performed by increasing the load as follows. That is, after applying a 6 N load to the surface of the flooring sample of a predetermined size (eg, 15x15 cm), after rotating the surface 160 times with a brush (Scoth Brite TM Product number.7440 (brown) of 3M) judge visually.
  • Table 1 below presents the contents of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scratch resistance (Micro Scratch Resistanc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EN16094:2012. Even when the load is increased to 6 N, the grad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ame standard.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generate any scratches or only slight scratches in the above-described test.
  • this test does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only one test for determining scratch resistance.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hibits excellent cold resistance.
  • Cold resistance is an experiment to find the lowest temperature that does not break when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mass is dropped from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sample, and the temperature is judged as a variable.
  • a sample of 2 cm X 10 cm is folded in half, placed in a water bath containing methanol se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5 minutes, and then a weight of 2.5 kg is placed on the sample by 5 cm
  • this test does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only one test for determining cold resistance.
  • the temperature at which cracks and / or changes in appearance occur may be -5 °C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5 °C or less, -10 °C or less, -9 °C or less or less, -8 °C or less, -7 °C or less, or -6 °C or less. Since the cold resistance of the flooring material satisfies the temperature below zero a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flexibility that the coating layer does not break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or transporting the flooring material in a low temperature place.
  • the temperature standards required for commercial flooring and residential flooring in the above tes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5 °C for commercial use, and -20 °C for residential use. That is, the flooring satisfies -5 °C or less in the above cold resistance test, so it may not cause problems such as cracks or defects in the coating layer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or transporting the flooring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 it can be suitably used for commercial flooring.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scratch resistance by including the alumina particles described abov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including a coating layer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both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are excellent may appear
  • the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resin composition including both a monomer and an oligomer, and includes a combination of specific functional groups, that is, a combination of a monofunctional monomer and a trifunctional monomer to further increase the curing density of the coating layer.
  • a trifunctional oligomer of a specific molecular weight it has a tougher and denser property, thereby exhibiting a property of strong endurance without breaking even at a low temperature.
  • flexibility can be secured while having excellent curing density, and scratch resistanc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y preventing the alumina particles from falling off from the resin. Accordingly, the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overcome the trade-off relationship of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hibits excellent iodine resistance.
  • the test to determine the iodine resistance is a test to determine whether a mark remains when iodine (povidone) is dropped on a samp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wiped off after 1 minute.
  • this test does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only one test for determining iodine resistance.
  •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looring material that can be cleaned with iodine, and has low contamination.
  • gloss specifically, BYK (Micro-TRI-gloss) glossiness meter can measure the gloss measured under 60 ° condition.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ically limit the glossiness.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ither glossy or matte may be applied.
  • the above-mentioned coating layer is a cured product of the coating composition
  •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resin composition and alumina particles.
  • the alumina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8 to 2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the coating layer includes a resin and alumina particles, and the content of the alumina particl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ratch resistance.
  • the area fraction of alumin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can be controlled to 0.9% to 9% by including the alumina particles in the coating composition in an appropriate range.
  • the setting of the lower limit is more important than the setting of the upper limit in order to secure the physical properties intend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upper limit may be set to 250 parts by weight, 200 parts by weight, 150 parts by weight, 100 parts by weight, or 50 parts by weight. However, this upper limit does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resin composition is cured to form a resin to constitute a coating layer, and may include a monofunctional monomer and a trifunctional monomer. Specifically,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75 parts by weight of the trifunctional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 the monofunctional monomer or trifunction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for flooring.
  • the monofunctional monomer serves to improve the scratch resistance by increasing the reactivity (hardening density) of the treatment agent together with the viscosity modifier.
