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188A -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188A
KR20090091188A KR1020097012735A KR20097012735A KR20090091188A KR 20090091188 A KR20090091188 A KR 20090091188A KR 1020097012735 A KR1020097012735 A KR 1020097012735A KR 20097012735 A KR20097012735 A KR 20097012735A KR 20090091188 A KR20090091188 A KR 20090091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resin
surface protective
ven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731B1 (ko
Inventor
요시오 오까베
히로아끼 아오야마
세이지 구로다
히또시 니시까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5874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1008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6Wood, e.g. woodboard, fibreboard, wood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오목 모양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 및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이다. 베니어판의 나무 껍질이나 광택이 손상되지 않고, 의장으로서 시각적으로 깊이감과 요철감을 모두 갖고, 또한 내오염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 및 상기 화장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니어판, 프로필렌계 시트층, 화장판, 화장 시트, 저광택 인쇄층

Description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LATE USING THE DECORATIVE SHEET}
본 발명은, 벽면재나 조작재, 창호 등의 건장재(建裝材)나 가구 등의 표면 장식에 사용하는 베니어판으로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 및 그것을 기재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벽면재나 조작재, 창호 등의 건장재나 가구 등의 표면 장식에, 천연 목재인 무구재(無垢材)보다도 저렴한 재료로서, 합판, 파티클 보드, 고밀도 섬유판(HDF), 중밀도 섬유판(MDF) 등의 섬유판, 규산칼슘판이나 석고 보드 등의 무기질판 등의 기재의 표면에 나뭇결 모양 등의 화장을 실시한 화장판이 사용되고, 그중에서도 상기한 각종 기재의 표면에 천연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한 베니어판을 설치한 베니어판 화장판은, 천연 목재의 무구재와 대략 동등한 의장성을 가지므로, 천연 목재의 무구재와 비교하여 저렴한 고급 화장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베니어판 화장판이 구성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합판, 파티클 보드, 고밀도 섬유판(HDF), 중밀도 섬유판(MDF) 등의 섬유판, 규산칼슘판이나 석고 보드 등의 무기질판 등의 기재의 표면에 접착제를 통해 베니어판을 접착하고, 필요에 따라서 베니어판 표면에 도장을 실시한 것이지만, 베니어판 화장판은 사계절의 온도 변화나 습도의 변화에 의해 갈라짐(나뭇결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이 다발하고, 갈라짐의 정도가 심하면, 의류와 베니어판 화장판의 접촉에 의해 의류가 걸려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베니어판의 원료인 희귀목이 입수 곤란한 상황에 있어, 베니어판의 두께도 0.1 내지 0.3㎜와 박엽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갈라짐의 발생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갈라짐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기재와 베니어판을 접착하는 접착제를 개량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엘라스토머 접착제와 비(非) 사이딩지(siding紙)의 조합에 의해 갈라짐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며,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과 카르복실화 변성 합성 고무 라텍스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주제(主劑)와, 전분계 증량제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경화제를 혼합하고, 점도 조정에 필요한 양의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재와 베니어판을 접착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갈라짐 등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베니어판 화장판은, 상기한 문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노송나무와 같은 백색계의 베니어판의 경우에 베니어판 표면에 오염이 부착되었을 때 등에,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나, 베니어판이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시간 경과와 함께 변색되므로 당초의 흰 색조를 유지할 수 없어, 고급 이미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소58-5651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9-202801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베니어판의 나무 껍질이나 광택이 손상되지 않고, 의장으로서 시각적으로 깊이감과 요철감을 모두 갖고, 또한 내오염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 및 상기 화장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오목 모양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과 상기 표면 보호층 사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이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경화형 수지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것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베니어판의 다른 쪽 면에 초배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 중에서, 적어도 표출면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시트층 혹은 표면 보호층에 적어도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화장판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 시트를 접착제층을 통해 화장판용 기재에 접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은, 베니어판이 갖는 나무 껍질이나 광택을 그대로 살려, 천연목 특유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에 오목 모양을 형성하거나,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또한 시각적으로 깊이감과 요철감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내오염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 20 : 화장 시트
2, 12 : 프로필렌계 시트층
3, 13 : 프라이머층
