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41267A1 -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41267A1
WO2021141267A1 PCT/KR2020/018415 KR2020018415W WO2021141267A1 WO 2021141267 A1 WO2021141267 A1 WO 2021141267A1 KR 2020018415 W KR2020018415 W KR 2020018415W WO 2021141267 A1 WO2021141267 A1 WO 20211412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insulator
bridge
st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4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영환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15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8827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150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88270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58,41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37924A1/en
Priority to CN202080091748.0A priority patent/CN114902533A/zh
Publication of WO20211412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412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Definitions

  • 24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insulator.
  •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haft is called the axial direction
  •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is called the radial direction
  • the direction along a circle having a radial radius around the shaft is the circumference called direction.
  • the protrusion 340 may extend from the first guide 322A and the second guide 322B, respectively.
  • the protrusion 340 may include a first part 340A and a second part 340B.
  • the first part 340A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322A.
  • the first part 340A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322B.
  • the first part 340A i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art 340B. In this case, the first part 340A is disposed closer to the axial center C than the second part 340B.
  • an insulator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protrusion 430 .
  • the imaginary line L1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protrusion 430 from the center of the axis C is the imaginary line L2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body 321 of the insulator 320 from the center of the axis C. can match with
  • the protrusion 430 is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340 .
  •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340 may overlap the protrusion 4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rotrusion 430 may be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320 by the protrusion 340 .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34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s 430 .
  • the protrusion 4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34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or of a mo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a 2-1 th upper bridge 352-1A and a 2-2 th upper bridge 352-2A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guide 320A-3.
  • the second-first upper bridge 352-1A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guide 320A-3.
  • the second-second upper bridge 352-2A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upper guide 320A-3.
  • the second-first upper bridge 352-1A and the second-second upper bridge 352-2A may overl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2-1 th upper bridge 352-1A of one insulator 320 may face the 2-2 th upper bridge 352-2A of the other adjacent insulator 320 .
  • a 1-1 lower bridge 351-1B and a 1-2 lower bridge 351-2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lower guide 320B-2.
  • a 2-1 th lower bridge 352-1B and a 2-2 th lower bridge 352-2B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lower guide 320B-3.
  • the second-first lower bridge 352-1B and the second-second lower bridge 352-2B do not overlap the first lower guide 320B-2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upper insulators 320A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ator core 310
  • the plurality of lower insulators 320B ar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310 .
  • the plurality of upper insulators 320A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bridge 350
  • the plurality of lower insulators 320B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bridge 350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실시에에 따르면,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실시예는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샤프트,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한다. 절연을 위해, 스테이터 코어에는 인슐레이터가 마련된다. 그리고, 인슐레이터 위에 코일이 감긴다. 이러한, 스테이터는 하우징 내에서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스테이터는 각각의 티스마다 인슐레이터가 개별적으로 조립된 후 정렬되어, 제조 공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터의 슬립을 현상이 방지되고, 스테이터 제조 공정이 간소화된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돌기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격 공간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인슐레이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인접한 제2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1 브릿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브릿지의 단면과 상기 제2 브릿지의 단면에는 버(Burr)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 및 상기 요크에서 돌출된 복수의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를 감싸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가이드의 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와, 복수의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인슐레이터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각각의 브릿지의 일측을 절단하여.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를 분리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권선단계;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를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하는 모터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단계에서 상기 브릿지는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제1 브릿지와,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제2 브릿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에서 연장된 돌기와 하우징 바닥면에서 돌출된 리브(돌기)가 회전방향으로 맞물리면서, 고온 팽창 시에 스테이터가 하우징 내에서 회전방향으로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할 수 있다. 이에, 모터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에 일체화된 인슐레이터를 장착한 후 각 스테이터 코어가 분리되도록 절단하여,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 마다 인슐레이터를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줄이고 스테이터 제작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테이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 바디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 바디에 인슐레이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 바디에 인슐레이터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파트를 스테이터 축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제2 파트를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파트, 제2 파트 및 돌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제2 파트의 변형례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스테이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하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부 인슐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하부 인슐레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예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나타낸 S200에서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고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방향이라고 부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하우징(400)과, 베어링(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와 결합된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샤프트(100)는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조향축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중심에는 샤프트(100)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는 마그넷을 가이드 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마그넷을 둘러싸서 마그넷이 로터 코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마그넷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코일을 감기 위한 스테이터(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터(300)는 복수 개의 티스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환형의 요크 부분이 마련되고, 요크에서 중심방향으로 코일이 감기는 티스가 마련될 수 있다. 티스는 요크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상호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티스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감길 수 있다.