  • the monofunctional monomer may be a monofunctional acrylat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A Caprolactone Acrylate
  • CTFA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 PBA Phenoxy benzyl Acrylate
  • TMCHA 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 HPA Hydrophilicity propyl Acrylate
  • HEA Hexydroxy ethyl Acrylate
  • OPPEA o-phenylphenol EO Acrylate
  • TBCHA 4--tert-butylcyclohexyl Acrylate
  • BZA Benzyl Acrylate
  • BPMA Biphenylmethyl Acrylate
  • LA Lauryl Acrylate
  • IDA Isodecyl Acrylate
  • the trifunctional monomer plays a role in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by increasing the reactivity (hardening density) of the treatment agent. Furthermore, by including the monofunctional monomer and the trifunctional monomer at the same time, compared to the composition using only the monofunctional monom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uring density more and secure scratch resistance.
  • the trifunctional monomer may be a trifunctional acrylat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MPTA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 TMP (EO) 3 TA Trimethylopropane (EO) 3 Triacrylate)
  • TMP ( EO) 6 TA Trimethylopropane (EO) 6 Triacrylate)
  • TMP(EO) 9 TA Trimethylopropane (EO) 9 Triacrylate)
  • PETA Purerylthritol Triacrylate
  • TMP(PO) 3 TA Trimethylopropane (PO) 3 Triacrylate
  • THEICTA Tris(2-hydroxyehtyl) isocyanurate Triacrylate
  • Triacrylate Triacrylate
  • TMPTA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 TMP (EO) 3 TA Trimethylopropane (EO) 3
  •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 the lower limit of the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may be 20 parts by weight or more, 30 parts by weight or more, 40 parts by weight or more, or 5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the upper limit thereof is 130 parts by weight or less; 100 parts by weight or less, 90 parts by weight or less, 80 parts by weight or less, 70 parts by weight or less, or 60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be a trifunctional aliphatic urethane acrylate-based oligom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included in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ating layer for flooring.
  • the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serve to prevent the alumina particles from falling off. Any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role may be applied.
  • the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10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ird 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have a lower limit of 5000 or more, 5500 or more, 6000 or more, 6500 or more, or 7000 or more, and an upper limit of 10000 or less, 9500 or less, 9000 or less, 8500 or less, 8000 or more. or less, 7500 or less, or 7000 or less.
  •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wo or more kinds of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s having different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to 10000, a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having a different weight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dditionally included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be a trifunctional aliphatic urethane acrylate olig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dditionally included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be 2000 to 5000, the lower limit thereof may be 2500 or more, or 3000 or more, and the upper limit thereof may be 4500 or less, 4000 or less, or 3500 or less.
  •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10 to 100 parts by weight of a difunctional monomer and 10 to 150 parts by weight of a d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 the bifunctional mono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parts by weight to 80 parts by weight, 30 parts by weight to 70 parts by weight, or 40 parts by weight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functional monomer, and the b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is monofunctional.
  • the bifunction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for flooring.
  • the bifunctional monomer may serve to balance the reactivity of the treatment agent.
  • the difunctional monomer may be a bifunctional acrylate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HDDA (1,6-Hexaneciol Diacrylate
  • DDDA (1,10-Decanediol Diacrylate
  • HPNDA Ht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 BPA(EO) 10 DA( Bisphenol A (EA)
  •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b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 the b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be a bifunctional aliphatic urethane acrylate-based oligom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an be included in a composition for forming a coating layer for flooring.
  • the bifunctional oligomer may serve to balance the reactivity of the treatment agent. Any b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role may be applied.
  • the second 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cond functional aliphatic oligomer may have a lower limit of 1000 or more, 1100 or more, 1200 or more, 1300 or more, or 1400 or more, and an upper limit of 3000 or less, 2900 or less, 2800 or less, 2700 or less, or 2600 or less.
  • th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 the additiv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initiator, a dispersant, an antifoaming agent, a wetting agent, and an antifoaming agent.
  • the content of each additive may be appropriately used in an amount conventionally used in order to achieve a desired effect.
  • each of the initiator, dispersing agent, defoaming agent, wetting agent and matting agent may be applied thereto as long as they are applicabl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Therefore, the meaning or role of each will not be specifically described.
