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7617A1 - 수중 활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활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7617A1
WO2021137617A1 PCT/KR2020/019393 KR2020019393W WO2021137617A1 WO 2021137617 A1 WO2021137617 A1 WO 2021137617A1 KR 2020019393 W KR2020019393 W KR 2020019393W WO 2021137617 A1 WO2021137617 A1 WO 20211376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tivity
aquatic
floating
aquatic activit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93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현수
정승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정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정승환 filed Critical 정현수
Publication of WO20211376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76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2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forced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2011/021Diving computers, i.e. portable computers specially adapted for divers, e.g. wrist worn, watertight electronic devices for detecting or calculating scuba div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2011/028Devices for underwater towing of divers or divers' sle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n underwater activity of an aquatic activity such as a diver.
  • a breathing aid device that assists in breathing of an aquatic activity
  • a loc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inform the position of an aquatic activity out of the water
  • a thrust assist device that can help the thrust of an aquatic activ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n underwater activity of an aquatic activity, such as a div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an apparatus for assisting an aquatic activity of an aquatic activity comprising: a floating device which is maintained in a state of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sucks air; And it is mounted on the aquatic activit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loating device, comprising a breathing apparatus for supplying the air received from the floating device to the aquatic activity, the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device and the breathing apparatus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can be achieved by
  • the floating device and the breathing apparatus are connected by an air flow tube, and the air flow tube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floating device to the breathing apparatus.
  • the air flow tube may be provided with a tension sensor for detecting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oil and breathing apparatus.
  • the flo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ler, and the first controller alarms the underwater worker when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sensed by the tension sensor exceeds o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ension It can be controlled to generate or move the floating device away from or closer to the breathing device.
  • the breathing apparatus includes: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and a second controlle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of the breathing apparatus sens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and the second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farther or clos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floating apparatu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larm to an underwater worker or transmit a signal for movement of the floating device to the first controller.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puls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aquatic activity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assisting the underwater movement of the aquatic activity.
  • the second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pirator is closer to or farth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device, may control the respirator to move away from or closer to the floating device by using the propulsion device.
  • the third controller may be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an aquatic operator.
  • the propulsion device a propeller for generating a propulsive forc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propeller and includes a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propell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ropulsive force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when an aquatic activity moves in the water.
  • the propulsion device may be provided to receive external air through the floating device and use the propulsion force generated using the supplied air.
  • the propulsion device is provided in a wearable (wearable) for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band) to be mounted on the body of an aquatic activity.
  • a camera is installed in the float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situation outside the water, the propuls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amera, and the propulsion device receiv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ransmits the received image to the aquatic activity
  • a display unit to be shown to the user is formed, and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to show the depth of the water of the underwater activity and the battery state of the floating device.
  • Such a floating device a casing through which an air flow tube is passed therein; a pump provided inside the casing, connected to the air flow tube, and generating power so that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air flow tube;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loating device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loating device and the breathing device; and a battery connected to the pump and the driving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pump and the driving unit.
  •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n intake trap in which a suction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sucked air to the air flow tube is formed, and the air flow tube may be provided such that external air received through the intake trap is delivered to the breathing apparatus.
  • the external air delivered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may be provided to be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or directly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through the breathing apparatus through the air flow tube.
  • the respirator includes an air storage unit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air therein; And it may include a wearing member provided in the air storage unit to be worn by the underwater active.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aquatic activity even outside the water through the floating device, as well as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floating device and the aquatic activity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aquatic activity can be safely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underwater activities.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quatic activity to be able to grasp the situation outside the water even in the water, so that the aquatic activity can safely engage in underwater activities.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the propulsion of the aquatic activity through the propulsion device mounted on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ity.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shown in FIG. 2 .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loating device shown in FIG.
  • FIG.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shown in FIG. 1 .
  •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band-shaped propulsion device shown in FIG. 6 .
  •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remote control shown in FIG. 6 .
  •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a shape modification by manufacturing.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is for assisting the aquatic activity of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may assist in breathing and movement in the water of the aquatic activity 1 , and may inform a person outside the water of the underwater position of the aquatic activity 1 in the water.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is intended to assist the aquatic activity 1, and can be used by all people for underwater activities, such as divers.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is maintained in a state of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floating device ( 100) is mounted on the aquatic activity 1 in a connected state, and a breathing apparatus 200 that receives air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or delivers the air generated from the aquatic activity 1 to the floating device 100. do.
  • the floating device 100 is maintained in a floating state on the water surface and is a part that sucks external air. Such a float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aquatic activity 1 to inform the position of the aquatic activity 1 outside the water.
  •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mounted on the aquatic activity 1 and supplies the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floating apparatus 100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device 100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to supply the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to the underwater activity 1 . Accordingly, the aquatic activity (1) can be performed while stably breathing by the breathing apparatus 200 during the underwater activity during the underwater activity.