하우징(400)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400)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400)은 하우징 바디(410)와 하우징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410)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420)는 하우징 바디(4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하우징 바디(410)와 하우징 커버(420)는 각각 베어링(500)이 배치된다.
베어링(500)은 샤프트(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500)은 샤프트(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500)은 하우징 커버(420)에 배치되고, 샤프트(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500)은 하우징 바디(4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 인슐레이터 및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에 결합된다. 인슐레이터(320)는 복수개이다. 인슐레이터(320)는 바디(321)와 가이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21)는 코일(330)이 권선되어 배치되는 부분이다. 바디(321)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루브는 코일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322)는 바디(321)에서 연장된다. 가이드(322)는 권선된 코일(3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가이드(322)는 바디(321) 보다 축방향 길이가 길 수 있다. 이때, 가이드(322)의 상단은 바디(321)의 상단 보다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322)의 하단은 바디(321)의 하단 보다 하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340)는 인슐레이터(320)의 하단에서 연장된다. 이때, 돌기(340)는 가이드(322)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돌기(340)는 제1 돌기(341)와 제2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341)는 가이드(322) 하단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342)는 가이드(322) 하단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기(341)와 제2 돌기(34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341)와 제2 돌기(342)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322)는 제1 가이드(322A)와 제2 가이드(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322A)는 바디(321)의 내측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322B)는 바디(321)의 외측에서 연장된다. 즉, 제1 가이드(322A)는 제2 가이드(322B) 보다 축 중심(C)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322A)와 제2 가이드(322B)는 바디(321)를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때, 제1 가이드(322A)의 원주방향 폭은 제2 가이드(322B)의 원주방향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돌기(340)는 제1 가이드(322A)와 제2 가이드(322B)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돌기(340)는 제1 파트(340A)와 제2 파트(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40A)는 제1 가이드(322A)의 하단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파트(340A)는 제2 가이드(322B)의 하단에서 연장된다. 제1 파트(340A)는 제2 파트(340B)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이때, 제1 파트(340A)는 제2 파트(340B) 보다 축 중심(C)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 바디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 바디에 인슐레이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 바디에 인슐레이터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410)는 측면(411), 하면(412) 및 베어링 포켓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411)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측면(411)의 내측으로 로터(200)와 스테이터(300)가 배치된다. 측면(411)의 상단에는 커버(4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면(412)은 측면(41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면(412)의 측면(411)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베어링 포켓부(413)는 하면(412)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포켓부(413)는 내측에 베어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포켓부(413)는 베어링(500)의 하면와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 포켓부(413)의 바닥면에는 샤프트(10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하면(4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리브(Rib)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43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430)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측면(411)과 베어링 포켓부(413)를 반경방향으로 연결하여 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430)의 상측에 인슐레이터(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축 중심(C)에서 돌출부(430)의 폭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L1)은 축 중심(C)에서 인슐레이터(320)의 바디(321)의 폭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L2)과 일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430)의 적어도 일부는 돌기(340)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된다. 