4, 14 :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
5, 15 : 표면 보호층
6 : 오목 모양
7 : 접착제층
8 : 베니어판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도면 등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며, 도면 중 1, 10, 20은 화장 시트, 2, 12는 프로필렌계 시트층, 3, 13은 프라이머층, 4, 14는 저광택 인쇄층, 5, 15는 표면 보호층, 6은 오목 모양, 7은 접착제층, 8은 베니어판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로, 화장 시트(1)는 한쪽 면에 오목 모양(6)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2)의 상기 한쪽 면 전체면에 프라이머층(3)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3)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5)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의 다른 쪽 면에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7)을 통해 베니어판(8)을 적층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시트층(2)을 사이에 두고 베니어판(8)과 오목 모양(6)이 배치되게 되어, 깊이감(깊이)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며, 화장 시트(10)는 상기 프라이머층(3)과 상기 표면 보호층(5) 사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을 형성한 것이며, 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부가하여,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의 부분이 오목부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요철감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에 형성하는 상기 오목 모양(6)으로서는, 도관 홈이 적당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화장 시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며, 화장 시트(20)는 한쪽 면 전체면에 프라이머층(13)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13)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14)을 형성한 상기 한쪽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15)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12)을 상기 표면 보호층(15)이 표출되도록, 베니어판(7)의 한쪽 면에,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제층(7)을 통해 적층한 것이 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필렌계 시트층(12)을 사이에 두고 베니어판(8)과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14)이 배치되게 되어, 깊이감(깊이)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또한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14)의 부분이 오목부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되어, 요철감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14)은 도관 무늬 인쇄층이 적당하다.
다음에, 상기 화장 시트(1, 10, 20)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으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혹은 에틸렌, 부텐 등과 공중합한 2원 내지 3원의 랜덤 공중합체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시트를 들 수 있고, 이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은 베니어판(8)의 나무 껍질이나 광택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면 되는 것이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무착색의 시트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목 모양(6)은 프로필렌계 시트를 T다이 압출기로 제조할 때의 칠 롤을 엠보스판으로 함으로써, 시팅(sheeting)과 동시에 오목 모양(6)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평판 형상의 프로필렌계 시트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의 두께로서는 대개 60 내지 120㎛가 적당하고, 미연신의 상태, 혹은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한 상태 중 어떠한 상태라도 좋은 것이다. 두께가 60㎛ 미만인 경우, 프라이머층(3, 13)이나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할 때의 건조나 전자선 조사시의 열에 의해 열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120㎛ 초과에서는 비용 대비 효과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프로필렌계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주지의 역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좋은 것이다. 또한, 프로필렌계 시트는, 적절하게, 산화 방지재, 광 안정제, 자외선 방지제 등의 주지의 첨가제를 첨가한 것이라도 좋은 것이다.
다음에,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은, 이 층을 형성한 영역이 이 이외의 영역에 비해 저광택이 되는 영역(저광택 영역)이다. 이 기구에 대해서는 충분히 해명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과 이 표면에 설치되는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의 미경화물을 도포하였을 때에, 각 재료의 조합이나 도포 조건의 선택에 의해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의 수지 성분과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의 미경화물이 일부 용출, 분산, 혼합 등의 상호 작용을 발현하는 것에 의한 것이라 추측된다. 즉,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의 잉크와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의 미경화물에 있어서의 각각의 수지 성분은, 단시간에는 완전히 상용 상태가 되지 않고 현탁 상태가 되어,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상 또는 그 부근에 존재하고, 상기 현탁 상태가 된 부분이 광을 산란하여 저광택 영역을 이루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현탁 상태를 가진 상태에서 가교 경화하여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이 형성되므로, 상기 표면 보호층(5, 15) 중의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상의 영역이 적어도 저광택 영역이 되고, 눈의 착각에 의해, 그 영역이 오목부인 것처럼 인식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을 형성하는 잉크와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종류ㆍ도포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의 최표면은,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의 형성에 수반하여 융기하여, 볼록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의 표면이 이와 같이 볼록 형상을 가짐으로써, 이 부분에서도 광이 산란되므로, 더욱 시각적인 요철감이 강조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 형상의 높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 통상 2 내지 3㎛의 범위이다.