  • the aquatic activity 1 is supplied with external air through the breathing apparatus 200, and the air is discharged during respir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as it is in the water.
  • the floating device 100 includes a casing 102 , a pump 120 , a battery 110 , and a driving unit 130 .
  • the casing 102 of the float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hollow inside.
  • An air flow tube 122 connecting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102 provided as a hollow, and the battery 110 , the pump 120 ,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camera (140) and the like are located.
  • the casing 102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that floats on water because it needs to maintain a floating state on the water surface.
  • the casing 10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shape of the casing 102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circle, and the like.
  • an intake trap 104 is provided in the casing 102 .
  • the intake trap 104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02, and is provided so that any one part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has an open shape.
  • the intake trap 104 external air is sucked through an open part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trap 104 is delivered to the air flow tube 122 provided in the casing 102 .
  • the air flow tube 122 is a part that connects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and supplies the air sucked through the floating apparatus 100 to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 the intake trap 104 is formed with a suction passage 104a for sucking the external air and delivering it to the air flow tube 122 .
  • the suction passage 104a communicates with the air flow tube 122 .
  • the air flow tube 122 supplies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4a to the respirator 200 , wherein the air supplied to the respirator 200 is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air flow tube 122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eneral tube, and may be provided as one of various materials.
  • the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4a, as shown in FIGS. 2 to 5, through the breath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may be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1 , as shown in FIG. 6, the air flow tube 12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quatic activity 1 and directly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pump 120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102 and is a part that sucks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or allows the internal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pump 120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tube 122 so that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air flow tube 122 .
  • the pump 120 is provided in a generally used form, and the size and shape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asing 102 and the air flow tube 122 .
  • the driving unit 130 is a part for moving the floating device 10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 the driving unit 130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floating device 100 , that is, the casing 102 , and moves the floating device 100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 the driving unit 1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tor and a propeller.
  • the battery 110 is a part that provides power to the pump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
  • the battery 110 provides power to the pump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so that the pump 120 can introduce external air, and drives the driving unit 130 to operate the floating device 100 . To be able to move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 Such a battery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 the battery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olar cell.
  • the battery 110 is provided as a solar cell, a part of the battery 110 is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02 to be self-charged by solar heat.
  • the battery 1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orage battery.
  • the electric capacity charged by solar heat may be stored in the battery 110 and used where necessary, such as the pump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
  • the float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amera 140 .
  • the camera 140 is a kind of photographing member for photographing a situation outside the water.
  • the camera 14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upper end of the floating device 140 so as to easily photograph the situation outside the water.
  • the situation outside the water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0 is converted into an image and shown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40 is transmitted to the propulsion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to be visually shown to the user.
  • the float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ler 150 .
  • the first controller 150 is for controlling the floating device 100 .
  • the first controller 150 controls the pump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so that the floating device 100 moves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d with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
  • the first controller 150 is when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122 sensed by the tension sensor 160 provided in the air flow tube 122 exceeds 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ension, the underwater active (1) ) by generating an alarm or controlling the pump 120 and the driving unit 130 to move the floating device 100 . Accordingly, the interval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device 200 is kept constant.
  • the breath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external air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and supplies it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is breathing apparatus 200 includes a storage unit 201 , a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 and a second controller 220 .
  • the storage unit 201 is a portion in which air is stored.
  • the storage unit 201 is hollow inside so that air can be stored therein, and the external shape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or a circle.
  • a gauge 205 (gaug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201 so that the underwater person 1 can know the amount of ai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
  • the aquatic operator 1 determines the amount of ai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through the gauge 205 .
  • the ai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1 is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
  • Air supplied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1 is delivered to the aquatic activity 1 through the supply tube 204 .
  • the storage unit 201 is to store the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and supply it to the aquatic activity 1, it is preferable that the aquatic activity 1 wears it.
  • the storage unit 201 is mounted on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ity 1 through a wearing member 202 such as a rope or a band.
  • a wearing member 202 such as a rope or a band.
  • the wearing member 202 of the storage unit 20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but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ity 1 while preventing the aquatic activity 1 from interfering with the aquatic activity.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form.
  • a filter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air flow tube 122 and the supply tube 204 .
  • the filter member is provided on the air flow tube 122 or the supply tube 204, and is a par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etc. contained in the sucked air before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to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underwater worker 1 can be supplied with clean air.
  •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210.
  • the position sensor 210 is a par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apparatus 100 .
  •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21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ler 220 .
  • the second controller 220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troller 22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and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eg, the breathing apparatus 200) 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device 100 is farther or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device 100), to generate an alarm to the aquatic activity 1 or for the movement of the floating device 100 to the first controller 150 You can send an alarm.
  • the second controller 220 may b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Wi-Fi (Wireless Fidelity) module or a beacon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first controller 150 .