  • the coating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4 to 25 parts by weight of an initiator, 2 to 1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2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ntifoaming agent, 2 to 10 parts by weight of a wetting agent, and 75 parts by weight or less of a matting agent.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 the coating layer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as a layer for securing flexibility enough not to break the coating layer during transportation, it may be located at the top.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ating method on the scratch-resistant layer using the above-described coating composition.
  • Table 2 shows each composition and its conte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content of each monomer and oligomer is shown in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It may mean each weight ratio.
  • Table 3 shows each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each additive shows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Table 4 shows the content of alumina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lumina shows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 Table 5 summarizes the area ratio of each alumina particle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Example One Example 2
  •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One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 comparative example 4 comparative example 5 alumina 8 8 30 8 8 0
  • alumina 8 8 30 8 8 0 One 4
  • Example One Example 2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One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comparative example 5 Area ratio of alumina particles (%) 1.17 1.17 3.4 1.17 1.17 0 0.27 0.81
  • a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is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impregnated with glass fibers, a balanc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 mm, a foam layer is laminated on the balance layer, and an acrylic binder resin is formed on the foam layer, , by printing various patterns and patterns with a gravure printing method to form a print layer with a thickness of 5 ⁇ m, a wear-resistant layer made of PVC resin is laminated to a thickness of 1 mm on the print layer and thermally laminated at a temperature of 70 °C. .
  • PVC polyvinyl chloride
  • the flooring rolled in a roll of 25 M was stored for more than 6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5 °C in the cold resistance test, and then unfolded when the rolled roll was unwound at a temperature of -5 °C. It was confirmed whether cracks and/or changes in appearanc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occurred due to easy construction due to excellent performance. Accordingly, when the roll is unwound, the rolled roll is flattened and cracks and/or changes in appearance do not occur. as shown in Table 7.
  • Iodine resistance was evaluated for 5 types of flooring material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described above.
  • the test for determining the iodine resistance is shown in Table 8 below by determining whether a mark remains when iodine (povidone) is dropped on a flooring sampl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wiped off after 1 minute.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Iodine resistance O O ⁇ O ⁇
  • Adhesiveness was evaluated for 5 types of flooring material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described above. Table 9 below shows the crosscut classification criteria (ASTM D3359).
  • Adhesion was carried out by a cross-cut test (ASTM D3359), and after making cuts at intervals of 1 mm on a 1 cm X 1 cm flooring sample, the test tape was adhered and removed by determining how much the coating layer came off and evaluated. Table 10 shows.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3 adherence 5B 5B 0B 0B 3B
  • Examp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scratch resistance was B2 and the cold resistance was able to overcome the bar trade-off relationship measured at -5 °C.
  • Example 2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2, two types of trifunctional aliphatic oligomers were inclu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iodine resistance was also excellent.
  • Comparative Example 1 had excellent cold resistance but poor scratch resistance. Comparative Example 2 had poor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Comparative Example 3 had good scratch resistance but poor cold resistance.
  • Comparative Examples 1 to 3 had both poor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or had poor scratch resistance and cold resista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e-off relationship could not be overcome.
