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18A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18A
KR20210103918A KR1020200134083A KR20200134083A KR20210103918A KR 20210103918 A KR20210103918 A KR 20210103918A KR 1020200134083 A KR1020200134083 A KR 1020200134083A KR 20200134083 A KR20200134083 A KR 20200134083A KR 20210103918 A KR20210103918 A KR 2021010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flooring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394B1 (ko
Inventor
탁효원
박민경
최태이
전주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PCT/KR2021/0011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62289A1/ko
Publication of KR202101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재{FLOORING SHEET}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는 주거용 바닥재와 상업용 바닥재로 나뉠 수 있다. 주거용 바닥재와 달리 상업용 바닥재는 신발을 신고 다니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도와 경화밀도를 향상시키게 되면,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을 때, 바닥재를 운송하는 도중 코팅층이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짐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코팅층을 통해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코팅층의 부착력 또한 우수하고, 추가적으로 내요오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측면은 바닥재를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바닥재는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코팅층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코팅층의 표면에서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인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코팅용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 및 8 내지 250 중량부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요오드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를 극복하여,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짐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내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코팅층에 포함되는 알루미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코팅층은 알루미나(Al2O3) 입자를 포함하며, 이는 구형의 입자이며 알루미나 비드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특히 알루미나 입자가 코팅층에 위치될 때, 특히 코팅층의 표면에 일정 면적 분율로 포함되는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나가 우수한 경도를 나타내며, 필러로서 코팅층에 포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하, 이러한 알루미나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 구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바닥재의 구체적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바닥재 및 코팅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바닥재 및 코팅용 조성물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재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된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재층은 밸런스층, 중간층, 치수안정층, 인쇄층 및 내마모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추가의 층이 포함될 수 도 있으며, 전술한 층이 생략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재는 기재층 상에 순서로 적층된 밸런스층(110), 중간층(120), 치수안정층(130), 인쇄층(140), 내마모층(150) 및 코팅층(160)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순서로 적층된 바닥재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층이 제외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며, 각 층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바닥재는 어느 한 층의 일면에 소정의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경화 또는 열경화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각각의 층을 필름 또는 시트로서 형성한 후 이들을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합판 공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밸런스층은 제품의 구조 밸런스를 확보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바닥재의 최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은 약 50 ㎛ 내지 약 20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층은 발포폼층 또는 비발포폼층일 수 있다. 주거용인 경우 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업용인 경우 비발포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폼층은 보행자의 보행감을 개선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밸런스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층은 보행감을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1 내지 10t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비발포폼층은 1 내지 4t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치수안정층은 Glass Fiber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중간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치수안정층이 백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출원에서는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백색지층이 제외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인쇄층(전사층)은 디자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백색지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예를 들어,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약 1 ㎛ 내지 약 1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마모층은 충격이나 바닥재로 사용 중에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마모층은 예를 들어, 약 0.05 mm 내지 약 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상기 바닥재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하부에 적층되는 인쇄층의 무늬나 패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PVC층,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코팅층은 본 출원에서 의도하는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코팅층은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의 성분비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입자가 코팅층의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분율은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비드는 필러로 코팅층에 포함되며, 코팅층이 형성될 때, 예를 들어, 코팅제가 도포된 후 