  • the first controller 150 may also b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Wi-Fi module or a beacon like the second controller 220 .
  • the distance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should be kept constant.
  • the aquatic activity 1 when the aquatic activity 1 is active in a river or sea, etc., it may meet a strong algae or a floating object such as seaweed. At this time,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the air flow tube 12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y are farther away), they are affected by algae or floating matter, etc. 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released, and accordingly, the aquatic activity 1 may not normally receive external air.
  • the distance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too close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floating device 100 is the breathing apparatus 200 or This is because it may not be transmitted well to the aquatic activity 1 , and accordingly, the aquatic activity of the aquatic activity 1 may become inconvenient.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ance device 10 uses various method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device 200 .
  • a tension sensor 160 provided in the air flow tube 122 may be us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 the tension sensor 160 detects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122 connecting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 the air flow tube 122 is tightened or loose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d betwee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the breathing device 200 . If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122 sensed by the tension sensor 160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ension, the air flow tube 122 to the first controller 150 transmits a signal of tension abnormality. Then, the first controller 150 transmits a signal to the alarm unit (not shown) and causes an alarm to be generated to the underwater operator 1 .
  • the alarm unit is provided with a lamp (LAMP) having a color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the water, and is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sound and vibration, so that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122 and the current can tell you the status.
  • LAMP lamp having a color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the water, and is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sound and vibration, so that the tension of the air flow tube 122 and the current can tell you the status.
  •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provided in the breathing apparatus 200 may be used.
  •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is positioned on the breathing apparatus 20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 If, when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210 is farther or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to the floating apparatus 100, the breathing apparatus 200 to the second controller 220 transmits a signal over the position of Then, the second controller 220 transmits a signal to the alarm unit (not shown) so that an alarm is generat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with respect to the floating apparatus 100 to the aquatic activity 1 can do.
  •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farther from the floating apparatus 100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so that the distance d with the floating apparatus 100 is farth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 an alarm may be given to the aquatic activity 1 so that the aquatic activity 1 approaches the floating device 100 .
  •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is closer to the floating apparatus 100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so that the interval d with the floating apparatus 100 is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nderwater activity (1) can be an alarm to the underwater activity (1) so as to move away from the floating device (100).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ance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propulsion device (300).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a part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underwater person 1 in the water.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mounted on the aquatic activator 1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aquatic activator 1 by generating a driving force when the aquatic activator 1 moves in the water.
  • the propulsion device 300 may be provided in a wearable form.
  • the propulsion device 300 When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provided in a wearable form, it may be mounted on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propulsion device 300 may be mounted on the wrist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worn on any part of the body, such as an arm, a waist, a leg, an ankle, etc. as needed.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band) so as to be easily mounted on the body of the underwater person (1).
  • the propulsion device 300 when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and worn on the wrist of the aquatic activity 1, the aquatic activity 1 is out of the water through the propulsion device 300 worn on the wrist while performing underwater activities. , the current water depth of the aquatic activity 1, the floating device 100, the battery state of the device, etc. can be checked.
  • a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propulsion device 300 .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camera 140 installed in the floating device 100 and receives an out-of-water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40 .
  • the propulsion device 300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urrent water depth (m) of the aquatic activity 1 and the battery state (%) of the floating device 100 as well as the out-of-water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 this propulsion device 300 may assist the underwater activity of the underwater activity (1) by using various types of power.
  • the propulsion device 300 may assist the aquatic activity 1 by using a separate power device or generating propulsion using air.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a propeller 312 and a propeller 312 for generating a propulsion forc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and the propeller It may include a motor 310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312 .
  • the propulsion device 300 may assist the underwater activity of the aquatic activity 1 by using the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floating device 100 .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device 100 to receive external air supply. At this time, the propulsion device 30 may generate a propulsive force throug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floating device 100 .
  • the aquatic player 1 can more easily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in the water through the propulsion force generated (or obtained) by the supplied external air.
  •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ler (220).
  • the second controller 220 propuls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breathing apparatus 200 sensed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10 is further away or closer than the predetermined interval d with the floating apparatus 100. It transmits an actuation signal to the device 300 . Then, the propulsion device 300 is operated to move the respirator 200 away from or closer to the floating device 100, so that the respirator 200 and the floating device 10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ance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third controller (400).
  • the third controller 400 is connected to the propulsion device 300 to control the propulsion direction of the propulsion device 300 .
  • the third controller 40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e 1 , that is, at least one finger among ten fingers.
  • the underwater activator 1 uses the manipulation unit 410 of the third controller 400 provided on his or her finger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d with the floating device 100 or the current position to propel the propulsion device 300 in the direction of propulsion.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aquatic activity 1 can be made easier by the third controller 400 in the water activity.