이때, 돌기(34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에, 돌기(340)에 의하여 돌출부(430)는 인슐레이터(320)에 대한 원주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돌기(340)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돌출부(43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돌기(340)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430)는 인슐레이터(320)와 원주방향으로 0.2 내지 1mm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430)는 인슐레이터(320)에 대하여 상기 이격 거리만큼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돌출부(430)는 인슐레이터(320)에 대하여 1mm 이상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면 돌기(340)에 걸림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1 파트를 축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파트(340A)는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기(341A)는 제1 가이드(322A)의 하단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돌기(342A)는 제1 가이드(322A)의 하단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1 돌기(341A)의 원주방향 폭(W1)은 제1-2 돌기(342A)의 원주방향 폭(W2)과 동일할 수 있다.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의 이격 거리(D1)는 제1-1 돌기(341A) 또는 제1-2 돌기(342A)의 원주방향 폭(W1)(W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는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경사면(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S)은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S)은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2 파트를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파트(340B)는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돌기(341B)는 제2 가이드(322B) 하단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돌기(342B)는 제2 가이드(322B)의 하단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1 돌기(341B)의 원주방향 폭(W4)은 제2-2 돌기(342B)의 원주방향 폭(W3)과 동일할 수 있다.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의 이격 거리(D2)는 제2-1 돌기(341B) 또는 제2-2 돌기(342B)의 원주방향 폭(W4)(W3)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경사면(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S)은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S)은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파트, 제2 파트 및 돌출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322A)와 제2 가이드(322B)는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322B)에서 제1 가이드(322A)를 향하는 방향이 반경방향 내측이고, 제1 가이드(322A)에서 제2 가이드(322B)를 향하는 방향이 반경방향 외측이다. 이때, 제1 가이드(322A)의 외측면에는 둔턱(3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둔턱(323)은 바디(3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322A)의 하단에서 제1 파트(340A)가 연장되고, 제2 가이드(322B)의 하단에서 제2 파트(340B)가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트(340A)와 제2 파트(340B)는 반경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파트(340A)와 제2 파트(340B)의 이격 거리(D3)는 바디(321)의 반경방향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340A)와 제2 파트(340B)는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파트(340A)와 제2 파트(340B)는 축방향 길이가 같을 수 있다. 한편, 제2 파트(340B)의 원주방향 두께는 제1 파트(340A)의 원주방향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 파트(340A)는 제1 경사면(AS1)이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AS1)은 제1 파트(340A)의 내측면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340B)는 제2 경사면(A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AS2)은 제2 파트(340B)의 외측면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 사이의 이격공간에 돌출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는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제1-1 돌기(341A) 및 제1-2 돌기(342A)는 돌출부(430)와 반경방향으로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제1-1 돌기(341A)와 제1-2 돌기(342A)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이때, 제1 영역(A1)의 하단은 하우징(400)의 하면(412) 보다 높게 배치된다. 하우징(400) 하면(421)을 기준으로 제1 영역(A1)의 높이(H1)는 돌출부(430)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 하면(421)을 기준으로 돌출부(430)의 높이(H2)는 제1 가이드(322A)의 높이(HA) 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과 제1 가이드(322A)를 연결한다. 제2 영역(A2)은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때, 제2 영역(A2)의 축방향 길이는 제1 영역(A1)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 사이의 이격공간에 돌출부(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돌출부(430)와 반경방향으로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제1 영역(B1)과 제2 영역(B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 하면(421)을 기준으로 제1 영역(B1)의 높이(H3)는 돌출부(430)의 높이(H2)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0) 하면(421)을 기준으로 돌출부(430)의 높이(H2)는 제2 가이드(322B)의 높이(HB) 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영역(B2)은 제1 영역(B1)과 제2 가이드(322B)를 연결한다. 제2 영역(B2)은 돌출부(430)와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때, 제2 영역(B2)의 축방향 길이는 제1 영역(B1)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제2 파트의 변형례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원주방향 폭이 상이할 수 있다. 제2-1 돌기(341B)의 원주방향 폭(W5)은 제2-2 돌기(342B)의 원주방향 폭(W6)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2-1 돌기(341B)와 제2-2 돌기(342B)는 축방향 길이는 같을 수 있다.