  • Examples 1 and 2 were all excellent at 5B, but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as 0B, 0B, and 3B, respective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바닥재는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 이고, 본 출원에 따르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이 확보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재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는 주거용 바닥재와 상업용 바닥재로 나뉠 수 있다. 주거용 바닥재와 달리 상업용 바닥재는 신발을 신고 다니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도와 경화밀도를 향상시키게 되면,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을 때, 바닥재를 운송하는 도중 코팅층이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짐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코팅층을 통해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코팅층의 부착력 또한 우수하고, 추가적으로 내요오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측면은 바닥재를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바닥재는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팅층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코팅층의 표면에서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인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코팅용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 및 8 내지 250 중량부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요오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짐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코팅층에 포함되는 알루미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코팅층은 알루미나(Al 2O 3) 입자를 포함하며, 이는 구형의 입자이며 알루미나 비드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특히 알루미나 입자가 코팅층에 위치될 때, 특히 코팅층의 표면에 일정 면적 분율로 포함되는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나가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며, 필러로서 코팅층에 포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하, 이러한 알루미나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바닥재 및 코팅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바닥재 및 코팅용 조성물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재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된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재층은 밸런스층, 중간층, 치수안정층, 인쇄층 및 내마모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추가의 층이 포함될 수 도 있으며, 전술한 층이 생략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는 기재층 상에 순서로 적층된 밸런스층(110), 중간층(120), 치수안정층(130), 인쇄층(140), 내마모층(150) 및 코팅층(160)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순서로 적층된 바닥재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층이 제외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며, 각 층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바닥재는 어느 한 층의 일면에 소정의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경화 또는 열경화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각각의 층을 필름 또는 시트로서 형성한 후 이들을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합판 공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밸런스층은 제품의 구조 밸런스를 확보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바닥재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약 50 ㎛ 내지 약 20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층은 발포폼층 또는 비발포폼층일 수 있다. 주거용인 경우 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업용인 경우 비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폼층은 보행자의 보행감을 개선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밸런스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층은 보행감을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1 내지 10t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비발포폼층은 1 내지 4t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치수안정층은 Glass Fiber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중간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치수안정층이 백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는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백색지층이 제외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인쇄층(전사층)은 디자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백색지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예를 들어,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약 1 ㎛ 내지 약 1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마모층은 충격이나 바닥재로 사용 중에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층은 예를 들어, 약 0.05 mm 내지 약 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바닥재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하부에 적층되는 인쇄층의 무늬나 패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PVC층,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코팅층은 본 출원에서 의도하는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코팅층은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의 성분비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입자가 코팅층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분율은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비드는 필러로 코팅층에 포함되며, 코팅층이 형성될 때, 예를 들어, 코팅제가 도포된 후 경화되는 과정에서도 그 크기나 형상이 유지되며, 높은 경도를 통하여,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10 내지 25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코팅층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두께를 갖는 코팅층에서 알루미나 입자는 표면에 약간 돌출되거나 표면에 노출되어 존재하는 경우 특히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두껍거나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바닥재의 코팅층, 특히 내스크래치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팅층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코팅층의 두께는 알루미나 비드의 평균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알루미나 비드의 평균직경의 2배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다만, 엠보 등으로 인해 코팅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도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코팅층에 포함되는 알루미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입자는 구형의 비드 형상이다. 다만,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 내지 15 ㎛일 수 있다.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나 입자가 너무 작아서 표면에 드러나기 어려워, 본 출원이 의도하는 내스크래치성을 달성하기 어렵고, 반대로,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이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나 입자가 너무 커서, 코팅성에 문제가 있고, 코팅액의 보관이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으며, 코팅층으로부터 알루미나이 탈락될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알루미나의 표면 분포도가 달라질 것이 때문에 알루미나 입자의 직경과 코팅 두께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이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층의 단면 및 표면 각각에서 알루미나 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가 바람직하다. 면적 비율 9 %를 넘기 위해서는 상기 명시한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롤 코팅 방식에서는 롤에서 알루미나 입자가 뭉쳐 굳어 버리거나, 스프레이 코팅 방식에서는 분사 구멍에 알루미나 입자가 과다 투입되어 막히는 등 코팅성에 문제가 있어, 상한을 9 %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바닥재는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이 MSR-B2 등급 이상일 수 있다.EN16094:2012의 기준에 따른 내스크래치성은 소정의 크기(예를 들어, 15x15cm)의 샘플 표면에 4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 3M社의 Scoth Brite TM Product number.7440 (brown))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이 하중을 증가시켜 수행한 테스트를 통해 B2 등급 이상을 얻을 수 있다. 즉, 소정의 크기(예를 들어, 15x15cm)의 바닥재 샘플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3M社의 Scoth Brite TM Product number.7440 (brown))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한다.
하기 표 1에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 판단 기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하중을 6 N로 증가시킨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등급을 측정한다.