  • the underwater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underwater active person 1 even outside the water through the floating device 100, as well as the floating device 100 ) and the aquatic activity (1)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quatic activity (1) can safely engage in underwater activities.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quatic activity to be able to grasp the situation outside the water even in the water, so that the aquatic activity can more safely do underwater activities.
  • the aquatic activity assis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the aquatic activity 1 to move more conveniently in the water through the propulsion device 300 mounted on the body of the aquatic activity 1 .
  • the device for assisting underwater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assist an underwater activity such as a diver to safely engage in underwater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수중 활동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는, 수중 활동자의 수중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부유장치; 및 부유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수중 활동자에게 장착되고, 부유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공기를 수중 활동자에게 공급하는 호흡장치를 포함하고,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된다.

Description

수중 활동 보조 장치
본 발명은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수부와 같은 수중 활동자의 수중에서의 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수중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지면에서의 활동과는 다르게 수중 활동에서는 수중 활동자의 안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호흡장비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수중 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중 활동자의 호흡을 보조하는 호흡보조장비, 물 밖에서 수중 활동자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위치알림장비, 또는 수중 활동자의 추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추력보조장비 등이다.
그러나, 수중 활동 시, 이러한 다양한 장비들을 모두 갖추기에는 매우 번거롭고, 각각의 장비들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75145호 (발명의 명칭: 휴대용 자동과급장치를 이용한 수중호흡장치, 등록일: 2019.04.26)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수부 등과 같이 수중 활동자의 수중 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중 활동자의 수중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부유장치; 및 부유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수중 활동자에게 장착되고, 부유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공기를 수중 활동자에게 공급하는 호흡장치를 포함하고,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부유장치와 호흡장치는 공기유동튜브로 연결되고, 공기유동튜브는 부유장치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호흡장치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동튜브에는, 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에 따른 공기유동튜브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부유장치에는 제1 컨트롤러가 마련되고, 제1 컨트롤러는 장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유동튜브의 장력이 미리 정해진 장력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 수중 활동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부유장치를 호흡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호흡장치에는, 호흡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위치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호흡장치의 위치 신호를 전달 받는 제2 컨트롤러가 마련되며, 제2 컨트롤러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호흡장치의 위치가 부유장치와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수중 활동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제1 컨트롤러로 부유장치의 이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수중 활동자에게 장착되며 수중 활동자의 수중에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트롤러는, 호흡장치가 부유장치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호흡장치를 부유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추진장치의 추진 방향을 제어하는 제3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3 컨트롤러는 수중 활동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추진장치는,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와 연결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수중 활동자가 수중에서 이동할 때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진장치는, 부유장치를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급 받고 공급 받은 공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추진력을 이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추진장치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되며 수중 활동자의 신체에 장착되도록 밴드(band)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부유장치에는 물 밖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추진장치는 카메라와 연결되되, 추진장치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 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수중 활동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수중 활동자의 수심, 부유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보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동튜브가 관통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유동튜브와 연결되며 공기유동튜브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프;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에 따라 부유장치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펌프 및 구동부와 연결되며 펌프 및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에는, 흡입된 공기를 공기유동튜브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흡기 트랩이 마련되며, 공기유동튜브는 흡기 트랩을 통해 전달 받은 외부 공기가 호흡장치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서, 흡입 유로를 통해 전달된 외부 공기는 공기유동튜브를 통해 호흡장치를 거쳐서 수중 활동자에게 공급되거나 수중 활동자에게 직접적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호흡장치는, 내부에 공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 저장부; 및 공기 저장부에 마련되어 수중 활동자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활동 보조 장치는, 부유 장치를 통해 물 밖에서도 수중 활동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부유 장치와 수중 활동자 사이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간격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수중 활동자가 안전하게 수중 활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활동 보조 장치는, 수중 활동자가 수중에서도 물 밖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 활동자가 안전하게 수중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활동 보조 장치는, 수중 활동자의 신체에 장착된 추진장치를 통해 수중 활동자의 추진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수중 활동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부유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수중 활동 보조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밴드 형태의 추진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리모컨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를 설명한다.
우선,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중 활동자(1)의 수중에서의 호흡, 이동을 보조할 수 있고, 물 밖에 있는 사람에게 물 안에 있는 수중 활동자(1)의 수중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중 활동자(1)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잠수부 등 수중 활동을 위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부유장치(100) 및 부유장치(100)와 연결된 상태로 수중 활동자(1)에게 장착되고,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거나 수중 활동자(1)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부유장치(100)로 전달하는 호흡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유장치(100)는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유장치(100)는 수중 활동자(1)와 연결되어 물 밖에서 수중 활동자(1)의 위치를 알려줄 수도 있다.
호흡장치(200)는 수중 활동자(1)에게 장착되어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외부 공기를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한다.