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을 형성하는 잉크는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경화형 수지의 미경화물)과의 상호 작용을 일으키는 성질을 갖는 것이며, 경화형 수지 조성물(경화형 수지의 미경화물)과의 관련으로 적절하게 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의 비히클(vehicle)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혹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등 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선 형상으로 가교한 것, 혹은 그물코 형상으로 가교한 것 중 어느 것이라도 좋음)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과 알데히드류의 축합(아세탈화)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서는, 폴리비닐포르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폴리비닐프로피오날, 폴리비닐부티랄(부티랄 수지), 폴리비닐헥시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저광택 영역의 발현의 정도, 저광택 영역과 그 주위와의 광택차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하기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광택 조정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는 것이다. 광택 조정 수지의 혼합 비율은 비히클의 전체량에 대해 10 내지 90중량%의 범위이다. 이 범위이면, 저광택 영역 발현의 충분한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을 형성하는 잉크는, 무착색이라도, 안료 등의 착색제를 가하여 착색한 것이라도 좋은 것이지만, 안료에 의해 착색함으로써, 오목부가 한층 명확해져, 시각적으로 요철감과 깊이에 있어서 우수한 의장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 시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상에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이 형성되고,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을 구성하는 잉크와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을 구성하는 경화형 수지 조성물(경화형 수지의 미경화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상의 영역이 적어도 저광택 영역이 되 고, 눈의 착각에 의해 그 영역이 오목부인 것처럼 인식되는 것이다.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의 막 두께로서는, 인쇄 적성이나 경화형 수지 조성물(경화형 수지의 미경화물)과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면, 0.5㎛ 이상 5.0㎛ 이하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 잉크에 미립자로서, 체질 안료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질 안료를 배합함으로써, 광의 산란을 조장하여, 저광택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체질 안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탈크, 클레이, 황산바륨, 탄산바륨, 황산칼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들 중에서, 흡유도, 입경, 세공 용적 등의 재료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의장성, 백색도(whiteness), 잉크로서의 도포 안정성이 우수한 재료인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특히 미세 분말의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실리카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의 막 두께(㎛)보다 큰 것이면 좋은 것이며, 대개 1.0㎛ 이상이고, 또한 최대 입경으로서는, 표면 보호층(5, 15)의 막 두께(㎛)와의 관계에서 정해야 하는 것이지만, 표면 보호층(5, 15)의 막 두께는 화장 시트로서 요구되는 모든 물성(후가공 적성이나 사용시 적정)과 비용을 고려하면, 대개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평균 입경의 최적 범위로서는 2.0㎛ 이상 4.0㎛ 이하이다. 또한,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에 첨가하는 체질 안료의 배합량은, 체질 안료 이외의 잉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중량부가 적당하다. 5중량부 미만 에서는,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을 형성하는 인쇄 잉크 조성물에 충분한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할 수 없고, 15중량부 초과에서는, 저광택을 부여하는 효과의 저하가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은 도관 무늬 인쇄층이 적당하다.
다음에, 상기 표면 보호층(5, 15)에 대해 설명한다. 이 표면 보호층(5, 15)은 화장 시트(1, 10, 20)(도 1, 도 2, 도 3 참조)에 요구되는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그 두께는 1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이 막 두께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굽힘 가공하였을 때에 깨져, 백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경도가 단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므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이다.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또는 중합 촉진제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유기 술폰산염 등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 첨가되어, 유기 아민 등이 에폭시 수지에 첨가되 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라디칼 개시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된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열경화형 수지를 용액화하고,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주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동시에 경화 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의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 대개 1 내지 20g/㎡가 적당하고, 특히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하였을 때에는, 상기 막두께가 0.5㎛ 이상 5.0㎛ 이하이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0 내지 7.0㎛인 경우에는, 고형분으로 2 내지 10g/㎡가 적당하다.