경화되는 과정에서도 그 크기나 형상이 유지되며, 높은 경도를 통하여, 바닥재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10 내지 25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코팅층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두께를 갖는 코팅층에서 알루미나 입자는 표면에 약간 돌출되거나 표면에 노출되어 존재하는 경우 특히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나치게 두껍거나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는 바닥재의 코팅층, 특히 내스크래치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팅층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코팅층의 두께는 알루미나 비드의 평균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알루미나 비드의 평균직경의 2배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다만, 엠보 등으로 인해 코팅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도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코팅층에 포함되는 알루미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나 입자는 구형의 비드 형상이다. 다만,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 내지 15 ㎛일 수 있다.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미만인 경우에는 알루미나 입자가 너무 작아서 표면에 드러나기 어려워, 본 출원이 의도하는 내스크래치성을 달성하기 어렵고, 반대로,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이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나 입자가 너무 커서, 코팅성에 문제가 있고, 코팅액의 보관이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으며, 코팅층으로부터 알루미나이 탈락될 수 있다.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알루미나의 표면 분포도가 달라질 것이 때문에 알루미나 입자의 직경과 코팅 두께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이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의 표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층의 단면 및 표면 각각에서 알루미나 입자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가 바람직하다. 면적 비율 9 %를 넘기 위해서는 상기 명시한 중량부를 초과하는 양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롤 코팅 방식에서는 롤에서 알루미나 입자가 뭉쳐 굳어 버리거나, 스프레이 코팅 방식에서는 분사 구멍에 알루미나 입자가 과다 투입되어 막히는 등 코팅성에 문제가 있어, 상한을 9 %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바닥재는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이 MSR-B2 등급 이상일 수 있다.EN16094:2012의 기준에 따른 내스크래치성은 소정의 크기(예를 들어, 15x15cm)의 샘플 표면에 4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 3M社의 Scoth BriteTM Product number.7440 (brown))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이 하중을 증가시켜 수행한 테스트를 통해 B2 등급 이상을 얻을 수 있다. 즉, 소정의 크기(예를 들어, 15x15cm)의 바닥재 샘플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3M社의 Scoth BriteTM Product number.7440 (brown))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한다.
하기 표 1에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 판단 기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하중을 6 N로 증가시킨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등급을 측정한다.
Resistance class Scratch picture Explanation
MSR-B1
Figure pat00001
No visible scratches
MSR-B2
Figure pat00002
Only few scratches
MSR-B3
Figure pat00003
Manywell visible scratches
MSR-B4
Figure pat00004
A great many well visible raw and fine scratches,Lissajous figure partly visible
MSR-B5
Figure pat00005
Mix of Lissajous figure and great many scratces, mat abrasion like area in the middle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바닥재는 전술한 테스트에서 약간의 스크래치만 발생하거나 전혀 어떠한 스크래치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스크래치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또한,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우수한 내한성을 나타낸다.
내한성은 샘플에 대하여 소정의 질량을 갖는 추를 소정의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깨지지 않는 최저온도를 찾는 실험으로 온도를 변수로 하여 판단한다.
일 예시로서, 내한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서, 2cm X 10cm 크기의 샘플을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샘플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한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대한 상기 전술한 테스트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가 -5 °C 이하일 수 있고, 더욱 자세하게는, 5 °C 이하, -10 °C 이하, -9 °C 이하, -8 °C 이하, -7 °C 이하, 또는 -6 °C 이하일 수 있다. 바닥재의 내한성이 전술한 범위와 같이 영하 이하의 온도를 만족함으로써, 온도가 낮은 곳에서 바닥재를 시공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테스트에서 상업용 바닥재와 주거용 바닥재가 필요로 하는온도 기준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업용은 -5 °C 이고, 주거용은 -20 °C 일 수 있다. 즉, 바닥재는 상기의 내한성 테스트에서 -5 °C 이하를 만족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바닥재를 시공하거나 운송하는 과정에서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외관상 결함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을 수 있고, 상업용 바닥재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은 본 출원의 바닥재는 전술한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기의 조성을 갖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모두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 관능기의 조합, 즉, 1관능 모노머와 3관능 모노머의 조합을 포함하여 코팅층의 경화밀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고, 특정 분자량의 3관능 올리고머를 더욱 포함하여 보다 질기고(tough) 치밀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끊어지지 않고 견디는 힘이 센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에 따른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경화밀도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알루미나 입자가 수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스크래치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바닥재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극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우수한 내요오드성을 나타낸다.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테스트는 소정의 크기의 샘플에 요오드(포비돈)를 떨어뜨리고 1 분 후 닦아 냈을 때 자국이 남는 지 판별하는 테스트이다. 다만 이러한 테스트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테스트일 뿐이다.