다시 말해서, 호흡장치(200)는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해 부유장치(100)와 연결되어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외부 공기를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중 활동자(1)는 수중 활동 시에 호흡장치(200)에 의해 호흡을 안정적으로 하면서 수중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수중 활동자(1)는 호흡장치(200)를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급 받고, 호흡시 공기 배출은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하지 않고 수중에 그대로 배출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장치(100)는 케이싱(102), 펌프(120), 배터리(11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부유장치(100)의 케이싱(102)은 그 내부가 중공으로 마련된다.
중공으로 마련된 케이싱(102)의 내부에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를 연결하는 공기유동튜브(122)가 관통되고, 배터리(110), 펌프(120), 구동부(130) 및 카메라(140) 등이 위치된다.
이때, 케이싱(102)은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물에 뜨는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102)은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케이싱(102)의 형태는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02)에는 흡기트랩(104)이 마련된다.
흡기트랩(104)은 케이싱(102)의 상부에 위치되며,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한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흡기트랩(104)은 일측 또는 타측 중에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된다. 흡기트랩(104)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케이싱(102)의 내부에 마련된 공기유동튜브(122)로 전달된다.
공기유동튜브(122)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사이를 연결하고, 부유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호흡장치(200)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흡기트랩(10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유동튜브(122)로 전달하기 위한 흡입유로(104a)가 형성된다. 이때, 흡입유로(104a)는 공기유동튜브(122)와 연통된다.
공기유동튜브(122)는 흡입유로(10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호흡장치(200)로 공급하는데, 이때 호흡장치(200)로 공급된 공기는 수중 활동자(1)에게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유동튜브(122)는 일반적인 튜브(tube)의 형태로 마련되며, 다양한 재질 중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흡입유로(104a)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해 호흡장치(200)를 거쳐서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튜브(122)가 수중 활동자(1)와 직접 연결되어 수중 활동자(1)에게 바로 공급될 수도 있다.
펌프(120)는 케이싱(102)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거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펌프(120)는 공기유동튜브(122)와 연결되어, 공기유동튜브(122)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참고로, 펌프(1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크기 및 형태는 케이싱(102)와 공기유동튜브(122)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구동부(130)는 부유장치(10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구동부(130)는 부유장치(100)의 내부, 즉 케이싱(102)에 마련되어 부유장치(10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부(130)는 모터, 프로펠러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펌프(120) 및 구동부(1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110)는 펌프(120) 및 구동부(130)로 동력을 제공하여, 펌프(120)가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동부(130)를 구동시켜서 부유장치(10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터리(1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배터리(110)는 태양전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10)가 태양전지로 마련되는 경우, 배터리(110)의 일부분이 케이싱(102)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태양열에 의해 자가로 충전되게 된다.
다른 일예로, 배터리(110)는 축전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10)가 축전지의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태양열에 의해 충전된 전기 용량은 배터리(110)에 저장되어 펌프(120) 및 구동부(130)와 같은 필요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유장치(100)에는 카메라(140)가 마련된다.
카메라(140)는 물 밖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일종의 촬영부재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140)는 물 밖의 상황을 촬영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부유장치(140)의 상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물 밖의 상황은 영상으로 변환되어 수중 활동자(1)에게 보여지게 된다.
참고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바와 같이,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후술할 추진장치(300)로 전달되고, 추진장치(300)로 전달된 영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부유장치(100)에는 제1 컨트롤러(150)가 마련된다.
제1 컨트롤러(150)는 부유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제1 컨트롤러(150)는 펌프(120),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부유장치(100)가 호흡장치(200)와 미리 정해진 간격(d)을 유지하면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컨트롤러(150)는 공기유동튜브(122)에 마련되는 장력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공기유동튜브(122)의 장력이 미리 정해진 장력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 수중 활동자(1)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펌프(120) 및 구동부(130)를 제어함으로써 부유장치(10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의 간격(d)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장치(200)는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해 부유장치(100)로부터 외부 공기를 공급 받아서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한다.
이러한, 호흡장치(200)는 저장부(201), 위치감지센서(210) 및 제2 컨트롤러(220)를 포함한다.
저장부(201)는 공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저장부(201)는 내부에 공기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형은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201)의 외부에는 저장부(21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양을 수중 활동자(1)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게이지(205, gauge)가 마련된다. 수중 활동자(1)는 게이지(205)를 통해 저장부(210)에 저장된 공기의 양을 판단하게 된다.
참고로, 저장부(201)에 저장된 공기는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외부 공기이다.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급받아서 저장부(201)에 저장된 공기는 공급튜브(204)를 통해서 수중 활동자(1)에게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장부(201)는 부유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외부 공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수중 활동자(1)가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장부(201)는 끈(rope)이나 밴드(band) 등과 같은 착용부재(202)를 통해 수중 활동자(1)의 신체에 장착된다. 참고로, 저장부(201)의 착용부재(202)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수중 활동자(1)가 수중 활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수중 활동자(1)의 신체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기유동튜브(122) 또는 공급튜브(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필터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재는 공기유동튜브(122)나 공급튜브(204) 상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급되기 전에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주기 위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공기유동튜브(122)나 공급튜브(204) 상에 필터부재가 마련됨에 따라 수중 활동자(1)는 깨끗한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호흡장치(200)에는 위치감지센서(210)가 구비된다.