제2 가이드(322B)는 복수의 제1 부(P1), 제2 부(P2) 및 제3 부(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P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부(P1)는 제2-1 돌기(341B) 또는 제2-2 돌기(342B)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부(P1)는 원주방향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부(P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부(P2)는 이격된 복수의 제1 부(P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P2)는 돌출부(430)와 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부(P2)의 하단은 돌출부(4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부(P3)는 복수의 제1 부(P1) 중 하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P3)는 복수의 제1 부(P1) 중 원주방향 폭이 작은 것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P3)의 원주방향 폭은 제1 부(P1) 또는 제2 부(P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 3 부(P3)는 인접한 다른 제2 가이드의 제1 부(P1)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슐레이터(320)는 브릿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슐레이터(320)는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사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인슐레이터(320)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310)와 조립된 후에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슐레이터(320)의 각 브릿지의 일측이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절단된 브릿지는 인슐레이터(320)에 돌출된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브릿지(350)는 가이드(322)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브릿지(350)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브릿지(350)는 스테이터(300) 중심을 기준으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브릿지(350)는 스테이터(300)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브릿지(350)는 단부로 갈수록 반경방향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브릿지(350)는 제1 브릿지(350-1)와 제2 브릿지(3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릿지(350-1)는 가이드(322)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릿지(350-2)는 가이드(322)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상기 제1 브릿지(350-1)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상기 제2 브릿지(350-2)와 마주할 수 있다. 마주하는 제1 브릿지(350-1)와 제2 브릿지(350-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릿지(350-1)와 제2 브릿지(350-2)는 원주방향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4는 스테이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322A)에서는 제1-1 브릿지(351-1)와 제1-2 브릿지(35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322A)의 일측에서는 제1-1 브릿지(351-1)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측에서는 제1-2 브릿지(351-2)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1 브릿지(351-1)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2 브릿지(351-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2 가이드(322B)에서는 제2-1 브릿지(352-1)와 제2-2 브릿지(35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322B)의 일측에서는 제2-1 브릿지(352-1)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측에서는 제2-2 브릿지(352-2)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1 브릿지(352-1)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2 브릿지(352-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하면, 제1 가이드(322A)는 내측을 향하는 제1 면(a1)과, 외측을 향하는 제2 면(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브릿지(351-1)와 제1-2 브릿지(351-2)는 제1 면(a1)과 제2 면(a2)의 반경방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a1)과 제1-1 브릿지(351-1) 사이에는 단차(S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a1)과 제1-2 브릿지(351-2) 사이에도 제1 단차(S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면(a2)과 제1-1 브릿지(351-1) 사이에는 제2 단차(S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면(a2)과 제1-2 브릿지(351-2) 사이에도 제2 단차(S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a2)은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경사면(as)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as)은 단부로 갈수록 제1 면(a1)과의 거리가 줄어든다.
제2 가이드(322B)는 내측을 향하는 제3 면(a3)과, 외측을 향하는 제4 면(a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1 브릿지(352-1)와 제2-2 브릿지(352-2)는 제3 면(a3)과 제4 면(a4)의 반경방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면(a3)과 제2-1 브릿지(352-1) 및 제2-2 브릿지(352-2) 내측면 사이에는 제3 단차(S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면(a4)과 제2-1 브릿지(352-1) 및 제2-2 브릿지(352-2) 각각의 외측면 사이에도 제4 단차(S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단차(S3)는 제1 단차(S1)보다 크고, 제4 단차(S4)는 제2 단차(S2)보다 클 수 있다.
제3 면(a3)에는 제1 홈(g1)과 제2 홈(g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g1)과 제2 홈(g2)에는 각각 코일(330)이 배치된다. 코일(330)은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g1)과 제2 홈(g2)은 권선된 코일(330)의 종료단과 시작단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홈(g1)과 제2 홈(g2)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g1)과 제2 홈(g2)은 제2-1 브릿지(352-1)와 제2-2 브릿지(352-2)의 원주방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g1)과 제2 홈(g2)의 원주방향 사이에는 투스가 배치될 수 있다.