다음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대해 설명한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 중합 반응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 구조로 변화하는 수지이다. 전리 방사선은, 전자기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가시 광선, 자외선(근자외선, 진공 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 등이 있다. 통상은 자외선이나 전자선이 사용된다. 자외선원으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190 내지 380㎚의 파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선원으로서는, 콕크로프트월튼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혹은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전자선으로서는, 100 내지 1000ke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keV의 것이 사용된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통상 2 내지 15Mrad 정도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프레폴리머 또는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이들 단량체, 프레폴리머 또는 폴리머는, 단체(單體)로 사용하거나, 혹은 복수종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전리 방사선이라 함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통상은 자외선 또는 전자선이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프레폴리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 프레폴리머는, 통상 분자량이 10000 정도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면 경화한 수지층의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표면 물성이 부족하다. 상기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공용할 수 있지만, 전리 방사선에서의 가교 경화 속도라는 면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빠르기 때문에, 고속도,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경화시키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유리하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프레폴리머로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형 에폭시 수지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우레탄계 비닐에테르, 에스테르계 비닐에테르 등의 비 닐에테르계 수지, 환형 에테르 화합물, 스피로 화합물 등의 프레폴리머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단관능 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상기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프레폴리머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의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힐러케톤,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에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프릴옥식소늄디알릴요오드실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 정도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도포법 및 도포량은, 열경화형 수지와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표면 보호층(5, 15)에, 한층 더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을 부여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무기물로서는 α-알루미나, 실리카, 카올리나이트, 산화철, 다이아몬드, 탄화규소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입자 형상은, 구 형상, 타원 형상, 다면 형상, 인편(鱗片) 형상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 형상이 바람직하다. 유기물로서는 가교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비즈를 들 수 있다. 입경은 통상 막 두께의 3 내지 200% 정도로 한다. 이들 중에서도 구 형상의 α-알루미나는,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의 향상에 대한 효과가 큰 것, 또한 구 형상의 입자를 비교적 얻기 쉬운 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 보호층(5)을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에 대한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80중량부이다.
다음에, 상기 프라이머층(3, 1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프라이머층(3, 13)은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과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또는 상기 표면 보호층(5, 15)과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층(3, 13)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로 하고, 롤 코트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적당한 도포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라이머층(3, 13)은, (i)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의 공중합체와, (ii)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i)의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의 공중합체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 성분(성분 A),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성분(성분 B),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성분 C)을 배합하여 반응시켜서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폴리머에 또한 디아민 등의 쇄연장제(성분 D)를 첨가하여 쇄연장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이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크릴 중합체 성분이 분자 중에 도입되어,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가 형성된다. 이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의 말단의 수산기를 (ii)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경화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A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직쇄상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직쇄상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내후성(특히 광 열화에 대한 특성)이 우수하고, 우레탄과 공중합하여 상용화(相溶化)하는 것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성분이 되는 것이며, 분자량 5000 내지 7000(중량 평균 분자량)의 것이 내후성, 접착성이 특히 양호하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성분 A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것만을 사용해도 좋지만, 한쪽 말단에 공역 이중결합이 남아 있는 것을 상기의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것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은 것이다. 공역 이중 결합이 남아 있는 아크릴 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하는 층, 예를 들어 상기 표면 보호층(5, 15)의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아크릴 중합체의 공역 이중 결합이 반응하므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의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 B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을 형성하 고, 공중합체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성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B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이 사용된다. 이 폴리에스테르디올로서는, 방향족 또는 스피로환 골격을 갖는 디올 화합물과 락톤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또는 에폭시 화합물과의 부가 반응 생성물, 이염기산과 디올의 축합 생성물, 및 환상(環狀)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메틸펜텐디올 등의 단쇄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단쇄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염기산으로서는, 아디핀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 바람직한 것은, 산 성분으로서 아디핀산 또는 아디핀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 특히 아디핀산이 바람직하고, 디올 성분으로서 3-메틸펜탄디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한 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프라이머층(3, 13)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와 상기 성분 C가 반응하여 형성되는 우레탄 수지 성분은, 상기 프라이머층(3, 13)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의 접착성에 기여한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 성분은, 상기 프라이머층(3, 13)에 있어서 내후성 및 내블로킹성에 기여한다. 우레탄 수지가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분자량은 상기 프라이머층에 유연성을 충분히 발휘 가능한 우레탄 수지를 얻을 수 있는 범위이면 좋고, 아디핀산 또는 아디핀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과, 3-메틸펜탄디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의 경우, 500 내지 5000(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 람직하다.