이러한 테스트에서 본 출원의 바닥재는 요오드가 깨끗하게 지워지는 바닥재이며, 오염성이 적은 것이다.
또한, 글로스(Gloss), 구체적으로, BYK(Micro-TRI-gloss) 광택도 측정기로 60° 조건 하에서 측정한 광택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광택도는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출원의 의도에 따라 유광 또는 무광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용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코팅층은 코팅용 조성물의 경화물로, 코팅용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및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나 입자는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층은 수지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알루미나 입자의 함량은 내스크래치성에 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용 조성물 내 알루미나의 입자를 적절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코팅층 표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나의 면적분율을 0.9% 내지 9%로 제어할 수 있다.
알루미나의 경우, 본 출원이 의도하는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상한의 설정보다는 하한의 설정이 중요하다. 다만, 코팅성(작업성)이나 처리제의 보관안정성적인 관점에서는 그 상한을 250 중량부, 200 중량부, 150 중량부, 10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상한이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되어 수지를 형성하여 코팅층을 구성하는 것으로, 1관능 모노머 및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3관능 모노머를 12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16 중량부 이상, 18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2 중량부 이상, 24 중량부 이상, 또는 26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55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하, 4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또는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1관능 모노머 또는 3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1관능 모노머는 점도 조절제와 더불어 처리제의 반응성(경화밀도)을 올려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1관능 모노머는 1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CA(Caprolactone Acrylate), CTFA(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 PBA(Phenoxy benzyl Acrylate), TMCHA(Trimethyl cyclohexyl Acrylate), HPA(Hydroxy propyl Acrylate), HEA(Hydroxy ethyl Acrylate), OPPEA(o-phenylphenol EO Acrylate), TBCHA(4-tert-butylcyclohexyl Acrylate), BZA(Benzyl Acrylate), BPMA(Biphenylmethyl Acrylate), LA(Lauryl Acrylate), IDA(Isodecyl Acrylate), PHEA(Phenol (EO) Acrylate), PHEA-2(Phenol (EO)2 Acrylate), PHEA-4(Phenol (EO)4 Acrylate), THFA(Tetrahydrofurfuryl Acrylate), NP(EO)4A(Nonyl phenol (EO)4 Acrylate), NP(EO)8A(Nonyl phenol (EO)8 Acrylate), NP(PO)2A(Nonyl phenol (PO)2 Acrylate), EOEOA(Ethoxy ethoxy Acrylate), SA(Staryl Acrylate), DMAA(Dimethylaminoethyl acrylate), 및 IBOA(Isobornyl Acy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3관능 모노머는 처리제의 반응성(경화밀도)을 올려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1관능 모노머와 3관능 모노머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1관능 모노머만을 사용한 조성물 대비, 보다 경화밀도를 증가시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3관능 모노머는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TMPTA(Trimethylpropane Triacrylate), TMP(EO)3TA(Trimethylopropane (EO)3 Triacrylate), TMP(EO)6TA(Trimethylopropane (EO)6 Triacrylate), TMP(EO)9TA(Trimethylopropane (EO)9 Triacrylate), TMP(EO)15TA(Trimethylopropane (EO)15 Triacrylate), GPTA(Glycerine (PO)3 Triacrylate), PETA(Pentaerylthritol Triacrylate), TMP(PO)3TA(Trimethylopropane (PO)3 Triacrylate), 및 THEICTA(Tris(2-hydroxyehtyl)isocyanurate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50 중량부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하한은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또는 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30 중량부 이하, 10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리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알루미나 입자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하한이 5000 이상, 5500 이상, 6000 이상, 6500 이상, 또는 7000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10000 이하, 9500 이하, 9000 이하, 8500 이하, 8000 이하, 7500 이하, 또는 7000 이하일 수 있다.