위치감지센서(210)는 부유장치(100)에 대한 호흡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위치감지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호흡장치(200)의 위치는 제2 컨트롤러(220)로 전달된다.
이때, 제2 컨트롤러(220)는 호흡장치(2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컨트롤러(220)는 위치감지센서(210)를 통해 호흡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호흡장치(200)의 위치에 따라(예컨대, 호흡장치(200)의 위치가 부유장치(10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d)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을 경우) 수중 활동자(1)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제1 컨트롤러(150)로 부유장치(100)의 이동을 위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컨트롤러(220)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이나 비콘(ibeacon) 등과 같은 통신 수단이 장착됨으로써 제1 컨트롤러(15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참고로, 제1 컨트롤러(150)에도 제2 컨트롤러(220)와 같이 와이파이 모듈이나 비콘 등의 통신 수단이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중 활동자(1)가 강가나 바다 등에서 수중 활동을 할 경우 강한 조류를 만나거나 해초 등의 부유물을 만날 수도 있다. 이때, 공기유동튜브(122)를 통해 연결되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이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커질 경우(멀어지는 경우)에는 조류 또는 부유물 등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어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수중 활동자(1)가 정상적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 받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이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너무 가까울 경우(가까워지는 경우)에는 부유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호흡장치(200) 또는 수중 활동자(1)에게 잘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이 불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에 일정한 간격(d)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일예로, 미리 정해진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유동튜브(122)에 마련된 장력감지센서(160)를 이용할 수 있다.
장력감지센서(160)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를 연결하는 공기유동튜브(122)의 장력을 감지한다.
이때, 공기유동튜브(122)는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에 따라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지게 된다. 만약, 장력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공기유동튜브(122)의 장력이 미리 정해진 장력에 비해 이상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이하로 판단될 경우에는 제1 컨트롤러(150)로 공기유동튜브(122)의 장력 이상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제1 컨트롤러(150)는 알람부(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며 수중 활동자(1)에게 알람이 발생되도록 한다.
참고로, 알람부는 수중에서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색상을 가지는 램프(LAMP) 등으로 마련되며, 소리, 진동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중 활동자(1)에게 공기유동튜브(122)의 장력은 물론이고 현재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미리 정해진 부유장치(100)와 호흡장치(200) 간의 간격(d)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흡장치(200)에 마련된 위치감지센서(21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센서(210)는 호흡장치(200) 상에 위치되어 호흡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한다. 만약, 위치감지센서(210)의해 감지된 호흡장치(200)의 위치가 부유장치(100)와 미리 정해진 간격(d) 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을 경우에는 제2 컨트롤러(220)로 호흡장치(200)의 위치 이상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제2 컨트롤러(220)는 알람부(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여 수중 활동자(1)에게 부유장치(100)에 대한 호흡장치(200)의 위치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알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2 컨트롤러(220)는 위치감지센서(210)에 의하여 호흡장치(200)의 위치가 부유장치(100)와 멀어져서 부유장치(100)와의 간격(d)이 미리 정해진 간격에 비해 멀어졌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수중 활동자(1)가 부유장치(100)와 가까워지도록 수중 활동자(1)에게 알람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컨트롤러(220)는 위치감지센서(210)에 의하여 호흡장치(200)의 위치가 부유장치(100)와 가까워져서 부유장치(100)와의 간격(d)이 미리 정해진 간격에 비해 가까워졌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수중 활동자(1)가 부유장치(100)와 멀어지도록 수중 활동자(1)에게 알람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추진장치(300)를 더 포함한다.
추진장치(300)는 수중 활동자(1)가 수중에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부분이다. 특히, 추진장치(300)는 수중 활동자(1)에게 장착되어 수중 활동자(1)가 수중에서 이동할 때 추진력을 발생함으로써 수중 활동자(1)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수중 활동자(1)에 추진장치(300)가 부착되더라도 수중 활동자(1)가 수중 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유영하는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추진장치(300)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추진장치(300)가 웨어러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수중 활동자(1)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장치(3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에 장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팔, 허리, 다리, 발목 등과 같이 신체 어느 부위에 든지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장치(300)는 수중 활동자(1)의 신체에 장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밴드(band)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추진장치(300)가 밴드 형태로 마련되어 수중 활동자(1)의 손목에 착용되는 경우, 수중 활동자(1)는 수중 활동을 하면서 손목에 착용하고 있는 추진장치(300)를 통해 물 밖 상황, 수중 활동자(1)의 현재 수심, 부유장치(100) 장치의 배터리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진장치(300)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장치(300)는 부유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140)와 연결되어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물 밖 영상을 전송받게 된다. 이때, 추진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송 받은 물 밖의 영상은 물론이고 수중 활동자(1)의 현재 수심(m), 부유장치(100)의 배터리 상태(%)와 함께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추진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동력을 이용하여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추진장치(300)는 별도의 동력장치를 이용하거나 공기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켜서 수중 활동자(1)를 보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300)는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312)와 프로펠러(312)와 연결되며 프로펠러(31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활동자(1)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모터(310)에 의해 구동된 프로펠러(31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300)는 부유장치(100)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수중 활동자(1)의 수중 활동을 보조할 수도 있다.