Figure PCTKR2021001114-appb-img-0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바닥재는 전술한 테스트에서 약간의 스크래치만 발생하거나 전혀 어떠한 스크래치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스크래치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또한,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우수한 내한성을 나타낸다.
내한성은 샘플에 대하여 소정의 질량을 갖는 추를 소정의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깨지지 않는 최저온도를 찾는 실험으로 온도를 변수로 하여 판단한다.
일 예시로서, 내한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서, 2cm X 10cm 크기의 샘플을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샘플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한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대한 상기 전술한 테스트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가 -5 °C 이하일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5 °C 이하, -10 °C 이하, -9 °C 이하, -8 °C 이하, -7 °C 이하, 또는 -6 °C 이하일 수 있다. 바닥재의 내한성이 전술한 범위와 같이 영하 이하의 온도를 만족함으로써, 온도가 낮은 곳에서 바닥재를 시공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테스트에서 상업용 바닥재와 주거용 바닥재가 필요로 하는온도 기준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업용은 -5 °C 이고, 주거용은 -20 °C 일 수 있다. 즉, 바닥재는 상기의 내한성 테스트에서 -5 °C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바닥재를 시공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외관상 결함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고, 상업용 바닥재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은 본 출원의 바닥재는 전술한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기의 조성을 갖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모두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 관능기의 조합, 즉, 1관능 모노머와 3관능 모노머의 조합을 포함하여 코팅층의 경화밀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고, 특정 분자량의 3관능 올리고머를 더욱 포함하여 보다 질기고(tough) 치밀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끊어지지 않고 견디는 힘이 센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에 따른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경화밀도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알루미나 입자가 수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바닥재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극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우수한 내요오드성을 나타낸다.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테스트는 소정의 크기의 샘플에 요오드(포비돈)를 떨어뜨리고 1 분 후 닦아 냈을 때 자국이 남는 지 판별하는 테스트이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이러한 테스트에서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요오드가 깨끗하게 지워지는 바닥재이며, 오염성이 적은 것이다.
또한, 글로스(Gloss), 구체적으로, BYK(Micro-TRI-gloss) 광택도 측정기로 60° 조건 하에서 측정한 광택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광택도는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출원의 의도에 따라 유광 또는 무광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코팅층은 코팅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코팅용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은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알루미나 입자의 함량은 내스크래치성에 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용 조성물 내 알루미나의 입자를 적절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코팅층 표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나의 면적분율을 0.9% 내지 9%로 제어할 수 있다.
알루미나의 경우, 본 출원이 의도하는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상한의 설정보다는 하한의 설정이 중요하다. 다만, 코팅성(작업성)이나 처리제의 보관안정성적인 관점에서는 그 상한을 250 중량부, 200 중량부, 150 중량부, 10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상한이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되어 수지를 형성하여 코팅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1관능 모노머 및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3관능 모노머를 12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16 중량부 이상, 18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2 중량부 이상, 24 중량부 이상, 또는 26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1관능 모노머 또는 3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1관능 모노머는 점도 조절제와 더불어 처리제의 반응성(경화밀도)을 올려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1관능 모노머는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CA(Caprolactone Acrylate), CTFA(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PBA(Phenoxy benzyl Acrylate), TMCHA(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HPA(Hydroxy propyl Acrylate), HEA(Hydroxy ethyl Acrylate), OPPEA(o-phenylphenol EO Acrylate), TBCHA(4-tert-butylcyclohexyl Acrylate), BZA(Benzyl Acrylate), BPMA(Biphenylmethyl Acrylate), LA(Lauryl Acrylate), IDA(Isodecyl Acrylate), PHEA(Phenol (EO) Acrylate), PHEA-2(Phenol (EO) 2 Acrylate), PHEA-4(Phenol (EO) 4 Acrylate), THFA(Tetrahydrofurfuryl Acrylate), NP(EO) 4A(Nonyl phenol (EO) 4 Acrylate), NP(EO) 8A(Nonyl phenol (EO) 8 Acrylate), NP(PO) 2A(Nonyl phenol (PO) 2 Acrylate), EOEOA(Ethoxy ethoxy Acrylate), SA(Staryl Acrylate), DMAA(Dimethylaminoethyl