나아가,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서로 다른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0000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과 함께, 중량이 상이한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되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로 포함되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내지 5000일 수 있으며, 그 하한은 2500 이상, 또는 3000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4500 이하, 4000 이하, 또는 3500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2관능 모노머 및 10 내지 150 중량부의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2관능 모노머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또는 40 중량부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130 중량부, 30 중량부 내지 110 중량부, 4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5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또는 52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2관능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모노머는 처리제의 반응성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2관능 모노머는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서, HDDA(1,6-Hexaneciol Diacrylate), DDDA(1,10-Decanediol Diacrylate), HD(EO)nDA(1,6-Hecanediol (EO)n Diacrylate), HPNDA(Htdroxy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NPG(PO)2DA(Neopentylglycol (PO)2 Di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DPGDA(D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EGDA(Trieylene glycol Diacrylate), BPA(EO)4DA(Bisphenol A (EA)4 Diacrylate), BPA(EO)3DA(Bisphenol A (EA)3 Diacrylate), BPA(EO)10DA(Bisphenol A (EA)10 Diacrylate), BPA(EO)20DA(Bisphenol A (EA)20 Diacrylate), BPA(EO)30DA(Bisphenol A (EA)30 Diacrylate), TCDDA(Tricyl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EG400DA(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300DA(Polyethylene glycol 300 Diacrylate), PEG200DA(Polyethylene glycol 200 Diacrylate), PEG600DA(Polyethylene glycol 600 Diacrylate), BPF(EO)4DA(Bisphenol F(EO)4 Diacrylate), 및 PPG400DA(Polypropylene glycol 400 Diacrylate)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2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리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재용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올리고머는 처리제의 반응성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3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하한이 1000 이상, 1100 이상, 1200 이상, 1300 이상, 또는 1400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3000 이하, 2900 이하, 2800 이하, 2700, 이하 또는 2600 이하일 수 있다.
코팅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포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첨가제의 함량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광제 각각은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의미 또는 역할 등에 대하여는 특별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만, 각각의 함량은 하기와 같이 한정할 수 있다. 코팅용 조성물은 코팅용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25 중량부의 개시제, 2 내지 10 중량부의 분산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소포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웨팅제, 및 75 중량부 이하의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운송 중 코팅층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층으로서,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내스크래치층 상에 전술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코팅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함량을 갖는 코팅용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하기에서 각 모노머, 올리고머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를 나타낸 것으로 수지 조성물 내 각 중량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및 알루미나 역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하기 표 2에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각각의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을 정리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관능 모노머 IBOA 30 20 30 35 35 30 30 30
1관능 모노머 PHEA - 15 - - - - - -
2관능 모노머 HDDA 20 15 20 15 15 20 20 20
3관능 모노머 TMPTA 10 10 10 10 10 10 10 10
2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3000) 20 20 20 20 20 20 20 20
3관능 알리파틱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3000-5000)
- 10 - - - - - -
3관능 알리파틱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5000-10000)
20 10 20 - - 20 20 20
3관능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0-15000)
- - - 20 - - - -
3관능 알리파틱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MW: 1000-3000)
- - - - 20 - - -



개시제 3 3 3 3 3 3 3 3
분산제 1 1 1 1 1 1 1 1
소포제 1 1 1 1 1 1 1 1
웨팅제 1 1 1 1 1 1 1 1
소광제 8 8 8 8 8 8 8 8
알루미나 8 8 30 8 8 - 1 4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 1.17 3.4 1.17 0 0.27 0.81
바닥재의 제조
폴리염화비닐(PVC)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복합재로 이루어지고, 1.5 mm의 두께를 가지는 밸런스층, 상기 밸런스층 상에 발포폼층을 적층한 후, 상기 발포폼층 상에 아크릴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 다양한 무늬 및 문양을 인쇄하여 5 ㎛ 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하며, 상기 인쇄층 상에 PVC 수지계로 이루어진 내마모층을 1 mm의 두께로 적층하고 70 °C 온도에서 열합지한다. 상기에서 표 2에 제시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상기 내마모층 상에 그라비아 롤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코팅하고 경화하여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스크래치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바닥재에 대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15x15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을 제작한 후 샘플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브러쉬는 3M社의 Scoth BriteTM Product number.7440 (brown) 을 이용하였다. 전술한 표 1에 나타낸 등급에 따라 등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내스크래치성 B2 B2 B2 B3 B2 B5 B3 B3
[실험예 2]
내한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바닥재에 대하여 각각 내한성을 평가하였다.