상기 성분 C는 1 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2,4,4)-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물성 및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 A 내지 성분 C를 반응시키는 경우의 아크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후술하는 쇄연장제의 합계의 수산기(아미노기의 경우도 있음)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잉이 되도록 한다.
상기한 3성분 A, B, C를 60 내지 120℃에서 2 내지 10시간 정도 반응시키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말단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성분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크릴 중합체 말단의 수산기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된 화합물도 혼재하고, 과잉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가 잔존한 상태의 프레폴리머가 형성된다. 이 프레폴리머에 쇄연장제로서, 예를 들어 이소포론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디아민을 부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상기 쇄연장제와 반응시키고, 쇄연장함으로써 아크릴 중합체 성분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의 분자 중에 도입되고,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i)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i)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에, (ii)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부 가하는 동시에, 도포법, 건조 후의 도포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점도로 조절한 도포액으로 이루어지고, 그라비아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의 주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머층(3, 13)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ii)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i)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가교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2가 이상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열변색 방지, 내후성의 점에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량체, 또는 이들 2량체, 3량체 등의 다량체, 혹은 이들 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부가한 유도체(아덕트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화장 시트(1, 10, 20)에 있어서는, 프라이머층(3)을 형성한 구성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는 높은 레벨의 요구에 따르는 화장 시트 사양이며, 요구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이들 프라이머층(3, 13)은 반드시 형성해야만 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3, 13)의 건조 후의 도포량으로서는, 1 내지 20g/㎡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g/㎡이다. 또한, 이 프라이머층(3, 13)은, 필요에 따라서 실리카 분말 등의 충전제, 광 안정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층으로 해도 좋은 것이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의 이면[상기 표면 보호층(5, 15)을 형성한 면의 반대면]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여,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과 베니어판(8)을 접착제층(7)을 통해 적층하여 화장 시트(1, 10, 20)로 할 때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이다.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의 이면에 형성하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접착력이 부족한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며, 이 프라이머층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상기한 프라이머층(3, 13)으로 설명한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접착제층(7)은, 예를 들어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로 형성한 것을 적절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7)은,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또는 12)과 베니어판(8)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또는 12)과 베니어판(8)이 적층되는 면측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의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폴리머층(3, 13) 부분에서 서술한 B 성분과 C 성분이 각각 사용된다.
또한, 상기 베니어판(8)으로서는, 천연 나무를 슬라이스하여 박판으로 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인재, 삼나무재, 노송나무재, 혹은 담색(淡色), 백색계의 천연 나무(원목)로부터 얻을 수 있는 베니어판이 적당하다. 상기 베니어판(8)의 두께로서는, 0.1 내지 0.5㎜가 적당하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상기 베니어판(8)의 이면[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을 형성한 면의 반대면]에, 갈라짐 등의 방지, 방수성의 향상, 혹은 가공 적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종이, 지간 강화지, 수지 함침지, 부직포, 직포, 혹 은 이들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사이에 두고 3층 구성으로 한, 예를 들어 지간 강화지/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지간 강화지, 혹은, 박엽지/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박엽지, 혹은 지간 강화지/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알루미늄박, 박엽지/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알루미늄박 등의 초배지를 접착제로 적층한 구성의 베니어판을 사용해도 좋은 것이고,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미연신 또는 연신 필름의 한쪽 면에, 알루미늄이나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등의 무기물의 증착을 실시한 증착 필름, 혹은 상기 증착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종이, 지간 강화지, 수지 함침지, 부직포, 직포 등을 접착층을 통해 적층한 초배지를 접착제로 적층한 구성의 베니어판을 사용해도 좋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베니어판(8)으로서, 파인재, 삼나무재, 노송나무재, 혹은 담색, 백색계의 천연 나무(원목)로부터 얻어지는 베니어판을 사용하기 위해,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시간 경과와 함께 변색되므로 당초의 흰 색조를 유지하여 