추진장치(300)는 부유장치(10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공급 받게 된다. 이때, 추진장치(30)는 부유장치(10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통해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중 활동자(1)는 공급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발생된(또는 얻은) 추진력을 통해 수중에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추진장치(300)는 제2 컨트롤러(2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컨트롤러(220)는 위치감지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호흡장치(200)의 위치가 부유장치(100)와 미리 정해진 간격(d) 보다 멀어졌거나 가까워졌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추진장치(30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추진장치(300)가 작동되어 호흡장치(200)가 부유장치(100)와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호흡장치(200)와 부유장치(100)가 미리 정해진 간격(d)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제3 컨트롤러(400)를 더 포함한다.
제3 컨트롤러(400)는 추진장치(300)와 연결되어 추진장치(300)의 추진 방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컨트롤러(400)는 수중 활동자(1)의 신체, 즉 10개의 손가락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마련될 수 있다.
수중 활동자(1)는 감지된 부유장치(100)와의 간격(d) 또는 현재 위치에 따라 자신의 손가락에 마련된 제3 컨트롤러(400)의 조작부(410)를 이용하여 추진장치(300)의 추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활동자(1)는 제3 컨트롤러(400)에 의하여 수중 활동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부유장치(100)를 통해 물 밖에서도 수중 활동자(1)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부유장치(100)와 수중 활동자(1) 사이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수중 활동자(1)가 안전하게 수중 활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중 활동자가 수중에서도 물 밖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 활동자가 더욱 안전하게 수중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 활동 보조 장치(10)는, 수중 활동자(1)의 신체에 장착된 추진장치(300)를 통해 수중 활동자(1)가 수중에서의 이동을 더욱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에 따르면, 잠수부 등과 같은 수중 활동자가 안전하게 수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Claims (16)

  1. 수중 활동자의 수중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부유장치; 및
    부유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수중 활동자에게 장착되고, 부유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공기를 수중 활동자에게 공급하는 호흡장치;
    를 포함하고,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유지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유장치와 호흡장치는 공기유동튜브로 연결되고,
    공기유동튜브는 부유장치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호흡장치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공기유동튜브에는,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에 따른 공기유동튜브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센서가 마련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부유장치에는 제1 컨트롤러가 마련되고,
    제1 컨트롤러는 장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유동튜브의 장력이 미리 정해진 장력을 초과하거나 미만일 경우에 수중 활동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부유장치를 호흡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호흡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감지센서가 마련되고,
    호흡장치에는 제2 컨트롤러가 마련되며,
    제2 컨트롤러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호흡장치의 위치가 부유장치와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수중 활동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제1 컨트롤러로 부유장치의 이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중 활동자에게 장착되며 수중 활동자의 수중에서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장치를 더 포함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컨트롤러는,
    호흡장치가 부유장치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간격보다 멀어지거나 가까워졌다고 판단된 경우에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호흡장치를 부유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추진장치의 추진 방향을 제어하는 제3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제3 컨트롤러는 수중 활동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추진장치는,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와 연결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를 포함하고,
    수중 활동자가 수중에서 이동할 때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추진장치는,
    부유장치를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급 받고 공급 받은 공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추진력을 이용하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추진장치는,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마련되며 수중 활동자의 신체에 장착되도록 밴드(band) 형태로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부유장치에는 물 밖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추진장치는 카메라와 연결되되,
    추진장치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 받고 전송받은 영상을 수중 활동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에는 수중 활동자의 수심, 부유장치의 배터리 상태가 보여지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부유장치는,
    내부에 공기유동튜브가 관통되는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유동튜브와 연결되며 공기유동튜브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프;
    부유장치와 호흡장치 간의 간격에 따라 부유장치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펌프 및 구동부와 연결되며 펌프 및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케이싱에는,
    흡입된 공기를 공기유동튜브로 전달하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는 흡기 트랩이 마련되며,
    공기유동튜브는 흡기 트랩을 통해 전달 받은 외부 공기가 호흡장치로 전달되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흡입 유로를 통해 전달된 외부 공기는 공기유동튜브를 통해 호흡장치를 거쳐서 수중 활동자에게 공급되거나 수중 활동자에게 직접적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수중 활동 보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호흡장치는,
    내부에 공기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 저장부; 및
    공기 저장부에 마련되어 수중 활동자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부재를 포함하는, 수중 활동 보조 장치.