acrylate), 및 IBOA(Isobornyl Acy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3관능 모노머는 처리제의 반응성(경화밀도)을 올려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1관능 모노머와 3관능 모노머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1관능 모노머만을 사용한 조성물 대비, 보다 경화밀도를 증가시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3관능 모노머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TMPTA(Trimethylpropane Triacrylate), TMP(EO) 3TA(Trimethylopropane (EO) 3 Triacrylate), TMP(EO) 6TA(Trimethylopropane (EO) 6 Triacrylate), TMP(EO) 9TA(Trimethylopropane (EO) 9 Triacrylate), TMP(EO) 15TA(Trimethylopropane (EO) 15 Triacrylate), GPTA(Glycerine (PO) 3 Triacrylate), PETA(Pentaerylthritol Triacrylate), TMP(PO) 3TA(Trimethylopropane (PO) 3 Triacrylate), 및 THEICTA(Tris(2-hydroxyehtyl)isocyanurate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50 중량부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하한은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또는 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30 중량부 이하, 10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리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알루미나 입자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하한이 5000 이상, 5500 이상, 6000 이상, 6500 이상, 또는 7000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10000 이하, 9500 이하, 9000 이하, 8500 이하, 8000 이하, 7500 이하, 또는 7000 이하일 수 있다.
나아가,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과 함께, 중량이 상이한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포함되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내지 5000일 수 있으며, 그 하한은 2500 이상, 또는 3000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4500 이하, 4000 이하, 또는 3500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2관능 모노머 및 10 내지 150 중량부의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2관능 모노머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또는 40 중량부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13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110 중량부, 4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5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또는 52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2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모노머는 처리제의 반응성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2관능 모노머는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HDDA(1,6-Hexaneciol Diacrylate), DDDA(1,10-Decanediol Diacrylate), HD(EO)nDA(1,6-Hecanediol (EO)n Diacrylate), HPNDA(Ht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PO) 2DA(Neopentylglycol (PO) 2 Di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PGDA(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EGDA(Trieylene glycol Diacrylate), BPA(EO) 4DA(Bisphenol A (EA) 4 Diacrylate), BPA(EO) 3DA(Bisphenol A (EA) 3 Diacrylate), BPA(EO) 10DA(Bisphenol A (EA) 10 Diacrylate), BPA(EO) 20DA(Bisphenol A (EA) 20 Diacrylate), BPA(EO) 30DA(Bisphenol A (EA) 30 Diacrylate), TCDDA(Tricyl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EG400DA(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300DA(Polyethylene glycol 300 Diacrylate), PEG200DA(Polyethylene glycol 200 Diacrylate), PEG600DA(Polyethylene glycol 600 Diacrylate), BPF(EO) 4DA(Bisphenol F(EO) 4 Diacrylate), 및 PPG400DA(Polypropylene glycol 400 Diacrylate)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2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리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올리고머는 처리제의 반응성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하한이 1000 이상, 1100 이상, 1200 이상, 1300 이상, 또는 1400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3000 이하, 2900 이하, 2800 이하, 2700, 이하 또는 2600 이하일 수 있다.
코팅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포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첨가제의 함량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광제 각각은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의미 또는 역할 등에 대하여는 특별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각각의 함량은 하기와 같이 한정할 수 있다. 코팅용 조성물은 코팅용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25 중량부의 개시제, 2 내지 10 중량부의 분산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소포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웨팅제, 및 75 중량부 이하의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층으로서,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내스크래치층 상에 전술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 내지 표 4와 같은 성분 및 함량을 갖는 실시예 및 비교예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조성물의 각 조성 및 그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각 모노머와 올리고머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를 나타낸 것으로 수지 조성물 내 각 중량비를 의미할 수 있다.