고급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상기 표면 보호층(5, 15), 상기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4, 14), 상기 프라이머층(3, 13),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 상기 접착제층(7) 등의 상기 베니어판(8)보다 표면측에 위치하는 각 층에,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의 주지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나, 평균 입경이 5 내지 120㎚ 정도의 이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아연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혹은 힌다드아민계 등의 주지의 광 안정제, 혹은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등의 주지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지만, 적 어도 화장 시트(1, 10, 20)의 표출면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시트층(2, 12) 혹은 표면 보호층(5, 15)에는 상기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등의 주지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화장 시트(1, 10, 20)와 화장판용 기재를 접착제층을 통해 부착하여 화장판으로 하기 위한 상기 접착제층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계, 열경화형 수지계, 고무(엘라스토머)계 등의 어떤 타입의 접착제라도 좋은 것이다. 이들은, 공지의 것, 또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로스, 열가소성 에폭시,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열경화형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유리아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레조르시놀 수지, 플랜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벤트이미다졸, 폴리벤조티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접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재생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폴리설파이드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스테레오 고무(합성 천연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블록 코폴리머 고무(SBS, SIS, SEBS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장판으로 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화장판용 기재(도시하지 않음)로 서는, 중밀도 섬유판(MDF), 고밀도 섬유판(HDF), 파티클 보드, 합판 등의 목질계 기재, 혹은 시멘트판, 규산칼슘판, 석고 보드 등의 무기계 기재,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두께로서는, 금속판에 있어서는 0.5㎜ 두께 이상, 그 이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1.0㎜ 두께 이상이 실용상에 있어서 적당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한쪽 면에 도관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목 모양을 갖고, 코로나 방전 처리를 양면에 실시한 100㎛ 두께의 투명 폴리프로필렌 필름[리켄 테크노스 가부시끼가이샤제 : OW-E S-2클리어(상품명)]의 상기 도관 홈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아크릴/우레탄 블록 공중합체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 두께의 투명 프라이머층을, 다른 쪽 면에 우레탄/니트로셀룰로오스계 프라이머층을 각각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투명 프라이머층면 전체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콘 오일로 표면 피복한 실리카 16중량부를 배합하는 동시에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와 힌다드아민계 라디칼 포착제를 첨가한 것)을 도포하는 동시에 전자선(가속 전압 : 125KeV, 조사량 : 5Mrad)을 조사하여 5㎛ 두께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중간 시트를, 미리 한쪽 면에 초배지(지간 강화지 23g/㎡/PE 25㎛/지간 강화지 30g/㎡)를 접착한 0.3㎜ 두께의 베니어판(노송나무재)의 다른 쪽 면에 에멀전형 접착제[쥬오리까 가부시끼가이샤제 : 리카본드 BA-10L(100중량부)에 대해 BA-11B(5중량부)를 첨가한 접착제를 습윤 상태에서 6g/척2(≒65.35g/㎡) 도포]를 통해 상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적층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화장 시트를 3㎜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를 습윤 상태에서 8g/척2(≒87.14g/㎡)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화장 시트의 초배지가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접착한 본 발명 화장판을 제작하였다.
(제2 실시예)
한쪽 면에 도관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목 모양을 갖고, 코로나 방전 처리를 양면에 실시한 100㎛ 두께의 투명 폴리프로필렌 필름[리켄 테크노스 가부시끼가이샤제 : OW-E S-2클리어(상품명]의 상기 도관 홈을 설치한 면 전체면에 아크릴/우레탄 블록 공중합체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두께의 투명 프라이머층을, 다른 쪽 면에 우레탄/니트로셀룰로오스계 프라이머층을 각각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투명 프라이머층면에,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 글래스 전이 온도(Tg)가 -40.0℃인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비히클로 한 투명 인쇄 잉크 100중량부에 대해, 평균 입자계 4㎛의 실리카 입자 5중량부를 배합한 인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관 무늬층(본원 발명에서 말하는 패턴 형상 저광택 인 쇄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도관 무늬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콘 오일로 표면 피복한 실리카 16중량부를 배합하는 동시에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와 힌다드아민계 라디칼 포착제를 첨가한 것)을 도포하는 동시에 전자선(가속 전압 : 125KeV, 조사량 : 5Mrad)을 조사하여 5㎛ 두께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중간 시트를, 미리 한쪽 면에 초배지(지간 강화지 23g/㎡/PE 25㎛/지간 강화지 30g/㎡)를 접착한 0.3㎜ 두께의 베니어판(노송나무재)의 다른 쪽 면에 에멀전형 접착제[쥬오리까 가부시끼가이샤제 : 리카본드 BA-10L(100중량부)에 대해 BA-11B(5중량부)를 첨가한 접착제를 습윤 상태에서 6g/척2(≒65.35g/㎡) 도포]를 통해 상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적층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화장 시트를 3㎜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를 습윤 상태에서 8g/척2(≒87.14g/㎡)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화장 시트의 초배지가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접착한 본 발명의 화장판을 제작하였다.