제1-1 브릿지(351-1)와 제1-2 브릿지(351-2)는 반경방향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1 브릿지(352-1)와 제2-2 브릿지(352-2)는 반경방향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1-1 브릿지(351-1)와 제1-2 브릿지(351-2)의 반경방향 두께는 제1 두께(T1)일 수 있다. 그리고, 제2-1 브릿지(352-1)와 제2-2 브릿지(352-2)의 반경방향 두께는 제2 두께(T2)일 수 있다. 이때, 제1 두께(T1)는 제1 가이드(322A)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두께(T2)는 제2 가이드(322B)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가이드(322B)의 반경방향 두께에 대한 제2 두께(T2)의 비는 0.5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322B)의 반경방향 두께에 대한 제2 두께(T2)의 비는 0.35 내지 0.45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 보다 클 수 있다. 제2 두께(T2)에 대한 제1 두께(T1)의 비는 0.7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두께(T2)에 대한 제1 두께(T1)의 비는 0.5 미만일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320)는 상부 인슐레이터(320A)와 하부 인슐레이터(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슐레이터(320A)와 하부 인슐레이터(320B)는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상부 인슐레이터(320A)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상측에서 장착되어, 스테이터 코어(310)의 상부를 감싸며, 하부 인슐레이터(320B)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하측에서 장착되어, 스테이터 코어(310)의 하부를 감싼다.
도 16은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인슐레이터(320A)는 상부 바디(320A-1), 제1 상부 가이드(320A-2) 및 제2 상부 가이드(320A-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디(320A-1)는 투스의 상부를 감싼다. 제1 상부 가이드(320A-2)는 상부 바디(320A-1)에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상부 가이드(320A-3)는 상부 바디(320A-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상부 가이드(320A-2) 및 제2 상부 가이드(320A-3)의 상단은 각각 상부 바디(320A-1)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가이드(320A-2)와 제2 상부 가이드(320A-3)에는 각각 브릿지(3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상부 가이드(320A-2)에는 제1-1 상부 브릿지(351-1A)와 제1-2 상부 브릿지(351-2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1 상부 브릿지(351-1A)는 제1 상부 가이드(320A-2)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상부 브릿지(351-2A)는 제1 상부 가이드(320A-2)의 다른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1 상부 브릿지(351-1A)와 제1-2 상부 브릿지(351-2A)는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1 상부 브릿지(351-1A)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2 상부 브릿지(351-2A)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2 상부 가이드(320A-3)에는 제2-1 상부 브릿지(352-1A)와 제2-2 상부 브릿지(352-2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1 상부 브릿지(352-1A)는 제2 상부 가이드(320A-3)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상부 브릿지(352-2A)는 제2 상부 가이드(320A-3)의 다른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1 상부 브릿지(352-1A)와 제2-2 상부 브릿지(352-2A)는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1 상부 브릿지(352-1A)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2 상부 브릿지(352-2A)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도 19는 하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하부 인슐레이터(320B)는 하부 바디(320B-1), 제1 하부 가이드(320B-2) 및 제2 하부 가이드(320B-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바디(320B-1)는 투스의 하부를 감싼다. 제1 하부 가이드(320B-2)는 하부 바디(320B-1)에서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2 하부 가이드(320B-3)는 하부 바디(320B-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하부 가이드(320B-2) 및 제2 하부 가이드(320B-3)의 하단은 하부 바디(320B-1)의 하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가이드(320B-2) 및 제2 하부 가이드(320B-3)에는 각각 브릿지(3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하부 가이드(320B-2)에서는 제1-1 하부 브릿지(351-1B)와 제1-2 하부 브릿지(351-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1 하부 브릿지(351-1B)는 제1 하부 가이드(320B-2)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하부 브릿지(351-2B)는 제1 하부 가이드(320B-2)의 다른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1 하부 브릿지(351-1B)와 제1-2 하부 브릿지(351-2B)는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1 하부 브릿지(351-1B)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1-2 하부 브릿지(351-2B)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2 하부 가이드(320B-3)에서는 제2-1 하부 브릿지(352-1B)와 제2-2 하부 브릿지(352-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1 하부 브릿지(352-1B)는 제2 하부 가이드(320B-3)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하부 브릿지(352-2B)는 제2 하부 가이드(320B-3)의 다른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1 하부 브릿지(352-1B)와 제2 하부 가이드(320B-3)는 원주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1 하부 브릿지(352-1B)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의 제2-2 하부 브릿지(352-2B)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상부 인슐레이터의 평면도이며. 도 24는 하부 인슐레이터의 저면도이다.