표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된 첨가제의 각 조성 및 그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각 첨가제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를 나타낸 것이다.
표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코팅용 조성물에 포함된 알루미나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고, 알루미나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5에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각각의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을 정리하였다.
수지 조성물 조성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관능 모노머 IBOA 30 20 30 35 35 30 30 30
1관능 모노머 PHEA - 15 - - - - - -
2관능 모노머 HDDA 20 15 20 15 15 20 20 20
3관능 모노머 TMPTA 10 10 10 10 10 10 10 10
2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3000)
20 20 20 20 20 20 20 20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3000-5000)
- 10 - - - - - -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5000-10000)
20 10 20 - - 20 20 20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0-15000)
- - - 20 - - - -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3000)
- - - - 20 - - -
IBOA : Isobornyl Acyrylate
PHEA : Phenol (EO) Acrylate
HDDA : 1,6-Hexaneciol Diacrylate
TMTPA :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첨가제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개시제 3 3 3 3 3 3 3 3
분산제 1 1 1 1 1 1 1 1
소포제 1 1 1 1 1 1 1 1
웨팅제 1 1 1 1 1 1 1 1
소광제 8 8 8 8 8 8 8 8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알루미나 8 8 30 8 8 0 1 4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 1.17 1.17 3.4 1.17 1.17 0 0.27 0.81
바닥재의 제조
폴리염화비닐(PVC)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복합재로 이루어지고, 1.5 mm의 두께를 가지는 밸런스층, 상기 밸런스층 상에 발포폼층을 적층한 후, 상기 발포폼층 상에 아크릴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 다양한 무늬 및 문양을 인쇄하여 5 ㎛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층 상에 PVC 수지계로 이루어진 내마모층을 1 mm의 두께로 적층하고 70 °C 온도에서 열합지한다. 상기에서 표 2에 제시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상기 내마모층 상에 그라비아 롤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코팅하고 경화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스크래치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바닥재에 대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15x15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을 제작한 후 샘플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브러쉬는 3M社의 Scoth Brite TM Product number.7440 (brown) 을 이용하였다. 전술한 표 1에 나타낸 등급에 따라 등급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내스크래치성 B2 B2 B2 B3 B2 B5 B3 B3
[실험예 2]
내한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바닥재에 대하여 각각 내한성을 평가하였다.
내한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서, 2cm X 10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을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샘플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대한 테스트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저온 시공성 테스트로서, 25 M의 롤 형태로 말려있는 바닥재를 상기 내한성 테스트에서 -5 °C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보관한 이후, -5 °C의 온도에서 권취된 롤을 풀었을 때 펴짐성이 우수하여 시공이 용이하여 육안으로 관찰되는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롤을 풀었을 때 권취되어 있던 롤이 편평하게 펴지고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O, 롤이 굳어있어 펴짐성이 저하되어 크랙/및 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X로 표 7에 나타내었다.
단위(°C)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한성 -5 5 -15 10 0
저온 시공성 O X O X X
[실험예 3]
내요오드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바닥재 5종에 대하여 내요오드성을 평가하였다.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테스트는 소정의 크기의 바닥재 샘플에 요오드(포비돈)를 떨어뜨리고 1 분 후 닦아 냈을 때 자국이 남는 지 판별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요오드성 O O O
(△: 요오드가 일정부분 잔존함, O: 요오드가 깨끗하게 지워짐)
[실험예 4]
부착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바닥재 5종에 대하여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9에 크로스컷 분류기준(ASTM D3359)를 나타내었다.