(제3 실시예)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120㎛ 두께의 투명 폴리프로필렌 필름[미쯔비시 가가꾸 MKV 가부시끼가이샤제 : PC008(상품명)]의 한쪽 면 전체면에 아크릴/우레탄 블록 공중합체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 두께의 투명 프라이머층을, 다른 쪽 면에 우레탄/니트로셀룰로오스계 프라이머층을 각각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형성하고, 그 후에, 상기 투명 프라이머층면에,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 글래스 전이 온도(Tg)가 -40.0℃의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비히클로 한 투명 인쇄 잉크 100중량부에 대해, 평균 입자계 4㎛의 실리카 입자 5중량부를 배합한 인쇄 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관 무늬층(본원 발명에서 말하는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도관 무늬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콘 오일로 표면 피복한 실리카 16중량부를 배합하는 동시에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와 힌다드아민계 라디칼 포착제를 첨가한 것)을 도포하는 동시에 전자선(가속 전압 : 125KeV, 조사량 : 5Mrad)을 조사하여 5㎛ 두께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중간 시트를, 미리 한쪽 면에 초배지(지간 강화지 23g/㎡/PE 25㎛/지간 강화지 30g/㎡)를 접착한 0.3㎜ 두께의 베니어판(노송나무재)의 다른 쪽 면에 에멀전형 접착제[쥬오리까 가부시끼가이샤제 : 리카본드 BA-10L(100중량부)에 대해 BA-11B(5중량부)를 첨가한 접착제를 습윤 상태에서 6g/척2(≒65.35g/㎡) 도포]를 통해 상기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적층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화장 시트를 3㎜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를 습윤 상태로 8g/척2(≒87.14g/㎡)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화장 시트의 초배지가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터기로 접착한 본 발명의 화장판을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제작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화장판에 대해, 내오염성, 내마모성, 광택의 평가를 하기하는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Figure 112009037092217-PCT00001
[평가 방법]
ㆍ내오염성 :
JAS 합판 오염 A 시험에 준하여, 구체적으로는 화장판을 절단하여 한 변이 10㎝인 사각형으로 한 것을 시험편으로 하고, 이를 수평하게 놓은 후, 시험편의 표면 보호층면에 일반 시판품 사무용 청색 잉크, 흑색 잉크(JIS S 6037 마킹 펜으로 정한 것), 및 적색 크레용(JIS S 6026으로 정한 것)으로, 각각 폭 10㎜로 10㎝ 길이의 직선을 그리고, 4시간 방치한 후, 에탄올을 함침한 천으로 닦고, 10cm 길이의 직선이 닦아 내어진 것을 양호라 하여 ○표로 나타내고, 닦아 내어지지 않은 것을 불량이라 하여 ×표로 나타내어 평가하였다.
ㆍ내마모성:
29.4㎪(300g/㎠)의 하중이 되도록 조정한 무게에, 스틸울(#0000)을 설치하여, 화장 시트의 표면을 20회 마찰하고, 표면 변화를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표면 변화가 전혀 확인되지 않는 것을 우량이라 하여 ○표로 나타내고, 표면 변화가 명백하게 확인되는 것을 불량이라 하여 ×표로 나타내어 평가하였다.