PCT/KR2020/019393 2020-01-02 2020-12-30 수중 활동 보조 장치 WO202113761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95A KR102368566B1 (ko) 2020-01-02 2020-01-02 수중 활동 보조 장치
KR10-2020-0000295 2020-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17A1 true WO2021137617A1 (ko) 2021-07-08

Family

ID=766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9393 WO2021137617A1 (ko) 2020-01-02 2020-12-30 수중 활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8566B1 (ko)
WO (1) WO2021137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52B1 (ko) * 2022-03-11 2023-12-15 원린수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0994A (ko) * 1989-07-18 1992-08-10 미야모또 다께오 간이 잠수구
KR20100007900U (ko) * 2009-01-30 2010-08-09 송용화 수중공기 호흡장치
KR20100114072A (ko) * 2008-01-31 2010-10-22 브라이언 앤 신시아 윌콕스 트러스트 식량 및 에너지를 위한 로봇 해양 양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11238A (ko) * 2011-03-31 2012-10-10 박태규 수중 스쿠터
KR20130046215A (ko) * 2011-10-27 2013-05-07 이성종 신체 착용식 수영 보조장치
KR101391135B1 (ko) * 2013-04-05 2014-05-02 (주)이노워텍 의료보건용 수중추진 재활장치
KR101777384B1 (ko) * 2016-11-23 2017-09-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부유형 표적 데이터 획득 장치 및 시스템
US20180244359A1 (en) * 2015-08-22 2018-08-30 Tiemen Tobias Van Dillen Underwater recreation system
KR20190049988A (ko) * 2017-11-01 2019-05-10 성기택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JP2019533599A (ja) * 2016-09-20 2019-11-21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水中艇及び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0994A (ko) * 1989-07-18 1992-08-10 미야모또 다께오 간이 잠수구
KR20100114072A (ko) * 2008-01-31 2010-10-22 브라이언 앤 신시아 윌콕스 트러스트 식량 및 에너지를 위한 로봇 해양 양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00007900U (ko) * 2009-01-30 2010-08-09 송용화 수중공기 호흡장치
KR20120111238A (ko) * 2011-03-31 2012-10-10 박태규 수중 스쿠터
KR20130046215A (ko) * 2011-10-27 2013-05-07 이성종 신체 착용식 수영 보조장치
KR101391135B1 (ko) * 2013-04-05 2014-05-02 (주)이노워텍 의료보건용 수중추진 재활장치
US20180244359A1 (en) * 2015-08-22 2018-08-30 Tiemen Tobias Van Dillen Underwater recreation system
JP2019533599A (ja) * 2016-09-20 2019-11-21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水中艇及び検査方法
KR101777384B1 (ko) * 2016-11-23 2017-09-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부유형 표적 데이터 획득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49988A (ko) * 2017-11-01 2019-05-10 성기택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55A (ko) 2021-07-12
KR102368566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59699A1 (ko) 전동식 공기정화 마스크
WO2021137617A1 (ko) 수중 활동 보조 장치
WO2016082219A1 (zh) 无人机及其水样检测方法
JP6284529B2 (ja) 潜水器具用の電子装置
WO2014200136A1 (ko)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WO2020111716A1 (ko) 협소공간에서의 인명탐지 및 구호용 로봇
WO2020235744A1 (ko) 드론 탈부착형 임무장치 및 드론 시스템
WO2012043911A1 (ko) 적정공기환기를 위한 bvm
WO2018088695A1 (ko) 낙상 방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위험 관리 시스템
WO2021086028A1 (ko) 전자제어에 의한 들숨 산소배합과 날숨 이산화탄소 제거기능을 갖는 재호흡장치
WO2015080320A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CN107380442A (zh) 一种游泳池紧急救援无人机装置
WO2019088554A1 (ko) 수중 추진 장치를 구비하는 부력복
WO2019098478A1 (ko) 인명 구조용 자동 전개 튜브 및 이를 운반하는 드론
WO2022182161A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WO2019045180A1 (ko) 워터젯 보드를 이용한 구호 조사용 수상 드론
WO2024058437A1 (ko)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WO2013054963A1 (ko) 자가산소호흡장치
JP2003164537A (ja) 防毒マスク、防護衣、防護具及び誘導装置
WO2014142414A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CN108860520A (zh) 应用于潜水作业的装置
KR20200003567A (ko) 잠수 헬멧
CN108839775A (zh) 应用于潜水作业的汽艇船
CN206085027U (zh) 外骨骼装备
WO2013085143A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03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03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