부착성은 cross-cut test(ASTM D3359)로 진행하였으며, 1cm X 1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에 1mm간격으로 칼집을 낸 후 테스트 테이프를 접착시켰다가 떼어냈을 때 코팅층이 얼마만큼 떨어져 나갔는지를 판별하여 평가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분류 설명
5B 0% None
4B Less than 5%
3B 5-15%
2B 15-35%
1B 35-65%
0B Greater than 65%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착성 5B 5B 0B 0B 3B
실험 평가
실시예 1 은 내스크래치성이 B2이고, 내한성이 -5°C로 측정되는 바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극복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실시예 2의 경우에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가 2종으로 포함되었으며,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 이외에도 내요오드성까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내한성은 우수하나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2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 모두 불량하였다. 비교예 3은 내스크래치성은 양호하나 내한성이 불량하였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3은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이 모두 불량하거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 중 어느 하나가 불량하여, 트래이드-오프 관계를 극복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부착성은 모두 5B로 우수하였지만, 비교예들은 각각 0B, 0B, 3B로 평가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인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이 MSR-B2 등급 이상인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의 상기 바닥재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 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된 내스크래치성이 B2 등급 이상인 바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2cm X 10cm 크기의 상기 바닥재를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상기 바닥재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내한성 실험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는 -5°C 이하인 바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 ㎛인 바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직경은 5 내지 15 ㎛ 이하인 바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바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밸런스층, 중간층, 치수안정층, 인쇄층 및 내마모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바닥재.
  9.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50 중량부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50 중량부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인 코팅용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2관능 모노머 및 10 내지 150 중량부의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25 중량부의 개시제, 2 내지 10 중량부의 분산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소포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웨팅제, 및 75 중량부 이하의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PCT/KR2021/001114 2020-02-14 2021-01-28 바닥재 WO20211622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8541 2020-02-14
KR10-2020-0018541 2020-02-14
KR1020200134083A KR102591394B1 (ko) 2020-02-14 2020-10-16 바닥재
KR10-2020-0134083 2020-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89A1 true WO2021162289A1 (ko) 2021-08-19

Family

ID=7729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114 WO2021162289A1 (ko) 2020-02-14 2021-01-28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6228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986A (ko) * 1996-12-26 1998-09-25 김기협 필름에 고내스크래치성 박막코팅을 부여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KR20080061581A (ko) * 2006-12-28 2008-07-03 (주)디피아이 홀딩스 광경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KR101168073B1 (ko) * 2011-09-28 2012-07-24 이성권 광 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경도 시트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KR20190074905A (ko) * 2017-12-20 2019-06-2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986A (ko) * 1996-12-26 1998-09-25 김기협 필름에 고내스크래치성 박막코팅을 부여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KR20080061581A (ko) * 2006-12-28 2008-07-03 (주)디피아이 홀딩스 광경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KR101168073B1 (ko) * 2011-09-28 2012-07-24 이성권 광 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경도 시트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KR20190074905A (ko) * 2017-12-20 2019-06-2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9674C (zh) 油墨涂层组合物、其固化方法、光导玻璃纤维和带状组件
WO2011081446A2 (en) Releas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94652B1 (ko) 화장시트
WO2018216969A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958189B2 (en) Ink for a polycarbonate substrate
WO2013118964A1 (ko) 탄성질감이 부여된 인몰드 전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951852A (zh) 涂层光纤
WO2019045346A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15605A (zh) 具有丙烯酸酯官能的面漆的自愈表面保护膜
KR20170084396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필름의 제조방법
WO2012008757A2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
WO2020080670A1 (ko) 치수안정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52919A1 (ko) 무광 코팅 조성물, 무광 코팅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62289A1 (ko) 바닥재
WO2010110528A1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7642A (ko) 무광 도료 조성물 및 무광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JPH06184484A (ja) 紫外線硬化型印刷用インキ組成物
WO2012141452A2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온 성형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하드코팅 형성용 시트
WO2018008817A1 (ko) 야간 반사 도료
WO2012015205A1 (en) Reflection sheet for backlight unit
CN113956779B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涂布剂、使用其的涂装建材
KR20210103918A (ko) 바닥재
WO2017030286A1 (ko) 바닥재용 표면처리 조성물 및 바닥재
WO2022092699A1 (ko) 논슬립 특성이 우수한 바닥 장식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052989A1 (ko) 투명 플라스틱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541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2.01.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541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