내한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서, 2cm X 10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을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샘플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대한 테스트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저온 시공성 테스트로서, 25 M의 롤 형태로 말려있는 바닥재를 상기 내한성 테스트에서 -5 °C의 온도에서 60분 이상 보관한 이후, -5 °C의 온도에서 권취된 롤을 풀었을 때 펴짐성이 우수하여 시공이 용이하여 육안으로 관찰되는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롤을 풀었을 때 권취되어 있던 롤이 편평하게 펴지고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O, 롤이 굳어있어 펴짐성이 저하되어 크랙/및 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X로 표 4에 나타내었다.
단위(°C)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한성 -5 5 -15 10 0
저온 시공성 O X O X X
[실험예 3]
내요오드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바닥재 5종에 대하여 내요오드성을 평가하였다.
내요오드성을 판단하는 테스트는 소정의 크기의 바닥재 샘플에 요오드(포비돈)를 떨어뜨리고 1 분 후 닦아 냈을 때 자국이 남는 지 판별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요오드성 O O O
(△: 요오드가 일정부분 잔존함, O: 요오드가 깨끗하게 지워짐)
[실험예 4]
부착성 평가
전술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한 바닥재 5종에 대하여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6에 크로스컷 분류기준(ASTM D3359)를 나타내었다.
부착성은 cross-cut test(ASTM D3359)로 진행하였으며, 1cm X 1cm 크기의 바닥재 샘플에 1mm간격으로 칼집을 낸 후 테스트 테이프를 접착시켰다가 떼어냈을 때 코팅층이 얼마만큼 떨어져 나갔는지를 판별하여 평가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분류 설명
5B 0% None
4B Less than 5%
3B 5-15%
2B 15-35%
1B 35-65%
0B Greater than 65%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착성 5B 5B 0B 0B 3B
실험 평가
실시예 1 은 내스크래치성이 B2이고, 내한성이 -5°C로 측정되는 바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극복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실시예 2의 경우에는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가 2종으로 포함되었으며,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 이외에도 내요오드성까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내한성은 우수하나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2는 내스크래치성 및 내한성 모두 불량하였다. 비교예 3은 내스크래치성은 양호하나 내한성이 불량하였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3은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이 모두 불량하거나, 내스크래치성과 내한성 중 어느 하나가 불량하여, 트래이드-오프 관계를 극복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부착성은 모두 5B로 우수하였지만, 비교예들은 각각 0B, 0B, 3B로 평가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밸런스층
120: 중간층
130: 치수안정층
140: 인쇄층
150: 내마모층
160: 코팅층

Claims (14)

  1. 기재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면적비율은 0.9 % 내지 9 %인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EN16094:2012의 기준에 따라 측정된 내스크래치성(Micro Scratch Resistance)이 MSR-B2 등급 이상인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의 상기 바닥재 표면에 6 N 하중을 인가한 후, 브러쉬(brush) 로 160회 표면 회전 후 육안으로 판단된 내스크래치성이 B2 등급 이상인 바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2cm X 10cm 크기의 상기 바닥재를 반으로 접어, 소정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는 메탄올이 수용된 수조에 5분 동안 담지한 후, 상기 바닥재에 2.5kg 중량의 추를 5cm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샘플의 접힌 부분에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내한성 실험에서, 크랙 및/또는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는 온도는 -5°C 이하인 바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 내지 50 ㎛인 바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직경은 5 내지 15 ㎛ 이하인 바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바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밸런스층, 중간층, 치수안정층, 인쇄층 및 내마모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바닥재.