도 22 내지 24를 참조하면, 브릿지(350)는 바디(321)의 외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350)는 인슐레이터의 외측 가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350)는 바디(321)의 외측에 배치된다.
브릿지(350)는 제2 상부 가이드(320A-3)와 제2 하부 가이드(320B-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350)는 제2-1 상부 브릿지(352-1A), 제2-2 상부 브릿지(352-2A), 제2-1 하부 브릿지(352-1B) 및 제2-2 하부 브릿지(3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가이드(320A-3)에서는 제2-1 상부 브릿지(352-1A)와 제2-2 상부 브릿지(352-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 상부 브릿지(352-1A)와 제2-2 상부 브릿지(352-2A)는 제1 상부 가이드(320A-2)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제2 하부 가이드(320B-3)에서는 제2-1 하부 브릿지(352-1B)와 제2-2 하부 브릿지(352-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 하부 브릿지(352-1B)와 제2-2 하부 브릿지(352-2B)는 제1 하부 가이드(320B-2)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도 13 내지 도 21에서 나타낸 모터에서 제1-1 상부 브릿지(351-1A), 제1-2 상부 브릿지(351-2A), 제1-1 하부 브릿지(351-1B) 및 제1-2 하부 브릿지(351-2B)가 생략된 형태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브릿지가 스테이터의 외측에만 배치되어, 절단 기구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포함되는 스테이터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제2 실시예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6은 도 25에서 나타낸 S200에서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포함되는 스테이터의 제조방법은 준비단계(S100), 결합단계(S200), 절단단계(S300), 권선단계(S400) 및 정렬단계(S500)를 포함한다.
먼저, 스테이터 코어(310)와 인슐레이터(320)를 준비한다(S100).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요크(311)와, 요크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투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크(311)는 각 투스(312) 별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복수개이다. 그리고, 복수의 인슐레이터(320)는 브릿지(35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이다. 이때, 인슐레이터(320)는 상부 인슐레이터(320A)와 하부 인슐레이터(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테이터 코어(310)에 인슐레이터(320)를 결합시킨다(S200).
도 15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310)의 상측으로 복수의 상부 인슐레이터(320A)를 동시에 결합시키고,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310)의 하측으로 복수의 하부 인슐레이터(320B)를 동시에 결합시킨다. 이때, 복수의 상부 인슐레이터(320A)는 브릿지(35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고, 복수의 하부 인슐레이터(320B)는 브릿지(35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브릿지(350)를 절단한다(S300).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브릿지(350)의 일측을 절단한다. 이에, 복수의 인슐레이터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의 일측에 절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취홈 부근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브릿지는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320)에서 연장되는 제1 브릿지와,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제2 브릿지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310)에 각각 코일을 권선한다(S400). 이때, 코일은 각각의 인슐레이터의 바디에 권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310)를 정렬한다(S500).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는 스테이터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분리된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는 이너 로터형 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아우터 로터형 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샤프트 ,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20: 인슐레이터, 321: 바디, 322: 가이드, 322H: 제1 홈, 330: 코일, 400: 하우징, 401: 제1 단턱, 500: 버스바, 600: 커버, 610: 제1 돌부, 611: 제1 면, 620: 제2 돌부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은 상기 돌기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단의 다른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이격 거리는 상기 돌출부의 원주방향 폭 보다 큰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인슐레이터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인접한 제2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1 브릿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브릿지를 포함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릿지의 단면과 상기 제2 브릿지의 단면에는 버(Burr)가 형성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 및 상기 요크에서 돌출된 복수의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를 감싸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가이드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모터.