ㆍ광택의 평가:
글로스미터[무라카미 시끼사이 기주쯔 겡뀨쇼제:GMX-203(상품명)]를 사용하여, 입사각 60도의 조건에서, 저광택 영역(도관 무늬층의 영역)과 고광택 영역(도관 무늬층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글로스값을 측정하였다. 숫자가 높을수록 고광택인 것을 나타내고, 숫자가 낮을수록 저광택인 것을 나타낸다.
표 1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은, 베니어판 화장판과 마찬가지로, 베니어판 특유의 나무 껍질이나 광택을 그대로 살려 천연목 특유의 자연스러운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고, 또한 도관 홈 혹은 도관 홈과 도관 무늬층이 베니어판과 투명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베니어판 화장판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시각적으로 깊이감(깊이)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도관 무늬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영역(도관 무늬층의 영역)을 저광택 영역으로 하여 오목부로서 인식할 수 있고, 이 이외의 영역(도관 무늬층 이외의 영역)을 고광택 영역으로 하여 볼록부로서 인식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요철감이 있는 의장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등, 새로운 의장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베니어판을 포함하는 화장 시트 및 화장판은, 벽면제나 조작재, 창호 등의 건장재나 가구 장식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오목 모양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시트층과 상기 표면 보호층 사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
  3. 베니어판의 한쪽 면에, 패턴 형상 저광택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프로필렌계 시트층을, 상기 표면 보호층이 표출되도록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이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형 수지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인, 화장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니어판의 다른 쪽 면에 초배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장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 중에서, 적어도 표출면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시트층 혹은 표면 보호층에 적어도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는, 화장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시트를, 접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화장판용 기재에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KR1020097012735A 2006-12-22 2007-12-21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KR101456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5896 2006-12-22
JP2006345874A JP5141008B2 (ja) 2006-12-22 2006-12-22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JP-P-2006-345874 2006-12-22
JP2006345896 2006-12-22
PCT/JP2007/074671 WO2008078687A1 (ja) 2006-12-22 2007-12-21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188A true KR20090091188A (ko) 2009-08-26
KR101456731B1 KR101456731B1 (ko) 2014-10-31

Family

ID=3956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735A KR101456731B1 (ko) 2006-12-22 2007-12-21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6731B1 (ko)
WO (1) WO2008078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508A1 (de) * 2012-08-24 2014-02-26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Wand- oder Bodenpane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7253B2 (ja) * 2008-09-30 2014-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558121B2 (ja) * 2015-07-29 2019-08-14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CN114872486A (zh) * 2016-12-22 2022-08-09 凸版印刷株式会社 装饰材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005B2 (ja) * 1992-07-06 2001-04-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凹凸によるエンボステクスチャーと深みのある塗装感とを有する突板の製造方法
JP3672636B2 (ja) * 1995-09-28 2005-07-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板の製造方法
EP1800859B1 (en) * 2004-09-30 2014-03-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Dressed lumber
JP2006110929A (ja) * 2004-10-18 2006-04-27 Toppan Printing Co Ltd 外装用積層突板化粧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508A1 (de) * 2012-08-24 2014-02-26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Wand- oder Bodenpaneels
WO2014029887A1 (de) * 2012-08-24 2014-02-27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wand- oder bodenpaneels
CN103958213A (zh) * 2012-08-24 2014-07-30 阿卡曾塔板材型材有限公司 一种在墙或地板镶板上印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8687A1 (ja) 2008-07-03
KR101456731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67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그리고 그것들의 제조 방법
KR100876787B1 (ko)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
JP6791232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6561614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5145645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2017144599A (ja) 化粧材
JP5141008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WO2019189806A1 (ja) 浮造調木目化粧材
KR20090091188A (ko) 화장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
JP2006207343A (ja) 床材
JP2006207346A (ja) 床材
JP2008082119A (ja) 床材
KR20040085073A (ko) 바닥재용 적층체
JP2007077763A (ja) 床材
JP2023036666A (ja) 浮造調木目化粧材
JP2009297896A (ja) 床用化粧材
JP2006225935A (ja) 複合基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床材
JP2006046053A (ja) 床材
JP2009074255A (ja) 床材
JP5141842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6036044B2 (ja) 床用化粧材
JP2008240423A (ja) 床材
JP5407253B2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1635B2 (ja) 化粧材
JP4440669B2 (ja) 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