  9.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75 중량부의 3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50 중량부의 알루미나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50 중량부의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인 코팅용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관능 모노머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100 중량부의 2관능 모노머 및 10 내지 150 중량부의 2관능 알리파틱 올리고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 내지 25 중량부의 개시제, 2 내지 10 중량부의 분산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소포제, 2 내지 10 중량부의 웨팅제, 및 75 중량부 이하의 소광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
KR1020200134083A 2020-02-14 2020-10-16 바닥재 KR10259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1114 WO2021162289A1 (ko) 2020-02-14 2021-01-28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41 2020-02-14
KR20200018541 2020-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18A true KR20210103918A (ko) 2021-08-24
KR102591394B1 KR102591394B1 (ko) 2023-10-20

Family

ID=7750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83A KR102591394B1 (ko) 2020-02-14 2020-10-16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3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65A (ko) * 1998-11-11 1999-10-05 성재갑 우수한내오염성을가진바닥장식재및그제조방법
US20160289980A1 (en) * 2015-04-03 2016-10-06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Scratch resistant coating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US20180230324A1 (en) * 2017-02-14 2018-08-16 Mannington Mills, Inc. Flooring Coating Formulation And Floor Covering Having Wear Layer Formed With Same
KR20190074905A (ko) * 2017-12-20 2019-06-2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2241A (ko) * 2018-03-23 2019-10-04 주식회사 세인 바닥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65A (ko) * 1998-11-11 1999-10-05 성재갑 우수한내오염성을가진바닥장식재및그제조방법
US20160289980A1 (en) * 2015-04-03 2016-10-06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Scratch resistant coating
KR101725026B1 (ko) * 2016-12-06 2017-04-07 황중국 고강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강도 하드코팅 액정보호필름
US20180230324A1 (en) * 2017-02-14 2018-08-16 Mannington Mills, Inc. Flooring Coating Formulation And Floor Covering Having Wear Layer Formed With Same
KR20190074905A (ko) * 2017-12-20 2019-06-28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2241A (ko) * 2018-03-23 2019-10-04 주식회사 세인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394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1014B2 (ja) 化粧材
CN105555534B (zh) 含聚(甲基)丙烯酰亚胺系树脂层的透明多层膜及其制造方法
CN100519674C (zh) 油墨涂层组合物、其固化方法、光导玻璃纤维和带状组件
CN101218094B (zh) 包含转印hdf的地板及其制造方法
CN101680971B (zh) 防眩性透光性硬涂膜
US20180230324A1 (en) Flooring Coating Formulation And Floor Covering Having Wear Layer Formed With Same
CN102529492A (zh) 具有耐刮擦饰面的顶层的安全和/或贵重文件
AU2015411754B2 (en) Topcoat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substrates with the same, and substrate
US8790768B2 (en) Coa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CN105143369A (zh) 涂料组合物
KR101324840B1 (ko) 3d 무늬가 형성된 보드의 제조방법
KR20210103918A (ko) 바닥재
CN101563223B (zh) 装饰片及使用该装饰片的装饰板
JP6064335B2 (ja) 床材表面用積層体
KR100762766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도막의 형성 방법
KR100496467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표면강화 합판마루 바닥재
KR102102639B1 (ko) 열교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CN113943530B (zh) 水性uv固化涂料组合物
WO2021162289A1 (ko) 바닥재
JP2000219712A (ja) アクリレート系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床材塗装用組成物
KR20090091188A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CN113956779A (zh) 活性能量射线固化性涂布剂、使用其的涂装建材
KR20220056800A (ko) 논슬립 특성이 우수한 바닥 장식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440669B2 (ja) 化粧材
KR101319374B1 (ko) 내스크래치성 및 굴곡가공성이 우수한 하이그로시 데코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