  9.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와, 복수의 브릿지에 의해 연결된 인슐레이터를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
    각각의 브릿지의 일측을 절단하여.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를 분리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에 각각 코일을 권선하는 권선단계;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를 정렬하는 정렬단계를 포함하는 모터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에서
    상기 브릿지는 어느 하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제1 브릿지와, 다른 하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제2 브릿지로 분리되는 스테이터 제조 방법.
PCT/KR2020/018415 2020-01-06 2020-12-16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WO20211412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58,414 US20230037924A1 (en) 2020-01-06 2020-12-16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provided in motor
CN202080091748.0A CN114902533A (zh) 2020-01-06 2020-12-16 马达以及用于制造设置在马达中的定子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508A KR20210088271A (ko) 2020-01-06 2020-01-06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KR10-2020-0001507 2020-01-06
KR10-2020-0001508 2020-01-06
KR1020200001507A KR20210088270A (ko) 2020-01-06 2020-01-06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267A1 true WO2021141267A1 (ko) 2021-07-15

Family

ID=7678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415 WO2021141267A1 (ko) 2020-01-06 2020-12-16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37924A1 (ko)
CN (1) CN114902533A (ko)
WO (1) WO202114126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92B1 (ko) * 2002-01-3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모터의 전기자 제조방법
KR20080026872A (ko) * 2006-09-21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US20110081258A1 (en) * 2006-08-31 2011-04-07 Nidec Corporation Fan and motor having multiple insulators with an axially protruding conductor pin
KR101170156B1 (ko) * 2010-06-19 2012-07-31 김유정 브러시리스 모터에 구성되는 슬롯리스 고정자 제조방법
CN204361796U (zh) * 2014-12-12 2015-05-27 芜湖市万华塑料制品有限公司 绝缘骨架
KR101787710B1 (ko) * 2016-04-29 2017-10-18 주식회사 고아정공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92B1 (ko) * 2002-01-3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모터의 전기자 제조방법
US20110081258A1 (en) * 2006-08-31 2011-04-07 Nidec Corporation Fan and motor having multiple insulators with an axially protruding conductor pin
KR20080026872A (ko) * 2006-09-21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KR101170156B1 (ko) * 2010-06-19 2012-07-31 김유정 브러시리스 모터에 구성되는 슬롯리스 고정자 제조방법
CN204361796U (zh) * 2014-12-12 2015-05-27 芜湖市万华塑料制品有限公司 绝缘骨架
KR101787710B1 (ko) * 2016-04-29 2017-10-18 주식회사 고아정공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02533A (zh) 2022-08-12
US20230037924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50909A1 (ko) 버스바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모터
EP3476021A1 (en) Sta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WO2017188659A1 (ko) 파워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11046296A2 (ko)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WO2018128398A1 (ko) 모터 및 변속기
WO2020055150A1 (ko) 모터
WO2021141267A1 (ko) 모터 및 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 제조방법
WO2018101638A1 (ko) 커버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WO2020045936A1 (ko) 모터
WO2019027196A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21141299A1 (ko) 모터
WO2020050535A1 (ko) 모터
WO2020055067A1 (ko) 모터
WO2020040424A1 (ko) 스테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터
WO2020085744A1 (ko) 모터
WO2021141230A1 (ko) 모터
WO2018079920A1 (ko) 평각동선을 이용한 고정자, 회전기기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1187820A1 (ko) 고정자 비대칭 슈를 이용한 전동기 및 그 제작 방법
WO2021075849A1 (ko) 모터
WO2021141276A1 (ko) 모터
WO2017196068A1 (ko) 모터용 라우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WO2023121046A1 (ko) 모터
WO2022086199A1 (ko) 모터
WO2021071309A1 (ko) 모터
WO2020017778A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22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22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